KR20080071026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026A
KR20080071026A KR1020070009108A KR20070009108A KR20080071026A KR 20080071026 A KR20080071026 A KR 20080071026A KR 1020070009108 A KR1020070009108 A KR 1020070009108A KR 20070009108 A KR20070009108 A KR 20070009108A KR 20080071026 A KR20080071026 A KR 20080071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photosensitive drum
image forming
side plate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1026A/ko
Publication of KR2008007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현상닙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그 내부에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마련되는 카트리지 본체와, 카트리지 본체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감광드럼과 현상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사이드 플레이트와, 감광드럼이 사이드 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감광드럼을 관통하는 지지축과,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마련되어 사이드 플레이트에서 일정 부분 돌출되는 지지축과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축 홀더를 구비하며, 이때의 결합공에는 지지축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자성부재가 마련되고 지지축에는 자성부재에 대응되는 자성체가 마련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공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지지축과 지지축 홀더의 결합 시 자성에 의해 결합되므로 지지축 홀더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현상닙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화상형성유닛 21 : 카트리지 본체
23: 사이드 플레이트 25 : 지지축 홀더
26 : 결합공 26a : 자성부재
31 : 감광드럼 32 : 지지축
32a : 자성체 35 : 현상롤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광드럼이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화상형성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광주사에 의해 감광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하고, 이를 다시 용지에 전사하고 융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화상형성유닛이 구비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유닛(20)은 다시 토너가 적재되어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공급부와, 이 토너공급부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아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부로 구분된다. 이때의 화상형성유닛은 토너공급부와 현상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토너공급부와 현상부가 각각 분리되어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토너공급부와 현상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화상형성유닛은 통상 카트리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카트리지 형태의 본체 내부에는 감광드럼, 현상롤러, 공급롤러 등이 구비된다.
본체의 양 측면에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및 공급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사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되며, 이때의 감광드럼은 이 감광드럼을 관통하는 지지축에 의해 사이드 플레이트에 지지된다. 그리고,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상술한 지지축이 결합되어 감광드럼을 현상롤러 측으로 밀착시켜 현상닙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축 홀더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지지축 홀더가 지지축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유닛의 부품 교체 작업 시 지지축과 지지축 홀더의 결합부분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축 홀더가 지지축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지지축과 지지축 홀더의 결합부분에 변형이 발생되면,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현상닙이 불균일하 게 되며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현상닙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그 내부에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마련되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감광드럼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상기 감광드럼을 관통하는 지지축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서 일정 부분 돌출되는 상기 지지축과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축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지지축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자성부재가 마련된 화상형성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축의 끝단에는 상기 자성부재의 자성에 반응되는 자성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축은 상기 자성부재의 자성에 반응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유닛(20)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유닛(10), 화상형성유닛(20), 정착유닛(40), 배지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지유닛(10)은 인쇄매체인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지가 적재되는 용지트레이(11)와, 용지트레이(1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2)와, 용지트레이(11)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픽업롤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유닛(40)은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전사되어 있는 가시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토너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41)와, 가열롤러(41)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가열롤러(41)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롤러(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지유닛(50)은 인쇄를 마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지롤러(53)와, 배지롤러(53)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배지백업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유닛(20)은 급지유닛(10)과 정착유닛(40) 사이의 용지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데, 토너가 내부에 수용된 카트리지 본체(21)와, 이 카트리지 본체(21)의 내부에 구비되는 감광드럼(31), 대전롤러(33), 현상롤러(35), 공급롤러(37)와, 카트리지 본체(21)의 외부에 구비되어 감광드럼(31)과 접촉되는 전사롤러(39)를 포함한다.
감광드럼(31)은 광주사유닛(29)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감광드럼(31)은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대전롤러(33)는 감광드럼(31)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대전롤러(33)는 감광드럼(31)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드럼(3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대전롤러(33)에는 감광드럼(31)의 외주면에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공급롤러(37)는 현상롤러(35)의 외주에 카트리지 본체(21)에 수용된 토너를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상롤러(35)는 공급롤러(37)에 의해 그 외주에 부착된 토너를 감광드럼(31)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감광드럼(31)과의 사이에 현상닙을 형성하고 있다.
전사롤러(39)는 감광드럼(31)과의 사이에 정착닙이 형성되며, 감광드럼(31)의 외주면에 현상된 토너 즉, 가시화상을 전사롤러(39)와 감광드럼(31)의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전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카트리지 본체(21)의 양 측면에는 이 카트리지 본체(21)의 내부에 구비되는 감광드럼(31), 현상롤러(35), 공급롤러(37), 대전롤러(33)를 지지하기 위한 사이드 플레이트(23)가 마련된다.
이때, 감광드럼(31)에는 사이드 플레이트(23)에 지지될 수 있도록 감광드럼(31)을 관통하는 지지축(32)이 마련되며, 사이드 플레이트(23)의 외면에는 이 사이드 플레이트(23)의 외부로 일정 부분 돌출되는 지지축(32)과 연결되도록 결합공(26)이 형성된 지지축 홀더(25)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축 홀더(25)는 화상형성유닛(20)()의 부품 교체 작업 시 현상롤러(35)와 일정 부분 이격된 감광드럼(31)을 현상롤러(35) 측으로 밀착시켜 현상닙을 형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지축 홀더(25)는 화상형성유닛(20)()의 부품 교체 작업 시나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작업의 수행 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지지축(32)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축 홀더(25)에 형성된 결합공(26) 내부에 자성부재(26a)가 마련되고, 이 결합공(26)에 결합되는 지지축(32)의 끝단에 자성체(32a)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의 지지축(32)은 그 끝단이 자성체(32a)로 이루어졌는데, 지지축(32)의 재질이 자성체 자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지지축(32)과 지지축 홀더(25)는 자성부재(26a)와 자성체(32a)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성에 의해 결합되게 되어 화상형성유닛(20)()의 부품 교체 작업 시나 인쇄작업의 수행 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서도 지지축 홀더(25)가 지지축(3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감광드럼(31)을 사이드 플레이트(23)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축(32)과 지지축 홀더(25)가 자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므로 감광드럼(31)과 현상롤러(35) 사이의 현상닙이 불균일하게 되어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과 지지축 홀더의 결합 시 자성에 의해 결합되므로 지지축 홀더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그 내부에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마련되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현상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유닛에는
    상기 감광드럼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상기 감광드럼을 관통하는 지지축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서 일정 부분 돌출되는 상기 지지축과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축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지지축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자성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끝단에는 상기 자성부재의 자성에 반응되는 자성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자성부재의 자성에 반응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09108A 2007-01-29 2007-01-29 화상형성장치 KR20080071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108A KR20080071026A (ko) 2007-01-29 2007-01-29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108A KR20080071026A (ko) 2007-01-29 2007-01-29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026A true KR20080071026A (ko) 2008-08-01

Family

ID=3988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108A KR20080071026A (ko) 2007-01-29 2007-01-29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10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294B1 (ko) 화상형성장치
US7155137B2 (en)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and developing roller
US7529508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7000364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JP4635701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73477A (ko)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
JP2020144191A (ja) 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06330619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80056782A1 (en)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onveying device
JP3782691B2 (ja) 画像形成装置用の弾性ブレード、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2543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effectively regulating a toner layer, developing mechanism for the apparatus, and a process cartridge provided in the apparatus
KR20080071026A (ko) 화상형성장치
US78223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ocking unit
US20140334854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11988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US9891576B2 (en) Feeding device,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099201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58056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228005A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12075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70071509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0488785B2 (en) Develop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JP3350200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KR20080073593A (ko) 화상형성장치
KR20080069286A (ko) 코팅층을 갖는 현상제규제부재와 이를 포함하는현상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