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286A - 코팅층을 갖는 현상제규제부재와 이를 포함하는현상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코팅층을 갖는 현상제규제부재와 이를 포함하는현상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286A
KR20080069286A KR1020070006792A KR20070006792A KR20080069286A KR 20080069286 A KR20080069286 A KR 20080069286A KR 1020070006792 A KR1020070006792 A KR 1020070006792A KR 20070006792 A KR20070006792 A KR 20070006792A KR 20080069286 A KR20080069286 A KR 2008006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ating layer
developing cartridge
metal pl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9286A/ko
Publication of KR2008006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제이송체와, 상기 현상제이송체에 부착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규제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규제부재는, 상기 현상제이송체와 접촉하는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현상제규제부재와의 부착력이 작은 물질로 마련된 분리용코팅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유통기간 중 현상제규제부재에 부착된 현상제에 의한 인쇄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팅층을 갖는 현상제규제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DEVELOPER REGULATING MEMBER HAVING COATING LAYER AND DEVELOPER CARTRIDGE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카트리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규제부재의 사용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현상카트리지 10 : 감광체
20 : 대전롤러 40 : 현상제이송체
50 : 공급롤러 60 : 현상제저장부
70 : 케이싱 80 : 현상제규제부재
81 : 지지부재 83 : 탄성금속판재
85 : 분리용코팅층
본 발명은 현상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현상제규제부재의 구조를 개선한 현상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장치에 결합되어 호스트장치에서 인가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호스트장치에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용지에 가시화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로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감광체 상에 현상제를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장치와, 감광체 상에 현상된 현상제를 용지에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방식을 전자사진방식이라 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부(110)와, 급지부(110)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140)와, 화상형성부(140)에서 도포된 현상제를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표면에 정착시키는 정착부(150)와,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부(1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화상형성부(140)는 화상데이타의 화상정보를 광신호로 수령하여 감광체(122)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130)과, 광주사유닛(130)에 의해 형성된 감광체(122)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도포하고, 용지와 접촉하며 현상제를 도포하여 용지에 화상을 가시화하는 현상카트리지(120)를 포함한다.
현상카트리지(12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7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내 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소진되면 교환하여 사용하는 소모품이다. 현상카트리지(120)는 감광체(122)를 소정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21)와, 대전롤러(121)를 통해 소정전위로 대전된 후 광주사유닛(130)의 노광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122)와, 감광체(122)와 접촉하며 감광체(122) 표면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제이송체(123)와, 현상제이송체(123)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24)와, 현상제이송체(123)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규제부재(125)와,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126)로 이루어진다.
현상카트리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독립적으로 거래 및 유통된다.
여기서, 현상카트리지는 생산 후 유통과정에서 보존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유통환경실험을 거치게 된다. 즉, 포장상태, 습도, 온도 등을 변화시키면서 현상카트리지 내부의 현상제의 보존상태를 실험하게 된다. 그리고 실험결과를 통해 현상제에 포함된 성분을 조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종래 현상카트리지(120)는 유통과정에서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상제를 이루는 고분자 레진의 비율을 증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경우 정착품질 및 칼라화상에서의 광택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정착품질 및 칼라화상에서의 광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현상제에 포함된 저분자레진의 비율을 증가시킬 경우 현상제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아져 현상제가 열화되어 보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저분자레진의 비율이 증가된 현상제를 저장한 종래 현상카트리지(120)는 제조 후 현상제이송체(123)와 현상제규제부재(125) 사이의 닙(nip)에 끼여 있던 현상제가 고온의 유통과정에서 열화되어 현상제규제부재(125)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실제 사용조건에서도 원래의 성질로 회복되지 못하고 현상제규제부재(125) 표면에 잔류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현상제규제부재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는 현상제이송체로 이송되어야 할 현상제의 유동을 방해하여 백선의 발생과 같은 인쇄품질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현상제를 사용할 경우에도 유통과정 중에 현상제규제부재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제에 의한 인쇄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현상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제이송체와, 상기 현상제이송체에 부착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규제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규제부재는, 상기 현상제이송체와 접촉하는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현상제규제부재와의 부착력이 작은 물질로 마련된 분리용코팅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제규재부재는 금속판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용코팅층은 현상제이송체와 접촉하는 상기 금속판재의 접촉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금속판재와의 부착력이 작은 물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리용코팅층은 아크릴, 아크릴 변성 에스테르, 아크릴 변성 폴 리우레탄, 그리고 아크릴 변성 에스테르에 실리콘 입자를 첨가한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카트리지(1)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규제부재(80)의 작동과정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카트리지(1)는 용지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감광체(10)와, 감광체(10)를 소정 전위로 대전하는 대전롤러(20)와, 감광체(10)로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제이송체(40)와, 현상제이송체(40)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50)와,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저장부(60)와, 현상제이송체(40)에 도포되는 현상제량을 규제하며 유통기간 중 부착된 현상제를 분리시키는 분리용코팅층(85)을 갖는 현상제규제부재(80)와, 이들을 수용하는 케이싱(70)을 포함한다.
감광체(10)는 대전롤러(20)에 의해 소정전위로 표면이 대전되고, 광주사장치(도 1의 130참조)에 의해 광을 조사받아 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0)의 구조와 형상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전롤러(20)는 소정의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감광체(10)를 소정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롤러(20)는 소정경도를 갖는 도전성고무롤러로 마련된다.
현상제이송체(40)는 공급롤러(50)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아 감광체(10)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도포한다. 현상제이송체(40)는 감광체(10)로 현상제 를 이송할 수 있도록 드럼형상으로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현상제이송체(40)는 비자성체인 도전성 고무롤러로 마련된다.
여기서, 현상제는 1성분 비자성 토너(Toner)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타 현상제용 토너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는 폴리에스테(polyester) 레진을 주성분으로한 1성분 비자성 토너가 사용된다.
공급롤러(50)는 현상제저장부(60)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제이송체(40)로 공급한다. 공급롤러(50)는 도전성 우레탄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롤러를 현상제이송체(40)와 일정 닙(nip)을 가지며 회전하도록 마련한다.
현상제저장부(60)는 현상제를 저장한다. 현상제저장부(60)에는 아지테이터(미도시)가 마련되어 현상제를 교반하고, 교반된 현상제는 공급롤러(50) 측으로 공급된다.
케이싱(70)은 현상카트리지(1)의 외관을 구성하며,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을 수용지지한다. 케이싱(70)의 형상은 구성요소들의 배열과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현상제규재부재(8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70)에 결합하는 지지부재(81)와, 지지부재(81)로부터 소정의 연장길이의 위치에 마련되어 현상제이송체(40)와 접촉하는 절곡부(83a)를 가지는 탄성금속판재(83)와, 절곡부(83a)의 외측에 마련되어 초기 사용중 탄성금속판재(83)로부터 벗겨지는 분리용코팅층(85)을 포함한다. 탄성금속판재(83)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마련되며 현상제이송체(40)에 일정한 접촉압(선압)을 작용한다.
탄성금속판재(83)는 탄성력을 갖는 두께가 0.05mm에서 0.1mm 범위의 금속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테인레스(stainless)판이나, 인청동판 또는 베릴륨(beryllium) 동판 등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금속판재(83)는 지지부재(81)에 레이저 용접을 비롯한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분리용코팅층(85)은 현상제이송체(40)와 접촉하는 탄성금속판재(83)의 절곡부( 83a)의 외측에 마련된다. 분리용코팅층(85)은 윤활성은 뛰어나면서 탄성금속판재(83)와의 접착력이 작은 물질로 마련된다. 이에 의해 분리용코팅층(85)은 현상카트리지(1)의 유통과정 중 현상제이송체(40)와 탄성금속판재(83) 사이의 닙(nip)에 마련되어 닙사이에 끼여있던 잔류현상제가 분리용코팅층(85)에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도1의 100)에 장착되어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분리용코팅층(85)은 회전하는 현상제이송체(40)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접촉선압에 의해 마모되어 탄성금속판재(83)로부터 떨어져나간다.
이 때, 유통과정 중에 분리용코팅층(85)에 부착된 잔류현상제도 분리용코팅층(85)과 함께 탄성금속판재(83)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분리용코팅층(85)은 테프론(Teflon), 아크릴(Acryl), 아크릴 변성 에스테르(Ester), 아크릴 변형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아크릴 변성 에스테르에 PTFE 입자를 첨가한 재질,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에 실리콘 입자를 첨가한 재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리용코팅층(85)의 두께는 마모에 의해 벗겨지기 쉽도록 얇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용코팅층(85)의 두께가 두꺼우면 현상제의 마찰대전을 위해 탄 성금속판재(83)에 전압을 인가할 경우 마찰대전의 효과가 저하되므로 10㎛이하의 두께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카트리지(1)의 현상제규제부재(80)의 작동과정을 도2 내지 도3b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현상카트리지(1)가 생산되어 유통되는 과정에는 도3a와 같이 분리용코팅층(85)이 현상제이송체(40)와 탄성금속판재(83) 사이에 마련되어 닙사이의 현상제가 열화되어 탄성금속판재(83)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열화된 현상제(T)는 분리용코팅층(85)의 표면에 부착되게 된다.
한편, 현상카트리지(1)가 화상형성장치(도1의 100)에 장착되고,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공급롤러(50)와 현상제이송체(40)가 회전하게 된다. 공급롤러(50)는 현상제이송체(40)로 현상제저장부(60)의 현상제를 공급하고, 현상제규제부재(80)는 현상제이송체(40) 표면의 현상제의 두께를 일정하게 규제한다.
즉, 탄성금속판재(83)는 현상제이송체(40)와 접촉하며 접촉선압을 가하고, 접촉선압에 의해 현상제이송체(40) 표면에 도포되는 현상제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 때, 현상제이송체(40)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탄성금속판재(83) 표면에 코팅된 분리용코팅층(85)은 작은 접착력에 의해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금속판재(83)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에 의해 분리용코팅층(85) 표면에 부착되었던 열화된 현상제(T)들도 함께 탄성금속판재(83)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분리용코팅층(85)이 벗겨진 탄성금속판재(83)는 현상제이송체(40)로 도포되 는 현상제의 양을 전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제어하여 인쇄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카트리지는 유통기간 중 현상제규제부재의 표면에 열화된 현상제의 부착을 방지하고 초기 사용에 의해 현상제규제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되는 분리용코팅층을 포함하여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현상제에 의한 인쇄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흑백화상형성장치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의 조합에 의해 컬러화상을 형성하는 컬러화상형성장치용 현상카트리지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밝힌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카트리지는 현상제이송체와 접촉하는 영역에 분리용코팅층을 갖는 현상제규제부재를 포함하여 열화된 현상제에 의해 야기되는 인쇄품질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부착하는 현상제이송체와, 상기 현상제이송체에 부착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규제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규제부재는,
    상기 현상제이송체와 접촉하는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현상제규제부재와의 부착력이 작은 물질로 마련된 분리용코팅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규재부재는 금속판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코팅층은 현상제이송체와 접촉하는 상기 금속판재의 접촉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금속판재와의 부착력이 작은 물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코팅층은 아크릴, 아크릴 변성 에스테르, 아크릴 변성 폴리우레탄, 그리고 아크릴 변성 에스테르에 실리콘 입자를 첨가한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카트리지.
KR1020070006792A 2007-01-23 2007-01-23 코팅층을 갖는 현상제규제부재와 이를 포함하는현상카트리지 KR20080069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792A KR20080069286A (ko) 2007-01-23 2007-01-23 코팅층을 갖는 현상제규제부재와 이를 포함하는현상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792A KR20080069286A (ko) 2007-01-23 2007-01-23 코팅층을 갖는 현상제규제부재와 이를 포함하는현상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286A true KR20080069286A (ko) 2008-07-28

Family

ID=3982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792A KR20080069286A (ko) 2007-01-23 2007-01-23 코팅층을 갖는 현상제규제부재와 이를 포함하는현상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92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648A1 (ko) * 2010-08-24 2012-03-01 Chang Dong Hyuk 화상형성장치의 독터 블레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648A1 (ko) * 2010-08-24 2012-03-01 Chang Dong Hyuk 화상형성장치의 독터 블레이드
US8843036B2 (en) 2010-08-24 2014-09-23 Dong Hyuk Chang Doctor blade for image form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207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19004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4066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developing device
US84284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865118B2 (en) Develop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the same
KR20160105338A (ko) 화상형성장치
JPH10161508A (ja) Micrプリンタ兼用画像形成装置
KR19990083280A (ko) 화상형성장치
US10394156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controlling charging voltage and development voltage
JP527766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4810012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960516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69286A (ko) 코팅층을 갖는 현상제규제부재와 이를 포함하는현상카트리지
JP2022059718A (ja)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795742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80373178A1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058056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6961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88602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2024001979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10181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記憶媒体
JP5376422B2 (ja) 画像形成装置
JP5476270B2 (ja) 現像装置、及び、当該現像装置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KR100667792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202013473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