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298A - 공기조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298A
KR20080070298A KR1020070008202A KR20070008202A KR20080070298A KR 20080070298 A KR20080070298 A KR 20080070298A KR 1020070008202 A KR1020070008202 A KR 1020070008202A KR 20070008202 A KR20070008202 A KR 20070008202A KR 20080070298 A KR20080070298 A KR 2008007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exchange
exchange unit
unit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4152B1 (ko
Inventor
심재훈
이주연
오세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152B1/ko
Publication of KR2008007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9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복사 에너지와 냉풍 또는 온풍에 의해 실내 공간을 선택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는 것이다.
공기조화시스템, 복사유닛

Description

공기조화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시스템에서 냉매 유동에 따른 냉매의 상태를 도시한 냉매사이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공기조화시스템에서 냉매 유동에 따른 냉매의 상태를 도시한 냉매사이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분지관 10: 압축기
20: 제1열교환유닛 30: 제2열교환유닛
40: 복사유닛 51,52,71,72,75: 팽창밸브
75: 기액분리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사 에너지에 의해 실내 공간을 냉난방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기조화시스템은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매를 일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냉방운전과, 냉매를 타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매를 일측으로만 순환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냉방운전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1열교환유닛에서 응축된다. 상기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 제2열교환유닛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2열교환유닛는 송풍팬에 의해 냉풍을 실내 공간으로 토출함에 따라 실내 공간을 냉방시킨다. 상기 제2열교환유닛의 냉매는 압축기로 다시 복귀한다. 이와 같은 냉매의 폐순환에 의해 냉방운전이 수행된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방운전시와 반대로 냉매를 폐순환시킴에 따라 난방운전을 수행한다. 이러한 난방운전에 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시스템은 송풍팬에 의해 실내 공간에 냉풍 또는 온풍을 토출하여 획일적으로 냉난방시키므로,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모든 성향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즉, 대부분의 사람들은 냉난방시 냉풍이나 온풍에 직접 노출되더라도 쾌적감을 느끼지만, 일부의 사람들은 냉풍이나 온풍에 직접 노출되면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노인이나 어린이들은 면역력이 약해서 냉풍이나 온풍에 직접 노출되면 감기 등이 자주 걸리는 경향이 있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들의 성향에 맞게 실내 공간을 냉난방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1열교환유닛; 상기 제1열교환유닛에서 토출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2열교환유닛; 상기 제1열교환기의 출구측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2열교환유닛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분지관; 및 상기 분지관에 배치되어 복사열을 제공하는 복사유닛이 포함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팽창장치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입구측 냉매관에 배치되는 제1팽창밸브; 및 상기 복사유닛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제2팽창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팽창장치에는 상기 제1열교환유닛과 분지 지점 사이의 냉매관에 배치되는 제3팽창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 유닛의 출구측에 제공되는 기액 분리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분지관은 상기 기액 분리기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1열교환유닛; 상기 제1열교환유닛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에서 팽창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2열교환유닛; 및 상기 팽창장치에서 팽창된 냉매의 일부가 분지되어 유입되고, 복사열을 제공하는 복사유닛이 포함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1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10)는 냉매의 토출량을 제어할 수 없는 정속 압축기 또는 냉매의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는 인버터 압축기일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에는 제1열교환유닛(20)이 연결된다. 상기 제1열교환유닛(20)은 압축기(10)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1열교환기(21)와, 상기 제1열교환기(21)에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제1팬(21)을 포함한다. 상기 제1팬(21)으로는 축류팬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열교환유닛(20)은 실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유닛(20)의 토출측 냉매관(2)에 제2열교환유닛(30)이 연결된다. 상기 제2열교환유닛(30)은 냉매가 유입되는 제1열교환기(31)와, 상기 제1열교환기(31)에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키는 제2팬(32)을 포함한다. 상기 제2팬(32)으로는 축류팬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열교환유닛(30)은 실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1열교환유닛(20)의 출구측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2열교환유닛(30)의 출구측에 연결되도록 분지관(3)이 배치된다.
상기 분지관(3)에는 복사열을 제공하는 복사유닛(40)이 배치된다. 상기 복사유닛(40)은 실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복사유닛(4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는 상기 분지관(3)에 하나의 복사유닛(40)이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분지관(3)에 복수의 복사유닛이 배치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또 한, 상기 제2열교환유닛(30)의 흡입측 냉매관(2)에 여러 갈래로 분기된 복수의 분지관을 형성하고, 상기 각 분지관에 복사유닛을 각각 배치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유닛(30)의 흡입측 냉매관 또는/및 토출측 냉매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사유닛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열교환유닛(20)에서 토출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51,52)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팽창장치(51,52)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31)의 입구측 냉매관(2)에 배치되는 제1팽창밸브(51)와, 상기 복사유닛(40)의 입구측 냉매관(3)에 배치되는 제2팽창밸브(52)가 포함된다. 상기 제1,2팽창밸브(51,52)로는 전기적으로 개도가 조절되는 전자팽창밸브(LEV)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1,2팽창밸브(51,52)는 상기 제1열교환기(21)와 복사유닛(40)에 유입되는 냉매량과 팽창 정도를 각각 별도로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1,2팽창밸브(51,52)는 복사유닛(40)보다 제1열교환유닛(20)에 유입되는 냉매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팽창밸브(51,52)는 복사유닛(40)보다 제1열교환유닛(20)에 유입되는 냉매를 보다 저압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팽창장치(51,52)는 상기 분지관(3)이 분지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하나의 팽창밸브일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복사유닛(40)은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태의 냉매관(41)과, 상기 냉매관과 열교환되도록 설치되는 냉각핀(42)을 포함한다. 상기 복사유닛(40)에는 팬이 설치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사유닛(4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사유닛(40)은 실내의 천정, 벽면, 또는 업무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매를 일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냉방 사이클과, 냉매를 반대로 순환시키는 난방 사이클로 운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방 사이클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10)에서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한다(A1~A2 구간).
상기 압축된 냉매는 제1열교환유닛(20)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팬(21)이 회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21)에 유동하는 냉매를 응축시킨다(A2~A3 구간).
상기 제1열교환유닛(20)에서 토출된 냉매의 일부는 토출측 냉매관에 배치된 제1팽창밸브(51)에 의해 팽창된다(A3~A5 구간). 또한, 상기 제1열교환유닛(20)에서 토출된 냉매의 일부는 분지관(3)에 배치된 제2팽창밸브(52)에 의해 팽창된다(A3~A4 구간). 이때, 상기 제1팽창밸브(51)는 상기 제2팽창밸브(52)에 비해 냉매를 보다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킨다. 또한, 상기 제1,2팽창밸브(51,52)는 동일한 압력으로 냉매를 팽창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팽창밸브(52)는 제1팽창밸브(51)에 비해 냉매를 보다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1,2팽창밸브(51,52)의 냉매 팽창 정도는 실내의 온도, 사용자의 선택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팽창밸브(51)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제2열교환유닛(30)에 유입된다. 상기 제2팬(32)은 제1열교환기(31)와 열교환된 냉풍을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 공간을 냉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1열교환기(31)에서 증발된 냉매는 2상 상태로 토출된다(A5~A1 구간).
또한, 상기 제2팽창밸브(52)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복사유닛(40)에 유입된다. 상기 복사유닛(40)에서는 팬이 없으므로 냉기가 복사 방출된다. 상기 복사유닛(40)의 냉매는 분지관(3)에 의해 제2열교환유닛(30)의 토출측으로 냉매관으로 유입된다(A4~A6 구간).
상기 제2열교환유닛(30)과 복사 유닛에서 토출된 냉매는 압축기(10)로 재유입된다.
이러한 냉매의 순환이 진행됨에 의해 실내 공간을 냉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냉매를 반대로 순환시키면 실내 공간을 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열교환유닛(30)은 냉풍을 토출하여 실내 공간을 냉방시키고, 상기 복사유닛(40)은 냉기를 복사 방출함에 의해 특정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절한 곳에 복사유닛(40)이나 제2열교환유닛(30)을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냉난방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압축기(10), 제1열교환유닛(20) 및 제2열교환유닛(30)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열교환유닛(20)의 출구측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2열교환유닛(30)의 출구측에 연결되도록 분지관(3)이 배치된다. 상기 분지관(3)에는 복사열을 제공하는 복사유닛(40)이 배치된다. 상기 압축기(10), 제1,2열교환유닛 복사유닛(40)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한다.
상기 제1열교환유닛(20)에서 토출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71,72,73)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팽창장치(71,72,73)에는, 상기 제3열교환기(31)의 입구측 냉매관(2)에 배치되는 제1팽창밸브(71)와, 상기 복사유닛(40)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제2팽창밸브(72)와, 상기 제1열교환유닛(20)과 상기 분지관(3)이 분지되는 지점 사이의 냉매관에 배치되는 제3팽창밸브(73)가 포함된다. 상기 제1,2,3팽창밸브로(71,72,73)는 전기적으로 개도가 조절되는 전자팽창밸브(LEV)를 제시한다.
상기 제3팽창밸브(73)는 상기 제1열교환기(21)에서 토출된 냉매를 1차적으로 팽창시킨다. 또한, 상기 제1,2팽창밸브(71,72)는 상기 제3팽창밸브(73)에서 팽창된 냉매를 2차적으로 각각 팽창시킨다.
또한, 상기 제1,2팽창밸브(71,72)는 상기 제1열교환기(21)와 복사유닛(40)에 유입되는 냉매량과 팽창 정도를 각각 별도로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1,2팽창밸브(71,72)는 복사유닛(40)보다 제1열교환유닛(20)에 유입되는 냉매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팽창밸브(71,72)는 복사유닛(40)보다 제1열교환유닛(20)에 유입되는 냉매를 보다 저압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분지관(3)이 분지되는 지점에는 기액분리기(7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기(75)는 기체 냉매를 제2열교환유닛(30)과 복사유닛(40) 측으로 각각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매를 일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냉방 사이클과, 냉매를 반대로 순환시키는 난방 사이클로 운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방 사이클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10)에서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한다(B1~B2 구간). 상기 압축된 냉매는 제1열교환유닛(20)에 유입되어 응축된다(B2~B3 구간).
상기 제1열교환유닛(20)에서 토출된 냉매는 제3팽창밸브(73)에 의해 1차적으로 팽창된다(B3~B4 구간). 상기 팽창된 냉매는 기액분리기(75)에 유입된다.
상기 기액분리기(75)에서 토출된 일부의 냉매는 상기 제1팽창밸브(71)에 유입되어 2차적으로 팽창된다(B5~B6 구간).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75)에서 토출된 냉매의 일부는 분지관(3)에 배치된 제2팽창밸브(52)에 의해 2차적으로 팽창된다(B4~B7 구간). 이때, 상기 제1팽창밸브(71)는 상기 제2팽창밸브(72)에 비해 냉매를 보다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킨다. 또한, 상기 제1,2팽창밸브(71,72)는 동일한 압 력으로 냉매를 팽창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팽창밸브(72)는 제1팽창밸브(71)에 비해 냉매를 보다 낮은 압력으로 팽창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1,2팽창밸브(71,72)의 냉매 팽창 정도는 실내의 온도, 사용자의 선택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팽창밸브(71)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제2열교환유닛(30)에 유입된다. 상기 제2팬(32)은 제1열교환기(31)와 열교환된 냉풍을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 공간을 냉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1열교환기(31)에서 증발된 냉매는 2상 상태로 토출된다(B6~B1 구간).
또한, 상기 제2팽창밸브(72)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복사유닛(40)에 유입된다. 상기 복사유닛(40)에서는 팬이 없으므로 냉기가 복사 방출된다. 상기 복사유닛(40)의 냉매는 분지관(3)에 의해 제2열교환유닛(30)의 토출측으로 냉매관으로 유입된다(B7~B1 구간).
상기 제2열교환유닛(30)과 복사 유닛에서 토출된 냉매는 압축기(10)로 재유입된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매를 2차에 걸쳐 팽창시키므로, 상기 제2열교환유닛(30)과 복사유닛(40)에 유입되는 냉매의 팽창 성능 및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절한 곳 에 복사유닛이나 제2열교환유닛을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냉난방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복사유닛은 큰 공사를 하지 않고도 필요한 곳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1열교환유닛;
    상기 제1열교환유닛에서 토출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2열교환유닛;
    상기 제1열교환기의 출구측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2열교환유닛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분지관; 및
    상기 분지관에 배치되어 복사열을 제공하는 복사유닛이 포함되는 공기조화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장치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입구측 냉매관에 배치되는 제1팽창밸브; 및
    상기 복사유닛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제2팽창밸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장치는 상기 제1열교환유닛과 분지 지점 사이의 냉매관에 배치되는 제3팽창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 유닛의 출구측에 제공되는 기액 분리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분지관은 상기 기액 분리기로부터 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5.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1열교환유닛;
    상기 제1열교환유닛에서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팽창장치;
    상기 팽창장치에서 팽창된 냉매가 유입되는 제2열교환유닛; 및
    상기 팽창장치에서 팽창된 냉매의 일부가 분지되어 유입되고, 복사열을 제공하는 복사유닛이 포함되는 공기조화시스템.
KR1020070008202A 2007-01-26 2007-01-26 공기조화시스템 KR100854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202A KR100854152B1 (ko) 2007-01-26 2007-01-26 공기조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202A KR100854152B1 (ko) 2007-01-26 2007-01-26 공기조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298A true KR20080070298A (ko) 2008-07-30
KR100854152B1 KR100854152B1 (ko) 2008-08-26

Family

ID=3982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202A KR100854152B1 (ko) 2007-01-26 2007-01-26 공기조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6996A (zh) * 2021-01-10 2021-05-14 青岛腾远设计事务所有限公司 一种涡旋压缩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5387A (zh) * 2015-12-16 2017-06-23 上海日立电器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2009B2 (ja) * 1991-04-18 1999-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H1054616A (ja) * 1996-08-14 1998-02-24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KR20050049954A (ko) * 2003-11-24 2005-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응축기에 저온냉매유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6996A (zh) * 2021-01-10 2021-05-14 青岛腾远设计事务所有限公司 一种涡旋压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152B1 (ko)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50561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10102808A (ko) 히트 펌프식 냉·난방장치
JP6719975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2004116977A (ja) 空気調和機
JPH08105652A (ja) 空気調和装置
JP2005016919A (ja) 空気調和装置
KR100854152B1 (ko) 공기조화시스템
JPH04113136A (ja) 直膨型熱交換器を用いたクリーンルーム
JP5239959B2 (ja) 空調システム
JP2016156543A (ja) 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KR100533006B1 (ko) 가정용 냉난방 동시형 멀티 에어컨
KR100854153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0854154B1 (ko) 공기조화시스템
JP2018115809A (ja) 空気調和機
JP4195651B2 (ja) 冷暖房換気システム
JP2005156093A (ja) 空気調和装置
JPH1089803A (ja) 空気調和機
KR20040033801A (ko) 제습용 에어컨의 베인 제어 방법
JP2003222441A (ja) 空調設備における配管構造およびそのための熱交換用二重管
CN219913230U (zh) 室内机和空调器
JP2003097842A (ja) 空気調和機
KR100309066B1 (ko) 공기조화기의실외기가필요없는냉.난방장치및그방법
JPH08254344A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方法
JPH10160202A (ja) 輻射式空気調和装置
KR200178070Y1 (ko) 냉난방 겸용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