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726A - 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726A
KR20080068726A KR1020087012519A KR20087012519A KR20080068726A KR 20080068726 A KR20080068726 A KR 20080068726A KR 1020087012519 A KR1020087012519 A KR 1020087012519A KR 20087012519 A KR20087012519 A KR 20087012519A KR 20080068726 A KR20080068726 A KR 20080068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embers
recesses
surface plate
be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011B1 (ko
Inventor
자르모 와커
Original Assignee
아께르 야즈 캐빈즈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께르 야즈 캐빈즈 오이 filed Critical 아께르 야즈 캐빈즈 오이
Publication of KR2008006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04C2/32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with parallel corrug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04C2/3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with a metal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벽 부재들의 긴 측면들에 의해 서로 간에 결합되기 적합하고, 또한, 표면 플레이트 부재(1,1')와, 지지부재(2, 2') 및 절연부재(3, 3')를 포함하고, 상기 벽 부재들 서로 간에 부착되는, 적어도 2개의 주 직사각형 패널 형상의 벽 부재들을 포함하는 내화성 소재로 구성된 벽 구조물. 상기 벽 부재들의 긴 측면들은, 표면 플레이트 부재의 가장자리들에 형성된 벤드들(1a, 1b, 1b')이 구비되고, 상기 벤드들은, 그들의 짧은 측면들과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상 및 크기를 가지고, 또한, 설치되었을 때, 서로간에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어떠한 별개의 고정부재 없이, 상기 벽 부재들의 평면에 대해 가로로 고정시킨다.
내화성, 벤드

Description

벽 구조물{WALL STRUCTURE}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르면, 본원 발명은, 내화성(fire-resistent) 소재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의 주 직사각형의 패널 형상의 벽 부재들을 포함하는 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부재들은, 긴 측면들에 의해 결합되도록 적용되고, 또한, 표면 플레이트 부재와, 지지 부재와 절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들은 서로 부착된다.
종래의 공지된 벽 구조물은, EP 878390 B1의 공보에 의해 드러나 있다. 이 구조물에서, 보강재(stiffener)가 벽 부재들의 수직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양쪽의 수직 가장자리는, 표면 플레이트 부재로 형성된 벤드가 구비되며, 인접한 벽 부재들의 벤드들이 인접한 벽 부재의 보강재에 의해 지지된다. 벽 부재에 부착된 지지 플레이트와 절연 플레이트는, 보강재와 하나의 벤드 사이에 위치되며, 화재 안정성에 대해서 중요한 절연(insolation) 플레이트는, 오직 벽 구조물의 일부분을 덮는다. 상기 구조물은, 화재가 발생된 경우, 그 자체를 결합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조인트 스트립(joint strip)들을 필요로 한다. 상기 벽 부재들은, 후면부가 나사에 의해 결합되어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부재들은 모든 분야에서 이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다목적 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벽 구조물은, 특히, 선내에 장착된 배들 및 유사한 선박들, 또한, 예를 들면, 캐빈들(cabins) 및 통로(corridor)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고 또한, 가능한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얇고 가벼워서 설치가 용이하고 제조가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청구항 1에 드러난 것과 같이 얻어질 수 있고, 나머지 청구항들에 의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 부재가 설치된 후에 특히, 수평방향으로 상기 벽 부재를 보강시키기 위해 구비된 지지 부재는, 표면 플레이트 부재와, 오목부 및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도록 배치된다. 벽 부재의 수직방향을 향해 있는 오목부 및 돌출부의 두께는, 절연부재(insulation element)가 지지부재의 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설정되고 또한, 돌출부의 내표면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에 부분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어, 상기 두께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부분적으로 중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가장자리 벤드들(bends), 그것이, 표면 플레이트 부재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제조와 그 자체의 설치가 용이하고, 수직방향을 향하는 별개의 지지 부재들 또는 보강재(stiffener)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구조물은, 인접한 벽 부재들과 결합하기 위해 별개의 고정 부재들의 이용이 요구되지 않는다. 게다가 특히, 캐빈(Cabin)과 같은 응용분야에 있어서, 오직 하나의 표면 플레이트 부재를 갖는 벽 부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인접한 캐빈 유닛들의 벽 부재들의 개방된 후면들이 서로 반대로 배치되어, 예를 들어 밀폐된 카세트 형태의 벽 부재들의 필요가 없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벽 부재들이, 별개의 통로 벽 부재들로서 적용될 수 있어 유리하고, 또한, 캐빈 내벽들로서 역할을 하는 상기 벽 부재들이 완전한 벽 구조물로 구비된다. 이러한 모든 것이 구조물을 가볍게 만든다.
금속 표면 플레이트 부재의 평평한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벽 부재의 수직방향을 향해 있는 상기 오목부 및 돌출부가 배치됨에 의해, 지지 부재는, 표면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오목부와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벽 부재의 수직방향을 향해 있는 상기 오목부와 돌출부의 두께는, 절연 부재가 지지 부재 위에 설치될 수 있도록 또한, 돌출부의 내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한 부분에 부분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설정된 때,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더욱이, 지지 부재와 절연 부재가 표면 플레이트 부재의 가장자리 벤드들의 내표면의 전체 두께를 따라서 배치되기 때문에, 화재 안정성에 대해 유리한 연속적인 구조물이 얻어지게 된다.
실제로 상기 중첩된 위치의 영역의 크기가, 적어도 대략 15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재(fire)에 대해서 기술적으로 유리한 구조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돌출부간의 서로 중첩된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쐐기(wedge) 방식으로 서로를 조이도록 상기 벽 부재들을 안내하기 위해 다소 기울어져 있는 것이 유리하다.
화재 안정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서, 벽 부재들의 벤드들은, 벽 부재의 수직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긴 측면들 중의 일 측면에 두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도록 개발될 수 있고, 그 오목부들 사이에, 리지 형상의 돌출부가 있고, 상기 벤드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오목부와 돌출부) 중첩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긴 측면은, 두개의 리지 형상의 돌출부들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오목부들과 결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오목부가 있고, 상기 벤드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오목부와 돌출부)간 중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첩 영역이 증가될 수 있고, 상기 구조물이 보강된다.
실제로, 표면 플레이트 부재, 지지 부재 및 절연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다.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접착층이 소멸될지라도, 상기 구조물은, 상기 부재들의 중첩된 영역의 구조물에 기인하여 원래의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벽 구조물에 포함된 벽 부재에 관련되고, 상기 부재는, 그것의 긴 측면들이 표면 플레이트 부재의 가장자리들에 형성된 벤드들로 구비되고, 상기 벤드들은, 앞에서 기술된 방식들 중에 하나로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벽 부재가 상기 벽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벽 부재는, 상기 벤드들이 상기 벽 부재의 수직 보강재들로서 작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또한, 표면 플레이트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 부재의 수직 보강재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벽 구조물에 포함된 벽 부재의 부분 단면된 후면도이다.
도 2 및 3은, 부재들의 짧은 측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벽 구조물 내에 포함된 두개의 인접된 벽 구조물들이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 IV-IV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부재들의 짧은 측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벤드 구조물들이 구비된 벽 구조물에 포함된 두 개의 인접한 부재들이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부재들의 짧은 측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벤드 구조물들이 구비된 벽 구조물에 포함된 두 개의 인접한 부재들이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다음과 같이, 첨부된 개요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내의 참고번호 1은, 벽 부재의 외표면을 형성하는 표면 플레이트 부재를 나타낸다. 긴 측면의 표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중 일 측면은, 벤드(1a)를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긴 측면의 가장자리 중 다른 측면은, 벤드(1b)를 형성한다. 벤드들은, 벽 부재의 수직 보강재들로서 작용을 하고, 벤드(1a)는, 벽 부재의 일측면의 가장자리에 리지(ridge)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반면, 벤드(1b)는, 벽 부재의 다른 측면의 가장자리에 오목부(1d)가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돌출부(1c)와 오목부(1d)는, 벽 부재의 내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적절한 크기의 공간이 상기 돌출부(1c)와 오목부(1d) 사이에 유지되고, 그 공간 내에 측면방 향을 향해 표면 플레이트 부재(1)을 보강하는 별개의 지지 부재(2)가 설치된다. 또한, 돌출부(1c)와 오목부(1d)는, 지지 부재(2) 위에 설치되는 절연 부재(3)가 돌출부(1c)의 내부 오목한 부분에 꼭 맞도록 하기 위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그로 인해, 절연 부재(3)가, 부분적으로 지지 부재(2)와 중첩되어, 상기 지지 부재가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점과 화재 안정성에 대해서 유리하게 된다. 그것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여, 접착제 층이 소멸된다고 할지라도, 모든 구조물이 분리될 위험성 없이, 부재들(1, 2, 3)이 접착제에 의해 서로간에 안전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두개의 인접하고 구조적으로 상당한, 벽 구조물의 벽 부재들(1, 1')이 각각의 긴 측면들의 가장자리에 벤드들(1a, 1b)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벤드들은, 표면들(1e, 1f')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들은, 벤드들을 서로 밀어넣어 쇄기로 조이기 위해서 다소 기울어져 있고, 그로 인해 벽 부재들의 설치가 용이하다. 돌출부(1c)와 오목부(1d')는, 그들 서로 간에 단단히 결합되기 위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속되는 내화성 벽 구조물이 구비된다. 바람직하다면, 벤드들(1a, 1b')은, 나사(4)에 의해 추가로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구조물을 결합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아니라, 다소 조심스러운 조치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 및 6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벽 구조물내의 벤드들이 변경된 도면과, 변경된 벤드 구조물들이 구비된 인접한 벽 부재들이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7 및 8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벽 구조물내의 벤드들이 변경된 또 다른 도면과, 변경된 벤드 구조물들이 구비된 인접한 벽 부재들이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또 한, 이들 벤드들의 솔루션으로서, 긴 측면들 중의 일 측면은, 벽 부재의 수직 방향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오목부들(1g,1h)이 구비되고, 그 오목부들 사이에 리지 형상의 돌출부(1c)가 있고, 도 2 및 도 3에 따르는 솔루션과 달리, 벤드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에 중첩된다. 마찬가지로 긴 측면들 중 다른 측면은, 두개의 돌출부(1i', 1j')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1g, 1h)와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오목부(1d')가 있고, 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가 중첩된다. 도 5 및 도 6과, 다른 한편으로는, 도 7 및 도 8은 서로 선택적인 방법으로 오목부들과 돌출부들을 중첩시키는 방법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첩 영역들은, 같은 벤드의 두개의 돌출부들(1i',1j') 또는 두개의 오목부(1g, 1h)가 서로 중첩되는 것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5 - 10 mm로 되게 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면, 돌출부(1i')과 인접한 오목부(1d')와의 간격, 또는 1c와 1g와의 상응하는 간격은, 대략 20 - 25 mm 이다.
표면 플레이트 부재는, 예를 들면, 시트(sheet) 강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는, 그 자체가 알려진 방식으로, 물결모양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고, 그로 인해 구조물은 얇고 가볍게 유지될 수 있다. 적용분야 및 벽의 요청된 강도에 의존하여, 그들의 전체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10mm 정도로 작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 플레이트 부재가 그 구조물을 덮기 위해서 그것의 짧은 측면들로 구부려질 수 있다. 절연 플레이트(3)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소재는, 화재 안정성에 대해서 적절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좋은 절연 속성들을 가지고 있다. 그 소재는, 예를 들면, 암면일 수 있고, 그 층의 두께는 대략 10mm이다. 본래, 두개 이상이 부가된 층들이 사용되면, 화재 안정성과 절연성 모두가 개선되어 진다.
상술한 벽 구조물의 벽 부재들의 견고함과 가벼움으로 기인하여, 그들을 건설현장으로 이동하고, 벽 구조물의 형성 및 조립이 용이하여, 건설 단계를 빠르게 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확장 또는 변경될 수 있다.

Claims (8)

  1. 벽 부재들의 긴 측면들에 의해 상기 벽 부재들 간에 결합되기 적합하고, 또한, 상기 벽 부재들은, 표면 플레이트 부재(1, 1')와, 지지부재(2, 2') 및 절연부재(3, 3')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들이 서로 간에 부착되고, 상기 벽 부재들의 긴 측면들은, 상기 표면 플레이트 부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밴드들(1a, 1b, 1b')이 구비되고, 상기 벤드들(bends)은, 상기 긴 측면들의 일 측면에 홈(groove) 형상의 오목부(1d, 1d')와, 상기 긴 측면의 다른 측면에 리지(ridge) 형상의 돌출부(1c)가 포함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부와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1d, 1d')와 상기 돌출부(1c)가 상기 표면 플레이트 부재(1, 1')의 평평한 내벽으로부터 이격 되어 배치된 벽 부재의 수직방향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주 직사각형의 패널 형상의 벽 부재들을 포함하는 내화성(fire-resistent)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2, 2')는, 상기 표면 플레이트 부재(1, 1')와, 상기 오목부(1d, 1d')와, 상기 돌출부(1c)사이의 공간 내에 설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벽 부재의 수직 방향에 있는 상기 오목부(1d, 1d')와 상기 돌출부(1c)의 두께는, 상기 절연부재(3,3')가 상기 지지 부재(2, 2') 위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돌출부(1c)의 내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한 부분에 부분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상기 지지 부재(2, 2')에 대해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위치의 영역의 크기가 적어도 대략 15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재(fire)에 대해서 기술적으로 유리한 구조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d, 1d') 및 상기 돌출부(1c)간에 서로 중첩된 표면들(1e, 1f, 1f')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벽 부재들을 쐐기(wedge) 방식으로 서로를 조이도록 상기 중첩된 표면들로 안내하기 위해 다소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들의 벤드들(1a, 1b, 1b')은, 상기 벽 부재의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긴 측면들 중 일 측면에 두 개의 오목부들(1g, 1h)이 포함되고, 상기 오목부들 사이에 리지 형상의 돌출부(1c)가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벤드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에 중첩되고, 긴 측면들 중의 다른 측면은, 두개의 상응하는 리지 형상의 돌출부들(1i',1j')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오목부들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하나의 오목부(1d')가 있고, 상기 오목부들은, 상기 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2, 2')와 상기 절연 부재(3, 3')는, 상기 표면 플레이트 부재(1, 1')의 가장자리 벤드들(1a, 1b, 1b')의 내표면들의 전체 두께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플레이트 부재(1, 1')와, 상기 지지 부재(2, 2')와, 상기 절연 부재(3, 3')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구조물.
  7. 상기 벽 부재의 긴 측면들은, 표면 플레이트 부재(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벤드들(1a, 1b)이 구비되고, 상기 벤드들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 규정된 형상 또는 크기를 가지고 있도록 하여, 상기 청구항들에 규정된 상기 벽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벽 구조물에 포함된 벽 부재.
  8. 상기 벽 부재의 긴 측면들이 표면 플레이트 부재(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벤드들(1a, 1b)을 구비하고, 상기 벤드들은, 상기 벽 부재의 수직 보강재들로서 작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고, 또한, 상기 표면 플레이트 부재(1)와 함께, 바람직하게 는, 상기 벽 부재의 수직 보강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기재된 벽 구조물에 포함된 벽 부재.
KR1020087012519A 2005-11-18 2006-10-23 벽 구조물 KR101368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55614A FI118019B (fi) 2005-11-18 2005-11-18 Seinärakenne
FI20055614 2005-11-18
PCT/FI2006/050455 WO2007057513A1 (en) 2005-11-18 2006-10-23 Wall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726A true KR20080068726A (ko) 2008-07-23
KR101368011B1 KR101368011B1 (ko) 2014-02-26

Family

ID=3545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519A KR101368011B1 (ko) 2005-11-18 2006-10-23 벽 구조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948881B1 (ko)
JP (1) JP4856188B2 (ko)
KR (1) KR101368011B1 (ko)
CN (1) CN101310083B (ko)
DE (1) DE602006007872D1 (ko)
ES (1) ES2329720T3 (ko)
FI (1) FI118019B (ko)
WO (1) WO2007057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433676T (pt) * 2010-09-28 2017-05-26 Ag Österreich Siemens Carcaça resistente ao fogo para um conversor de corrente
FI126953B (fi) * 2015-07-14 2017-08-31 Piikkio Works Oy Seinärakenne
IT201800005773A1 (it) * 2018-05-28 2019-11-28 Sistema di costruzione modula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6117A (ja) * 1986-11-27 1988-06-08 Nissin Electric Co Ltd 系統連系太陽光発電装置のインバ−タ制御方式
JPS63136117U (ko) * 1987-02-27 1988-09-07
JPH0768729B2 (ja) * 1990-05-24 1995-07-26 栄建工業株式会社 不燃パネル
DE4227048A1 (de) * 1992-08-15 1994-02-17 Keiper Gmbh Paneel zur Verkleidung von Bauwerksflächen
JP2883969B2 (ja) * 1994-07-21 1999-04-19 オリエンタルメタル株式会社 外壁パネル
FI972025A (fi) * 1997-05-13 1998-11-14 Kvaerner Masa Yards Oy Seinärakenne
CN2330728Y (zh) * 1998-04-21 1999-07-28 东益贸易股份有限公司 组合式墙板
DE20012649U1 (de) * 2000-07-21 2000-10-05 Lethe Metallbau Gmbh Bauelement zur Erstellung von Wänden und/oder Decken, insbesondere auf Schif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10083A (zh) 2008-11-19
JP4856188B2 (ja) 2012-01-18
ES2329720T3 (es) 2009-11-30
JP2009516106A (ja) 2009-04-16
KR101368011B1 (ko) 2014-02-26
DE602006007872D1 (de) 2009-08-27
WO2007057513A1 (en) 2007-05-24
FI20055614A0 (fi) 2005-11-18
FI118019B (fi) 2007-05-31
EP1948881B1 (en) 2009-07-15
CN101310083B (zh) 2010-09-08
EP1948881A1 (en)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6389B2 (en) Wall gap fire block device, system and method
JPH08207883A (ja) 支持構造に作り付けられた改良防水かつ断熱タンク
US8677708B2 (en) Wall, roof and building structures
KR101368011B1 (ko) 벽 구조물
GB2082645A (en) Composite long span in building panel
EP1570141B1 (en) Flat or substantially flat roof
JP2002061339A (ja) 耐火断熱屋根構造
EP1111147B1 (en) Structure of an arched and thermally and acoustically insulated monolithic panel, particularly useful for the roofing of industrial and civil buildings and the like
WO2009027958A1 (en) A composite panel
US3048244A (en) Interlocking wall system
CA1134162A (en) Reinforced construction element
WO2020115525A1 (en) Sandwich panel assembly
JP5814590B2 (ja) 建築用パネルの接続構造
NL2025949B1 (en) Sandwich panel and associated assembly method
JP2008002240A (ja) デッキプレートによる屋根構造及び床構造
CA2952733A1 (en) Rigid insulated roofing system
WO2021245443A1 (en) Building envelope
FI119652B (fi) Seinärakenne
JPH065453Y2 (ja) 建物用パネル
JP2024068474A (ja) コーナー部材及びコーナー構造
JP2002227348A (ja) 建築構造物の屋根構造
JP2006161405A (ja) 間仕切壁の耐火構造
JP2016156240A (ja) コンクリート橋桁切削工事における防音方法
JP2002013236A (ja) 天井支持構造
GB2223522A (en) Insulated cladd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