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494A -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494A
KR20080066494A KR1020070003996A KR20070003996A KR20080066494A KR 20080066494 A KR20080066494 A KR 20080066494A KR 1020070003996 A KR1020070003996 A KR 1020070003996A KR 20070003996 A KR20070003996 A KR 20070003996A KR 20080066494 A KR20080066494 A KR 20080066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battery pack
batter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3154B1 (ko
Inventor
하태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154B1/ko
Publication of KR2008006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은 수용부가 구비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며, 배터리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며, 단자가 상기 어느 일 케이스의 단부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상태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일 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 팩이 유동되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의 단자가 배터리 팩의 단자와 접속 상태가 오프(off)되지 않으며, 휴대 단말기의 단자와 배터리 팩의 단자 간의 접속 상태가 더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휴대 단말기의 단자 위치에 대한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킴이 없이 접속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배터리 팩, 단자부, 용착부, 배터리 셀

Description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NTACT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분리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단자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단자부의 정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단자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휴대 단말기 11 ... 배터리 수용부
12 ... 접속단자 100 ... 배터리 팩
110 ... 제 1 케이스 111 ... 수용부
112 ... 수용홈 113,114,153 ... 걸림턱
120 ... 제 2 케이스 121 ... 수용홈
122,154 ... 용착부 130 ... 배터리 셀
140 ... 배터리 회로기판 150 ... 단자부
151 ... 단자부 바디 152 ... 단자
본 발명은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이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차세대 개인 휴대 기기를 일컫는 통칭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각종 데이터의 입력, 저장, 처리 및 출력 등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넷 통신, 전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이동 중에도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의 산업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큰 기술적 요인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의 정보통신 기술과 메모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외에 멀티 미디어를 직접 생산하거나 이를 송수신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를 탑재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전송 또는 감상하기도 하 고, 음악이나 영화 또는 게임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도 하며, 더 나아가 위성통신이나 지상파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예를 들어 DMB 등)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편의를 위하여 충전 방식의 배터리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패키지 형태의 구조로 장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은 전원 공급을 위하여 배터리 셀이 케이스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배터리 셀과 연결되는 단자부가 케이스의 일 측 단부면으로 노출되게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캐터리 팩의 경우 단자부의 고정력을 충분히 부여하기 위하여 단자의 둘레에는 케이스가 위치하여 단자를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배터리 팩의 경우 케이스의 일 측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단자가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단자와 접촉되는 영역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접촉영역의 제한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단자의 위치에 대한 제약을 주게 되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단자의 구성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팩의 구조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단자가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와 접속되는 위치가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일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접속을 하게 되는데, 만일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배터리 팩의 단자와 휴대 단말기의 단자 간의 접속영역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수용부에 장착된 배터리 팩에 유동이 발생되어 배터리 팩의 단자가 휴대 단말기의 단자가 위치된 영역으로부 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즉, 사용 중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휴대 단말기의 작동이 오프(off)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단자의 접속 위치가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중앙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충분한 높이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데에 제약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고자 하는 한편, 본 발명이 의도하는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단자와 배터리 팩의 단자 간의 접속 상태가 더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배터리 팩의 일 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 팩이 유동되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의 단자가 배터리 팩의 단자와 접속 상태가 오프(off)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단자 위치에 대한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킴이 없이 접속의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하여 유동 방지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은 수용부가 구비되는 제 1 케이스와; 제 1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 케이스와; 수용부에 삽입되며, 배터리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배터리 셀과; 배터리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며, 단자가 어느 일 케이스의 단부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상태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자부는 단자부 바디와; 적어도 일 이상의 둘레 영역에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단자부 바디의 어느 일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는 단자부의 단자가 노출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단자부는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홈의 전, 후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 1 케이스이 수용홈과 수용부에 각각 걸림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자부는 제 2 케이스에 용착되어 결합되도록 저면 위치에 용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는 단자부의 단자가 노출되는 일 측면과 접하는 다른 일 측면 방향으로 더 노출될 수 있도록 단부에 수용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 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를 기초로 하여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1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셀(130)이 수용되는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10)의 단자(12)와 접속하게 되는 단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부(150)를 구성하는 단자(152)가 노출되어 휴대 단말기(10)의 단자(12)와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케이스(110) 또는 제 2 케이스(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 측면 방향으로 상기 단자부(150)의 단자(152)가 상기 측면 방향의 일 단부 테두리 영역까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휴대 단말기(10)의 단자(12)와 배터리 팩(100)의 단자(152)가 접속될 수 있는 영역이 충분한 영역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어느 일 케이스(110,120)의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자(152)의 연장 방향은 이하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되는 단자(12)의 배치방향에 따라 달리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100)이 분해된 상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에서 제 1 케이스(110)는 일 방향의 면이 개구된 상태로 이하 설명되는 배터리 셀(130)이 장착되는 수용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어느 일 측면에는 이하 설명되는 단자부(150)의 단자(152)가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단자부(150)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용홈(1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수용부(111)에 수용되는 배터리 셀(130)은 일반적인 배터리 셀과 같이 배터리 회로기판(14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회로기판(140)에는 상기 배터리 셀(130)의 충전 및 방전을 위한 단자부(150)가 결합된다. 상기 단자부(150)는 휴대 단말기(10)의 단자(12)와 접속하게 되는 다수개의 단자(152)와 상기 다수개의 단자(152)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자부 바디(151)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152)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수용홈(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부 바디(151)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단자(152)가 구비되는 상기 단자부 바디(151)는 상기 단자(152)의 둘레 위치에 걸림턱(153)이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걸림 턱(153)은 맞은 편 면의 단자부 바디(151)의 면과 함께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수용홈(112)에 상기 단자부(150)가 결합될 때, 수용홈(112)의 전, 후 방향으로 상기 단자부(150)가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용홈(112)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케이스(110)에는 상기 단자부(150)의 바디(151)가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걸림턱은 제 1 케이스(110)에 구비되는 수용홈(112)의 단부가 하나의 걸림턱(113)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12)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용홈(112)의 걸림턱(112)과 대응하는 위치(수용부(111)의 내부 위치)에 또 다른 걸림턱(113)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단자부 바디(151)는 상기 수용홈(112)에 구비되는 걸림턱(114)과 수용부(111)에 구비되는 걸림턱(113) 사이에 끼워져 휴대 단말기(10)의 단자(12)와 접속되는 경우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개구된 면에는 제 2 케이스(120)가 결합된다. 상기 제 2 케이스(120)는 상기 단자부(150)가 접하게 되는 단부 영역에는 단자(152)의 일면(도시상에서는 돌출된 부분의 하부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수용홈(12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단자부(150)에 구비되는 단자(152)의 일면(도시상에서는 전면) 전체가 노출될 때, 상기 단자(152)의 일 단부(도시상에서는 하단부)가 상기 제 2 케이스(120)의 테두리 영역 위치까지 연장된 상태로 노출되어 단자(152)의 노출되는 영역을 더 넓은 영역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단자부(150)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수용홈(121) 주위에 형성되는 용착부(122)와 접하여 용착되는 용착부(15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단자부 바디(151)의 상부는 제 1 케이스(110)의 수용홈(112)과 수용부(111)에 구비되는 각 걸림턱(113,114)에 의해 고정되고, 단자부 바디(151)의 하부는 제 2 케이스(120)의 수용홈(121) 주위에 용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자부(150)의 단자(152)는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의 단부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돌출되는 단자(152)가 단자부 바디(151)의 일면 위치에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케이스(110)의 수용홈(112)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고 인접한 면이 완전히 개방되는 수용홈으로 형성되어 제 2 케이스(120)와 같이 수용홈 주위에 용착부를 구비하여 단자부 바디가 용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자(152)가 어느 일 케이스(110,120)의 테두리 위치까지 확장되어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팩(100)은 도 5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 수용부(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되는 단자(12)의 접속위치에 따라 배터리 팩(100)의 단자(152)의 연장된 영역이 이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되는 단자(12)의 접속위치가 하부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팩(100)에 구 비되는 단자(152)의 연장된 영역이 하부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되는 단자(12)가 배터리 팩(100)의 장착시 탄성 변형에 의해 접속 위치가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배터리 팩(100)에 구비되는 단자(152)의 연장된 영역이 하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접속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또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의 일 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 팩이 유동되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의 단자가 배터리 팩의 단자와 접속 상태가 오프(off)되지 않으며, 휴대 단말기의 단자와 배터리 팩의 단자 간의 접속 상태가 더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구비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단자 위치에 대한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단자의 영역이 더 넓은 영역으로 구비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킴이 없이 접속의 안정을 유 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수용부가 구비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며, 배터리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며, 단자가 상기 어느 일 케이스의 단부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상태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단자부 바디와;
    적어도 일 이상의 둘레 영역에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자부 바디의 어느 일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는 단자부의 단자가 노출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단자부가 상기 수용홈의 전, 후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용홈과 수용부에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제 2 케이스에 용착되어 결합되도록 저면 위치에 용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단자부의 단자가 노출되는 일 측면과 접하는 다른 일 측면 방향으로 더 노출될 수 있도록 단부에 수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KR1020070003996A 2007-01-12 2007-01-12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KR101303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996A KR101303154B1 (ko) 2007-01-12 2007-01-12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996A KR101303154B1 (ko) 2007-01-12 2007-01-12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494A true KR20080066494A (ko) 2008-07-16
KR101303154B1 KR101303154B1 (ko) 2013-09-09

Family

ID=3982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996A KR101303154B1 (ko) 2007-01-12 2007-01-12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15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824A (ja) 2000-03-24 2001-09-28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JP3674769B2 (ja) 2000-10-18 2005-07-20 ソニー株式会社 電気的な接続装置、電気的な接続装置を有する電池、および電池を有する電子機器
JP4593897B2 (ja) 2003-10-03 2010-1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2006107922A (ja) 2004-10-05 2006-04-20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154B1 (ko) 201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41968B (zh) 具有多个显示器的移动终端
US9160826B2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851907B2 (en) Contact node of portable terminal
US20060244418A1 (en) Battery modul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089754A (ko)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5086087B2 (ja) 携帯端末装置
US6424842B1 (en)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JP4772907B2 (ja) 電子機器及び電池パック
JP4350699B2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及び電子機器用充電器
CN101471502A (zh) 电子设备
JP2008112654A (ja) 二次電池装置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
US7949379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JP2000270065A (ja) 携帯型無線通信機
CN218513631U (zh) 电池及电子设备
KR101303154B1 (ko) 접속구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CN201749937U (zh) 多功能天线装置及具有该天线装置的便携式终端
CN115038288B (zh) 电子设备
KR20140001056U (ko) 보조전원 공급장치
JP2010061908A (ja) パック電池
CN201436798U (zh) 一种节省空间的双sim卡pcba及手机
US20130017861A1 (en) Antenna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JP2003032903A (ja) 多目的充電装置
JP4510860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2152354A (ja) Simカードを利用する携帯端末
JP2008300334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