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076A - 소형 기록 매체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소형 기록 매체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076A
KR20080066076A KR1020087013487A KR20087013487A KR20080066076A KR 20080066076 A KR20080066076 A KR 20080066076A KR 1020087013487 A KR1020087013487 A KR 1020087013487A KR 20087013487 A KR20087013487 A KR 20087013487A KR 20080066076 A KR20080066076 A KR 20080066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small recording
connector
memory card
naus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히사 다나카
유타카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01R13/035Plated dielectric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와 같은 소형 기록 매체를 유아가 사고로 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형 기록 매체에 해롭지 않은 메스꺼운 물질을 부착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케이싱, 상기 소형 기록 매체의 단자와 전기 접속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된 접점,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소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소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부분이, 해롭지 않은 메스꺼운 물질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스꺼운 물질로서 안식향산데나토니움이 사용된다.
메모리 카드, 소형 기록 매체, 메스꺼운 물질, 커넥터, 케이싱, 단자, 접점, 지지 부재, 슬라이더, 저장부, 오목부, 유로, 홈.

Description

소형 기록 매체용 커넥터{CONNECTOR FOR SMALL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예를 들면, SD 카드)와 같은 소형 기록 매체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예를 들면, SD 카드, CF 카드)와 같은 소형 기록 매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JP-A 2004-207168은 전기 기기에 소형 기록 매체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와 전자 기기에 삽입될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의 소형화로 인하여, 전자 기기가 기록 매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제한이 제거되고, 여러 가지 상황에서 사용자에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소형 기록 매체가 보급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사고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즉, 일상생활에 있어서 유아의 손이 쉽게 닿는 장소에 소형 기록 매체가 방치되어, 유아가 잘못하여 소형 기록 매체를 입에 넣는 사고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소형 기록 매체의 표면에 쓴맛 성분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즉, 유아가 소형 기록 매체를 잘못하여 입에 넣어도, 그 쓴맛 성분에 의해 즉시 소형 기록 매체를 입으로부터 토해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진다. 즉, 사용자가 소형 기록 매체를 사용할 때마다, 사용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쓴맛 성분이 없어져(예를 들면, 소형 기록 매체에서 쓴맛 성분이 닦여짐), 유아가 잘못하여 소형 기록 매체를 삼키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해롭지 않은 메스꺼운 물질을 용이하게 닦이지 않도록 은닉된 내부에 유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가 소형 기록 매체를 수용할 때마다, 메스꺼운 물질이 원래부터 부착되어 있지 않은 소형 기록 매체나, 메스꺼운 물질이 닦아내져 효력이 저하된 소형 기록 매체로, 메스꺼운 물질이 전달될 수 있어, 유아가 소형 기록 매체를 삼키는 사고를 방지하는 장기적 효과를 보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소형 기록 매체를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삽입 슬롯, 케이싱, 소형 기록 매체의 단자와 전기 접속되도록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접점, 및 케이싱 내에 소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케이싱 내에 삽입된 소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지지 부재의 부분은, 해롭지 않은 메스꺼운 물질을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형 기록 매체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면, SD 카드, CF 카드)와 같은 카드형 기록 매체, 기록 매체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어댑터, 및 그 외의 기록 매체를 가지는 소형 기록 유닛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스꺼운 물질은, 사람(특히, 유아)이 잘못하여 소형 기록 매체를 입에 넣었을 때, 소형 기록 매체를 토해내게 하는 물질이다. 메스꺼운 물질은, 쓴맛, 짠맛, 매운맛, 신맛 또는 떫은맛 등의 사람의 미각을 자극하는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스꺼운 물질은, 해롭지 않은 강한 쓴맛 성분으로서 알려진 안식향산데나토니움(denatonium benzoate), 차에 함유된 에피카테킨(epicatechin), 맥주에 함유된 쓴맛 성분인 후물론(humulone)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지지 부재는, 메스꺼운 물질을 함유하는 전기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메스꺼운 물질을 도포하는 추가적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커넥터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유지 부재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긁혔을 때에도, 메스꺼운 물질이 지지 부재의 내부로부터 공급되므로, 메스꺼운 물질이 소형 기록 매체에 신뢰성 있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지지 부재는, 소형 기록 매체가 삽입 슬롯을 통하여 케이싱 내에 삽입될 때 소형 기록 매체와 연동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는, 소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표면에 메스꺼운 물질을 구비한다. 또한, 메스꺼운 물질이 윤활제와 함께 소형 기록 매체에 도포될 수 있도록, 메스꺼운 물질을 함유하는 윤활제를 슬라이더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메스꺼운 물질을 추가적으로 도포할 필요가 없어, 커넥터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소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지지 부재의 부분에, 메스꺼운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메스꺼운 물질을 장기간 공급하지 않아도, 메스꺼운 물질은 신뢰성 있게 소형 기록 매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소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지지 부재의 부분에, 메스꺼운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개의 오목부, 및 인접하는 오목부를 연결하는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소형 기록 매체와 메스꺼운 물질의 접촉 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메스꺼운 물질이 소형 기록 매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지지 부재는, 메스꺼운 물질의 저장부, 소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지지 부재의 부분에 형성되는 오목부, 및 저장부로부터 오목부로 메스꺼운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메스꺼운 물질이 고갈되어도, 저장부로부터 유로를 통하여 오목부로 메스꺼운 물질이 보충되므로, 메스꺼운 물질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소형 기록 매체용 커넥터를 내장한 전기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장점, 및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메모리 카드를 접속한 상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슬라이더의 변경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커넥터에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기구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를 내장한 전기 기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 기록 매체용 커넥터로서, SD 카드나 CF 카드와 같은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일면에 형성된 삽입 슬롯(3)을 구비한다. 삽입 슬롯(3)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슬롯(3)을 통하여 메모리 카드(100)를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커넥터(1)는 중공 케이싱(2), 복수개의 접점(4), 및 지지 부재(5, 6)를 포함한다. 케이싱(2)은 각각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쉘(10)과 커버 쉘(20)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점점(4)은, 커넥터(1)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100)의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케이싱(2) 내에 배치된다. 지지 부재는메모리 카드(100)를 케이싱(2) 내에 지지한다.
베이스 쉘(10)은 저벽(11)과 측벽(12)을 구비한다. 저벽(11)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측벽(12)은, 저벽(11)의 2개의 대향하는 측부로부터 저벽(1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한다. 베이스 쉘(10)은 전체적으로 평평하며 실질적으로 U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커버 쉘(20)은, 베이스 쉘(10)의 저벽(11)과 유사한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편(21)은, 메모리 카드(100)를 베이스 쉘(10)의 저벽(11)을 향해 가압하기 위해 사용된다. 커버 쉘(20)은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베이스 쉘(10)의 측벽(12)의 선단부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접점 블록(5)과 슬라이더(6)를 포함한다. 접점 블록(5)은 복수개의 접점(4)을 지지하며, 메모리 카드의 삽입 또는 제거 방향으로 메모리 카드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케이싱(2) 내에 지지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스꺼운 물질은, 접점 블록(5)이 메모리 카드(100)에 접촉하는 부분, 및 슬라이더(6)가 메모리 카드(100)에 접촉하는 부분에서 지지 부재에 부착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100)가 커넥터(1)에 삽입될 때마다, 메모리 카드에 메스꺼운 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지지 부재 대신에, 슬라이더와 접점 블록이 일체로 성형된 실질적으로 C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 블록(5)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실질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점 블록(5)은 카드 지지부(50)와 접점 지지부(52)를 포함한다. 카드 지지부(50)는, 커넥터(1) 내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100)의 일측을 지지하며, 접점 지지부(52)는, 각각의 접점(4)이 케이싱(2) 내부로 돌출하도록 복수개의 접점(4)을 지지한다. 각각의 접점(4)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고, 기다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각각의 접점(4)은 만곡 선단부(41)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점(4)에서, 접점(4)의 기단부는 접점 지지부(52)에 의해 지지되고, 만곡 선단부(41)는 케이싱(2) 내부로 돌출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100)가 커넥터(1) 내의 소정 위치에 위치될 때, 각 접점(4)의 선단부(41)는 메모리 카드(100)의 대응하는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점 블록(5)은, 베이스 쉘(10)에 형성되는 훅(hook)(13)에 의해 베이스 쉘(10)에 고정된다.
슬라이더(6)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연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코일 스프링(70)은 슬라이더(6)의 일단부와 접점 지지부(52)의 선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더(6)를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한다. 다시 말해서, 메모리 카드(100)가 삽입 슬롯(3)을 통하여 케이싱(2) 내부로 밀어 넣어질 때, 슬라이더(6)는 코일 스프링(70)의 스프링 편향에 대항하여 메모리 카드의 삽입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봉형 돌출부(53)는, 코일 스프링(70)을 관통하도록 접점 지지부(5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부(53)는, 슬라이더(6)의 이동에 의해 코일 스프링(70)이 좌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슬라이더(6)는, 슬라이더(6)의 하면에 형성되는 리세스(61)가 베이스 쉘(10)의 저벽(11)의 상면에 돌출하는 안내 레일(14)에 장착된다. 따라서, 슬라이더(6)는 베이스 쉘(10)의 측벽(12)을 따른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안내홈(62)은 슬라이더(6)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안내 핀(80)의 일단은 안내홈(62) 내로 삽입되고, 타단은, 접점 지지부(52)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구멍(5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케이싱(2) 내에서의 슬라이더(6)의 이동 범위가 규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토퍼(5)는 삽입 슬롯(3) 부근에서 베이스 쉘(10)의 저벽(11)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슬 라이더(6)가 삽입 슬롯(3)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프링편(22)은 커버 쉘(20)에 구비되어, 안내 핀(80)이 안내홈(62)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 있어서, 슬라이더(6)는 단차부(63)와 돌출부(60)를 포함한다. 단차부(63)는, 커넥터(1) 내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100)의 측면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돌출부(60)는, 커넥터(1) 내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100)의 리세스(102)(도 5의 (a) 참조)에 걸리는 돌출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1) 내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100)는, 돌출부(60)에 걸린 상태로, 슬라이더(6)의 단차부(63)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100)는 슬라이더(6)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커넥터(1)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도 3에 해칭된 영역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스꺼운 물질은, 슬라이더(6)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100)와 접촉되는 부분, 즉, 단차부(63), 돌출부(60) 및 그 주변에 도포된다. 또한, 메스꺼운 물질은, 메모리 카드(100)와 접촉하는 메모리 카드 지지부(50)의 내측 표면에도 도포된다. 따라서, 커넥터(1)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100)에 확실하게 메스꺼운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메스꺼운 물질은, 지지 부재의 소정 부분에 도포되거나, 메스꺼운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에 침지되고 용기에 저장됨으로써, 메모리 카드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한 기술을 사용할 때, 지지 부재는 미세한 표면 불규칙성을 갖도록 사전 처리될 수 있다. 미세한 표면 불규칙성을 인하여, 지지 부재는 상술한 도포 또는 침지에 의해 많은 양의 메스꺼운 물질을 유지할 수 있다. 표면을 불규칙하게 하는 목적을 위해, 숏 블라스트와 같이 기계적으로 표면을 불규칙하게 하는 것 또는, 에칭에 의해 화학적으로 표면을 불규칙하게 하는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는, 슬라이더(6)를 커넥터(1)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윤활제에 메스꺼운 물질을 혼입해도 된다. 사고로 삼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더(6)는 일반적으로 윤활제로 도포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메스꺼운 물질을 함유하는 윤활제를 사용하면, 윤활제 및 메스꺼운 물질을 동시에 도포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더(6) 또는 접점 블록(5)을 성형하기 전에, 절연성 수지 재료에 메스꺼운 물질을 미리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메스꺼운 물질의 도포 또는 침지 공정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어,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커넥터(1)의 반복적 사용으로 인하여 슬라이더(6) 및 접점 블록(5)의 메모리 카드(100)와 접촉하는 부분이 닳을 때에도, 메스꺼운 물질이 슬라이더(6) 및 접점 블록(5)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사고로 삼키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6)의 메모리 카드(100)와 접촉하는 부분에, 메스꺼운 물질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오목부(6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오목부(64)에 메스꺼운 물질이 유지되므로, 메스꺼운 물질을 장기간 지지할 수 있고, 사고로 삼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메모리 카 드(100)와 접촉하지 않는 슬라이더(6)의 부분에, 메스꺼운 물질을 체류하게 하기 위한 저장부(65)가 형성되고, 메모리 카드(100)와 접촉하는 슬라이더(6)의 부분에 형성된 오목부(64)에 유로(66)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오목부(64)에 유지된 메스꺼운 물질이 감소해도, 저장부(65)에 저장되는 메스꺼운 물질은 유로(66)를 통하여 오목부(66)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오목부(64)끼리를 홈(67)에 의해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메모리 카드(100)와 메스꺼운 물질 사이의 접촉 면적은 더 넓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메스꺼운 물질은 메모리 카드(100)에 더 효과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메스꺼운 물질이 액상인 경우에는, 메스꺼운 물질의 표면 장력을 고려하여, 메스꺼운 물질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오목부(64) 및 유로(66)의 치수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스꺼운 물질이 적절한 점도를 가지도록 준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메스꺼운 물질은, 사람(특히, 유아)이 메모리 카드(100)를 입에 넣었을 때, 미각에게 주는 자극(예를 들면, 쓴맛)에 의해 생리적으로 메모리 카드(100)를 토해내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메스꺼운 물질은 인체에 대하여 안정성이 높은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생약에 포함되는 쓴맛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쓴맛 성분을 가지는 물질로서 안식향산데나토니움이 사용된다. 6ppm~100ppm 범위의 안식향산데나토니움을 사용하면 충분한 메스꺼움 반응을 얻을 수 있다. 메모리 카드에 도포되는 메스꺼운 물질을 고려할 때, 농도를 0.01~1.0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메스꺼운 물질은, 상기한 쓴맛 성분을 가지는 물질로 한정되지 않고, 사람의 미각을 자극하는 것, 예를 들면, 쓴맛 성분을 가진 물질, 매운맛을 가진 물질 또는 떫은맛을 가진 물질일 수 있고, 유아가 잘못하여 메모리 카드(100)를 입에 넣어도 바로 토해내게 하는 물질이면 사용 가능하다. 메모리 카드(100)를 토하게 하기 위해, 미각을 자극하는 물질 대신에 후각을 자극하는 물질을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물질은 메모리 카드(100)를 입에 넣으려하는 유아의 후각을 자극하여, 메모리 카드(100)를 입에 넣기를 멈춘다. 따라서, 물질은 유아가 메모리 카드(100)를 사고로 삼키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메모리 카드(10O)가 커넥터(1) 내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체크 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체크 기구는, 가동 암(30), 비틀림 스프링(32), 및 한쌍의 고정 접점(42, 44)을 포함한다. 가동 암(30)의 일단은, 접점 블록(5)의 접점 지지부(52)에 설치된 기둥형 돌출부(5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비틀림 스프링(32)은 기둥형 돌출부에 장착된다. 한쌍의 고정 접점(42, 44)은 접점 지지부(52)에 의해 지지된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암(30)은, 비틀림 스프링(32)에 의해, 접점 지지부(5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스프링 편향된다. 여기에서, 고정 접점(42, 44) 사이에 비틀림 스프링(32)에 의해 전기접속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 내에 메모리 카드(100)가 삽입될 때, 메모리 카드의 선단은, 가동 암(30)이 접점 지지부(5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비틀림 스프링(32)의 스프링 편향에 대항하여 가동 암(30)을 회전시킨다. 이 경우에, 고정 접점(44)과 접촉되는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이 가동 암(30)에 의해 고정 접점(44)으로부터 이격되 도록 밀려질 때, 고정 접점(42)은 고정 접점(44)으로부터 전기적 비접속 상태로 된다. 커넥터(1)는 이러한 전기적 비접속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메모리 카드(100)가 커넥터(1) 내의 소정 위치에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메모리 카드(100)용 잠금/해제 수단을 포함한다. 메모리 카드(100)용 잠금/해제 수단은 커넥터(1) 내의 메모리 카드(100)의 장착/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6)의 안내홈(62)의 저면에 적절한 단차가 형성된다. 메모리 카드(100)가 커넥터(1) 내로 삽입될 때, 안내홈(62) 내에 삽입된 안내 핀(80)의 일단이 역행하지 않고 규정된 방향으로 안내홈(62) 내에서 이동된다. 또한, 안내홈(62)의 단부에 소위 하트 캠(heart cam) 기구가 구비된다. 메모리 카드(100)가 커넥터(1) 내의 소정 위치로 삽입될 때, 하트 캠 기구는 메모리 카드(100)를 잠근다. 메모리 카드(100)가 삽입 방향으로 더 밀어 넣어질 때, 하트 캠 기구는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잠금 상태가 해제될 때, 메모리 카드(100)는, 코일 스프링(70)의 스프링 편향에 의해, 슬라이더(6)와 함께 삽입 슬롯(3)을 향해 이동된다. 그러면, 메모리 카드(100)의 후단부가 삽입 슬롯(3)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소위 푸시-온/푸시-오프 기능이 실현된다.
이하에서, 상술한 구조를 가진 커넥터(1)에 메모리 카드(100) 가 삽입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100)를 삽입 슬롯(3)을 통하여 커넥터(1) 내로 삽입할 때, 메모리 카드(100)의 측면이 슬라이더(6)의 단차부(63)와 접촉된다. 또한, 슬라이더(6)의 돌출부(60)는 메모리 카 드(100)의 리세스(102)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100)를 커넥터(1) 내로 더 삽입하면, 슬라이더(6)는 메모리 카드(100)와 함께 코일 스프링(70)의 스프링 편향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더(6) 및 접점 블록(5)의 카드 지지부(50) 각각에 도포된 메스꺼운 물질이 메모리 카드(100)에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100)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가동 암(30)이 회전되어, 고정 접점(42, 44) 사이가 비도통 상태로 된다. 따라서, 커넥터(1)에 대한 메모리 카드(100)의 전기 접속이 검출된다. 그러면, 잠금/해제 수단은 잠금 상태를 만들어, 메모리 카드(100)가 삽입 슬롯(3)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메모리 카드(10O)를 커넥터(1)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10O)를 커넥터(1)의 내로 더 밀어넣어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70)의 스프링 편향에 의해 메모리 카드(100)가 슬라이더(6)와 함께 삽입 슬롯(3)을 향해 이동되어, 사용자는, 커넥터(1)의 삽입 슬롯(3)으로부터 돌출된 메모리 카드(100)의 후단부를 잡아 용이하게 메모리 카드를 커넥터로부터 인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100)가 슬라이더(6) 및 접점 블록(5)의 카드 지지부(50)와 접촉하기 때문에, 커넥터(1)로부터 꺼내진 메모리 카드에 메스꺼운 물질이 부착된다. 그 결과, 유아가 잘못하여 메모리 카드(100)를 입에 넣어도, 바로 토해내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를 내장하는 전기 기기(9)의 일례를 나타낸다. 커넥터를 내장하는 전기 기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디지 털 카메라, 휴대 전화기나 휴대형 음향 기기와 같은 소형 기록 매체의 액세스를 필요로 하는 전기 기기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다음의 장점을 가진다. 즉, 메모리 카드와 같은 소형 기록 매체가 커넥터에 접속될 때마다, 해롭지 않은 메스꺼운 물질이 소형 기록 매체에 부착된다. 따라서, 만일 유아가 잘못하여 메스꺼운 물질이 부착된 메모리 카드를 입에 넣어도, 바로 토해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위에 유아가 있는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소형 기록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향후, 소형 기록 매체를 사용할 수 있는 전기 기기가 더욱 널리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유아가 소형 기록 매체를 잘못 삼키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9)

  1. 소형 기록 매체를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삽입 슬롯을 구비하는, 소형 기록 매체용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싱,
    상기 소형 기록 매체의 단자와 전기 접속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된 접점, 및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소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내에 삽입된 소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부분이, 해롭지 않은 메스꺼운 물질을 구비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기록 매체는 메모리 카드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메스꺼운 물질을 함유하는 전기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삽입 슬롯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 내에 삽입된 상기 소형 기록 매체와 연동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소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표면에 상기 메스꺼운 물질을 구비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메스꺼운 물질을 함유하는 윤활제를 구비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소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메스꺼운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는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에,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를 연결하는 홈이 형성된,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메스꺼운 물질의 저장부, 상기 소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오목부로 상기 메스꺼운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구비하는, 커넥터.
  9.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커넥터가 내장된 전기 기기.
KR1020087013487A 2005-11-15 2006-10-10 소형 기록 매체용 커넥터 KR200800660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30573 2005-11-15
JP2005330573 2005-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076A true KR20080066076A (ko) 2008-07-15

Family

ID=3804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487A KR20080066076A (ko) 2005-11-15 2006-10-10 소형 기록 매체용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53286A1 (ko)
EP (1) EP1950838A1 (ko)
JP (1) JPWO2007058031A1 (ko)
KR (1) KR20080066076A (ko)
CN (1) CN101313440A (ko)
TW (1) TWI312598B (ko)
WO (1) WO20070580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406B1 (ko) * 2013-07-23 2014-08-1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카드용 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4551B2 (ja) 2008-05-30 2010-10-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ソケット
JP4835748B2 (ja) * 2009-11-13 2011-12-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4880764B2 (ja) 2010-02-04 2012-02-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BR112012029627B1 (pt) * 2010-05-21 2020-11-1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adaptador e método para acoplamento em conjunto
JP4678890B2 (ja) * 2010-06-25 2011-04-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ソケット
JP5870812B2 (ja) * 2012-03-29 2016-03-01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US9376521B2 (en) 2013-06-13 2016-06-28 Globalfoundries Inc. Polymer composition with saliva labile aversive agent
CN106134013B (zh) * 2014-03-27 2019-05-07 莫列斯有限公司 插座组件、插头组件和连接器系统
JP7144178B2 (ja) 2018-04-17 2022-09-29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580A (ja) * 1996-01-12 1997-07-29 Mitsubishi Pencil Co Ltd 誤飲防止用の液体塗布具及びその塗布方法
TW385084U (en) * 1997-06-25 2000-03-11 Hon Hai Prec Ind Co Ltd IC card connectors
JP3504897B2 (ja) * 1999-11-11 2004-03-0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構造
JP4318360B2 (ja) * 1999-12-27 2009-08-19 ユニオンマシナリ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2001351735A (ja) * 2000-06-08 2001-12-21 Hirose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JP3713428B2 (ja) * 2000-09-27 2005-1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3919084B2 (ja) * 2001-11-21 2007-05-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18256B2 (ja) * 2002-12-26 2006-09-06 松下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332133B2 (ja) * 2005-05-12 2009-09-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406B1 (ko) * 2013-07-23 2014-08-1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카드용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13440A (zh) 2008-11-26
EP1950838A1 (en) 2008-07-30
US20090253286A1 (en) 2009-10-08
WO2007058031A1 (ja) 2007-05-24
TWI312598B (en) 2009-07-21
JPWO2007058031A1 (ja) 2009-04-30
TW200719546A (en)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6076A (ko) 소형 기록 매체용 커넥터
TW579617B (en) Connector device for cards
TW495718B (en) Card connector
JP3941886B2 (ja) 加入者照合モジュール(sim)カードホルダ
EP1180814A2 (en) A plug-in card with retractable antenna for electronic portable devices
EP1768216A1 (en) Conductive pin
EP1860784B1 (en) SIM card attachment/detachment guiding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JP5880853B2 (ja) 電子機器のトレイ式引出し部構造
US20060063407A1 (en) Connector with shutter and elastic means supporting the shutter
US8851911B2 (en) Card connector
US6356456B2 (en) Low pin count card retainer
JP4247702B2 (ja) カード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機
JP2016134359A (ja) カードトレイおよびカードコネクタ
TW200913397A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JP2001265465A (ja) 中継装置
JP3798335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TWM465684U (zh) Sim卡連接器
CN220797204U (zh) 具有锁卡功能自弹式sim卡座
CN217444747U (zh) Sim卡座连接器
KR1005873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CN216289277U (zh) 一种用于卡槽式连接器的拔卡结构
CN215529001U (zh) 一种sim卡卡托及手机
KR1006526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CN209879213U (zh) 一种可拆式云台相机
TWM273843U (en) Memory c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