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205A - 컵 형상 용기용 덮개 - Google Patents

컵 형상 용기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205A
KR20080064205A KR1020087014706A KR20087014706A KR20080064205A KR 20080064205 A KR20080064205 A KR 20080064205A KR 1020087014706 A KR1020087014706 A KR 1020087014706A KR 20087014706 A KR20087014706 A KR 20087014706A KR 20080064205 A KR20080064205 A KR 2008006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id
cover
container
clamp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5506B1 (ko
Inventor
지안프란코 다마토
Original Assignee
세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세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8006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27Stack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49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09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37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481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B65D2543/00555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38Rolled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75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685Tot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31Groove or hollow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87Periphery concerned
    • B65D2543/00796Tot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형상 용기(1)의 구슬형 가장자리(4) 위에 체결되는 내측 홈 벽(9)과 외측 홈 벽(8) 사이에 형성된 둘레 클램핑 홈(7) 및 중앙 덮개부(6)를 갖는 덮개(5)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상기 외측 홈 벽(8)의 둘레 구역에는 조임부(10)가 설치되고, 상기 조임부(10)는 상기 홈(7) 내에 돌출부(14)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4)는 돌출 선단부(15), 상부 벽(16) 및 하부 벽(17)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선단부(15)는 수평면(H)을 규정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상부 벽(16)의 단부와의 접평면(T16)과 상기 수평면(H) 사이의 각도(γ)가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하부 벽(17)의 단부와의 접평면(T17)과 수평면(H) 사이의 각도(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컵 형상 용기, 구슬형 가장자리, 클램핑, 체결, 덮개

Description

컵 형상 용기용 덮개{LID FOR A CUP-SHAPED RECEPTACL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서문에 의한 덮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덮개는 예를 들면 EP 1 367 001 A1에 의해 공지되어져 있다. 상기 덮개는 용기를 폐쇄하고 상기 용기에 포함된 유동체가 가장자리를 넘쳐 흐를 위험없이 용기를 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컵 형상 용기 위에 고정되거나 체결되도록 설계된다. 그러한 덮개는 때때로 다수의 모순되는 요구에 따라야 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1회용 제품인 경우 제조 비용이 가능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운송 및 보관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덮개는 짓눌림없이 적재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덮개의 취급은 가능한 용이하게 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덮개는 적재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야 하고, 대응하는 용기 위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덮개에 대한 현저한 요구는 유동체 밀폐성이다. 상기 용기를 운송 중일 때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가 굴러 떨어져서 지면에 대한 충격에 약간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는 상기 용기 위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유동체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상기 용기가 경사질 경우, 상기 덮개는 적어도 15초 동안, 바람직하게는 더 길게 유동체의 누설을 방지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열거한 요구 중 하나 또는 몇몇에 대하여 종래의 덮개를 개선한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덮개에 의해 해결된다. 유익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서 열거된다.
본 발명의 덮개에서, 돌출 선단부는 수평면을 규정한다. 이 수평면의 규정은 돌출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 선단부가 원형 라인을 따라 또는 임의의 구역에서 상기 덮개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면, 상기 수평면은 상기 원형 라인 상의 3개의 상이한 지점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돌출부가 클램핑 홈(clamping groove)의 다른 구역에 설치되면, 상기 수평면은 다시 다른 구역의 상기 돌출 선단부의 공통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돌출 선단부에 인접한 상기 돌출부의 상부 벽의 단부와의 접평면(tangential plane)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각도는 상기 돌출 선단부에 인접한 상기 돌출부의 하부 벽의 단부와의 접평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각도보다 작다. 이 특징은 다음의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용기의 구슬형 가장자리가 상기 클램핑 홈에 삽입되는 경우, 그것은 결국 상기 돌출부의 상기 하부 벽에 접촉된다. 상기 하부 벽은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가 상기 클램핑 홈 내에 더 삽입되면 일종의 램프(ramp)로서 기능하여, 상기 용기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가 상기 클램핑 홈의 가요성 외벽(flexible outer wall)을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가 상기 돌출부를 통과한 경우에는, 상기 클램핑 홈의 외벽이 되팅겨져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클램핑 홈 내에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가 부분적으로 폐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에 힘을 작용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덮개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상부 벽에 접촉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 벽은 상기 하부 벽보다 더 작은 각도로 상기 수평면을 둘러싼다. 따라서, 상기 램프로서 작용하는 상기 돌출부의 기능은 후방 방향에서 감소된다.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대신에,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클램핑 홈 내에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돌출 선단부에 인접한 상기 하부 벽의 단부와의 접평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상기 돌출 선단부에 인접한 상기 상부 벽의 단부와의 접평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각도는 상기 용기 위로의 상기 덮개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상기 용기로부터의 상기 덮개의 분리를 더욱 강하게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덮개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덮개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기능들을 이루기 위하여, 즉, 마찬가지의 용이한 분리를 지속적으로 방지하면서 상기 용기 위로의 상기 덮개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 선단부에 인접한 상기 상부 벽의 단부와의 접평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각도는 상기 돌출 선단부에 인접한 상기 하부 벽의 단부와의 접평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각도보다 10° 내지 35° 작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 선단부에 인접한 상기 상부 벽의 단부와의 접평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각도는 0° 내지 2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돌출 선단부에 인접한 상기 하부 벽의 단부와의 접평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의 각도는 20° 내지 4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상기 상부 벽은 다양한 종류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부 벽은 상기 덮개의 수직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제로(zero)가 아닌 곡률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상기 상부 벽은 상기 클램핑 홈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인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클램핑 홈 내의 그 체결 위치에 상기 용기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를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덮개에 힘이 작용하여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덮개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는 상기 클램핑 홈 내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소정 거리 이후에,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상부 벽에 접촉된다. 상기 상부 벽의 곡률로 인해, 상기 상부 벽은 이제 상기 클램핑 홈의 상기 내벽을 향하여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의 움직임의 방향을 바꾼다. 따라서,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의 더 외측의 움직임을 감소시키거나 멈추게 하여, 그에 의해 상기 용기로부터의 상기 덮개의 분리를 더욱 어렵게 한다.
한편, 상기 하부 벽은 대략 평면이 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덮개의 수직 구역에서 일직선의 단면을 적어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형상에 의해, 상기 상기 클램핑 홈 내에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를 삽입하는 동안,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와 상기 돌출부의 상기 하부 벽 사이의 접촉은 상기 클램핑 홈의 상기 외벽을 바깥쪽으로 구부러지게 하여 그에 의해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에 대해 꺾이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를 통과하는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의 움직임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클램핑 홈의 상부로부터 상기 돌출 선단부까지의 깊이가 상기 컵 형상 용기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의 대응하는 높이보다 큰 경우 또 다른 개선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 홈 내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의 체결 위치에서, 상기 돌출 선단부와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 사이에 틈이 남는다.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가 상기 클램핑 홈 내로 삽입되어 상기 돌출 선단부를 지나쳐 이동하면, 이미 외측으로 구부러졌던 상기 클램핑 홈의 외벽은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쪽으로 급속하게 스냅(snap)된다. 상기 돌출 선단부와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 사이의 틈의 존재로 인해, 상기 외벽은 그 정지 위치로 최종적으로 후퇴하기 전에,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에 접촉될 때까지, 이 스냅 백(snap-back) 동작 중에 그 최종의 정지 위치보다 더 멀리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충격은 딸깍하는 소리를 발생시킨다. 상기 외측 홈 벽의 스냅 동작과 딸깍하는 소리는, 상기 덮개를 상기 용기에 부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촉각 및 시각적인 지표이다. 양 지표 모두는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 위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지표를 믿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용기 위에 상기 덮개가 꼭 맞는지를 체크할 필요가 없어서, 연속되는 다음의 덮개와 용기의 취급으로 넘어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덮개와 용기의 취급은 더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틈은, 예를 들면 지면에의 상기 용기의 충돌로 인해 덮개와 용기 중 어느 한쪽이 약간 변형되더라도, 상기 홈 내에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가 유지되는 것을 돕는다.
상기 돌출 선단부와 상기 내측 홈 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출 선단부 위쪽의, 즉, 상기 클램핑 홈의 내측 단부를 향하는 폭이 가장 넓은 부분의 상기 클램핑 홈의 2/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선단부 위쪽의 폭이 가장 넓은 부분에서의 상기 클램핑 홈의 폭은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의 폭과 대략 일치할 것이기 때문에, 상기 클램핑 홈의 이 사이즈는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 위에 꼭 맞추어지도록 유도된다.
한편, 상기 돌출 선단부와 상기 내측 홈 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출 선단부 위쪽의 폭이 가장 넓은 부분에서의 상기 클램핑 홈의 폭의 반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홈의 그러한 사이즈는 상기 용기 위에 상기 덮개가 부착될 때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가 상기 돌출 선단부를 용이하게 통과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홈의 상부와 중앙 덮개부 사이의 상기 내측 홈 벽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클램핑 홈의 상부로부터 상기 돌출 선단부까지의 깊이만큼 크다. 다시 말해서, 상기 내측 홈 벽은 적어도 상기 돌출 선단부까지,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 선단부 아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징은 상기 덮개와 상기 용기 사이의 빈틈없는 유동체 밀봉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내벽의 상당히 넓은 부분이 상기 용기의 벽에 항상 접촉되게 한다. 상기 덮개와 상기 용기 사이의 이 접촉은 원주 라인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유동체 밀폐성은 상기 접촉이 라인뿐만 아니라 평면 또는 만곡된 2차원 접촉 영역에서도 발생하는 경우에 상당히 향상된다.
상기 덮개는 특히 유동체 밀폐를 위하여, 상기 내측 홈 벽의 높이를 적어도 상기 외측 홈 벽의 높이만큼 높게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홈 벽의 높이가 상기 외측 홈 벽의 높이보다 더 높게 만들어질 경우, 상기 내측 홈 벽은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 위에 위치할 때 일종의 안내면으로서 기능함으로써 부가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내벽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내측 홈 벽은 상기 덮개가 그 체결 위치로 오도록 상기 덮개를 상기 용기 위에 안내하는 것을 돕는다.
조임부는 상기 덮개의 상기 외측 홈 벽 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홈 벽 위에 등간격으로 설치될 경우, 체결력(clamping force)은 상기 덮개의 원주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의 원주 전체에 상기 조임부를 설치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덮개의 원주 전부에 강한 체결력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는 플라스틱재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덮개의 재료는 적어도 제 1 플라스틱재와 제 2 플라스틱재의 혼합물이 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 1 플라스틱재는 상기 제 2 플라스틱재보다 높은 강성(stiffness)을 갖는다. 그러한 혼합물은 충분한 강성의 덮개를 얻도록 하는 한편, 동시에 상기 외측 홈 벽에 충분히 높은 가요성을 제공하여 외측으로 구부러지게 하고, 상기 클램핑 홈 내에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쪽으로 스냅되게 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 홈 벽의 약간의 변형은 상기 용기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 위에 충분한 체결압을 가하도록 한다.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플라스틱재가 동일한 타입의 것이면 유리하다. 예를 들면, 상기 재료는 모두 폴리스티렌재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라스틱재는 일반용 폴리스티렌(General Porpose Polystyrene; GPP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재료는 취급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상기 덮개에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게다가, 그것은 매우 투명하다.
한편, 상기 제 2 플라스틱재에 대해서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이 선택될 수 있다. 이 재료는 충격하에서 높은 내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덮개에 의해 폐쇄된 용기를 떨어뜨리더라도, HIPS는 상기 덮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라스틱재가 상기 혼합물에서 30% 내지 50%의 비율을 차지하는 한편, 상기 제 2 플라스틱재가 상기 혼합물에서 50% 내지 70%의 비율을 차지할 경우에 유리하다는 것이 실험에서 나타났다. 특히, 상기 제 1 플라스틱재는 대략 40%의 비율을 가질 수 있는 한편, 상기 제 2 플라스틱재는 대략 60%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혼합물은 강성과 내구성에 관하여 설득력 있는 결과를 제공한다. 상기 혼합물이 GPPS와 HIPS에 의해 이루어질 경우, 상기 혼합물의 정확한 함량은 그 강성뿐만 아니라 그 투명도를 결정한다. GPPS가 매우 투명하다고 해도, HIPS는 불투명하다. 상기 용기가 채워져 있는지의 여부 및 상기 채워져 있는 것이 어떤 컬러를 가졌는지를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정도의 투명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덮개를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시트(sheet) 또는 포일(foil)로부터의 딥 드로잉(deep drawing) 및/또는 열성형에 의해 상기 덮개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한 제조 방법은 다소 저가이다.
게다가, 초기 두께, 즉, 딥 드로잉 전에 0.24mm 내지 0.36mm의 초기 두께, 바람직하게는 0.27mm 내지 0.33mm의 초기 두께를 갖는 시트 또는 포일로부터 상기 덮개를 딥 드로잉하면 상기 덮개의 충분한 안정성과 강성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 실험에서 나타났다. 상기 덮개의 상이한 부분의 높이에 따라, 상기 덮개의 평균 두께는 0.17mm 내지 0.23mm가 될 수 있다. 상기 두께는 충분한 안정성을 갖게 하는 한편, 동시에 필요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에 의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상기 용기는 종종 원주형 벽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덮개의 상기 내측 홈 벽도 또한 원주형으로 되는 경우가 유리하다. 특히, 상기 덮개의 상기 내측 홈 벽의 반원추각(half cone angle)은 상기 덮개가 사용될 상기 용기의 답면 구배(conicity)에 좌우하여, 3.5° 내지 7°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 홈 벽의 답면 구배가 용기 벽의 답면 구배에 정확하게 대응할 필요는 없다. 각각의 반원추각에서의 +/- 2° 내지 3° 까지의 편차는 유동체 밀폐성에 대하여 허용가능하고, 상이한 답면 구배의 측벽을 갖는 서로 다른 용기에 상기 덮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또 다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위에 체결된 상기 덮개의 위치에서,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의 중앙 덮개부를 가로지르는 상기 내측 홈 벽들 사이의 간격은 수평면(H) 또는 상기 수평면(H) 위 또는 아래의 인접 영역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의 상기 용기 벽들 사이의 간격보다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작은 경우에 또 다른 이점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치수 차이는 상기 클램핑 홈 내에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를 가압하고 또한 상기 내측 홈 벽과 상기 용기 벽 사이에 소정 정도의 마찰을 제공하는 충분히 높은 체결력이 상기 내측 홈 벽으로부터 상기 용기 벽에 가해지도록 하여, 상기 용기로부터의 상기 덮개의 분리를 더욱 방지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와 대응하는 덮개의 결합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컵 형상 용기와 덮개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그 체결 위치에서의 도 1의 상기 용기와 상기 덮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덮개의 수직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단면의 상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덮개의 클램핑 홈 내로의 삽입 중의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용기의 가장자리 위에 체결된 상기 덮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상기 덮개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적층된 6개의 덮개의 수직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도면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참조될 것 이다.
도 1은 컵 형상 용기(1)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용기(1)는 용기 바닥(2)과 측벽(3)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바닥(2)에 대향하여, 상기 측벽(3)은 구슬형의 또는 둥글게 감긴 가장자리(4)로 마감된다. 상기 용기(1)의 상기 측벽(3)은 1층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용기(1)를 단일, 이중 또는 다중벽 용기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3)에는 상기 용기(1)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는 분리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1)로부터 분리된 덮개(5)가 나타나 있다. 상기 덮개(5)는 상기 용기(1)의 개구부를 덮는 중앙 덮개부(6)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덮개부(6)에 외접하는 상기 덮개의 둘레에서, 상기 덮개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1)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 위에 체결될 수 있는 클램핑 홈(7)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램핑 홈(7)의 연장부는 상기 가장자리(4)의 연장부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핑 홈(7)과 상기 가장자리(4) 양쪽 모두는 수평면에 원형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덮개(5) 둘레의 클램핑 홈(7)은 외측 홈 벽(8)과 내측 홈 벽(9)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외측 홈 벽(8)에는 등거리로 이격된 일련의 조임부(1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임부(10)는 상기 외측 홈 벽(8)의 외측에서는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홈(7)의 내부에서는 돌출부로 형성된다. 상기 조임부(10)에 의해 좁혀지는 상기 클램핑 홈(7)으로 인해, 상기 덮개(5)는 상기 용기(1)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 위로 스냅식으로 결합되거나 체결될 수 있고, 이는 또한 후술될 것이다.
상기 외측 홈 벽(8)을 상기 중앙 덮개부(6)와 연결하는 상기 내측 홈 벽(9)은 상기 외측 홈 벽(8)보다 큰 높이로 연장된다. 이 형상으로 인해, 상기 중앙 덮개부(6)는 상기 외측 홈 벽(8)의 하단부를 넘어 상기 덮개(5)의 바닥측에 돌출된다. 원주형인 상기 내측 홈 벽(9)으로 인해, 상기 중앙 덮개부(6)의 측면 치수는 상기 용기(1)의 개구부의 측면 치수보다 더 작다. 따라서, 상기 덮개(5)가 상기 용기(5) 위에 위치하면, 상기 중앙 덮개부(6)는 상기 용기(1)의 개구부에 더욱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내측 홈 벽(9)은 그 때에 상기 덮개(5)를 상기 용기(1) 위의 그 체결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 기능한다(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홈(7)의 직경(D)은 상기 용기(1)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상기 가장자리(4)의 직경(D)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상기 내측 홈 벽(9)의 답면 구배는 상기 용기(1)의 측벽(3)의 답면 구배와 대략 동일하다. 상기 내측 홈 벽(9)의 반원추각(α)과 상기 용기의 상기 측벽(3)의 반원추각(β) 양쪽 모두는 3.5° 와 7° 사이에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측 홈 벽(9)의 반원추각(α)과 상기 측벽(3)의 반원추각(β) 사이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용기(1) 위에 체결될 때의 상기 덮개(5)의 유동체 밀폐성은 더 좋아진다. 한편,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직경(D)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용기(1)에 상기 측벽(3)의 상이한 반원추각(β)을 제공함으로써, 상이한 체적을 갖는 용기(1)를 형성하는데 있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소정의 치수를 갖는 덮개(5)가 상이한 체적을 갖는 용기(1) 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이한 사이즈의 상기 덮개(5)의 수는 감소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제조 비용도 또한 감소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체적의 용기(1)의 상당히 빈틈없는 밀봉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이한 체적의 상기 용기(1)의 상이한 반원추각(β1, β2) 사이의 값을 갖는 반원추각(α)을 갖는 다목적 덮개(5)의 내측 홈 벽(9)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면, 중간 사이즈의 용기가 그 측벽에서 3°의 반원추각(β1)을 갖고, 큰 사이즈 용기(1)의 측벽(3)이 4.3°의 반원추각(β2)을 갖는 경우, 양쪽 타입의 용기(1)에 사용되도록 설계된 덮개의 내측 홈 벽(9)의 반원추각(α)은 5°와 5.3° 사이에 값을 가지면 된다.
도 2는 상기 용기(1) 위의 그 체결 위치에서의 덮개(5)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위치에서, 상기 조임부(10)는 상기 용기(1)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의 아래쪽에 스냅되어,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는 상기 클램핑 홈(7)의 상부에 견고하게 위치하게 된다.
도 3은 이전 도면들에 나타낸 상기 덮개(5)의 수직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홈 벽(9)은 상기 외측 홈 벽(8)의 높이(h8)보다 더 높은 높이(h9)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홈 벽(9)이 상기 덮개(5)가 상기 용기(1) 위에 위치될 때의 안내면으로서 기능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덮개부(6)의 중심이 융기되어, 그에 의해 돔(dome; 11)이 형성된다. 상기 돔(11)은 상기 덮개(5)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돔의 상부 벽의 중심 또는 그 중심 부근에는 그 재료에 절개부가 설치되거나, 그 재료를 관통한 완전한 절단부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십자형 형상으로 나타낸 이 절단부는, 상기 재료를 약화시켜서 상기 덮개(5)가 상기 용기(1) 위에 위치할 때 사용자가 빨대로 상기 덮개(5)를 관통시키도록 한다.
2개의 안정화 함입부(12)는 상기 중앙 덮개부(6)의 아래측에 돌출된다. 그들은 이외의 평평한 중앙 덮개부(6)에서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상기 중앙 덮개부(6)를 안정시킨다. 또한, 상기 덮개(5)가 테이블 또는 다른 평평한 면 위에 위치할 때, 상기 안정화 함입부(12)는 상기 덮개(5)의 다른 부분을 상기 평평한 면 위로 들어올리도록 하고, 그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덮개(5)를 상기 외측 홈 벽(8) 아래에서 파지하기 쉽게 한다. 만일 안정화 함입부(12)에도 그 자체에 지시 돔(13)이 설치되면, 상기 안정화 함입부(12)에 의해 또 다른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지시 돔(13)을 푸시 버튼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 함입부(12)의 아래쪽으로 눌려진 후, 상기 지시 돔(13)은 그 형상뿐만 아니라, 그 컬러 또는 투명도를 변화시키고, 그에 의해 상기 용기(1) 내에 포함된 유동체의 타입을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지시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4는 이미 도 3에 나타낸 상기 덮개(5)의 좌측의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임부(10)는 상기 클램핑 홈(7)의 내부로 상기 외측 홈 벽의 재료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부(10)는 상기 홈(7)의 내부에 돌출된 돌출부(14)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14)는 돌출 선단부(15)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돌출 선단부(15)는 상기 클램핑 홈(7) 내 로 가장 깊게 돌출된다. 상기 돌출 선단부(15)는 돌출부(14)를 상부 벽(16)과 하부 벽(17)으로 구분한다. 상기 돌출 선단부(15) 위쪽에, 즉, 상기 클램핑 홈(7)의 상부(18)를 향하여, 상기 클램핑 홈(7)은 폭이 다시 넓어져서 상기 돌출부(14) 위쪽의 외측 홈 벽(8)과 내측 홈 벽(7) 사이의 가장 넓은 부분에 폭(W)을 갖는다. 이 지점에서, 상기 클램핑 홈(7)은 체결 위치 내에 상기 용기(1)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폭(W)과 비교해서, 상기 클램핑 홈(7)은 상기 돌출부(14)에 의해 좁혀진다. 특히, 상기 돌출 선단부(15)와 그에 대향하는 내측 홈 벽(8)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14)에 대하여 그 가장 넓은 부분에서의 상기 클램핑 홈(7)의 폭(W)의 반 이상이고, 상기 폭(W)의 2/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치수에 의해, 상기 덮개(5)가 상기 용기(1) 위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클램핑 홈(7)은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를 통과시키기에 충분히 넓고, 상기 가장자리(4)를 체결 위치 내에 견고하게 유지시키기에 충분히 좁다.
상기 덮개(5)의 상기 클램핑 홈(7)은 도 5의 다른 단면도에서 더 확대된 상태로 나타낸다. 특히, 도 5는 상기 덮개(5)가 상기 용기(1) 위에 가압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용기(1)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는 이미 상기 클램핑 홈(7) 내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14)의 상기 하부 벽(17)에 접촉해 있다. 이 단면도에서, 상기 하부 벽(17)은 일직선의 단면을 갖는 한편, 상기 돌출부(14)의 상기 상부 벽(16)은 만곡된 단면을 갖는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덮개(5)의 상기 조임부(10)의 상기 돌출 선단부(15)는 수평면(H)을 규정한다. 이는 상기 덮개(5)의 둘레 부근의 모든 돌출 선단부(15)가 위치하고 있는 공통면(H)이 다. 상기 수평면(H)은 도 5에 다시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하부 벽(17)의 단부에 대한 접평면(T17)의 연장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상부 벽(16)의 단부에 접하는 접평면(T16)의 연장 부분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상부 벽(16)의 단부와의 접평면(T16)과 상기 수평면(H) 사이의 각도(γ)는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하부 벽(17)의 단부와의 접평면(T17)과 상기 수평면(H) 사이의 각도(θ)보다 작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각도(γ, θ)의 차이는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상기 용기(1)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가 상기 클램핑 홈(7) 내로 가압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4)의 상기 하부 벽(17)에 접촉된다. 상기 하부 벽(17)은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를 상기 클램핑 홈(7)의 개구부로 안내하는 램프(ramp)로서 작용하고, 동시에 가요성 외측 홈 벽(8)을 외측 방향으로 확장하도록 하고, 그에 의해 상기 클램핑 홈(7)의 개구 폭을 증가시킨다. 상기 돌출 선단부(15)와 상기 대향하는 내측 홈 벽(9) 사이의 거리(d)가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가 통과할 만큼 충분히 넓어지면, 상기 용기(1)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가 상기 돌출부(14)를 통과하여 상기 클램핑 홈(7)의 상부(18) 내로 진입한다. 상기 용기(1) 위의 덮개(5)의 체결 위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다시 도 5로 돌아가서, 상기 하부 벽(17)과 상기 덮개(5)의 수평면(H) 사이의 각도(θ)는 38°의 값을 갖는다. 상기 각도(θ)는 20°와 50° 사이의 각도 범위에, 심지어는 더 큰 각도 범위에 있을 수 있어, 상기 하부 벽(17)이 그 램프 기능을 유리하게 이행할 수 있 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14)의 상기 상부 벽(16)과의 접평면과 상기 수평면(H) 사이의 각도(γ)는 대략 16°의 값을 갖는다. 오히려 작은 상기 각도로 인해, 상기 용기(1)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가 체결 위치에 위치하여(도 6 참조)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가 상기 클램핑 홈(7)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힘을 받을 때, 상기 하부 벽은 램프로서 작용할 수 없다. 상기 외측 홈 벽(8)을 바깥쪽으로 구부림으로써 램프로서 작용하는 대신에, 상기 돌출부(14)의 상기 상부 벽(16)은 오히려 일종의 방해물로서 작용하여, 상기 클램핑 홈(7) 내의 상기 체결 위치에 상기 용기(1)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도 5에 나타낸 상기 용기(1) 위의 상기 덮개(5)의 위치에서, 용기 벽(3)과 상기 내측 홈 벽(9) 사이에는 공극(air gap)(19)이 존재한다. 상기 덮개(5)가 상기 용기(1) 위로 가압되는 동안, 상기 공극(19)은 상기 용기(1)를 통기시킴으로써, 상기 덮개(5) 아래에 지나친 압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용기(1) 위의 상기 덮개(5)의 체결 위치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벽(3)과 상기 내측 홈 벽(9) 사이에 더 이상 공극(19)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유사한 반원추각(α, β)을 갖는 것으로 인해(도 1 참조), 내측 용기 벽(3)과 상기 내측 홈 벽(9)은 기밀한 2차원 접촉 상태로 되고, 그에 의해 상기 덮개(5)와 상기 용기(1) 사이에 강한 밀봉을 야기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홈 벽(9)의 높이(h9)는 상기 클램핑 홈(7)의 상부(18)로부터 상기 돌출 선단부(15)까지의 깊이(G)보다 크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내측 홈 벽(9)은 상기 돌출 선단부(15) 아래로 연장된다. 이는 상기 용기 벽(3)과 상기 내측 홈 벽(9)이 상당히 넓은 접촉 영역에서 서로 접촉하는 것에 이르고, 그에 의해 밀봉 효과를 향상시킨다. 물론, 상기 내측 홈 벽(9)의 상기 높이(h9)가 적어도 상기 클램핑 홈(7)의 깊이(G)보다 크다는 전제하에, 상기 내측 홈 벽(9)의 높이(h9)는 도 6에 나타낸 것보다 작아질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체결 위치에서, 소정의 높이 위치(P)에서 상기 중앙 덮개부(6)를 가로지르는 상기 내측 홈 벽(9)의 외측면들(즉, 상기 클램핑 홈(7)을 향해 마주봄) 사이의 간격(S9)은 동일한 높이 위치(P)에서 상기 용기 벽(3)의 내측면들 사이의 간격(S3)보다 대략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크다. 이 사이즈 차이로 인해, 상기 내측 홈 벽(9)은 상기 용기 벽(3)에 외향 압력을 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상기 용기(1)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를 상기 클램핑 홈(7) 내에 더욱 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는 상기 외측 홈 벽(8)의 단지 외측부와 상부에 접촉된다. 상기 클램핑 홈(7)과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 사이의 빈틈없는 끼워맞춤(tight fit)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홈(7)의 상부 벽(20)의 형상은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의 형상으로 채택된다.
체결부에서, 상기 돌출 선단부 위로의 상기 클램핑 홈(7)의 깊이(G)가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의 대응하는 높이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와 상기 돌출 선단부(15) 사이에 간극(C)이 남는다. 이 간극(C)의 존재로 인해, 상기 외측 홈 벽(8)이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쪽으로 스냅될 때 상기 외측 홈 벽(8)은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에 부딪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와 상기 구슬형 가장 자리(4) 사이의 신속한 접촉은 사용자에게 촉감의 발생뿐만 아니라, 소리의 발생도 일으킨다. 상기 촉감과 딸깍하는 소리 양쪽 모두는 상기 덮개(5)가 그 체결 위치에 도달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지표이다.
도 7은 상기 덮개(5)의 상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4개의 함입부(12)는 상기 중앙 돔(11)과 마찬가지로, 상기 덮개(5)의 상기 중앙 덮개부(6)에 위치한다. 이 중앙 돔(11)의 중심에는 빨대에 의한 상기 덮개의 관통을 용이하게 하는 십자형 절개부 또는 절단부(21)가 존재한다. 이 상부에서 보면 상기 조임부(10)는 육안으로 볼 수 없다. 상기 조임부는 상기 덮개(5)의 둘레에 등간격 또는 비등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조임부(10)가 상기 덮개(5)의 원주 전부에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중앙 덮개부(6)의 둘레로, 상기 내측 홈 벽(9)에는 복수의 분리 단차(2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 단차(22)는 등간격으로 위치된다.
상기 분리 단차(22)의 효과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덮개(5)가 적층될 때, 상측 덮개(5)의 중앙 덮개부(6)는 인접한 하부 덮개(5)의 분리 단차(22) 위에 놓인다. 그에 의해, 2개의 인접한 덮개(5)의 상기 중앙 덮개부(6) 사이에 공극이 유지되고, 그에 의해 사용자가 2개의 덮개(5)를 서로 분리하려고 할 때의 감압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분리 단차(22)는 적층된 덮개(5)의 분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덮개(5)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덮개는 플라스틱재의 시트 또는 포일로부터 딥 드로잉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익한 실시예에서, 상기 플라스틱재는 높은 강성과 투명도를 제공하는 일반용 폴리스티렌(GPPS)과, 높은 내구성을 제공하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의 혼합물이다. 상기 덮개(5)를 딥 드로잉하게 되는 시트 또는 포일은 대략 0.3mm의 딥 드로잉 공정 전의 초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딥 드로잉 후, 상기 덮개의 평균 두께는 0.17mm와 0.23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상기 덮개(5)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상기 덮개(5)는 몇몇 방법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덮개(5)는 중앙 돔(11) 또는 안정화 함입부(12)를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또한 상기 중앙 덮개부(6)에 대하여 상이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제조 비용의 감소 측면에서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한 치수 또는 각도의 값, 또는 이들 몇몇 값들 사이의 관계가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기와 상기 덮개 양쪽 모두는 정사각형 등의 상이한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Claims (26)

  1. 컵 형상 용기(1)의 구슬형 가장자리(4) 위에 체결되는 내측 홈 벽(9)과 외측 홈 벽(8) 사이에 형성된 둘레 클램핑 홈(7) 및 중앙 덮개부(6)를 갖는 덮개(5)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외측 홈 벽(8)의 둘레 구역에는 조임부(10)가 설치되고, 상기 조임부(10)는 상기 홈(7) 내부로의 돌출부(14)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4)는 돌출 선단부(15), 상부 벽(16) 및 하부 벽(17)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선단부(15)는 수평면(H)을 규정하고,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상부 벽(16)의 단부와의 접평면(T16)과 상기 수평면(H) 사이의 각도(γ)는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하부 벽(17)의 단부와의 접평면(T17)과 상기 수평면(H) 사이의 각도(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상부 벽(16)의 단부와의 접평면과 상기 수평면(H) 사이의 각도(γ)는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하부 벽(17)의 단부와의 접평면과 상기 수평면(H) 사이의 각도보다 10° 내지 35°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상부 벽(16)의 단부와의 접평면(T16)과 상기 수평면(H) 사이의 각도(γ)는 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인접한 상기 하부 벽(17)의 단부와의 접평면(T17)과 상기 수평면(H) 사이의 각도(θ)는 20°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벽(16)은 만곡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벽(16)은 상기 클램핑 홈(7)의 내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벽(17)은 일직선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홈(7)의 상부(18)로부터 상기 돌출 선단부(15)까지의 깊이(G)는 상기 컵 형상 용기(1)의 상기 구슬형 가장자리(4)의 대응하는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선단부(15)와 상기 내측 홈 벽(9) 사이의 거리(d)는 상기 돌출부(14) 위쪽의 상기 클램핑 홈(7)의 가장 넓은 부분에서의 폭(W)의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선단부(15)와 상기 내측 홈 벽(9) 사이의 거리(d)는 상기 돌출부(14) 위쪽의 상기 클램핑 홈(7)의 가장 넓은 부분에서의 폭(W)의 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홈(7)의 상부(18)와 상기 중앙 덮개부(6) 사이의 상기 내측 홈 벽(9)의 높이(h9)는 적어도 상기 클램핑 홈(7)의 상부로부터 상기 돌출 선단부(15)까지의 깊이(G)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홈 벽(9)의 높이(h9)는 상기 외측 홈 벽(8)의 높이(h8)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10)는 상기 외측 홈 벽(8)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10)는 상기 덮개(5)의 외주 전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의 재료는 적어도 제 1 플라스틱재와 제 2 플라스틱재의 혼합물이고, 상기 제 1 플라스틱재는 상기 제 2 플라스틱재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라스틱재는 모두 폴리스티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라스틱재는 일반용 폴리스티렌(General Porpose Polystyrene; GP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라스틱재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라스틱재는 상기 혼합물에서 30% 내지 50%의 비율을 차지하고, 상기 제 2 플라스틱재는 상기 혼합물에서 50% 내지 70%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는 시트(sheet) 또는 포일(foil)의 딥 드로잉(deep drawing) 및/또는 열성형(thermoforming)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또는 포일은 딥 드로잉 전에 0.24mm 내지 0.36mm의 초기 두께, 바람직하게는 0.27mm 내지 0.33mm의 초기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의 평균 두께는 0.17mm 내지 0.2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의 상기 내측 홈 벽(9)의 반원추각(half cone angle; α)은 3.5°와 7°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의 상기 내측 홈 벽(9)의 답면 구배(conicity)는 상기 용기 벽(3)의 답면 구배의 +/- 2°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 위에 체결된 상기 덮개(5)의 위치에서,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의 상기 중앙 덮개부(6)를 가로지르는 상기 내측 홈 벽(9)의 외측면들 사이의 간격(S9)은 상기 돌출 선단부(15)에 의해 규정된 수평면(H) 또는 상기 수평면(H) 위쪽 또는 아래쪽의 인접 영역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의 상기 용기 벽(3)의 내측면들 사이의 간격(S3)보다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덮개(5)와 용기(1)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물.
KR1020087014706A 2005-11-18 2006-11-09 컵 형상 용기용 덮개 KR101005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25264.2 2005-11-18
EP05025264A EP1787916B1 (en) 2005-11-18 2005-11-18 Receptacle with a l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205A true KR20080064205A (ko) 2008-07-08
KR101005506B1 KR101005506B1 (ko) 2011-01-04

Family

ID=3564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706A KR101005506B1 (ko) 2005-11-18 2006-11-09 컵 형상 용기용 덮개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8118187B2 (ko)
EP (2) EP1787916B1 (ko)
JP (1) JP4914451B2 (ko)
KR (1) KR101005506B1 (ko)
CN (1) CN101356097B (ko)
AT (2) ATE484459T1 (ko)
AU (1) AU2006314808B2 (ko)
BR (1) BRPI0618792A2 (ko)
CA (1) CA2629976C (ko)
DE (2) DE602005024155D1 (ko)
DK (2) DK1787916T3 (ko)
ES (2) ES2354302T3 (ko)
GE (1) GEP20104968B (ko)
HK (1) HK1126734A1 (ko)
HR (1) HRP20110409T1 (ko)
NO (1) NO20082372L (ko)
NZ (1) NZ568334A (ko)
PL (2) PL1787916T3 (ko)
PT (2) PT1787916E (ko)
RS (1) RS51726B (ko)
RU (1) RU2408514C2 (ko)
SI (2) SI1787916T1 (ko)
UA (1) UA92925C2 (ko)
WO (1) WO2007057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48091U (en) * 2008-01-17 2009-01-01 Huhtamaki Guangzhou Co Ltd Wash-free cup and lid thereof
DE202008012116U1 (de) 2008-09-12 2010-02-11 Seda S.P.A., Arzano Wiederverschließbarer Deckel für einen Behälter, insbesondere für einen Papierbecher
US8733582B2 (en) * 2010-09-13 2014-05-27 David Fioritto Drinking assembly with integral straw
US10407222B2 (en) * 2012-02-16 2019-09-10 David O. Allen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DE102012216629A1 (de) * 2012-06-13 2013-12-19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 Ltd. Mehrteiliger Deckel aus Papi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eckels
CN203173063U (zh) * 2013-01-28 2013-09-04 新协力包装制品(深圳)有限公司 软塑包装盒
GB2522702B8 (en) * 2014-02-04 2017-03-01 Iwanoczko Jocelyn A container with a clip-on cap
US9526362B2 (en) * 2015-03-20 2016-12-27 Kuo Tung WANG Lid structure of disposable beverage cup
US11834230B2 (en) * 2018-11-20 2023-12-05 Rieke Llc Tamper evident overcap for drums
RU194015U1 (ru) * 2019-07-23 2019-11-25 Станислав Николаевич Бегдай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одноразовая емкость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A197172S (en) 2019-08-30 2022-04-21 Seda Int Packaging Group Spa Lid for disposable cup
DE202019104776U1 (de) 2019-08-30 2019-10-11 Seda International Packaging Group Spa Deckel für einen Becher
JP7330062B2 (ja) * 2019-10-24 2023-08-21 株式会社シマノ クーラーボックス
US20220112012A1 (en) * 2020-10-10 2022-04-14 B. Robert Polt Lid with lower sanitary extensions
USD1014240S1 (en) * 2022-06-27 2024-02-13 Taishan Pcm Packing Material Co., Ltd.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5875A (en) 1960-02-19 1962-11-27 Continental Can Co Plastic snap-on reclosure cover
US3075439A (en) * 1960-11-09 1963-01-29 Zeiss Ikon Ag Photographic camera with coupled exposure meter
FR1379233A (fr) 1963-12-20 1964-11-20 Nippon Plapot Company Ltd Boîte pour la mise en conserve de produits alimentaires
FR1526655A (fr) 1967-06-12 1968-05-24 Akerlund & Rausing Ab Couvercle pour récipient comportant un rebord de retenue
US3583596A (en) * 1969-07-22 1971-06-08 Solo Cup Co Lid
US3749277A (en) 1971-11-01 1973-07-31 Phillips Petroleum Co Closure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unseating
US4020188A (en) 1975-11-28 1977-04-26 Forkner John H Cooked dough having a frozen dessert filling and method therefor
JPS5276459U (ko) * 1975-11-29 1977-06-07
JPH0375439U (ko) * 1989-11-27 1991-07-29
US5253781A (en) 1992-06-29 1993-10-19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Disposable drink-through cup lid
US6056144A (en) * 1997-05-30 2000-05-02 International Paper Co. Beverage cup with locking lid
US5944208A (en) 1998-01-26 1999-08-31 Gale; Gregory W. Customized bottle and closure therefor
US5975344A (en) 1998-03-17 1999-11-02 Letica Corporation Closure having controlled radial flex
DE29906577U1 (de) 1999-04-13 1999-07-29 Goetz Deckel
WO2001085551A2 (en) * 2000-05-05 2001-11-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s container having improved strength
AUPR038300A0 (en) * 2000-09-26 2000-10-19 Cryovac Australia Pty Ltd Reclosable container
US6612456B1 (en) 2000-10-12 2003-09-02 Wincup Holdings, Inc. Drink-through cup lid having selectively inwardly and outwardly rotatable hinged portion
MY128453A (en) * 2000-10-12 2007-02-28 Innovative Design Co Pty Container-closure arrangement
US6688487B2 (en) 2001-04-13 2004-02-10 The Coca-Cola Company Locking cup and lid with negative draft sealing surfaces
JP4202043B2 (ja) * 2002-04-26 2008-12-24 森永乳業株式会社 容器用オーバーキャップ
DE20208386U1 (de) 2002-05-29 2002-08-22 Seda Spa Becherförmiger Behälter und Deckel
RO120833B1 (ro) 2002-05-29 2006-08-30 Seda S.P.A. Recipient de formă conică şi capac
US6932234B2 (en) * 2002-05-29 2005-08-23 Seda S.P.A. Cup-shaped receptacle and lid
JP4681802B2 (ja) * 2002-07-19 2011-05-1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蓋材、及び易開封性包装体
JP2004321639A (ja) * 2003-04-28 2004-11-18 Denki Kagaku Kogyo Kk 積層容器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08514C2 (ru) 2011-01-10
NO20082372L (no) 2008-07-31
CN101356097A (zh) 2009-01-28
GEP20104968B (en) 2010-04-26
CA2629976A1 (en) 2007-05-24
CA2629976C (en) 2011-09-20
EP1787916B1 (en) 2010-10-13
ATE502864T1 (de) 2011-04-15
JP2009515787A (ja) 2009-04-16
AU2006314808A1 (en) 2007-05-24
US8118187B2 (en) 2012-02-21
US20090159606A1 (en) 2009-06-25
WO2007057123A1 (en) 2007-05-24
RU2008120671A (ru) 2009-12-27
ES2361935T3 (es) 2011-06-24
EP1968861B1 (en) 2011-03-23
KR101005506B1 (ko) 2011-01-04
DK1787916T3 (da) 2011-01-31
HRP20110409T1 (hr) 2011-06-30
CN101356097B (zh) 2011-02-16
PL1787916T3 (pl) 2011-04-29
PL1968861T3 (pl) 2011-08-31
ATE484459T1 (de) 2010-10-15
ES2354302T3 (es) 2011-03-11
DE602006020928D1 (de) 2011-05-05
DE602005024155D1 (de) 2010-11-25
HK1126734A1 (en) 2009-09-11
PT1968861E (pt) 2011-06-07
NZ568334A (en) 2010-10-29
SI1787916T1 (sl) 2011-02-28
PT1787916E (pt) 2011-01-17
BRPI0618792A2 (pt) 2011-09-13
EP1968861A1 (en) 2008-09-17
JP4914451B2 (ja) 2012-04-11
SI1968861T1 (sl) 2011-07-29
RS51726B (en) 2011-10-31
EP1787916A1 (en) 2007-05-23
DK1968861T3 (da) 2011-07-11
AU2006314808B2 (en) 2010-10-28
UA92925C2 (ru) 2010-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506B1 (ko) 컵 형상 용기용 덮개
US7909236B2 (en) End caps for tubes and shipping containers formed therefrom
KR100755964B1 (ko) 컵-형상 용기 및 덮개
KR20080019011A (ko) 벤팅 용기
EP1616801B1 (en) Cup shaped container
KR101219147B1 (ko) 덮개를 가지는 용기
JP2009515787A5 (ko)
CN109502168B (zh) 用于显窃启容器的闭式通气口
CN113573984A (zh) 罐盖、罐以及用于制造罐盖的方法
JP3513644B2 (ja) 食品用容器
US20070205197A1 (en) Non-cylindrical container and lid
WO2014160608A1 (en) Vacuum container, cap, and vacuum container assembly
CA2745947A1 (en) Air-tight container system for cookies or other food items
US20110168717A1 (en) Container for water-based paint
WO2010146997A1 (ja) 蓋付容器
US3468452A (en) Aerosol can end with reinforced curl
US4133448A (en) Overcap for aerosol container
JP6814831B2 (ja) 食品包装用容器
US20070012700A1 (en) Packaging comprising a container, a lid and a joint
JP2017077361A (ja) 容器
GB2614900A (en) A container assembly
WO2024058949A1 (en) Container closures
JP2006008144A (ja) 包装用容器の蓋
JP2001058625A (ja) 収納用容器
KR20140033822A (ko) 속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