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604A -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604A
KR20080062604A KR1020060138585A KR20060138585A KR20080062604A KR 20080062604 A KR20080062604 A KR 20080062604A KR 1020060138585 A KR1020060138585 A KR 1020060138585A KR 20060138585 A KR20060138585 A KR 20060138585A KR 20080062604 A KR20080062604 A KR 2008006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assword
password input
scre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열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2604A/ko
Publication of KR2008006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07F19/2055Anti-skimming aspects at AT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기 이용시 비밀번호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고객의 선택에 의해서 좌우이동, 재배열, 크기축소 또는 상하이동하여 화면을 조정함과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출력될 때에 자동으로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밝기를 어둡게 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 이용시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효율적으로 주변인으로부터 은폐하여 비밀번호가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 비밀번호, 터치스크린, 위치이동

Description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ATM displaying movable buttons for inputting a passwor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구비한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이 좌우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이 재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이 크기축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이 상하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금융자동화기기 100 : 터치스크린 모니터
110 : 안내창 115 : 비밀번호 표시창
120 : 숫자입력 버튼부 122 : 숫자버튼
124 : 정정버튼 126 : 취소버튼
128 : 이동버튼 130 : 화면조정 버튼부
132 : 좌우이동 버튼 134 : 상하이동 버튼
136 : 크기축소 버튼 138 : 재배열 버튼
본 발명은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기 이용시 비밀번호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고객의 선택에 의해서 좌우이동, 재배열, 크기축소 또는 상하이동하여 화면을 조정함과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출력될 때에 자동으로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밝기를 어둡게 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 이용시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효율적으로 주변인으로부터 은폐하여 비밀번호가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되지 않고, 은행 직원이 없이도 입출금 또는 계좌정리 등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서비 스를 수행할 수 있는 자동화기기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기능의 제공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Cash Dispenser; CD)와 현금입출금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티켓 발매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계좌에 대한 인증을 받아야 하며 반드시 비밀번호의 입력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보안상 비밀번호가 유출되지 않도록 금융자동화기기에는 많은 보안 수단이 강구되어 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개략적인 구성과, 금융자동화기기의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10)에는 삽입된 카드를 인식하고 거래 내역을 거래명세표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카드 인식/인쇄 출력부(20)와, 삽입된 통장을 인식하고 거래 내역을 통장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통장 인식/인쇄 출력부(30)와, 거래를 위해 현금 또는 수표가 입금되거나 출금되는 입출금부(40)와, 입출금, 계좌이체 또는 통장기장 등의 거래 과정이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거래 과정에 필요한 정보를 고객으로부터 입력받는 터치스크 린 모니터(100) 등이 금융자동화기기(10)의 전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 모니터(100)를 통해 출력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는 비밀번호 입력 과정에 대한 안내문구와 비밀번호 입력시 주의할 내용이 출력되는 안내창(110)과, 안내창(110) 내에 위치되어 출력되며 고객이 입력한 비밀번호의 자릿수를 표시하는 비밀번호 표시창(115)과,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각각 표시하는 다수개의 숫자버튼(122), 입력한 비밀번호를 정정할 수 있는 정정버튼(124),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취소할 수 있는 취소버튼(126) 및 입력된 비밀번호에서 입력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버튼(128)으로 구성된 숫자입력 버튼부(120)가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10)를 이용하여 금융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고객이 보유한 계좌에 대한 본인 인증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며, 본인 인증 과정은 금융자동화기기에 카드 또는 통장을 삽입하거나 모바일 칩이 내장된 휴대폰 등을 금융자동화기기(10)에 인식시킨 후,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입력된 비밀번호가 계좌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수행하고자 하는 거래에 대한 금액, 계좌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10)를 이용한 금융 거래 과정에서 보안상 가장 중요한 과정이 비밀번호 입력 과정이며, 이러한 비밀번호의 입력 과정에서 비밀번호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10)의 양측에는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안 키패드 또는 감시 카메라 등의 다양한 보안 수단과 방법이 금융자동 화기기(10)에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지 수단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의 터치스크린 모니터(100)를 통한 비밀번호 입력 과정에서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비밀번호 입력 버튼이 위치되도록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출력되기 때문에 금융자동화기기(10)를 이용하는 고객이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에 비밀번호 입력 버튼이 고객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시각적으로 완전하게 은폐되지 않아 쉽게 알아채거나, 간접적으로 고객의 손동작 방향 등을 유추하는 방법에 의해서 비밀번호가 쉽게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터치스크린 모니터에서 출력되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매 거래시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배치로 구성되었던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고객의 선택에 따라 비밀번호 입력 화면상에서 좌우이동, 재배열, 크기축소 및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화면조정 버튼부를 추가로 포함시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출력되면 자동으로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밝기를 어둡게 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 이용시 고객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시각적으로 보다 은폐시켜 비밀번호가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는 고객으로부터 계좌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는 비밀번호 입력에 대한 안내문구와 주의문구를 출력하는 안내창과, 상기 안내창 내에 위치하여 상기 고객이 입력한 비밀번호의 자릿수를 출력하는 비밀번호 표시창과, 상기 고객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다수개의 숫자버튼, 입력된 비밀번호를 정정하기 위한 정정버튼 및 계좌에 대한 거래 과정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버튼이 포함되어 구성된 숫자입력 버튼부와, 상기 숫자입력 버튼부의 위치를 상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상에서 이동시켜 출력시키는 화면조정 버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구비한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구비한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는 비밀번호 입력에 대한 안내문구와 주의문구가 디스플레이되는 안내창(110)과, 안내창(110) 내에 구성되어 고객이 입력한 비밀번호의 자릿수를 출력하는 비밀번호 표시창(115)과,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다수개의 숫자버튼(122), 입력된 비밀번호를 정정할 수 있는 정정버튼(124), 비밀번호 입력 과 정을 취소할 수 있는 취소버튼(126) 및 입력된 비밀번호에서 입력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버튼(128)으로 구성된 숫자입력 버튼부(120)와, 숫자입력 버튼부(120)의 위치를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이동시켜 출력시키는 화면조정 버튼부(130)가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서는 안내창(110)에 "비밀번호 4자리를 눌러주십시오"라는 안내문구와, "*비밀번호 유출에 각별히 주의 하십시오"라는 주의문구를 출력하며, 안내창(110)을 통해 출력되는 문구들은 금융자동화기기(10)의 관리자에 의해서 다른 문구로 자유롭게 수정될 수 있다.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입력 버튼부(120)는 숫자버튼(122), 정정버튼(124), 취소버튼(126) 및 이동버튼(128)로 구성되는데, 숫자버튼(122)은 0에서 9까지의 숫자를 각각 표시하는 10개의 숫자버튼(122)으로 구성되며, 초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숫자버튼(122)의 위치는 숫자 1부터 시작되어 연속되는 일련의 순서로 상부에서 하부로 배치된다. 한편, 숫자버튼(122)에서 숫자 0에 해당하는 버튼의 좌측으로 이동버튼(128)이 우측으로는 정정버튼(124)이 배치되며, 정정버튼(124) 아래에 취소버튼(126)이 위치하게 된다.
비밀번호 표시창(115)에서는 고객이 입력한 비밀번호의 자릿수를 표시하는데, 고객이 숫자버튼(122)을 눌렀을 때, 누른 숫자버튼(122)과 대응되는 숫자를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비밀번호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를 사용하여 비밀번호를 표시한다. 즉, 비밀번호 4자리 중에 고객이 숫자버튼(122)을 세 번 누른 경우에는 "*** "로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숫자버튼(122)을 네 번 눌러 비밀번호 표시창(115)에 "****"로 표시될 경우에는 자동으로 다음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비밀번호의 정정을 위해 정정버튼(124)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숫자버튼(122)이 세 번을 초과해서 눌러지면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입력 버튼부(120)의 위치가 안내창(110)의 우측에 위치한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초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으로 인식하며, 이와 같은 초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은 금융자동화기기(10)가 새로운 거래를 수행하거나 취소버튼(126)을 통해 비밀번호 입력 과정이 취소되었다가 다시금 비밀번호 입력 과정으로 진입하여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에 출력되는 화면이다.
즉, 초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은 숫자입력 버튼부(120)가 안내창(110)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화면조정 버튼부(130)가 비밀번호 입력 화면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출력되고, 다수개의 숫자버튼(122)은 연속되는 일련의 순서로 배치된다.
화면조정 버튼부(130)에는 숫자입력 버튼부(120)와 안내창(110)의 상대적인 위치이동과 버튼의 크기 및 숫자버튼(122)의 배열을 바꾸어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 출력시키는 좌우이동 버튼(132), 상하이동 버튼(134), 크기축소 버튼(136) 및 재배열 버튼(138)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좌우이동 버튼(132)과 상하이동 버튼(134)는 숫자입력 버튼부(120)와 안내창(110)의 위치를 바꾸며, 크기축소 버튼(136)은 숫자입력 버튼부(120)의 버튼 크기를 축소시키고 재배열 버튼(138)은 일련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숫 자버튼(122)을 임의의 배열로 배치시킨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이 좌우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이 재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는 금융자동화기기(10)에서 제공하는 초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인 도 3에서 고객이 좌우이동 버튼(132)를 눌러 숫자입력 버튼부(120)와 안내창(110)의 위치가 좌우로 바뀐 상태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재배열 버튼(138)을 선택하여 숫자입력 버튼부(120)의 숫자버튼(122)의 위치가 무작위로 재배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좌우로 이동된 상태에서 재배열이 이루어진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도시하였지만, 도 3에 도시된 초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재배열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좌우이동 및 재배열을 통해 고객이 금융자동화기기(10)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고객의 오른쪽 측면에 주변 사람들이 위치한 경우에 좌우이동 버튼(132)을 통해서 숫자입력 버튼부(120)를 왼쪽으로 이동시켜 비밀번호 입력시 비밀번호 유출이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배열 버튼(138)을 통해 무작위로 숫자버튼(122)의 배치 위치를 바꿈으로써 고객이 터치스크린 모니터(100)에 남기는 비밀번호 누름 흔적을 통해 비밀번호가 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이 크기축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비밀번호 입력 버튼, 즉 숫자입력 버튼부(120)의 크기를 줄여 비밀번호 입력 과정에서 주변인에게 보이는 누름을 용이하게 알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좌우이동되고 재배열된 상태에서 크기가 축소되었지만, 초기화면, 좌우이동된 화면, 초기화면에서 재배열된 화면 등 금융자동화기기(10)에서 제공하는 모든 화면에서 숫자입력 버튼부(120)의 크기를 축소한 축소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이 상하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화면에서 상하이동 버튼(134)를 누를 경우에 이동하는 화면이다. 금융자동화기기(10)의 터치스크린 모니터(100)의 화면 비율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상하이동하게 되면 숫자입력 버튼부(120)의 버튼 크기가 축소된 상태에서 숫자입력 버튼부(120)와 안내창(110)의 위치가 상하로 위치하게 된다. 만약 도 3에 도시된 초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 도 4에 도시된 좌우이동이 이루어진 비밀번호 입력 화면 또는 도 5에 도시된 재배열이 이루어진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상하이동 버튼(134)을 누르게 되면 우선 숫자입력 버튼부(120)의 버튼 크기가 축소된 이후에 각 도면에 대응되는 숫자입력 버튼부(120)와 안내창(110)의 위치가 상하로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금융자동화기기 이용시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터치스크 린 모니터(100)를 통해 출력될 때, 자동으로 터치스크린 모니터(100)의 밝기를 어둡게 하여 시각적으로 숫자입력 버튼부(120)를 잘 보이지 않게 하여 비밀번호가 유출할 가능성을 줄인다. 또한,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거쳐 다음 단계로 진행하게 되면, 어두워졌던 터치스크린 모니터(100)의 밝기는 정상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 모니터(100)에서 출력되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어둡게 한 상태에서, 화면조정 버튼부(130)를 이루는 좌우이동 버튼(132), 상하이동 버튼(134), 크기축소 버튼(136) 또는 재배열 버튼(138)을 반복적으로 눌러 비밀번호 입력 버튼의 위치가 변하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를 이용할 때에 주변 사람들의 위치에 따라서 숫자입력 버튼부(120)의 위치를 변경하여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은폐할 수 있어서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치 치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는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통해 고객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 동일한 위치에 동일하게 배치되었던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고객의 선택에 의해 비밀번호 입력 화면상에서 좌우이동, 재배열, 크기축소 및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화면조정 버튼부를 추가로 포함시켜 디스플레이하고,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밝기를 어둡게 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 이용시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주변인으로부터 은폐시켜 비밀번호가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고객으로부터 계좌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는 비밀번호 입력에 대한 안내문구와 주의문구를 출력하는 안내창과;
    상기 안내창 내에 위치하여 상기 고객이 입력한 비밀번호의 자릿수를 출력하는 비밀번호 표시창과;
    상기 고객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다수개의 숫자버튼, 입력된 비밀번호를 정정하기 위한 정정버튼 및 계좌에 대한 거래 과정에 있어서 비밀번호 입력 과정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버튼이 포함되어 구성된 숫자입력 버튼부와;
    상기 숫자입력 버튼부의 위치를 상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상에서 이동시켜 출력시키는 화면조정 버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상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출력되면 상기 터치스크린 모니터의 밝기가 자동으로 어두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조정 버튼부에는 상기 숫자입력 버튼부를 상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상에서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이동 버튼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조정 버튼부에는 상기 숫자입력 버튼부를 상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상에서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이동 버튼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조정 버튼부에는 상기 숫자입력 버튼부의 버튼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한 크기축소 버튼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조정 버튼부에는 상기 숫자입력 버튼부를 구성하는 상기 다수개의 숫자버튼을 임의의 위치에 무작위로 배열시키는 재배열 버튼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 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에서 상기 숫자입력 버튼부의 위치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가 새로운 거래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취소버튼을 통해 취소되었던 거래가 재시작되어 새로운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출력하게 되면 초기 비밀번호 입력 화면으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 버튼에 의해 상기 숫자입력 버튼부가 상하로 위치이동되어 출력될 때에는 상기 숫자입력 버튼부의 크기가 축소된 후에 이동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0060138585A 2006-12-29 2006-12-29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금융자동화기기 KR20080062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585A KR20080062604A (ko) 2006-12-29 2006-12-29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금융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585A KR20080062604A (ko) 2006-12-29 2006-12-29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604A true KR20080062604A (ko) 2008-07-03

Family

ID=3981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585A KR20080062604A (ko) 2006-12-29 2006-12-29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26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10B1 (ko) * 2010-05-25 2011-06-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랜덤 키패드에 의한 사용자 인증장치 및 방법
KR101509495B1 (ko) * 2013-10-18 2015-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키패드의 이동을 통한 보안 키패드 입력 장치 및 방법
US9165132B2 (en) 2011-11-28 2015-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uthenticating password and portable device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10B1 (ko) * 2010-05-25 2011-06-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랜덤 키패드에 의한 사용자 인증장치 및 방법
US9165132B2 (en) 2011-11-28 2015-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uthenticating password and portable device thereof
KR101509495B1 (ko) * 2013-10-18 2015-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키패드의 이동을 통한 보안 키패드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0861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including a user-accessible USB port
JP2012108796A (ja) 自動取引システム、自動取引方法、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H06318186A (ja) 暗証入力装置
JP4734965B2 (ja) 暗証番号入力装置
JP4894323B2 (ja) 現金自動預払機
KR20080062604A (ko) 위치이동이 가능한 비밀번호 입력 버튼을 출력하는금융자동화기기
US5962830A (en) Self service terminal
KR100991653B1 (ko) 자동 거래 장치
JP2005250530A (ja) 文字入力装置
RU2267812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80062602A (ko) 다이얼 형식의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금융자동화기기
JP5556835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3330888A (ja) 暗証入力装置及び暗証入力方法
EP3588344B1 (en) Password authentic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7009612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키-맵 배열 변경장치 및 그 키-맵의 배열변경방법
US7401729B2 (en) Self service terminal
WO2017141433A1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方法
JP5862882B2 (ja) Atm、銀行システム及びatmの操作簡易化方法
KR2015007267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개인용 비밀번호 입력패드 제공 방법
JP2007041977A (ja) 個人認証装置
JP2006277334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H04291697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のガイダンス表示制御方法
JP2011048689A (ja) 入力装置
JP2002024903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6270790A (ja) 暗証番号入力装置及びその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