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566A -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566A
KR20080062566A KR1020060138507A KR20060138507A KR20080062566A KR 20080062566 A KR20080062566 A KR 20080062566A KR 1020060138507 A KR1020060138507 A KR 1020060138507A KR 20060138507 A KR20060138507 A KR 20060138507A KR 20080062566 A KR20080062566 A KR 2008006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
semiconductor chip
solder
guide
bonding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5268B1 (ko
Inventor
한권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13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268B1/ko
Publication of KR2008006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Landscapes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반도체 패키지는, 상면에 다수의 본딩 패드와 보호막을 구비한 반도체 칩; 상기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 사이에 형성된 범프 가이드; 및 상기 본딩 패드 상에 상기 범프 가이드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된 씨드막을 포함한 솔더 범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종래 플립 칩 패키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반도체 칩 202 : 본딩 패드
204 : 보호막 206 : 범프 가이드
208 : 씨드막 212 : 솔더 범프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인 피치를 가지는 플립 칩 패키지에서 패드 간의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여 패키지의 수율을 높이고, 반도체 칩 패드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반도체 패키지는 물론 일부 패키지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에 실장하는 방법으로 리드프레임에 의한 솔더링(Soldering)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리드프레임에 의한 솔더링 방식은 공정 진행이 용이하고 신뢰성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잇점이 있지만, 반도체 칩과 인쇄회로 기판 사이의 전기적 신호 전달 길이가 긴 것과 관련하여 전기적 특성 측면에서는 불리함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플립 칩 패키지(Flip Chip Package)는 고밀도 패키징이 가능한 본딩 프로세스로 반도체 칩 내부 회로에서 입출력 패드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회로 설계를 단순화시키고, 회로선에 의한 저항이 감소하여 소요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전기적 신호의 경로가 짧아져 반도체 패키지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고, 반도체 칩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열적 특성이 우수하며, 작은 형태의 패키지를 구현할 수 있고, 솔더 자기정렬(Self-Alignment) 특성 때문에 본딩이 용이한 점이 있다.
플립 칩 패키지에서 반도체 칩과 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반도체 칩의 입출력 패드 상에 형성된 솔더 범프(Solder Bump), 스터드 범프(Stud Bump), 도금 또는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법으로 형성된 범프, 금속을 증착 및 식각하여 형성시킨 범프 등과 같이 형성된 돌출된 범프와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범프 패드가 직접적으로 콘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플립 칩 패키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다수의 본딩 패드(102)가 형성된 반도체 칩(100)의 본딩 패드(102) 상에 전기 연결 수단으로 언더 범프 메탈러지(Under Bump Metallurgy : 114)와 그 상부에 솔더 범프(1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칩(100)은 상면에 다수의 접속 패드(120)와 하면에 볼랜드(122)들이 구비된 인쇄회로 기판(118)에 페이스 다운(Face down) 타입으로 플립 칩 본딩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칩(100)과 인쇄회로 기판(118) 사이에는 언더필(Underfill : 1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도체 칩(100)을 포함한 인쇄회로 기판(118)의 상면에는 봉지제(1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 기판(118) 하면의 볼랜드(122에는 다수의 솔더볼(128)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플립 칩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솔더를 사용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솔더링(Soldering) 공정을 거치게 되고, 상기 솔더링 공정으로 반도체 칩(100) 또는 인쇄회로 기판(118)의 각 패드 상에 형성되는 솔더 범프(116)는 일정 온도에서 녹게 되고 다시 냉각 과정을 거치면서 반도체 칩(100)의 본딩 패드(102)와 인쇄회로 기판(118)의 접속 패드(120) 사이를 접합하게 된다.
그러나, 솔더 범프(116)가 용융되어 접합될 때, 솔더 범프(116) 간의 거리가 충분하지 않으면, 즉,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102)가 일정 피치(Pitch) 이상의 거리를 확보하지 않으면 인접 솔더 범프(116) 간에 전기적인 쇼트(Short)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접 솔더 범프(116) 간의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솔더 범프(116)의 높이는 낮추는 방법과 솔더 범프(116) 피치, 즉, 본딩 패드(102) 간의 간격을 늘리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여기서, 상기 솔더 범프(116)의 높이를 낮추는 방법은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나 반도체 칩(100)과 인쇄회로 기판(118) 간의 접합 후, 반도체 칩(100)과 인쇄회로 기판(118) 간의 간격이 낮아 후속의 언더필(124) 형성 공정이 어려워지고 낮은 솔더 범프(116)의 높이로 인하여 솔더 접합의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솔더 범프(116) 피치를 늘리는 방법으로는 초기 반도체 칩(100)의 설계시부터 플립 칩 범프 피치를 고려하여 반도체 칩(100)의 본딩 패드(102) 간의 간격을 충분한 확보하거나, 기존의 본딩 패드(102)를 재배열하여 솔더 범프(116) 간의 간격을 늘려주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 전술한 방법은 반도체 칩(100) 디자인의 제한을 유발하여 반도체 칩(100) 사이즈의 증가 및 전기적인 특성의 열화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후술한 방법은 재배열 방법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어 개별 패키지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파인 피치를 가지는 플립 칩 패키지에서 패드 간의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여 패키지의 수율을 높이고, 반도체 칩 패드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반도체 패키지는, 상면에 다수의 본딩 패드와 보호막을 구비한 반도체 칩; 상기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 사이에 형성된 범프 가이드; 및 상기 본딩 패드 상에 상기 범프 가이드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된 씨드막을 포함한 솔 더 범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씨드막을 포함한 솔더 범프는 범프 가이드와 동일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프 가이드는 상기 솔더 범프의 측면에 형성된 라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프 가이드는 상기 솔더 범프가 중앙에 위치하는 매트릭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은, 상면에 다수의 본딩 패드와 보호막이 형성된 반도체 칩 상에 상기 본딩 패드 사이의 보호막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보호막 상에 절연물질 매립하여 범프 가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마스크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본딩 패드 및 범프 가이드를 포함한 반도체 칩 상에 씨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본딩 패드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본딩 패드의 씨드막 상에 솔더 범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마스크패턴 및 그 하부의 씨드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프 가이드는 상기 씨드막을 포함한 솔더 범프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솔더는 전해도금 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프 가이드는 상기 솔더 범프의 측면에 라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상기 범프 가이드는 상기 솔더 범프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상면에 다수의 본딩 패드(202)와 보호막(204)을 구비한 반도체 칩(200)의 본딩 패드(202) 사이에 형성된 보호막(204) 상에 범프 가이드(20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딩 패드(202) 상에는 씨드막(208)을 포함한 솔더 범프(21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범프 가이드(206)는 씨드막(208)을 포함한 솔더 범프(212)의 높이보다 낮거나 또는 동일한 높이로 가진다. 그리고, 상기 범프 가이드(206)는 상기 솔더 범프(212)의 측면으로 라인 형태 또는 상기 솔더 범프(212)를 중앙에 위치시킨 매트릭스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미세 피치 플립 칩 본딩 공정에서 솔더 범프들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인 쇼트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솔더 범프들 간에 범프 가이드를 형성하여 패키지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고, 범프 가이드의 형성으로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 피치 간의 거리 제한을 완화시킴으로써 반도체 칩 설계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면에 다수의 본딩 패드(302)와 상기 본딩 패드(302) 사이에 반도체 칩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304)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칩(300) 상에 상기 보호막(304)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마스크패턴(330)을 형성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마스크패턴(미도시)이 형성된 웨이퍼(300) 상에 절연물질을 도포 또는 증착한 후, 상기 제1마스크패턴(미도시)을 제거하여 상기 보호막(304) 상에 일정 높이를 갖는 범프 가이드(Bump Guide : 306)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범프 가이드(306)는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씨드막을 포함한 솔더 범프의 높이보다 낮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범프 가이드(306)는 상기 보호막(304) 상에 본딩 패드(302)의 측면으로 라인 형태 또는 상기 본딩 패드(302)를 중앙에 위치시키는 매트릭스의 형태로 형성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범프 가이드(306)가 형성된 반도체 칩(300) 상에 전해도금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금속 씨드막(308)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반도체 칩(300) 상에 본딩 패드(30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로 제2마스크패턴(310)을 형성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2마스크패턴(310)이 형성된 웨이퍼(300)에 전기 도금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외부로 노출된 본딩 패드(302) 상에 솔더 범프(312)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솔더 범프(312)의 높이는 후속 플립 칩 본딩 공정에서 반도체 칩(300)과 인쇄회로 기판을 접착시키는 열압착 공정의 조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도 3e를 참조하면, 상기 제2마스크패턴(미도시) 및 그 하부에 형성되어 있던 금속 씨드막(308)을 제거하여 미세 피치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의 형성을 완료한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 피치 플립 칩 본딩 공정에서 솔더 범프들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인 쇼트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솔더 범프들 간에 범프 가이드를 형성하여 패키지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고, 범프 가이드의 형성으로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 피치 간의 거리 제한을 완화시킴으로써 반도체 칩 설계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상면에 다수의 본딩 패드와 보호막을 구비한 반도체 칩;
    상기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 사이에 형성된 범프 가이드; 및
    상기 본딩 패드 상에 형성된 씨드막을 포함한 솔더 범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씨드막을 포함한 솔더 범프는 상기 범프 가이드 보다 높거나 또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가이드는 상기 솔더 범프의 측면에 형성된 라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가이드는 상기 솔더 범프가 중앙에 위치하는 매트릭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5. 상면에 다수의 본딩 패드와 보호막이 형성된 반도체 칩 상에 상기 본딩 패드 사이의 보호막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보호막 상에 절연물질 매립하여 범프 가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마스크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본딩 패드 및 범프 가이드를 포함한 반도체 칩 상에 씨드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본딩 패드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본딩 패드의 씨드막 상에 솔더 범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마스크패턴 및 그 하부의 씨드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가이드는 상기 씨드막을 포함한 솔더 범프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는 전해도금 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가이드는 상기 솔더 범프의 측면에 라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가이드는 상기 솔더 범프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1020060138507A 2006-12-29 2006-12-29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55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507A KR100855268B1 (ko) 2006-12-29 2006-12-29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507A KR100855268B1 (ko) 2006-12-29 2006-12-29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566A true KR20080062566A (ko) 2008-07-03
KR100855268B1 KR100855268B1 (ko) 2008-09-01

Family

ID=3981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507A KR100855268B1 (ko) 2006-12-29 2006-12-29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2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2967A (ja) * 1994-04-28 1995-11-14 Hirayama Chiyoukokushiyo:Kk 金属メッキによるバンプの形成方法
JP3598564B2 (ja) * 1995-03-16 2004-12-08 富士通株式会社 バンプ形成方法
JP2907188B2 (ja) 1997-05-30 1999-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実装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268B1 (ko) 200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4073B2 (en) Substrate for solder joint
US7382049B2 (en) Chip package and bump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US7327018B2 (en) Chip package structure, packag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638881B2 (en) Chip package
US2011000123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mproved Heat Dissipation with Variable Pitch Grid Array Packaging
JP4110189B2 (ja) 半導体パッケージ
KR20000042664A (ko) 멀티-칩 패키지
JP2011142185A (ja) 半導体装置
JP3651346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23925A1 (en) Semiconductor element with conductive bump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407833B2 (en) Process for fabricating chip package structure
JP2006202991A (ja)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JP5290215B2 (ja) 半導体装置、半導体パッケージ、インタポーザ、及びインタポーザの製造方法
TWI300261B (en) Chip package structur
KR101014577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101740878B1 (ko) 반도체 장치
JP4494249B2 (ja) 半導体装置
US7595268B2 (en)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re-distribution lines for supplying pow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0083192A (ko) 솔더 볼 패키지
KR100855268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US6266249B1 (en) Semiconductor flip chip ball grid array package
US20160064316A1 (en) Package substrate with improved reliability
US11670574B2 (en) Semiconductor device
US20220181274A1 (en) Hybrid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230317590A1 (en) Semiconductor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