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131A - 액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131A
KR20080058131A KR1020070038226A KR20070038226A KR20080058131A KR 20080058131 A KR20080058131 A KR 20080058131A KR 1020070038226 A KR1020070038226 A KR 1020070038226A KR 20070038226 A KR20070038226 A KR 20070038226A KR 20080058131 A KR20080058131 A KR 20080058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ate
liquid crystal
signal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4719B1 (ko
Inventor
박창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1/819,729 priority Critical patent/US8232943B2/en
Priority to GB0713457A priority patent/GB2445044B/en
Priority to TW096127661A priority patent/TWI375211B/zh
Priority to CN2007101397278A priority patent/CN101206362B/zh
Publication of KR20080058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라인 수를 감소시켜 제조 단가 및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을 가지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온 전압을 공급하는 게이트 내장회로와,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라인 단위로 반전됨과 아울러 프레임 단위로 반전되는 화상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에 실장된 구동 집적회로와, 상기 액정패널을 외부의 구동 시스템에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집적회로, 액정패널, 화소셀, 극성, 화상신호

Description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 집적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호 제어부에 의해 정렬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액정패널 102 : 하부기판
104 : 상부기판 110 : 화소셀
112 : 박막 트랜지스터 114 : 화소 전극
120 : 게이트 내장회로 130 : 구동 집적회로
200 : 가요성 인쇄회로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라인 수를 감소시켜 제조 단가 및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액정 표시장치는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고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화소셀들과 화소셀들에 공급되는 신호를 각각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들로 구성된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와,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근 액정패널의 신호라인 수 또는 회로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얇고 가벼움과 동시에 저렴한 액정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39972호에서는 표시 영역의 주변 영역에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는 하나의 통합 구동 칩을 장착함으로써 칩을 장착하는데 소요되는 공정시간 및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더불어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온 글라스 싱글칩 액정 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온 글라스 싱글칩 액정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각 픽셀들이 단위 화소를 구성하는 컬러의 픽셀들이 액정표시패널의 수평방향(게이트 라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스트라이프 구조를 가짐으로써 액정표시패널에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의 수가 많은 단점이 있다.
둘째, 데이터 라인 수의 증가로 인하여 통합 구동 칩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므로 소형(예를 들어 360×160의 해상도) 액정표시패널 이외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데이터 라인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선택회로와 같은 추가적인 회로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넷째, 게이트 라인의 엑티브 구간 동안 선택회로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픽셀 데이터를 시분할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공급함으로써 픽셀 데이터의 챠징시간이 감소하며, 픽셀 데이터의 챠징시간을 고려하여 액정표시패널의 해상도를 설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통합 구동 칩의 각 채널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픽셀 데이터를 수평라인 단위로 반전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라인 수를 감소시켜 제조 단가 및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m(단, m은 자연수)개의 데이터 라인들 및 n(단, n은 자연수)개의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을 가지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온 전압을 공급하는 게이트 내장회로와,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라인 단위로 반전됨과 아울러 프레임 단위로 반전되는 화상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에 실장된 구동 집적회로와, 상기 액정패널을 외부의 구동 시스템에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m(단, m은 자연수)개의 데이터 라인들 및 n(단, n은 자연수)개의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을 가지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온 전압을 공급하는 게이트 내장회로와,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1 수평 구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서브구간에 대응되는 색의 화상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에 실장된 구동 집적회로와, 상기 액정패널을 외부의 구동 시스템에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m(단, m은 자연수)개의 데이터 라인들 및 n(단, n은 자연수)개의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 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을 가지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을 공급하는 게이트 내장회로와,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화상신호를 공급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에 실장된 구동 집적회로와, 상기 액정패널을 외부의 구동 시스템에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게이트 라인들(GL)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의 방향(수직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수평 방향)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110)을 가지는 액정패널(100)과, 액정패널(100)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는 게이트 내장회로(120)와, 게이트 내장회로(120)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데이터 라인들(DL)에 화상신호를 공급하도록 액정패널(100)에 실장된 구동 집적회로(130)와, 액정패널(100)에 부착되어 액정패널(100)을 외부의 구동 시스템(미도시)에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정패널(100)은 서로 대향하여 합착된 하부기판(102) 및 상부기판(104)과, 두 기판(102, 104) 사이의 셀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미도시)와, 스페이서에 의해 마련된 액정공간에 채워진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기판(102)은 상부기판(104)에 대응되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을 제외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기판(102)의 표시영역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DL)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GL)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게이트 라인들(GL)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화소셀(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화상신호가 공급되는 데이터 라인들(DL)은 게이트 온 전압이 공급되는 게이트 라인들(GL)보다 적은 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화소셀(110) 각각은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되는 박막 트랜지스터(112)와, 박막 트랜지스터(112)에 접속된 화소 전극(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112)는 게이트 라인(GL)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과,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된 소스 전극과, 화소 전극(114)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박막 트랜지스터(112) 각각은 데이터 라인(DL)을 따라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된다. 즉, 데이터 라인(DL)을 따라 상하로 인접한 2개의 화소셀(112) 각각의 박막 트랜지스터(112)는 서로 다른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L2n-1)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112) 각각은 제 1 내지 제 m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각 화소 전극(114)에 공급하고,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L2n)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112) 각각은 제 2 내지 제 m+1 데이터 라인(DL2 내지 DLm+1)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각 화소 전극(114)에 공급한다.
화소 전극(114)은 데이터 라인(DL)과 나란한 단변의 길이가 게이트 라인(GL)과 나란한 장변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화소 전극(114)은 수평 스트라이프 형태를 갖는다.
하부기판(102)의 비표시영역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각각에 접속되는 게이트 내장회로(120)가 형성됨과 아울러 구동 집적회로(130)가 실장된다.
상부기판(104)은 컬러필터, 공통전극, 차광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공통전극은 액정층에 형성되는 액정에 따라 하부기판(102)에 형성될 수 있다.
컬러필터는 적색(R) 컬러필터, 녹색(G) 컬러필터 및 청색(B) 컬러필터가 데이터 라인(DL)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GL)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색으로 형성된다.
공통전극은 액정층에 수직 전계를 형성하기 위해 화소 전극(114)와 대향되도록 상부기판(104)의 전면에 형성되거나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통전극은 액정층에 수평 전계를 형성하기 위해 화소전극(114)과 나란하도록 하부기판(102)에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은 화소전극(114)에 중첩되는 개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중첩되도록 상부기판(104)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적색(R) 컬러필터, 녹색(G) 컬러필터 및 청색(B) 컬러필터 각각이 형성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화소셀은 하나의 컬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단위 화소를 구성한다.
가요성 인쇄회로(200)는 하부기판(102)의 비표시영역에 마련되어 패드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가요성 인쇄회로(200)는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데이터신호(Data) 및 동기신호(DE, DCLK, Hsync, Vsync)를 구동 집적회로(130)에 전달한다.
구동 집적회로(130)는 하부기판(102)의 비표시영역에 복수의 입출력 패드가 형성된 집적회로 실장부에 실장된다. 이에 따라, 구동 집적회로(130)에 마련된 복수의 입출력 범프들 각각은 집적회로 실장부의 입출력 패드들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실장된다.
구동 집적회로(130)는 가요성 인쇄회로(200)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DE, DCLK, Hsync, Vsync)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평 동기신호(Hsync)의 한 주기에 대응되는 1 수평구간을 제 1 내지 제 3 서브구간으로 나누어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신호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구동 집적회로(130)는 소스 데이터신호(Data)를 제 1 내지 제 3 서브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적색 데이터(R), 녹색 데이터(G) 및 청색 데이터(B)로 정렬한 후 아날로그 신호인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구동 집적회로(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중계부(310), 제 1 전원 생성부(320), 클럭 생성부(322), 기준전압 설정부(324), 제 2 전원 생성부(326), 공통전압 생성부(328), 신호 제어부(330), 제어신호 생성 부(340), 승압회로(350), 계조전압 생성부(360) 및 데이터 변환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 중계부(310)는 가요성 인쇄회로(200)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데이터신호(Data) 및 동기신호(DE, DCLK, Hsync, Vsync)를 신호 제어부(330)로 중계한다.
클럭 생성부(322)는 제 1 및 제 2 전원 생성부(326)를 구동시키기 위한 클럭을 생성한다.
제 1 전원 생성부(320)는 가요성 인쇄회로(200)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전원(Vin)을 이용하여 클럭 생성부(322)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제 1 전원, 즉 제 1 및 제 2 기준전압(VSP, VSN)을 생성한다. 이때, 가요성 인쇄회로(200)에 실장된 저항(210)과 커패시터(220) 및 인덕터(230) 등의 수동소자는 전원 신호라인(321a, 321b, 321c)을 통해 제 1 전원 생성부(320)에 접속되어 제 1 전원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제 1 및 제 2 기준전압(VSP, VSN)을 바이어싱(Biasing)하거나 구동 집적회로(130)의 옵션기능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 2 전원 생성부(326)는 제 1 전원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제 1 및 제 2 기준전압(VSP, VSN)을 이용하여 액정패널(100)의 구동에 필요한 제 2 전원, 즉 제 1 및 제 2 구동전압(Vdd, Vss), 집적회로 구동전압(Vcc),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생성한다.
기준전압 설정부(324)는 제 1 전원 생성부(320)로부터 계조전압 생성부(360)로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기준전압(VSP, VSN)의 레벨을 설정한다.
공통전압 생성부(328)는 제 2 전원 생성부(326)로부터 가요성 인쇄회로(200) 의 수동소자를 통해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구동전압(Vdd, Vss)을 이용하여 액정패널(100)의 공통전극에 공급될 공통전압을 생성한다. 이때, 가요성 인쇄회로(200)는 도시하지 않은 저항과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공통전압 생성부(328)에서 생성되는 공통전압(Vcom)을 가변하기 위한 공통전압 가변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 제어부(330)는 신호 중계부(310)의 구동을 제어하며, 구동 집적회로(130)의 내부 회로블록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중계부(310)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데이터신호(Data)를 액정패널(100)의 구동에 알맞도록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RGB)를 데이터 변환부(380)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제어부(330)는 신호 중계부(310)로부터 공급되는 1 수평 구간의 소스 데이터신호(Data)를 제 1 내지 제 3 서브구간 각각에 대응되도록 적색 데이터(R), 녹색 데이터(G) 및 청색 데이터(B)로 정렬한다.
그리고, 신호 제어부(330)는 정렬된 적색 데이터(R)를 1 수평구간의 제 1 서브구간(1ST) 동안 제 1 내지 제 m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중 홀수번째 데이터 라인들(DL1, DL3 내지 DLm-1)에 공급될 홀수번째 적색 데이터(RO1 내지 ROm/2)와 짝수번째 데이터 라인들(DL2, DL4 내지 DLm)에 공급될 짝수번째 적색 데이터(RE1 내지 REm/2)로 재정렬한다.
이어, 신호 제어부(330)는 정렬된 녹색 데이터(G)를 1 수평구간의 제 2 서브구간(2ST) 동안 제 2 내지 제 m+1 데이터 라인들(DL2 내지 DLm+1) 중 짝수번째 데 이터 라인들(DL2, DL4 내지 DLm)에 공급될 홀수번째 녹색 데이터(GO1 내지 GOm/2)와 홀수번째 데이터 라인들(DL3, DL5 내지 DLm+1)에 공급될 짝수번째 녹색 데이터(GE1 내지 GEm/2)로 재정렬한다.
마찬가지로, 신호 제어부(330)는 정렬된 청색 데이터(B)를 1 수평구간의 제 3 서브구간(3ST) 동안 제 1 내지 제 m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중 홀수번째 데이터 라인들(DL1, DL3 내지 DLm-1)에 공급될 홀수번째 청색 데이터(BO1 내지 BOm/2)와 짝수번째 데이터 라인들(DL2, DL4 내지 DLm)에 공급될 짝수번째 청색 데이터(BE1 내지 BEm/2)로 재정렬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330)는 신호 중계부(310)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DE, DCLK, Hsync, Vsync)를 제어신호 생성부(340)에 공급한다.
제어신호 생성부(340)는 신호 제어부(330)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DE, DCLK, Hsync, Vsync)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제어신호(DST, DSC, DOE, DPS) 및 게이트 구동신호(RVst, RCLK1 내지 RCLKi)를 생성한다.
데이터 제어신호(DST, DSC, DOE, DPS)는 데이터 변환부(38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스타트 신호(DST)와, 데이터 쉬프트 클럭(DSC)와, 데이터 출력신호(DOE) 및 데이터 극성신호(DPS)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신호 생성부(340)는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DL)에 서로 다른 극성의 화상신호를 공급함과 아울러 각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되는 화상신호의 극성을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반전시키기 위한 데이터 극성신호(DPS)를 생성한다. 즉, 제어신호 생성부(340)는 화상신호의 극성을 데이터 라인 단위로 반전시킴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반전시 키는 컬럼 인버젼 방식의 데이터 극성신호(DSP)를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신호(RVst, RCLK1 내지 RCLKi)는 게이트 내장회로(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스타트 신호(RVst)와 제 1 내지 제 i 클럭신호(RCLK1 내지 RCLKi)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i 클럭신호(RCLK1 내지 RCLKi) 각각은 각 서브구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온시키기 위한 펄스 폭을 가지도록 위상이 순차적으로 지연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i 클럭신호(RCLK1 내지 RCLKi)는 게이트 내장회로(120)에 따라 2상, 4상, 6상, 8상 및 10상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승압회로(350)는 제 2 전원 생성부(326)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이용하여 제어신호 생성부(34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신호(RVst, RCLK1 내지 RCLKi)의 전압레벨을 승압한다. 여기서, 게이트 온 전압(Von)은 각 화소셀(110)의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턴-온시키기 위한 전압이고,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은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턴-오프시키기 위한 전압이다. 이러한, 승압회로(350)는 하부기판(102)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라인(140)을 통해 승압된 게이트 구동신호(Vst, CLK1 내지 CLKi)를 게이트 내장회로(120)에 공급한다.
계조전압 생성부(360)는 제 1 전원 생성부(32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기준전압(VSP, VSN)을 세분화하여 복수의 계조전압을 생성하여 데이터 변환부(380)에 공급한다. 여기서, 복수의 계조전압은 소스 데이터신호(Data)가 N비트일 경우 2N개의 정극성(+)의 계조전압과 부극성(-)의 계조전압을 생성한다.
데이터 변환부(380)는 쉬프트 레지스터(381), 래치부(383),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85), 버퍼부(387) 및 선택부(38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쉬프트 레지스터(381)는 제어신호 생성부(34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쉬프트 클럭(DSC)에 따라 데이터 스타트 신호(DST)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쉬프트 신호(SS)를 생성한다. 이때, 쉬프트 레지스터(381)는 신호 제어부(330)로부터 공급되는 방향신호에 따라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양방향 쉬프트 레지스터가 될 수 있다.
래치부(383)는 쉬프트 레지스터(381)로부터 공급되는 쉬프트 신호(SS)에 따라 신호 제어부(330)로부터 공급되는 1 수평 라인분의 데이터(RGB)를 순차적으로 래치한다. 그리고, 래치부(383)는 제어신호 생성부(34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출력신호(DOE)에 따라 래치된 1 수평 라인분의 데이터(RData)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85)에 공급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85)는 계조전압 생성부(360)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정극성 계조전압들과 부극성 계조전압들을 이용하여 래치부(383)로부터 공급되는 래치된 데이터(RData)를 아날로그 신호인 정극성 및 부극성 화상신호(PVS, NVS)로 변환한다. 이때,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85)는 복수의 정극성 계조전압들에서 래치된 데이터(RData)의 계조값에 대응되는 하나의 계조 전압을 정극성 화상신호(PVS)로 선택함과 동시에 복수의 부극성 계조전압들에서 래치된 데이터(RData)의 계조값에 대응되는 하나의 계조 전압을 부극성 화상신호(NVS)로 선택한다.
버퍼부(387)는 제 1 전원 생성부(320)로부터 가요성 인쇄회로(200)의 수동소자를 통해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구동전압(Vdd, Vss)을 이용하여 정극성 및 부극 성 화상신호(PVS, NVS) 각각을 버퍼링한다. 이때, 버퍼부(387)는 데이터 라인(DL)의 부하를 감안하여 정극성 및 부극성 화상신호(PVS, NVS) 각각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선택부(389)는 제어신호 생성부(34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극성신호(DPS)에 따라 버퍼부(387)로부터 공급되는 정극성 또는 부극성 화상신호(PVS, NVS)를 선택하여 제 1 내지 제 m+1 출력채널을 통해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이때, 선택부(389)에 의해 선택되어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극성은 데이터 극성신호(DPS)에 따라 출력채널 단위로 반전됨과 아울러 프레임 단위로 반전된다.
도 1에서, 게이트 내장회로(120)는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형성 공정과 함께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각각에 접속되도록 하부기판(102)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된다. 이러한, 게이트 내장회로(120)는 구동 집적회로(130)로부터 공급되는 승압된 게이트 구동신호(Vst, CLK1 내지 CLKi)에 따라 각 서브구간마다 게이트 온 전압을 발생하여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때, 구동 집적회로(130)는 하부기판(102)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라인(140)을 통해 승압된 게이트 구동신호(Vst, CLK1 내지 CLKi)를 게이트 내장회로(120)에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를 도 1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수평구간의 제 1 서브구간에서는 제 1 게이트 라인(GL1)에 게이트 온 전압이 공급됨과 동기되도록 제 1 내지 제 m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중 홀수번째 데이터 라인들(DL_odd)에 정극성(+)의 적색 화상신호(R+)가 공급되고 짝수번째 데이터 라인들(DL_even)에 부극성(-)의 적색 화상신호(R-)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 1 수평라인의 각 화소셀(110) 중 홀수번째 화소셀들(110)은 정극성의 적색 화상신호(R+)에 대응되는 적색 화상을 표시하고 짝수번째 화소셀들(110)은 부극성의 적색 화상신호(R-)에 대응되는 적색 화상을 표시한다.
이어, 제 1 수평구간의 제 2 서브구간에서는 제 2 게이트 라인(GL2)에 게이트 온 전압이 공급됨과 동기되도록 제 2 내지 제 m+1 데이터 라인들(DL2 내지 DLm+1) 중 홀수번째 데이터 라인들(DL_odd)에 정극성의 녹색 화상신호(G+)가 공급되고 짝수번째 데이터 라인들(DL_even)에 부극성의 녹색 화상신호(G-)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 2 수평라인의 각 화소셀(110) 중 홀수번째 화소셀들(110)은 부극성의 녹색 화상신호(G-)에 대응되는 녹색 화상을 표시하고 짝수번째 화소셀들(110)은 정극성의 녹색 화상신호(G+)에 대응되는 녹색 화상을 표시한다. 이때, 수직으로 인접한 제 1 및 제 2 수평라인의 각 화소셀(110)에 표시되는 화상신호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
이어 제 1 수평구간의 제 3 서브구간에서는 제 3 게이트 라인(GL3)에 게이트 온 전압이 공급됨과 동기되도록 제 1 내지 제 m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m) 중 홀수번째 데이터 라인들(DL_odd)에 정극성의 청색 화상신호(B+)가 공급되고 짝수번째 데이터 라인들(DL_even)에 부극성의 청색 화상신호(B-)가 공급된다. 이에 따 라, 제 3 수평라인의 각 화소셀(110) 중 홀수번째 화소셀들(110)은 정극성의 청색 화상신호(B+)에 대응되는 청색 화상을 표시하고 짝수번째 화소셀들(110)은 부극성의 청색 화상신호(B-)에 대응되는 청색 화상을 표시한다. 이때, 수직으로 인접한 제 2 및 제 3 수평라인의 각 화소셀(110)에 표시되는 화상신호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서브구간으로 나누어진 제 1 수평구간에서는 각 서브구간에 의해 순차적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상을 혼합하여 하나의 컬러 화상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제 1 수평구간 이후의 각 수평구간의 각 화소셀에는 상술한 제 1 수평구간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나의 컬러 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다음 프레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신호의 극성이 반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DL)의 방향을 따라 1개씩 엇갈리게 배치된 화소셀들(110)을 포함함으로써 구동 집적회로(130)로부터 컬럼 인버젼 방식으로 화소셀들(110)에 공급되는 화상신호의 극성패턴을 1 도트 인버젼 방식의 극성패턴으로 표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각 화소셀(110)의 배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에서는 각 화소셀(110)의 배치 구조를 제외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화소셀들(110)은 데이터 라인의 방향을 따라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에 2개씩 엇갈리게 접속된다. 즉, 4k-3(단, k는 자연수)번째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은 인접한 좌측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고, 4k-2번째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은 인접한 좌측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다. 반면에, 4k-1번째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은 인접한 우측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고, 4k번째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은 인접한 우측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다.
그리고, 각 화소셀(110)에 접속된 데이터 라인들에는 구동 집적회로(130)로부터 화상신호가 공급된다. 이때, 화상신호의 극성은 각 데이터 라인 마다 반전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반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DL)의 방향을 따라 2개씩 엇갈리게 배치된 화소셀들(110)을 포함함으로써 구동 집적회로(130)로부터 컬럼 인버젼 방식으로 화소셀들(110)에 공급되는 화상신호의 극성패턴을 수직 2 도트 인버젼 방식의 극성패턴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수직 2도트 인버젼 방식의 극성패턴은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따라 2개의 화소셀 단위로 화상신호의 극성이 반전됨과 아울러 데이터 라인 단위로 화상신호의 극성이 반전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구동 집적회 로(130)로부터 출력되는 컬럼 인버젼 방식의 화상신호를 액정패널(100) 상에 수직 2 도트 인버젼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도트 플리커와 같은 화질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구동 집적회로(13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극성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반전됨으로써 각 화소셀(110)의 챠징시간 향상시킴과 아울러 화상신호의 지연 특성을 개선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단위 화소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각 화소셀이 수평 스트라이프 구조를 가짐으로써 데이터 라인의 수를 1/3로 감소시켜 소형 액정 표시장치뿐만 아니라 중형 액정 표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에서는 화소셀들(110)이 데이터 라인(DL)의 방향을 따라 1개씩 또는 2개씩 엇갈리게 배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버젼 방식에 따른 화질을 고려하여 적어도 데이터 라인(DL)의 방향을 따라 3개 이상씩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하나의 구동 집적회로로 액정패널을 구동함과 아울러 구동 집적회로를 액정패널에 내장함으로써 단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화상신호의 극성을 데이터 라인 단위로 반전시킴과 아울러 프레임 단위로 반전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화상신호의 극성 변화를 최소화하여 화상신호의 충전시간을 확보함으로써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각 화소셀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데이터 라인들의 수를 1/3로 저감함으로써 소형 액정 표시장치뿐만 아니라 중형 액정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섯째, 하나의 구동 집적회로만으로 액정패널을 구동함으로써 가요성 인쇄회로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가요성 인쇄회로의 단가를 저감할 수 있다.
여섯째,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액정패널에 내장함으로써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 게이트 가요성 인쇄회로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을 제거할 수 있다.
일곱째, 액정패널의 제조공정과 구동 집적회로의 실장 공정 및 가요성 인쇄회로의 부착 공정만으로 액정 표시장치를 제조함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덟째, 액정패널에 공급되는 컬럼 인버젼 방식의 화상신호를 수직 2 도트 인버젼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화질을 도트 플리커와 같은 화질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아홉째, 구동 집적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극성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반전됨으로써 각 화소셀의 챠징시간 향상시킴과 아울러 화상신호의 지연 특성을 개선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m(단, m은 자연수)개의 데이터 라인들 및 n(단, n은 자연수)개의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을 가지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온 전압을 공급하는 게이트 내장회로와,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라인 단위로 반전됨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반전되는 화상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에 실장된 구동 집적회로와,
    상기 액정패널을 외부의 구동 시스템에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2. m(단, m은 자연수)개의 데이터 라인들 및 n(단, n은 자연수)개의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을 가지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온 전압을 공급하는 게이트 내장회로와,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1 수평 구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서브구간에 대응되는 색의 화상신호를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에 실장된 구동 집적회로와,
    상기 액정패널을 외부의 구동 시스템에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3. m(단, m은 자연수)개의 데이터 라인들 및 n(단, n은 자연수)개의 게이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을 가지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을 공급하는 게이트 내장회로와,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화상신호를 공급하도록 상기 액정패널에 실장된 구동 집적회로와,
    상기 액정패널을 외부의 구동 시스템에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셀은 상기 게이트 라인에 나란한 장변이 상기 데이터 라인에 나란한 단변보다 긴 스트라이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셀들은 상기 데이터 라인의 방향을 따라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에 적어도 1개씩 엇갈리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셀들은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에 1개씩 엇갈리게 접속되며,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상기 화소셀들은 인접한 좌측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고,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상기 화소셀들은 인접한 우측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셀들은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에 2개씩 엇갈리게 접속되며,
    4k-3(단, k는 1 내지 n/4의 자연수)번째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은 인접한 좌측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고,
    4k-2번째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은 인접한 좌측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고,
    4k-1번째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은 인접한 우측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고,
    4k번째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은 인접한 우측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집적회로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를 통해 상기 구동 시스템으로부터의 소스 데이터신호 및 동기신호를 중계하는 신호 중계부와,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제 1 전원 생성부와,
    상기 제 1 전원을 이용하여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제 2 전원 생성부와,
    상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패널에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공통전압 생성부와,
    상기 신호 중계부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데이터신호를 상기 액정패널의 구동에 알맞도록 정렬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집적회로의 내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신호 제어부를 통해 공급되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구동신호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신호의 전압레벨을 승압하여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에 공급하는 승압회로와,
    상기 제 1 전원을 이용하여 복수의 계조전압을 생성하는 계조전압 생성부와,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정렬된 데이터신호를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계조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집적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생성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와,
    상기 제 1 전원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의 전압레벨을 설정하여 상기 계조전압 생성부에 공급하는 레벨 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1 수평 구간을 제 1 내지 제 3 서브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각 서브구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1 수평 구간의 소스 데이터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색의 데이터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이 구동되는 상기 서브구간에는 제 1 내지 제 m 데이터 라인들에 상기 화상신호가 공급되도록 상기 정렬된 데이터를 재정렬하고,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이 구동되는 상기 서브구간에는 제 2 내지 제 m+1 데이터 라인들에 상기 화상신호가 공급되도록 상기 정렬된 데이터를 재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쉬프트 신호를 생성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쉬프트 신호에 따라 상기 정렬된 데이터 신호를 래치하는 래치부와,
    상기 래치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계조전압을 이용하여 정극성 및 부극성 화상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정극성 및 부극성 화상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부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극성신호에 따라 상기 정극성 및 부극성 화상신호를 선택하여 복수의 출력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는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극성을 상기 출력채널 단위로 반전시킴과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단위로 반전시키기 위한 상기 데이터 극성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는 상기 제 1 전원을 바이어싱시키거나 상기 구동 집적회로의 옵션 기능을 위한 저항, 커패시터 및 인덕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동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는 상기 공통전압을 가변하기 위한 저항,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통전압 가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20070038226A 2006-12-20 2007-04-19 액정 표시장치 KR101264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19,729 US8232943B2 (en) 2006-12-20 2007-06-28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GB0713457A GB2445044B (en) 2006-12-20 2007-07-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same
TW096127661A TWI375211B (en) 2006-12-20 2007-07-27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007101397278A CN101206362B (zh) 2006-12-20 2007-07-27 液晶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0763 2006-12-20
KR1020060130763 2006-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131A true KR20080058131A (ko) 2008-06-25
KR101264719B1 KR101264719B1 (ko) 2013-05-15

Family

ID=3956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226A KR101264719B1 (ko) 2006-12-20 2007-04-19 액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64719B1 (ko)
CN (1) CN101206362B (ko)
TW (1) TWI3752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906B1 (ko) * 2008-12-23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TWI409780B (zh) 2009-01-22 2013-09-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可加長充電時間之液晶顯示裝置及相關驅動方法
CN101826311B (zh) * 2009-03-06 2012-08-29 华映视讯(吴江)有限公司 可加长充电时间的液晶显示装置及相关驱动方法
TWI407400B (zh) * 2009-09-14 2013-09-0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器、平面顯示器及其閘極驅動方法
CN102707526B (zh) * 2012-06-13 2015-09-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
CN103293809B (zh) * 2013-05-28 2015-09-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抗色偏显示面板
CN104298041B (zh) * 2014-11-10 2017-04-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液晶面板以及液晶显示器
CN105388674B (zh) * 2015-12-02 2018-09-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以及液晶显示装置
CN105427819B (zh) * 2015-12-24 2017-06-2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栅极驱动架构及其阵列基板
CN105425491A (zh) * 2016-01-05 2016-03-23 重庆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双栅型像素结构、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70133556A (ko) * 2016-05-25 2017-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11559B1 (ko) * 2018-01-26 2023-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컨트롤러, 그 구동방법
CN108803104A (zh) * 2018-05-31 2018-11-1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09920389B (zh) * 2019-04-29 2021-08-3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CN110459187B (zh) * 2019-08-15 2021-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器的驱动方法、驱动装置及显示装置
CN111312192A (zh) * 2020-04-02 2020-06-1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驱动电路及液晶显示器
CN112086077A (zh) * 2020-09-17 2020-12-15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051A (ja) * 2000-07-18 2002-01-31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
US7508479B2 (en) * 2001-11-15 2009-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28251A (en) 2008-07-01
CN101206362B (zh) 2012-07-04
TWI375211B (en) 2012-10-21
KR101264719B1 (ko) 2013-05-15
CN101206362A (zh)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719B1 (ko) 액정 표시장치
US823294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08455B1 (ko) 액정 표시장치
US8400390B2 (en) Gate driv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JP5483517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308452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20075166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38636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351379B1 (ko) 액정 표시장치
KR20080109159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42990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374103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20133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407297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493219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340997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18248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70074176A (ko) 액정표시장치
KR10107441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927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10036215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