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219B1 -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219B1
KR101493219B1 KR20070121919A KR20070121919A KR101493219B1 KR 101493219 B1 KR101493219 B1 KR 101493219B1 KR 20070121919 A KR20070121919 A KR 20070121919A KR 20070121919 A KR20070121919 A KR 20070121919A KR 101493219 B1 KR101493219 B1 KR 101493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orizontal
signal
gat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2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147A (ko
Inventor
박창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12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2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43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패널의 데이터 라인 수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첫번째 수평라인 및 마지막 수평라인의 데이터 충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n개의 게이트 라인들 및 m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을 가지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액정패널에 실장되어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소스 데이터 신호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구동에 대응되는 각 수평구간에 동기되도록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 각각에 변조된 화상신호를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는 구동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특성, 첫번째 수평라인, 마지막 수평라인, 휘도, 변조

Description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패널의 데이터 라인 수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첫번째 수평라인 및 마지막 수평라인의 데이터 충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액정 표시장치는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이 형성되고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화소셀들과 화소셀들에 공급되는 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들로 구성된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와,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정패널의 각 화소셀은 스위치 소자를 통해 공급되는 화상신호를 충전하고, 충전된 화상신호에 대응되도록 액정을 구동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신호에 상응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패널은 고해상도로 갈수록 감소되는 데이터 충전 시간을 개선하 기 위하여, 각 수직라인 단위로 화상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컬럼 인버젼(수직 라인 인버젼) 방식으로 구동된다.
그러나, 컬럼 인버젼 방식으로 구동되는 액정패널은 화상신호가 프레임 단위로 반전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트랜지션(Transition)에 의해 첫번째 수평라인 및 마지막 수평라인에서 데이터 충전 시간이 데이터의 트랜지션 구간만큼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액정 표시장치에서는 데이터의 트랜지션 구간만큼 감소되는 데이터 충전 시간으로 인하여 첫번째 수평라인 및 마지막 수평라인의 휘도가 다른 수평라인과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액정 표시장치에서는 3개의 화소셀을 하나의 단위 화소로 구성하여 컬러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데이터 라인의 수가 증가하여 고해상도화에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정패널의 데이터 라인 수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첫번째 수평라인 및 마지막 수평라인의 데이터 충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n개의 게이트 라인들 및 m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을 가지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액정패널에 실장되어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소스 데이터 신호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구동에 대응되는 각 수평구간에 동기되도록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 각각에 변조된 화상신호를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는 구동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n개의 게이트 라인과 m개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화소셀이 형성된 표시부를 가지는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소스 데이터 신호를 상기 게이트 라인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을 가지며 상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서로 다른 색을 가지도록 색별로 정렬하여 단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단색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구동에 대응되는 각 수평구간에 동기되도록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수평구간 중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에는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변조된 화상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상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 각각을 검출하여 제 1 및 제 2 수평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각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 중 상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의 계조값을 변조하여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에 상기 변조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각 화소셀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데이터 라인들의 수를 1/3로 저감할 수 있다.
둘째, 첫번째 수평구간 및 마지막 수평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화상신호의 극성반전에 따른 첫번째 및 마지막 수평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의 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화상 신호의 극성을 데이터 라인 및 적어도 3개의 게이트 라인 단위로 반전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화소셀의 충전시간을 확보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하나의 구동 집적회로로 액정패널을 구동함과 아울러 구동 집적회로를 액정패널에 내장함으로써 단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하나의 구동 집적회로만으로 액정패널을 구동함으로써 가요성 인쇄 회로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가요성 인쇄회로의 단가를 저감할 수 있다.
여섯째,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액정패널에 내장함으로써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 게이트 가요성 인쇄회로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을 제거할 수 있다.
일곱째, 액정패널의 제조공정과 구동 집적회로의 실장 공정 및 가요성 인쇄회로의 부착 공정만으로 액정 표시장치를 제조함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m개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n개의 게이트 라인들(GL)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DL)의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GL)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110)을 가지는 액정패널(100)과, 액정패널(100)에 형성되어 각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120)와, 외부로부터의 소스 데이터 신호(Data)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각 게이트 라인(GL)의 구동에 동기되도록 각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하며, 제 1 및 제 n 게이트 라인(수평라인)에 변조된 화상신호를 공급함과 아울러 게이트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구 동 집적회로(130)와, 액정패널(100)에 부착되어 구동 집적회로(130)를 외부의 구동 시스템(미도시)에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정패널(100)은 서로 대향하도록 합착된 하부기판(102) 및 상부기판(104)과, 두 기판(102, 104) 사이의 셀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미도시)와, 스페이서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기판(102)은 상부기판(104)에 대응되는 표시부와 표시부를 제외한 비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기판(102)의 표시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제 1 방향(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m개의 데이터 라인(DL)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n개의 게이트 라인(GL)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게이트 라인들(GL)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화소셀(110)이 형성된다. 이때, 화상신호가 공급되는 데이터 라인들(DL)은 게이트 온 전압이 공급되는 게이트 라인들(GL)보다 적은 수를 갖는다.
화소셀(110)은 게이트 라인(GL)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으로 배치되고, 데이터 라인(DL)의 방향으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순서로 반복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각 화소셀(110)은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되는 박막 트랜지스터(112)와, 박막 트랜지스터(112)에 접속된 화소전극(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셀(110) 각각은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되는 박막 트랜지스터(112)와, 박막 트랜지스터(112)에 접속된 화소전극(114)을 포함하여 구성 된다.
박막 트랜지스터(112)는 게이트 라인(GL)에 접속된 게이트전극과,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된 소스전극과, 화소전극(114)에 접속된 드레인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112) 각각은 게이트 라인(GL)에 공급되는 게이트 온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어 각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신호를 각 화소전극(114)에 공급한다.
화소전극(114)은 데이터 라인(DL)과 나란한 단변의 길이가 게이트 라인(GL)과 나란한 장변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화소전극(114)은 수평 스트라이프 형태를 갖는다.
하부기판(102)의 비표시부에는 각 게이트 라인(GL) 각각에 접속되는 게이트 구동회로(120)가 형성됨과 아울러 구동 집적회로(130)가 실장된다.
상부기판(104)은 컬러필터, 공통전극, 차광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컬러필터는 적색(R) 컬러필터, 녹색(G) 컬러필터 및 청색(B) 컬러필터가 데이터 라인(DL)의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GL)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색으로 형성된다.
공통전극은 액정층에 수직 전계를 형성하기 위해 화소전극(114)과 대향되도록 상부기판(104)의 전면에 형성되거나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통전극은 액정층에 수평 전계를 형성하기 위해 화소전극(114)과 나란하도록 하부기판(102)에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은 화소전극(114)에 중첩되는 개구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중첩 되도록 상부기판(104)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적색(R) 컬러필터, 녹색(G) 컬러필터 및 청색(B) 컬러필터 각각이 형성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화소셀은 하나의 컬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단위 화소를 구성한다.
가요성 인쇄회로(200)는 하부기판(102)의 비표시부에 마련된 패드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가요성 인쇄회로(200)는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데이터 신호(Data) 및 동기신호(DE, DCLK, Hsync, Vsync)를 구동 집적회로(130)에 전달한다.
구동 집적회로(130)는 복수의 입출력 패드를 가지도록 하부기판(102)의 비표시부에 형성된 집적회로 실장부에 실장된다. 이에 따라, 구동 집적회로(130)에 마련된 각 입출력 범프들은 집적회로 실장부의 각 입출력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실장된다.
구동 집적회로(130)는 가요성 인쇄회로(200)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DE, DCLK, Hsync, Vsync)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평 동기신호(Hsync)의 한 주기에 대응되는 1 수평구간을 제 1 내지 제 3 서브구간으로 나누어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신호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구동 집적회로(130)는 소스 데이터 신호(Data)를 제 1 내지 제 3 서브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적색 데이터(R), 녹색 데이터(G) 및 청색 데이터(B)로 정렬한 후, 아날로그 신호인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이때, 화상신호의 극성은 데이터 라인(DL) 단위로 반전됨과 아울러 적어도 1 프레임 단위로 반전된다.
그리고, 구동 집적회로(130)는 제 1 및 제 n 게이트 라인들(GL1, GLn) 각각의 구동시 제 1 수평라인에 대응되는 소스 데이터 신호(R)를 변조하고, 변조된 소스 데이터 신호(MR)를 변조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각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하거나, 제 2 수평라인에 대응되는 소스 데이터 신호(B)를 변조하고, 변조된 소스 데이터 신호(MB)를 변조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각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구동 집적회로(130)는 제 1 및 제 2 수평라인의 소스 데이터 신호(R, B) 각각을 변조함으로써 화상신호의 극성 반전에 따른 표시부의 첫번째 및 마지막 수평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의 충전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 집적회로(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중계부(310), 제 1 전원 생성부(320), 클럭 생성부(322), 기준전압 설정부(324), 제 2 전원 생성부(326), 신호 제어부(330), 제어신호 생성부(340), 승압회로(350), 계조전압 생성부(360), 공통전압 생성부(370) 및 데이터 변환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 중계부(310)는 가요성 인쇄회로(200)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데이터 신호(Data) 및 동기신호(DE, DCLK, Hsync, Vsync)를 신호 제어부(330)로 중계한다.
클럭 생성부(322)는 제 1 및 제 2 전원 생성부(320, 326)를 구동시키기 위한 클럭을 생성한다.
제 1 전원 생성부(320)는 가요성 인쇄회로(200)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전원(Vin)을 이용하여 클럭 생성부(322)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제 1 전원, 즉 제 1 및 제 2 기준전압(VSP, VSN)을 생성한다. 이때, 가요성 인쇄회로(200)에 실장된 저항(210)과 커패시터(220) 및 인덕터(230) 등의 수동소자는 전원 신호라인(321a)을 통해 제 1 전원 생성부(320)에 접속되어 제 1 전원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제 1 및 제 2 기준전압(VSP, VSN)을 바이어싱(Biasing)한다. 여기서, 저항(210)과 커패시터(220) 및 인덕터(230) 등의 수동소자는 구동 집적회로(130)의 옵션기능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2 전원 생성부(326)는 제 1 전원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제 1 및 제 2 기준전압(VSP, VSN)을 이용하여 액정패널(100)의 구동에 필요한 제 2 전원, 즉 제 1 및 제 2 구동전압(Vdd, Vss), 집적회로 구동전압(Vcc),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생성한다. 이때, 저항(210)과 커패시터(220) 및 인덕터(230) 등의 수동소자는 전원 신호라인(321b)을 통해 제 2 전원 생성부(326)에 접속되어 제 2 전원 생성부(326)에서 생성된 전압을 바이어싱 한다.
기준전압 설정부(324)는 제 1 전원 생성부(320)로부터 계조전압 생성부(360)로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기준전압(VSP, VSN)의 레벨을 설정한다.
신호 제어부(330)는 신호 중계부(310)의 구동을 제어하며, 구동 집적회로(130)의 내부 회로블록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신호 제어부(330)는 신호 중계부(310)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DE', DCLK', Hsync', Vsync)를 제어신호 생성부(340)로 전달한다. 이때, 신호 제어부(330)는 동기신호(DE, DCLK, Hsync, Vsync) 중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도트클럭(CLK) 및 수평 동기신호(Hsync) 각각을 3배로 체배하고, 체배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도트클 럭(CLK') 및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제어신호 생성부(340)로 공급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330)는 신호 중계부(310)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데이터 신호(Data)를 액정패널(100)의 구동에 알맞도록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R, G, B)를 체배된 수평 동기신호(Hsync')에 대응되도록 재정렬하여 데이터 변환부(380)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제어부(330)는 신호 중계부(310)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데이터 신호(Data)를 액정패널(100)의 해상도에 알맞도록 정렬한다. 그리고, 신호 제어부(330)는 정렬된 소스 데이터 신호(Data)를 체배된 수평 동기신호(Hsync')에 대응되도록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R, G, B)의 순서로 재정렬하여 데이터 변환부(380)에 공급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330)는 체배된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이용하여 첫번째 수평구간 및 마지막 수평구간 각각을 검출하고, 검출된 첫번째 수평구간 및 마지막 수평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적색 또는 청색 데이터(R, B)를 변조하여 데이터 변환부(380)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신호 제어부(300)는 데이터 변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변조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구간 검출부(510); 데이터 선택부(520); 및 룩 업 테이블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구간 검출부(510)는 체배된 수평 동기신호(Hsync')를 카운팅하여 첫번째 수평구간에 대응되는 제 1 수평 검출신호(HDS) 및 마지막 수평구간에 대응되는 제 2 수평 검출신호(HDS2)를 데이터 선택부(520)에 공급한다. 이때, 수평구간 검출 부(510)는 첫번째 수평구간 동안 제 1 논리 상태의 제 1 수평 검출신호(HDS1)을 생성하고, 첫번째 수평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수평구간 동안 제 2 논리 상태의 제 1 수평 검출신호(HDS1)를 생성한다. 또한, 수평구간 검출부(510)는 마지막 수평구간 동안 제 1 논리 상태의 제 2 수평 검출신호(HDS2)을 생성하고, 마지막 수평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수평구간 동안 제 2 논리 상태의 제 2 수평 검출신호(HDS2)를 생성한다.
데이터 선택부(520)는 제 1 및 제 2 수평 검출신호(HDS1, HDS2) 각각에 따라 입력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R, G, B)를 룩 업 테이블부(530) 및 데이터 변환부(380)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즉, 데이터 선택부(520)는 제 1 수평 검출신호(HDS1)가 제 1 논리 상태일 경우 첫번째 수평구간에 대응되는 적색 데이터(R)를 룩 업 테이블부(530)에 공급하고, 제 1 수평 검출신호(HDS1)가 제 1 논리 상태일 경우 입력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R, G, B)를 데이터 변환부(380)로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 선택부(520)는 제 2 수평 검출신호(HDS1)가 제 1 논리 상태일 경우 마지막 수평구간에 대응되는 청색 데이터(B)를 룩 업 테이블부(530)에 공급하고, 제 2 수평 검출신호(HDS2)가 제 1 논리 상태일 경우 입력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데이터(R, G, B)를 데이터 변환부(380)로 공급한다.
룩 업 테이블부(530)는 데이터 선택부(520)에 의해 선택되어 공급되는 적색 데이터(R) 또는 청색 데이터(B)를 적어도 2계조 큰 계조값을 가지는 변조 데이터(MData)를 데이터 변환부(380)에 공급한다. 이때, 변조 데이터(MData)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옵션신호(OPs)에 따라 원래의 계조 대비 2 이상 큰 계조값을 가지도록 설정되어 룩 업 테이블부(530)에 등재된다. 그리고, 변조 데이터(MData)는 액정패널의 크기에 따른 패널 로드(Load) 및 해상도 등에 따라 화상 구현 시 첫번째 및 마지막 수평라인과 다른 수평라인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2비트의 옵션신호(OPs)가 "00"일 경우 변조 데이터(MData)는 입력되는 적색 데이터(R) 또는 청색 데이터(B)의 계조값보다 2계조 큰 계조값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데이터(R, B)가 8비트인 경우, "253", "254" 및 "255"의 계조를 가지는 데이터(R, B)는 "255" 계조를 가지는 변조 데이터(MData)로 변조된다.
한편, 데이터 변조부(500)는 룩 업 테이블부(530) 대신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조 가산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계조 가산부(630)는 데이터 선택부(520)에 의해 선택되어 공급되는 적색 데이터(R) 또는 청색 데이터(B)의 계조값에 복수의 옵션신호(OPs)에 따라 설정되는 2 이상의 옵션 계조값을 가산하여 변조 데이터(MData)를 생성하고, 생성된 변조 데이터(MData)를 데이터 변환부(380)에 공급한다. 그리고, 옵션 계조값은 액정패널의 크기에 따른 패널 로드(Load) 및 해상도 등에 따라 화상 구현 시 첫번째 및 마지막 수평라인과 다른 수평라인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2비트의 옵션신호(OPs)가 "00"일 경우 옵션 계조값은 2로 설정된다. 여기서, 데이터(R, B)가 8비트인 경우, "253", "254" 및 "255"의 계조를 가지는 데이터(R, B)는 "255" 계조를 가지는 변조 데이터(MData)로 변조된다.
도 2에서, 제어신호 생성부(340)는 신호 제어부(330)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 호(DE', DCLK', Hsync', Vsync)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 제어신호(DST, DSC, DOE, DPS) 및 게이트 구동신호(RVst1 내지 RVst4, RCLK1 내지 RCLK8)를 생성한다.
데이터 제어신호(DST, DSC, DOE, DPS)는 데이터 변환부(38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스타트 신호(DST)와, 데이터 쉬프트 클럭(DSC)과, 데이터 출력신호(DOE) 및 데이터 극성신호(DPS)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신호 생성부(340)는 화상신호의 극성을 각 데이터 라인(DL)로 반전시킴과 아울러 적어도 1 프레임 단위로 반전시키기 위한 데이터 극성신호(DPS)를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신호(RVst1 내지 RVst4, RCLK1 내지 RCLK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구동회로(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내지 제 4 게이트 스타트 신호(RVst1 내지 RVst4)와 제 1 내지 제 8 게이트 클럭신호(RCLK1 내지 RCLK8)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 게이트 스타트 신호(RVst1 내지 RVst4) 각각은 2 수평구간에 대응되는 펄스 폭(W2)을 가지며, 위상이 1 수평구간 단위로 순차 지연된다. 이때, 제 1 게이트 스타트 신호(RVst1)는 각 프레임의 제 1 수평구간(H1)의 이전 5 수평구간에서 라이징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게이트 스타트 신호(RVst1 내지 RVst4)는 게이트 구동회로(120)의 구동을 개시시킨다.
제 1 내지 제 8 게이트 클럭신호(RCLK1 내지 RCLK8) 각각은 4 수평구간에 대응되는 펄스 폭(W2)을 가지며, 위상이 1 수평구간 단위로 순차 지연된다. 이때, 제 1 게이트 클럭신호(RCLK1)는 제 1 게이트 스타트 신호(Vst1)의 폴링시점에서 라 이징된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8 게이트 클럭신호(RCLK1 내지 RCLK8) 각각의 라이징 시점은 게이트 펄스 폭 변조신호(미도시)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제 1 내지 제 4 게이트 스타트 신호(RVst1 내지 RVst4)와 제 1 내지 제 8 게이트 클럭신호(RCLK1 내지 RCLK8)는 블랭킹 구간의 리셋구간(RT)에서 리셋된다.
승압회로(350)는 제 2 전원 생성부(326)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이용하여 제어신호 생성부(34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내지 제 4 게이트 스타트 신호(RVst1 내지 RVst4)와 제 1 내지 제 8 게이트 클럭신호(RCLK1 내지 RCLK8)의 전압레벨을 승압한다. 여기서, 게이트 온 전압(Von)은 각 화소셀(110)의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턴-온시키기 위한 전압이고,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은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턴-오프시키기 위한 전압이다. 이러한, 승압회로(350)는 하부기판(102)의 비표시부에 형성된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라인(140)을 통해 승압된 제 1 내지 제 4 게이트 스타트 신호(Vst1 내지 Vst4)와 제 1 내지 제 8 게이트 클럭신호(CLK1 내지 CLK8)를 게이트 구동회로(120)에 공급한다.
공통전압 생성부(370)는 가요성 인쇄회로(200)의 수동소자(210, 220, 230)를 통해 제 2 전원 생성부(326)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구동전압(Vdd, Vss)과 제어신호 생성부(34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극성신호(DPS)를 이용하여 액정패널(100)의 공통전극에 공급될 공통전압(Vcom)을 생성한다. 이때, 공통전압(Vcom)은 전원라인(321c)을 통해 접속된 가요성 인쇄회로(200)의 수동소자(210, 220, 230)에 의해 바이어싱되거나 가변된다.
계조전압 생성부(360)는 제 1 전원 생성부(32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기준전압(VSP, VSN)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j(단, j는 자연수)개의 기준 계조전압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전압을 가지는 k(단, k는 j보다 큰 자연수)개를 가지는 정극성 및 부극성의 계조전압을 생성하여 데이터 변환부(380)에 공급한다. 여기서, k는 데이터 신호의 비트 수가 N일 경우 2의 N제곱이며,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의 비트 수가 8일 경우 255가 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380)는 쉬프트 레지스터(381), 래치부(383),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85), 버퍼부(387) 및 선택부(38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쉬프트 레지스터(381)는 제어신호 생성부(34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쉬프트 클럭(DSC)에 따라 데이터 스타트 신호(DST)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쉬프트 신호(SS)를 생성한다. 이때, 쉬프트 레지스터(381)는 신호 제어부(330)로부터 공급되는 방향신호에 따라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양방향 쉬프트 레지스터가 될 수 있다.
래치부(383)는 쉬프트 레지스터(381)로부터 공급되는 쉬프트 신호(SS)에 따라 신호 제어부(330)로부터 공급되는 1 수평라인분의 데이터(R 또는 G 또는 B)를 순차적으로 래치한다. 그리고, 래치부(383)는 제어신호 생성부(34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출력신호(DOE)에 따라 래치된 1 수평라인분의 데이터(RData)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85)에 공급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85)는 계조전압 생성부(360)로부터 공급되는 k개의 정극성 계조전압과 부극성 계조전압을 이용하여 래치부(383)로부터 공급되는 래치된 데이터(RData)를 아날로그 신호인 정극성 및 부극성 화상신호(PVS, NVS)로 변환 한다. 이때,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85)는 k개의 정극성 계조전압들 중 래치된 데이터(RData)의 계조값에 대응되는 하나의 계조전압을 정극성 화상신호(PVS)로 선택함과 동시에 복수의 부극성 계조전압들 중 래치된 데이터(RData)의 계조값에 대응되는 하나의 계조전압을 부극성 화상신호(NVS)로 선택한다.
버퍼부(387)는 제 1 전원 생성부(32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구동전압(Vdd, Vss)을 이용하여 정극성 및 부극성 화상신호(PVS, NVS) 각각을 버퍼링한다. 이때, 버퍼부(387)는 데이터 라인(DL)의 부하를 감안하여 정극성 및 부극성 화상신호(PVS, NVS) 각각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선택부(389)는 제어신호 생성부(34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극성신호(DPS)에 따라 버퍼부(387)로부터 공급되는 버퍼링된 정극성 또는 부극성 화상신호(BData)를 선택하여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이때, 선택부(389)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의 극성은 데이터 극성신호(DPS)에 따라 각 데이터 라인(DL) 단위로 반전됨과 아울러 적어도 1 프레임 단위로 반전된다. 이에 따라, 액정패널(100)에 공급되는 화상신호는 각 데이터 라인(DL) 단위로 반전되는 컬럼 인버젼 방식의 극성패턴을 갖는다.
도 1에서, 게이트 구동회로(120)는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형성 공정과 함께 각 게이트 라인들(GL) 각각에 접속되도록 하부기판(102)의 비표시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회로(120)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라인(140)을 통해 구동 집적회로(130)로부터 공급되는 승압된 제 1 내지 제 4 게이트 스타트 신호(Vst1 내지 Vst4)에 의해 구동 개시되어 제 1 내지 제 8 게이트 클럭신호(CLK1 내지 CLK8)에 대응되는 게이트 온 전압을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을 도 1 내지 도 3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게이트 구동회로(120)는 구동 집적회로(13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내지 제 4 게이트 스타트 신호(Vst1 내지 Vst4)와 제 1 내지 제 8 게이트 클럭신호(CLK1 내지 CLK8)에 따라 제 1 수평구간(H1)의 이전 3 수평구간에서부터 1 수평구간 단위로 중첩되도록 4 수평구간 단위로 쉬프트되는 게이트 온 전압을 각 게이트 라인(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제 1 수평구간(H1)에 있어서, 구동 집적회로(130)의 데이터 변조부(500)는 제 1 게이트 라인(GL1)의 구동에 대응되도록 검출되는 제 1 논리 상태의 제 1 수평 검출신호(HDS1) 및 제 2 논리 상태의 제 2 수평 검출신호(HDS2)에 따라 제 1 적색 데이터(R1)를 변조하여 변조 데이터(MData)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380)는 변조 데이터(MData)를 각 데이터 라인(DL)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는 제 1 적색의 변조 화상신호(MR1)로 변환하여 제 1 게이트 라인(GL1)에 공급되는 게이트 온 전압에 동기되도록 각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 1 게이트 라인(GL1)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 각각은 제 1 적색의 변조 화상신호(MR1)를 충전하여 제 1 적색 변조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동시에, 제 2 내지 제 4 게이트 라 인(GL2, GL3, GL4) 각각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은 제 1 적색의 변조 화상신호(MR1)를 예비충전한다.
제 2 수평구간(H2)에 있어서, 구동 집적회로(130)의 데이터 변조부(500)는 제 2 게이트 라인(GL2)의 구동에 대응되도록 검출되는 제 2 논리 상태의 제 1 수평 검출신호(HDS1) 및 제 2 논리 상태의 제 2 수평 검출신호(HDS2)에 따라 제 1 녹색 데이터(G1)를 데이터 변환부(380)로 바이패스시킨다. 그리고, 구동 집적회로(130)의 데이터 변환부(380)는 제 1 녹색 데이터(G1)를 각 데이터 라인(DL)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는 제 1 녹색의 화상신호(G1)로 변환하여 제 2 게이트 라인(GL2)에 공급되는 게이트 온 전압에 동기되도록 각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 2 게이트 라인(GL2)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 각각은 제 1 녹색의 화상신호(G1)를 충전하여 제 1 녹색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동시에, 제 3 및 제 4 게이트 라인(GL3, GL4) 각각에 접속되어 제 1 적색의 변조 화상신호(MR1)로 예비충전된 각 화소셀(110)은 제 1 녹색의 화상신호(G1)를 재충전하고, 제 5 게이트 라인(GL5)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은 제 1 녹색의 화상신호(G1)를 예비충전한다.
제 3 수평구간(H3)에 있어서, 구동 집적회로(130)의 데이터 변조부(500)는 제 3 게이트 라인(GL3)의 구동에 대응되도록 검출되는 제 2 논리 상태의 제 1 수평 검출신호(HDS1) 및 제 2 논리 상태의 제 2 수평 검출신호(HDS2)에 따라 제 1 청색 데이터(B1)를 데이터 변환부(380)로 바이패스시킨다. 그리고, 구동 집적회로(130)의 데이터 변환부(380)는 제 1 청색 데이터(B1)를 각 데이터 라인(DL)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는 제 1 청색의 화상신호(B1)로 변환하여 제 3 게이트 라인(GL3)에 공급 되는 게이트 온 전압에 동기되도록 각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 3 게이트 라인(GL3)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 각각은 제 1 청색의 화상신호(B1)를 충전하여 제 1 청색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동시에, 제 4 및 제 5 게이트 라인(GL4, GL5) 각각에 접속되어 제 1 녹색의 화상신호(G1)로 예비충전된 각 화소셀(110)은 제 1 청색의 화상신호(B1)를 재충전하고, 제 6 게이트 라인(GL6)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은 제 1 청색의 화상신호(B1)를 예비충전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수평구간(H1, H2, H3) 각각에서는 제 1 적색 변조 화상, 제 1 녹색 화상 및 제 1 청색 화상이 혼합되어 컬러 화상이 표시된다. 이때, 제 1 수평라인의 각 화소셀(110)은 변조 데이터(MData)에 대응되는 제 1 적색 변조 화상신호(MR1)에 대응되는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동일한 화상일 경우 제 2 및 제 3 수평라인과 동일한 휘도의 화상을 표시한다.
제 4 수평구간(H4)에 있어서, 구동 집적회로(130)의 데이터 변조부(500)는 제 4 게이트 라인(GL4)의 구동에 대응되도록 검출되는 제 2 논리 상태의 제 1 수평 검출신호(HDS1) 및 제 2 논리 상태의 제 2 수평 검출신호(HDS2)에 따라 제 2 적색 데이터(R2)를 데이터 변환부(380)로 바이패스시킨다. 그리고, 구동 집적회로(130)의 데이터 변환부(380)는 제 2 적색 데이터(R2)를 각 데이터 라인(DL)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는 제 2 적색의 화상신호(R2)로 변환하여 제 4 게이트 라인(GL4)에 공급되는 게이트 온 전압에 동기되도록 각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 4 게이트 라인(GL4)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 각각은 제 2 적색의 화상신호(R2)를 충전하여 제 2 적색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동시에, 제 5 및 제 6 게이트 라 인(GL5, GL6) 각각에 접속되어 제 1 청색의 화상신호로 예비충전된 각 화소셀(110)은 제 2 적색의 화상신호(R2)를 재충전하고, 제 7 게이트 라인(GL7)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은 제 2 적색의 화상신호(R2)를 예비충전한다.
제 5 수평구간(H5)은 제 2 수평구간(H2)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녹색 화상신호(G2)에 대응되는 제 2 녹색 화상을 표시한다.
제 6 수평구간(H6)은 제 3 수평구간(H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청색 화상신호(B2)에 대응되는 제 2 청색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제 4 내지 제 6 수평구간(H4, H5, H6) 각각에서는 제 2 적색 화상, 제 2 녹색 화상 및 제 2 청색 화상이 혼합되어 컬러 화상이 표시된다. 이때, 동일한 화상신호를 표시할 경우 화상신호의 극성 반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 4 내지 제 6 수평라인의 휘도는 균일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7 수평구간(H7) 내지 제 n-2 수평구간(Hn-2) 각각은 상술한 제 4 내지 제 6 수평구간(H4, H5, H6)과 동일한 방식으로 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 n-2 및 제 n-1 수평구간(Hn-2, Hn-1) 각각은 제 4 및 제 5 수평구간(H4, H5)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색(R) 화상 및 녹색(G) 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마지막 수평구간, 즉 제 n 수평구간(Hn)에 있어서, 구동 집적회로(130)의 데이터 변조부(500)는 제 n 게이트 라인(GLn)의 구동에 대응되도록 검출되는 제 2 논리 상태의 제 1 수평 검출신호(HDS1) 및 제 1 논리 상태의 제 2 수평 검출신호(HDS2)에 따라 제 n 청색 데이터(Bn)를 변조하여 변조 데이터(MData)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380)는 변조 데이터(MData)를 각 데이터 라인(DL) 단위로 극성이 반전되는 제 n 청색의 변조 화상신호(MBn)로 변환하여 제 n 게이트 라인(GLn)에 공급되는 게이트 온 전압에 동기되도록 각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 n 게이트 라인(GLn)에 접속된 각 화소셀(110) 각각은 제 n 청색의 변조 화상신호(MBn)를 충전하여 제 n 적색 변조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제 n-2 내지 제 n 수평구간(Hn-2, Hn-1, Hn) 각각에서는 제 n 적색 화상, 제 n 녹색 화상 및 제 n 청색 변조 화상이 혼합되어 컬러 화상이 표시된다. 이때, 제 n 수평라인의 각 화소셀(110)은 변조 데이터(MData)에 대응되는 제 n 청색 변조 화상신호(MBn)에 대응되는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동일한 화상일 경우 제 n-2 및 제 n-1 수평라인과 동일한 휘도의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은 첫번째 및 마지막 수평라인의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화상신호의 극성반전에 따른 첫번째 및 마지막 수평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의 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은 각 게이트 라인(GL)에 공급되는 게이트 온 전압을 적어도 2 수평구간 단위로 중첩시켜 적어도 2 수평구간 동안 동일한 극성의 화상신호로 각 화소셀을 예비충전시킴으로써 고해상도 모델에서의 충전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충전불량으로 인한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패널(100)에 마련되는 화소셀(110)의 배치구조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는 화소의 배치구조를 제외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각 화소셀(110)은 데이터 라인(DL)의 방향을 따라 청색(B), 녹색(G) 및 적색(R)의 화소셀(B, G, R)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의 방향을 따라 동일한 색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화소셀(110)은 수평 스트라이프 형태의 화소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데이터 라인(DL) 방향의 청색(B), 녹색(G) 및 적색(R)의 화소셀(110)은 하나의 컬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단위 화소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첫번째 수평구간 및 마지막 수평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청색 또는 적색 데이터(B, R)를 제 1 청색의 변조 화상신호(MB1) 또는 제 n 적색의 변조 화상신호(MRn)으로 변조함으로써 화상신호의 극성반전에 따른 첫번째 및 마지막 수평라인에 접속된 각 화소셀의 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라인(DL)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화소셀(110)은 녹색(G), 적색(R) 및 청색(B)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거나, 적색(R), 청색(B) 및 녹색(G)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라인(DL)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화소셀(110)은 녹색(G), 적색(R) 및 청색(B)의 화소셀(110) 각각의 휘도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8가지 경우 중 어느 하나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집적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변조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변조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Claims (15)

  1. n개의 게이트 라인들 및 m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3색이 반복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게이트 라인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이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셀을 가지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액정패널에 실장되어 상기 게이트 내장회로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소스 데이터 신호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구동에 대응되는 각 수평구간에 동기되도록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 각각에 공급되는 상기 소스 데이터 신호의 계조가 증가되도록 상기 소스 데이터 신호를 화상신호로 변환하며,
    변조된 화상신호를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는 구동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의 극성은 상기 각 데이터 라인 단위로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집적회로는;
    입력되는 소스 데이터 신호 및 동기신호를 중계하는 신호 중계부;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제 1 전원 생성부;
    상기 제 1 전원을 이용하여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제 2 전원 생성부;
    상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패널의 공통전극에 공급될 공통전압을 생성하는 공통전압 생성부;
    상기 동기신호 중 수평 동기신호를 체배하고, 체배된 수평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데이터 신호를 상기 각 수평구간에 대응되는 단색 데이터로 정렬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 각각의 단색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 데이터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집적회로의 내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상기 신호 제어부를 통해 공급되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제어신호와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신호의 전압레벨을 승압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에 공급하는 승압회로;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전압을 가지는 복수의 계조전압을 생성하는 계조전압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계조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색 데이터 또는 상기 변조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체배된 수평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 각각을 검출하고, 검출된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단색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변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조부는,
    상기 체배된 수평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 각각을 검출하여 제 1 및 제 2 수평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검출부;
    상기 단색 데이터를 상기 변조 데이터로 변조하기 위한 룩 업 테이블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를 상기 룩 업 테이블부로 공급하거나 제 2 수평구간 내지 제 n-1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 공급하는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데이터는 복수의 옵션신호에 따라 원래의 단색 데이터의 계조값보다 2 이상의 큰 계조값을 가지도록 설정되어 상기 룩 업 테이블부에 등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조부는,
    상기 체배된 수평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 각각을 검출하여 제 1 및 제 2 수평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검출부;
    상기 단색 데이터를 상기 변조 데이터로 변조하기 위한 계조 가산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를 상기 계조 가산부로 공급하거나 제 2 수평구간 내지 제 n-1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 공급하는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가산부는 복수의 옵션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2 이상의 계조값을 상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에 가산하여 상기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는 상기 승압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승압된 게이트 구동신호에 따라 적어도 1 수평구간 중첩되도록 1 수평구간 단위로 위상이 지연되는 게이트 온 전압을 인접한 적어도 2개의 게이트 라인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0. n개의 게이트 라인과 m개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화소셀이 형성된 표시부를 가지는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소스 데이터 신호를 상기 게이트 라인의 방향으로 동일한 색을 가지며 상기 데이터 라인의 방향으로 서로 다른 색을 가지도록 색별로 정렬하여 단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단색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구동에 대응되는 각 수평구간에 동기되도록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 각각에 공급되는 상기 소스 데이터 신호의 계조가 증가되도록 상기 소스 데이터 신호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의 극성은 상기 각 데이터 라인 단위로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 각각을 검출하여 제 1 및 제 2 수평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각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 중 상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의 계조값을 변조하여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에 상기 변조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룩 업 테이블부에 등재된 상기 변조 데이터의 계조값을 복수의 옵션신호에 따라 원래의 단색 데이터의 계조값보다 2 이상의 큰 계조값을 가지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변조 데이터로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옵션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2 이상의 가산 계조를 상기 제 1 수평구간 및 제 n 수평구간의 단색 데이터에 가산하여 상기 변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단계는 적어도 1 수평구간 중첩되도록 1 수평구간 단위로 위상이 지연되는 게이트 온 전압을 이용하여 인접한 적어도 2개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070121919A 2007-11-28 2007-11-28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493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1919A KR101493219B1 (ko) 2007-11-28 2007-11-28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1919A KR101493219B1 (ko) 2007-11-28 2007-11-28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147A KR20090055147A (ko) 2009-06-02
KR101493219B1 true KR101493219B1 (ko) 2015-02-16

Family

ID=4098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21919A KR101493219B1 (ko) 2007-11-28 2007-11-28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225B1 (ko) * 2012-06-18 2019-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060801B1 (ko) 2013-04-25 2019-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보상 방법
KR102412674B1 (ko) 2015-09-21 2022-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캔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1716A (ja) 1999-05-31 2000-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階調補正回路および階調補正方法
KR20060096859A (ko) * 2005-03-04 2006-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60104352A (ko) * 2005-03-30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99170A (ko) * 2006-04-03 2007-10-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데이터 변환장치 및 변환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1716A (ja) 1999-05-31 2000-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階調補正回路および階調補正方法
KR20060096859A (ko) * 2005-03-04 2006-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60104352A (ko) * 2005-03-30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99170A (ko) * 2006-04-03 2007-10-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데이터 변환장치 및 변환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147A (ko) 200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719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132200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98489B1 (ko) 감마전압 생성장치,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308455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1308452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08018046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584998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8636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100129666A (ko) 액정표시장치
KR10038902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2990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394925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351379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1374103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493219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407297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58568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407293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80060681A (ko) 액정 표시 장치의 게이트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606973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부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496542B1 (ko) 2-도트 인버젼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40997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086127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09764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18248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