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569A - 자동차용 안마시트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마시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569A
KR20080057569A KR1020060131024A KR20060131024A KR20080057569A KR 20080057569 A KR20080057569 A KR 20080057569A KR 1020060131024 A KR1020060131024 A KR 1020060131024A KR 20060131024 A KR20060131024 A KR 20060131024A KR 20080057569 A KR20080057569 A KR 20080057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assage
foam
vibrating body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현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1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7569A/ko
Publication of KR20080057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76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ssag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마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하우징에 모터를 삽입함으로써 크기 및 중량을 줄여 원하는 부위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단순화된 구조의 진동체를 형성한 후 별도의 브라켓 없이 시트 폼 성형시 진동체를 일체로 성형하거나 시트 폼 성형 후 접착제 등을 이용 고정하여 착석자의 피로를 효율적으로 풀어 줄 수 있는 자동차용 안마시트에 관한 것이다.
진동체, 유니트, 시트 폼

Description

자동차용 안마시트구조{Massage seat assembly for vehicles}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안마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안마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자동차용 안마시트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도3의 A - 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자동차용 안마시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등받이부 11: 진동체
12: 스위치 13: 유니트
14: 시트 커버 15: 시트 폼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마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하우징에 모터를 삽입함으로써 크기 및 중량을 줄여 원하는 부위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단순화된 구조의 진동체를 형성한 후 별도의 브라켓 없이 시트 폼 성형시 진동체를 일체로 성형하거나 시트 폼 성형 후 접착제 등을 이용 고정하여 착석자의 피로를 효율적으로 풀어 줄 수 있는 자동차용 안마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플로어(floor)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는 주로 분리식을 채용하는 한편, 리어 시트는 2개의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충격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벨트가 장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시트를 보인 사시도로서 시트는 받침부와 등받이부로 이루어지며, 등받이부는 받침부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받침부와 등받이부의 사이에는 등받이부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레버가 설치된다.
등받이부의 상단에는 자동차의 충돌이나 급발진시의 충격으로부터 승객의 목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헤드레스트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는 어느 정도 착석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였지만, 운전자가 페달과 조향 핸들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다리와 팔을 일정각도로 유지해야 하므로 장시간 앉아서 운전을 하게 되면 운전자의 어깨 및 등 또는 허벅지에서 피로가 느껴지므로 장시간 운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다음과 같은 종래의 안마시트(출원번 호 10-1996-0032002)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안마시트의 구성은 도1 및 2에 도시된다. 시트(2)의 각 모서리부분의 내측에 수용홈(2a)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2a)에는 자동차의 전원이 전달됨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여 운전자의 피로를 플어주는 진동발생수단(5)이 구비된다.
진동발생수단(5)은 조정너트(2b) 및 가동판(2d)이 일측에 고정된 지지축(2f)이 구비되고, 이 조정너트(2b)를 회전시킴에 따라 조정너트(2b)와 가동판(2d)의 거리가 조절된다.
가동판(2d)의 일측에 작동편(2h)이 밀착되고, 이 작동편(2h)에는 제 1접점(3)이 형성된다. 제 1접점(3)의 일측에 제 2접점(3b)이 형성되고, 이 제 2접점(3b)은 스위치(3d)와 연결된다.
스위치(3d)의 일측은 자동차의 전원과 연결되며, 이 스위치(3d)는 운전석부분에 설치된다.
가동판(2d)의 일측에 자동차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력을 갖는 전자석(3f)이 구비되고, 이 전자석(3f)의 둘레에는 코일(3h)이 감겨지고, 전자석(3f)의 일측에는 진동판(4)이 구비된다.
제 2접점(3b)과 스위치(3d)의 사이에 진동판(4)의 진동속도를 조절하는 진동속도조절기(4b)가 구비되고, 이 진동속도조절기(4b)는 운전석부분에 설치된다.
운전자가 운전석부분에 설치된 스위치(3d)를‘온’시키면 자동차의 전원이 코일(3h)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전자석(3f)이 자력을 발생한다.
전자석(3f)에서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지지축(2f)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진동 판(4)을 가압하고, 동시에 제 1접점(3)이 제 2접점(3b)에서 이탈된다.
제 1접점(3)이 제 2접점(3b)에서 이탈됨으로 인하여 코일(3h)로 흐르는 자동차의 전원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지지축(2f)이 진동판(4)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최초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마시트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우며 그에 따른 제작비용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 내에 진동체를 내장시키고 시트 프레임에 브라켓 등을 이용 시트와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안마 가능한 부위가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진동체는 시트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므로 진동체 발진시 그 진동이 시트 프레임에 그대로 전달되어 이음 및 공진동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본 발명 자동차용 안마시트는 프라스틱 하우징에 모터를 삽입함으로써 크기 및 중량을 줄여 원하는 부위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단순화된 구조의 진동체를 형성한 후 별도의 브라켓 없이 시트 폼 성형시 진동체를 일체로 성형하거나 시트 폼 성형 후 접착제 등을 이용 고정하여 착석자의 피로를 효율적으로 풀어 줄 수 있는 자동차용 안마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자동차용 안마시트는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진동체와 진동체를 구동시키는 유니트를 가지고, 상기 등받이부의 플라스틱 커버속에 다수개의 진동체 및 유니트를 위치시켜 시트 폼 성형시 시트 폼과 일체로 성형하여 설치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자동차용 안마시트는 시트 커버 내부에 시트 폼이 성형된 등받이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 폼의 원하는 부위에 홈을 파고 그 속에 진동체를 삽입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홈의 입구에 방음 시트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안마시트의 실시예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자동차용 안마시트가 개략도로서 도시된다.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안마시트의 특징은 진동체의 위치를 시트 폼 성형시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등받이부(10)에는 진동체(11)가 2열로 6개가 배치된다.
이러한 진동체는 전기모터의 모터축에 편심작동부를 설치한 종래의 것으로, 본 명세서에는 그 상세한 구조는 설명하지 않는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등받이부(10)에는 외부에 위치한 스위치(12)로부터 입력을 받아 진동체(11)를 구동시키는 유니트(13)가 설치된다.
스위치(12), 유니트(13) 및 진동체(11)들은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진동체(11) 및 유니트(13)의 위치는 종래와 같이 프레임에 의해 설치 되는 것이 아니고, 시트 폼 성형시 등받이용 플라스틱 커버속에 진동체와 유니트를 위치시켜 시트 폼과 일체로 성형하여 설치된다.
도 4에는 도3의 A - A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시트 커버(14)의 내부에는 시트 폼(Seat foam)(15)이 형성되어 있다. 진동체(11)는 부직포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동체는 원하는 부위 여러 곳에 설치 가능하다.
도3에는 본 발명의 진동체(11)들이 2열로 배치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타원 궤적을 따라 배치하여 수요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자동차용 안마시트가 단면도로서 도시된다.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안마시트의 특징은 진동체(21)를 시트 폼(25) 내부에 홈을 형성하고 삽입 한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방음 시트(26)로 매립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등받이부(20)는 시트 커버(24) 내부에 시트 폼(25)이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시트 폼(25)이 성형된 후, 원하는 부위에 홈(22)을 파고 그 속에 진동체(21)를 삽입한다. 홈(22)속에 진동체(21)가 삽입된 후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홈(22)의 입구에 방음 시트(26)를 부착하여 마무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동체는 성형된 시트 폼의 원하는 부위 여러 곳에 설치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안마시트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 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마시트는 플라스틱 하우징에 모터를 삽입함으로써 크기 및 중량을 줄여 원하는 부위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단순화된 구조의 진동체를 형성한 후 별도의 브라켓 없이 시트 폼 성형시 진동체를 일체로 성형하거나 시트 폼 성형 후 접착제 등을 이용 고정하여 프레임에 전달되는 진동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으로 착석자의 피로를 효율적으로 풀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진동체와 진동체를 구동시키는 유니트를 가지는 자동차용 안마시트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플라스틱 커버속에 다수개의 진동체 및 유니트를 위치시켜 시트 폼 성형시 시트 폼과 일체로 성형하여 설치되는 자동차용 안마시트.
  2. 시트 커버 내부에 시트 폼이 성형된 등받이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안마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폼의 원하는 부위에 홈을 파고 그 속에 진동체를 삽입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홈의 입구에 방음 시트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안마시트.
KR1020060131024A 2006-12-20 2006-12-20 자동차용 안마시트구조 KR20080057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024A KR20080057569A (ko) 2006-12-20 2006-12-20 자동차용 안마시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024A KR20080057569A (ko) 2006-12-20 2006-12-20 자동차용 안마시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569A true KR20080057569A (ko) 2008-06-25

Family

ID=3980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024A KR20080057569A (ko) 2006-12-20 2006-12-20 자동차용 안마시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75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2353A1 (ko) * 2011-10-28 2013-05-02 시앤케이전자(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안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2353A1 (ko) * 2011-10-28 2013-05-02 시앤케이전자(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안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3301B2 (ja) 乗物用シート
US7681949B2 (en) Haptic vehicle seat
JPH0640295A (ja) 自動車シートの音響加振体支持構造
US20110068611A1 (en) Vehicle seat
JP2016105868A (ja) 乗物用シート
KR101081192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KR20080057569A (ko) 자동차용 안마시트구조
JP6601535B2 (ja) 乗物用シート
CN115230550A (zh) 包含至少一个振动装置的车辆座椅靠背
JP6495418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8070075A (ja) 車両用シート
JP4417220B2 (ja) 車両用シート
JP6721847B2 (ja) シートフレームおよび乗物用シート
JP7132528B2 (ja) 乗物用シート
JP6239850B2 (ja) 乗物用シート
JPH0511862Y2 (ko)
JP2012171610A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1180124B1 (ko) 자동차용 자동안마 헤드 레스트
WO2024071267A1 (ja) 乗物用シート
KR100206478B1 (ko) 자동차용 안마시트
CN215154125U (zh) 具备集成震动功能的座椅腰托按摩系统
KR100531692B1 (ko) 측면 충격흡수장치를 갖는 시트 프레임의 등받이
JP2024049292A (ja) 乗物用シート
KR100435332B1 (ko) 자동차용 강도 조절형 시트 바이브레이터
KR100410715B1 (ko) 자동차용 시트 바이브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