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391A -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391A
KR20080057391A KR1020060130604A KR20060130604A KR20080057391A KR 20080057391 A KR20080057391 A KR 20080057391A KR 1020060130604 A KR1020060130604 A KR 1020060130604A KR 20060130604 A KR20060130604 A KR 20060130604A KR 20080057391 A KR20080057391 A KR 20080057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ase
suction
pests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094B1 (ko
Inventor
김승수
김한구
Original Assignee
김승수
김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수, 김한구 filed Critical 김승수
Priority to KR102006013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094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나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 또는 제거하여 주어 농작물이나 가축 또는 사람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도하는 유도램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램프에 의해 유도된 해충을 강제로 흡입하는 흡입팬과, 상기 유입덕트의 내부인 상기 흡입팬의 후측에 구비되어 해충이 부딪혀 죽게 되는 커터망과, 상기 유입덕트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커터망을 통과한 해충이 포획되는 포집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는 유도램프에 의해 유도된 해충이 흡입팬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경우 커터망에 의해 해충이 부딪혀 죽게 되어 흡입팬에 의해 강제로 흡입된 해충의 생존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흡입, 해충, 포집, 조도, 램프

Description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 Harmful insect grasping equipment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14: 도어
20: 유입덕트 24: 흡입팬
26: 커터망 27: 배출팬
29: 배출덕트 30: 유도램프
32: 안전망체
본 발명은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기나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 또는 제거하여 주어 농작물이나 가축 또는 사람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리나 모기 또는 나방 등과 같은 해충은 사람이나 가축 또는 농작물에 해를 끼치며, 특히 여름철에는 그 개체수의 증가로 인해 우사나 돈사 또는 양계장의 가축이나, 화원 또는 비닐하우스 내의 관상용 식물 또는 농작물 등의 피해가 증가한다.
물론 종래에는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병충해 방지용 약제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이용해 왔으나, 그와 같은 약제에 더욱더 강한 내성을 가지는 해충이 출현하고, 이를 제압하기 위해 더욱 강력한 약제를 개발 및 살포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약제의 살포는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이는 사람이나 가축 또는 농작물에 2차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야간에 인위적으로 램프를 점등시켜 해충을 유인하고 이를 강제 흡입팬을 이용하여 포집망에 포집하여 처리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와 같은 예가 공고실용신안 제20-0166065호 "흡입식 해충기"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공고실용신안은 수직형의 흡입팬이 작동되는 동안에는 해충이 흡입력에 의해 포집망에 포획된 상태로 있지만, 흡입팬의 작동이 멈추어 즉시 처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집망 내부에 있던 살아있는 해충은 흡입팬쪽으로 다시 바깥으로 빠져나와 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상기 공고실용신안은 그와 같은 흡입식 해충기를 인위적으로 작동시켜야 하므로 그 조작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이 수평으로 비행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흡입팬이 작동되어 해충을 흡입시에 해충의 생존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간에 자동으로 작동되어 해충을 포집하여 주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도하는 유도램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램프에 의해 유도된 해충을 강제로 흡입하는 흡입팬과, 상기 유입덕트의 내부인 상기 흡입팬의 후측에 구비되어 해충이 부딪혀 죽게 되는 커터망과, 상기 유입덕트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커터망을 통과한 해충이 포획되는 포집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도하는 유도램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램프에 의해 유도된 해충을 강제로 흡입하는 흡입팬과, 상기 유입덕트의 내부인 상기 흡입팬의 후측에 구비되어 해충이 부딪혀 죽게 되는 커터망과, 상기 유입덕트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커터망을 통과한 해충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와, 상기 배출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터망을 통과한 해충을 강제배출하는 배출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회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1)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10a)가 형성되는 케이스(10)의 전면에 유입구(1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개폐용 도어(14)가 구비된다. 그리고, 그 케이스(10)는 입식(立式)으로 어떠한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세워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후측 하단에 넓은 지지부(16)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12)와 연통되는 수평방향의 유입덕트(20)가 구비되며, 유입구(12)의 전방에는 해충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램프(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도램프(30)는 해충 특히 모기나 파리를 효과적으로 유인하는 자외선 파장을 가진 진푸른색 형광램프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파란색 형광램프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함도 가능하나, 유입덕트(20)와 유입구(12)의 형상과 동일하게 오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도램프(30)의 전방에는 유도램프(30)를 보호하고 사람이나 가축 등이 감전되거나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돔형상의 안전망체(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전망체(32)는 그 공기유입공의 크기가 해충이 별다른 저항 없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입덕트(10)의 내부 중앙에는 모터(22)에 의해 작동되어 해충을 강제로 흡입하는 흡입팬(24)이 설치되고, 그 흡입팬(24)의 후측에는 금속재질의 피아노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커터망(26)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흡입팬(24) 및 커터망(26)이 내부에 설치되는 유입덕트(20)의 후단에는 상기 안전망체(32)와 흡입팬(24) 및 커터망(26)을 통과한 해충이 수집되는 포집망(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터망(26)은 해충을 강제흡입시 포집망(40)으로 포획되기 전에 해충이 부딪혀 죽게 만드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커터망(26)에 의해 흡입팬(24)에 의해 강제로 흡입된 해충의 생존율을 월등히 낮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24)은 낮에 새들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시에는 팬의 날개가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동작을 멈추는 경우에는 폐쇄되는 구조를 가지는 공지(公知)의 개폐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팬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는 라운드형상의 지붕(11)이 형성되어 빗물이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고, 케이스(10)의 후 측에는 다수의 배출공(10b)이 형성되어 흡입팬(24)의 작동으로 인해 강제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공기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상측에는 외부의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조도센서(42)가 구비되어, 야간(夜間)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1)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해충이 포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플러그(44)를 통해 공급되는 가정용 전원(47)을 공급받되 과전류가 유입되거나 또는 누전이 되는 경우 이를 차단시켜 주기 위한 누전차단기(45)와 과부하차단기(46)가 별도로 구비되어 안정적인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점멸기(48)가 구비되어 상기 조도센서(42)를 통해 조도를 감지하며 그 감지된 조도값과 점멸기(48) 내부에 설정된 조도값을 비교하여 설정조도값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모터(22)에 전원을 투입하여 흡입팬(24)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초기 점등시 고전압을 유도하고 방전을 통해 유도램프(30)가 점등시에 과도한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는 안정기(49)에도 전원이 투입되어 형광등식 유도램프(30)를 점등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AC인 가정용 전원(47)이 입력된 상태에서 감시모드로 작동하던 중에 조도센서(42)가 감지한 조도가 설정조도 이하인 야간(夜間)에는 점멸기(48)가 작동되어 안정기(49)와 흡입팬(24)의 모터(22)에 동작전원을 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전원이 투입되면 유도램프(30)가 점등되고 흡입팬(24)이 회전하여 강제흡입하게 된다.
이때, 유입구(12)의 전방에 설치되는 유도램프(30)에 의해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이 모이게 되면 강제흡입력에 의해 해충이 포집망(40)의 내부로 빨려 들어오면서 커터망(26)에 부딪혀 죽게 되어 포집망으로 포집된다.
한편, 아침이 되거나 날이 개는 경우에는 조도센서(42)로 감지된 조도가 설정 조도보다 높아지게 되어 점멸기(48)를 차단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안정기(49)와 모터로 투입되었던 동작전원 역시 차단되어 유도램프(30)는 소동되고, 흡입팬(24)은 그 회전을 정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포집망(40)에 포획된 해충들은 케이스(10)의 후측에 구비되는 도어(14)를 개방하고 포집망(40)을 유입덕트(20)의 후단에서 분리한 후 해충을 분리 처리하고 다시 케이스(10) 내부에 장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유입덕트(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22)에 의해 회전하는 흡입팬(24)의 후측에는 커터망(26)이 구비되고, 그 커터망(26)의 후측에는 배출팬(27)을 더 구비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팬(27)의 후측에는 포집망을 구비하지 않고 외부로 직접 연통되는 개방형의 배출덕트(29)가 구비된다.
따라서, 유도램프(30)의 점등으로 인해 유도된 해충이 흡입팬(24)에 의해 1차로 강제로 흡입되고, 커터망(26)에 부딪혀 죽은 상태에서 2차로 배출팬(27)에 의해 강제로 배출되어 더욱 큰 물리적 충격을 해충에게 주게 되어 거의 모든 해충이 죽은 상태이므로 그대로 배출덕트(29)를 통해 외부로 배출해주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일정 기간 사용후에 포집망을 비우고 세척해야 하는 등의 수고가 필요없어 도심지 공원이나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로등(10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심지 공원이나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로등(100)의 상부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10)의 후측에 벨트형상의 고정부재(13a,13b)를 일체로 구비하여 그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수단(15)을 이용하여 가로등(100)에 간단히 설치하여 주변 해충의 개체수를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건물의 벽면(200)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10)의 후측에 다수의 체결공(19a)이 형성되는 브라켓(19)을 일체로 구비하여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21)을 체결공(19a)에 관통시키고 벽면에 조여주어 간단히 설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 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는 유도램프(30)에 의해 유도된 해충이 흡입팬(24)에 의해 강제로 흡입되는 경우 커터망(26)에 의해 해충이 부딪혀 죽게되어 흡입팬(24)에 의해 강제로 흡입된 해충의 생존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도센서(42)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야간에 직접 작동시키기 위해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작동되어 해충을 포집하여 줌으로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유입구(12)가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유입구(12)의 전방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도하는 유도램프(3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2)와 연통되는 유입덕트(20)와;
    상기 유입덕트(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램프(30)에 의해 유도된 해충을 강제로 흡입하는 흡입팬(24)과;
    상기 유입덕트(20)의 내부인 상기 흡입팬(24)의 후측에 구비되어 해충이 부딪혀 죽게 되는 커터망(26)과;
    상기 유입덕트(2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커터망(26)을 통과한 해충이 포획되는 포집망(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는 빗물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지붕(11)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후측에는 공기순환용 배출공(10b)이 다수 형성되고, 그 후측에는 개페용 도어(1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3.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 유입구(12)가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유입구(12)의 전방에 구비되어 해충을 유도하는 유도램프(30)와;
    상기 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2)와 연통되는 유입덕트(20)와;
    상기 유입덕트(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램프(30)에 의해 유도된 해충을 강제로 흡입하는 흡입팬(24)과;
    상기 유입덕트(20)의 내부인 상기 흡입팬(24)의 후측에 구비되어 해충이 부딪혀 죽게 되는 커터망(26)과;
    상기 유입덕트(2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커터망(26)을 통과한 해충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29)와;
    상기 배출덕트(29)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터망(26)을 통과한 해충을 강제배출하는 배출팬(2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상측에는 외부의 빛을 감지하여 상기 흡입팬(24)의 모터(22) 및 유도램프(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도센서(4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는 상기 유도램프(30)를 보호하는 다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돔형상의 안전망체(3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후측에는 체결수단(15)을 이용하여 가로등에 설치가능한 벨트형상의 고정부재(13a,13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후측에는 체결수단(21)을 이용하여 건물의 벽면에 설치가능한 브라켓(1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24)은 회전시에는 개방되고 정지시에는 폐쇄되는 개폐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1020060130604A 2006-12-20 2006-12-20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10092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604A KR100928094B1 (ko) 2006-12-20 2006-12-20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604A KR100928094B1 (ko) 2006-12-20 2006-12-20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391A true KR20080057391A (ko) 2008-06-25
KR100928094B1 KR100928094B1 (ko) 2009-11-24

Family

ID=3980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604A KR100928094B1 (ko) 2006-12-20 2006-12-20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09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08B1 (ko) * 2009-01-23 2011-09-28 이윤희 가로등용 해충퇴치기 및 그를 채용한 가로등
KR101325540B1 (ko) * 2011-10-26 2013-11-07 (주)팜클 살충 장치
KR101885904B1 (ko) 2017-04-25 2018-08-06 주식회사 이레그린 살균 포충기
KR20200144947A (ko)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 이레그린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포충기
CN112931457A (zh) * 2021-01-27 2021-06-11 农芯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杀虫照明植保设备
US11102971B2 (en) * 2016-02-11 2021-08-31 Seoul Viosys Co., Ltd. Slim insect trap using UV LED
KR20210134104A (ko)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이레그린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포충기
KR20220118071A (ko) * 2021-02-18 2022-08-25 윤성민 자외선과 광촉매를 이용한 축사용 살균 및 악취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IoT 스마트 축사용 살균 및 악취 제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100B1 (ko) * 2018-12-11 2020-05-18 (주)이노테크 포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065Y1 (ko) 1999-07-14 2000-02-15 최종우 흡입식 포충기
JP2001231424A (ja) * 2000-02-18 2001-08-28 Ahresty Corp 照明器用捕虫ユニット
KR20020021466A (ko) * 2000-09-15 2002-03-21 이경원, 김윤환 공기 정화 기능의 모기 퇴치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08B1 (ko) * 2009-01-23 2011-09-28 이윤희 가로등용 해충퇴치기 및 그를 채용한 가로등
KR101325540B1 (ko) * 2011-10-26 2013-11-07 (주)팜클 살충 장치
US11102971B2 (en) * 2016-02-11 2021-08-31 Seoul Viosys Co., Ltd. Slim insect trap using UV LED
KR101885904B1 (ko) 2017-04-25 2018-08-06 주식회사 이레그린 살균 포충기
KR20200144947A (ko)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 이레그린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포충기
KR20210134104A (ko)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이레그린 공기청정기능을 겸비한 포충기
CN112931457A (zh) * 2021-01-27 2021-06-11 农芯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杀虫照明植保设备
CN112931457B (zh) * 2021-01-27 2024-04-19 农芯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杀虫照明植保设备
KR20220118071A (ko) * 2021-02-18 2022-08-25 윤성민 자외선과 광촉매를 이용한 축사용 살균 및 악취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IoT 스마트 축사용 살균 및 악취 제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094B1 (ko) 200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094B1 (ko)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CA2543218A1 (en) Bug-vac light
KR101053432B1 (ko) 친환경 야외조명 및 해충유인 포획 기구
JP3136423U (ja) 害虫捕獲器
JP2000253793A (ja) 蚊・蝿の誘殺器
KR101270820B1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CN102301986B (zh) 一种柜式蝇虫诱捕器
JPH076778Y2 (ja) 間欠駆動する大型のファンを利用した捕虫器
CA2861794A1 (en) Insect traps and methods of trapping insects
KR102603570B1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KR200421269Y1 (ko) 해충 포집장치
KR200407272Y1 (ko) 흡입식 포충기
KR10215363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해충포획장치
KR102402878B1 (ko) 해충 유인포집장치
CN202127736U (zh) 一种柜式蝇虫诱捕器
CN209251482U (zh) 一种农业害虫诱捕装置
KR20090014632A (ko) 필터가 구비된 포충기
KR20080091671A (ko) 포충 기능을 겸비한 조명등
KR200410977Y1 (ko) 해충 포살기
KR20210007230A (ko)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KR200166065Y1 (ko) 흡입식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