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540B1 - 살충 장치 - Google Patents

살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540B1
KR101325540B1 KR1020110109945A KR20110109945A KR101325540B1 KR 101325540 B1 KR101325540 B1 KR 101325540B1 KR 1020110109945 A KR1020110109945 A KR 1020110109945A KR 20110109945 A KR20110109945 A KR 20110109945A KR 101325540 B1 KR101325540 B1 KR 101325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ction
insecticide
light emitting
pe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621A (ko
Inventor
김진환
조만호
박경식
Original Assignee
(주)팜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팜클 filed Critical (주)팜클
Priority to KR1020110109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5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해충을 살충할 수 있도록 하는 살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 형성되며 둘레면의 일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흡입공이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상기 해충 및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에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흡입수단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흡입수단 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송풍하는 제2흡입수단을 포함한 흡입부와; 상기 제1흡입수단의 하측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흡입된 상기 해충을 살충하는 살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살충 장치의 내부로 해충을 유입시키는 흡입력을 높여서 해충을 효과적으로 살충함과 동시에 공기와 더불어 해충이 살충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가 되는 흡입구를 필요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해충을 살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살충 장치{INSECTICIDAL DEVICE}
본 발명은 살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충을 효과적으로 살충할 수 있는 살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살충 장치는 빛으로 유인된 해충을 전기로 감전사시키는 전기충격 살충 장치, 연기 또는 향을 이용하여 해충을 제거하는 화학 방식 살충 장치, 야외에 설치되어 빛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유인된 해충을 공기 흡입방식으로 흡입하여 해충을 제거하는 공기 흡입 방식 살충 장치 등 여러 종류의 살충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살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살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살충 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20)와, 본체(10)의 상면에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흡입구(31)를 형성하는 덮개(30)와, 본체(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해충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부(40)과, 흡입부(40)의 하측에 배치되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살충하는 블레이드(50)와, 본체(10)의 하단에 장착되어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통(6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배치된 발광부(20)에서 발생된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광투과창(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광투과창(11)은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발광부(20)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빛을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램프(21)와, 램프(21)의 하부에 배치되어 램프(21)를 점등시키는 안정기(22)로 구성된다.
덮개(30)는 하측이 개방되어 본체(10)의 상면에 덮어지고 본체(10)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공기와 더불어 해충이 유입되는 흡입구(31)를 형성한다.
흡입부(40)은 발광부(20)에서 발광되는 빛 또는 유인제에 의해 본체(10)의 주변에 모여든 해충을 흡입구(31)를 통하여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해충을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흡입부(40)는 본체(10) 내부의 하측에 고정되며 회전축을 구비한 구동모터(41)와, 구동모터(4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 운동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팬(42)으로 구성된다.
블레이드(50)는 본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흡입팬(4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동모터(4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흡입팬(42)과 함께 회전 운동하면서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해충을 살충하는 역할을 한다.
포집통(60)은 본체(10)의 개구된 하단에 결합되어 블레이드(50)의 의하여 살충된 해충을 포집하는 부재로서,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고 그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포집된 해충의 양이 많아지면 개구된 면을 통하여 살충된 해충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살충 장치는 본체(10) 내부의 하측에 구비된 하나의 흡입팬(42)을 이용하여 해충을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는 구조이므로 흡입력이 약해서 효과적으로 해충을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입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흡입구(31)의 크기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크기가 큰 해충은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살충할 수 있는 해충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살충 장치의 내부로 해충을 유입시키는 흡입력을 높여서 해충을 효과적으로 살충함과 동시에 공기와 더불어 해충이 살충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가 되는 흡입구를 필요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해충을 살충할 수 있도록 하는 살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살충 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 형성되며 둘레면의 일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흡입공이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상기 해충 및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에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흡입수단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흡입수단 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송풍하는 제2흡입수단을 포함한 흡입부와; 상기 제1흡입수단의 하측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흡입된 상기 해충을 살충하는 살충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흡입수단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는 상기 제2흡입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흡입수단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빛은 외부로 조사하고, 이물질이나 수분은 발광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기판과 발광소자는 투명 소재로 형성된 투명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폐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광부의 하측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제1흡입수단은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하측에 배치되며 회전축을 구비한 제1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살충부 측으로 송풍하는 제1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제1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이물질이나 수분이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제1구동모터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제1구동모터는 방열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부재와 상기 방열부재가 접촉되는 영역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명부재와 상기 방열부재의 외면은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이격된 공간에 공기유입공을 형성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공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메쉬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충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컷터를 갖는 회전블레이드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는 살충된 상기 해충이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상기 해충을 이탈시키는 별도의 이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내면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를 상기 본체부의 내면을 따라 회전 구동시키는 제3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광부와 흡입부 및 살충부의 작동 시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타이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와 흡입부 및 살충부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 시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온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살충 장치는, 살충 장치의 내부로 해충을 유입시키는 흡입력을 높여서 해충을 효과적으로 살충함과 동시에 공기와 더불어 해충이 살충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가 되는 흡입구를 필요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해충을 살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살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살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충 장치가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해충을 살충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충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충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충 장치가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어 해충을 살충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충 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 형성되며 둘레면의 일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흡입공(110)이 구비된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200)와, 본체부(10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흡입공(110)을 통하여 상기 해충 및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에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흡입수단(310)과, 본체부(10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제1흡입수단(310) 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송풍하는 제2흡입수단(320)을 포함한 흡입부(300)와, 제1흡입수단(310)의 하측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본체부(100)의 내부로 흡입된 상기 해충을 살충하는 살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00)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구비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되고 측면이 절개 형성되어 해충이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공(110)은 본체부(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360°로 절개 형성될 수도 있고, 살충 장치를 일정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거치대(800)가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절개 형성할 수도 있다.
흡입공(110)이 본체부(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360°로 절개 형성된 경우에는 거치대(800)에 의하여 본체부(100)의 상측과 하측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공(110)의 높이는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인하여 살충해야 하는 해충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데, 살충할 해충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하고, 살충할 해충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본체부(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발광부(2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기판(210)과, 기판(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판(210)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판(210)은 발광부(200)의 하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전원공급수단(2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공급받은 전원을 발광소자(220)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발광소자(220)가 발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복수의 기판(210)이 설치되는 위치는 절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흡입공(110)이 형성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발광소자(220)에서 발생되는 빛을 사방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광소자(220)는 엘이디조명, 원적외선 램프 혹은 근적외선 램프 등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가 적용되더라도 무방하지만, 유인하고자 하는 해충의 특성에 따라서 해충이 선호하는 발광 장치가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복수의 발광소자(220)가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 기판(210)은 별도의 유리나 혹은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된 투명부재(240)에 의하여 외부와 차폐되도록 함으로써 발광소자(220)에서 발생된 빛은 외부로 조사하고, 기판(210) 측으로는 외부의 이물질이나 혹은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발광부(200)가 외부의 이물질이나 혹은 수분과 접촉됨으로 인하여 전원공급수단(230)과 기판(21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차단되어 발광소자(220)가 발광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흡입수단(310)은 전원공급수단(230)의 하측에 배치되며 회전축을 구비한 제1구동모터(311)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어 살충부(400) 측으로 송풍하는 제1흡입팬(31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이 구비된 제1구동모터(311)는 전원공급수단(23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전원공급수단(23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 상기 회전축이 회전 구동하면서 회전축에 결합된 제1흡입팬(312)을 회전시키게 된다.
제1흡입팬(312)이 회전되는 방향은 공기와 함께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살충부(400) 측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원공급수단(230)과 제1구동모터(311)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이물질이나 수분이 전원공급수단(230)과 제1구동모터(311)에 접촉되지 않도록 전원공급수단(230)과 제1구동모터(311)는 방열부재(250)에 의하여 외부와 차폐될 수 있다.
방열부재(250)는 전원공급수단(230)과 제1구동모터(311)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하여 열에 민감한 모기 등의 해충을 유인함과 동시에 부품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 전도도가 높은 알류미늄이나 혹은 구리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원공급수단(230)에서 발생되는 열과 제1구동모터(31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부재(250)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고장을 방지함과 동시에 열에 민감한 모기 등의 해충을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인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투명부재(240)와 방열부재(250)가 접촉되는 영역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투명부재(240)와 방열부재(250)의 외면은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단차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이 단차면에 안착되거나 혹은 단차면에 부착되어 살충부(400) 측으로 흡입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흡입수단(320)은 회전축을 구비한 제2구동모터(321)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흡입수단(310) 측으로 송풍하는 제2흡입팬(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흡입수단(320)은 발광부(200)의 상측에 배치되어 후술할 공기유입공(510)을 통하여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킨 후에 유입된 공기를 제1흡입수단(310) 측으로 송풍함으로써, 흡입공(110)을 통하여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기 및 해충을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배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구동모터(311)의 회전속도는 제2구동모터(321)의 회전속도보다 더 빠르게 함으로써 제2구동모터(321)에 의하여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1흡입수단(310)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가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고 신속하게 본체부(100)의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흡입력을 배가하고 본체부(100) 내부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체부(100)의 상측에는 본체부(100)와 이격 배치되어 본체부(100)의 상면과 사이의 공간에 수평 방향을 따라 공기유입공(510)을 형성하는 커버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500)는 본체부(10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상면을 완전히 덮음으로써 우천시의 빗물이나 혹은 동절기의 눈이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유입공(510)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메쉬부재(511)가 설치되어 공기만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함으로써 본체부(100)의 내부에 이물질이 표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살충부(400)는 제1구동모터(311)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컷터를 갖는 회전블레이드(410)로 구성하여 본체부(100)의 내부로 흡입된 해충이 컷터에 충돌하여 컷팅됨으로써 살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흡입팬(312)과 회전블레이드(410) 사이의 거리는 살충하고자 하는 가장 큰 해충의 길이보다는 긴 거리를 갖도록 회전블레이드(410)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흡입팬(312)과 회전블레이드(410)는 상호 중첩되지 않고 상호 교번되는 위치가 되도록 회전블레이드(410)를 초기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체부(100)의 하측에는 살충된 해충이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610)이 형성된 배출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부재(600)의 저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일정 수준 이상으로 살충된 해충이 쌓이게 되면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본체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본체부(100)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상기 해충을 본체부(100)의 내면에서부터 이탈시키는 별도의 이탈수단(7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탈수단(700)은 본체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내면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회전바(710)와, 회전바(710)를 본체부(100)의 내면을 따라 회전 구동시키는 제3구동모터(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바(710)는 단순하게 일자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1회전시에 본체부(100)의 내면과 접촉되는 횟수를 높일 수 있도록 'П'자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본체부(100)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혹은 거미줄 등을 떼어내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그리고, 제3구동모터(720)는 제2구동모터(321)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3구동모터(720)의 회전축에는 회전바(710)가 고정 결합되는데, 제3구동모터(720)는 흡입부(300)와 발광부(200)가 동작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회전 구동하며, 그 속도는 분당 2회전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부(100)의 외면 일측에는 발광부(200)와 흡입부(300) 및 살충부(400)의 작동 시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타이머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50분 작동후에 10분 휴식되도록 함으로써 과열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도 있고, 계절에 따라 동절기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하고 4월에서부터 10월까지만 살충 장치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살충 장치가 동작되도록 발광부(200)와 흡입부(300) 및 살충부(400)의 작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을 최대한 절약하면서 가장 효율적으로 살충할 수 있는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타이머에 의하여 흡입부(300)와 발광부(200), 살충부(400) 및 이탈수단(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온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구동모터(311)와 제2구동모터(321) 및 발광소자(200) 그리고 제3구동모터(720) 등이 과열될 경우에 이를 감지한 후에 과열된 부품의 동작을 일정 시간동안 정지시키고, 과열된 부품이 정상 상태로 복귀되면 다시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살충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온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구동모터(311)와 제2구동모터(321) 및 발광소자(200) 그리고 제3구동모터(720)의 구동을 제어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해충의 활동 온도를 감안하여 기온이 12 ℃ 이상에서는 각각의 부품들이 작동되도록 하고, 기온이 10 ℃ 이하인 경우에는 각각의 부품들의 동작이 멈추도록 하는 방법으로도 제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충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해충의 박멸이 필요한 장소에 살충 장치를 일정한 높이로 설치한 후에 타이머를 이용하여 발광부(200)와 흡입부(300) 및 살충부(400)가 작동해야 하는 주기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타이머를 이용한 입력이 완료되면 전원공급수단(230)에서 전원이 제1구동모터(311), 기판(220), 제2구동모터(321) 및 제3구동모터(720) 측으로 공급되어 제1흡입팬(312), 발광소자(220), 제2흡입팬(322), 회전블레이드(410) 및 회전바(710)가 작동하게 된다.
발광소자(220)에서 발생된 빛과 전원공급수단(230)과 제1구동모터(31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해충이 본체부(100)의 근처로 유인되며, 유인된 해충은 흡입공(110)을 통하여 본체부(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제2흡입팬(322)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유입공(510)을 통하여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흡입팬(312) 측으로 송풍되고 제1흡입팬(312)에 의하여 흡입공(110)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와 해충은 살충부(400) 측으로 유도되어 살충부(400)의 회전블레이드(410)에 해충이 충돌하여 살충이 이루어진다.
살충된 해충의 잔해는 배출부재(610)에 쌓이게 되고, 쌓인 해충 잔해의 양이 많아지면 중력에 의하여 배출공(6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살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흡입공
200 : 발광부 210 : 기판
220 : 발광소자 230 : 전원공급수단
240 : 투명부재 250 : 방열수단
300 : 흡입부 310 : 제1흡입수단
311 : 제1구동모터 312 : 제1흡입팬
320 : 제2흡입수단 321 : 제2구동모터
322 : 제2흡입팬 400 : 살충부
410 : 회전블레이드 500 : 커버부재
510 : 공기유입공 511 : 메쉬부재
600 : 배출부재 610 : 배출공
700 : 이탈수단 710 : 회전바
720 : 제3구동모터 800 : 거치대

Claims (15)

  1. 상부와 하부가 개구 형성되며 둘레면의 일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흡입공이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상기 해충 및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후에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흡입수단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흡입수단 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송풍하는 제2흡입수단을 포함한 흡입부와;
    상기 제1흡입수단의 하측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흡입된 상기 해충을 살충하는 살충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내면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상기 해충을 이탈시키는 별도의 이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수단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는 상기 제2흡입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흡입수단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보다 더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빛은 외부로 조사하고, 이물질이나 수분은 발광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기판과 발광소자는 투명 소재로 형성된 투명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하측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제1흡입수단은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하측에 배치되며 회전축을 구비한 제1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살충부 측으로 송풍하는 제1흡입팬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제1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이물질이나 수분이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제1구동모터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제1구동모터는 방열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와 상기 방열부재가 접촉되는 영역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명부재와 상기 방열부재의 외면은 동일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의 이격된 공간에 공기유입공을 형성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공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메쉬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컷터를 갖는 회전블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는 살충된 상기 해충이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내면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를 상기 본체부의 내면을 따라 회전 구동시키는 제3구동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흡입부 및 살충부의 작동 시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타이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흡입부 및 살충부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 시간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온도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 장치.
KR1020110109945A 2011-10-26 2011-10-26 살충 장치 KR101325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945A KR101325540B1 (ko) 2011-10-26 2011-10-26 살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945A KR101325540B1 (ko) 2011-10-26 2011-10-26 살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621A KR20130045621A (ko) 2013-05-06
KR101325540B1 true KR101325540B1 (ko) 2013-11-07

Family

ID=4865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945A KR101325540B1 (ko) 2011-10-26 2011-10-26 살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100B1 (ko) * 2018-12-11 2020-05-18 (주)이노테크 포충기
CN111887225A (zh) * 2020-08-27 2020-11-06 扬州市宝迪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式强劲风吸入电击一体化的新型太阳能杀虫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758B1 (ko) * 2006-05-17 2007-08-31 김종헌 해충 퇴치기
KR20080057391A (ko) * 2006-12-20 2008-06-25 김승수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100900046B1 (ko) * 2007-11-21 2009-06-01 (주)대창엔지니어링 해충 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758B1 (ko) * 2006-05-17 2007-08-31 김종헌 해충 퇴치기
KR20080057391A (ko) * 2006-12-20 2008-06-25 김승수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100900046B1 (ko) * 2007-11-21 2009-06-01 (주)대창엔지니어링 해충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621A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29459A1 (en) Devices for trapping insects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US6502347B1 (en) Lighted insect trap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KR100632277B1 (ko) 포충기
KR101960250B1 (ko)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
KR101854414B1 (ko) 해충 유인형 포충기
KR200394218Y1 (ko) 해충 박멸기
KR101681748B1 (ko) 해충 포획 장치
KR20130058992A (ko) 포충기
KR20130041411A (ko) 해충퇴치기
KR20110069608A (ko) Dc방식 해충 포획기
KR101325540B1 (ko) 살충 장치
KR100685009B1 (ko) 해충 퇴치기
KR100753758B1 (ko) 해충 퇴치기
KR20180042654A (ko) 해충 퇴치기
WO2000003588A1 (en) Combination mosquito killing system and insect attractor
KR101393105B1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JP4999150B2 (ja) 吸引型殺虫機
KR20160002012A (ko) 해충 포획기
KR20090009595A (ko) 해충 포획장치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KR100632278B1 (ko) 포충기
KR20090086858A (ko) 해충 퇴치용 팬 및 이를 이용한 해충퇴치기
CN211532441U (zh) 一种新式捕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