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207A - 장치 - Google Patents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207A
KR20080056207A KR1020087008874A KR20087008874A KR20080056207A KR 20080056207 A KR20080056207 A KR 20080056207A KR 1020087008874 A KR1020087008874 A KR 1020087008874A KR 20087008874 A KR20087008874 A KR 20087008874A KR 20080056207 A KR20080056207 A KR 20080056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fluid
irrigation
cleaning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트릭 루이스 블로트
브라이언 그리너
에드워드 여버리 하트웰
줄리안 리-웨브
데렉 니콜리니
Original Assignee
스미쓰 앤드 네퓨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쓰 앤드 네퓨 피엘씨 filed Critical 스미쓰 앤드 네퓨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5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29Devices operating in a closed circuit, i.e. recycling the irrigating fluid
    • A61F13/0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1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 A61M1/916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eep w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2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with liquid suppl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4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with gas suppl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12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1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2Volum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9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with recirculating dialys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2Membrane pumps, e.g. bul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순환 유체의 세정을 위해 세포나 조직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 장치(1)는, 상처(5)로부터 순환 유체 내의 유해한 물질을 파괴하거나 제한하여 유익한 물질을 증대시킴으로써 상처 치유를 향상시킨다.
기저층, 상처 드레싱, 유체 저장기, 유체 세정 수단, 유체 이동 수단, 순환 유체, 상처 접촉층

Description

장치{APPARATUS}
본 발명은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灌注: irrigating) 및/또는 세정(cleansing)용 장치와 의료용 상처 드레싱, 및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를 사용한 상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상처 치유에 해로운 물질을 상처로부터 세정하는 한편, 일부 치료적인 차원에서 특히 상처 치유에 유익한 물질을 유지 및/또는 추가하기 위해 광범위한 특히 만성적인 상처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이러한 장치, 상처 드레싱,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이전에, 흡인 및/또는 관주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 바, 이는 상처 치료 중에 상처 삼출물(渗出物)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었다. 공지된 형태의 이러한 상처 치료에서는, 특히 고도 삼출 상태에 있을 때의 상처로부터의 배출물(offtake)은 쓰레기통, 예를 들면 수집 백으로 치워진다.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은 이런 식으로 제거된다.
그러나,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익한 물질, 예를 들면 성장 인자, 세포 기질 성분과 그 파편, 및 상처로부터의 삼출물의 기타 생리 활성 성분은 이러한 치료법이 적용될 때 잠재적으로 가장 이득이 될 수 있는 개소(site), 즉 상처 부위에 소모된다.
이러한 공지된 형태의 상처 드레싱과 흡인 및/또는 관주 치료 시스템은 종종 드레싱 하의 상처 환경을 생성하는 바, 그 결과 신체 자체의 조직 치유 과정 및 느린 치유의 최적 능력이 손실될 수 있거나 및/또는 상처 부위에 잘 부착되어 그로부터 성장하는 강력한 3차원 구조를 갖지 않는 취약한 신규 조직 성장이 초래될 수 있다. 이는 만성적 상처에 있어서 특히 중대한 단점이다.
따라서,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상처 삼출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익한 물질을 상처 부위와 접촉 상태로 유지 및/또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투석은 신체에 유해한 물질을 전신(全身)적으로 세정하기 위해 혈액과 같은 체액을 체외 처리하는 공지된 방법이다. 혈액, 세포 및 단백질과 같은 물질을 유지 및/또는 첨가하는 한편으로 투석액과의 접촉에 의한 이런 물질의 제거가 투석의 주 목적이다. 추가적인 적극적인 치료 작용을 가질 수 있는 다른 물질이 이 물질에 대해서도 투과적인 투석막을 통해서 시스템에 손실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재순환시 체액 내의 이러한 물질의 균형은 더 저하될 수 있다.
상처 부위와 접촉하여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익한 물질을 거의 희석시키지 않으면서 상처 삼출물로부터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러한 물질을 상처에 동시에 지속적으로 공급 및 재순환시킬 수 있는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체액 치료용 투석 또한 치료액이 체내로 복귀되므로 전신 요법이다.
이는 치료액이 체외에서 예를 들면 상처로 재순환되는 국소 요법과 대조적이다.
대부분의 투석은 또한 혈액과 같은 체액을 다량 필요로 하며, 따라서 관련 장치를 휴대할 수 없다.
고도 삼출 상태에 있을 때에도, 만성적 상처는 신체내 시스템에 비해 치료될 유체를 상대적으로 적게 생성하며, 특정한 치료적 차원에서 상처 및/또는 그 환경에 유지되기에 유익한 물질을 상대적으로 적게 생성한다.
본 발명 이전에, 유해 물질의 혈액과 같은 체액을 세정하기 위한 공지된 형태의 장치, 예를 들어 투석 유닛이나 여과 장치는 각각 2상 또는 단상(single phase) 시스템인 유체 세정 수단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장치에서, 신체로부터의 순환 유체는 유체 세정 수단을 관통하며,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이 제거된다.
예를 들어, 각각 용질이나 분산상 종과 같은 물질이 투석 멤브레인을 통해서 투석액 중으로 통과하거나, 또는 미립자로서 예를 들어 세포 찌꺼기 및 미생물은 어떤 치료적 관점에서 유익한 물질을 통과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거시적 및/또는 미시적 필터에 의해 제거된다.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상처 삼출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상처 치유에 유익한 물질을 공급할 수 있는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출원인은 상처 치유 과정에서 세포 또는 조직이 이 목적을 위해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유체 세정 수단은 삼출물 세정을 위해 세포나 조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상처 치유에 관련된 성장 인자, 세포 기질 성분, 생물학적 시그널링 분자, 및 기타 상처에 대한 생리 활성 성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이것들이 잠재적으로 가장 유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a) 공지된 흡인 및/또는 관주 치료 시스템의 상기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완화하고,
(b)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상처 삼출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익한 물질을 상처 부위와 접촉 상태로 유지 및/또는 추가하는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공지된 투석 시스템의 상기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완화하는 것과,
(b)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상처 삼출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익한 물질을 상처 부위와 접촉 상태로 유지 및/또는 추가하며,
(c) 신체에 전신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공지된 투석 시스템의 상기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완화하는 것과,
(b)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상처 삼출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익한 물질을 상처 부위와 접촉 상태로 유지 및/또는 추가하며,
(c) 휴대가능한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처 아래에 놓이고 상처를 둘러싸는 조직에 대한 혈관 공급 및 이 조직 내에서의 혈액 순환은 종종 절충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이 효과를 역전시키는데 유익한 물질을 치료 효과가 있는 양만큼 유지 및 공급하면서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여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에 있어서,
(a) 유체 유로로서,
(i) 상처 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seal) 또는 폐쇄부(closure)를 형성할 수 있는 기저층(backing layer)과,
유체 공급 튜브에 연결되고 상처-대향면(wound-facing face)을 관통하며 그 아래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 및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고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를 갖는 적합성(conformable) 상처 드레싱으로서,
각각의 입구 파이프와 각각의 출구 파이프가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지점은 상처 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는 유체 재순환 튜브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는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는 상처 드레싱과,
(ⅱ)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포트 및 유체 재순환 튜브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를 갖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을 포함하는 유체 유로;
(b)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유동을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통해서) 제2 유체 공급 튜브에 의해 상기 유로의 완전체에 연결되는 유체 저장기;
(c) 상처 드레싱과,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 그리고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유체 공급 튜브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d) 경우에 따라, 유체가 유로를 충진하도록 유체 저장기로부터 유체 공급 튜브를 통해서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유동 전환 수단을 통해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이동 장치에 의해 유로를 통해서 재순환될 수 있도록 유로를 방혈(bleeding)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에 있어서,
(a) 유체 유로로서,
(i) 기저층과, 유체 공급 튜브에 연결되고 상기 기저층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 및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고 상기 기저층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를 갖는 상처 드레싱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는 유체 재순환 튜브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는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는 상처 드레싱, 및
(ⅱ)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포트 및 유체 재순환 튜브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를 갖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을 포함하는 유체 유로;
(b)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유동을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통해서) 제2 유체 공급 튜브에 의해 상기 유로의 완전체에 연결되는 유체 저장기;
(c) 상처 드레싱과,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 그리고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유체 공급 튜브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d) 경우에 따라, 유체가 유로를 충진하도록 유체 저장기로부터 유체 공급 튜브를 통해서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유동 전환 수단을 통해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이동 장치에 의해 유로를 통해서 재순환될 수 있도록 유로를 방혈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가 제공된다.
유체 세정 수단은 삼출물 세정을 위해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다. 종종, 이 유체 세정 수단은, 세포나 조직 성분을 수용하며 상처 삼출물 또는 상처 삼출물과 관주액의 혼합물(또는 변형 관주액)이 이를 관통하고 이동 장치에 의해 유로를 통해서 재순환되는 챔버 또는 구획실을 갖는, 예를 들어 캐니스터(canister: 깡통),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로 예시되는 용기와 같은 중공체 형태이다.
전술한 구조물은 종종 유리 및/또는 합성 폴리머 재료로 제조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조물은, 유통을 위한 축방향 입구와 출구를 갖는 챔버를 규정하고 지지체(scaffold) 상에 세포나 조직을 수용하는 유리 실린더일 수 있다.
조직이나 세포 성분을 수용하는 회로 소자는 통상, 세포의 생존능력과 활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장치 내에 장착될 것이다. 이는 영양소를 공급하고 가스 교환을 규제하며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것이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듯이,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은 단상 또는 2상(dual phase) 회로 소자일 수 있다.
조직 성분은 물질의 동화(elaboration) 또는 흡취(uptake)에 의해 또는 동화와 흡취의 조합에 의해 생화학적,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상처 치유에 유해한 요소를 제거하거나 상처 부위의 세포 성분을 변형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포는 간세포이거나,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태의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에 사용되는 특정 세포 또는 조직 및 치료되는 상처의 특정 형태에 따라서, 제거되어야 할 유해한 물질에는,
예를 들어 엘라스타제 및 트롬빈과 같은 세린 프로테아제;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예를 들어 콜라게나제와 같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및 카르복실(산) 프로테아제와 같은 프로테아제;
트롬보스폰딘-1(TSP-1), 플라즈미노겐 활성 억제제, 또는 안지오스타틴(플라즈미노겐 단편)과 같은 혈관형성 억제제(inhibitor),
종양 괴사 인자 알파(TNFα) 및 인터루킨 1 베타(IL-1β)와 같은 염증유발성 사이토카인, 및
예를 들어 히스타민과 같은 리포다당체와 같은 염증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상처 치유에 유익한 물질을 삼출물 및 관주액(또는 변형 관주액)에 첨가하거나, 또는 장치를 통해서 유로를 통과하고 재순환될 때 삼출물 및 관주액을 상처 치유에 유익한 요소를 함유하도록 생화학적,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변형시키는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본 발명의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에 사용되는 특정 세포 또는 조직 및 치료되는 상처의 특정 형태에 따라서, 추가되어야 할 유익한 물질에는 상처 삼출물에서의 상처 치유에 해로운 물질에 대한 길항제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억제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억제제, 및 카르복실(산) 프로테아제 억제제와 같은 프로테아제 억제제와 같은 효소 또는 기타, 예를 들어 펩타이드 모방체(peptidomimetics)와 같은 리포다당체를 결합하거나 파괴하기 위한 항염증제와 같은 결합제 및/또는 분해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펩타이드(예를 들어 α-아미노-γ-부티롤악톤 및 L-호모카르노신과 같은 박테리아 사이토카인과 같은 사이토카인을 포함); 및 기타 생리 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조직 성분은 체외(자가, 동종, 또는 이종) 미배양 조직 이식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직 성분은 배양 기간 없이 사용된 분리되거나 부분 분리된 세포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체내에서 배양될 수도 있다. 배양 과정은 배지에서의 성장 및 증식 또는 적절한 배양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조직은 피부, 근육, 뼈, 신경, 결합 조직, 장, 간 또는 양막(amniotic) 조직과 같은 임의의 기관 및 기타 기관으로부터의 조직 또는 그 조합일 수 있으며, 그 세포와 조직은 적절한 특성을 유지한다.
삼출물 세정을 제공하는 조직 성분은 공배양(共培養: co-culture)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공배양은 둘 이상의 세포 형태 또는 조직 이식편의 체내 배양 또는 체외 배양을 망라한다. 이는 방사선 처리나 화학 처리를 통해서 완전히 생존가능하거나 생존가능하지만 비분할 상태로 될 수도 있다. 삼출물 세정은, 입력 세포 또는 조직들이 밀착하여 혼합되거나 섞이거나, 적층체로 존재할 경우에도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시스템에서, 성분 세포나 조직 사이의 반투과성 멤브레인 또는 기질은 생화학물이나 단백질 또는 기타 신호를 통한 연통을 허용하지만, 입력 세포 형태 사이의 세포 접착은 허용하지 않는다. 추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입력 세포 또는 조직 형태로부터 순화 배지(conditioned medium)가 수집되어 제2 입력 세포 또는 형태에 제공되고, 제1 입력 세포 형태로 (순차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되돌아가서 최적의 세정 작용을 발생한다.
세포나 조직 성분은 생화학물, 단백질,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의 송출을 통해서 또는 전자기 방사, 초음파 또는 전기 자극을 통해서 단독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은 필요에 따라 '단상 시스템'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처 및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순환 유체는,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이 제거된 조직이나 세포 성분을 수용하는 한편으로,
상처 치유의 촉진에 유익한 상처로부터의 물질을 여전히 함유하고,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이 삼출물 및 관주액(또는 변형 관주액)에 첨가되며, 및/또는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을 수용하도록 생화학적,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변형되는 세정된 유체가 재순환 튜브를 거쳐서 상처 부위로 복귀되는 자기-완결형(self-contained) 시스템을 통과한다.
다른 유체 상은 이러한 유체 세정 수단에 공급되거나 유입되지 않고, 유로를 통해서 상처로 재순환 복귀되지 않으며,
영양소를 공급하고 가스의 교환을 규제하며 최적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 세포의 생존능력 및 활성을 유지하고, 및/또는 재순환 시에 유체의 소정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임의의 유체상이 필요한 예외가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적절한 경우, 이는 2상 시스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처 및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순환 유체는,
유체가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는 어떠한 세포와도 접촉하지 않지만, 제2 유체(투석액)상, 보다 보편적으로는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는 세포나 조직 성분과 직접 접촉하는 액체와 간접 또는 (덜 보편적으로, 직접) 접촉 상태로 재순환하는 시스템을 통과한다.
상처 치유의 촉진에 유익한 상처로부터의 물질을 여전히 함유하고,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이 삼출물 및 관주액(또는 변형 관주액)에 첨가되며, 및/또는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을 수용하도록 생화학적,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변형되는 세정된 유체는, 재순환 튜브를 거쳐서 상처 부위로 복귀된다.
이러한 유체 세정 수단에서의 제1 및 제2 상은 종종,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이 침투가능한 완전체, 예를 들면 이러한 물질을 세포나 조직 성분에 대한 근접 단계와 이격 단계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유체 사이의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 멤브레인 또는 매트릭스에 의해 분리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나중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세포나 조직을 이용하여 상처를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에 포함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이 단상 시스템인 경우, 이는 임의의 종래 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의 예로는, 세포나 조직 성분을 수용하고 상처 삼출물 또는 관주액과의 혼합물이 관통하는 챔버 또는 격막을 구비하는 예를 들어 캐니스터,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로 예시되는 용기와 같은 중공체 형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조물은, 유통을 위한 축방향 입구와 출구를 갖는 챔버를 규정하고, 경우에 따라 폴리머 필름에 속박되는 세포나 조직을 수용하는 유리 실린더일 수 있다.
이는 상처 드레싱으로부터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이 그 위로 및/또는 이를 통해서 지나는 불용성 및 고정화 기질에 속박되지 않는 세포나 조직 성분을 수용할 수도 있다.
이는 또한, 상처 삼출물 또는 관주액과의 혼합물을 관통시킬 수 있지만, 세포나 조직 성분을 보유하고 예를 들어 세포 찌꺼기와 같은 미립자를 중공체 내에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작은 단면 치수의 개구, 홀, 구멍, 오리피스, 슬릿 또는 세공을 갖는 둘 이상의 완전체를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각각의 완전체는 이후 거시적 및/또는 미시적 필터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이는 상처 드레싱으로부터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이 그 위로 및/또는 이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예를 들어 지지체와 같은 불용성 및 고정화 기질에 속박되는 세포나 조직 성분을 수용할 수도 있다. 이는 종종,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익한 천연 및 합성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성분들에 대해 세포독성적이지 않으며 생체비친화적이고 비활성적인 재료의 것일 수 있는 바, 이는 통상 작은 단면-치수의 개구, 홀, 구멍, 오리피스, 슬릿 또는 슬롯을 종종 갖는 적합성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의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이후 메쉬, 그리드, 격자, 네트 또는 웨브인 구조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유체 세정 수단은 이후, 세포나 조직 성분을 중공체 내에 보유하기 위해 상처 삼출물 또는 관주액과의 혼합물을 투과시킬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세포 찌꺼기와 같은 미립자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둘 이상의 완전체를 포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세포나 조직을 이용하여 상처를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에 포함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이 2상 시스템인 경우, 이는 임의의 종래 시스템일 수도 있다.
2상 시스템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의 예에서, 상처 및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순환 유체는,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는 세포나 조직 성분과 직접 접촉하는 제2 유체(투석액) 상, 대개는 액체와 간접 또는 (덜 보편적으로, 직접) 접촉한다.
대개, 이는 두 유체(재순환 유체 및 투석액)가 장치 내의 순환 유체 중의 물질이 투과될 수 있는 중공 섬유나 필라멘트 또는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과 같은 상당히 2차원적인 완전체에 의해 분리된다.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은 투석액 내로 제거되며,
상처 치유의 촉진에 유익한 상처로부터의 물질을 여전히 함유하고,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이 삼출물 및 관주액(또는 변형 관주액)에 첨가되며, 및/또는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을 수용하도록 생화학적,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변형되는 세정된 유체는 재순환 튜브를 거쳐서 상처 부위로 복귀된다.
투석 유닛과 같은 2상 시스템이 제공되는 이 형태에서, 투석액은 통상 사용 시에, 장치 내의 순환 유체를 지나서 평행류 또는 바람직하게 대향류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동(peristaltic) 펌프와 같은 펌프, 및/또는 밸브가 두 유체 유동의 방향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는 세포나 조직 성분과 직접 접촉하는 세정 유체는 덜 일반적으로 정적일 수도 있는 바, 이는 상처 삼출물로부터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실용적인 속도로 제거하기 위해 충분한 (동적) 표면적을 시스템에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본 발명의 상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에서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용 투석 수단에서의 통상적인 투석액 유량은, 전신 요법용 투석 유닛과 같은 종래 형태의 2상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이다.
완전체는 전신 요법용 투석 유닛과 같은 종래의 2상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태 및 동일한 (대체로 균일한) 두께의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일 수 있다.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은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으며, 이를 가로지르는 임의의 차등 압력에 따라서, 이를 견고화, 보강 또는 강화하기 위해 그것 상에 또는 그 안에 다른 물질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상처 삼출물로부터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실용적인 속도로 제거하기 위해 충분한 기능 표면적을 시스템에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상처 치유에 유해한 비교적 고농도의 물질을 특히 만성 상처 투석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려면, 폴리머 재료의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이 보다 회선적인 형태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그 사이에 간격을 갖는 평행한 어레이의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원형의 라운드 단면을 갖는 파이프, 튜브 중공 섬유 또는 필라멘트 또는 세관과 같은 세장형 구조물의 형태일 수도 있다.
상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은 내부를 통해서 재순환될 수 있고 세정 유체는 인접하는 파이프, 튜브 또는 세관 사이의 공간 내로 평행류 방향으로 또는 바람직하게 대향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가능하다.
다시,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은 투석액으로부터 제거되고,
상처 치유에 유익한 상처로부터의 물질을 여전히 함유하며, 상처 치유에 유익한 요소가 삼출물 및 관주액(또는 변형 관주액)에 첨가되고, 및/또는 상처 치유에 유익한 요소를 함유하도록 생화학적,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변형되는 세정된 유체는 재순환 튜브를 통해서 상처로 복귀된다.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에 적합한 재료의 예로는 천연 및 합성 폴리머 재료가 포함된다.
멤브레인은 예를 들면 재생 셀룰로스와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 셀룰로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스 모노-, 디- 또는 트리-에스테르, 벤질 셀룰로스와 헤모판, 및 그 혼합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친수성 폴리머 재료일 수 있다.
다른 재료의 예로는 방향족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설폰, 폴리케톤, 폴리에테르케톤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및 그 설폰화 유도체, 및 그 혼합물과 같은 소수성 재료가 포함된다.
다른 재료의 예로는 이하의 것과 같은 소수성 재료가 포함된다: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6-6 및 6-10의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그 공중합체,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나트륨 메탈로설포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염화 비닐리덴).
본 멤브레인에 적합한 재료에는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예를 들면 비닐 아세테이트와 폴리비닐 알콜을 구비한 그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이 포함된다.
멤브레인은 상처로부터 제거되도록 표적된 상처 치유에 유해한 종의 관류를 허용하도록 선택된 MWCO(molecular weight cut off: 분획 분자량)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세린 프로테아제 엘라스타제의 관류(분자량 25900 달톤)는 MWCO >25900 달톤(Dalton)을 갖는 멤브레인을 요구할 것이다. MWCO 임계치는 각각의 적용에 맞도록 1과 3000000 달톤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a) 예를 들어 분해 효소 또는 분획제와 같은 관련 길항제를 멤브레인의 투석액 측에 유지하고,
(b) 상처 치유에 유익한 물질을 삼출물 및 관주액(또는 변형 관주액)에 공급하며, 및/또는
(c) 상처 치유에 유익하고, (i)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기도 하는 세포나 조직 성분에 의해 발현되거나 (ⅱ) 상처 치유에 유익한 첨가 성분인 다른 물질을 삼출물 및 관주액(또는 변형 관주액)에 공급하는 한편으로,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상처 삼출물로부터 세포 생화학적,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제거할 수 있는 치료 체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2상 시스템에서의 옵션 (a)의 특별한 장점은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상처 삼출물로부터 제거하는 길항제가 세포독성이거나 생체비친화성인 경우에 상처 치유 촉진에 유익한 임의의 성분에 대해 비활성적이라는 점이다.
상기 시스템은 임의의 상당량의 길항제가 투석액으로부터 자유롭게 관주 유체 내로 확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활성 물질은 그러나 유체에 대해 유익하게 작용할 수 있다.
옵션 (a)의 일 예로서, 엘라스타제, 알파-1-안티트립신(AAT)에 대한 길항제(분자량 54000 달톤)가 투석액 성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엘라스타제(상처 치유에 유해)를 제거한다. MWCO >25900 달톤을 갖는 멤브레인은 만성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익한 억제제의 상당량이 투석액으로부터 자유롭게 확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며, 그곳에 유지된다.
옵션 (b)의 일 예로서, 덜 종래적인 형태의 2상 시스템이 유체 세정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형태에서,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은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에 선택적으로 투과할 수 있는 완전체가 아니다. 이는 또한 보다 크거나 작은 분자일 수 있지만 상처 치유에 유익하게 포함되는 상처 및/또는 관주액 유체로부터의 삼출물의 성분의 광범위한 스펙트럼이 자유롭게 이를 이리저리 통과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일부 종은 투석액으로부터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로 그리고 역으로 통과할 것이다.
상처 치유에 유해한 표적 물질은 삼출물로부터 비선택적으로 투과가능한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을 통해서 투석액 내로 통과한다. 상처 및/또는 관주액 유체로부터의 삼출물의 다른 성분과 달리, 상처 치유에 유해한 표적 물질은 투석액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완전체 상에서 경우에 따라 투석액 및/또는 길항제, 결합제 및/또는 분해제와 접촉되며, 적절한 길항제, 결합제 및/또는 분해제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상처로부터의 삼출물 및/또는 관주액 유체의 다른 성분과 달리, 표적 물질은 투석액으로부터 일정하게 제거되며, 이들 종은 거의가 투석액으로부터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 내로 통과하지 않을 것이고, 이들 종이 상처 드레싱으로부터 일정하게 '보급(top up)'되더라도 정상 상태 농도 균형은 수립되지 않는다.
투석액이 (바람직하게) 폐기물통, 예를 들면 수집 백으로 전혀 비워지지 않으면, 관주액 및/또는 상처 드레싱으로부터 '보급'되는 상처 삼출물과 투석액 사이에 비표적 종의 정상 상태 농도 균형이 결국 수립된다.
상처 유체의 순환은, 상처 삼출물로부터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의 재순환으로부터의 제거, 및 이들 물질의 이 균형의 보다 신속한 달성에 도움을 준다. 상처 치유의 촉진에 유익한 상처로부터의 물질을 여전히 함유하고,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이 삼출물 및 관주액(또는 변형 관주액)에 첨가되며, 및/또는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도록 생화학적,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변형되는 세정된 유체는 재순환 튜브로 복귀되고, 또한 상처 치유 촉진에 유익한 물질이 잠재적으로 가장 유익할 수 있는 곳, 즉 상처 부위로 복귀된다.
구체적으로, MWCO >54000 달톤을 갖는 멤브레인은 만성 상처 치유에 유해한 엘라스타제의 상당량이 투석액 내로 자유롭게 확산될 수 있게 할 것이고, 결국에는 세포 또는 조직 성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알파-1-안티트립신(AAT)(분자량 54000 달톤)에 의해 제거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 엘라스타제에 대한 억제제/길항제(상처 치유에 유익함)는 삼출물 내로 자유롭게 확산될 수 있고, 결국에는 상처 부위로 이동되어 그곳에 유익하게 작용할 수 있다.
옵션 (c)의 일 예로서, 적절한 MWCO를 갖는 멤브레인은 상당량의 용질 또는 분산상 종이 투석액으로부터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을 통해서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 내로 통과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 특성은 상처 치유에 유익한 물질을 투석액으로부터 관주액 및/또는 삼출물 내로 관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덜 종래적인 형태의 주입 공급에 있어서,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종은 대개 투석액으로부터 삼출물 및/또는 관주액 유체 내로 이동할 것이다.
이것들은 상처 치유에 유익한 물질을 포함하며, 세포나 조직 성분에 의해 발현된다. 이러한 물질은 사이토카인, 효소, 성장 인자, 및 주화성(走化性: chemotaxis) 초래에 유익한 효과를 갖는 기타의 것들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또한 상처 치유에 유익한 추가 요소인 물질로서, 이하의 것들을 포함한다:
중탄산염과 같은 이온 종;
상처 부위에 대한 산소성 스트레스를 경감하기 위한 아스코르빈산(비타민 C)과 비타민 E, 및 그 안정적인 유도체와, 그 혼합물;
이중수소 인산칼리/디나트륨 수소 인산염과 같은 pH 완충제;
상처 통증이나 염증 또는 드레싱 관련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리도카인/리그노카인 염산염 및 자일로카인(아드레놀린 리도카인) 및/또는 소염제와 같은 국소 진통제/마취제;
아미노산, 당, 저분자량 조직 구성물질 및 미량 원소와 같은 상처 세포, 및 기타 세포 배양액 종의 증식을 돕기 위한 영양소, 및
공기, 질소, 산소 및/또는 산화질소와 같은 기체.
본 발명의 장치의 이러한 모든 사용은 예를 들면, 당뇨성 족부 궤양 및 특히 욕창성 궤양과 같은 만성 상처에서의 상처 치유 처리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처 치유에 유해한 여러가지 다른 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그 각각이 다른 물질을 제거하는 복수 모듈의 시스템을 나란히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이는 동일한 유체 및/또는 상처 삼출물에 대해 부적합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게 해준다.
단상 시스템 및 2상 시스템의 양자는 본 발명의 장치로부터 비교적 쉽게 착탈될 수 있는 모듈 형태일 수 있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시스템은 상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을 최소한의 감시로 세정할 수 있는 종래의 자동화된, 프로그래밍가능한 시스템이다.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은 추가로, 필요할 경우, 하나 이상의 거시적 및/또는 미시적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백질 및 영양소를 통과시킬 수 있는 예를 들어 세포 찌꺼기와 세균과 같은 미립자를 보유하기 위한 것이다.
도관으로서,
(a)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이 상처 드레싱으로부터 이를 통해서 통과하고,
(b) 상처 치유의 촉진에 유익한 상처로부터의 물질을 여전히 함유하고,
삼출물 및 관주액(또는 변형 관주액)에 대해 상처 치유에 유익한 추가 요소를 가지며, 및/또는
상처 치유에 유익한 요소를 함유하기 위해 생화학적,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변형되는 세정된 유체가 이를 통해서 재순환 튜브로 복귀되고,
(c) (투석 유닛과 같은 2상 시스템 형태로 수단이 제공되는 경우에) 세포나 조직 유체를 이용한 세정이 이를 통해서 상기 수단에 출입하는 도관은,
모듈 분리 및 철회 시에,
(i) 유동을 차단하고,
(ⅱ) 그렇게 노출된 본 발명의 장치의 잔여부에서 도관 및 협력 튜브의 단부 위에 즉각적인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제공하여,
관주액 및/또는 삼출물과 세정된 유체의 지속적인 통과 및 세포나 조직 유체를 이용한 세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을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은, 상처가 동시에
(a) 유체 저장기와 연통될 수 있게 하지만,
(b) 유체 재순환 튜브에 폐쇄될 수 있게 하고,
(c) 그 역도 성립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처 드레싱의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입구 파이프가 하나만 존재할 경우, 유체 저장기는, 필요에 따라 유체를 유체 재순환 튜브 또는 유체 공급 튜브 사이에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통해서 유로에 연결된다.
이 경우, 유동을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은 T-밸브와 같은 조절기(regulator)일 수 있다. 이는 이어서 유체 재순환 튜브 또는 유체 배출 튜브 및 유체 공급 튜브의 두 부분에 연결되며, 따라서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 소정의 유체 전환이 달성된다.
둘 이상의 입구 파이프가 존재할 경우, 이들은 각각 유체 공급 튜브 및 유체 재순환 튜브에 각각 연결될 수 있는 바, 이들 튜브는 각각, 상처 내로의 유체를 허용하기 위한 밸브 또는 기타 제어 장치와 같은 제1 조절기 및 제2 조절기를 갖는다.
공급과 재순환 사이의 바람직한 유동 전환은 제2 조절기가 폐쇄될 때 제1 조절기를 개방시킴으로써 또한 그 역으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유로를 방혈시키기 위한 수단은,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과 접촉하지만 대개는 배출 및/또는 재순환 튜브 내에 존재하는 장치의 임의의 적절한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종종 저장기 및 유체 공급 튜브로부터 가능한 멀리 하류에 위치하며, 따라서 유로의 전체를 유체 저장기로부터 유체 공급 튜브를 통해서 만수(prime)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밸브나 기타 제어 장치와 같은 조절기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장치로부터의 유체를 예를 들어 수집 백과 같은 폐기물 저장기로 방혈시키기 위해 방혈과 재순환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돌려지는 T-밸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의 유체 전환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오히려 병존하는 방혈 및/또는 재순환이 바람직하다.
후자는, 재순환 시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 체적이
(a) 상처 삼출물 및/또는
(b) 예를 들어 투석 유닛과 같은 시스템에서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세정 유체로부터 선택적으로 투과가능한 완전체를 통해서 유동하는 유체가
그것에 지속적으로 추가됨으로써 증가될 때 일어날 수 있다.
배출 및/또는 재순환 튜브를 방혈시키기 위한 수단은 이후, 재순환 경로로부터 분기되는 방혈 라인을 통한 관주액 및/또는 삼출물의 통과를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한 간단한 밸브 또는 기타 제어 장치와 같은 조절기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 시에, 통상적으로, 공급 튜브와 재순환 튜브 사이에서 유동을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은 유체 저장기로부터 상처로의 유체는 허용하지만 유체 재순환 튜브로의 상처는 폐쇄하도록 세팅된다.
이후, 배출 튜브 및/또는 재순환 튜브를 방혈시키기 위한 임의의 수단이 개방되고, 유체를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과 상처를 통해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시동된다.
장치 유로의 용량 및 상처로부터의 관주액 및/또는 삼출물의 유량은, 장치를 장치 유로의 전장에 걸쳐서 만수시키기 위해, 즉 유체 재순환 경로로부터 일체의 기존의 유체(종종 공기)를 방출하기 위해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적절한지 그리고 얼마나 오래 작동되어야 하는지를 주로 결정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재순환 시에는 상처 삼출물에 비해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관주액이 우위에 있으며, 따라서 상처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의 사용이 이 목적에 적합하다.
장치가 그 유로의 전장에 걸쳐서 만수될 때까지 작동될 수 있다.
이후, 통상 배출 튜브 및/또는 재순환 튜브를 방혈시키기 위한 수단은 폐쇄되고, 공급 튜브와 재순환 튜브 사이에서의 유동 전환 수단은 상처를 유체 저장기에 대해 폐쇄하지만 유체 재순환 튜브로부터 상처로의 유체는 허용하도록 설정된다.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이 2상 시스템이면, 세정 유체는 통상 선택적으로 투과가능한 완전체, 예를 들면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작동 설정된다. 물론, 세정 유체는 덜 일반적으로 정적일 수 있으며, 따라서 이 단계가 생략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듯이, 재순환 시의 상처로부터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의 체적은
(a) 상처 삼출물 및/또는
(b) 세정 유체로부터 선택적으로 투과가능한 완전체, 예를 들면 투석 유닛과 같은 2상 시스템의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유체가
그것에 지속적으로 추가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처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상처 드레싱으로부터 멀리 하류에서 유체 재순환 튜브 내의 재순환 유체에 인가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에 의해 상처에 부압(negative pressure)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방혈 및/또는 재순환의 병존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과, 배출 튜브 및/또는 재순환 튜브를 방혈시키기 위한 수단에 의해 재순환 시에 유체의 바람직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절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재순환 시에 상처로부터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의 체적은, 예를 들면 투석 유닛과 같은 시스템에서 세정 유체로부터 선택적으로 투과가능한 완전체를 통과하는 유체가 그로부터 지속적으로 손실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처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상처 드레싱을 향한 상류의 유체 재순환 튜브에서 재순환 시에 유체에 인가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에 의해 상처에 정압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 유동을 전환하기 위한 수단은 마찬가지로, 병존하는 공급 및/또는 재순환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유동 전환 수단에 의해 재순환 시에 유체의 바람직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처에 정압 또는 부압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 상처 부위에 대한 근접 및 이격 재순환 유로 내의 적어도 하나의 중공체는 관주액 유체의 임의의 상당한 압축 또는 감압(decompression)이 발생할 수 있도록 압력에 대해 충분한 탄성을 가져야 함을 알 것이다.
장치의 모든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으로 기술되는 보디(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으로 정의됨)의 형태 및 재료는 주로 이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입구 또는 배출 및/또는 재순환 튜브와 같은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으로 정의되는 보디와, 예를 들어 상처 드레싱의 기저층과 같은 관주액으로 채워진 백, 챔버 및 파우치와 같은 구조물에 적합한 재료의 예는, 압력이 이런 식으로 인가될 때 이 기능을 잠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적절히 탄성적인 열가소성 재료이다.
이 태양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한 가지는 기저층 아래의 상처에 정압을 인가함으로써 상처 아래에 놓인 조직에 하나 이상의 생리 활성 성분을 쇄도(flood)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생리 활성 성분만에 의한 치료에 의한 것보다 더 큰 상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치료 효과적인 양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처 치유에 유익한 삼출물의 이러한 생리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효소이거나 기타 종일 수 있으며,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용 투석 수단의 투석액으로부터 공급된다.
본 발명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를 주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효과가 더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상처 유체의 순환은, 상처 치유에 관련된 생물학적 시그널링 분자가 상처 치유에 바람직한 상처 부위 내의 위치 및/또는 예를 들어 고도 삼출 상처 내에서 그것에 노출되지 않을 세포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이는 특히, 입구 또는 출구 매니폴드가 존재하고, 이 매니폴드를 통해서 세관이 방사되어 상처 부위로 연장되고, 확장된 영역에 걸쳐서 상처로부터 직접 유체를 송출 및 수집하는 개구에서 종료되는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의 실시예에서 그러하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의 모든 실시예에서, 특별한 장점은 상처 드레싱이 그것이 적용되는 신체 부분의 형상에 합치되는 경향이다.
상처 드레싱은,
상처 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할 수 있는 상처-대향면을 갖는 기저층과,
상기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유체 공급 튜브 또는 재순환 튜브에 연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 및
상기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또는 각각의 입구 파이프 및 상기 또는 각각의 출구 파이프가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지점은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란 용어는, 유체 및 세균이 침투할 수 없고 50% atm까지, 보다 양호하게는 15% atm까지의 정압 또는 부압이 상처에 인가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유체'란 용어는 예를 들어 두꺼운 삼출물과 같은 겔,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액체, 및 공기나 질소 등과 같은 기체를 망라하기 위해 사용된다.
인가되는 기저층의 형상은 상처 영역에 걸쳐서 상처를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의 예로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 또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백, 챔버, 파우치 또는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 재질의 다른 기저층 구조물이 포함된다.
기저층은 100 미크론까지, 바람직하게는 50미크론까지, 더 바람직하게는 25미크론, 및 최소 10미크론의 (대체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일 수 있다.
그 최대 단면-치수는 최대 500mm(예를 들면 큰 몸통 상처의 경우), 최대 100mm(예를 들면 겨드랑이 및 사타구니 상처의 경우), 및 손발 상처에서 최대 200mm(예를 들면 정맥류성 궤양 및 당뇨성 족부 궤양과 같은 만성 상처의 경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드레싱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바, 이는 그로인해 환자의 편안함이 증가되고 상처의 염증 위험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 적합한 재료에는 수성 유체를 흡수하지 못하는 폴리올레핀과 같은 합성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바,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와 폴리비닐 알콜을 구비하는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그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폴리실록산;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6-6 및 6-10, 및 소수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친수성일 수도 있으며, 따라서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것들은 또한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고충격 폴리스티렌과 혼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엘라스토머 블렌드, 예를 들면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것들은 탄성중합 폴리우레탄, 특히 용액 주형법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처 드레싱에 바람직한 물질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경화성 시스템을 포함한다.
기저층은 상처 위에 및/또는 입구 및 출구 파이프 주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밀봉부 상처 드레싱의 둘레 주위에서,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외부는, 상처 주위에서 피부의 짓무름을 방지하기 위해, 높은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또한 예를 들어 물, 피 또는 상처 삼출물과 같은 액체와 접촉할 때 높은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전환가능한 재료일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면, Smith & Nephew's Allevyn™, IV3000™ 및 OpSite™ 드레싱에 사용되는 재료일 수 있다.
기저층의 상처-대향면의 주위에는 예를 들어 접착성 필름이 구비됨으로써 이것이 상처 주위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처 드레싱의 상처-대향면의 둘레 주위의 액밀한 밀봉부 내의 적소에 상처 드레싱을 보유하기에 충분하다면 이는 예를 들어 감압성 접착제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필요할 경우, 드레싱을 적소에 고정하여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광 변환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광 변환성 접착제는 광경화에 의해 그 접착성이 감소되는 것이다. 그 용도는 드레싱 제거의 외상을 감소시키는데 유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저층은 그 근위면 주위로 연장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플랜지 또는 립(lip)을 가질 수 있다(전술한 재료는 적합한 것들 중 일부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는 그 근위면에는 드레싱을 적소에 고정하여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광변환성 접착제의 필름을 지지하고, 그 원위면에는 불투명한 재료의 층을 지지한다.
드레싱을 제거하고 드레싱 제거 시의 과도한 외상을 초래하지 않기 위해, 근위 상처 주위로 연장되는 플랜지 또는 립의 원위면 상의 불투명 재료 층은 플랜지 또는 립에 적절한 파장의 방사선을 인가하기 전에 제거된다.
상처 주위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성 필름을 갖는,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의 외부의, 상처 드레싱 주위가 높은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재료이거나 전환가능한 재료라면, 접착성 필름은 연속적일 경우 높거나 전환가능한 수증기 투과성을 가져야 하는 바, 예를 들면 Smith & Nephew's Allevyn™, IV3000™ 및 OpSite™ 드레싱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접착제여야 한다.
상처 드레싱의 상처-대향면의 둘레 주위에서 상처 드레싱을 적소에 액밀한 밀봉부로 유지하기 위해 진공이 인가되는 경우, 상처 드레싱에는 상처 주위의 드레싱을 밀봉하기 위해 실리콘 플랜지 또는 립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피부에 대해 접착제의 필요성 및 관련 외상을 없애준다.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의 내부와, 드레싱을 향해서 및 드레싱을 통한 유동이 임의의 상당한 정압 하에 있는 경우, 이는 주변 지점에서 드레싱을 상처 주위의 피부로부터 들어올려 제거시키는 작용을 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장치의 이러한 사용에 있어서는, 따라서 이러한 목적으로 주변 지점에 작용하기 위해 상처에 대한 이러한 정압에 대항하여 이러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상처 위에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의 예로는 드레싱을 적소에 고정하여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광변환성 접착제가 포함된다.
광변환성 접착제의 접착이 광경화에 의해 감소되어, 드레싱 제거의 외상이 감소되므로, 보다 침습적인 접착제 필름이 전술했듯이 예를 들어 플랜지 상에 사용될 수 있다.
환자의 피부에 대한 외상이 허용될 수 있는 보다 혹독한 조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체 접착제의 예로는, 상처의 가장자리 및 상처 드레싱의 기저층의 근위면 주위에, 예를 들면 플랜지나 립에 도포되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유사 조직 접착제로 구성되는 것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수단의 추가적인 적합한 예로는, 접착제(예를 들면 감압성 접착제) 및 비접착제와, 치료가 이런 식으로 적용될 때 손발 상처에 적합한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손발 상처에 압박 끼움되는, 탄성 및 비탄성 스트랩, 밴드, 루프, 스트립, 타이, 예를 들면 압박 붕대와 같은 붕대, 시트, 커버, 슬리브, 재킷, 외장체, 랩, 및 예를 들어 탄성 튜브형 스타킹 또는 탄성 튜브형 호스와 같은 스토킹 및 호스; 치료가 이런 식으로 적용될 때 손발 상처에 적합한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손발 상처 위에 압박 끼움되는 팽창성 커프(cuff), 슬리브, 재킷, 바지, 외장체, 랩, 스타킹 및 호스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단은 각각, 상처 드레싱의 기저층의 주위를 지나서 연장하도록 상처 드레싱 위에 배치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상처 주위의 피부 및/또는 상처 자체에 접착되거나 아니면 고정될 것이며, 필요할 경우 상처의 둘레 주위에서 상처 드레싱을 적소에 액밀한 밀봉부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예를 들면, 탄성 붕대, 스타킹으로) 압력을 가할 것이다.
이러한 수단은 각각 드레싱의 다른 구성요소, 특히 기저층과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이는 예를 들어 접착성 필름에 의해 드레싱, 특히 기저층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거나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구성요소는 상호 Velcro™, 푸시, 스냅 또는 트위스트-로크(twist-lock fit) 끼움일 수 있다.
상기 수단과 드레싱은 상호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는 별도의 구조물일 수도 있다.
상처에 대한 높은 정압을 위해 보다 적합한 배치에 있어서, 뻣뻣한 플랜지나 립은 이전에 설명했듯이 상처 드레싱의 기저층의 근위면의 둘레 주위로 연장된다.
플랜지 또는 립은 주변 채널 또는 도관을 규정하기 위해 그 근위면에서 오목하다.
이는 채널 또는 도관과 연통하기 위해 플랜지 또는 립을 통과하는 흡입 출구를 가지며, 펌프 또는 진공의 배관 공급과 같은 진공 인가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기저층은 그 근위면 주위로 연장되는 플랜지 또는 립과 일체적이거나 예를 들면 가열-밀봉에 의해 그에 부착될 수 있다.
상처 위에 요구되는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하고 상처 드레싱의 상처-대향면의 주위 아래에서 관주액 및/또는 삼출물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해, 장치의 사용 시에, 드레싱은 상처 주위의 피부에 세팅된다. 이후 상기 장치는 플랜지 또는 립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상처 상의 정압에 대항하여 상처 주위의 주변 지점에 작용하는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유지한다.
상처 드레싱 밀봉부 주변은 타원형, 특히 원형과 같은 대체로 라운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드레싱이 사용 중일 때 상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입구 및 출구 파이프를 커버하는 아암을 형성하기 위해 상처 드레싱의 대체로 라운드형 주변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이전처럼 형성된 상처 드레싱의 기저층에 유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드레싱은 사용 시에 드레싱으로부터 이격된 관주액 공급부와 상처를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일 예가 도18 및 도19에 도시되어 있다.
상처 위에 그리고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가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지점에서 이들 파이프의 주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하기 위해, 기저층은 이들 다른 구성요소와 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은 대안적으로, 상호 푸시, 스냅 또는 트위스트-로크 끼움될 수 있거나, 또는 함께 접착되거나 가열-밀봉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입구 파이프 또는 출구 파이프는 유체 재순환 튜브 및/또는 유체 공급 튜브의 결합 단부에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튜브, 파이프나 호스, 또는 노즐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통해서) 각각 암형 부재로서 연결되기 위한 깔때기, 홀, 구멍, 오리피스, 루어, 슬롯 또는 포트와 같은 개구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유체 재순환 튜브 및/또는 유체 공급 튜브(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공급과 재순환 사이의 유체 전환 수단을 통해서) 또는 유체 배출 튜브의 결합 단부에 각각 수형 부재로서 연결되기 위한 노즐, 홀, 구멍, 오리피스, 루어, 슬롯 또는 포트와 같은 개구 형태일 수 있다.
구성요소들이 일체적일 경우, 이들은 대개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것이다(이에 대해 전술한 재료들은 적합한 것들의 예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이것들이 푸시, 스냅 또는 트위스트-로크 끼움인 경우, 이것들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전술한 재료들은 모든 구성요소에 적합한 것들의 예이다. 상기 또는 각각의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기저층의 아래 보다는 기저층을 통해서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기저층은 종종 상기 또는 각각의 파이프와 상기 또는 각각의 결합 튜브 사이의 일체의 실질적인 유격(play) 또는 임의 방향의 가압 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이고 및/또는 탄성적으로 비유연한 또는 견고한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종종 유체 재순환 튜브 및/또는 유체 공급 튜브 또는 유체 배출 튜브의 결합 단부에 연결되기 위한 각각의 관련 튜브, 파이프나 호스, 또는 노즐, 구멍, 개구, 오리피스, 루어, 슬롯 또는 포트의 주위에 멀리(상처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보스에 의해 견고해지거나, 보강되거나 강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필요할 경우 기저층은 기저층을 견고화, 보강 또는 강화하기 위해 기저층의 근위면 주위로 연장되는 견고한 플랜지 또는 립을 가질 수 있다.
상처 드레싱은 사용 시에 상처 내의 기저층 아래에 일체의 완전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상처를 실용적인 속도로 관주하기 위해 충분한 기능 표면적 위에 관주액을 분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상처 치유에 유해한 비교적 고농도의 물질을 갖는 만성 상처 투석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려면,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이 상처 부위에 걸쳐서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거나 드레싱 아래의 보다 회선적인 경로를 지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싱의 한 형태에는, 입구 매니폴드로부터 상처 부위로 방사되어 개구에서 종료되고 순환 유체를 개구를 거쳐서 상처 부위에 직접 송출하는 '나무(tree)' 형태의 파이프, 튜브 또는 세관이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출구 매니폴드가 존재하는 바, 이를 통해서 세관이 방사되고 상처 부위로 연장되어 개구에서 종료되고 상처 부위로부터 직접 유체를 수집한다.
파이프 등은 사용 시에 입구 또는 출구 매니폴드로부터 각각 상처를 통해서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방사할 수 있지만, 규칙적인 방사가 바람직할 수 있다.
깊은 상처에 대한 보다 적합한 배치는, 파이프 등이 상처 부위에 반구적으로 및 동심적으로 방사하는 것이다.
얕은 상처에 대해서, 파이프 등의 이러한 배치의 적합한 형태의 예로는, 파이프 등이 평탄해진 반타원 및 동심적으로 상처 부위에 방사하는 것이 포함된다.
파이프 등의 배치의 다른 적합한 형태는, 이것들이 상처 부위 위로 연장되도록 기저층의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지점에서 입구 파이프 및/또는 출구 파이프로부터 연장되는 파이프, 튜브 또는 세관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파이프 등을 따라서 천공부, 개구, 홀, 구멍, 오리피스, 슬릿 또는 슬롯을 가질 수 있다.
이들 파이프 등은 이후, 순환 유체를 직접 상처 부위 또는 출구 파이프로 송출하거나 상처로부터 직접 유체를 각각 수집하는 입구 파이프 매니폴드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이는 따라서 기저층 아래의 상처 부위의 대부분에 걸쳐서 튜브, 파이프, 세관 등에 있는 홀, 구멍, 오리피스, 슬릿 또는 슬롯을 통해서 그러하다.
튜브, 파이프 또는 세관은, 상처 내에서 및 상처 드레싱의 내부에서 양호한 적합성을 갖는, 탄성적으로 유연하고, 예를 들면 탄성중합적이며, 바람직하게는 소프트한 구조물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치료법이 적용되면, 튜브, 파이프, 세관 등의 배치는 상처의 깊이 및/또는 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얕은 상처에 대해서, 튜브, 파이프, 세관 등의 이러한 배치의 적합한 형태의 예로는, 하나 이상의 튜브 등으로만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포함된다.
이런 식으로 치료법이 적용될 때 깊은 상처에 더 적합한 배치는 하나 이상의 튜브 등을 나선상 또는 와권 나선상(spiral helix)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얕은 상처에 대한 다른 적합한 배치로는, 드레싱이 사용되고 있을 때 상처 내의 유체를 순환시키는 블라인드-보어(blind-bore: 막힌 구멍), 천공된 입구 파이프 또는 출구 파이프 매니폴드를 갖는 것이 포함된다.
이것들의 하나 또는 양자는 이러한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것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직선형 블라인드-보어, 천공된 반경방향 튜브, 파이프 또는 노즐일 수 있다.
다른 적합한 배치는, 입구 파이프 및/또는 출구 파이프 매니폴드가 순환 유체를 직접 상처 부위로 송출하거나 상기 유체를 상처로부터 입구 및/또는 출구 튜브, 파이프 또는 세관, 및 입구 매니폴드 및/또는 출구 매니폴드를 각각 거쳐서 수집하며, 상기 입구 매니폴드 및/또는 출구 매니폴드는 상호 영구적으로 적층 부착되는 층에 슬롯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입구 및/또는 출구 튜브, 파이프 또는 세관은 영구적으로 상호 적층 부착되는 층을 통해서 개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도10의 (a)에는 이러한 비제한적인 적층체가 등각 분해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도 언급했듯이, 적용되는 기저층은, 본 발명의 치료 시스템에 적합하고, 상처에 대해 50% atm, 보다 양호하게는 25% atm까지의 정압 또는 부압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종종 세균-침투성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은 그것에 대한 임의의 압력차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종종 종래의 상처 드레싱에 사용되는 필름 또는 시트와 유사한 (대체로 균일한) 두께, 즉 100미크론까지, 바람직하게는 50미크론까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미크론까지, 및 최소 10미크론의 두께를 갖는다.
기저층은 종종 상호 일체적이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의 임의의 상당한 유격을 견뎌내기 위해 강성의 및/또는 탄성적으로 비유연성 또는 견고한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돌출 보스에 의해 견고화, 보강 또는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드레싱은 상처 부위에 대해 상당히 합치되지 않을 것이며, 기저층 아래에 기저층과 상처 부위에 의해 규정되는 챔버, 중공체 또는 공동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처 드레싱의 내부는 고도 삼출 상태의 상처에 대해서도 상처 부위에 합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싱의 한 형태는 기저층 아래에 상처 충진재(filler)를 구비한다.
이는 상처 형상에 대해 양호한 적합성을 갖는 탄성적으로 유연하고, 예를 들면 탄성중합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소프트한 구조물인 것이 양호하다.
이는 그 고유 탄성에 의해 기저층에 대해 가압되어 상처 부위에 부드러운 압력을 가한다.
상처 충진재는 드레싱의 다른 구성요소, 특히 기저층과 일체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는 요구되는 상처 위의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파괴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접착성 필름에 의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요소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가열-밀봉에 의해 근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 또는 립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덜 일반적으로, 상처 충진재는 기저층에 예를 들면 접착성 필름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또는 이들 구성요소는 상호 푸시, 스냅 또는 트위스트-로크 끼움일 수 있다.
상처 충진재 및 기저층은 상호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는 별도의 구조물일 수도 있다. 상처 충진재는 고체상 충진재, 바람직하게는 상처에 대해 양호한 적합성을 갖는 탄성적으로 유연하고, 예를 들면 탄성중합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소프트한 구조물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처 충진재의 적합한 형태의 예는 예를 들어 탄성 열가소성물질과 같은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발포체이다. 본 발명의 상처 드레싱을 위한 바람직한 재료로는 작은 개구 또는 소공을 갖는 망상 여과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는, 상처 형상으로 가압하는 유체 또는 고체로 충진된 백, 챔버, 파우치 또는 기타 구조물과 같은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에 의해 규정되는 하나 이상의 합치가능한 중공체 형태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은 종종 종래의 상처 드레싱 기저층에 사용되는 필름 또는 시트와 유사한 (대체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즉, 100미크론까지, 바람직하게는 50미크론까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미크론까지, 및 10미크론의 최소 두께를 가지며, 이것은 종종 탄성적으로 유연하고, 예를 들면 탄성중합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소프트하다.
이러한 충진재는 종종 드레싱의 다른 구성요소들, 특히 기저층과 일체를 이루거나, 또는 예를 들면 접착성 필름에 의해 그것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가열-밀봉에 의해 예를 들면 플랜지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에 의해 규정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중공체에 수용되는 적합한 유체의 예는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정압에 있는 공기, 질소 및 아르곤과 같은 기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기를 포함하며, 물, 살린과 같은 액체를 포함한다.
상기 예는 또한 겔을 포함하는 바, 예를 들어 CaviCare™ 겔과 같은 실리콘 겔을 포함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스 겔, 예를 들면 Intrasite™ 가교-결합된 물질과 같은 친수성 가교-결합된 셀룰로스 겔을 포함한다.
예는 또한 에어로졸 발포체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에어로졸 시스템의 기체상은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정압에 있는 질소나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 또는 공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기이다.
예는 또한 플라스틱 부스러기와 같은 고체상 미립자를 포함한다.
물론, 기저층이 충분히 적합적이고 및/또는 예를 들면 상향 오목한 시트라면, 기저층은 상처 충진재 위에 놓이기보다는 상처 충진재 아래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배치에서, 상처 충진재가 상처 드레싱을 상처 부위에 가압하려면, 이는 대개 상처 주위의 피부에 단단히 부착되거나 아니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상처 충진재와 기저층이 상호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는 별도의 구조물인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이런 식으로 치료가 적용될 때 깊은 상처에 대한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이러한 부착 수단은 또한 상처 위에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충진재가 기저층 위에 있고 유체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기저층의 상처-대향면을 통과하는 경우에, 이들은 기저층 위에서 상처 충진재를 통해서 또는 그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한 가지 형태의 드레싱은,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에 의해 규정되는 탄성적으로 유연한, 예를 들어 탄성중합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소프트한 중공체, 예를 들면 개구, 홀, 구멍, 오리피스, 슬릿이나 슬롯, 또는 튜브, 파이프, 세관 또는 노즐을 갖는 백, 챔버, 파우치 또는 기타 구조물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기저층 아래에 상처 충진재를 구비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 홀, 구멍, 오리피스, 슬릿 또는 슬롯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 또는 출구 파이프와 연통한다.
상기 중공체 내에 수용된 유체는 이후 장치 내의 순환 유체일 수 있다.
상기 중공체 또는 복수 중공체의 각각은 이후 입구 파이프 또는 출구 파이프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바, 이 파이프는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 내의 홀, 구멍, 오리피스, 슬릿이나 슬롯, 또는 튜브, 파이프 또는 호스 등을 통해서 각각 순환 유체를 직접 상처 부위로 송출하거나 상처로부터 직접 유체를 수집한다.
이런 식으로 치료가 적용될 때, 충진재의 형태는 또한 주로 상처의 깊이 및/또는 용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얕은 상처의 경우에, 상처 드레싱의 구성요소로서 적합한 상처 충진재의 예로는, 순환 유체를 직접 상처 부위에 송출하거나 상처로부터 직접 유체를 수집하는 입구 파이프 및/또는 출구 파이프 매니폴드를 규정하는 하나 이상의 적합성 중공체로만 구성되는 것이 포함된다.
이런 식으로 치료가 적용될 때 깊은 상처에 보다 적합한 상처 충진재는, 중실 완전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에 의해 규정되는 하나 이상의 적합성 중공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편리한 취급을 위한 보다 양호한 강성을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가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지나고 상처 부위가 존재하는 지점에서 기저층 아래의 상처 충진재는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 사이가 직접 연결되는 입구 파이프 또는 출구 파이프 매니폴드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상처 부위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보어, 채널, 도관, 통로, 파이프, 튜브, 세관 및/또는 공간 등이, 유체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기저층의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지점으로부터 기저층 아래의 상처 충진재를 통해서 또는 그 주위로 연장되는 것이 적절하다.
덜 일반적으로, 상처 충진재는 기저층 아래의 상처 충진재를 통해서 이러한 보어, 채널, 도관, 통로 및/또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소공을 갖는 오픈셀(open-cell) 발포체이다.
상기 충진재가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에 의해 규정되는 하나 이상의 적합성 중공체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경우, 이는 상처 드레싱 아래의 상처 부위로 유체를 허용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은 유체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기저층 아래의 상처를 통해서 또는 상처의 주위로 기저층의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파이프, 튜브, 세관 또는 노즐의 형태일 수도 있다.
드레싱이 사용될 때 상처 내에서 유체를 순환시키는 전술한 블라인드-보어, 천공된 입구 파이프 또는 출구 파이프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얕은 상처에 적합한 배치의 전부는 기저층 아래의 상처 충진재 아래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간단히 말해서, 적합한 배치는 하나 또는 양자의 매니폴드가, 경우에 따라 고리 또는 몸통으로부터 분기되는 블라인드-보어, 천공된 반경방향 튜브, 파이프 또는 노즐을 갖는, 환형이거나 원환형(toroidal)[규칙적(예를 들면 타원형이거나 원형) 또는 불규칙적]이거나; 및/또는
구불구불형, 완곡형, 권선형, 지그재그형, 사행(蛇行)형 또는 방향전환성(즉, 고랑형) 패턴이거나, 또는
상호 적층되어 부착되는 층을 통한 개구 및 층 내의 슬롯에 의해 규정된 것을 포함한다.
입구 및/또는 출구 튜브, 유체 재순환 튜브 및 유체 공급 튜브 등은 기존 형태, 예를 들면 타원형 또는 원형 단면의 것일 수도 있으며, 적합하게는 그 길이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원통형 보어, 채널, 도관 또는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상처로부터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의 소정 유체 체적 유량 및 재순환 시의 소정 양에 따라서, 보어의 최대 단면 치수는 큰 몸통 상처의 경우 최대 10mm, 손발 상처의 경우 최대 2mm인 것이 적합할 수 있다.
튜브 벽은 그것에 가해지는 임의의 정압 또는 부압을 견뎌내기에 충분히 적절하게 두꺼워야 하는 바, 이는 특히 재순환 시의 상처로부터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의 체적이, 선택적 투과성 완전체, 예를 들면 투석 유닛과 같은 2상 시스템의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을 통해서 상처 삼출물 및/또는 세정 유체로부터의 유체에 지속적으로 추가됨으로써 증가될 경우 그러하다,
그러나, 펌프에 관하여 후술하듯이, 이러한 튜브의 주된 목적은 압력 용기로서 작용하는 것보다는 유체 관주액 및 삼출물을 장치 유로를 통해서 이송하는 것이다. 튜브 벽은 적어도 25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파이프 등을 따라서 존재하거나 상기 중공체 또는 여러 중공체의 각각에 존재하는 보어나 임의의 천공부, 개구, 홀, 구멍, 오리피스, 슬릿 또는 슬롯은 작은 단면 치수일 수도 있다.
이들은 이후 단백질 및 영양소는 통과시키면서 세포 찌꺼기 및 세균을 포함하는 미립자에 대해서는 거시적 및/또는 미시적 필터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충진재를 통하거나 및/또는 그 주위의 이러한 튜브, 파이프 또는 호스 등은, 후자의 것이 중실형 완전체이거나 및/또는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유연성 또는 적합성의 중공체이거나 간에,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와 관련하여 나중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사용 시에 상처 드레싱이 상처 위에 위치하면,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의 전체 길이는 세균이 침투할 수 없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의 내부와 상처 드레싱은 멸균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는 유체 저장기 내에서 및/또는, 자외선, 감마선 또는 전자빔 조사에 의해 유체가 재순환되는 시스템의 잔여부에서 살균될 수 있다(조직이나 세포 성분을 수용하는 완전체는 예외인 바, 그 이유는 이것이 세포의 생존능력 및 활성에 역효과를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방식은 특히 내표면 및 유체가 임의의 살균제와 접촉하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없애준다.
유체를 살균하는 다른 방법의 예로는, 세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비투과적이도록 예를 들어 0.22 내지 0.45미크론의 최대 단면-치수를 갖는 미세개구 또는 미세소공을 통한 한외여과의 사용, 및
클로로헥사이딘 및 포비돈 요드와 같은 화학물질; 예를 들어 질산은과 같은 은염과 같은 금속 이온 소스; 및 과산화수소의 용액과 같은 유체상 방부제의 사용이 포함되지만,
후자는 내표면 및 유체가 살균제와 접촉하는 점이 포함된다.
상처 드레싱의 내부, 유체가 그 안에서 재순환하는 시스템의 잔여부, 및/또는 상처 부위는, 고도 삼출 상태의 상처의 경우에도, 유체가 유체 저장기에서 살균된 후 살균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자연 발생되는 세균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런 측면에서 잠재적으로 또는 실제적으로 유익한 물질이 초기에 관주액에 첨가될 수도 있으며, 필요할 경우 연속적인 추가에 의해 재순환시에 증가되는 양으로 관주액에 첨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항균제(그 일부는 전술되었음) 및 항진균제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몇가지 적합한 예를 들면 트리클로산, 요드, 메트로니다졸, 세트리마이드, 클로르헥시딘 아세테이트, 나트륨 운데실레네이트, 클로르헥시딘 및 요드가 포함된다.
pH 조절을 위해서 이중수소 인산 칼리/디나트륨 수소 인산염과 같은 완충제가 첨가될 수도 있으며, 상처 통증이나 염증 또는 드레싱 관련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리도카인/리그노카인 염산염, 자일로카인(아드레놀린, 리도카인) 및/또는 소염제와 같은 국소 진통제/마취제가 첨가될 수도 있다.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의 적용 이전 또는 이후에, 상처 치유에 유익한 삼출물의 생리 활성 성분이 제거되지 않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성장 인자와 같은 단백질과 같이 상처 치유의 촉진에 유익한 물질의 수동적 침착(deposition)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입구 또는 출구 파이프에서 유로 내의 임의의 지점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익한 물질의 침착은 후술하듯이 저해될 수 있는 바,
(a) 관주액에 잉여 물질이 초기에 첨가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지속적인 추가에 의해 재순환 시의 양이 증가될 수 있거나, 또는
(b) 박리제 코팅이 재순환 경로 내의 임의의 지점에서 또는 임의의 완전체 상에서, 예를 들면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 또는 임의의 소정 튜브 또는 파이프 상에서 유체와 직접 접촉하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순환 유체가 그 위로 지나가는 표면에 대한 코팅 재료의 예로는, 헤파린과 같은 항응고제, 및 PTFE와 같은 표면장력 물질, 및 성장 인자, 효소 및 기타 단백질 및 유도체에 유용한 폴리아미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에는, 튜브 저장기에 대한 유체 공급 튜브 형태의, 상처 드레싱 아래의 상처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유체를 허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유체 저장기는 임의의 종래 형태의 것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튜브, 백(혈액이나 혈액 제제, 예를 들면 플라즈마 용으로 또는 예를 들어 영양소를 주입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과 같은), 챔버, 파우치 또는 관주액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 재질의 기타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저장기는 종종 종래의 상처 드레싱 기저층에 사용되는 필름 또는 시트와 유사한 (대체로 균일한) 두께, 즉 최대 100미크론, 바람직하게는 최대 50미크론,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5미크론, 및 최소 10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종종 예를 들어 탄성중합성과 같이 탄성적으로 유연하고, 바람직하게는 소프트한 중공체이다.
본 발명의 장치의 모든 실시예에서,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와, 유체 저장기에 걸쳐서 튜브의 형태 및 재료는 주로 그 기능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특히 장기간 사용하기에 적합하려면, 재료는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관주액 및/또는 장치 유로 내의 상처 삼출물의 적절한 임의의 활성 성분에 대해서, 그리고 장치 내의 순환 유체 내로 이동하는 투석액의 2상 시스템 투석 유닛의 임의의 사용에 있어서 비활성인 무독성 및 생체친화성의 것이어야 한다.
관주액 유체와 접촉할 때, 상당량의 추출물은 장치의 사용 시에 그 밖으로 자유롭게 확산될 수 없어야 한다.
이는 자외선, 감마선 또는 전자빔 방사에 의해서 및/또는 일단 사용되면 유체- 및 세균-비침투성이고, 유연한 화학물질의 용액과 같은 유체 소독제에 의해 살균될 수 있어야 한다.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적합한 재료의 예로는 합성 폴리머 재료,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이 포함된다.
본 목적에 적합한 재료로는 그 공중합체, 예를 들면 비닐 아세테이트와 그 혼합물을 갖는 그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본 목적에 적합한 재료로는 추가로 의료용 폴리(염화 비닐)도 포함된다.
이러한 폴리머 재료에도 불구하고, 유체 저장기는 상처 드레싱을 향한 유체 공급 튜브와 같은 상호 일체적이지 않은 부품과 그 사이에서의 임의의 상당한 유격에 저항하기 위해 종종 견고한 영역을 가질 것이며, 이는 예를 들어 돌출 보스에 의해 견고화, 보강 또는 강화될 수 있다.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과 상처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이 목적에 적합할 수 있으며, 이 목적을 위해 임의의 적합한 지점에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상처에 정압 또는 부압을 인가할 수도 있지만, 그 주 목적은 상처에 정압이나 부압을 인가하기 보다는 유체(유체 저장기로부터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를 장치 유로의 길이를 통해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유체를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을 통해서) 유체 재순환 튜브 내의 재순환 시의 유체에 대해 상처 드레싱의 상류에서 상처 드레싱을 향해서 및/또는 유체 공급 튜브 내의 유체에 대해 상처 드레싱을 향해서 인가될 경우, 이는 대개 상처 부위에 정압(즉,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인가할 것이다.
종종 유체 세정 수단은 (그 목적에 가장 적합하게) 상처 드레싱의 하류에 위치하며, 유로 내에서 최고의 저항을 제공한다.
이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이 예를 들면 미세개구 또는 미세소공을 통한 한외여과를 갖는 단상 시스템이어서 상처에 인가되는 정압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상처 드레싱으로부터 멀리 하류에서 유체 재순환 튜브 내에서 재순환되는 유체 및/또는 유체 배출 튜브 내의 유체에 장치가 인가될 때, 이는 대개 상처 부위에 부압(즉, 대기압 이하의 압력 또는 진공)을 인가할 것이다.
다시, 종종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은 (그 목적에 가장 적합하게) 상처 드레싱의 하류에 위치하고, 유로 내에서 최고의 저항을 제공하며, 따라서 상처에 인가되는 부압을 증가시킨다.
필요에 따라 왕복형 펌프와, 로터리형 펌프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왕복형 펌프의 예로는,
유체를 분당 2 내지 50㎖의 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요동 셔틀 기구를 갖는 셔틀 펌프와,
체크 밸브가 유체 유동의 방향을 제어하는 동안 하나 또는 두 개의 유연성 격막(diaphragm)의 맥동이 액체를 배출하는 격막 펌프와,
특히 상처 부위에 정압 및/또는 부압을 가하기 위해 피스톤이 체크 밸브를 통해서 유체를 펌핑하는 피스톤 펌프가 포함되며,
로터리형 펌프의 예로는,
원심형 펌프,
펌프 하우징을 통해서 유체를 스위핑(sweep)하는 성형 하우징과 임펠러 블레이드 사이에 탄성중합 임펠러가 유체를 포획(trap)시키는 가변형 임펠러 펌프,
특히 고점성 및 미립자-충진된 삼출물을 위한, 협동하는 나사 회전자 및 고정자를 구비한 진행형 공동 펌프,
구동 샤프트에 부착되고 그 회전시에 맥동 없이 유체를 이동시키는 회전 베인형 디스크를 구비하며, 출구는 펌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제한될 수 있는 로터리 베인 펌프,
유체 흐름을 튜브 내에서 회전자의 방향으로 압박하기 위해 유연성 유체 순환 튜브에 작용하는 회전자 아암 상에 주변(peripheral) 롤러를 갖는 연동 펌프,
압력 조절기를 갖는 진공 펌프가 포함된다.
장치의 형태 및/또는 용량은, 상처 치유 과정의 최적 성능을 위해서, 그리고 휴대성, 전력 소비 및 오염으로부터의 격리와 같은 인자에 의해서, 주로
(a) 상처로부터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의 적절한 또는 소정의 유체 체적 유량에 의해 결정될 것이며, 또한
(b) 상처 부위에 정압 또는 부압을 인가하는 것이 적절한지 또는 바람직한지에 의해서, 및 상처 부위에 대한 이러한 압력의 레벨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또한 맥동형, 연속적, 가변형, 역전형, 및/또는 자동화 및/또는 프로그래밍가능형 유체 이동이 가능한 것이 적합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이들 형태 중 임의의 펌프일 수도 있다.
실제로, 고도 삼출 상태의 상처로부터도, 이러한 삼출물 유동 속도는 최대 75㎕/㎠/hr 정도에 불과하며(여기에서 ㎠은 상처 면적을 지칭한다), 유체는 (프로테아제 존재로 인해) 고도로 유동적일 수 있다. 삼출물 레벨 강하 및 농도는 상처가 치유됨에 따라 예를 들어 동일 상처에 대해 12.5 내지 25㎕/㎠/hr의 레벨까지 변화된다.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이 투석 유닛과 같은 2상 시스템(후술됨)에 의해 제거되는 경우, 유체 역시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을 통해서 그 시스템에 손실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뿐 아니라, 물도 침투할 수 있는 투석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재순환 시의 유체의 균형은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손실을 전술한 관습적인 방식으로 최소화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처로부터의 순환 유체는 통상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재순환 시에 상처 삼출물에 비해 관주액을 우세하게 함유할 것임을 알 수 있다.
장치의 형태 및/또는 용량은 따라서 이런 관점에서 주로, 상처로부터의 삼출물보다는 관주액의 적절한 또는 바람직한 유체 체적 유량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전체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의 유량은 1 내지 1000, 예를 들면 3 내지 300, 그리고 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24hr 정도일 것이며, 여기에서 ㎠은 상처 면적을 지칭한다.
재순환에서의 관주액 및/또는 상처 삼출물의 체적은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지만, 통상은 이런 식으로 치료가 적용될 때 예를 들어 1 내지 8ℓ(예를 들어 넓은 몸통 상처의 경우), 200 내지 1500㎖(예를 들어 겨드랑이 및 사타구니 상처의 경우), 및 0.3 내지 300㎖(손발 상처의 경우)가 될 것이다.
실제로, 적절한 압력은 상처 부위에 대해 10%atm과 같은 최대 25%atm 정도의 정압 또는 부압이며, 장치는 폐쇄형 재순환 시스템으로서 작동된다.
이들 범위의 상단은, 비교적 높은 %의 압력 및/또는 진공이 전문적인 감시 하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병원용으로 보다 적합할 것이다.
그 하단은, 비교적 높은 %의 압력 및/또는 진공이 전문적인 감시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없는 가정용으로, 또는 야전 병원용으로 보다 적합할 것이다.
상기 장치는 연동 펌프 또는 격막 펌프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소형 휴대용 격막 또는 연동 펌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들이, 특히 펌프의 내표면 및 이동 부분과 (만성) 상처 삼출물의 접촉을 저감하거나 제거하기 위해서, 및 세정의 용이함을 위해서 바람직한 형태의 펌프이다.
이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 및/또는 상처에 정압을 인가하는 것이 적합할 수도 있다. 인가되는 압력이 정압일 때 바람직한 펌프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의 상류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소형의 휴대용 연동 펌프와 같은 연동 펌프이다.
펌프가 연동 펌프인 경우, 이는 예를 들어 0.2 내지 180㎖/hr의 유량과 0.5k 미만의 중량을 갖는 Instech Model P720 소형 연동 펌프일 수 있다. 이는 가정용 및 야전 병원용으로 유용할 수 있다.
펌프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 및/또는 상처에 부압을 인가하는 것이 적합할 수도 있다.
인가되는 압력이 부압일 때 바람직한 펌프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 또는 드레싱의 하류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소형의 휴대용 연동 펌프와 같은 격막 펌프이다.
펌프가 격막 펌프, 바람직하게는 소형 휴대용 격막 펌프인 경우, 액체를 배출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유연성 격막은 각각, 예를 들어 맥동 생성 수단에 연결되는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일 수 있다. 이는 편리한 임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바, 특히 압전 변환기, 전류 방향이 교호되는 강자성 완전체 및 코일 또는 솔레노이드의 코어, 로터리 캠 및 종동자 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드레싱으로부터의 출구는, 상처 삼출물로부터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으로 이어지고, 이어서 유체 재순환 튜브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는, 배출 및/또는 재순환 튜브를 방혈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상처로부터 유체를 방혈시키기 위한 밸브 또는 기타 제어 장치와 같은 조절기를 구비한다.
유체 세정 수단과 상처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상처 드레싱에 관주액을 이동시켜 상처 부위에 소정의 정압 또는 부압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재순환 튜브에서의 유체의 소정 균형은 통상, 적절한 경우,
(a) 배출 및/또는 재순환 튜브를 방혈시키기 위한 수단,
(b) 유동을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 및/또는
(c) 유체를 상처 부위 위로 및 유체 세정 수단을 통해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a)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가 한외여과 유닛과 같은 단상 시스템이고,
(b) 상처가 고도 삼출 상태에 있지 않으며,
(c) 유체 저장기로부터 상처 내로 유체를 허용하는 것이 적절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으면,
재순환 시에 유체의 균형이 거의 또는 전혀 변화되지 않는다.
상처 부위에 예를 들어 소정의 정압 또는 부압으로 시종일관 만수되면, 장치는 폐쇄형 재순환 시스템으로서 작동될 수도 있다.
공급 튜브와 재순환 튜브 사이에서 유동을 전환하기 위한 수단은 상처를 유체 공급 튜브를 통해서 유체 저장기에 대해 폐쇄시키도록 세팅되며, 배출 튜브 및/또는 재순환 튜브를 방혈시키기 위한 수단 역시 폐쇄된다.
(a)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가 한외여과 유닛과 같은 단상 시스템이고,
(b) 상처가 고도 삼출 상태에 있으며, 및/또는
(c) 유체 저장기로부터 상처 내로 유체를 허용하는 것이 적절하거나 바람직하면,
재순환 시에 유체의 균형에 정의(positive) 변화가 존재한다.
상처 부위에 예를 들어 소정의 정압 또는 부압으로 시종일관 만수되면, 장치는 상처 부위에 대한 압력이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되지 않으면서 폐쇄형 재순환 시스템으로서 작동될 수 없다.
배출 튜브 및/또는 재순환 튜브를 방혈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처 부위에 대한 정압을 완화시키기 위해 어느 정도 개방되어야 한다. 방혈물은 폐기물통, 예를 들면 수집 백으로 비워질 수 있다.
상처 치유의 촉진에 유익한 물질은, 치료가 이런 식으로 적용될 때, 이것이 잠재적으로 가장 유익할 수 있는 개소, 즉 상처 부위로 손실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재순환 시의 유체의 균형은 이 바람직하지 않은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관습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캐니스터,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와 같은 투석 용기 형태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을 위한 2상 시스템 수단을 가질 수 있는 바, 이는 장치 내의 순환 유체 중의 물질에 대해 투과적인 완전체에 의해 분리되고 상처 및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순환 유체가 관통하는 하나의 구획실, 및 세포나 조직을 수용하고 세정 유체가 이를 관통하는 제2 구획실을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 내에서 재순환시 유체의 균형을 결정하는 인자는, 장치의 작동과 관련하여 이상에 상세히 기술되었다. 여기에서는 장치 유로의 길이에 걸쳐서 확립되는 정상 상태 재순환 이후의 어떤 시점에서, 전체적으로 유체 레벨이 투석액으로부터의 전달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정도로 증가되면, 임의의 방혈 밸브가 개방될 필요가 있을 수 있음에 유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a) 배출 튜브 및/또는 재순환 튜브를 방혈시키기 위한 수단,
(b) 유동을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 및/또는
(c) 유체 이동 수단에 의해
재순환 튜브 내에서 유체의 소정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기타 조합 및 필요한 조절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배출 튜브 및/또는 재순환 튜브를 방혈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부터의 유출은 수집 및 감시될 수 있으며, 상처 및/또는 삼출물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폐기물 저장기는, 강제 배수된 관주액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예를 들면 폴리머 필름 재질의 튜브, 백[예를 들면 통상 장루 백(ostomy bag)으로서 사용되는 백], 챔버, 파우치 또는 기타 구조물과 같은 임의의 종래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장치의 모든 실시예에서, 폐기물 저장기의 형태 및 재료는 주로 그 기능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사용하기에 적합하려면, 이 재료는 일단 사용되면 유체-비투과적이고 유연성일 필요가 있다.
유체 저장기 용으로 적합한 재료의 예로는 합성 폴리머 재료가 포함되는 바, 예를 들면 폴리(염화 비닐리덴)과 같은 폴리올레핀이 포함된다.
본 목적에 적합한 재료에는 또한,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와 그 혼합물을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그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서는, 적합성 상처 드레싱이며,
상처 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할 수 있는 상처-대향면을 갖는 기저층을 포함하고,
유체 공급 튜브에 연결되고 상기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 및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고 상기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또는 각각의 입구 파이프와 상기 또는 각각의 출구 파이프가 상처-대향면을 관통하여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지점은 상처 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합성 상처 드레싱이 제공된다.
상기 드레싱은 세균-내성 파우치에 사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처 접촉층이 존재할 수 있다. 상처 접촉층은 영양소가 상처 부위에 도달할 수 있게 해줄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재료[예를 들면, 거즈 또는 발포체(foam)]로 제조될 수 있다. 상처 접촉층을 갖게 되면 육아(肉芽: granulation) 물질의 과도성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특히 만성 상처에 있어서의 상당한 장점은, 사용 시에 육아 조직이, 상처 필름 드레싱과 상처 부위 사이에 놓이는 상처 접촉층 상에서 및/또는 내에서 성장하도록 촉구된다는 점이다.
이 효과는, 증식을 돕기 위한 상처 세포용 영양소, 및 상처 치유에 유익하게 연관되거나 및/또는 상처 치유 과정에 우호적인 다른 분자를 함유하는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관주액이 상처 부위 위로 순환됨으로써 더 향상될 수 있다.
추가적인 특별한 장점은 상처 필름 드레싱과 상처 부위 사이에 잔류할 수 있는 상처 접촉층이 분해됨에 따라 드레싱 교체 시에 이 육아 조직 생장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이는 외상을 최소화하고, 괴사조직 제거의 필요성을 최소화한다.
이 상처 접촉층의 특별한 장점은 욕창에 대한 그 사용인 바: 장치는 상처의 깊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환자는 장치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상처를 추가로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그 위에 누울 수 있다. 이는 환자가 다른 의학적 이유로 이 자세에서 움직일 수 없을 경우에 중요하게 된다.
상처 접촉층은 상처의 넓이 전체 위에 배치되며, 그 크기 및 구성은 개별 상처에 맞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개구형, 반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구형(apertured)'이란 다공성, 개구형성된, 홀 형성된, 오픈-메쉬형, 슬릿, 절개 및/또는 절단된 재료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재료는 조직 수복 및 상처 치유 과정에 관련된 세포의 모든 양태의 침습 및/또는 혈관의 내측 성장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개구 형성되어야 하며, 흡입 하의 과도성장 및 붕괴를 방지하도록 충분히 강성해야 한다.
생분해성 상처 접촉층에 적합한 생체물질은 폴리(글리콜 산), 폴리(L-락트 산), 폴리(D-락트 산) 및 그 에스테르와 같은 폴리(히드록시산)과 그 에스테르, 및 전술한 것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생체물질은 또한 폴리(테레프탈 산), 폴리(아디핀 산)과 같은 폴리(무수산) 및 전술한 것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로, 생물학적으로 공급되는 생분해성 폴리머 재료, 예를 들어 콜라겐, 피브로넥틴 또는 피브린과 같은 거의 단백질 기초의 폴리머, 또는 핵산 재조합 기술에 의해 생산되는 변성 단백질 기초의 폴리머, 예를 들면 재조합 DNA 기술을 통해서 생산되는 예를 들어 콜라겐, 피브로넥틴 또는 피브린 또는 그 단편; 또는 그 혼합물이 전체 분자로서 또는 단백질분해 처리 또는 화학 처리를 받는 것으로서, 분해된 형태(conformation) 또는 자연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허용가능한 상처 접촉층은 글루코사미노글리칸, 키토산, 셀룰로스 또는 알기네이트 분자와 같은 단백질 기초 지지체와 탄수화물 기초 폴리머의 조합체일 것이다.
적합한 재료는 또한 인간이나 동물 유도 조직을 포함하며, 이들 조직은 이것들을 피부, 소화관, 결합 조직과 같은 상처 내에 배치시킬 수 있는 수단에서 처리된다.
상처 접촉층/재료는 다양한 개구형, 반강성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들 형태는 시트, 층, 필름, 가요성 패널, 메쉬, 네트, 웨브 또는 격자와 같이 본질적으로 2차원적일 수 있다. 이것들은 건식, 수화 또는 겔 기초의 제제로서 상처 내에서 활주될 수도 있다.
개구형 또는 홀형 지지체의 일 실시예는 상처의 형상으로 절단된 벌집형 폴리머 시트의 섹션을 포함한다.
상처 접촉층이 시트, 층, 필름, 가요성 패널, 메쉬, 네트, 웨브 또는 격자와 같이 본질적으로 2차원적 개구형, 반강성 발포체인 경우, 이는 상처에 삽입될 때 상처 부위에 잘 합치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대한 합치는 이후, 상처 드레싱과 관련하여 후술하듯이 상처 드레싱이 깊은 상처에 사용되고, 특히 상처 충진재가 상처 드레싱을 상처 접촉층 및 상처 부위를 향해서 압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특히 유리하다.
예로서, 이러한 상처 접촉층은 복식 몰타 십자가 또는 양식화(stylised) 장미와 흡사한 깊이 만입된 원반 형태일 수 있다. 이 형태는 포위 및 가능하게는 중첩하는 아암에 의해 상처, 특히 깊은 상처에 삽입될 때 상처 부위에 잘 합치될 수 있다.
상처 접촉층의 형태는 또한 3차원 형태로 절첩되거나, 주름지거나, 주름형성되거나, 감싸이거나, 오그라들거나, 구겨지거나, 조여지거나, 비틀려지는 시트, 층, 필름, 가요성 패널, 메쉬, 네트, 웨브 및 격자와 같이 3차원적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 형태는 다층의 필름, 가요성 패널, 메쉬, 네트, 웨브 및 격자이거나, 3차원 메쉬, 네트, 웨브 및 격자와 같이 고유하게 3차원적일 수 있으며, 발포체가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건식, 수화 또는 겔 기초의 제제로서 상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처 드레싱의 적합한 형태의 예는 앞서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e) 공지된 흡인 및/또는 관주 치료 시스템의 상기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완화하고,
(f) (i)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익한 물질을 상처 부위와 접촉 상태로 유지 및/또는 추가하면서,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상처 삼출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및/또는
(ⅱ)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익한 물질을 효과적인 양으로 함유하는 유체를 상처 부위와 접촉 상태로 상처 내로 및/또는 상처를 통해서 이동시킬 수 있는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면을 갖는 흡입 헤드;
상기 제1 면과 대향되는 제2 면으로서, 상기 제2 면은 다수의 돌기로 구성되고, 이들 돌기는 상기 제1 면을 통해서 상기 제2 면 내의 구멍으로의 유체 유동을 촉진하기 위해 다수의 채널을 규정하며, 상기 구멍은 흡입 튜브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 면; 및
상기 구멍과 일치하는 개구를 갖고, 일부 구역에 걸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면의 둘레를 지나서 중첩되는 수술용 드레이프(drape)로서, 상기 제1 면의 상기 구역에 접착되는 가요성 접착 코팅된 필름, 및 상기 제2 면 위로 연장되고 상기 수술용 드레이프의 중첩부에 접착되는 해제-코팅된 기저층을 포함하는 수술용 드레이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처 표면을 가로질러 유체를 분포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면을 갖는 흡입 헤드;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일치하는 다수의 돌기로서, 상기 돌기는 상처 표면과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 사이에는 유체 유동을 촉진하기 위한 다수의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은 상처 표면과의 접촉에서 벗어나 있는 돌기; 및
상기 돌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을 통해서 형성되는 상기 채널과 유체 연통하는 개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유류에서의 상처 치유를 자극하기 위한 치료 장치의 사용 방법으로서,
다공성 패드를 상기 상처와 접촉하도록 상기 상처 내에 또는 상처 상에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다공성 패드는 적어도 부분적인 외표면과 내측 보디를 가지며, 상기 외표면은 상기 상처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생체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경이 약 100미크론 이하인 작은 제1 소공을 갖는 단계;
상기 상처의 개소에 부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상처 내에 상기 다공성 패드를 드레싱 커버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다공성 패드를 통해서 상기 상처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패드를 통해서 상기 상처로부터의 유체를 수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태양에서는, 본 발명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를 사용하여, 상처 치유를 촉진하도록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으로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는, 세포나 조직 성분을 수용하고 상처 삼출물 또는 관주액과의 혼합물이 이를 관통하는 챔버나 구획실을 갖는, 예를 들어 캐니스터,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와 같은 용기 형태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을 위한 단상 시스템을 갖는 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는, 예를 들어 캐니스터,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와 같은 투석 용기 형태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을 위한 2상 시스템 수단인 바, 장치 내의 순환 유체 중의 물질에 대해 투과적인 완전체에 의해 하기 제2 구획실로부터 분리되고 상처 및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순환 유체가 관통하는 하나의 구획실, 및 세포나 조직을 수용하고 세정 유체가 이를 관통하는 제2 구획실을 구비하는 2상 시스템 수단이다.
도3 내지 도7은 상처를 흡인 및/또는 관주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적합성 상처 드레싱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도3a 내지 도6a는 상처 드레싱의 단면 평면도이고, 도3b 내지 도6b는 상처 드레싱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8 내지 도10은 상처에 대해 각각 유체를 송출하고 그로부터 수집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상처 드레싱에 대한 입구 및 출구 매니폴드 배치의 다양한 도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는, 세포나 조직 성분을 수용하고 상처 삼출물 또는 관주액과의 혼합물이 이를 관통하는 챔버나 구획실을 갖는, 예를 들어 캐니스터,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 와 같은 용기 형태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을 위한 단상 시스템을 갖는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는, 예를 들어 캐니스터,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와 같은 투석 용기 형태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을 위한 2상 시스템 수단인 바, 장치 내의 순환 유체 중의 물질에 대해 투과적인 완전체에 의해 하기 제2 구획실로부터 분리되고 상처 및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순환 유체가 관통하는 하나의 구획실, 및 세포나 조직을 수용하고 세정 유체가 이를 관통하는 제2 구획실을 구비하는 2상 시스템 수단이다.
도13 내지 도26은 상처를 흡인 및/또는 관주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적합성 상처 드레싱의 단면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을 위한 다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에 따른 삼출투석 유동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9는 섬유아세포의 WST 활성을 도시하는 바,
(a) 배지와 세포의 제어(TCM + Dg),
(b) 배지, 세포 및 과산화수소수(TCM + Dg + H2O2); 및
(c) 배지, 세포, 과산화수소수 및 삼출투석계(TCM + Dg + 카탈라제 + H2O2)
상에서의 섬유아세포의 WST 활성을 도시한다.
이는, 세포나 조직 성분을 수용하고 상처 삼출물 또는 관주액과의 혼합물이 이를 관통하는 챔버나 구획실을 갖는, 예를 들어 캐니스터,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와 같은 용기 형태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을 위한 단상 시스템을 갖는다.
도1을 참조하면,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1)는,
상처(5) 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4)를 형성할 수 있는 기저층(3)을 갖는 적합성 상처 드레싱(2)과,
유체 공급 튜브(7)에 접속되고, 지점(8)에서 기저층(3)의 상처-대향면을 관통하는 하나의 입구 파이프(6)와,
유체 배출 튜브(10)에 접속되고, 지점(11)에서 기저층(3)의 상처-대향면을 관통하는 하나의 출구 파이프(9)를 포함하며,
입구 파이프와 출구 파이프가 기저층(3)의 상처-대향면을 관통하고 및/또는 그 아래를 통과하는 지점(8, 11)은 상처 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하고,
입구 파이프(6)는 유동을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 전환하는 수단, 여기에서는 T-밸브(14)를 거쳐서, 유체 공급 튜브(7)에 의해, 유체 저장기(12)에 연결되고, 튜브, 여기에서는 방혈 T-밸브(16)를 쓰레기통, 예를 들면 수집 백(도시되지 않음) 으로 방혈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유체 재순환 튜브(13)에 연결되며,
출구 파이프(9)는 유체 배출 튜브(10)에 연결되고, 이어서 유체 재순환 튜브(13) 및 T-밸브(14)를 거쳐서 입구 파이프(6)에 연결되고 상처 삼출물 또는 관주액과의 혼합물이 관통하는 세포나 조직 성분을 수용하는 챔버 또는 구획실을 구비하는 예를 들어 캐니스터, 카트리지 또는 카세트와 같은 용기 형태의,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17)에 연결되며,
상처 및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17)을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여기에서는 연동 펌프(18),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소형 연동 펌프가, 그 회전자(도시되지 않음) 상의 주변 롤러에 의해 유체 재순환 튜브(13)에 작용하여 상처에 낮은 부압을 인가한다.
상기 유체 세정 수단(17)은 단상 시스템이다. 여기에서 상처 및 유체 저장기로부터의 순환 유체는,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이 제거되는 한편으로,
상처 치유의 촉진에 유익한 상처로부터의 물질을 여전히 함유하고,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이 삼출물 및 관주액(또는 변형 관주액)에 첨가되며,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을 수용하도록 생화학적,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변형되는 세정된 유체가 재순환 튜브를 거쳐서 상처 부위로 복귀되는,
자기-완결형 시스템을 통과한다.
[이 장치의 변형예에서는, 두 개의 입구 파이프(6)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유체 저장기(12)로부터 상처로의 유체 진입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밸브(19) 및 재순 환 튜브로부터 상처로의 유체 진입을 허용하기 위한 제2 밸브(20)를 각각 갖는 유체 공급 튜브(7) 및 유체 재순환 튜브(13)에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장치의 사용 시에, 제1 밸브(19)가 개방될 때 제2 밸브(20)는 폐쇄되고, 그 역도 성립한다.]
상기 장치(1)의 사용 시에, 밸브(16)는 수집 백(도시되지 않음)에 개방되고, T-밸브(14)는 유체가 유체 공급 튜브(7) 및 입구 파이프(6)를 통해서 유체 저장기로부터 상처 드레싱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돌려진다.
[유체 공급 튜브(7) 및 유체 재순환 튜브(13)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입구 파이프(6)를 갖는 이 장치의 변형예에서는, 유체 저장기(12)로부터 상처 내로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밸브(19)가 개방되고 제2 밸브(20)가 폐쇄되며, 그 역도 성립한다.]
펌프(18)는 상처에 낮은 정압을 인가하기 위해 유체 재순환 튜브(13)를 그 회전자(도시되지 않음) 상의 주변 롤러와 체결부착(nip)시키도록 시동된다. 펌프는, 이 장치가 장치 유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만수되어 과잉 유체가 방혈 T-밸브(16)를 거쳐서 수집 백(도시되지 않음) 내로 폐기될 때까지 작동될 수 있다.
이후, T-밸브(14)는 공급 및 재순환으로부터의 전환을 위해 돌려지지는 바, 즉 상처로부터 유체 저장조(12)로의 유동은 폐쇄하지만 유체 재순환 튜브(13)로부터 상처로의 유동은 허용하도록 설정되며, 방혈 T-밸브(16)는 동시에 폐쇄된다.
이 장치의 변형예에서, 유체 공급 튜브(7)와 유체 재순환 튜브(13)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입구 파이프(6)가 있는 경우, 제1 밸브(19)는 폐쇄되고, 재순환 시스템은 재순환 튜브(13)로부터 상처로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제2 밸브(20)를 개방함으로써 설정된다.
상처 및 유체 저장기(12)로부터의 순환 유체는 세정 수단(17)을 통과한다.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은 제거되는 반면;
상처 치유의 촉진에 유익한 상처로부터의 물질을 여전히 함유하고,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이 삼출물 및 관주액(또는 변형 관주액)에 첨가되며, 및/또는
상처 치유에 유익한 성분을 수용하도록 생화학적, 효소적 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서 변형되는 세정된 유체는 재순환 튜브(13)를 거쳐서 상처 부위로 복귀된다.
유체의 재순환은 요구되는 한 계속될 수 있다.
공급 및 재순환 사이의 전환은 이후, 유체가 유체 저장기로부터 유체 공급 튜브(7) 및 입구 파이프(6)를 통해서 상처 드레싱으로 유입되도록 T-밸브(14)를 회전시킴으로써 역전된다.
[유체 공급 튜브(7) 및 유체 재순환 튜브(13)에 각각 연결된 두 개의 입구 파이프(6)를 갖는 이 장치의 변형예에서는, 유체 저장기(12)로부터 유체를 상처에 진입시키기 위한 제1 밸브(19)가 개방되고 제2 밸브(20)는 폐쇄되며, 그 역도 성립한다.]
동시에 방혈 밸브(16)가 개방되어, 신선한 유체가 재순환 시스템으로 분출된다.
펌프(18)의 작동은, 이 장치와 그 유체 재순환이 정지될 때, 장치가 씻겨나갈 때까지 계속된다.
예를 들어 상처가 고도 삼출 상태에 있으면, 재순환시 유체의 균형에는 정의 변화가 있다. 유체를 재순환으로부터 방혈할 필요가 있고, 방혈 T-밸브(16)를 개방하여 유체를 재순환 튜브(13)로부터 방혈함으로써 유체를 재순환으로부터 방출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2에서, 장치(21)는 도1의 장치의 변형예이며, 여기에서는 2상 시스템(23)의 형태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을 제외하고는 도1의 장치의 경우와 동일하고 동일한 부호가 병기된다.
따라서, 유닛(23)은 상처 치료에 유해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는 내측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24)을 가지며, 이는 상기 유닛을,
(a) 세포나 조직을 수용하며,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의 한쪽 표면을 가로질러 세정 유체가 통과하는 제1 챔버(25)와,
(b) 상처 및 유체 저장기(12)로부터의 순환 유체를 관통시키고 그로부터 유해 물질이 제거되는 제2 챔버(26)로 분할한다.
따라서, 상기 유닛(23)은 투석액 공급 튜브(29)에 접속되어 있는 투석액 입구 파이프(28)를 구비하며, 투석액 공급 튜브(29)는, 그 회전자(도시되지 않음) 상의 주변 롤러로 투석액 공급 튜브(29)에 작용하여 투석액 저장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밸브(34)를 거쳐서 제1 챔버(25)에서의 폴리머 필름, 시트 또는 멤브레인(24)의 표면을 가로질러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세정 유체를 공급하는 연동 펌프(38),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소형 연동 펌프로 통하고 있다.
투석 유닛(23)은 또한 제2 방혈 T-밸브(36)를 통해서, 예를 들어 수집 백(도시되지 않음)으로 폐기시키는 투석액 출구 튜브(31)에 연결되는 투석액 출구 파이프(30)를 갖는다.
상기 장치의 작동은, 관주 시스템이 만수되고 장치 유로의 길이에 걸쳐서 정상 상태의 재순환이 확립된 후에 몇 군데의 지점에서 밸브(34) 및 제2 방혈 밸브(36)가 개방되는 투석 유닛(23)을 제외하고는, 도1의 장치의 그것과 유사하다.
펌프(38)가 시동되어 유체 투석액 튜브(29)가 그 회전자(도시되지 않음)에서의 주변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부착되어,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세정 유체가, 투석액 저장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1 챔버로 펌핑되는 동시에 방혈 밸브(36)를 거쳐서 수집 백(도시되지 않음) 내로 폐기된다.
투석 유닛(23)은, 세정 유체 중의 유해 인자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색상을 변화시키는 기판을 갖는 모듈(또는 스크러빙 카트리지)이며, 상기 스크러빙 카트리지가 소모되면 신품으로 교환되는 모듈이다.
도3 내지 도6에 의하면, 각각의 드레싱(41)은, 균일한 25 미크론의 두께를 갖고, 상처 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할 수 있는 상처-대향면(43)을 갖는 세균-비침투성 필름 기저층(42)에 의해 규정된 적합성 물체의 형태이다.
사용 시에, 기저층(42)은 상처 주위의 피부 위에서 상처 상에 연장된다.
오버랩(44) 상의 기저층(43)의 근위면에는 접착성 필름(45)이 탑재됨으로써, 이 접착성 필름(45)을 피부에 충분히 부착시켜 상처 드레싱을 상처 드레싱의 상처-대향면(43)의 둘레 주위에서 액밀한 밀봉부의 적소에 유지시킨다.
유체 공급 튜브(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기저층의 상처 대향면(43)을 관통하거나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하나의 입구 파이프(46)와, 유체 배출 튜브(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상처 대향면(43)을 관통하거나 및/또는 그 아래를 이동하는 하나의 출구 파이프(47)가 있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한 가지 형태의 드레싱에는, 원형 기저층(42) 아래에 상처 충진재(48)가 제공된다.
이것은 상처의 형상에 맞게 가압되는 유체, 여기에서는 공기 또는 질소로 채워진 멤브레인(49)에 의해 규정되는, 대체로 절두원추형 환상의 적합성 중공체를 포함한다.
충진재(48)는 접착성 필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또는 가열-밀봉에 의해 기저층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입구 파이프(46) 및 출구 파이프(47)는 환상 중공체(48)의 중심 터널(50) 위에서 기저층(42)에 중심 장착되고, 각각 기저층(42)을 관통하며, 각각 파이프(51, 52) 내에서 환상 중공체(48)의 터널(50)을 통해서 연장되고, 이후 중공체(48) 아래에서 직경상 대향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드레싱 형태는 깊은 상처에 대해 더욱 적절한 배치이다.
도4a 및 도4b에는 얕은 상처에 보다 적절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원형 기저층(42)과, 원형 파우치(63)를 형성하도록 가열-밀봉에 의해 기저층(42)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구멍(62)을 갖는 원형의 상향 접시형 제1 멤브레인(61)을 포함한다.
파우치(63)는 구멍(64)을 통해서 입구 파이프(46)와 연통하며, 따라서 드레싱이 사용될 때 순환 유체를 상처에 직접 송출하는 입구 파이프 매니폴드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개구(66)를 갖는 환형 제2 멤브레인(65)은 가열-밀봉에 의해 기저층(42)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층(42)을 갖는 환형 챔버(67)를 형성한다.
챔버(67)는 오리피스(68)를 통해서 출구 파이프(47)와 연통하며, 따라서 드레싱이 사용될 때 상처로부터 직접 유체를 수집하는 출구 파이프 매니폴드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도5a 및 도5b에는, 깊은 상처에 보다 적합한, 도4a 및 도4b의 드레싱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원형 기저층(42)과, 역전 절두원추형의 중실형 완전체, 여기에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탄성중합 발포체, 또는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된 플라스틱 발포체의 형태인 충진재(69)를 포함한다.
이는 접착성 필름(도시되지 않음)으로 또는 가열-밀봉에 의해 기저층(42)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원형의 상향 접시형 시트(70)는 기저층(42) 및 중실 완전체(69) 아래에 놓여져 이것에 합치되지만,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는 별도의 구조물이다.
개구(72)를 갖는 원형의 상향 접시형 제1 멤브레인(71)은, 시트(70)를 갖는 원형 파우치(73)를 형성하도록 가열-밀봉에 의해 시트(70)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파우치(73)는 구멍(74)을 통해서 입구 파이프(46)와 연통하고, 따라서 드레싱이 사용될 때 상처에 직접 순환 유체를 송출하는 입구 파이프 매니폴드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개구(76)를 갖는 환형 제2 멤브레인(75)은, 시트(70)를 갖는 환형 챔버(77)를 형성하도록 가열-밀봉에 의해 시트(70)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챔버(77)는 오리피스(78)를 통해서 출구 파이프(47)와 연통하고, 따라서 드레싱이 사용될 때 상처로부터 직접적으로 유체를 수집하는 출구 파이프 매니폴드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적절한 경우에, 드레싱은 원형의 상향 접시형 시트(70)가 기저층으로서 기능하고, 중실형 충진재(69)가 기저층으로서의 시트(70)의 아래가 아닌 위에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충진재(69)는 기저층(42) 대신 접착성 필름 또는 테이프로 적소에 유지된다.
도6a 및 도6b에는, 깊은 상처에 보다 적합한 형태의 드레싱이 도시된다.
이것은 원형 기저층(42)과, 역반구형 완전체의 형태이고, 여기에서는 탄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혹은 유체, 여기에서는 상처 형상에 맞게 가압되는 겔로 충진되고 접착성 필름(도시되지 않음)으로 또는 가열-밀봉에 의해 기저층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중공체 형태의 충진재(79)를 포함한다.
입구 파이프(46) 및 출구 파이프(47)는 기저층(42)에 영구적으로 장착된다.
원형의 상향 접시형 시트(80)는 기저층(42) 및 충진재(79) 아래에 놓여져 이 에 합치되지만, 그것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는 별도의 구조물이다.
원형의 상향 접시형 2층(bilaminate) 멤브레인(81)은 그 층상 요소들 사이에 폐쇄식 채널(82)을 갖고,
상기 멤브레인(81)에 의해 형성되는 접시의 외표면(84) 상의 그 길이를 따라서 천공부(83)를 가지며,
그 와권 나선상의 외측 단부에는 이를 통해서 채널(82)이 입구 파이프(46)와 연통하는 개구(85)가 있고,
따라서 드레싱이 사용될 때 순환 유체를 상처에 직접 인가하는 입구 파이프 매니폴드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멤브레인(81)은 또한 채널(82)의 터닝부 사이에 그 길이를 따라서 개구(86)를 갖는다.
멤브레인(81)에 의해 형성된 접시의 내부면(87)은 그 최내측 지점(88)에서 접착성 필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또는 가열-밀봉에 의해 시트(80)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이것은 접속용 폐쇄형 와권 나선상 도관(89)을 형성한다.
와권 나선의 최외측 단부에서, 도관(89)은 구멍(90)을 통해서 출구 파이프(47)와 연통하고, 따라서 개구(86)를 통해서 상처로부터 직접 유체를 수집하는 데 효과적인 출구 매니폴드이다.
도7a 및 도7b에서, 하나의 형태의 드레싱은 원형 기저층(42)을 구비한다. 제1(큰) 역반구형 멤브레인(92)은 층(42)을 갖는 반구체 챔버(94)를 형성하도록 가열-밀봉에 의해 층(42)에 중심적으로 영구 부착된다. 제1 멤브레인 내의 제2(작은) 동심 반구형 멤브레인(93)은 반구형 파우치(95)를 형성하도록 가열-밀봉에 의해 층(4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파우치(95)는 입구 파이프(46)와 연통하며 따라서 효과적으로 입구 매니폴드가 되며, 이 입구 매니폴드로부터 파이프(97)가 반구상으로 방사되어 상처 부위로 연장되고 개구(98)에서 종료된다. 파이프(97)는 순환 유체를 개구(98)를 거쳐서 상처 부위에 직접 송출한다.
챔버(94)는 출구 파이프(47)와 연통하며 따라서 효과적으로 출구 매니폴드를 구성하며, 이 출구 매니폴드로부터 세관(99)이 반구상으로 방사되어 상처 부위로 연장되고 구멍(100)에서 종료된다. 세관(99)은 구멍(100)을 거쳐서 상처로부터 직접 유체를 수집한다.
도8a 내지 도8d에서, 하나의 형태의 드레싱은
정방형 기저층(42)과,
입구 파이프(46)로부터 연장되는 제1 튜브(101)와,
출구 파이프(47)로부터 연장되는 제2 튜브(102)를 구비하며,
이들 튜브는 기저층을 관통하여 상처 부위의 위로 연장된다.
이들 파이프(101, 102)는 파이프(101, 102)를 따라서 오리피스(103, 104)를 갖는 블라인드-보어를 갖는다. 이들 파이프(101, 102)는 각각, 순환 유체를 상처 부위에 직접 송출하거나 오리피스를 경유하여 상처로부터 유체를 직접 수집하는 입구 파이프 또는 출구 파이프를 형성한다.
도8a 및 도8d에서,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 매니폴드로서의 각각의 파이 프(101, 102)의 하나의 배치는 나선형이다.
도8b에서, 배치는 도8a 및 도8d에서의 배치의 변형예이며, 입구 매니폴드(101)의 배치는 전체 또는 부분 원환체이며, 출구 매니폴드(102)는 방사상 파이프이다.
도8c에는 입구 매니폴드(101)와 출구 매니폴드(102)가 상처 부위 위에서 쟁기이동식(boustrophedic) 패턴으로, 즉 쟁기질된 고랑 방식으로 서로 나란히 연장되는 다른 적합한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9a 내지 도9d에는 도8a 내지 도8d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깊은 상처에 적합한 다른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정방형 기저층(42)은 그 아래에 상처 충진재(110)를 갖는 바, 이 충진재는 접착성 필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또는 가열-밀봉에 의해 기저층(42)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으며, 충진재는 역반구형 중실 완전체, 여기에서는 열가소성,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된 플라스틱 발포체로 형성된 탄성 엘라스토머 발포체이다.
충진재의 아래에는, 중실 충진재(110)에 합치되지만 이것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지 않는 별도의 구조물인 원형의 상향 접시형 시트(111)가 있다. 시트(111)를 통해서 입구 파이프(46) 및 출구 파이프(47)는 상처 부위 위로 연장된다. 이들 파이프(101, 102)는 다시 파이프(101, 102)를 따라서 오리피스(103, 104)를 갖는 블라인드 보어를 갖는다.
대안적으로(도5a 및 도5b에 도시하듯이), 적절한 경우, 드레싱은 원형의 상향 접시형 시트(111)가 기저층으로서 기능하고 중실형 충진재(110)가 기저층으로서 의 시트(42)의 아래보다는 위에 안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충진재(110)는 기저층(42) 대신, 접착성 필름 또는 테이프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다.
도10의 (a) 내지 도10의 (c)에서, 상처에 유체를 송출하고 상처로부터 유체를 수집하기 위한 상처 드레싱용 입구 및 출구 매니폴드는, 상호 적층상으로 영구 접합된 복수의 층에서의 복수의 슬롯 및 개구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도10의 (a)에는 입구 매니폴드 및 출구 매니폴드 적층체(120)의 분해 등각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적층체(120)는 제1층(121) 내지 제5층(125)이 완전히 중합되는 다섯 개의 정방형 열가소성 폴리머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은 접착성 필름(도시되지 않음) 혹은 가열 밀봉에 의해 적층체(120)의 인접층에 접합되어 있다.
(사용 시에 드레싱에서 가장 멀리있는) 최상(제1) 층(121)은 아무것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blank) 정방형 피복(capping)층이다.
매니폴드 적층체(120)의 외측에 있는, 도10의 (b)에 도시된 다음(제2) 층(122)은 정방형 층이며, 입구 매니폴드 슬롯(126)이 이를 통과한다. 상기 슬롯(126)은 유체 입구 튜브(도시되지 않음)의 결합 단부에 연결하기 위해 층(122)의 한쪽 에지(127)까지 연장되며, 그 사이에 공간을 갖는 평행 배열에 있는 네 개의 인접형 분기부(128) 내로 확산된다.
다음(제3) 층(123)은 다른 정방형 층이며, 이 층(123)을 관통하는 입구 매니폴드 개구(129)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개구(129)는 제2층(122)을 관통하는 입구 매니폴드 슬롯(126)[도10의 (b)에 도시됨]과 정합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매니폴드 적층체(120)의 외측에 있는, 도10의 (c)에 도시된 다음(제4) 층(124)은 다른 정방형 층이며, 이 층(124)을 관통하는 입구 매니폴드 개구(1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개구(130)는 제3층(123)을 관통하는 개구(129)와 정합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는 또한 이를 관통하는 출구 매니폴드 슬롯(131)을 갖는다.
슬롯(131)은 유체 출구 튜브(도시되지 않음)의 결합 단부에 연결되기 위해, 층(122)의 에지(127)로부터 매니폴드 적층체(120)의 대향측에 있는 층(124)의 한쪽 에지(132)로 연장된다.
이는 층(124) 내의 개구(130) 사이의 공간에서 평행 배열로 그리고 층(122) 내의 개구(129) 사이의 공간과 정합하여 세 개의 인접한 분기부(133) 중으로 확산된다.
최종(제5) 층(125)은 다른 정방형 층이며, 이 층(125)을 관통하는 입구 매니폴드 개구(13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개구(134)는 제4층(124)을 관통하는 입구 매니폴드 개구(130)와 정합(다음으로, 제3층(123)을 관통하는 개구(129)와 정합)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 층(125)은 이 층 중에 출구 매니폴드 개구(135)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개구(135)는 제4층(124)에서의 출구 매니폴드 개구(131)와 정합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층(121 내지 125)이 적층체(120)를 형성하도록 함께 부착될 때, 최상(제1) 층(121), 제2층(122)을 통과하는 입구 매니폴드 슬롯(126), 및 제3층(123)은 협력하여 제2층(122)에 입구 매니폴드를 형성하며, 이는 사용 시에 유체 입구 튜브(도 시되지 않음)의 결합 단부에 사용 중에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층(122)을 통과하는 입구 매니폴드 슬롯(126)과, 층(123, 124, 125)을 통과하는 입구 매니폴드 개구(129, 130, 134)는 모두 상호 정합되며, 이들은 상호 협력하여 제2층(122)에서의 입구 매니폴드와 적층체(120)의 근위면(136) 사이에 제3층 내지 제5층(123, 124, 125)을 관통하는 입구 매니폴드 도관을 형성한다.
제3층(121), 제4층(124)을 통과하는 출구 매니폴드 슬롯(131), 및 제5층(125)은 협력하여 제4층(124)에 출구 매니폴드를 형성하며, 이는 사용 시에 유체 출구 튜브(도시되지 않음)의 결합 단부에 연결된다.
제4층(124)을 통과하는 출구 매니폴드 슬롯(131), 및 제5층(125)을 통과하는 출구 매니폴드 개구(135)는 상호 정합되며, 이들은 상호 협력하여 제4층(124)에서의 출구 매니폴드와 적층체(120)의 근위면(136) 사이에 제5층(125)을 관통하는 출구 매니폴드 도관을 형성한다.
도11에서,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1)는 도1의 장치(1)의 변형예이다.
이는 시스템에서 펌프를 일체의 차단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펌프(17) 주위에 바이패스(711)를 갖는다.
이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바, 예를 들면 이는 파열용 디스크(도시되지 않음) 또는 압력-구동형 동력화 밸브에 의해 통상적으로 폐쇄된다.
바이패스(711)의 대안은, 초과 부하 또는 압력을 감지하여 펌프를 중지시키게 될 시스템 내의 압력 센서이다.
도12에서,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1)는 도2의 장치(1)의 변형예이다.
이 장치는 투석 유닛(21)을 갖는 2상 시스템이지만, 투석 유체가, 제2 방혈 T-밸브(36)를 거쳐서 예를 들면 수집 백(도시되지 않음) 안으로 폐기되도록 투석액 저장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1 챔버(25) 내의 투석 멤브레인(28)을 한번만 통과하는 것이다.
이 변형예는 투석 펌프(23)의 입구측에 있는 제1 T-밸브(816)와 제2 T-밸브(817) 사이를 연장하는 투석 재순환 튜브(811)를 구비함으로써, 회로가 투석 유닛(21)을 통한 다수의 통과로 만수되면 펌프(23)가 투석액을 재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작동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13 내지 도15에서, 이러한 형태의 드레싱은 원형 기저층(342) 아래에서 상처 충진재(348)를 구비한다.
이것은 상처 형상에 맞게 가압되는 유체 여기서는 공기 또는 질소로 충진되는 멤브레인(349)에 의해 규정되는, 대체로 하향 돔형상 또는 편구(偏球)형 적합성 중공체를 각각 포함한다.
충진재(348)는, 기저층(342)에 예를 들어 가열-밀봉되는 보스(351)를 통해서 기저층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팽창 입구 파이프(350), 입구 파이프(346) 및 출구 파이프(347)는 중공체(348) 위에서, 기저층(342) 내의 보스(351)의 중심에 장착된다. 팽창 입구 파이프(350)는 중공체(348)의 내부와 연통되어 중공체(348)의 팽창을 허용한다. 입구 파이프(346)는 중공체(348)를 관통하여 효과적으로 파이프(352) 내에서 연장된다. 출구 파이프(347)는 기저층(342)의 바로 아래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도13에서, 파이프(352)는, 가열-밀봉에 의해 충진재(348)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개구(362)를 갖는 멤브레인(361)에 의해 형성된 입구 매니폴드(353)와 연통된다. 이는 적합한 재료, 예를 들면 탄성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발포체(363)로 충전된다. 바람직한 재료로는 작은 개구 또는 세공을 갖는 망상의 여과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포함한다.
도14에서, 출구 파이프(347)는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탄성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발포체 층(364)에 연통된다. 다시, 바람직한 재료에는 작은 개구 또는 세공을 갖는 망상의 여과 폴리우레탄이 포함된다.
도13, 도14 및 도15 전체에서, 사용 시에, 파이프(346)는 관주액을 상처 부위로부터 직접 확장된 영역에 걸쳐서 송출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에서 종료된다.
마찬가지로, 출구 파이프(347)는 드레싱이 사용 중일 때 상처 주위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유체를 효과적으로 수집한다.
도16에서, 드레싱은 원형 기저층(342) 아래에 상처 충진재(348)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는 또한 상처 형상에 맞게 가압되는 유체, 여기서는 공기 또는 질소로 충전된 멤브레인(349)으로 한정된 일반적으로 환상면 적합성 중공체를 포함한다.
충진재(348)는 예로서, 탄성 열가소성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된 발포체(364) 층 및 제1 보스(351)를 거쳐서 기저층(342)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 한 재료는 작은 개구 또는 구멍을 갖는 망상의 여과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포함한다.
제1 보스(351) 및 발포체 층(364)은 기저층(342) 및 보스(351)에 각각 가열-밀봉된다.
팽창 입구 파이프(350), 입구 파이프(346), 및 출구 파이프(347)는 환상 중공체(348) 위에서 기저층(342) 내의 제1 보스(351)의 중심에 장착된다.
팽창 입구 파이프(350), 입구 파이프(346) 및 출구 파이프(347)는 각각 파이프(353, 354, 355) 내에서 중공체(348) 내의 중심 터널(356)을 통해서, 환상 중공체(348)에 부착된 제2 보스(357)까지 연장된다.
파이프(353)는 중공체(348)의 내부와 연통하여 중공체(348)의 팽창을 허용한다. 파이프(354)는 멤브레인(361)에 의해 형성된 입구 매니폴드(352)와 연통하도록 제2 보스(357)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으며, 멤브레인(361)은 망상화된 벌집 구조체의 형태로 충진재(348)에 가열 밀봉에 의해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 벌집 구조체에는 관주 유체를 확대된 구역에 걸쳐서 상처 부위에 직접 공급하는 개구(362)가 있다. 파이프(355)는 드레싱이 사용 중일 때 상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수집한다.
이러한 형태의 드레싱이, 깊은 상처에 보다 적절한 배치이다.
도17에서, 드레싱은, 멤브레인(349)에 의해 규정된 환상의 적합성 중공체가 공기 또는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와 같은 기체가 아니고, 유체, 여기에서는 플라스틱제의 단편 또는 비드와 같은 고체 미립자로 충진된다는 점과, 팽 창 입구 파이프(350) 및 파이프(353)가 중심 터널(356)로부터 생략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16의 드레싱과 유사하다.
중공체의 내용물(348)의 예로는, 실리콘 겔 또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Intrasite™ 가교-결합 물질과 같은 친수성 가교-결합 셀룰로스 겔과 같은 셀룰로스 겔이 포함된다. 그 예로는 에어로졸 발포체 및, 예를 들어 CaviCare™ 발포체와 같은 응고 에어로졸 발포체도 포함된다.
도18 및 도19에는, 깊은 상처용 다른 발포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복식 몰타 십자가 또는 양식화(stylised) 장미와 흡사한 깊이 만입된 원반 형태의 챔버(363)와 원형 기저층(342)을 포함한다.
이것은 상부의 비투과성 멤브레인(361) 및 하부의 다공성 필름(362)에 의해 형성되며, 필름(362)에는 상처 부위로부터 확대된 구역에 걸쳐서 관주 유체를 직접 송출하는 개구(364)가 구비된다. 챔버(363)의 여러가지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상처에 삽입될 때 접근하고 있거나 또는 중첩될 가능성이 있는 아암에 의해 상처 부위에 잘 적합해질 수 있다.
최하부에 도시된 챔버(363)의 특정 디자인에서는, 아암의 하나가 연장되어 있으며, 연장 아암의 단부에 입구 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 시에 드레싱 및 상처에서 떨어진 관주 공급부를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입구 파이프(346) 및 출구 파이프(347)는 챔버(363) 위에서 기저층(342)에 있는 보스(351)의 중심에 장착된다. 입구 파이프(346)는 챔버(363)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그 내부에 연통되고, 따라서 내부 매니폴드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챔 버(363) 위의 공간은 느슨한 거즈 패킹(364)으로 채워진다.
도18에서, 출구 파이프(347)는 기저층(342)의 상처 대향면(343) 바로 아래로부터 드레싱의 내부로부터 유체를 수집한다.
도18의 드레싱의 변형예를 도19에 도시한다. 출구 파이프(347)는 챔버(363)위 공간의 최저점에서 발포체(374) 피스 내로 개방되도록 장착된다.
도20에서의 드레싱은, 입구 파이프(352)가, 대체로 하향 돔형상의 상처 중공 충진재(348)를 관통하지 않고 그 상면 위에서, 개구(362)를 갖는 멤브레인(361)에 의해 형성된 입구 매니폴드(353)와 연통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13의 것과 유사하다.
도22에서, 드레싱은 도14의 것과 유사하지만, 개구(362)를 갖는 멤브레인(361)에 의해 형성된 입구 매니폴드(353)가 대체로 하향 돔형상의 환형 상처 중공 충진재의 아랫면 위에 추가된다.
도21에서, 대체로 하향 돔형상의 환형 상처 중공 충진재는 생략된다.
도23에는 깊은 상처용 다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입구 파이프(346) 및 출구 파이프(347)는 밀봉된 발포체 충진재(348) 위에서 기저층(342)의 보스(351)의 중심에 장착된다. 입구 파이프(346)는 상처 부위에 영구 부착되고 충진재(348)를 통과한다. 출구 파이프(347)는 충진재(348)의 상부 주연부에 부착된 다공성 발포체에 의해 규정된 챔버(363)에 부착되어 그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챔버(363)는 효과적으로 외부 매니폴드를 형성한다.
도24에서, 발포체 충진재(348)는 부분적으로만 밀봉된다. 입구 파이프(346) 는 충진재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충진재(348)를 통해서 상처 부위에 이른다. 출구 파이프(347)는 충진재(348)의 발포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이와 연통된다. 유체는 발포체에서 충진재(348)의 상부 주연부 근처의 환형 갭(349)으로 통과되어, 출구 매니폴드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도25 및 도26은 입구 파이프(346) 및 출구 파이프(347)가 기저층(342)을 통과하는 드레싱을 도시한다.
도25에서, 이들은 다공성 필름(369)에 의해 규정되고, 탄성적으로 복원성인 플라스틱제 비드 또는 단편으로 충진된 다공성 백 충진재(348)의 내부와 연통한다.
도26에서, 이들은 발포체 충진재(348) 바로 아래의 상처 공간에 연통된다. 발포체(348)는 파이프(346, 347) 주위의 원위치에 주입되어 발포되는 CaviCare™ 일 수 있다.
도27에서, 세포나 조직을 사용하여 상처를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하기 위한 장치(1)는 도1에 도시된 장치의 주요 변형예이다.
도1에서 세포나 조직(17)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 및 상처를 통한 유체 이동 장치는, 상처에 낮은 부압을 인가하기 위해 드레싱(2)의 하류에서 유체 순환 튜브(13)에 작용하는 연동 펌프(18),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소형 휴대용 연동 펌프이다.
도27에 도시된 장치(1)에서, 연동 펌프(18)는,
상처 공간 내에 전체적으로 낮은 부압을 인가하기 위해
(a) 드레싱(2)의 상류에서 유체 공급 튜브(7)에 작용하는 연동 펌프, 및
(b) 드레싱(2)의 하류에서 유체 순환 튜브(13)에 작용하는, 압력 조절 수단을 갖는 진공 펌프 조립체로 교체된다.
상기 진공 펌프 조립체는,
유체 순환 펌프(13)에 연결되고 탱크(911)의 상부와 연통하는 입구 튜브(912)와,
쓰레기 백(915)을 갖는 폐기물 펌프(914)에 연결되고 탱크(911)의 하부에 연통되는 폐기물 튜브(913)와,
진공 펌프(918)에 연결되고 탱크(911)의 상부와 연통되는 펌프 튜브(916), 및
유체 순환 튜브(13)를 거쳐서 세포나 조직(17)을 이용한 세정 수단에 연결되고 탱크(911)의 하부와 연통하는 출구 튜브(917)를 구비하는
탱크(911)를 포함한다.
진공 펌프(918)는 전기선(920)을 통해서 압력 피드백 제어기(919)에 의해 제어되고, 이 제어기는 탱크(911)의 상부에 있는 탱크 센서(921) 및 상처 공간 내의 드레싱 센서(922)로부터 각각 라인(923, 924)을 통해서 신호를 수신한다.
장치(1)의 작동은 도1의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변경을 가한 유사한 것이다.
압력 피드백 조절기(919)는 상처 및/또는 탱크(911)에서의 압력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처가 계속 심하게 삼출되기 때문에 순환되는 유체의 양이 과도해지면, 폐기물 펌프(914)는 탱크(911)의 하부로부터 쓰레기 백(915)으로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시동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장치의 사용을 단지 예시적인 하기 예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예1
삼출투석 시스템에서 세정제로서 세포를 사용하는 것의 이점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방법
<세포>
Thermanox 커버슬립 상에서의 성장을 위해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HS8/BS04)를 준비하였다.
<배지>
10% 송아지 혈청, I-글루타민, 비본질성 아미노산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다양한 로트(lot) 번호)으로 보충된 DMEM 배지(Sigma, no. D6429)에서 세포를 성장시켰다. 실험 시스템에 사용될 배지는 배지의 안정적인 pH를 보장하기 위해 5%(v/v) 송아지 혈청으로 보충되었으며, 1%(v/v) Buffer-All 배지(Sigma)로 완충되었다. 대안적으로, 세포는 2mM 글루타메이트, 1.5g/L 중탄산 나트륨, 0.1mM NEAA, 및 1mM 피루빈산 나트륨으로 보충된 Eagle MEM 배지에서 성장될 것이다. Eagle MEM 배지는 간세포 세포주(細胞株: cell line)에 추천되는 배지 형태이다.
<세정제 관점으로서의 세포>
상처 치유에 유해한 인자(예를 들면, 과산화수소수)를 배지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세포로서 간세포 세포주(예를 들면 HepG2/C3A 세포주; ATCC, ATCC-CRL-10741) 를 사용하였다. 이 세포주는 합성 기질(예를 들면, 나일론 메쉬) 또는 잠재적으로 비합성 기질 상에서 성장할 것이며, 투석 타입 멤브레인에 포위되거나 배양 병 내에서 자유롭게 부유하는 삼출투석 시스템 내에 배치될 것이다.
<삼출투석 시스템>
관련 제어 및 테스트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시스템이 구성될 것이다. 이들 시스템에는 이하의 것이 포함될 것이다:
병(Bottle) 1 병(Bottle) 2
시스템1 배지 배지
시스템2 배지 배지 및 간세포
시스템3 배지+ 카탈라제 배지
시스템4 배지+ H2O2 배지+ 간세포
시스템5 배지+ H2O2 배지
유동 시스템에 사용된 장비는, 1.02mm ID의 Ismatec 펌프 튜빙 및 고강도 실리콘 튜빙(HS-0152-009, Cole Palmer Instruments)과 핫 플레이트를 구비한 Ismatec IPC 고정밀도 연동 펌프를 포함할 것이다.
<H2O2>
과산화수소수(Sigma, lot 074K3641; stock 8.8M, 30% soln)(250㎕)를 21.75㎖ DMEM/5% FCS 배지(또는 Eagle MEM 배지)에 첨가하였다. 배지의 5.1㎖를 39.9㎖ DMEM/5% FCS 배지에 첨가하였고, 이것의 5㎖를 관련 시스템의 병1에 첨가하여 1.1mM의 최종 농도를 제공하였다.
<카탈라제>
카탈라제는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서 필요할 것이다. 15㎖ 카 탈라제(또는 86200 유닛; Sigma, C3155, lot 014K7029)를 사피 주름형(snakeskin pleated) 투석 튜브(10kDa MWCO; Pierce, no. 68100, lot EB9446)가 함유. 투석 튜브는 배양 병에 배치하였다.
<WST 분석>
각 시스템으로부터의 여섯 개의 커버슬립 상의 세포 미토콘드리아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WST 분석을 사용하였다. WST 시약(Roche)을 실험/Buffer all 배지에서 10% v/v로 희석하였다. 커버슬립을 Minucell 챔버로부터 제거한 후 1㎖ PBS에서 세척하였다. PBS를 제거하고 200㎕ WST/DMEM 배지를 추가하였다. 커버슬립은 이후 96 홈판에 150㎕의 시약을 제공하기 전에, 37℃에서 45분간 배양되었다. Ascent Multiskan Microtitre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655nm 기준 450nm에서의 흡수도를 판정하였다.
결과 및 논의
간세포 셀이 간세포의 단백질 성분인 것으로 보고된 카탈라제의 작용을 통해서 과산화수소수를 물과 산소로 변환 및 해독할 것으로 예상된다. 간세포의 해독 작용을 통해서, 상처 부위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는 과산화수소수에만 노출되었을 때보다 훨씬 더 생존 및 증식할 것이다. 이전의 실험들은 과산화수소수의 존재가 파종된 섬유아세포를 죽이는 것을 보여주었다(도29).
결론
충분한 농도의 과산화수소수는 섬유아세포에 독이 된다.
간세포의 주된 역할은 효소(예를 들면, 카탈라제) 기전(mechanism)을 통해서 생체액을 해독하는 것이다.
유동 시스템 내에 간세포 셀을 배치함으로써, 간세포가 배지를 해독하고 과산화수소수를 충분한 정도로 제거하여, 존재하는 섬유아세포가 생존 및 증식할 수 있게 할 것이다.

Claims (27)

  1.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에 있어서,
    (a) 유체 유로로서,
    (i) 기저층과, 유체 공급 튜브에 연결되고 기저층을 관통하고 및/또는 기저층 아래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 및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고 기저층을 관통하고 및/또는 기저층 아래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입구 파이프는 유체 재순환 튜브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출구 파이프는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는 상처 드레싱과,
    (ⅱ)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포트 및 유체 재순환 튜브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포트를 갖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을 갖는 유체 유로와,
    (b)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유동을 공급과 재순환 사이에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통해서) 제2 유체 공급 튜브에 의해 상기 유로의 완전체에 연결되는 유체 저장기와,
    (c) 상처 드레싱과,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유체 세정 수단, 그리고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유체 공급 튜브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와,
    (d) 경우에 따라, 유체가 유로를 충진하도록 유체 저장기로부터 유체 공급 튜브를 통해서 (경우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유동 전환 수단을 통해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이동 장치에 의해 유로를 통해서 재순환될 수 있도록 유로를 방혈시 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층은 상처 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할 수 있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입구 파이프 및 상기 또는 각각의 출구 파이프가 기저층을 관통하고 및/또는 기저층 아래를 통과하는 지점은 상처 위에 상대적으로 액밀한 밀봉부 또는 폐쇄부를 형성할 수 있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 드레싱은 적합성 상처 드레싱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세포는 간세포를 포함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유체 세정 수단은 단상 시스템이며, 이 시스템에서 상처로부터의 순환 유체는 유체 세정 수단을 통과하고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은 순환 유체가 유체 세정 수단 내의 다른 유체와 직접 또는 간접 접촉하지 않으면서 제거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유체 세정 수단은 2상 시스템이며, 이 시스템에서 상처로부터의 순환 유체는 유체 세정 수단을 통과하고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은 유체 세정 수단 내의 다른 유체와 직접 또는 간접 접촉하는 순환 유체에 의해 제거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유체 세정 수단, 상기 상처로부터의 순환 유체, 및 유체 세정 수단 내의 다른 유체는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는 완전체에 의해 분리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유체 세정 수단, 상처로부터의 순환 유체, 및 유체 세정 수단 내의 다른 유체는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없는 완전체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다른 유체는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는 물질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이와 접촉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 치유에 유해한 물질은 산화제; 프로테아제; 내독 소; 자기유도물질 시그널링 분자; 혈관형성 억제제; 염증유발성 사이토카인; 및 염증제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처의 흡인 및 관주 수단을 포함하며, 따라서 흡인 유체가 장치에 의해 유체 배출 튜브를 통해서 흡인되는 동안 관주 유체는 유로를 충진하도록 유체 저장기로부터 유체 공급 튜브를 거쳐서 공급될 수 있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처의 흡인 및 관주 수단은,
    (a) 상처 드레싱의 하류에서 그리고 상처 드레싱으로부터 멀어지게 유체에 가해지는, 상처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장치와,
    (b) 상처 드레싱의 상류에서 그리고 상처 드레싱을 향해 유체 공급 튜브 내의 관주액에 가해지는, 상처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장치를 포함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장치 및/또는 제2 장치는 고정 처리량 장치이며, 상처의 흡인 및 관주 수단은 유체 공급 튜브에 연결되는 공급 유동 규제 수단과, 유체 배출 튜브에 연결되는 흡인 유동 규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처를 통해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격막 펌프 또는 연동 펌프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유속은 불규칙적으로 또는 규칙적으로 주기적인 가변 유속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유속의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주기는 24시간당 최대 48의 주파수를 갖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유속의 펄스는 분당 1 내지 60의 주파수를 갖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처를 가로질러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유동이 평행류, 방사상 스트리밍, 와권형 스트리밍, 나선형 스트리밍, 와권나선형 스트리밍 또는 원형 스트리밍일 수 있게 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19.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 수단은 상처를 둘러싸는 영역에 부압을 생성하기 위한 진공 수단이기도 한,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은 약 1.01 내지 100.3 kPa(0.01 내지 0.99 대기압)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저층은 일정 유속의 가스가 관통 유동할 수 있도록 반투과성인,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처 접촉층을 포함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 접촉층은 거즈, 발포체, 다공성 재료, 반다공성 재료, 반투과성 재료, 탄성 또는 팽창성 충진재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휴대가능한,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포 또는 조직은 불용성 기질 상에 속박되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26. 제11항, 제12항, 제13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 및 관주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이루어지는, 세포나 조직을 이용한 상처의 흡인, 관주 및/또는 세정용 장치.
  27. 제1항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상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한 상처 치료 방법.
KR1020087008874A 2005-09-15 2006-09-15 장치 KR20080056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518804.4 2005-09-15
GBGB0518804.0A GB0518804D0 (en) 2005-09-15 2005-09-15 Exudialysis tissue clea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207A true KR20080056207A (ko) 2008-06-20

Family

ID=3524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874A KR20080056207A (ko) 2005-09-15 2006-09-15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162909B2 (ko)
EP (1) EP1933925A1 (ko)
JP (1) JP2009508549A (ko)
KR (1) KR20080056207A (ko)
CN (1) CN101304779A (ko)
AU (1) AU2006290491B2 (ko)
CA (1) CA2622628A1 (ko)
GB (1) GB0518804D0 (ko)
WO (1) WO2007031757A1 (ko)
ZA (1) ZA2008023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4986D0 (en) 2002-10-28 2002-12-04 Smith & Nephew Apparatus
GB0325126D0 (en) 2003-10-28 2003-12-03 Smith & Nephew Apparatus with heat
US8758313B2 (en) * 2003-10-28 2014-06-24 Smith & Nephew Plc Apparatus and method for wound cleansing with actives
US11298453B2 (en) 2003-10-28 2022-04-12 Smith & Nephew Plc Apparatus and method for wound cleansing with actives
GB0325129D0 (en) 2003-10-28 2003-12-03 Smith & Nephew Apparatus in situ
GB0325130D0 (en) 2003-10-28 2003-12-03 Smith & Nephew Apparatus with scaffold
US7708724B2 (en) 2004-04-05 2010-05-04 Blue Sky Medical Group Incorporated Reduced pressure wound cupping treatment system
US10058642B2 (en) 2004-04-05 2018-08-28 Bluesky Medical Group Incorporated Reduced pressure treatment system
US7909805B2 (en) 2004-04-05 2011-03-22 Bluesky Medical Group Incorporated Flexible reduced pressure treatment appliance
US8062272B2 (en) 2004-05-21 2011-11-22 Bluesky Medical Group Incorporated Flexible reduced pressure treatment appliance
US7776028B2 (en) 2004-04-05 2010-08-17 Bluesky Medical Group Incorporated Adjustable overlay reduced pressure wound treatment system
US7753894B2 (en) * 2004-04-27 2010-07-13 Smith & Nephew Plc Wound cleansing apparatus with stress
GB0508531D0 (en) * 2005-04-27 2005-06-01 Smith & Nephew Sai with ultrasound
GB0409446D0 (en) 2004-04-28 2004-06-02 Smith & Nephew Apparatus
US10413644B2 (en) 2004-04-27 2019-09-17 Smith & Nephew Plc Woun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8529548B2 (en) 2004-04-27 2013-09-10 Smith & Nephew Plc Woun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EP1922045B1 (en) 2005-09-07 2012-11-07 Tyco Healthcare Group LP Self contained wound dressing with micropump
US7779625B2 (en) 2006-05-11 2010-08-24 Kalypto Medical, Inc. Device and method for wound therapy
DE602007004546D1 (de) 2006-09-28 2010-03-18 Tyco Healthcare Tragbares Wundtherapiesystem
US7967810B2 (en) 2006-10-20 2011-06-28 Mary Beth Kelley Sub-atmospheric wound-care system
US9408954B2 (en) 2007-07-02 2016-08-09 Smith & Nephew P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GB0712763D0 (en) * 2007-07-02 2007-08-08 Smith & Nephew Apparatus
GB0712739D0 (en) 2007-07-02 2007-08-08 Smith & Nephew Apparatus
GB0715259D0 (en) 2007-08-06 2007-09-12 Smith & Nephew Canister status determination
US8628311B2 (en) * 2007-09-11 2014-01-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hermal ablation system with dispensable therapeutic agent
CA2705896C (en) 2007-11-21 2019-01-08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HUE043133T2 (hu) 2007-11-21 2019-07-29 Smith & Nephew Sebkötözés
WO2009067711A2 (en) 2007-11-21 2009-05-28 T.J. Smith & Nephew, Limited Suction device and dressing
GB0722820D0 (en) 2007-11-21 2008-01-02 Smith & Nephew Vacuum assisted wound dressing
ATE546174T1 (de) 2008-01-08 2012-03-15 Bluesky Medical Group Inc Ununterbrochene variable unterdruckwundbehandlung und steuerungsverfahren dafür
GB0803564D0 (en) 2008-02-27 2008-04-02 Smith & Nephew Fluid collection
US9033942B2 (en) 2008-03-07 2015-05-19 Smith & Nephew, Inc. Wound dressing port and associated wound dressing
EP2257320A2 (en) 2008-03-12 2010-12-08 Bluesky Medical Group Inc. Negative pressure dressing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09124548A1 (en) * 2008-04-11 2009-10-15 Coloplast A/S Wound cover device
US8414519B2 (en) 2008-05-21 2013-04-09 Covidien Lp Wound therapy system with portable container apparatus
US10912869B2 (en) 2008-05-21 2021-02-09 Smith & Nephew, Inc. Wound therapy system with related methods therefor
MX2010013132A (es) 2008-05-30 2010-12-20 Kci Licensing Inc Sistemas de presion reducida para el tratamiento de heridas lineales.
MX2010013068A (es) 2008-05-30 2010-12-21 Kci Licensing Inc Soportes y sistemas de compresion de presion reducida para el cierre de heridas lineales.
US8827983B2 (en) 2008-08-21 2014-09-09 Smith & Nephew, Inc. Sensor with electrical contact protection for use in fluid collection canister and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including same
GB0900423D0 (en) 2009-01-12 2009-02-11 Smith & Nephew Negative pressure device
EP2419157A4 (en) 2009-04-17 2018-01-03 Kalypto Medical, In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
US20100324516A1 (en) 2009-06-18 2010-12-23 Tyco Healthcare Group Lp Apparatus for Vacuum Bridging and/or Exudate Collection
WO2011043863A2 (en) 2009-08-13 2011-04-14 Michael Simms Shuler Methods and dressing systems for promoting healing of injured tissue
EP2515961B1 (en) 2009-12-22 2019-04-17 Smith & Nephew, Inc. Apparatuse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US8469935B2 (en) * 2010-03-11 2013-06-25 Kci Licensing, Inc. Abdominal treatment systems,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US9061095B2 (en) 2010-04-27 2015-06-23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use
US8623047B2 (en) 2010-04-30 2014-01-07 Kci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an incisional wound
USRE48117E1 (en) 2010-05-07 2020-07-28 Smith & Nephew,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GB201011173D0 (en) * 2010-07-02 2010-08-18 Smith & Nephew Provision of wound filler
US20120197229A1 (en) * 2010-08-04 2012-08-02 Kalypto Medical, Inc. Sacral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wound therapy device
CA2808591C (en) * 2010-08-18 2018-11-13 Kci Licensing, Inc. Reduced-pressure, multi-orientation, liquid-collection canister
AU2011333538C1 (en) 2010-11-25 2015-07-30 Bluestar Silicones France Sas Composition I-II and products and uses thereof
GB201020005D0 (en) 2010-11-25 2011-01-12 Smith & Nephew Composition 1-1
USD714433S1 (en) 2010-12-22 2014-09-30 Smith & Nephew, Inc. Suction adapter
US9050398B2 (en) 2010-12-22 2015-06-09 Smith & Nephew,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CN106974683B (zh) 2011-02-04 2020-02-21 马萨诸塞州大学 负压伤口闭合装置
US9421132B2 (en) 2011-02-04 2016-08-23 University Of Massachusetts Negative pressure wound closure device
US9302034B2 (en) 2011-04-04 2016-04-05 Smith & Nephew, In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ressing
US20120253302A1 (en) * 2011-04-04 2012-10-04 Tyco Healthcare Group Lp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ressing
ITBO20110296A1 (it) * 2011-05-24 2012-11-25 Met S R L Dispositivo a pressione negativa per la cura delle ferite
US9058634B2 (en) 2011-05-24 2015-06-16 Kalypto Medical, Inc. Method for providing a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pump device
CA2837181A1 (en) 2011-05-24 2012-11-29 Kalypto Medical, Inc. Device with controller and pump modules for providing negative pressure for wound therapy
US9067003B2 (en) 2011-05-26 2015-06-30 Kalypto Medical, Inc. Method for providing negative pressure to a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bandage
US9393354B2 (en) 2011-11-01 2016-07-19 J&M Shuler Medical, Inc. Mechanical wound therapy for sub-atmospheric wound care system
US20150159066A1 (en) 2011-11-25 2015-06-11 Smith & Nephew Plc Composition, apparatus, kit and method and uses thereof
CA2874396A1 (en) 2012-05-22 2014-01-23 Smith & Nephew Plc Wound closure device
WO2013175310A2 (en) 2012-05-22 2013-11-28 Smith & Nephew P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wound therapy
CA2874581C (en) 2012-05-24 2022-06-07 Smith & Nephew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 closing wounds with negative pressure
AU2013290346B2 (en) 2012-07-16 2018-06-07 Smith & Nephew, Inc. Negative pressure wound closure device
JP6392781B2 (ja) * 2013-01-16 2018-09-19 ケーシーアイ ライセンシ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陰圧閉鎖療法用の非対称性の吸収性コアを備えるドレッシング
EP2968016B1 (en) 2013-03-13 2018-07-11 Smith&Nephew, Inc. Negative pressure wound closure device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in treating wounds with negative pressure
US10159771B2 (en) 2013-03-14 2018-12-25 Smith & Nephew Plc Compressible wound filler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in treating wounds with negative pressure
US20160120706A1 (en) 2013-03-15 2016-05-05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sealant and use thereof
US8893721B2 (en) 2013-03-15 2014-11-25 Futrell Medical Corporation Surgical drape with vapor evacuation
CA2910854A1 (en) 2013-05-10 2014-11-20 Smith & Nephew Plc Fluidic connector for irrigation and aspiration of wounds
JP6723917B2 (ja) 2013-10-21 2020-07-15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陰圧創傷閉鎖デバイス
US10052416B2 (en) 2014-01-07 2018-08-21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Enterocutaneous fistula treatment
JP6742908B2 (ja) 2014-01-21 2020-08-19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Smith & Nephew Public Limited Company 潰すことが可能な陰圧創傷治療用被覆材
US10485707B2 (en) 2014-02-14 2019-11-26 Atomic Medical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healing
US10744239B2 (en) 2014-07-31 2020-08-18 Smith & Nephew, Inc. Leak detection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CN104815358B (zh) * 2015-04-23 2018-06-12 广州新诚生物科技有限公司 可实现自循环的负压引流系统
EP3288509B1 (en) 2015-04-29 2022-06-29 Smith & Nephew, Inc Negative pressure wound closure device
US10583228B2 (en) 2015-07-28 2020-03-10 J&M Shuler Medical, Inc. Sub-atmospheric wound therapy systems and methods
US10814049B2 (en) 2015-12-15 2020-10-27 University Of Massachusetts Negative pressure wound closure devices and methods
US10575991B2 (en) 2015-12-15 2020-03-03 University Of Massachusetts Negative pressure wound closure devices and methods
US11471586B2 (en) 2015-12-15 2022-10-18 University Of Massachusetts Negative pressure wound closure devices and methods
WO2018009873A1 (en) * 2016-07-08 2018-01-11 Convatec Technologies Inc. Fluid collection apparatus
EP3612242A1 (en) 2017-04-19 2020-02-26 Smith & Nephew, In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canisters
WO2019050855A1 (en) * 2017-09-05 2019-03-14 Kci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LIGHT-DE-ACTIVATED DEACTIVATION OF ADHESIVE OPERATIVE FIELDS DEACTIVATED BY LIGHT
US20200261276A1 (en) * 2017-11-08 2020-08-20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ost-Operative Hybrid Dressing To Optimize Skin-Grafting Procedures In Reconstructive Surgery
WO2019139806A1 (en) * 2018-01-09 2019-07-18 Kci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a wearable therapy system to a dressing
GB201811449D0 (en) 2018-07-12 2018-08-29 Smith & Nephew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EP3823573B1 (en) * 2018-07-18 2022-03-30 KCI Licensing, Inc. Systems for light deactivation and removal of light deactivated adhesive drapes
US20220111138A1 (en) * 2018-09-12 2022-04-14 Kci Licensing, In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gative-pressure treatment with reduced tissue in-growth
RU2734442C2 (ru) * 2018-10-02 2020-10-1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ИТ МЕДИКАЛ"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инфицированных и гнойных ран
RU2720831C1 (ru) * 2019-05-31 2020-05-13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 краевая клиническая больница N 1 имени профессора С.В. Очаповск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Краснодарского края (ГБУЗ "НИИ-ККБ N 1 им. проф. Очаповского" Минздрава Краснодарского края) Способ наложения вакуумной повязки
US11160917B2 (en) 2020-01-22 2021-11-02 J&M Shuler Medical In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barrier
US11504457B2 (en) * 2020-01-29 2022-11-22 Travis L. Perry Wound irrigation system
WO2022245337A1 (en) * 2021-05-18 2022-11-24 Goller Stacey Vacuum sealed bandage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4754A (ko) 1918-04-18
US2280915A (en) 1941-04-03 1942-04-28 John H Johnson Device for irrigating and treating wounds
GB641061A (en) 1947-09-06 1950-08-02 James Donald Maclaurin Improvements in method of treating wounds
FR1163907A (fr) 1956-10-25 1958-10-02 Appareils pour soins cutanés
GB1224009A (en) 1968-07-25 1971-03-03 Beiersdorf Ag Wound dressings
US3624821A (en) 1969-09-17 1971-11-30 Stanford A Henderson Suction pump
US3874387A (en) 1972-07-05 1975-04-01 Pasquale P Barbieri Valved hemostatic pressure cap
US3993080A (en) 1974-03-01 1976-11-23 Loseff Herbert S Suction tube and retrograde flushing for wounds, body cavities and the like
ZA762197B (en) 1975-04-15 1977-04-27 Int Paper Co Fluid evacuator
US4058123A (en) 1975-10-01 1977-11-15 International Paper Company Combined irrigator and evacuator for closed wounds
GB1549756A (en) 1977-03-10 1979-08-08 Everett W Wound irrigating device
US4184510A (en) 1977-03-15 1980-01-22 Fibra-Sonics, Inc. Valued device for controlling vacuum in surgery
US4180074A (en) 1977-03-15 1979-12-25 Fibra-S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precise irrigation, aspiration, medication, ultrasonic power and dwell time to biotissue for surgery and treatment
US4178938A (en) 1977-06-24 1979-12-18 Au Anthony S Pressure control systems
US4181540A (en) * 1978-05-26 1980-01-01 Whirlpool Corporation Metal surface treatment method
US4224945A (en) 1978-08-30 1980-09-30 Jonathan Cohen Inflatable expansible surgical pressure dressing
GB2047543B (en) 1978-12-06 1983-04-20 Svedman Paul Device for treating tissues for example skin
US5328614A (en) * 1979-05-21 1994-07-12 Matsumura Kenneth N Methods and apparati for removing protein-bound molecules from body fluids
US4316466A (en) 1980-06-27 1982-02-23 Biomedics, Inc. Body fluid drainage device
US4465485A (en) 1981-03-06 1984-08-1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uction canister with unitary shut-off valve and filter features
SU1251912A1 (ru) 1983-04-27 1986-08-23 Горь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С.М.Кирова Способ лечени несформированных свищей
DE3321151C2 (de) 1983-06-11 1986-09-18 Walter Küsnacht Beck Vorrichtung zum Absaugen von Sekreten
US4778446A (en) 1983-07-14 1988-10-18 Squibb & Sons Inc Wound irrigation and/or drainage device
US4573965A (en) 1984-02-13 1986-03-04 Superior Plastic Products Corp. Device for draining wounds
JPS62279885A (ja) * 1986-05-27 1987-12-04 Naigai Kagaku Seihin Kk 過酸化水素含有廃水の処理方法
GB2195255B (en) 1986-09-30 1991-05-01 Vacutec Uk Limited Apparatus for vacuum treatment of an epidermal surface
WO1988005319A1 (en) 1987-01-20 1988-07-28 Medinorm Aktiengesellschaft Medizintechnische Prod Wound fluid aspirating device
US5176663A (en) 1987-12-02 1993-01-05 Pal Svedman Dressing having pad with compressibility limiting elements
US4921488A (en) 1988-01-15 1990-05-01 Maitz Carlos A Aspirator device for body fluids
US5261893A (en) 1989-04-03 1993-11-16 Zamierowski David S Fastening system and method
US5100396A (en) 1989-04-03 1992-03-31 Zamierowski David S Fluidic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US4969880A (en) 1989-04-03 1990-11-13 Zamierowski David S Wound dressing and treatment method
US5358494A (en) 1989-07-11 1994-10-25 Svedman Paul Irrigation dressing
DE3935818A1 (de) 1989-10-27 1991-05-02 Wolfgang Dr Neher Vorrichtung zur reinigung infizierter und schlecht heilender ulcera cruris (unterschenkelgeschwuere) und anderer wunden im koerperbereich
US5152757A (en) 1989-12-14 1992-10-06 Brigham And Women's Hospital System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wounds
US5055198A (en) 1990-03-07 1991-10-08 Shettigar U Ramakrishna Autologous blood recovery membrane system and method
DE4012232A1 (de) 1990-04-14 1991-10-17 Franz Josef Gross Redon- bzw. instillationsverband, insbesondere zur behandlung tieferer und fibrinoes eitriger wunden
AU658845B2 (en) 1990-08-20 1995-05-04 Abbott Laboratories Medical drug formulation and delivery system
DE4102684A1 (de) 1991-01-30 1992-08-06 Ionto Comed Gmbh Geraet zur hautbehandlung
US5645081A (en) 1991-11-14 1997-07-08 Wake Forest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tissue damage and apparatus for same
US5636643A (en) * 1991-11-14 1997-06-10 Wake Forest University Wound treatment employing reduced pressure
US7198046B1 (en) 1991-11-14 2007-04-03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Wound treatment employing reduced pressure
EP0648264A4 (en) 1992-06-03 1997-10-01 Univ Case Western Reserve BANDAGE ALLOWING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ORGANIC PRODUCTS.
US6465708B1 (en) 1992-06-19 2002-10-15 Augustine Medical, Inc. Covering
US6406448B1 (en) 1992-06-19 2002-06-18 Augustine Medical, Inc. Normothermic heater covering for tissue treatment
US5678564A (en) 1992-08-07 1997-10-21 Bristol Myers Squibb Liquid removal system
ATE187652T1 (de) 1992-11-06 2000-01-15 Grieshaber & Co Ag Ophthalmologisches aspirations- und irrigationssystem
GB2272645B8 (en) 1992-11-23 2010-02-10 Johnson & Johnson Medical Wound dressing
US5380280A (en) 1993-11-12 1995-01-10 Peterson; Erik W. Aspiration system having pressure-controlled and flow-controlled modes
US5549584A (en) 1994-02-14 1996-08-27 The Kendall Company Apparatus for removing fluid from a wound
US5489304A (en) 1994-04-19 1996-02-06 Brigham & Women's Hospital Method of skin regeneration using a collagen-glycosaminoglycan matrix and cultured epithelial autograft
WO1996005873A1 (en) 1994-08-22 1996-02-29 Kinetic Concepts Inc. Wound drainage equipment
EP0717970A1 (de) 1994-12-20 1996-06-26 GRIESHABER &amp; CO. AG SCHAFFHAUSEN Opthalmologische Aspirations- und Irrigations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US5830176A (en) 1995-12-26 1998-11-03 Mackool; Richard J. Maintenance of pressure within a surgical site during a surgical procedure
ATE250912T1 (de) 1997-05-27 2003-10-15 Wilhelm Dr Med Fleischmann Vorrichtung zur applikation von wirkstoffen an einer wundoberfläche
US7759538B2 (en) 1997-05-27 2010-07-20 Wilhelm Fleischmann Process and device for application of active substances to a wound surface
DE19722075C1 (de) 1997-05-27 1998-10-01 Wilhelm Dr Med Fleischmann Vorrichtung zur Applikation von Wirkstoffen an einer Wundoberfläche
US20080199513A1 (en) 1997-06-24 2008-08-21 Cascade Medical Enterpris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ing autologous fibrin glue
US6458109B1 (en) 1998-08-07 2002-10-01 Hill-Rom Services, Inc. Wound treatment apparatus
DE19844355A1 (de) 1998-09-28 2000-04-06 Rainer E Sachse Wundverband mit integrierter Saugvorrichtung
US6254567B1 (en) 1999-02-26 2001-07-03 Nxstage Medical, Inc. Flow-through peritoneal dialysis systems and methods with on-line dialysis solution regeneration
WO2000059424A1 (en) 1999-04-02 2000-10-12 Kinetic Concepts, Inc. Vacuum assisted closure system with provision for introduction of agent
US20070014837A1 (en) 1999-04-02 2007-01-18 Kci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agent in combination with subatmospheric pressure tissue treatment
US6695823B1 (en) 1999-04-09 2004-02-24 Kci Licensing, Inc. Wound therapy device
GB9927952D0 (en) 1999-11-26 2000-01-26 Caldwell Kenneth A ventilation apparatus
US6824533B2 (en) 2000-11-29 2004-11-30 Hill-Rom Services, Inc. Wound treatment apparatus
CA2390131C (en) 1999-11-29 2009-06-23 Hill-Rom Services, Inc. Wound treatment apparatus
US6794554B2 (en) 2000-02-01 2004-09-21 Ferris Pharmaceuticals, Inc. Wound packing material
US6626827B1 (en) 2000-09-01 2003-09-30 C. R. Bard, Inc. Fluid management assembly for use in endoscopic procedures
JP2001314479A (ja) 2000-05-08 2001-11-13 Terumo Corp 創傷面洗浄活性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創傷面洗浄活性化システム
IL137689A0 (en) 2000-08-03 2001-10-31 L R Res & Dev Ltd System for enhanced chemical debridement
US7144729B2 (en) 2000-09-01 2006-12-05 Dfb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issue regeneration
US6660306B2 (en) 2000-10-12 2003-12-09 Mickey L. Peshoff Wound healing compound
US6855135B2 (en) 2000-11-29 2005-02-15 Hill-Rom Services, Inc. Vacuum therapy and cleansing dressing for wounds
US6685681B2 (en) 2000-11-29 2004-02-03 Hill-Rom Services, Inc. Vacuum therapy and cleansing dressing for wounds
US6695824B2 (en) 2001-04-16 2004-02-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Wound dressing system
US7645269B2 (en) 2001-04-30 2010-01-12 Kci Licensing, Inc. Gradient wound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7108683B2 (en) 2001-04-30 2006-09-19 Kci Licensing, Inc Wound therapy and tissu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ith fluid differentiation
AU2002315027A1 (en) 2001-05-15 2002-11-25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micro-mechanical forces to tissues
GB0115054D0 (en) 2001-06-20 2001-08-15 Recuperatio Ltd Fluid transfer device
US20030021775A1 (en) 2001-07-27 2003-01-30 Ramot University Authority For Applied Research & Industrial Development Ltd. Device for and method of controlled enzymatic removal and retrieval of tissue
US6906036B2 (en) 2001-08-16 2005-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aging and wound healing compounds
US20030134332A1 (en) 2001-11-28 2003-07-17 Boykin Joseph V. Diagnosis of endothelial dysfunction by nitric oxide bioactivity index
CA2468307A1 (en) 2001-12-26 2003-07-17 Hill-Rom Services, Inc. Vacuum bandage packing
EP2623138B1 (en) 2001-12-26 2020-08-05 KCI Licensing, Inc. Vented vacuum bandage with irrigation for wound healing and method
WO2003074100A1 (fr) 2002-03-04 2003-09-12 New X-National Technology K.K. Systeme de culture cellulaire ferme
US20030225347A1 (en) 2002-06-03 2003-12-04 Argenta Louis C. Directed tissue growth employing reduced pressure
AU2003272310A1 (en) * 2002-09-11 2004-04-30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Ultrafiltration membrane, device, bioartificial organ and methods
US6979324B2 (en) 2002-09-13 2005-12-27 Neogen Technologies, Inc. Closed wound drainage system
US7625362B2 (en) 2003-09-16 2009-12-01 Boehringer Technologies, L.P. Apparatus and method for suction-assisted wound healing
GB0224986D0 (en) 2002-10-28 2002-12-04 Smith & Nephew Apparatus
US7361184B2 (en) 2003-09-08 2008-04-22 Joshi Ashok V Device and method for wound therapy
GB0325129D0 (en) 2003-10-28 2003-12-03 Smith & Nephew Apparatus in situ
GB0325120D0 (en) * 2003-10-28 2003-12-03 Smith & Nephew Apparatus with actives
US8758313B2 (en) 2003-10-28 2014-06-24 Smith & Nephew Plc Apparatus and method for wound cleansing with actives
GB0518826D0 (en) 2005-09-15 2005-10-26 Smith & Nephew Apparatus with actives from tissue - exudialysis
GB0325126D0 (en) 2003-10-28 2003-12-03 Smith & Nephew Apparatus with heat
GB0409443D0 (en) 2004-04-28 2004-06-02 Smith & Nephew Apparatus
GB0325130D0 (en) * 2003-10-28 2003-12-03 Smith & Nephew Apparatus with scaffold
GB0518825D0 (en) 2005-09-15 2005-10-26 Smith & Nephew Apparatus with actives from tissue - sai
US7753894B2 (en) 2004-04-27 2010-07-13 Smith & Nephew Plc Wound cleansing apparatus with stress
GB0508531D0 (en) 2005-04-27 2005-06-01 Smith & Nephew Sai with ultrasound
GB0409446D0 (en) 2004-04-28 2004-06-02 Smith & Nephew Apparatus
GB0508529D0 (en) 2005-04-27 2005-06-01 Smith & Nephew Sai with microstress
GB0424046D0 (en) 2004-10-29 2004-12-01 Smith & Nephew Apparatus
GB0409444D0 (en) 2004-04-28 2004-06-02 Smith & Nephew Apparatus
GB0508528D0 (en) 2005-04-27 2005-06-01 Smith & Nephew SAI with macrostress
US8529548B2 (en) 2004-04-27 2013-09-10 Smith & Nephew Plc Woun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A2574927A1 (en) 2004-07-26 2006-02-09 Kci Licensing, Inc. Method for coating substrate with antimicrobial agent and product formed thereby
EP1625885A1 (en) 2004-08-11 2006-02-15 Vlaamse Instelling Voor Technologisch Onderzoek (Vito) Integrated permeate channel membrane
US7503910B2 (en) 2006-02-01 2009-03-17 Carmeli Adahan Suctioning system, method and kit
US20070141228A1 (en) * 2005-12-15 2007-06-21 Mary Anne's Speciality Foods, Inc. Substantially sodium nitrate/nitrite free pork product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7511500B2 (en) * 2006-02-27 2009-03-31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Detecting quadrupole resonance signals using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resonators
US20070219585A1 (en) 2006-03-14 2007-09-20 Cornet Douglas A System for administering reduced pressure treatment having a manifold with a primary flow passage and a blockage prevention member
US8338402B2 (en) 2006-05-12 2012-12-25 Smith & Nephew Plc Scaffold
CA2655557A1 (en) 2006-06-14 2007-12-21 Novabay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treatment of wound using aganocides
US7701803B2 (en) * 2006-07-07 2010-04-20 Westerngeco L.L.C. Underwater acoustic positioning methods and systems based on modulated acoustic signals
EP2059204A4 (en) 2006-07-07 2010-12-01 Boehringer Technologies Lp IMPROVING GROWTH STIMULATING WITH ENHANCED CONTACT SURFACES
US8212100B2 (en) 2006-08-04 2012-07-03 Quandra Innovations International,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nd treating a traumatic wound
US20080069855A1 (en) 2006-08-21 2008-03-20 Bonutti Peter M Method of inhibiting the formation of adhesions and scar tissue and reducing blood loss
US8652086B2 (en) 2006-09-08 2014-02-18 Abbott Medical Op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and flow rate control
US8465467B2 (en) 2006-09-14 2013-06-18 Novartis Ag Method of controlling an irrigation/aspiration system
US20080091133A1 (en) 2006-10-12 2008-04-17 Jean Paul Matter Bandage with controlled environment
EP2438935B1 (en) 2006-10-13 2014-01-15 BlueSky Medical Group Incorporated Pressure control of a medical vacuum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802399B (en) 2009-02-25
US8162909B2 (en) 2012-04-24
JP2009508549A (ja) 2009-03-05
AU2006290491B2 (en) 2012-02-23
CA2622628A1 (en) 2007-03-22
US20090204084A1 (en) 2009-08-13
CN101304779A (zh) 2008-11-12
WO2007031757A1 (en) 2007-03-22
GB0518804D0 (en) 2005-10-26
AU2006290491A1 (en) 2007-03-22
EP1933925A1 (en)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6207A (ko) 장치
JP5031750B2 (ja) 組織からの活性物質を伴う装置
AU2006290496B2 (en) Apparatus with actives from tissue
JP4704436B2 (ja) 装置
US8882746B2 (en) Wound cleansing apparatus with scaffold
JP4728247B2 (ja) 活性成分を用いる創傷洗浄装置
US87583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ound cleansing with actives
KR20070122546A (ko) 창상 치료 기기 및 방법
US112984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ound cleansing with ac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