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4807A -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4807A
KR20080054807A KR1020060127389A KR20060127389A KR20080054807A KR 20080054807 A KR20080054807 A KR 20080054807A KR 1020060127389 A KR1020060127389 A KR 1020060127389A KR 20060127389 A KR20060127389 A KR 20060127389A KR 20080054807 A KR20080054807 A KR 20080054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olar cell
semiconductor substrate
passivation layer
conductive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220B1 (ko
Inventor
박현정
김성진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12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220B1/ko
Priority to US12/519,027 priority patent/US20100059114A1/en
Priority to PCT/KR2007/003332 priority patent/WO2008072828A1/en
Priority to CN2007800460060A priority patent/CN101611497B/zh
Priority to EP07768670.7A priority patent/EP2095430B1/en
Priority to TW096147691A priority patent/TWI355752B/zh
Publication of KR2008005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168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the coatings being antireflective or having enhancing optical properties for th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6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omojunction type, e.g. bulk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or thin film polycrystalline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6Particular post-treatment for the devices, e.g. annealing, impurity gettering, short-circuit elimination, recrystallisation
    • H01L31/1868Passiv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는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반대 도전형을 가지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의 계면에 형성된 p-n 접합으로 이루어진 p-n 구조; 상기 제2 도전형의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고,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굴절률이 1.45~1.70인 부동층; 상기 부동층 상에 형성되고, 실리콘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사방지막; 상기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전면전극;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면전극과 반대측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후면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부동층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반사방지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이중막을 포함함으로써, 빛에 대한 반사율이 감소되고 반사방지막에 의한 물성 저하가 없으며 증가된 FF를 가져 향상된 광전변환효율을 갖는다. 또한, 상기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층은 in-situ로써 연속 형성이 가능하여 생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태양전지, 광기전력효과, 반도체, p-n 접합, 반사방지막, 광전변환효율

Description

태양전지{Solar cell}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태양전지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태양전지에 대하여 Dark I-V 데이터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선된 반사방지막 구조를 가짐으로써 태양광에 대한 반사율이 감소됨과 동시에 FF 값이 증가하여, 광전 변환효율이 우수한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 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는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없어 특히 주목 받고 있다. 태양전지에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열 전지와,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빛(photons)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전지가 있으며, 태양전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태양광 전지(이하 태양전지라 한다)를 일컫는다.
태양전지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태양전지는 다이오드와 같이 p형 반도체(101)와 n형 반도체(102)의 접합 구조를 가지며, 태양전지에 빛이 입사되면 빛과 태양전지의 반도체를 구성하는 물질과의 상호 작용으로 (-) 전하를 띤 전자와 전자가 빠져나가 (+) 전하를 띤 정공이 발생하여 이들이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를 광기전력효과(光起電力效果, photovoltaic effect)라 하는데, 태양전지를 구성하는 p형(101) 및 n형 반도체(102) 중 전자는 n형 반도체(102) 쪽으로, 정공은 p형 반도체(101) 쪽으로 끌어 당겨져 각각 n형 반도체(101) 및 p형 반도체(102)와 접합된 전극(103, 104)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전극(103, 104)들을 전선으로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므로 전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의 출력특성은 일반적으로 솔라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출력전류전압곡선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되고, 이 곡선 상에서 출력전류 Ip와 출력전압 Vp의 곱 Ip×Vp가 최대가 되는 점을 최대출력 Pm이라 부르고, 상기 Pm을 태양전지로 입사하는 총광에너지(S×I: S는 소자면적, I는 태양전지에 조사되는 광의 강도)로 나눈 값을 변환효율 η로 정의한다. 변환효율 η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락전류 Isc(전류전압곡선 상에서 V=0일 때의 출력전류) 또는 개방전압 Voc(전류전압곡선 상에서 I=0일 때의 출력전압)를 높이거나 출력전류전압곡선의 각형에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FF(fill factor)를 높여야 한다. FF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출력전류전압곡선이 이상적인 각형에 근접하게 되고, 변환효율 η도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주로 Isc는 태양전지의 그에 조사되는 빛에 대한 흡수율 또는 반사율에, Voc는 캐리어(전자와 정공)의 재결합 정도에, FF는 n형 및 p형 반도체 내 또는 이들과 전극 사이에서의 저항에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은 단락전류와 관련되는 태양광에 대한 반사도를 낮춤과 동시에 FF 값과 관련되는 션트 저항(shunt resistance)을 높여, 단락전류, FF 값 및 변환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빛의 반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반사방지층을 사용하거나, 전극단자를 형성할 때 태양빛을 가리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 중에서도 높은 반사율을 구연할 수 있는 반사방지층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현재,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반사방지막을 태양전지 전면의 에미터 위에 형성하여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3-0079265호에서는 부동층으로서 단결정 실리콘과 반사방지막으로서 실리콘나이트라이드의 이중막 구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모두 반사도 감소로 전류특성은 향상되었으나, 반사방지막의 도펀트들이 반도체층으로 이동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FF 에서는 특별한 상승 효과가 없어, 소망하는 정도의 효율 상승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에, 태양전지의 빛에 대한 반사율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반사방지막에 의한물성 저하를 방지하고, FF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관련 분야에서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사용되어온 태양전지의 반사방지막 구조를 개선하여, 태양전지의 빛에 대한 반사율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반사방지막에 의한 물성 저하를 방지하고 FF를 증가시켜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반대 도전형을 가지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의 계면에 형성된 p-n 접합으로 이루어진 p-n 구조; 상기 제2 도전형의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고,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굴절률이 1.45~1.70인 부동층; 상기 부동층 상에 형성되고, 실리콘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사방지막; 상기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전면전극;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면전극과 반 대측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후면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1.9 ~2.3 의 굴절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부동층은 10 ~ 50 n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반사방지막은 50 ~100 n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은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은 p형 실리콘 기판이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n형 이미터층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상기 후면전극의 계면에는 p+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전지는 p-n 구조, 부동층(205), 반사방지막(206), 전면전극(203) 및 후면전극(2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p-n 구조는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201),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201)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201)과 반대 도전형을 가지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202)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201)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202) 사이의 계면에 형성되는 p-n 접합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빛을 받아 광기전력효과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킨다. 대표적으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 판(201)은, 예를 들어 B, Ga, In 등의 3족 원소들이 도핑되어 있는 p형 실리콘 기판이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202)은, 예를 들어 P, As, Sb 등의 5족 원소들이 도핑되어 있는 n형 이미터층으로, 상기 p형 실리콘 기판과 n형 이미터층이 접하여 p-n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p-n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n 구조의 제2 도전형 반도체층(202) 상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로 이루어지는 부동층(205)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로 이루어지는 반사방지막(206)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즉, 제2 도전형 반도체층(202) 위에 부동층(205)이, 부동층(205) 위에 반사방지막(206)이 형성된다. 상기 부동층(205)과 반사방지막(206)위에 형성된 전면전극(203)은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205, 206)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제 2 도전형 반도체층(202)의 일부분과 연결된다. 이러한 이중 막(205, 206) 구조는 태양전지로 조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부동층으로 반도체 표면에서의 케리어(carrier)들의 재결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동층은 그 굴절률이 최적화되어 FF 값을 증가시켜 광전변환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부동층의 굴절률은 1.45~1.70이다. 부동층(205)의 굴절률에 대한 수치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로 만들 수 있는 가장 작은 굴절률이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실리콘나이트라이드의 특성이 우세하여 FF가 증가하는 효과가 없어진다.
상기 반사방지막(206)의 굴절률은 1.9 ~ 2.3 이 바람직하다. 반사방지막(206)의 굴절율에 대한 수치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로 만들수 있는 가장 작은 굴절률이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반사막 자체의 빛 흡수률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205, 206)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반사율를 고려할 때, 부동층(205)의 두께는 10 ~ 50 nm인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방지막(206)의 두께는 50 ~ 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동층(205)의 두께에 대한 수치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부동층(205)으로서의 기능을 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반사률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반사방지막(206)의 두께에 대한 수치한정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반사방지막으로서의 기능을 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부동층과 반사 방지막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서 전면 전극 형성 시 부동측과 반사 방지막을 관통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205, 206)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in-situ를 통한 연속 공정이 가능하도록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ECVD)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기상증착방법에 의하여 증착된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은 막 내부에 수소 원자들이 존재하여 실리콘 표면과 내부의 결함(defect)들을 부동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면전극(203)은,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205, 206)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제2 도전형 반도체층(202) 일부분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전극(204)은 상기 부동층(205)과 반사방지막(206)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201) 등을 사이에 두고 전면전극(203)과 반대측에, 제1 도전형 반도체 기 판(201)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들 전극(203, 204)에 부하를 연결하면 태양전지에서 발생한 전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전면전극(203)으로는 대표적으로 은 전극이 사용되는데 이는 은 전극이 전기전도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며, 후면전극(204)으로는 대표적으로 알루미늄 전극이 사용되는 이는 알루미늄 전극이 전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과의 친화력이 좋아서 접합이 잘 되기 때문이다. 또한, 알루미늄 전극은 3가 원소로서 실리콘 기판과의 접면에서 p+ 층, 즉 BSF(Back surface field)를 형성하여 캐리어들이 표면에서 사라지지 않고 모이도록 하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이것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201) 상에 그에 반대 도전형의 제2 도전형 반도체층(202)을 형성하여 그 계면에 p-n 접합을 형성한다.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201)으로는 대표적으로 p형 실리콘 기판이 이용되며, 예를 들어 p형 실리콘 기판에 n형 도펀트(dopant)를 도포한 후 열처리하여 n형 도펀트가 p형 실리콘 기판으로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p-n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도전형 반도체층(202) 상에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동층(205)을 형성한다. 부동층은 예를 들어 화학기상증착 및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부동층(205) 상에 실리콘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 사방지막(206)을 형성한다. 반사방지막 또한 화학기상증착 및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방법을 이용할 경우,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의 굴절률은 SiH4 , NH3, N2O 가스들의 상대적인 유량 비를 변화시킴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같은 SiH4 가스 유량에 (15 sccm) N2O/NH3 비율이 40일때 굴절률은 약 1.60이 되고, N2O/NH3 비율이 4가 될 때는 굴절률이 1.68로 커진다. 또한, 실리콘나이트라이드의 굴절률은 SiH4 와 NH3 가스들의 상대적인 유량 비를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SiH4/NH3 비율이 0.3일 때 굴절률은 약 1.90 이 되고, SiH4/NH3 비율이 1.2가 될 때는 굴절률이 약 2.1 로 커진다.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와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박막의 두께는 플라즈마 파워와 증착시간을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반사방지막(206) 상에 제2 도전형 반도체층(202)에 연결되는 전면전극(203)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20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면전극(203)과 반대측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201)과 연결되도록 후면전극(204)을 형성한다. 전면전극(203) 및 후면전극(204)은 예를 들어,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를 소정 패턴에 따라 도포한 후 열처리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열처리를 통해 전면전극(203)은 제1 및 제2 반사방지막(205, 206)을 뚫고 들어가 제2 도전형 반도체층(202)과 연결되게 되고(punch through), 후면전극과 제1 도전형 반도 체 기판(201)에는 BSF가 형성된다. 전면전극(203) 형성 및 후면전극(204) 형성은 그 순서를 바꾸어도 무방하며, 각각의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동시에 열처리함에 의해서도 역시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을 포함하는 구조의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반도체 기판으로는 Cz 모노 125×125cm2의 p형 실리콘 기판(0.5~2Ω)을 사용하였으며, 60Ω/sheet으로 n+ 에미터층을 형성하였다. Direct High Frequency(13.56MHz) PECVD를 이용하여, 상기 에미터층 위에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부동층(굴절률: 1.55, 두께: 30nm)을 형성하고, 상기 부동층 위에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반사방지막(굴절률: 1.90, 두께: 64nm)을 형성하였다. 상기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의 증착온도는 350℃이었다. 다음, 스크린 프린팅으로 반사방지막 위에 은 전극 패턴을 인쇄하고, 스크린 프린팅으로 반도체 기판의 에미터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면에 알루미늄 전극을 인쇄하고, 800℃에서 30초간 열처리하여 전면전극 및 후면전극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을 포함하는 구조의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반도체 기판으로는 Cz 모노 125×125cm2의 p형 실리콘 기판(0.5~2Ω)을 사용하였으며, 60Ω/sheet으로 n+ 에미터층을 형성하였다. Direct High Frequency(13.56MHz) PECVD를 이용하여, 상기 에미터층 위에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부동층(굴절률: 1.65, 두께: 25nm)을 형성하고, 상기 부동층 위에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반사방지막(굴절률: 1.90, 두께: 64nm)을 형성하였다. 상기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의 증착온도는 350℃이었다. 다음, 스크린 프린팅으로 반사방지막 위에 은 전극 패턴을 인쇄하고, 스크린 프린팅으로 반도체 기판의 에미터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면에 알루미늄 전극을 인쇄하고, 800℃에서 30초간 열처리하여 전면전극 및 후면전극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단일 반사방지막을 갖는 구조의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반도체 기판으로는 Cz 모노 125×125cm2의 p형 실리콘 기판(0.5~2Ω)을 사용하였으며, 60Ω/sheet으로 n+ 에미터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에미터층 위에 Direct High Frequency(13.56MHz) PECVD를 이용하여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반사방지막(굴절률: 2.10, 두께: 75nm)을 형성하였다. 반사방지막의 증착온도는 각각 350℃이었다. 다음, 스크린 프린팅으로 반사방지막 위에 은 전극 패턴을 인쇄하고, 스크린 프린 팅으로 반도체 기판의 에미터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면에 알루미늄 전극을 인쇄하고, 800℃에서 30초간 열처리하여 전면전극 및 후면전극을 형성하였다.
Dark I-V 데이터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태양전지의 Dark I-V 데이터를 측정한 결과를 도 3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태양전지의 Dark I-V 데이터는 태양전지에 빛을 비추지 않은 상태에서 전압을 가함으로써 p-n 다이오드 자체의 전기적 특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정션 리키지 전류(junction leakage 전류), 션트 저항(shunt resistance), 다이오드 아이디얼리티 팩터(diode ideality factor)들을 Dark I-V 커브에서 유추해 낼 수 있다. 도 3의 그래프에서, 저전압 범위(0~0.3V)에서의 전류 값을 비교해보면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의 이중막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 1의 태양전지가 비교예 1의 태양전지에 비해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의 태양전지가 비교예 1의 태양전지에 비해 션트 저항(shunt resistance)이 커서 태양 전지 내에서 형성된 전류가 태양전지 내부에서 사라지지 않고 전면전극과 후면전극을 통해서 흘러서 FF 값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보여준다.
광전변환효율 측정
솔라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따른 태양전지의 단락전류(Jsc), 개방전압(Voc), FF 및 광전변환효율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의 측정결과로부터, 실시예 1, 2의 태양전지는 비교예 1의 태양전지와 비교할 때, 개방전압 및 단락전류는 거의 유사하였고, 션트 저항(shunt resistance)의 증가로 FF 값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개방전압 및 단 락전류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이중막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다른 물성의 저하는 없음을 알 수 있다.
구분 단락전류(mA) 개방전압(V) FF(%) 효율(%)
실시예 1 32.7 0.620 79.0 16.0
실시예 2 32.2 0.616 79.0 15.7
비교예 1 32.4 0.618 78.4 15.7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부동층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반사방지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이중막을 포함함으로써, 빛에 대한 반사율을 감소되고 반사방지막에 의한 물성 저하가 없으며 증가된 FF를 가져 향상된 광전변환효율을 갖는다. 또한, 상기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및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층은 in-situ로써 연속 형성이 가능하여 생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반대 도전형을 가지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의 계면에 형성된 p-n 접합으로 이루어진 p-n 구조;
    상기 제2 도전형의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고,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굴절률이 1.45~1.70인 부동층;
    상기 부동층 상에 형성되고, 실리콘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사방지막;
    상기 부동층 및 반사방지막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전면전극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면전극과 반대측에,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후면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1.9 ~ 2.3 의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층은 10 ~ 50 n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50 ~ 100 n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층은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은 p형 실리콘 기판이고,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n형 이미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과 상기 후면전극의 계면에는 p+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KR1020060127389A 2006-12-13 2006-12-13 태양전지 KR10097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389A KR100974220B1 (ko) 2006-12-13 2006-12-13 태양전지
US12/519,027 US20100059114A1 (en) 2006-12-13 2007-07-10 Solar cell
PCT/KR2007/003332 WO2008072828A1 (en) 2006-12-13 2007-07-10 Solar cell
CN2007800460060A CN101611497B (zh) 2006-12-13 2007-07-10 太阳电池
EP07768670.7A EP2095430B1 (en) 2006-12-13 2007-07-10 Solar cell
TW096147691A TWI355752B (en) 2006-12-13 2007-12-13 Solar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389A KR100974220B1 (ko) 2006-12-13 2006-12-13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807A true KR20080054807A (ko) 2008-06-19
KR100974220B1 KR100974220B1 (ko) 2010-08-06

Family

ID=3951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389A KR100974220B1 (ko) 2006-12-13 2006-12-13 태양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59114A1 (ko)
EP (1) EP2095430B1 (ko)
KR (1) KR100974220B1 (ko)
CN (1) CN101611497B (ko)
TW (1) TWI355752B (ko)
WO (1) WO20080728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226B1 (ko) 2007-03-23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전체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후면 반사막 및 패시베이션층형성
KR101121438B1 (ko) * 2009-12-07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2558B (zh) * 2009-03-12 2013-01-11 Gintech Energy Corp 太陽能電池面板的製作方法
JP5334645B2 (ja) * 2009-03-31 2013-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可撓性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384224B2 (ja) * 2009-06-29 2014-01-08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
KR101076611B1 (ko) * 2009-09-16 2011-10-26 주식회사 신성홀딩스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DE102009044052A1 (de) * 2009-09-18 2011-03-24 Schott Solar Ag Kristalline Solarzell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arzellenmoduls
KR101054394B1 (ko) 2009-12-15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나노결정을 이용한 태양전지 모듈
US20110272024A1 (en) * 2010-04-13 2011-11-10 Applied Materials, Inc. MULTI-LAYER SiN FOR FUNCTIONAL AND OPTICAL GRADED ARC LAYERS ON CRYSTALLINE SOLAR CELLS
TWI419343B (zh) * 2010-07-20 2013-12-11 Nexpower Technology Corp 串疊型太陽能電池
KR101661768B1 (ko) * 2010-09-03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367467A (zh) * 2013-08-02 2013-10-23 浙江正泰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
CN103700714A (zh) * 2013-12-24 2014-04-02 江苏顺风光电科技有限公司 高效PID Free的太阳能单晶硅电池的钝化减反射膜
PT3321973T (pt) * 2016-11-09 2021-03-16 Meyer Burger Germany Ag Célula solar cristalina com uma camada transparente e condutora entre os contactos de lado dianteiro e procedimento para fabrico de uma tal célula solar
US10973569B2 (en) * 2017-09-22 2021-04-13 Covidien Lp Electrosurgical tissue sealing device with non-stick coating
AU2020328504A1 (en) 2019-08-09 2022-02-17 Leading Edge Equipment Technologies, Inc. Producing a ribbon or wafer with regions of low oxygen concentration
CN111668318B (zh) 2020-05-29 2021-09-24 晶科绿能(上海)管理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CN111668317B (zh) * 2020-05-29 2021-09-24 晶科绿能(上海)管理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CN114420768A (zh) * 2020-10-13 2022-04-29 意诚新能(苏州)科技有限公司 一种背面钝化膜、制备方法及晶硅太阳能电池
CN115036375B (zh) * 2021-02-23 2023-03-24 浙江晶科能源有限公司 太阳能电池及其制作方法、太阳能组件
CN117038744A (zh) * 2021-09-06 2023-11-10 上海晶科绿能企业管理有限公司 太阳能电池及光伏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4094A (en) * 1975-01-06 1979-03-13 Motorola, Inc. Radiation responsive current generating cell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H0691268B2 (ja) * 1985-03-28 1994-11-14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受光素子
DE3536299A1 (de) * 1985-10-11 1987-04-16 Nukem Gmbh Solarzelle aus silizium
JP2744847B2 (ja) * 1991-06-11 1998-04-28 エイエスイー・アメリカ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改良された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5907766A (en) * 1996-10-21 1999-05-25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Method of making a solar cell having improved anti-reflection passivation layer
TW419833B (en) * 1999-07-23 2001-01-21 Ind Tech Res Inst Manufacturing method of solar cell
AU8012000A (en) * 1999-10-08 2001-04-23 Diversified Panel Systems, Inc. Curtain wall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DE10152707B4 (de) * 2001-10-19 2004-08-26 Rwe Schott Sola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arzelle
JP2003197937A (ja) 2001-12-21 2003-07-11 Sharp Corp 太陽電池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色彩制御方法
JP2003229589A (ja) 2002-02-01 2003-08-15 Sharp Corp 太陽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太陽電池
KR100852700B1 (ko) * 2002-04-03 2008-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효율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FR2858816B1 (fr) * 2003-08-13 2006-11-17 Saint Gobain Substrat transparent comportant un revetement antireflet
FR2861853B1 (fr) * 2003-10-30 2006-02-24 Soitec Silicon On Insulator Substrat avec adaptation d'indice
KR20050087248A (ko) * 2004-02-26 2005-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층 반사방지막을 사용하는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7507629B2 (en) * 2004-09-10 2009-03-24 Gerald Lucovsky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an interfacial dielectric layer and related methods
US20060130891A1 (en) * 2004-10-29 2006-06-22 Carlson David E Back-contact photovoltaic cells
EP1949450B1 (en) * 2005-11-08 2015-01-21 LG Electronics Inc. Solar cell of high efficiency
KR100900443B1 (ko) * 2006-11-20 2009-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226B1 (ko) 2007-03-23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전체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후면 반사막 및 패시베이션층형성
US8658884B2 (en) 2007-03-23 2014-02-25 Lg Electronics Inc. Solar cell including backside reflection layer composed of high-K dielectrics
KR101121438B1 (ko) * 2009-12-07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72828A1 (en) 2008-06-19
CN101611497A (zh) 2009-12-23
US20100059114A1 (en) 2010-03-11
EP2095430A4 (en) 2012-09-26
TW200834945A (en) 2008-08-16
KR100974220B1 (ko) 2010-08-06
EP2095430A1 (en) 2009-09-02
TWI355752B (en) 2012-01-01
CN101611497B (zh) 2012-05-30
EP2095430B1 (en)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220B1 (ko) 태양전지
KR100900443B1 (ko)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9443B1 (ko) 이종접합 태양전지와 그 제조방법
KR100974226B1 (ko) 유전체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후면 반사막 및 패시베이션층형성
KR100850641B1 (ko) 고효율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350885B1 (ko) 태양 전지
Wilson et al. Amorphous-silicon mis solar cells
KR20120011337A (ko)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Pal et al. CV and IV characterisation of CdS/CdTe thin film solar cell using defect density model
KR102405082B1 (ko) 저온 소성 도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태양전지의 전극 제조 방법
US20120055542A1 (en) Photovoltaic cell
KR20110080663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23021B1 (ko)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태양전지
US11437537B2 (en) Perovskite-silicon tandem solar cell
US20120180855A1 (en) Photovoltaic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1223055B1 (ko)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태양전지
Sabbar et al. A fabricated solar cell from ZnO/a-Si/polymers
KR101264367B1 (ko) 투명 전도성 반사방지막을 갖는 광전 소자
KR20200033569A (ko) CuI 이중 박막 증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KR20080105268A (ko) 태양전지의 부동층 형성방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태양전지
Singh et al. Simulation study of Perovskite/Si Monolithic Multijunction Solar Cell
KR101372026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Goldbach et al. Bifacial silicon heterojunction solar cell with deposited back surface field
KR20080087337A (ko) Ibc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ibc형 태양전지
Kusian et al. A new double stacked a-Si: H solar cell having the structure pin/TCO/n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