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307A - 착족구 - Google Patents

착족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307A
KR20080053307A KR1020087006762A KR20087006762A KR20080053307A KR 20080053307 A KR20080053307 A KR 20080053307A KR 1020087006762 A KR1020087006762 A KR 1020087006762A KR 20087006762 A KR20087006762 A KR 20087006762A KR 20080053307 A KR20080053307 A KR 20080053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elastic
mat
fixing portion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799B1 (ko
Inventor
뮐러 칼
뮐러 마티아스
Original Assignee
기분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H01634/05A external-priority patent/CH698153B1/de
Priority claimed from CH00153/06A external-priority patent/CH698210B1/de
Priority claimed from CH15312006A external-priority patent/CH698389B1/de
Application filed by 기분 아게 filed Critical 기분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53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7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1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6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2Slide or glide fastenings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시 발의 형상에 적응하여 부드러운 보행 감을 주는 신개념의 기능성 착족구로서, 발의 윗부분을 감싸 고정시키는 상부 발 고정부, 및 상기 상부 발 고정부에 결합되어 발의 하부를 지지하는 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 지지부는 발바닥의 형상에 따라 탄력성 있고 변형 가능한 연질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매트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보행 시 누구나 부드러운 스폰지 매트 상에서 또는 부드러운 융단 같은 잔디밭 상에서 맨발로 걷는 느낌과 같이 처음부터 착용자에게 잘 적응되어 편안하면서도 보행 시 완전한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착족구, 탄성매트

Description

착족구{FOOTWEAR AS MAT-SOCKS}
본 발명은 보행 시 발의 형상에 적응하여 부드러운 보행감을 주는 신개념의 기능성 착족구에 관한 것이다.
풋웨어(Footwear) 내지 착족구로는 일반적으로 신발과 양말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적인 신발의 구조는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나, 크게 나누어 발의 윗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싸주며 외관 디자인과 신발형태를 유지해 주는 신발갑피(Upper part)와 밑창(Sole part)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시 밑창은 지면과 닿는 부분인 아웃솔(outsole), 아웃솔(outsole)과 텍션(texion)의 중간에 놓여지는 미드솔(midsole), 경질의 소재로 신발의 외형을 유지하며 신발갑피와 밑창의 연결부위가 되는 텍션(texion), 텍션에 있는 실밥이나 택(tack) 또는 못(nail)등을 감추기 위한 인솔(sock lining)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양말, 특히 발목 양말의 구조는 발의 윗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상부와 발의 밑부분을 감싸주는 바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보행감과 관련하여 신발구조에 있어 텍션과 아웃솔 사이 부분에 탄성체등을 삽입하거나, 미드솔을 탄성 있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보행이나 운동 시 체중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창안된 것이 있으나, 종래의 신발의 구조에 있어서 텍션은 여전히 신발갑피와 밑창의 연결부위가 되어 신발의 형태를 고정시켜 유지하고 미드솔 또는 미드솔에 삽입된 탄성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경질인 소재를 사용하며 부드럽고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종래의 신발은 근본적으로 보행 시 발의 형상에 적응하는 등의 보행 감의 측면에서 충분한 부드러운 느낌을 얻는 데는 한계가 있다.
종래 신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경질인 텍션의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인솔을 이용하여 보완하여 왔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여전히 인솔 하부의 경질인 텍션을 갖게 되므로 보행감 측면에서 충분한 부드러운 느낌을 얻는 데는 마찬가지로 한계가 있다.
또한, 발목 양말의 경우에도 바닥부에 이중 직포 등을 이용하여 일부 충격 완화 및 착용감 향상을 도모하고 있으나, 모두 신발의 착용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여전히 외부 보행 시 발의 형상에 적응하는 보행 감 측면에서 충분한 부드러운 느낌을 얻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체형 교정, 근 골격계 문제 개선 또는 예방, 및 재활 보조 등의 정형외과적 목적 내지 특정 근육의 강화 등 특정 부위 운동의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 기능성 신발의 경우에도, 일반적으로는 신발의 인솔에 의하여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유럽특허 공개번호 제0999764호 및 유럽특허 공개번호 제1124462호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형외과적 목적 내지 특정 부위 운동의 목적의 기능성 신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 있어서 발과 지면 사이에는 "하드-소프트-전이부"로 구성되는 형태를 규정하여, 보행 시 롤링 과정을 원하는 방식으로 강제하도록 이루어지거나, 보행 시 특정 근육에 추가적인 부하를 줌으로써 비로소 착용자에게 필요한 특정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신발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플레이트 바닥과 같은 평탄한 층 위에서 보행하지만, 예를 들어, 모래 사장이나 삼림 토양 또는 목초지와 같은 평탄하지 않은 야외에서 신발에 의해 보행하는 듯한 보행 감을 시뮬레이팅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신발은 여전히 경질의 텍션 내지 신발의 외형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경질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외부 보행 시 발의 형상에 적응하는 보행 감 측면에서 충분한 부드러운 느낌을 얻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성 신발은 궁극적으로 착용자에게 특정한 보행 방법 및 자세로 걷도록 강요하는 강제적인 요법으로 작용하여, 착용자는 단지 요구되는 근육 골격 등의 운동 기관을 사용하여 균형을 유지해야만 하며, 이와 같은 보행 방법 내지 보행 자세의 조절은 바닥 구조상 규정된 형태를 갖는 단단하거나 부드러운 삽입물이 사용되어 결정된다. 정형외과 의사들은 의도적으로 착용자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고 어떤 태도를 취해야만 하는지를 결정하며, 이에 따라 바닥 구조상 규정된 형태가 결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개인적인 증상에 적합하지는 않은 형태이거나, 부적절한 정형외과 의사의 진단으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잘못된 자세를 강요하게 될 위험이 있다.
종래의 기능성으로 사용되는 신발의 경우에도 정형외과적 목적 내지 특정 부위 운동의 목적을 위해서, 탁월한 효과를 가지도록 이용되기 위해서는 종종 신발들은 착용자의 개별적인 다양한 보행 방법 및 운동 기관의 개별적인 구조에 여러 번 적응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착용자가 잘못된 구조를 선택하거나 또는 정형외과 의사가 정확하지 않은 진단을 하게 되는 경우는 물론, 일반적인 경우에도 최초 착용 시 기능성 신발들은 안락하지 않고, 착용 시 힘이 들며, 드문 경우에는 완전히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는 착용자가 반드시 신발에 적응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물론 착용자가 어느 정도 신발에 맞추어 자신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가죽 및 천으로부터 간단한 제조 방식으로 제조된 신발 및 텍션에 있어서는 신발이 발의 형태 및 착용자의 보행 방식에 적응되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합성 재료인 섬유, 플라스틱 및 고무는 과거의 방식으로 연하게 하여 착용자의 발에 적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재료의 특성상 및 앞서 살핀 신발 등의 구조상 그 정도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재 실험적으로 착용자의 발에 안락감을 주고 최대한도로 자유도를 허용하는 것이 착용자의 동작 시퀀스에 의하여, 정형외과적 치유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연구 입증되어 있으며, 이는 정형화된 신발을 착용하는 도시인들보다 부드러 운 자연 지면 위에서 맨발로 다니는 오지 인들이 훨씬 더 건강한 운동기관을 유지하고 있다는 보고와도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신발의 외형유지를 위한 구성을 일부 또는 전부 포기하더라도 처음부터 착용자에게 잘 적응되어 편안하면서도 보행시 완전한 안락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발에 최대한도로 자유도를 허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풋웨어 내지 착족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신발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보행 시 누구나 부드러운 스폰지 매트 상에서 또는 부드러운 융단 같은 잔디밭 상에서 맨발로 걷는 느낌과 같이 처음부터 착용자에게 잘 적응되어 편안하면서도 보행 시 완전한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착족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착용자에 필요에 따라 보행 시 착용감 및 교정기능을 용이하게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착족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보행 시 완전한 안락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발에 최대한도로 자유도를 허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착족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착족구에 있어서, 발의 윗부분을 감싸 고정시키는 상부 발 고정부 및 상기 상부 발 고정부에 결합되어 발의 하부를 지지하는 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 지지부는 발바닥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한 연질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매트로 이루어 진다.
종래의 신발에 있어서는 경질의 텍션 내지 신발의 외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경질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던 반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보행 감의 향상을 위하여, 신발의 외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경질의 텍션 또는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의 외관 형태의 유지 측면을 일부 포기함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보행 감을 향상시켜 보행 시 완전한 안락감 즉, 부드러운 스폰지 매트 위 내지 부드러운 융단 같은 잔디밭 상에서 맨발로 걷는 겉과 같은 느낌을 주는 동시에, 발 바닥의 형상에 따라 발의 접촉부분이 적응되므로 발에 최대한도의 자유도를 줄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발 지지부는 상기 연질의 탄성매트의 외부 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며 상기 연질의 탄성매트를 고정시키는 외피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탄성매트를 보호하고 용이하게 수납,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부 발 고정부와 외피로 이루어지는 착족구의 외관 디자인 등을 그대로 두면서 탄성매트(또는 외피가 챔버를 형성하는 경우 챔버에 수납된 탄성체)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피의 외부 면에 형성되어 접지 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는 외피의 접지부분이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외피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접합될 수도 있으며, 외피의 접지부분의 일부 이상에 대한 코팅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피의 표면에는 내부의 탄성매트를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부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발 지지부를 상부 발 고정부에서 분리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탄성매트만을 인출 및 인입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외피가 발 고정부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상기 발 지지부가 상기 발 고정부에 고정 결합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외피 및 상부 발 고정부를 일부 변형하여, 이들의 결합부를 제공함으로써 탄성매트의 종류 및 형태에 제한됨이 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발 지지부를 발 고정부에 결합할 수 있으며, 발 지지부의 착탈이 가능하여 외피 내부의 연질의 탄성매트를 필요에 따라 교환 가능하게 한다. 물론,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외피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매트와 착탈 가능한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형태에 따라, 외피는 탄성매트의 제조 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생성되어 접착, 결합 등에 의하여 탄성매트와 견고히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피에는 외피 전체를 상부 발 고정부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탄성매트를 삽입 및 인출하여 교환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부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피는 탄성체를 수납하는 하나 이상의 챔버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챔버들에 다양한 탄성을 갖는 탄성체들을 수납함으로써, 착용자에 요구에 부합하는 보행 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 교체 가능하게 되어, 발 접촉부분에 따라, 탄성을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탄성매트가 탄성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획들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각각의 구획 별로 형상 및/또는 재질을 조정함으로써 착용자의 요구에 적응적으로 보행 시 착용감 및 교정기능을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매트를 이루는 탄성체로는 개방된 탄성체, 밀폐된 탄성체, 또는 양자 모두를 사용한다.
여기서 개방된 탄성체란 압력의 인가에 의하여 압착하여 공기를 방출하고 압력의 이완에 의하여 공기를 재충전함으로써, 탄성을 갖는 재료 내지 구조체, 즉 스폰지 또는 천연 내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폼(form)으로서 그 재료 자체나 구조에 의하여 그 내부에 공기를 갖는 형태로 탄성을 갖는 탄성체를 일컫는다.
상기와 같은 밀폐되지 않은 스폰지 또는 천연 내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폼(form)으로 그 재료 자체나 이들의 구조체 즉, 앞서 언급한 개방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탄성매트를 형성한 경우, 상기 재료나 구조체의 중간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압축 시 상부 발 고정부의 내부로 전달되어, 탄성체에 의한 부드러움 보행 감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압착 팽창 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으로 착용자는 일종의 발의 환기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밀폐된 탄성체란 예를 들면, 밀폐된 주머니에 충전물 예를 들면, 공기, 액체 또는 젤이 채워진 주머니 형태의 충전체나 고무와 같이 그 자체로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압력의 인가에 의하여 외부 형태가 변경될 뿐 공기의 유출입이 없는 탄성체를 일컫는다. 상기 주머니 형태의 충전체에는 밸브(미도시)가 제공되어 내부의 충전물을 방출 또는 재충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탄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매트가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고 상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방된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밀폐된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이중적 구성에 의하여 하부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탄성을 제공하도록 하면서도, 상부에서는 개방된 탄성체를 사용함으로써, 이완 수축 시 여기서 발생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보행 시 착족구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매트를 이루는 탄성체는 내부에 경질의 입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탄성매트를 이루는 연질의 탄성체에 있어서, 착용 시 급격히 압착되는 현상에 어느 정도 완충작용하며, 최대 압축된 경우에 딱딱한 지면의 느낌이 발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탄성체의 제조 시 삽입되는 경질의 입자의 수, 크기, 종류를 조절함으로써 압축 정도 및 최대압축 두께 등을 조절하여 착용감 내지 보행 감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발 지지부의 외부 면에 결합된 바닥부를 포함하여, 착족구의 탄성매트를 포함하는 발 지지부를 보호하고 발 접지 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바닥부는 접지면 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장되어 발의 전후 및/또는 좌우를 둘러쌈으로써, 부가적으로 발 지지부와 상부 발 고정부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거나, 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외부에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수행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부 발 고정부가 부드러운 재질로서 양말의 형상을 갖는다. 부드러운 재질로는 일반 양말과 같은 천연 및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직물뿐 만 아니라, 천연 또는 합성 라텍스 및 합성수지 등 착족구의 탈착이 가능할 정도의 신축성을 가진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부 발 고정부가 일반적인 양말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보행자는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신발에 비하여 착용감 및 부드러운 보행 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부 발 고정부는 직물 재질의 양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피와 발 상단부에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외피는 바느질 접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외피의 재질이 상부 발 고정부와 같은 직물 재질인 경우에는 특히, 직조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바느질 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하단에 수납공간을 갖는 2중 양말의 형태를 알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부 발 고정부와 외피의 결합부분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탄성매트를 인출하여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부 발 고정부의 형상은 단지 양말에 국한되지 않으며, 신발, 샌들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보행 시 누구나 부드러운 스폰지 매트 상에서 또는 부드러운 융단 같은 잔디밭 상에서 맨발로 걷는 느낌과 같이 처음부터 착용자에게 잘 적응되어 편안하면서도 보행 시 완전한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에 필요에 따라 보행 시 착용감 및 교정기능을 용이하게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착용자에게 보행 시 완전한 안락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발에 최대한도로 자유도를 허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착족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착족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착족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착족구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f 는 본 발명의 상부 발 고정부와 발 지지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 는 본 발명의 탄성매트, 외피, 바닥부의 구조 및 형성방법에 따라 발 지지부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 는 탄성매트가 구획 분할되어 형성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 및 도 8b 는 탄성매트가 구획 분할된 외피에 형성되는 챔버에 탄성체를 삽입함으로써 형성되는 경우의 외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 은 탄성매트의 탄성체에 삽입물 삽입 전후의 착용 시 압축 비 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상부 발 고정부 2...탄성매트
3...외피 4...지퍼
5...벨크로 6...바닥부
7...챔버 8...탄성입자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각 도면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도면과 관계없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착족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기본적으로는 발의 윗부분을 감싸 고정시키는 상부 발 고정부(1)와 상부 발 고정부(1)에 결합되어 발의 하부를 지지하는 발 지지부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는 발바닥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한 연질의 탄성매트(2)와 탄성매트(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결합되어 탄성매트(2)를 고정시키는 외피(3) 및 외피의 접지면에 형성된 미끄럼을 방지하는 바닥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일반 신발과는 달리 경질의 텍션 내지 신발의 외형유지를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보행 시 연질 의 탄성매트(2)의 느낌이 그대로 발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보행자는 안락감 예를 들면, 푹신한 스폰지, 양탄자, 또는 잔디밭을 맨발로 걷는 듯한 보행 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발 지지부의 접지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바닥부(미도시)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바닥부는 탄성매트(2) 또는 외피(3)의 재질 및 형상 또는 사용 장소에 따라 불필요한 경우 별도의 형성을 생략할 수 있으며, 생략되는 경우 탄성매트(2)가 자체로 발 지지부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외피(3)이 적용 되는 경우 외피 성형 시 일체로 생성되거나, 별도로 외피의 접지면에 부착할 수 도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미도시)가 상부로 연장되어 발 지지부를 상부 발 고정부에 결합 고정하거나, 보행 시 발을 착족구에 고정하도록 하는 결합 및 고정의 역할을 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질의 탄성매트(2)는 다양한 공지의 결합 방법,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한 접합, 바느질, 벨크로(찍찍이)결합, 지퍼결합, 똑닥이 단추 결합 등에 의하여 그 자체로서 상부 발 고정부(1)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탄성매트(2)에 외피(3)가 적용된 경우 외피의 결합부분에 의하여 앞서 언급한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부(미도시)가 연장되어 결합 될 수도 있다.
상부 발 고정부(1)는 부드러운 재질로, 용도에 따라, 양말, 고무장화, 운동화, 샌들, 슬리퍼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부드러운 고 무, 직물, 그물, 가죽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발 고정부에는 다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수의 투명 창을 형성하는 등 디자인상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탄성매트(2)는 연질의 탄성체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외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탄성체의 재료로는 크게 분류하여, 예를 들면, 밀폐되지 않은 스폰지, 폴리우레탄 폼 또는 천연 내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폼(form)으로, 그 재료 자체나 구조체에 의하여 그 내부에 공기를 갖는 형태로 탄성을 가지며, 압축 시 내부의 공기를 방출하고 이완 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는은 개방된 탄성체와, 충전물로서 상기 개방된 탄성체 또는 공기, 액체, 젤 등을 충전시킨 주머니 형상의 탄성체 또는 자체로도 압축 시 공기를 방출하지 않는 탄성체와 같이, 내부 조직에 포함된 공기 또는 유체가 압착 시에도 압력에 의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밀폐된 탄성체가 용도에 따라 하나 또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드러운 연질의 탄성체는 착족구의 착용시 탄성매트의 압축률이 50% 내지 90%로 되도록 재료 및 구조가 선택된다.
나아가, 상기 주머니 형태의 밀폐된 탄성체에는 밸브(미도시)가 제공되어 내부의 충전물을 방출 또는 재충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탄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탄성매트(2)의 평면 형상은 일반적으로는 상기 착족구의 바닥면 형상을 따르며, 그 두께는 발 지지부의 두께(바닥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탄성매트 자체의 두께)는 착용자의 체중 및 탄성체의 탄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드러운 연질의 탄성체는 착족구의 착용 시 탄성체의 압축률 이 50% 내지 90%로 되도록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의 경우 그 두께는 접지면에서 적어도 1 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아동용의 경우에는 상기 두께가 적어도 0.5 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3)는 상부 발 고정부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거나 상이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부드러우며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며, 주로 합성 내지 천연 직물 소재 또는 합성 또는 천연 라텍스, 폴리우레탄 등 다양한 탄력성 있는 소재를 사용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도1의 실시예와 같으므로 중첩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착족구는 일반적인 신발 내지 운동화의 형상을 갖는다. 발 지지부를 이루는 탄성매트(2)는 착용 전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신발 내지 운동화의 밑창 형상을 가지며, 착용시 압착되어 그 압축률이 50% 내지 90%로 되므로, 착용시에는 압착되어 그 형상이 사라지게 된다.
상부 발 고정부(1)는 일반적인 운동화의 형상을 갖는다. 그 재질로는 부드러운 고무, 직물, 그물, 가죽 등 다양한 연질의 재질이 사용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부 발 고정부(1)에 샌들의 형상이 적용된 경우의 실시예다.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도1의 실시예와 같으므로 중첩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샌들의 형상을 이루는 상부 발 고정부(1)는 접착, 바느질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발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발 지지부를 이루는 탄성매트(2)는 착용 전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신발 내지 운동화의 밑창 형상을 갖는다.
외피가 적용된 경우에는 외피의 표면에 견고히 결합되며, 샌들의 형상을 가지는 상부 발 고정부(1)와 발 지지부를 이루는 탄성매트(2)는 교체의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양말의 형태로 적용된 경우의 실시예다.
도 4(b) 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매트(2)를 교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발 고정부(1)과 발 지지부는 외관상 양말의 형상을 이루며, 상부 발 고정부(1)와 발 지지부의 사이에 탄성매트(2)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가져, 이 수납공간에 탄성매트(2)가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발 고정부의 재질로는 합성 또는 천연의 직물을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연질의 고무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부 발 고정부와 발지지부는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바느질 등의 방법을 통하여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발 고정부와 발지지부는 지퍼 등을 통하여 일부 또는 전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탈 시 탄성매트(2)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체적으로는 바느질에 의하여 결합하고 발 뒤꿈치 부분에 지퍼(4)를 장 착하여, 이 지퍼(4)를 열게 되면 도4(b)에서와 같이, 내부 수납 공간의 탄성매트(2)를 인출 또는 인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f 는 본 발명의 상부 발 고정부와 발 지지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 지지부(1)는 상기 연질의 탄성매트(2)의 외부 면의 일부 이상을 둘러싸며 상기 연질의 탄성매트(2)를 수납하여 고정시키는 외피(3)를 포함하는 경우로서, 이 외피의 일부를 통하여 상부 발 고정부와 발 지지부가 결합되는 경우이다. 외피는 탄성매트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결합구조에 있어 결합부분은 외피(3)의 연장된 부분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물론, 바닥부(미도시)이 연장된 부분일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부 발 고정부와 발 지지부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 는 발 지지부의 탄성매트의 외피(3)가 발 고정부에 접착 또는 바느질에 의하여 고정 결합됨으로써, 탄성매트를 포함하는 발 지지부가 발 고정부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외피(3)의 외부면에는 외피 전체를 상부 발 고정부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탄성매트를 삽입 및 인출하여 교환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부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퍼(4)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한 부분을 외피(3)의 발 뒤꿈치 부분에 형성하였으나, 착족구의 용도, 디자인등에 따라 어느 면에 설치하던지 무방할 것이다.
개폐 가능한 부분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가적으로 탄성의 탄성 체로 이루어지는 탄성매트(2)를 보호하고 용이하게 수납 고정시킬 수 있으며, 착족구의 외관 디자인 등을 그대로 두면서 탄성매트만을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도 5b 는 발 지지부의 외피(3)의 상부가 연장하여 발 고정부의 발등 부분을 덮어 고정함으로써 덧신의 형태로 발 지지부가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덧신의 형태의 외피를 벗김으로써, 상부 발 고정부와 발 지지부의 분리가 가능하고 분리 시 탄성매트(2)를 교환할 수 있으며, 상부 발 고정부만을 다른 것으로 교환하거나, 세탁할 수 있게 된다.
도 5c 는 외피(3)가 발등부위를 넘어 발목 부분까지 연장하여 고정함으로써 2중 양말의 형태로 발지지부가 고정 결합된 상태를 단면도로서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덧신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부 발 고정부로부터 외피를 벗김으로써, 상부 발 고정부와 발 지지부의 분리가 가능하고 분리 시 탄성매트(2)를 교환할 수 있으며, 상부 발 고정부만을 다른 것으로 교환하거나, 세탁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 경우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뒤꿈치 부분에 공간을 형성하여 통기를 위한 공간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d 는 발 앞부분에서는 외피가 발등부위를 넘어 발목 부분까지 연장하여 고정함으로써 2중 양말의 형태로 발지지부가 고정 결합되며, 발 뒷부분은 뒤꿈치 부분까지만 연장되어 전체적으로는 바느질 등에 의하여 결합되고 후단에는 지퍼를 설치하여 지퍼를 열고 발 뒤꿈치 부분만을 개폐함으로써, 탄성매트(2)의 교환이 가 능한 구조의 결합구조이다.
본 결합 구조의 경우 특히, 발 고정부와 발 지지부가 직물 또는 연질의 고무 재질의 양말 형상인 경우 적합한 실시예다.
도 5e 는 외피(3)의 상단에 결합부로서 지퍼(4)가 장착되고 대응하는 상부 발 고정부의 하단에 장착된 지퍼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지퍼를 열게 되면, 발 지지부가 분리되고, 탄성매트(2)의 교환이 가능한 구조의 결합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물론 상기 지퍼(4)는 외피가 적용되지 않은 탄성매트의 경우 탄성매트 자체에 형성되게 된다.
도 5f 는 바닥부 또는 외피의 상단 내지 탄성매트 자체가 상부 발 고정부(1)와 벨크로 결합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발 지지부의 상면의 외주면에만 결합부로서 벨크로(5a)가 장착되고 대응하는 상부 발 고정부의 하단에 장착된 벨크로 부분(5b)에 결합되어 벨크로에 의한 착용감 저하를 방지하고 있으며, 발 고정부 및 발 지지부의 접합 면뿐만 아니라 측면 둘레에 벨크로 부분이 연장 형성하여 별도의 벨크로 벨트(5c)로 보강하여 벨크로 결합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있다.
실제 실시에 있어서는 상기 두 가지 결합방법을 필요에 따라 각각 또는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g 는 본 발명의 탄성매트(2), 외피(3), 바닥부(4)의 구조 및 형성방법에 따라 발 지지부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는 탄성매트(2)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실시예다. 이러한 탄성체인 탄성 매트는 제조 방법에 따라, 그 제조 과정 중에 외부 면에 외피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조방법에 따라서는 탄성매트의 제조 시 탄성체의 외부 면을 기계적 마찰에 강하도록 함으로써 탄성체와 일체인 동일한 재료로 외피 내지 이와 기능적으로 동등한 부분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매트는 상부 발 고정부에 직접 결합하거나, 실시형태에 따라 삽입물인 탄성매트로서 실시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접지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바닥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후술하는 외피가 적용된 경우 외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피는 탄성매트의 제조 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생성된 경우 실시 형태에 따라, 탄성매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또한, 접착 결합 등에 의하여 탄성매트와 견고히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b 는 외피(3)가 탄성체를 전체로서 덮은 경우의 실시예다. 이 경우에는 외피는 예를 들면, 고무막과 같은 필수적으로 연질의 탄성이 있는 막이어야 하며, 접지면 부분은 외피의 생성시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별도의 바닥부를 형성하지 않고 접지면이 자체로서 바닥부의 역할을 하도록 제작한 경우의 실시예다.
도 6c 는 외피(3)가 탄성매트의 상면의 외주 부분만을 덮도록 제작한 경우로서, 착용시 외피에 의한 착용감의 변화를 최소한도로 하기 위함이며, 마찬가지로 접지면 부분은 외피의 생성시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었다.
탄성매트를 덮는 부분은 상부 발 고정부와의 결합 시 접합, 바느질, 벨크로 생성부가 되어 결합 부분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d 는 외피가 탄성매트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형태로, 상기 연장된 부분에 지퍼, 벨크로, 똑딱단추 등의 결합부분을 장착하여 상부 발고정부의 대응 부분과 결합하거나, 더욱 연장되어 덧신 또는 2중 양말의 형태로 결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접지면 부분은 외피의 생성시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었다.
도 6e 내지 도 6g 는 각각 상술한 각 경우에 있어 바닥부(6)가 외피의 접지면에 별도로 생성된 경우이다.
도 7a 및 도 7b 는 탄성매트가 구획 분할되어 형성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7a 는 발의 좌우 방향으로 구획 분할되어 있으며, 도 7b 의 경우에는 발의 좌우 전후로 구획 분할되어 탄성매트가 매트릭스의 형상을 한 경우이다.
이 경우 외피(미도시)는 필요에 따라, 탄성매트(2)의 외부 형상과 동일하게 생성되어 탄성매트를 수납하거나, 탄성매트의 형상과 무관하여 단순히 탄성매트를 수납할 수도 있다.
물론, 탄성체인 탄성매트는 제조 방법에 따라, 그 제조 과정 중에 외부 면에 외피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조방법에 따라서는 탄성매트의 제조 시 탄성체의 외부 면을 기계적 마찰에 강하도록 함으로써 탄성체와 일체인 동일한 재료로 외피 내지 이와 기능적으로 동등한 부분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매트는 상부 발 고정부에 직접 결합하거나, 실시형태에 따라 외피내의 삽입물인 탄성매트로서 실시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접지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바닥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구획별로 형상 및/ 또는 재질을 조정함으로써 착용자의 요구에 적응적으로 보행 시 착용감 및 교정기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 는 탄성매트가 구획 분할된 외피(3)에 형성되는 챔버(7)에 탄성체를 삽입함으로써 형성되는 경우의 외피의 구조이다. 외피는 각각 탄성체를 수납하는 복수의 챔버들을 형성하고 여기에 복수의 탄성체를 삽입함으로써 탄성매트(2)를 형성하도록 하고 개방부를 덮는 외피용 커버(미도시)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외피용 커버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외피용 커버는 부드러운 재질로 통기성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도 9 및 도 10 은 탄성매트의 탄성체에 삽입물 삽입 전후의 착용시 압축 비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삽입물을 포함하는 탄성체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폼(form)이 탄성매트의 본체를 이루는 경우 상기 폼의 형상을 만드는 포밍(forming)시 경질의 폴리우레탄 입자 내지 알갱이를 삽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주머니 내부에 액체 또는 젤을 갖는 밀폐된 탄성체의 경우 액체 또는 젤의 충전 전에 폴리우레탄 알갱이 같은 탄성의 입자를 주머니에 넣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도 9(c) 는 탄성매트에 일반적으로 탄성체를 적용한 경우로서 착용 전 두께(d1) 과 착용 후 압착된 두께(d2)와의 차 ㅿd의 변화에 따른 탄성 반발력(F)의 그래프이다.
도10(c)는 탄성매트의 내부에 탄성체보다 경질의 알갱이를 삽입한 경우의 착용 전 두께(d1) 과 착용 후 압착된 두께(d2)와의 차 ㅿd 탄성 반발력(F)의 그래프이다.
도 9(a) 의 탄성매트 임계두께(d1) 근처까지 탄성반발력이 미리 정해진 선형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반면, 탄성체의 재질보다 경질인 알갱이를 포함하고 있는 도10(a) 의 탄성매트의 경우 탄성체 내부에 포함시킨 알갱이의 수 및 종류에 따라, 그래프에서와 같이 탄성 반발력을 곡선을 원하는 착용감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편의상 단면만을 개시하고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탄성매트를 이루는 탄성체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Claims (39)

  1. 착족구에 있어서,
    발의 윗부분을 감싸 고정시키는 상부 발 고정부, 및
    상기 상부 발 고정부에 결합되어 발의 하부를 지지하는 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 지지부는 발바닥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한 연질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는 상기 탄성매트의 외부 면의 일부 이상을 둘러싸며 상기 연질의 탄성매트를 고정시키는 외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외부 면에 형성되어 접지 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외피의 접지부분이 다른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외피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외피의 접지부분의 일부 이상에 대한 코팅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라텍스(latex)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표면에는 내부의 탄성매트를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가 상기 발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발 지지부가 상기 발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상단이 연장되어 상기 발 고정부의 상부의 일부 이상을 덮어 고 정함으로써 상기 발 지지부가 상기 발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상단이 발 고정부에 지퍼를 이용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발 지지부가 상기 발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가 상기 발 고정부와 벨크로를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발 지지부가 상기 발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상단이 발 고정부의 하단에 접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발 지지부가 상기 발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탄성체를 수납하는 하나이상의 챔버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들에 수납된 탄성체들은 각각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트를 이루는 탄성체는 압력의 인가에 의하여 압착하여 공기를 방출하고 압력의 이완에 의하여 공기를 재충전하는 개방된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트를 이루는 탄성체는 압력의 인가에 의하여 공기의 유출이 없는 밀폐된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밀페된 탄성체는 내부에 충전물로 채워지는 충전체이고, 상기 충전체에는 밸브가 제공되어 내부의 충전물을 방출 또는 재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트는 신발의 밑창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트는 운동화의 밑창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트는 샌들의 밑창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트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획들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진 복수의 구획들이 구획별로 다양한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구획들을 이루는 탄성체의 하나 이상이 압력의 인가에 의하여 압착하여 공기를 방출하고 압력의 이완에 의하여 공기를 재충전하는 개방된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구획들을 이루는 탄성체의 하나이상이 압력의 인가에 의하여 공기의 유출이 없는 밀폐된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페된 탄성체는 내부에 충전물로 채워지는 충전체이고, 상기 충전체에는 밸브가 제공되어 내부의 충전물을 방출 또는 재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트는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고 상부는 하나 이상의 개방된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는 밀폐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트를 이루는 탄성체는 내부에 경질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29. 제 1 항에 있어서,
    발 지지부의 두께는 착용자의 체중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부의 두께는 착용자의 체중에 따라 착용시 압축률이 50%에서 90%까지인 범위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31. 제 29 항에 있어서,
    발 지지부의 두께는 어린이 용의 경우 접지면에서 0.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매트를 갖는 착족구.
  32. 제 29 항에 있어서,
    발 지지부의 두께는 접지면에서 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매트를 갖는 착족구.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발 고정부는 신발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매트를 갖는 착족구.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발 고정부는 샌들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매트를 갖는 착족구.
  3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발 고정부는 부드러운 재질로서 양말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3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발 고정부는 직물 재질의 양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피와 발 상단부에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발 고정부와 외피의 결합부분의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3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발 고정부에는 다수의 통기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3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발 고정부에는 다수의 투명 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족구.
KR1020087006762A 2005-10-10 2006-10-04 착족구 KR101043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634/05A CH698153B1 (de) 2005-10-10 2005-10-10 Fussbekleidung.
CH01634/05 2005-10-10
CH00153/06 2006-01-30
CH00153/06A CH698210B1 (de) 2006-01-30 2006-01-30 Fussbekleidung nach dem «Mattensockenprinzip».
CH15312006A CH698389B1 (de) 2006-09-26 2006-09-26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ussbekleidung.
CH01531/06 2006-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307A true KR20080053307A (ko) 2008-06-12
KR101043799B1 KR101043799B1 (ko) 2011-06-27

Family

ID=3771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762A KR101043799B1 (ko) 2005-10-10 2006-10-04 착족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956932B1 (ko)
JP (1) JP5031753B2 (ko)
KR (1) KR101043799B1 (ko)
AT (1) ATE507735T1 (ko)
BR (1) BRPI0618001B1 (ko)
DE (1) DE602006021781D1 (ko)
DK (1) DK1956932T3 (ko)
HK (1) HK1126096A1 (ko)
WO (1) WO200704297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2783B4 (de) * 2010-11-30 2013-04-04 Pum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uhs und Schuh
CH705996B1 (de) * 2011-12-29 2016-01-15 Joya Schuhe AG Schuh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uhs.
KR101367186B1 (ko) 2012-09-18 2014-02-25 김경환 베어풋 웨어
GB2539453A (en) * 2015-06-16 2016-12-21 The Foot & Ankle Clinic Ltd An orthotic boot
IT201900024033A1 (it) 2019-12-16 2021-06-16 Geox Spa Struttura di calzatura
WO2021199398A1 (ja) * 2020-04-02 2021-10-07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クッション部材、これを備える靴底およびこれを備える靴、ならびに、クッション部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01A (en) * 1897-04-13 Boot or shoe
ES2194340T3 (es) 1997-07-17 2003-11-16 Negort Ag Zapato.
KR19990007752U (ko) * 1997-07-28 1999-02-25 이재명 실내화 기능을 갖춘 양말
US6061928A (en) * 1997-12-09 2000-05-16 K-Swiss Inc. Shoe having independent packed cushioning elements
US5996253A (en) * 1998-08-31 1999-12-07 Spector; Donald Adjustable innersole for athletic shoe
US20020050077A1 (en) * 1999-06-18 2002-05-02 Jack Wang Footwear with visible, replaceable cushioning cassette
RU2245667C2 (ru) 1999-08-28 2005-02-10 Негорт Аг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ктивной ходьбы с перекатыванием
DE29920480U1 (de) * 1999-11-22 2000-02-17 Holz Christian Kombi-Schuh
US6484419B1 (en) * 2000-08-21 2002-11-26 Nike, Inc. Sockliner cover
KR200297714Y1 (ko) 2002-08-14 2002-12-12 심재윤 갯벌용 양말
FR2844970B1 (fr) * 2002-09-27 2005-03-25 Bernard Favraud Semelle d'usure pour article chaussant et article chaussant en resultant
JP2005021583A (ja) * 2003-07-02 2005-01-27 Yokote Japan:Kk 履き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799B1 (ko) 2011-06-27
BRPI0618001A2 (pt) 2011-08-16
DE602006021781D1 (de) 2011-06-16
DK1956932T3 (da) 2011-08-01
WO2007042971A2 (en) 2007-04-19
EP1956932A2 (en) 2008-08-20
EP1956932B1 (en) 2011-05-04
ATE507735T1 (de) 2011-05-15
JP2009511108A (ja) 2009-03-19
HK1126096A1 (en) 2009-08-28
BRPI0618001B1 (pt) 2018-03-20
WO2007042971A3 (en) 2007-09-13
JP5031753B2 (ja)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2982B2 (en) Footwear
EP2925176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reinforced elastic upper
CN104799484B (zh) 具有鞋前部板的鞋类物品
US9498019B2 (en) Impact absorbing shoe
KR101668142B1 (ko) 지지 시스템을 가진 신발
US20050150132A1 (en) Footwear with expanded thermoplastic beads in the footbed
US78366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hoe with improved construction
US8919012B2 (en) Footwear as mat-socks
US20090265961A1 (en) Footwear as Mat-Socks
US20090113767A1 (en) Sole Structure of Footwear
EP2739175A1 (en) Golf shoe with natural motion structures
KR101043799B1 (ko) 착족구
WO2010022335A1 (en) Padded shoe
MXPA00003129A (es) Calzado y su metodo de construccion.
US20120285041A1 (en) Modular Shoe System
KR20090004785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KR20090018493A (ko) 신발
RU2375938C1 (ru) Предмет обуви в виде носка на войлоке
CN106455754B (zh) 具有选择性定位的衬垫的鞋类鞋面
WO2011055510A1 (ja) 靴、この靴用のアッパー、及びこの靴用の靴底
CN101378671B (zh) 轻软带垫的靴鞋
KR100818789B1 (ko)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
KR101227196B1 (ko)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그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KR200375314Y1 (ko) 신발
WO2003055342A1 (en) A moccasin with improved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