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196B1 -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그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그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196B1
KR101227196B1 KR1020100123114A KR20100123114A KR101227196B1 KR 101227196 B1 KR101227196 B1 KR 101227196B1 KR 1020100123114 A KR1020100123114 A KR 1020100123114A KR 20100123114 A KR20100123114 A KR 20100123114A KR 101227196 B1 KR101227196 B1 KR 10122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d
shoe
foot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044A (ko
Inventor
김나은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은 filed Critical 김나은
Priority to KR102010012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1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forced from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이를 장착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공급용 푸시펌프와 에어패드로 에어핏팅기구를 구성하여 이를 신발의 요구되는 위치에 설치하되, 푸시펌프의 작동에 따라 에어패드를 요구하는 수준으로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에어패드에 충진된 공기압을 필요시마다 배출시킬 수 있는 에어배출수단을 푸시펌프에 설치함으로서, 신발 내측과 발 사이에 발생한 유격을 에어패드로 상쇄시켜 보다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함은 물론, 인체의 발부위가 에어패드에 의하여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내리막길을 보행하는 도중에 인체의 하중이 발끝에 집중되어 발생하는 발가락의 상해와, 잘못된 보행습관이나 신발의 부적절한 착용에 기인하는 후천적 평발 또는 족저근막염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면서도 경제성과 실효성 및 핏팅조작의 편의성을 모두 구비한 기능성 신발 제품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그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Air fitting device for a shoe and shoe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에어공급용 푸시펌프와 에어패드로 에어핏팅기구를 구성하여 이를 신발의 요구되는 위치에 설치하되, 푸시펌프의 작동에 따라 에어패드를 요구하는 수준으로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에어패드에 충진된 공기압을 필요시마다 배출시킬 수 있는 에어배출수단을 푸시펌프에 설치함으로서, 신발 내측과 발 사이에 발생한 유격(裕隔: 헐거운 공간)을 에어패드로 상쇄시켜 보다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함은 물론, 인체의 발부위가 에어패드에 의하여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이를 장착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인체의 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발등과 발목 부위을 덮어서 보호하는 갑피(甲皮)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보행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신발밑창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신발의 경우,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신발밑창과 뒤축 부분을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 및 발포 스폰지 재질로 제작하거나, 스프링 또는 에어백 등의 탄성복원체를 신발밑창에 내장시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완충기능 이외에도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신발 내부의 통풍이 가능토록 함에 따라, 무좀방지와 악취제거의 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신발 제품 역시 시판되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주 5일제 근무의 확산으로 야외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보다 더 나은 착용감을 느끼도록 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무릎과 발 부위의 관절 및 발바닥 부분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신발을 착용하고 걷는 것만으로도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의 개발사업에 신발제조업체들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경우는 소비자들이 자신의 발에 꼭 들어맞는 신발을 구입하기 어려우므로, 기성화 된 신발 제품을 임의로 구입하여 착용하게 되는 데, 구입한 신발 제품이 자신의 발보다 작을 경우에는 신발을 착용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발 부위에 통증을 느끼게 되며, 신발 제품이 큰 경우에는 신발갑피와 발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신발 제품이 발보다 큰 경우 또는 신발의 착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신발갑피가 늘어난 경우에는, 신발갑피와 발 사이에 많은 유격이 발생하여 신발이 착용자의 발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착용자가 보행이나 운동을 행할 시 발가락이나 발바닥 부분에 과도한 하중이나 긴장이 가해짐으로서, 발가락의 상해나 족저근막염 등을 유발시키게 된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을 행할 시 울퉁불퉁한 산길을 걸음에 따라 평지를 걷는 것보다 발바닥에 많은 무리가 가해짐은 물론, 헐거운 신발을 신고 내리막길을 내려갈 경우 신발의 내부에서 발이 미끄러져 인체의 하중이 발끝에 쏠리면서 발가락 부분의 상해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발끝에 멍이 들어 발톱이 빠지거나, 신발코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 발끝이 돌부리에 부딪혀 발가락이 골절되는 상황까지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족저근막염은 발바닥 중앙부에 아치형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족궁(통상 중족궁이라 하며, 발등이 높은 경우를 고족궁이나 과족궁, 발등이 낮은 경우를 평발이라 함) 부분을 지지하는 발바닥 섬유조직인 족저근막에 통증을 유발하는 염증성 질환으로서, 족저근막을 이루는 섬유조직이 과부하되거나 너무 늘어난 경우에 주로 유발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족저근막염은 여러 가지의 요인에 의하여 유발되지만, 현재까지 밝혀진 가장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가 바로, 닳아버리거나 늘어나서 발에 잘 맞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거나 또는 발보다 큰 신발이나 슬리퍼와 같이 착용감이 매우 떨어지는 제품을 장기간 동안 착용함으로서, 발바닥의 중족궁 부분인 아치를 신발 제품이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여 발바닥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중족궁 부분에 과도한 긴장이 집중됨에 따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등산이나 야외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발가락의 상해나 족저근막염 등의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발 내측과 발 사이에 발생한 유격을 상쇄시켜 신발과 발이 맞춤식으로 꼭 들어맞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발용 핏팅수단이 제공되지 못하는 실정이며, 단순히 아치용 지지부를 신발중창이나 신발깔창에 제공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아치용 지지부만으로는 신발과 발의 견고한 핏팅(Fitting)이 어렵게 됨은 물론이고, 지지부의 높이나 지지력의 조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발등이 높은 고족궁이나 과족궁 또는 평발과 같은 다양한 발 형태에 맞추어 실용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발가락과 발바닥의 보호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아치용 지지부가 제공된 신발 제품의 경우에도 신발을 장기간 동안 착용하게 되면, 신발갑피가 늘어나고 신발밑창이 닳게 되어 아치용 지지부가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며, 이로 인하여 나이가 들어갈수록 발바닥의 중족궁 아치 부위가 점차적으로 내려 앉아 후천적 평발로 변형됨으로서, 보행기능의 장애는 물론 다리 자체의 기형을 유발시키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공급용 푸시펌프와 에어패드로 에어핏팅기구를 구성하여 이를 신발의 요구되는 위치에 설치하되, 푸시펌프의 작동에 따라 에어패드를 요구하는 수준으로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에어패드에 충진된 공기압을 필요시마다 배출시킬 수 있는 에어배출수단을 푸시펌프에 설치함으로서, 신발 내측과 발 사이에 발생한 유격을 에어패드로 상쇄시켜 보다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함은 물론, 인체의 발부위가 에어패드에 의하여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내리막길을 보행하는 도중에 인체의 하중이 발끝에 집중되어 발생하는 발가락의 상해와, 잘못된 보행습관이나 신발의 부적절한 착용에 기인하는 후천적 평발 또는 족저근막염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면서도 경제성과 실효성 및 핏팅조작의 편의성을 모두 구비한 기능성 신발 제품을 제공토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에어핏팅기구는, 한 쌍의 신축성 패드를 접착시켜 형성된 에어패드와, 상기 에어패드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에어공급용 푸시펌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패드에는 발부위의 보호를 위한 에어핏팅용 팽창부와, 상기 팽창부의 일측에서 팽창부와 연통되는 에어유입통로와 에어배출통로가 제공되고, 상기 푸시펌프는 에어유입통로와 연계되어 설치되며, 상기 푸시펌프의 유입측과 토출측에 해당하는 에어유입통로의 내측과, 에어배출통로의 내측에는 공기압의 유출을 차단하는 일방향 체크밸브로서의 시트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시트밸브는, 얇은 비닐을 소재로 하여 후단부가 개구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크시트와, 상기 체크시트의 선단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공기유입구멍이 관통 형성된 경질의 밸브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푸시펌프는, 에어유입통로와 연통된 펌핑공간을 제공하는 고무캡 재질의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의 내측 하부로 조립되어 에어패드상에 부착되는 버튼지지구와, 상기 푸시버튼의 상단 누름부가 노출되도록 푸시버튼의 외측에 조립되는 상,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푸시펌프의 상,하부케이스 사이에는 복원스프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에어배출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에어배출노브의 하단측에는 에어배출핀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에어배출핀은 에어배출통로를 따라 삽입되어 그 선단측이 시트밸브용 밸브헤드의 공기유입구멍에 위치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은, 신발갑피와 신발밑창 및 신발혀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신발혀에 에어핏팅기구를 설치하되, 상기 에어핏팅기구의 에어패드는 신발혀의 내측으로 매입 설치되어 에어패드의 팽창부가 발등 부분을 덮도록 하며, 상기 에어패드의 일측단에 부착된 에어공급용 푸시펌프는 신발혀의 상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에어핏팅기구의 에어패드를 발바닥의 중족궁 또는 발가락의 하부에 해당하는 신발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푸시펌프는 신발갑피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에어패드의 팽창부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발바닥의 중족궁 또는 발가락 부분을 하부에서 지지토록 초승달 또는 반달 형상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푸시펌프를 이루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에어배출노브의 회전을 지지하는 플랜지 형상의 노브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노브지지대 하측에는 플랜지 형상의 보조지지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부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노브지지대와 보조지지대에는 원호상의 가이드공이 대응 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핀은 에어배출노브로부터 가이드공을 거쳐 에어배출통로를 따라 삽입되도록 "L"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패드의 팽창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패드 중에서, 발부위와 접촉하는 패드의 표면에는 신축성 섬유나 직물이 부착되고, 발부위와 접촉되지 아니하는 반대측 패드의 표면에는 비신축성 섬유나 직물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패드의 팽창부에는 패드간의 점접착 부위가 되는 다수 개의 스폿접착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핏팅기구의 푸시펌프에 구비된 푸시버튼을 작동시켜 에어패드의 팽창부가 공기압에 의하여 요구하는 수준까지 팽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신발의 내측과 발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을 에어패드로 상쇄시킴으로서 신발의 착용감(핏팅감)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인체의 발 부위를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지지 및 보호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시 내리막길을 내려갈 경우에도, 신발과 발의 견고한 핏팅을 통하여 신발의 내부에서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에 따라, 인체의 하중이 발끝에 쏠리면서 발생하는 발가락 부분의 상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발바닥을 통해서도 과도한 긴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발바닥의 피로경감에도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푸시펌프에 제공된 에어배출노브를 회전시켜 에어패드에 충진된 공기압을 필요시마다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에어패드에 충진된 공기압을 자신의 현재 발 상태에 맞추어 보다 손쉽게 조정시킬 수 있는 한편, 야외활동 중에 신발을 벗고 휴식을 취하고자 할 경우에도, 에어패드에 충진된 공기압을 신속히 배출시켜 신발을 용이하게 벗을 수 있는 등, 핏팅조작에 따른 편의성 또한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에어핏팅기구의 에어패드를 발바닥의 중족궁 하부나 발가락의 하부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에어패드를 팽창시켜 신발의 착용감을 높이도록 하는 한편, 에어패드가 중족궁 부분과 발가락 부분을 안정적이며 편안하게 받혀 주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보행이나 야외활동시 발바닥의 피로경감 및 발가락 부위의 상해 방지에 보다 더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발바닥의 중족궁 하부에 에어패드를 위치시킨 경우에는, 족저근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한편, 족저근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이 후천성 평발이나 보행기능의 장애와 같은 상황까지 발전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에어패드의 팽창정도를 조정하여 발등이 높은 고족궁이나 과족궁 또는 평발과 같은 다양한 발 형태에 맞추어 실용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발바닥 보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신발을 장기간 동안 착용하여 신발갑피가 늘어나거나 신발밑창이 닳은 경우에도, 에어패드의 팽창정도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신발갑피와 발 사이에 발생한 유격을 보상시킴으로서, 항상 일정한 수준의 착용감이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각종 잇점들로 인하여 착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면서도 경제성과 실효성을 모두 구비한 기능성 신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핏팅기구가 신발의 발등 부분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핏팅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핏팅기구에 사용되는 푸시펌프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핏팅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8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에어핏팅기구에 사용되는 시트밸브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의 (가) 및 (나)는 에어배출노브의 작동에 따른 에어배출원리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평단면도.
도 10의 (가) 및 (나)는 에어배출핀에 의한 시트밸브의 개방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에어핏팅기구가 신발 내부의 중족궁 부분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에어핏팅기구가 신발 내부의 발가락 부분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에어핏팅기구(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신축성 패드(10a)(10b)를 접착시켜 형성된 에어패드(10)와, 상기 에어패드(10)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에어공급용 푸시펌프(20)로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에어핏팅기구(100) 중에서 에어패드(10)는 갑피나 신발 내측에 위치하는 부품이고, 푸시펌프(20)는 신발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품이다.
상기 에어패드(10)는 발 부위를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에어패드(10)가 위치하는 발의 굴곡이나 발 부위의 형상에 맞추어 어떠한 정형(定形)된 형상을 가지는 팽창성 패드가 될 수도 있고, 특정한 형상을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한편, 발 부위의 곡면이나 공간에 맞추어 변형이 가능한 패드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면상 에어패드(10)의 소재인 제 1패드(10a)와 제 2패드(10b)가 1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고무패드인 경우, 공기압에 의하여 에어패드(10)가 정해진 형상으로 팽창된 다음 그 이후부터는 더 이상 팽창되지 아니하며, 1mm 미만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고무패드를 사용하여 풍선과 같은 형태의 에어패드(10)를 제조한 경우에는, 투입되는 공기압에 비례하여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는 에어패드(10)가 지속적으로 팽창하여 발 부위 형상에 맞춰진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특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되는 에어패드(10)는, 구조적인 강도가 우수하므로 파열이나 손상에 대한 우려는 적지만, 공기압에 의한 팽창정도가 낮기 때문에 피팅(Fitting) 측면에서는 다소 불리하며, 이와는 반대로 풍선 방식의 에어패드(10)는 피팅 측면에서는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지만,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여 파열이나 손상의 우려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발의 굴곡이나 발 부위의 형상에 맞추어 에어패드(10)를 정형화시키더라도 팽창에 필요한 유연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고, 팽창시의 인장강도나 파열강도와 같은 구조적 특성 또한 우수하게 되는 합성수지나 고무 제품을 사용하여 에어패드(10)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에어패드(10)에는 발부위의 실질적인 보호 및 핏팅을 위한 에어핏팅용 팽창부(11)와, 상기 팽창부(11)의 일측에서 팽창부(11)와 연통되는 에어유입통로(12) 및 에어배출통로(13)가 각각 제공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공기압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10a)(10b)간의 접착면(10c)이 되며, 상기 푸시펌프(20)는 에어유입통로(12)와 연계되어 설치된다.
상기 접착면(10c)은 통상의 접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것일 수도 있으나, 제 1패드(10a)와 제 2패드(10b)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팽창부(11)와 에어유입통로(12) 및 에어배출통로(1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고주파 융착 또는 열융착에 의하여 접착면(10c)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에 제 1패드(10a)와 제 2패드(10b)간의 점접착 부위가 되는 다수 개의 스폿접착부(10d)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시키게 되면, 공기압이 특정 방향으로 쏠리면서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가 불규칙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스폿접착부(10d)가 팽창부(11)의 팽창정도를 균일하게 조정하는 제어수단이 된다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팽창부(11)가 전체 면적에 걸쳐 엠보싱(Embossing) 형상으로 균일하게 팽창됨으로서, 발 부위의 보호 측면에 보다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는 것이며, 상기 스폿접착부(10d)의 경우는 고주파 융착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상 에어배출통로(13)가 에어유입통로(12)를 거쳐 팽창부(11)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에어유입통로(12)와 에어배출통로(13)를 별도의 통로로 형성시켜 팽창부(11)와 연통시키더라도 무방하며, 상기 에어유입통로(12)는 팽창부(11)로부터 푸시펌프(20)를 거쳐 에어패드(10)의 단부측까지 연장됨으로서 외부공기의 유입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배출통로(13)의 경우 별도의 에어배출공(17)이 출구로 형성되어 있으나, 에어배출핀(27)이 삽입되는 부분을 공기배출구로 할 수도 있고, 시트밸브(14)를 지난 위치에서 에어배출통로(13)를 형성하는 패드(10a)(10b)를 절개하여 배출구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에어유입통로(12)와 마찬가지로 에어배출통로(13)를 에어패드(10)의 단부측까지 연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푸시펌프(20)의 유입측과 토출측에 해당하는 에어유입통로(12)의 내측과, 에어배출공(17)의 이전 위치에 해당하는 에어배출통로(13)의 내측에는 푸시펌프(20)의 작동에 따라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한편, 팽창부(11)의 내부로 충진된 공기압이 임의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 체크밸브로서의 시트밸브(14)가 설치된다.
상기 시트밸브(14)는 도 8의 (가) 및 (나)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비닐을 소재로 하여 후단부가 개구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크시트(15)와, 상기 체크시트(15)의 선단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공기유입구멍(16a)이 관통 형성된 경질의 밸브헤드(1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밸브헤드(16)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멍(16a)을 통하여 공기가 정방향으로 유입되면, 도 8의 (가)에서와 같이 체크시트(15)의 후단측 개구부(15a)가 벌어지면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는 반면,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에 존재하는 공기압이 역방향으로 작용하면, 얇은 비닐 소재인 체크시트(15)가 밸브헤드(16)측으로 오므라들면서 밀착되어 공기의 배출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를 형성하는 제 1패드(10a)와 제 2패드(10b) 중에서, 발부위와 접촉하는 패드의 표면에는 신축성 섬유나 직물이 부착되도록 하고, 발부위와 접촉되지 아니하는 반대측 패드의 표면에는 비신축성 섬유나 직물이 부착되도록 하면, 에어패드(10)를 이용한 핏팅 작업 측면과 에어패드(10)의 강도보강 측면에서 보다 더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발부위와 접촉하는 패드측으로 팽창압력이 집중되도록 하고, 발부위와 접촉하지 아니하는 패드측으로는 팽창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적은 량의 공기만으로도 우수한 핏팅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의 패드(10a)(10b) 표면에 부착된 섬유나 직물이 에어패드(10)의 표면보강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에어패드(1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발부위와 접촉하는 패드는 신축성이 우수한 얇은 패드 소재를 사용하고, 발부위와 접촉되지 아니하는 반대측 패드는 신축성이 낮은 두꺼운 패드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위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에어패드(10)의 일측단에 부착 설치되는 상기 푸시펌프(20)는, 도 3과 도 4 및 도 6과 도 7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유입통로(12)와 연통된 펌핑공간(28)을 제공하는 고무캡 재질의 푸시버튼(21)과, 상기 푸시버튼(21)의 내측 하부로 조립되어 에어패드(10)상에 부착되는 버튼지지구(26)와, 상기 푸시버튼(21)의 상단 누름부(21a)가 노출되도록 푸시버튼(21)의 외측에 조립되는 상,하부케이스(22)(24)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버튼(21)은 원통 형상의 조립몸통(21b)과, 그 조립몸통(21b)의 상단에 제공되어 푸시펌프(20)의 작동을 수행토록 하는 구면 형상의 누름부(21a)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튼지지구(26)는 푸시버튼(21)의 조립몸통(21b)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지지몸통(26a)과, 그 지지몸통(26a)의 하단에 제공되어 푸시버튼(21)의 안착 및 에어패드(10)와의 부착 작업이 가능토록 하는 장착플랜지(26b)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버튼(21)과 버튼지지구(26)는 그 조립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접착 방식으로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버튼지지구(26)가 부착되는 패드(10a)중 버튼지지구(26)의 내측에 위치하는 패드(10a) 부분을 일정 크기만큼 잘라냄으로서, 상기 공기유입통로(12)가 푸시버튼(21)에 의한 펌핑공간(28)과 연통되도록 하게 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지지구(26)의 장착플랜지(26b)와 접촉하는 펌프장착부(18)를 기준으로 그 내부에 위치하는 패드(10a) 부분을 원형으로 잘라냄으로서, 하부측에 위치하는 다른 패드(10b)가 펌핑공간(28)의 바닥면을 제공토록 하는 것이지만, 공기유입통로(12)가 푸시버튼(21)에 의한 펌핑공간(28)과 연통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라면, 해당 패드(10a)를 잘라내는 형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푸시펌프(20)의 토출측에 위치하는 시트밸브(14)는, 그 밸브헤드(16)측이 버튼지지구(26)의 장착플랜지(26b) 직하방에 위치토록 에어유입통로(12)상에 설치하는 한편, 장착플랜지(26b)의 하측면에는 밸브헤드(16)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푸시버튼(21)의 누름조작에 의하여 팽창부(11)와 연결된 에어유입통로(12)가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푸시버튼(21)을 누르게 되면, 펌핑공간(28)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에어유입통로(12)를 따라 팽창부(11)로 유입되고, 푸시버튼(21)을 놓게 되면, 외부측 공기가 에어유입통로(12)를 따라 펌핑공간(28)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식에 의하여 푸시펌프(20)가 작동되기 때문에, 푸시버튼(21)을 강하게 누르더라도 팽창부(11)와 연결된 에어유입통로(12)가 막히지 않고 해당 시트밸브(14)의 밸브헤드(16)에 제공된 공기유입구멍(16a)이 공기통로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한편, 외부측 공기가 에어유입통로(12)를 따라 푸시펌프(20)의 펌핑공간(28)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푸시버튼(21)을 눌렀다가 놓는 과정에서 누름부(21a)가 복원됨에 따라 발생하는 흡입력을 이용하는 것이며, 이 시점은 푸시버튼(21)을 누르는 힘이 제거된 상태가 되어 펌핑공간(28)으로의 외부공기 유입에 제약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푸시펌프(20)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에어유입통로(12)의 시트밸브(14)는 버튼지지구(26)와 연계시켜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푸시버튼(21)의 외측에는 푸시버튼(21)을 보호토록 하는 한편, 에어배출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상부케이스(22)와 하부케이스(24)가 조립되는 바, 상기 상부케이스(22)에는 원통 형상의 조립몸통(22b)과, 그 조립몸통(22b)의 주연부를 따라 돌출 형성된 걸림턱(22c)이 제공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4)에는 상부케이스(22)의 조립몸통(22b)이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수납케이스(24b)가 제공된다.
상기 수납케이스(24b)의 내측에는 상부케이스(22)의 걸림턱(22c)이 삽입되어 걸리는 단턱(도 7참조)이 제공됨으로서, 상,하부케이스(22)(24)가 푸시버튼(21)의 외측에서 조립될 수 있으며, 각각의 케이스(22)(24) 또한 푸시버튼(21) 및 버튼지지구(26)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거나, 하부케이스(24)의 바닥면이 에어패드(10)에 부착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에어배출수단은, 복원스프링(25)을 개재시킨 상태로 상,하부케이스(22)(24)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에어배출노브(23)와, 상기 에어배출노브(23)의 하단측에 연결되는 에어배출핀(27)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배출핀(27)은 에어배출노브(23)로부터 개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된 다음 에어배출통로(13)를 따라 삽입되어, 그 선단측이 시트밸브(14)용 밸브헤드(16)의 공기유입구멍(16a)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에어배출노브(23)의 외주면에는 파지용 손잡이부(23b)가 제공되며, 상기 복원스프링(25)은 그 양측단에 형성된 조립홈(25a)이 에어배출노브(23)의 내측면과 하부케이스(24)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조립대(23c)(24e)와 연결됨으로서, 상,하부케이스(22)(24)를 중심으로 하는 에어배출노브(23)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바, 상기 복원스프링(25)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주름스프링 이외에도 코일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에어배출수단으로서 에어배출노브(23)와 에어배출핀(27)의 작동을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22)와 하부케이스(24)에는 에어배출노브(23)의 회전을 지지하는 플랜지 형상의 노브지지대(22a)(24a)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4)의 노브지지대(24a) 하측에는 플랜지 형상의 보조지지대(24c)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부케이스(24)에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케이스(24)의 노브지지대(24a)와 보조지지대(24c)에는 원호상의 가이드공(24d)이 대응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24d)을 통하여 에어배출핀(27)의 수직 부분이 삽입된 다음, 에어배출노브(23)의 핀조립부(23a)에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핀조립부(23a)에는 에어배출핀(27)의 끼움식 조립을 위한 조립공(27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11과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에어핏팅기구(100)가 장착된 신발(1)을 도시하였는 바, 신발갑피(2)와 신발밑창(3) 및 신발혀(4)와 신발끈(5)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신발에 본 발명의 에어핏팅기구(10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은, 신발(1)의 신발혀(4)에 상기 에어핏팅기구(100)를 설치하되, 에어핏팅기구(100)의 에어패드(10)는 신발혀(4)의 내측으로 매입(埋入) 설치되어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가 발등 부분을 덮도록 하며, 에어패드(10)의 일측단에 부착된 에어공급용 푸시펌프(20)는 신발혀(4)의 상측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이 경우, 팽창부(11)를 포함하는 에어패드(10)는 발등 부분을 커버하는 주걱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푸시펌프(20)가 신발혀(4)의 외측을 통하여 노출되는 부분은 하부케이스(24)까지가 되도록 하고, 에어배출수단으로서의 에어배출핀(27)은 에어패드(10)와 함께 신발혀(4)의 갑피 내측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후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1)로서, 상기 에어핏팅기구(100)의 에어패드(10)가 발바닥의 중족궁 또는 발가락의 하부에 해당하는 신발(1) 내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푸시펌프(20)는 신발갑피(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한 것이며, 에어패드(10)의 바람직한 삽입 위치는 신발밑창(3)과 신발깔창(미도시)의 사이로부터 신발갑피(2)의 내부측에 이르는 부분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발바닥의 중족궁 또는 발가락 부분을 하부에서 지지토록 초승달(송편) 또는 반달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도 12에서와 같이 푸시펌프(20)와 에어패드(10)간의 거리가 멀게 될 경우, 공기통로가 구비된 띠 형상의 연결패드(30)를 사용하여 푸시펌프(20)와 에어패드(10)를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패드(30)는 신발갑피(2)에 매입(埋入)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형태로 에어핏팅기구(100)를 설치할 시 에어패드(10) 또는 연결패드(30)측이 접혀질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 데, 이 경우 에어패드(10) 또는 연결패드(30)가 완만한 곡률을 이루면서 접혀지도록 하여 공기통로가 막히지 않도록 하거나, 에어패드(10) 또는 연결패드(30)가 접혀지는 부분에 스폰지나 부직포와 같은 통기성(通氣性) 소재를 스페이서(Spacer)로 하여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에어핏팅기구(100)가 장착된 신발(1)을 착용한 상태에서 푸시펌프(20)에 구비된 푸시버튼(21)의 누름부(21a)를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21a)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펌핑공간(28)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시트밸브(14)와 공기유입통로(12)를 거쳐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푸시버튼(21)의 누름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면, 고무 재질의 누름부(21a)가 최초의 위치로 자동 복원되며, 이러한 누름부(21a)의 복원 과정에서 펌핑공간(28)의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외부측에 존재하는 공기가 시트밸브(14)와 에어유입통로(12)를 거쳐 푸시펌프(20)의 펌핑공간(28)으로 유입되며, 에어튜브(10)의 팽창부(11)에 저장된 공기는 시트밸브(14)에 의하여 펌핑공간(28)으로 역류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푸시버튼(21)의 누름 및 해제조작, 즉 펌핑조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외부측에 존재하는 공기가 에어유입통로(12)와 푸시펌프(20)를 거쳐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로 충진됨으로서 해당 팽창부(11)가 소정의 부피로 팽창되는 한편, 에어유입통로(12)와 에어배출통로(13)에 각각 설치된 체크밸브로서의 시트밸브(14)에 의하여 팽창부(11)에 충진된 공기압이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신발(1)을 착용한 사람이 푸시펌프(20)를 작동시켜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를 요구하는 수준까지 팽창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신발(1)의 내측과 발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을 에어패드(10)로 상쇄시킴으로서 신발(1)의 착용감(핏팅감)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인체의 발 부위를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지지 및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시 내리막길을 내려갈 경우에도, 신발(1)과 발의 견고한 핏팅을 통하여 신발(1)의 내부에서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에 따라, 인체의 하중이 발끝에 쏠리면서 발생하는 발가락 부분의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발바닥을 통해서도 과도한 긴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발바닥의 피로경감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에어핏팅기구(100)가 신발(1)에 장착된 경우는,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가 발등 부분을 눌러주는 핏팅 방식이 되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상태로 에어핏팅기구(100)가 신발(1)에 장착된 경우는,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가 발바닥의 중족궁 또는 발가락을 하부측에서 받혀 주는 핏팅 방식이 됨으로서, 내리막길을 걷는 상황에서도 신발(1)의 내부에서 발이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푸시펌프(20)에 제공된 에어배출노브(23)를 회전시켜 에어패드(10)에 충진된 공기압을 필요시마다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에어패드(10)에 충진된 공기압을 자신의 현재 발 상태에 맞추어 보다 손쉽게 조정시킬 수 있는 한편, 야외활동 중에 신발(1)을 벗고 휴식을 취하고자 할 경우에도, 에어패드(10)에 충진된 공기압을 신속히 배출시켜 신발(1)을 용이하게 벗을 수 있는 등, 핏팅조작에 따른 편의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배출노브(23)를 회전시켜 에어패드(10)에 충진된 공기압을 배출시키는 과정이 도 9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 최초 도 9의 (가)에 도시된 상태에서 에어배출노브(23)를 손으로 잡고 노브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9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배출노브(23)와 연결된 에어배출핀(27)이 도면상 하부로 이동하여 에어배출통로(13)에 설치된 시트밸브(14)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배출핀(27)이 에어배출통로(13)에 설치된 시트밸브(14)의 내부로 삽입되면, 최초 도 10의 (가)에 도시된 상태로 에어배출통로(13)를 폐쇄하고 있던 시트밸브(14)의 체크시트(15)가 에어배출핀(27)의 삽입에 의하여 도 10의 (나)에 도시된 상태로 개방되며, 이로 인하여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압이 에어배출통로(13)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에어배출노브(23)를 회전시켜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압을 요구하는 만큼 배출시킨 다음, 에어배출노브(23)를 잡고 있던 손을 놓게 되면, 복원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에어배출노브(23) 및 에어배출핀(27)이 도 9의 (가)에 도시된 초기상태로 자동 복원된다.
한편, 에어핏팅기구(100)의 에어패드(10)를 발바닥의 중족궁 하부나 발가락의 하부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에어패드(10)를 팽창시켜 신발(1)의 착용감을 높이도록 하는 한편, 에어패드(10)가 중족궁 부분과 발가락 부분을 안정적이며 편안하게 받혀 주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보행이나 야외활동시 발바닥의 피로경감 및 발가락 부위의 상해 방지에 보다 더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발바닥의 중족궁 하부에 에어패드(10)를 위치시킨 경우에는, 족저근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족저근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이 후천성 평발이나 보행기능의 장애와 같은 상황까지 발전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에어패드(10)의 팽창정도를 조정하여 발등이 높은 고족궁이나 과족궁 또는 평발과 같은 다양한 발 형태에 맞추어 실용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발바닥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신발(1)을 장기간 동안 착용하여 신발갑피(2)가 늘어나거나 신발밑창(3)이 닳은 경우에도, 에어패드(10)의 팽창정도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신발갑피(2)와 발 사이에 발생한 유격을 보상시킴으로서, 항상 일정한 수준의 착용감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종 잇점들로 인하여 착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면서도 경제성과 실효성을 모두 구비한 기능성 신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신발 2 : 신발갑피 3 : 신발밑창
4 : 신발혀 5 : 신발끈 10 : 에어패드
10a : 제 1패드 10b : 제 2패드 10c : 접착면
10d : 스폿접착부 11 : 팽창부 12 : 에어유입통로
13 : 에어배출통로 14 : 시트밸브 15 : 체크시트
15a : 개구부 16 : 밸브헤드 16a : 공기유입구멍
17 : 에어배출공 18 : 펌프장착부 20 : 푸시펌프
21 : 푸시버튼 21a : 누름부 21b,22b : 조립몸통
22 : 상부케이스 22a,24a : 노브지지대 22c : 걸림턱
23 : 에어배출노브 23a : 핀조립부 23b : 손잡이부
23c,24e : 조립대 24 : 하부케이스 24b : 수납케이스
24c : 보조지지대 24d : 가이드공 25 : 복원스프링
25a : 조립홈 26 : 버튼지지구 26a : 지지몸통
26b : 장착플랜지 27 : 에어배출핀 27a : 조립공
28 : 펌핑공간 30 : 연결패드 100 : 에어핏팅기구

Claims (14)

  1. 신발(1)에 설치되어 발부위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에어핏팅기구에 있어서,
    상기 에어핏팅기구(100)는, 한 쌍의 신축성 패드(10a)(10b)를 접착시켜 형성된 에어패드(10)와, 상기 에어패드(10)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에어공급용 푸시펌프(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패드(10)에는 발부위의 보호를 위한 에어핏팅용 팽창부(11)와, 상기 팽창부(11)의 일측에서 팽창부(11)와 연통되는 에어유입통로(12)와 에어배출통로(13)가 제공되고, 상기 푸시펌프(20)는 에어유입통로(12)와 연계되어 설치되며,
    상기 푸시펌프(20)의 유입측과 토출측에 해당하는 에어유입통로(12)의 내측과, 에어배출통로(13)의 내측에는 공기압의 유출을 차단하는 일방향 체크밸브로서의 시트밸브(14)가 설치되며,
    상기 시트밸브(14)는, 얇은 비닐을 소재로 하여 후단부가 개구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크시트(15)와, 상기 체크시트(15)의 선단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공기유입구멍(16a)이 관통 형성된 경질의 밸브헤드(16)로 이루어지며,
    상기 푸시펌프(20)는, 에어유입통로(12)와 연통된 펌핑공간(28)을 제공하는 고무캡 재질의 푸시버튼(21)과, 상기 푸시버튼(21)의 내측 하부로 조립되어 에어패드(10)상에 부착되는 버튼지지구(26)와, 상기 푸시버튼(21)의 상단 누름부(21a)가 노출되도록 푸시버튼(21)의 외측에 조립되는 상,하부케이스(22)(24)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푸시펌프(20)의 상,하부케이스(22)(24) 사이에는 복원스프링(25)을 개재시킨 상태로 에어배출노브(2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에어배출노브(23)의 하단측에는 에어배출핀(27)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에어배출핀(27)은 에어배출통로(13)를 따라 삽입되어 그 선단측이 시트밸브(14)용 밸브헤드(16)의 공기유입구멍(16a)에 위치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2)와 하부케이스(24)에는 에어배출노브(23)의 회전을 지지하는 플랜지 형상의 노브지지대(22a)(24a)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4)의 노브지지대(24a) 하측에는 플랜지 형상의 보조지지대(24c)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부케이스(24)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4)의 노브지지대(24a)와 보조지지대(24c)에는 원호상의 가이드공(24d)이 대응 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핀(27)은 에어배출노브(23)로부터 가이드공(24d)을 거쳐 에어배출통로(13)를 따라 삽입되도록 "L"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를 형성하는 한 쌍의 패드(10a)(10b) 중에서, 발부위와 접촉하는 패드의 표면에는 신축성 섬유가 부착되고, 발부위와 접촉되지 아니하는 반대측 패드의 표면에는 비신축성 섬유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에는 패드(10a)(10b)간의 점접착 부위가 되는 다수 개의 스폿접착부(10d)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에는 패드(10a)(10b)간의 점접착 부위가 되는 다수 개의 스폿접착부(10d)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6. 신발갑피(2)와 신발밑창(3)과 신발혀(4)를 포함하는 신발(1)에 있어서,
    상기 신발(1)의 신발혀(4)에는 에어핏팅기구(100)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핏팅기구(100)는, 한 쌍의 신축성 패드(10a)(10b)를 접착시켜 형성되고 신발혀(4)의 내측으로 매입되는 에어패드(10)와, 상기 에어패드(10)의 일측단에 부착되어 신발혀(4)의 상측 외부로 노출되는 에어공급용 푸시펌프(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패드(10)에는 발등 부위를 덮는 에어핏팅용 팽창부(11)와, 상기 팽창부(11)의 일측에서 팽창부(11)와 연통되는 에어유입통로(12)와 에어배출통로(13)가 제공되고, 상기 푸시펌프(20)는 에어유입통로(12)와 연계되어 설치되며,
    상기 푸시펌프(20)의 유입측과 토출측에 해당하는 에어유입통로(12)의 내측과, 에어배출통로(13)의 내측에는 공기압의 유출을 차단하는 일방향 체크밸브로서의 시트밸브(14)가 설치되며,
    상기 시트밸브(14)는, 얇은 비닐을 소재로 하여 후단부가 개구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크시트(15)와, 상기 체크시트(15)의 선단에 설치되고 중앙부에 공기유입구멍(16a)이 관통 형성된 경질의 밸브헤드(16)로 이루어지며,
    상기 푸시펌프(20)는, 에어유입통로(12)와 연통된 펌핑공간(28)을 제공하는 고무캡 재질의 푸시버튼(21)과, 상기 푸시버튼(21)의 내측 하부로 조립되어 에어패드(10)상에 부착되는 버튼지지구(26)와, 상기 푸시버튼(21)의 상단 누름부(21a)가 노출되도록 푸시버튼(21)의 외측에 조립되는 상,하부케이스(22)(24)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푸시펌프(20)의 상,하부케이스(22)(24) 사이에는 복원스프링(25)을 개재시킨 상태로 에어배출노브(2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에어배출노브(23)의 하단측에는 에어배출핀(27)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에어배출핀(27)은 에어패드(10)의 에어배출통로(13)를 따라 삽입되어 그 선단측이 시트밸브(14)용 밸브헤드(16)의 공기유입구멍(16a)에 위치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핏팅기구(100)의 에어패드(10)는 발바닥의 중족궁 또는 발가락의 하부에 해당하는 신발(1)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펌프(20)는 신발갑피(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발바닥의 중족궁 또는 발가락 부분을 하부에서 지지토록 초승달 또는 반달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2)와 하부케이스(24)에는 에어배출노브(23)의 회전을 지지하는 플랜지 형상의 노브지지대(22a)(24a)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4)의 노브지지대(24a) 하측에는 플랜지 형상의 보조지지대(24c)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부케이스(24)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4)의 노브지지대(24a)와 보조지지대(24c)에는 원호상의 가이드공(24d)이 대응 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핀(27)은 에어배출노브(23)로부터 가이드공(24d)을 거쳐 에어배출통로(13)를 따라 삽입되도록 "L"자 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를 형성하는 한 쌍의 패드(10a)(10b) 중에서, 발부위와 접촉하는 패드의 표면에는 신축성 섬유나 직물이 부착되고, 발부위와 접촉되지 아니하는 반대측 패드의 표면에는 비신축성 섬유나 직물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를 형성하는 한 쌍의 패드(10a)(10b) 중에서, 발부위와 접촉하는 패드의 표면에는 신축성 섬유나 직물이 부착되고, 발부위와 접촉되지 아니하는 반대측 패드의 표면에는 비신축성 섬유나 직물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11.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에는 패드(10a)(10b)간의 점접착 부위가 되는 다수 개의 스폿접착부(10d)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에는 패드(10a)(10b)간의 점접착 부위가 되는 다수 개의 스폿접착부(10d)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에는 패드(10a)(10b)간의 점접착 부위가 되는 다수 개의 스폿접착부(10d)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10)의 팽창부(11)에는 패드(10a)(10b)간의 점접착 부위가 되는 다수 개의 스폿접착부(10d)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KR1020100123114A 2010-12-04 2010-12-04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그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KR101227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114A KR101227196B1 (ko) 2010-12-04 2010-12-04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그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114A KR101227196B1 (ko) 2010-12-04 2010-12-04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그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044A KR20120062044A (ko) 2012-06-14
KR101227196B1 true KR101227196B1 (ko) 2013-01-28

Family

ID=4668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114A KR101227196B1 (ko) 2010-12-04 2010-12-04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그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132B1 (ko) * 2021-12-17 2024-03-12 주식회사 디오에스 신발용 공기압 자동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286B2 (ja) 1989-03-14 2000-04-10 ニコラ ラキック 圧力調節性の空気膨張式履物用中底
JP2005058615A (ja) 2003-08-19 2005-03-10 Asahi Irika Kk 健康シューズ
JP2009095614A (ja) 2007-10-15 2009-05-07 Hye Seung Shin 靴の中敷
KR20110119904A (ko) * 2010-04-28 2011-11-03 김나은 신발용 펌프식 에어백기구 및 그 에어백기구가 장착된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286B2 (ja) 1989-03-14 2000-04-10 ニコラ ラキック 圧力調節性の空気膨張式履物用中底
JP2005058615A (ja) 2003-08-19 2005-03-10 Asahi Irika Kk 健康シューズ
JP2009095614A (ja) 2007-10-15 2009-05-07 Hye Seung Shin 靴の中敷
KR20110119904A (ko) * 2010-04-28 2011-11-03 김나은 신발용 펌프식 에어백기구 및 그 에어백기구가 장착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044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6241B2 (ja) 膨張可能な衝撃吸収ソール構造
CN101548806B (zh) 具有整体的旋后肌装置的运动鞋和类似物品
CA2841669C (en) Footwear having independently articuable toe portions
KR101841085B1 (ko) 신기 편한 신발구조
WO2008008158A2 (en) Dance shoe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KR20110119904A (ko) 신발용 펌프식 에어백기구 및 그 에어백기구가 장착된 신발
US20070137065A1 (en) Inflatable sole for shoe
US20120137540A1 (en) Composite sole assembly
JP5031753B2 (ja) マットソックスとしての履物
KR100916592B1 (ko) 지압 및 공기순환 기능이 구비된 신발 깔창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KR101227196B1 (ko) 신발용 에어핏팅기구 및 그 에어핏팅기구가 장착된 신발
KR20090018493A (ko) 신발
US20150335099A1 (en) Memory sneaker
KR20200057931A (ko) 족부환자의 보행 특성에 적합한 족부환자용 신발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JP4850462B2 (ja) 足底板対応履物
KR20190138223A (ko) 뒤축이 변형되는 기능성 신발
KR100782376B1 (ko) 키 높이 신발용 밑창의 경량화 및 충격완화 구조
KR200366524Y1 (ko) 키높이 양말용 패드
KR20100009296U (ko) 실내화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
KR200375314Y1 (ko) 신발
KR200394997Y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200433462Y1 (ko) 일방통풍 장치를 내장한 신사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