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204A -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 Google Patents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3204A
KR20080053204A KR1020070126111A KR20070126111A KR20080053204A KR 20080053204 A KR20080053204 A KR 20080053204A KR 1020070126111 A KR1020070126111 A KR 1020070126111A KR 20070126111 A KR20070126111 A KR 20070126111A KR 20080053204 A KR20080053204 A KR 20080053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rtion
thin film
foil
shaving foi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9606B1 (ko
Inventor
šœ스케 고모리
쥬자에몬 이와사키
히로아키 시미즈
다케시 시바
마사아키 사토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4Dry-shaver foils;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42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providing for straightening the hair to be cut, e.g. by means of bristles; providing for tensioning the skin, e.g. by means of rollers, 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은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관통부를 갖는다. 면도 포일은 그 피부 접촉 표면에 복수의 리세스가 형성되며, 이 리세스는 감소된 두께의 박막부를 형성하는 한편, 면도 포일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후막부가 제공된다. 각각의 관통부는 부분적으로는 박막부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부분적으로는 후막부에 의해서도 형성되는 둘레를 갖도록 구성된다. 박막부 및 후막부는, 면도 포일이 피부를 가로질러 이동되는 동안,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털을 관통부 내로 매끄럽게 안내함으로써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밀착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박막부는 후막부보다 털을 더 짧게 절단하도록 작용하고, 또한 눕혀져 있던 털을 관통부 내로 일으켜 세워 눕혀져 있던 털이 성공적으로 절단되도록 한다.
마무리 포일, 관통부, 박막부, 후막부, 리세스

Description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SHAVING FOIL FOR A DRY SHAVER}
본 발명은 전기 면도기에 사용하기 위한 면도 포일(shaving foil)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번호 5,185,933호는 효율적인 면도를 위해 눕혀져 있던 털을 일으켜 세우도록 포일의 피부 접촉 표면(a skin engaging surface) 상에 돌기를 갖도록 구성된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돌기는, 이러한 면도 포일 상에 불연속적인 노브(knob)를 제공하도록 서로 분리되어 분포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를 잡아당기게 될 가능성이 크고, 그에 따라 피부를 가로질러 외측 포일을 부드럽게 안내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감소된 두께의 면도 포일은 눕혀져 있던 털을 효과적으로 절단하기 위해 이러한 털을 일으켜 세우는 것뿐만 아니라 비교적 일직선의 털의 밀착 면도를 행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박막의 면도 포일의 사용은 포일의 관통부 내에 피부가 너무 많이 물려들어 가게 하고 피부를 자극한다는 단점이 수반된다. 따라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눕혀져 있던 털을 절단하는 성능에 부가하여 밀착 면도를 제공하고자 하는 요구가 존재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 자극을 초래하지 않고 밀착 면도를 보장할 수 있는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도 포일은, 피부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상부 표면에 복수의 리세스(recess)가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리세스에 감소된 두께의 박막부(thin section)가 배치되고, 상기 면도 포일의 나머지 부분에 후막부(thick section)가 배치된다. 각각의 상기 관통부는, 상기 박막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후막부에 의해서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둘레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박막부 및 후막부는, 면도 포일이 피부를 가로질러 이동되는 동안,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털을 관통부 내로 매끄럽게 안내함으로써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밀착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 동안, 박막부는 후막부보다 털을 더 짧게 절단하도록 작용하고, 또한 눕혀져 있던 털을 관통부 내로 일으켜 세워 눕혀져 있던 털이 성공적으로 절단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레이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관통부의 제1 인접쌍, 및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관통부의 제2 인접쌍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부는, 상기 제1 인접쌍의 상기 관통부 사이에서 연장하여, 그 상부 표면이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상기 박막부의 반대쪽 끝단에 있는 상기 관통부의 둘레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막부는, 상기 제2 인접쌍의 상기 관 통부 사이에서 연장하여, 그 상부 표면이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상기 박막부의 반대쪽 끝단에 있는 상기 관통부의 둘레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면도 포일은 관통부와 교번적인 관계로 연장하는 특정의 배향을 가져 더욱 밀착된 면도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구성에서, 상기 후막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상기 관통부를 지나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후막부는, 피부와의 매끄러운 슬라이딩 접촉 및 면도 포일의 물리적인 강화를 위한 연속된 상부 표면을 제공한다.
상기 박막부 및 상기 후막부는 상기 관통부의 상기 둘레와 접하는 부분까지 연장하여, 그 곳에서 각각 제1 절단 에지와 제2 절단 에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절단 에지는 박막부에 의해 안내되는 털을 일으켜 세우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절단 에지보다 작은 절단 각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면도 포일은, 길이 방향의 축을 갖도록 신장되고, 또한 상기 박막부를 상기 길이 방향의 축과 교차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신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면도 포일은, 면도 포일이 그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이동할 때에는 밀착 면도를 제공하고, 면도 포일이 신장된 포일의 길이 방향의 축에 교차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더욱 밀착된 또는 더욱 깊은 면도를 제공하는, 방향에 좌우되는 특성(direction dependent characteristic)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후막부는, 후막부의 제공으로 인한 약화된 기계적 강도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면도 포일의 전 체 폭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관통부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각형은, 그 한 측면이 상기 박막부를 통해 인접 관통부 중 하나의 관통부에 연결(bridge)되고, 다른 한 측면이 상기 후막부를 통해 인접 관통부 중 다른 하나의 관통부에 연결된다.
상기 면도 포일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박막부가 상기 후막부보다 작은 면적을 점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실제 사용상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기 후막부는 50㎛ 내지 80㎛의 두께로 제공되는 한편, 상기 박막부는 45㎛ 이하의 두께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이로운 특징 및 기타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도 포일을 이용하는 전기 면도기가 도시되어 있다. 전기 면도기는, 핸드 그립(60) 및 핸드 그립(60)의 상단부(top)에 탑재된 면도 헤드(100)로 이루어져 있다. 길이 방향의 축과 폭 방향의 축을 갖도록 신장되어 있는 면도 헤드(100)는 길이 방향의 축에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핸드 그립(60)에 연결되어 핸드 그립(60)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면도 헤드(100)는 4개의 상이한 구성의 커터, 즉, 반원통형 의 제1 외측 커터(10), 반원통형의 제2 외측 커터(20), 반원통형의 마무리 커터(30), 및 슬릿 커터(slit cutter)(40)를 장착한다. 이들 커터는 모두 면도 헤드(100)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신장되어 있으며, 폭 방향의 축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면도 헤드(100)는 케이스(120) 및 케이스(120)에 대해 분리 가능한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20)는 그 안에 선형 모터(150)를 수용하는 방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0)의 상단부 위에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요소(210, 220, 230, 240)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구동 요소는 선형 모터(150)에 연결되어 면도 헤드(100)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왕복운동 하도록 구동된다.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는 면도 헤드(100)의 폭 방향의 반대쪽 양단에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 마무리 커터(30) 및 슬릿 커터(40)가 협지되어 있다. 핸드 그립(60)은 그 폭 방향의 후면 끝단에 제2 커터(20)보다도 제1 커터(10)가 더 멀어지도록 트리머(trimmer)(80)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외측 커터(10), 제2 외측 커터(20) 및 마무리 커터(30)는 길이 방향의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아치형으로 만곡되어 길이 방향의 축에 직각을 이루는 폭을 갖는 아치형 또는 반원통형의 외형을 갖는 면도 포일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의 면도 포일은 동일한 치수의 것으로, 이후 메인 포일(11, 21)로서 지칭되는 한편, 마무리 커터(30)의 면도 포일은 감소된 폭을 갖도록 구성되고, 이후 마무리 포일(31)로서 지칭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면도 포일의 특징은 마무리 포일(31)에 관련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동일한 특징이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의 메인 포일(11, 21)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제1 외측 커터(10) 및 제2 외측 커터(20)는, 메인 포일(11, 21), 및 메인 포일과의 털 깎기 결합(hair shearing engagement) 상태에서 왕복운동 하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내측 커터(16, 26)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포일은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면도 헤드(100)의 길이 방향의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아치 형상으로 만곡되어 아치형의 외형, 즉 면도 헤드의 폭 방향의 축에 대해 일정 폭을 갖는 반원통형의 형상으로 된다.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는, 동일한 구성, 즉 동일한 폭과 동일한 곡률반경의 메인 포일 및 동일한 구성의 내측 커터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4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포일(11)(21)은 반대측의 양쪽 측단이 마운트(13)(23)에 고정되는 한편, 이와 관련되는 내측 커터(16)(26)는 베이스(17)(27)에 고정된다. 마운트(13)(23)는 프레임(130)에 부유 방식으로 지지되어, 프레임 및 그에 따라 케이스(120)에 대해 움직이게 될 수 있다. 베이스(17, 27)는 각각 그 기저부에 캐치(catch)(18, 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캐치는 내측 커터(16, 26)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 요소(210, 220)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한다. 각각의 구동 요소(210, 220)는 바이어스 스프링(212, 222)을 장착하고 있으며, 이들 바이어스 스프링은 내측 커터 및 관련된 메인 포일을 상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바이어스(SB212, SB222)를 제공하여,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압박되는 즉시 후퇴될 수 있도록 한다. 마운트(13, 23)는 각각 면도 헤드(100)의 전면 벽부와 배면 벽부를 구성하는 전면 커버(111)와 배면 커버(112)에 고정된다. 전면 커버(111)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프레임(130) 내의 대응하는 수직 홈부(131)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스터드(stud)(19)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배면 커버(112)도,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프레임(130) 내의 대응하는 수직 홈부(132)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스터드(29)가 제공된다.
마무리 커터(30)는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보다 더욱 밀착하여 행해지는 면도를 이루기 위해서 면도 헤드(100)에 제공되며, 마무리 포일(31) 및 마무리 포일(31)과의 털 깎기 결합으로 왕복운동 하도록 구동될 구동 요소(23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내측 커터(36)로 구성된다. 마무리 포일(31)은 복수의 관통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면도 헤드(100)의 길이 방향의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아치 형상으로 만곡되어 아치형의 외형, 즉 면도 헤드의 폭 방향의 축을 따르는 폭을 갖는 반원통형 형상으로 된다. 도 3 및 도 6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마무리 포일(31)은 메인 포일(11, 21)보다 작은 곡률반경 및 메인 포일의 폭(W1, W2)보다 작은 폭(W3)을 갖도록 깊게 만곡되고, 이로써 털이 관통부 내에 특히 마무리 포일(31)의 선단부(tip) 부근에 깊게 포획될 기회를 증가시켜, 털이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에서 기대되는 것보다 더 짧게 절단, 즉 최소 길이로 마무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무리 포일(31)은 반대쪽의 양쪽의 측단이 마운트(33)에 고정되는 한편, 내측 커터(36)는 베이스(37)에 고정된다. 베이스(37)는 그 기저부에 캐치(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캐치는 내측 커터(36)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 요소(230)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한다. 마운트(33)는 면도 헤 드(100)의 케이스(120)에 대해 움직이게 될 수 있도록 프레임(130)에 부유 방식으로 지지된다. 마운트(33)는 제1 외측 커터(10)와 마무리 커터(30) 사이에서 돌출하여 있는 피부 가드(50)와 일체로 형성되며, 마무리 포일(31)과 함께 케이스(120)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피부 가드(50)는 마무리 포일(31)의 측면에 평행하면서 밀착 인접하는 관계로 연장한다. 마운트(33)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면도 헤드(100)의 측벽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측면 커버(113)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요소(230)는 스프링(232)을 수용하며, 이 스프링은 마무리 포일(31) 및 마무리 커터(30)에 대해 내측 커터를 상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바이어스(SB232)를 제공하며, 이로써 마무리 커터(30)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압박되는 즉시 후퇴되도록 할 수 있다. 마운트(33) 또한 길이 방향의 양단에 스터드(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터드는 프레임(130) 내의 대응하는 홈(13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마무리 커터(30)가 스프링(232)에 의해 상방향으로 바이어스될 때에 프레임(130)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마무리 포일(31)의 구조적인 특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통부(32)는 마무리 포일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수평열(row)과 포일의 폭 방향에 대해 다소 경사진 방향을 따라 정렬된 수직열(column)로 이루어진 어레이로 배열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무리 포일(31)은, 그 상부 표면에, 관통부(32)와 교번 관계로 각각의 수직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리세스(130)가 형성되어, 감소된 두께의 복수의 일련의 박막부(thick section)(130)를 형성하며, 나머지 부분은 관통부(32)의 인접한 수직열 사이에서 마무리 포일(31)의 전체 폭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후막부(thick section)(132)로 된다. 그 결과, 각각의 관통부(32)는, 일부분이 박막부(130)로 이루어지고 또한 다른 일부분이 후막부(132)에 의해 이루어지는 둘레를 갖게 된다. 박막부(130)가 수직열을 따라 관통부(32)와 교번하기 때문에, 커터의 폭이 이동 방향에 전반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커터가 배향된 상태에서, 면도 헤드(100)가 피부를 가로질러 이동될 때에, 털이 일련의 박막부(130)를 따라 안내된다. 이 동안에는, 눕혀져 있던 털이 박막부를 통해 관통부 내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고, 성공적으로 절단되도록 박막부(130)에 인접한 관통부(32)의 에지에서 일으켜 세워진다. 한편, 박막부(130)의 제공에 의해 눕혀져 있던 털을 일으켜 세워 절단하는 효과를 유지하면서, 후막부(132)는 면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매끄러운 피부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마무리 포일(31)의 수직열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을 제공한다. 예컨대, 후막부는 50㎛ 내지 80㎛의 두께를 갖도록 선택되는 한편, 박막부(130)는 45㎛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관통부(32)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한 쌍의 장측부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2 쌍의 단측부를 갖는 육각형의 형상으로 된다. 박막부(130)는 장측부를 통합하는 한편, 후막부(132)는 단측부를 통합한다. 즉, 각각의 관통부(32)는 그 장측부에서는 박막부(130)에 의해 둘러싸이고, 단측부에서는 후막부(132)에 의해 둘러싸인다. 박막부(130)는 경사져 있는 숄더부(131)를 통해 박막부(132)의 상부 표면에 연결된 상부 표면을 갖는다. 육각형은 예컨대 수평열 방향으로 0.5㎜의 길이와, 수직열 방향으로 0.3㎜의 폭을 갖도록 치수가 정 해진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관통부(32)는 마무리 포일(31)의 기저부 상에 돌출하는 돌기 림(raised rim)(134)에 의해 둘러싸이며, 각각 장측부와 단측부로부터 시작되는 경사 에지(135, 136)를 갖도록 형성된다. 경사 에지(135)는 박막부(130)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하고, 경사 에지(136)의 하단부에서의 절단 각도 β2보다 작은 절단 각도 β1가 제공된다. 더 작은 절단 각도인 β1이, 박막부(130)에 의해 안내된 눕혀져 있던 털을 일으켜 세우는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장점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마무리 포일(31)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고 매끄러운 피부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박막부(130)보다 큰 영역을 점유하는 후막부(1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 외측 커터(10)의 메인 포일(11) 및 제2 외측 커터(20)의 메인 포일(21)은 박막부 및 후박부를 포함하는 유사한 구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도 있고, 박막부가 제거된 구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무리 포일(31A)은 관통부의 주축(major axis)이 포일의 길이와 정렬되는 어레이로 배열된 타원형 관통부(32A)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박막부(130A)는 수직열 방향으로 관통부(32)와 교번하며, 후막부(132A)는 수직열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한다.
도 13은 삼각형 형상의 관통부(32B)가 어레이로 배열되어 있는 마무리 포일(31B)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수직열에서의 관통부(32B)는, 수직열 방향을 따라 포일의 폭 방향의 한쪽 끝단을 향하고 있지만, 인접 수직열의 관통부에 대해서는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정점(apex)을 가지며, 인접 수직열 내의 관통부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된다. 박막부(130B)는 각각의 삼각형 관통부(32B)의 하나의 사선 측면을 그 관통부의 인접한 관통부의 바닥부와 병합하는 방식으로 폭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한편, 후막부(132B)는 각각의 삼각형 관통부(132B)의 다른 사선 측면을 병합하는 방식으로 폭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된다.
슬릿 커터(40)는, 측면 에지에 개방된 상태의 복수의 슬릿을 갖는 신장된 외측 블레이드(41), 및 외측 블레이드와의 털 깎기 결합으로 왕복운동 하도록 구동되는 내측 커터(46)로 구성된다. 외측 블레이드(41)는 사용자의 피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을 위해 전반적으로 평탄한 상부 표면을 가져, 눕혀져 있던 털이 털의 절단을 위한 슬릿 내에 포획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된다. 외측 블레이드(41)는 프레임(130)에 부유 방식으로 지지되는 마운트(43)에 고정된다. 내측 커터(46)는 외측 블레이드(41)에 대해 내측 커터(46)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마운트(43)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유지되는 베이스(47)에 고정된다. 마운트(43)와 베이스(47) 사이에는 스프링(44)이 협지되어, 내측 커터(46)를 외측 블레이드(41)에 대해 압박된 상태로 유지한다. 프레임(43)은 길이 방향의 양단에 스터드(4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터드는 슬릿 커터(40)를 프레임(130)에 대해 부유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130) 내의 대응하는 홈부(134)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된다. 베이스(47)의 기저부에는, 내측 커터(46)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 요소(240)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캐치(48)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요소(240)는 구동 요소(220)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슬릿 커터(40)에 바이어스를 제공 하지는 못한다. 그 대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커터(40)를 상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바이어스(SB45)를 제공하기 위해, 마무리 커터(30)의 마운트(33)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34)와 마운트(43)의 사이에 스프링(45)이 협지된다.
도 6은 후퇴되지 않은 또는 사용자의 피부와의 압박 접촉 상태로 유지되지 않은 상태의 4개의 커터 간의 높이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외측 커터(20) 및 마무리 커터(30)는 선단부(tip)를 동일한 레벨로 갖도록 배치되는 한편, 제1 외측 커터(10)는 마무리 커터(30)의 선단부보다 커다란 차이 D1 만큼 낮은 선단부를 가지며, 슬릿 커터(40)는 마무리 커터(30)의 선단부보다 작은 차이 D4 만큼 낮은 선단부를 갖는다. 마무리 커터(3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피부 가드(50)는, 제1 외측 커터(10)의 선단부보다 높지만, 마무리 커터(30)의 선단부보다는 D5의 차이만큼 낮은 레벨로 배치된 선단부를 갖는다. 이러한 다중-커터 구성으로, 각각의 커터는 효과적인 면도를 위해 사용자의 피부와 최적의 접촉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커터(10)를 이동 방향의 앞쪽으로 하여 턱 아래의 털을 면도할 때, 커터들은 동시에 피부와 접촉하여 각각의 면도를 효율적으로 행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끝(chin top) 등의 좁은 부위를 면도할 때에는, 마무리 커터(30)가 피부 가드(50) 및 슬릿 커터(40)와 조합하여 피부에 대해 압박되어 털을 최소로 되도록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마무리 포일(31)은 깊게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선단부 주변에만 유효 절단 영역이 제공되며, 피부에 대해 강하게 압박될 때에 피부 자극을 야기할 수도 있는 마무리 포일의 양쪽 측부가 각각 비유효 영역으로 된다. 즉,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일 F가 깊게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포일은 면도 헤드를 이동시키는 방향에 대해 그 선두측 상에 상당히 큰 접촉 각도(α1, α2)로 압박되고, 그에 따라 피부 S에 대해 상당히 큰 힘으로 압박되며, 이로써 포일 내의 관통부를 통해 피부를 깊게 포획하고, 그에 따라 피부를 자극할 가능성이 실제로 커진다. 이 점에서, 깊게 만곡된 마무리 커터(30)의 측부 상의 낮은 부분은, 면도 헤드가 피부 주위를 이동하여 마무리 커터가 피부에 대해 선두측에서 압박되는 때의 상황에서는, 상쾌한 면도에 적합하지 않지만, 마무리 커터의 높은 부분은 털을 최소로 되도록 절단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피부가 마무리 커터의 측부의 하위 부분, 즉 비유효 영역을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부 가드(50)는, 유효 영역, 즉 밀착 면도를 위한 그 선단부 주변의 마무리 커터(30)의 상위 부분을 노출시킬 목적으로, 그 상단부를 마무리 커터(30)의 선단부로부터 다소 낮게 하여, 비유효 영역을 밀착 근접 관계로 덮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피부 가드(50)는 제1 외측 커터(10)의 면도 동작과 간섭하지 않도록 마무리 커터(30)를 향해 오프셋된다. 제2 외측 커터(20)를 이동 방향의 선두로 하여 면도 헤드(100)가 이동할 때, 슬릿 커터(40)는 피부가 마무리 커터(30)의 하위측 부분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로 한다는 점에서 또 다른 피부 가드로서도 작용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마무리 포일(31)은, 마무리 포일(31)의 프레임(33)과 제1 외측 커터(10)의 프레임(13)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14) 사이에 협지된 조정 스프링(adjustor spring)(35)에 의해서도 상방향으로 밀려지면, 구동 요소(230)의 스프링(232)에 의한 상방향 스프링 바이어스(SB232)와 조정 스프링(35)에 의한 상방향 추가 스프링 바이어스(SB35)의 조합인 상방향 스프링-바이어스, 및 슬릿 커터(40)를 상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45)의 반작용 힘(counter-force)인 하방향 스프링 바이어스(CF45)를 받게 된다. 조정 스프링(35)은 제1 외측 커터(10)의 메인 포일(11)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반작용 힘(CF35)을 전개시켜, 제1 외측 커터(10)가 구동 요소(210)의 스프링(212)으로부터의 상방향 스프링 바이어스(SB212)와 조정 스프링(35)의 하방향 바이어스(CF35)의 조합인 상방향 스프링 바이어스를 받게 된다. 그러므로, 도 6에 대응하는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커터는 조정 스프링(35, 45)의 사용에 의해 최적의 스프링 바이어스가 제공된다. 특히, 제1 외측 커터(10) 및 제2 외측 커터(20)는, 동일한 스프링력의 스프링(212, 222)을 채용하는 것과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동 요소(210, 220)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상이한 스프링 바이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요소(210, 230, 220)가, 0.5N의 스프링력을 갖는 조정 스프링(35) 및 0.8N의 스프링력을 갖는 스프링(45)과 조합하여, 각각 1.2N, 1.0N, 및 1.2N의 스프링 바이어스(SB212, SB232, SB222)를 갖도록 선택될 때, 제1 외측 커터(10), 마무리 커터(30), 슬릿 커터(40) 및 제2 외측 커터(20)는 각각 0.7N(= 1.2N - 0.5N), 0.7N(= 1.0N + 0.5N - 0.8N), 0.8N, 및 1.2N의 스프링 바이어스가 제공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커터(10, 20, 30, 40) 및 피부 가드(50)는 피부와의 매끄러운 접촉을 위해 길이 방향의 축에 대해 아치형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커터들과 피부 가드 중의 적어도 하나가 길이 방향에 대해 일직선의 상부 표면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전기 면도기의 면도 헤드의 사시도.
도 3은 면도 헤드의 단면도.
도 4는 면도 헤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면도 헤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면도 헤드에 장착된 4개의 커터 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이동하고 있는 아치형의 포일이 피부와 접촉하는 방식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8은 4개의 커터 중의 하나인 마무리 커터를 형성하는 마무리 포일의 평면도.
도 9는 마무리 포일의 사시도.
도 10은 한 방향에서의 마무리 포일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또 다른 방향에서의 마무리 포일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12는 마무리 포일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13은 마무리 포일의 또 다른 변형예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14 및 도 15는 면도기의 조작을 예시하는 개략도

Claims (9)

  1.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31)에 있어서,
    관통부(32)의 어레이를 가지며,
    피부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상부 표면에 복수의 리세스(130)가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리세스에 감소된 두께의 박막부(thin section)가 배치되고, 상기 면도 포일의 나머지 부분에 후막부(thick section)(132)가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관통부는, 상기 박막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후막부에 의해서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둘레를 갖도록 구성되는,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관통부의 제1 인접쌍, 및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관통부의 제2 인접쌍을 포함하며,
    상기 박막부는, 상기 제1 인접쌍의 상기 관통부 사이에서 연장하여, 그 상부 표면이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상기 박막부의 반대쪽 끝단에 있는 상기 관통부의 둘레에 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막부는, 상기 제2 인접쌍의 상기 관통부 사이에서 연장하여, 그 상부 표면이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상기 박막부의 반대쪽 끝단에 있는 상기 관통부의 둘레에 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막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2개 이상의 연속하는 상기 관통부를 지나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부 및 상기 후막부는 상기 관통부의 상기 둘레와 접하는 부분까지 연장하여, 그 곳에서 각각 제1 절단 에지(135)와 제2 절단 에지(136)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절단 에지는 상기 제2 절단 에지보다 작은 절단 각도를 갖는,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 포일은 길이 방향의 축을 갖도록 신장되며,
    상기 박막부는 상기 길이 방향의 축과 교차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막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면도 포일의 전체 폭에 걸쳐 연속 적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7.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관통부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각형은, 그 한 측면이 상기 박막부를 통해 인접 관통부 중 하나의 관통부에 연결(bridge)되고, 다른 한 측면이 상기 후막부를 통해 인접 관통부 중 다른 하나의 관통부에 연결되는,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 포일은, 상기 박막부가 상기 후막부보다 작은 면적을 점유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막부는 50㎛ 내지 80㎛의 두께를 갖고,
    상기 박막부는 45㎛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KR1020070126111A 2006-12-08 2007-12-06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KR100909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2434A JP4396695B2 (ja) 2006-12-08 2006-12-08 電気かみそり
JPJP-P-2006-00332434 2006-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204A true KR20080053204A (ko) 2008-06-12
KR100909606B1 KR100909606B1 (ko) 2009-07-27

Family

ID=3914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111A KR100909606B1 (ko) 2006-12-08 2007-12-06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30621B2 (ko)
EP (1) EP1930137B1 (ko)
JP (1) JP4396695B2 (ko)
KR (1) KR100909606B1 (ko)
CN (2) CN201172222Y (ko)
AT (1) ATE502741T1 (ko)
DE (1) DE602007013345D1 (ko)
HK (1) HK1113108A1 (ko)
RU (1) RU237036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3284A (ja) * 2006-10-13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動式電気カミソリの外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07080B2 (ja) * 2006-12-08 2009-01-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462261B2 (ja) * 2006-12-08 2010-05-1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595967B2 (ja) * 2007-07-12 2010-1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刃
JP4955711B2 (ja) 2009-01-15 2012-06-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453126B2 (ja) 2010-01-22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385833B2 (ja) * 2010-03-26 2014-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406769B2 (ja) 2010-03-26 2014-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990996B2 (ja) 2010-03-26 2012-08-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421834B2 (ja) 2010-03-26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309067B2 (ja) * 2010-03-26 2013-10-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951083B2 (ja) * 2010-03-26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EP2425938B1 (en) * 2010-09-03 2014-02-26 Braun GmbH Shaving head with multiple shaving units
JP5842158B2 (ja) * 2011-02-28 2016-0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6376427B2 (ja) * 2012-12-27 2018-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リット刃ブロックおよびスリット刃ブロックを有する電気かみそり
EP2857155A1 (en) * 2013-10-01 2015-04-08 Koninklijke Philips N.V. Blade set and hair cutting appliance
EP2857158B1 (en) * 2013-10-01 2017-05-10 Koninklijke Philips N.V. Blade set and hair cutting appliance
WO2016055509A1 (en) 2014-10-07 2016-04-14 Koninklijke Philips N.V. Electrical appliance for performing a cutting action on hairs as present on an area of skin
JP6664123B2 (ja) * 2017-02-24 2020-03-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体毛処理機用外刃の製造方法、体毛処理機用外刃、および、体毛処理機
GB2580088C (en) * 2018-12-21 2021-05-26 Brengor Innovation Ltd Raz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7915A (en) * 1938-07-19 1942-10-06 Remington Rand Inc Electric razor
GB1090423A (en) * 1965-10-13 1967-11-08 Needle Industries Ltd Foil for dry shavers
DE1553666A1 (de) * 1967-11-18 1971-09-16 Balco Filtertechnik Gmbh Scherfolie fuer Trockenrasierer
JPS5759096Y2 (ko) 1977-06-27 1982-12-17
FR2534835B1 (fr) 1982-10-22 1985-10-25 Seb Sa Procede pour fabriquer une grille pour rasoir electrique et grille ainsi obtenue
JPS59151979A (ja) 1983-02-19 1984-08-30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の外刃
DE4031871C2 (de) 1990-10-08 1994-07-14 Braun Ag Scherfolie
US5185926A (en) * 1992-02-07 1993-02-16 Remington Products, Inc. Multiple foil and cutting blade assembly for electric dry shavers
AT400690B (de) * 1992-11-25 1996-02-26 Philips Electronics Nv Rasiergerät mit einem folienartigen obermesser und einem folienartigen untermesser
JP2004350824A (ja) * 2003-05-28 2004-12-16 Izumi Products Co 電気かみそりの外刃および電気かみそ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606B1 (ko) 2009-07-27
CN201172222Y (zh) 2008-12-31
JP4396695B2 (ja) 2010-01-13
US7730621B2 (en) 2010-06-08
CN101195225A (zh) 2008-06-11
JP2008142275A (ja) 2008-06-26
EP1930137A1 (en) 2008-06-11
RU2370360C2 (ru) 2009-10-20
DE602007013345D1 (de) 2011-05-05
US20080134523A1 (en) 2008-06-12
HK1113108A1 (en) 2008-09-26
EP1930137B1 (en) 2011-03-23
RU2007145495A (ru) 2009-06-20
CN100579736C (zh) 2010-01-13
ATE502741T1 (de)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606B1 (ko)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KR100969341B1 (ko) 전기 면도기
KR100913519B1 (ko) 전기 면도기
US7415768B2 (en) Shear system for an electric hair removing apparatus
EP1607196B1 (en) Shaving head for a dry shaver
US5669138A (en) Shaving head for electric razors
CN115023324B (zh) 电动胡须修剪器
US20140298966A1 (en) Cutter blade assembly and dry shaver for variable height of cut
JP2002515315A (ja) ドライシェービング装置
RU2760865C1 (ru) Гребень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резания волос
JP2004520129A (ja) 切断高さが可変のドライ式のシェーバー
JP2004521689A (ja) 電気かみそり用のかみそり機構
JP3493747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JP4569985B2 (ja) 電気かみそり
MX2008001670A (es) Afeitadoras electricas.
JP2023021049A (ja) 除毛デバイス
JP3193378U (ja) 電気かみそり
JPH06343775A (ja) 電気かみそ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