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519B1 - 전기 면도기 - Google Patents

전기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519B1
KR100913519B1 KR1020070126112A KR20070126112A KR100913519B1 KR 100913519 B1 KR100913519 B1 KR 100913519B1 KR 1020070126112 A KR1020070126112 A KR 1020070126112A KR 20070126112 A KR20070126112 A KR 20070126112A KR 100913519 B1 KR100913519 B1 KR 100913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foil
finishing
outer cutt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205A (ko
Inventor
쥬자에몬 이와사키
히로아키 시미즈
다케시 시바
마사아키 사토
šœ스케 고모리
신지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5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oscillating- 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02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eciprocating-cutter type
    • B26B19/04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 B26B19/10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Securing equipment thereof involv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reciprocating cutting elements, e.g. a pair of toothed shearing elements combined with a pair of perforated cutting elements or a combined toothed and perforated cutting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전기 면도기는 길이 방향의 축을 갖는 신장된 면도 헤드를 포함한다. 면도 헤드는 서로 폭 방향의 반대측 끝단에 위치된 반원통형의 제1 및 제2 외측 커터, 및 제1 외측 커터와 제2 외측 커터 사이에 협지된 반원통형의 마무리 커터 및 슬릿 커터를 수용한다. 마무리 커터는 제1 및 제2 외측 커터의 포일보다 더 깊게 만곡되어, 제1 및 제2 외측 커터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아치형의 외형을 갖는다. 제1 외측 커터 뒤에 배치된 마무리 포일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제1 및 제2 외측 커터보다 더 밀착하여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외측 커터, 마무리 커터, 슬릿 커터, 마무리 포일, 조정 스프링

Description

전기 면도기{DRY SHAVER}
본 발명은 전기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커터를 갖는 전기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타입의 복수의 커터, 즉 아치형으로 만곡된 외측 포일을 갖는 반원통형 커터 및 복수의 슬릿(slit)을 갖는 전반적으로 평탄한 외측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슬릿 커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면도 헤드가 구비된 일본 특허 번호 2539149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커터를 갖는 전기 면도기가 제안되어 있다. 면도 헤드는 면도 헤드의 폭 방향의 양측의 끝단에 위치된 2개의 반원통형의 커터 사이에 하나의 슬릿 커터가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반원통형의 커터는 밀착 면도를 위해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압박됨으로써 털을 외측 포일의 관통부에 깊게 삽입시키도록 이용되는 한편, 슬릿 커터는 눕혀져 있거나 휘어져 있는 털을 캐치하여 반원통형의 커터에 의해 절단될 길이 정도로 절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반원통형의 커터는, 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증가하는 곡률 반경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더 큰 정도로 밀착 면도를 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폭이 넓은 부위뿐만 아니라 코밑, 턱 끝, 및 턱 아래와 같은 피부의 폭이 좁은 부위의 털을 효과적으로 면도하고자 하는 요구가 존재한다. 한 가지 확실한 해결 방안은, 감소된 폭의 반원통형 커터를 이러한 폭이 좁은 부위와 용이하게 접촉하게 되도록 면도 헤드의 폭 방향의 한쪽 끝단에 배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감소된 폭의 반원통형 커터가 먼저 피부와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밀착 면도 시에 고통이 과도하게 수반되기 쉽다는 문제점을 야기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한 일본 특허 번호 2539149에 개시된 전기 면도기의 구성은 의도하는 밀착 면도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2개의 반원통형 커터가 면도 헤드의 폭 방향의 반대측 끝단에 위치된 2개의 슬릿 커터 사이에 2개의 반원통형 커터를 배치하는 일본 특허 번호 3609580의 개시내용을 기초로 또 다른 가능한 해결 방안이 얻어질 수도 있다. 즉, 2개의 반원통형 커터 중의 하나가 감소된 폭을 갖도록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예에서도, 슬릿 커터가 먼저 피부와 접촉하게 되어 피부를 자극하게 되고, 이로써 사용자가 피부에 대해 반원통형 커터를 압박하기를 주저하여, 폭이 좁은 부위에 대한 밀착 면도가 곤란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른 부위와 마찬가지로 폭이 좁은 부위를 밀착 면도할 수 있는 전기 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면도기는, 길이 방향의 축을 갖도록 신장되고, 반원통형의 제1 외측 커터, 반원통형의 마무리 커터, 슬릿 커터(slit cutter) 및 반원통형의 제2 외측 커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면도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 커터, 상기 마무리 커터, 슬릿 커터 및 상기 제2 외측 커터는, 상기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신장되어 있고 또한 서로 전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제1 외측 커터 및 상기 제2 외측 커터는, 다수의 관통부를 갖는 메인 포일(main foil) 및 상기 메인 포일과 슬라이딩 접촉으로 움직이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내측 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포일은 상기 길이 방향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아치형 외형으로 만곡된다. 상기 슬릿 커터는, 다수의 슬릿이 측면 에지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신장된 외측 블레이드(outer blade), 및 상기 외측 블레이드와의 슬라이딩 접촉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되는 내측 커터를 포함한다. 반원통형의 상기 마무리 커터는, 다수의 관통부를 갖는 마무리 포일(finishing foil), 및 상기 마무리 포일과의 슬라이딩 접촉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내측 커터를 포함한다. 상기 마무리 포일은, 상기 길이 방향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아치형 외형으로 만곡된다. 본 발명의 특징 은, 상기 제1 외측 커터 및 상기 제2 외측 커터가 상기 면도 헤드의 폭 방향의 양측의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마무리 커터 및 상기 슬릿 커터가 상기 제1 외측 커터와 상기 제2 외측 커터 사이에 협지되며, 상기 마무리 포일이, 상기 메인 포일보다 작은 폭을 갖거나 또는 상기 메인 포일과 대비하여 적어도 각각의 상기 관통부의 일부분의 둘레에 감소된 두께의 박막부(thin section)를 갖도록 형성된다는 것에 있다. 반원통형의 제1 외측 커터, 반원통형의 마무리 커터, 슬릿 커터(slit cutter) 및 반원통형의 제2 외측 커터가 면도 헤드의 폭 방향의 축을 따라 이 순서대로 배열되는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감소된 폭의 원통형의 마무리 커터는, 제1 또는 제2 외측 커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보다 털을 더욱 효과적으로 밀착 면도하기 위해, 코밑, 턱 끝, 및 턱 아래와 같은 폭이 좁은 부위와 접촉하는 것이 용이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외측 커터와 슬릿 커터 사이에 마무리 커터가 협지되기 때문에, 피부에 대해 너무 강하게 압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피부를 자극하지 않거나 또는 관련된 고통을 수반하지 않고서도 밀착 면도가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무리 포일은, 상기 메인 포일보다 작은 폭을 갖고 또한 밀착 면도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각각의 상기 관통부의 일부분의 둘레에 감소된 두께의 박막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무리 포일의 각각의 상기 관통부는, 부분적으로는 상기 박막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또한 부분적으로는 후막부(thick section)에 의해서도 둘러싸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부는 더욱 효과적인 밀착 면도를 위해 털을 관련 관통 부에 깊게 삽입시키는 기회를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도 헤드는, 상기 메인 포일 및 상기 마무리 포일을 부유 방식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메인 포일 및 상기 마무리 포일은, 사용자의 피부와의 압박 접촉을 위해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spring-bias)되며, 상기 제2 외측 커터의 상기 메인 포일은, 상기 마무리 포일 및 상기 제1 외측 커터의 상기 메인 포일에 제공되는 것보다 더 큰 스프링 바이어스가 제공된다. 이로써, 제1 외측 커터를 이동 방향의 전방에 위치시켜 피부를 가로질러 면도 헤드를 이동시킬 때에, 이동 방향에 대해 뒤쪽에 위치된 제2 외측 커터는 충분한 압력으로 피부에 대해 압박된 채로 피부를 뒤따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외측 커터에서도 피부를 스트레칭하면서 밀착 면도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마무리 포일은, 상기 제1 외측 커터의 상기 메인 포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압박되는 방향으로 밀려지도록 조정 스프링(adjustor spring)을 통해 상기 제1 외측 커터의 상기 메인 포일에 연결될 수도 있다. 조정 스프링은, 마무리 포일에 제공되는 스프링 바이어스를 증가시키면서, 제1 외측 커터에 작용하는 반작용 스프링력(counter-spring force)을 생성하여, 제1 외측 커터에 제공되는 스프링 바이어스를 감소시키며, 이로써 제1 외측 커터 및 마무리 커터의 각각에 대해 적합하게 조정된 스프링 바이어스를 실현하여, 이들 커터의 조합으로 효과적인 면도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릿 커터의 상기 외측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에 부유 방식으로 지지되며, 상기 마무리 포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압박되는 방향으로 밀려지도록 또 다른 조정 스프링을 통해 상기 마무리 포일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 스프링은, 마무리 커터에 작용하는 반작용 스프링력을 생성하여, 마무리 커터에 제공되는 스프링 바이어스를 감소시키며, 이로써 마무리 커터 및 슬릿 커터의 각각에 대해 적합하게 조정된 스프링 바이어스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외측 커터는 상기 제2 외측 커터보다 낮은 상단부 끝단을 갖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1 및 제2 외측 커터는 예컨대 턱 밑 등의 피부의 굴곡진 부위 또는 경사진 부위와의 동시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이들 커터의 조합으로 이러한 부위를 효과적으로 면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이로운 특징 및 기타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면도기가 도시되어 있다. 전기 면도기는, 핸드 그립(60) 및 핸드 그립(60)의 상단부(top)에 탑재된 면도 헤드(100)로 이루어져 있다. 길이 방향의 축과 폭 방향의 축을 갖도록 신장되어 있는 면도 헤드(100)는 길이 방향의 축에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핸드 그립(60)에 연결되어 핸드 그립(60)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면도 헤드(100)는 4개의 상이한 구성의 커터, 즉, 반원통형의 제1 외측 커터(10), 반원통형의 제2 외측 커터(20), 반원통형의 마무리 커터(30), 및 슬릿 커터(slit cutter)(40)를 장착한다. 이들 커터는 모두 면도 헤드(100)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신장되어 있으며, 폭 방향의 축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면도 헤드(100)는 케이스(120) 및 케이스(120)에 대해 분리 가능한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20)는 그 안에 선형 모터(150)를 수용하는 방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0)의 상단부 위에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요소(210, 220, 230, 240)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구동 요소는 선형 모터(150)에 연결되어 면도 헤드(100)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왕복운동 하도록 구동된다.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는 면도 헤드(100)의 폭 방향의 반대쪽 양단에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 마무리 커터(30) 및 슬릿 커터(40)가 협지되어 있다. 핸드 그립(60)은 그 폭 방향의 후면 끝단에 제2 커터(20)보다도 제1 커터(10)가 더 멀어지도록 트리머(trimmer)(80)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외측 커터(10) 및 제2 외측 커터(20)는, 메인 포일(11, 21), 및 메인 포일과의 털 깎기 결합(hair shearing engagement) 상태에서 왕복운동 하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내측 커터(16, 26)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포일은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면도 헤드(100)의 길이 방향의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아치 형상으로 만곡되어 아치형의 외형, 즉 면도 헤드의 폭 방향의 축에 대해 일정 폭을 갖는 반원통형의 형상으로 된다.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는, 동일한 구성, 즉 동일한 폭과 동일한 곡률반경의 메인 포일 및 동일한 구성의 내측 커터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4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포일(11)(21)은 반대측의 양쪽 측단이 마운트(13)(23)에 고정되는 한편, 이와 관련 되는 내측 커터(16)(26)는 베이스(17)(27)에 고정된다. 마운트(13)(23)는 프레임(130)에 부유 방식으로 지지되어, 프레임 및 그에 따라 케이스(120)에 대해 움직이게 될 수 있다. 베이스(17, 27)는 각각 그 기저부에 캐치(catch)(18, 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캐치는 내측 커터(16, 26)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 요소(210, 220)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한다. 각각의 구동 요소(210, 220)는 바이어스 스프링(212, 222)을 장착하고 있으며, 이들 바이어스 스프링은 내측 커터 및 관련된 메인 포일을 상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바이어스(SB212, SB222)를 제공하여,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압박되는 즉시 후퇴될 수 있도록 한다. 마운트(13, 23)는 각각 면도 헤드(100)의 전면 벽부와 배면 벽부를 구성하는 전면 커버(111)와 배면 커버(112)에 고정된다. 전면 커버(111)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프레임(130) 내의 대응하는 수직 홈부(131)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스터드(stud)(19)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배면 커버(112)도,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프레임(130) 내의 대응하는 수직 홈부(132)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스터드(29)가 제공된다.
마무리 커터(30)는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보다 더욱 밀착하여 행해지는 면도를 이루기 위해서 면도 헤드(100)에 제공되며, 마무리 포일(31) 및 마무리 포일(31)과의 털 깎기 결합으로 왕복운동 하도록 구동될 구동 요소(23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내측 커터(36)로 구성된다. 마무리 포일(31)은 복수의 관통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면도 헤드(100)의 길이 방향의 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아치 형상으로 만곡되어 아치형의 외형, 즉 면도 헤드의 폭 방향의 축을 따르는 폭을 갖는 반원통형 형상으로 된다. 도 3 및 도 6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마무리 포일(31)은 메인 포일(11, 21)보다 작은 곡률반경 및 메인 포일의 폭(W1, W2)보다 작은 폭(W3)을 갖도록 깊게 만곡되고, 이로써 털이 관통부 내에 특히 마무리 포일(31)의 선단부(tip) 부근에 깊게 포획될 기회를 증가시켜, 털이 제1 및 제2 외측 커터(10, 20)에서 기대되는 것보다 더 짧게 절단, 즉 최소 길이로 마무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무리 포일(31)은 반대쪽의 양쪽의 측단이 마운트(33)에 고정되는 한편, 내측 커터(36)는 베이스(37)에 고정된다. 베이스(37)는 그 기저부에 캐치(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캐치는 내측 커터(36)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 요소(230)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한다. 마운트(33)는 면도 헤드(100)의 케이스(120)에 대해 움직이게 될 수 있도록 프레임(130)에 부유 방식으로 지지된다. 마운트(33)는 제1 외측 커터(10)와 마무리 커터(30) 사이에서 돌출하여 있는 피부 가드(50)와 일체로 형성되며, 마무리 포일(31)과 함께 케이스(120)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피부 가드(50)는 마무리 포일(31)의 측면에 평행하면서 밀착 인접하는 관계로 연장한다. 마운트(33)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면도 헤드(100)의 측벽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측면 커버(113)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요소(230)는 스프링(232)을 수용하며, 이 스프링은 마무리 포일(31) 및 마무리 커터(30)에 대해 내측 커터를 상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바이어스(SB232)를 제공하며, 이로써 마무리 커터(30)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압박되는 즉시 후퇴되도록 할 수 있다. 마운트(33) 또한 길이 방향의 양단에 스터드(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터드는 프레임(130) 내의 대응하는 홈(13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마무 리 커터(30)가 스프링(232)에 의해 상방향으로 바이어스될 때에 프레임(130)에 대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슬릿 커터(40)는, 측면 에지에 개방된 상태의 복수의 슬릿을 갖는 신장된 외측 블레이드(41), 및 외측 블레이드와의 털 깎기 결합으로 왕복운동 하도록 구동되는 내측 커터(46)로 구성된다. 외측 블레이드(41)는 사용자의 피부와의 슬라이딩 접촉을 위해 전반적으로 평탄한 상부 표면을 가져, 눕혀져 있던 털이 털의 절단을 위한 슬릿 내에 포획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된다. 외측 블레이드(41)는 프레임(130)에 부유 방식으로 지지되는 마운트(43)에 고정된다. 내측 커터(46)는 외측 블레이드(41)에 대해 내측 커터(46)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마운트(43)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유지되는 베이스(47)에 고정된다. 마운트(43)와 베이스(47) 사이에는 스프링(44)이 협지되어, 내측 커터(46)를 외측 블레이드(41)에 대해 압박된 상태로 유지한다. 프레임(43)은 길이 방향의 양단에 스터드(4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터드는 슬릿 커터(40)를 프레임(130)에 대해 부유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130) 내의 대응하는 홈부(134)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된다. 베이스(47)의 기저부에는, 내측 커터(46)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구동 요소(240)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는 캐치(48)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요소(240)는 구동 요소(220)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슬릿 커터(40)에 바이어스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그 대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커터(40)를 상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바이어스(SB45)를 제공하기 위해, 마무리 커터(30)의 마운트(33)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34)와 마운트(43)의 사이에 스프링(45)이 협지된다.
도 6은 후퇴되지 않은 또는 사용자의 피부와의 압박 접촉 상태로 유지되지 않은 상태의 4개의 커터 간의 높이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외측 커터(20) 및 마무리 커터(30)는 선단부(tip)를 동일한 레벨로 갖도록 배치되는 한편, 제1 외측 커터(10)는 마무리 커터(30)의 선단부보다 커다란 차이 D1 만큼 낮은 선단부를 가지며, 슬릿 커터(40)는 마무리 커터(30)의 선단부보다 작은 차이 D4 만큼 낮은 선단부를 갖는다. 마무리 커터(3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피부 가드(50)는, 제1 외측 커터(10)의 선단부보다 높지만, 마무리 커터(30)의 선단부보다는 D5의 차이만큼 낮은 레벨로 배치된 선단부를 갖는다. 이러한 다중-커터 구성으로, 각각의 커터는 효과적인 면도를 위해 사용자의 피부와 최적의 접촉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커터(10)를 이동 방향의 앞쪽으로 하여 턱 아래의 털을 면도할 때, 커터들은 동시에 피부와 접촉하여 각각의 면도를 효율적으로 행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끝(chin top) 등의 좁은 부위를 면도할 때에는, 마무리 커터(30)가 피부 가드(50) 및 슬릿 커터(40)와 조합하여 피부에 대해 압박되어 털을 최소로 되도록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마무리 포일(31)은 깊게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선단부 주변에만 유효 절단 영역이 제공되며, 피부에 대해 강하게 압박될 때에 피부 자극을 야기할 수도 있는 마무리 포일의 양쪽 측부가 각각 비유효 영역으로 된다. 즉,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일 F가 깊게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포일은 면도 헤드를 이동시키는 방향에 대해 그 선두측 상에 상당히 큰 접촉 각도(α1, α2)로 압박되고, 그에 따라 피부 S에 대해 상당히 큰 힘으로 압박되며, 이로써 포일 내의 관통부를 통해 피부를 깊게 포획하고, 그에 따라 피부를 자극할 가능성이 실제로 커진다. 이 점에서, 깊게 만곡된 마무리 커터(30)의 측부 상의 낮은 부분은, 면도 헤드가 피부 주위를 이동하여 마무리 커터가 피부에 대해 선두측에서 압박되는 때의 상황에서는, 상쾌한 면도에 적합하지 않지만, 마무리 커터의 높은 부분은 털을 최소로 되도록 절단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피부가 마무리 커터의 측부의 하위 부분, 즉 비유효 영역을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부 가드(50)는, 유효 영역, 즉 밀착 면도를 위한 그 선단부 주변의 마무리 커터(30)의 상위 부분을 노출시킬 목적으로, 그 상단부를 마무리 커터(30)의 선단부로부터 다소 낮게 하여, 비유효 영역을 밀착 근접 관계로 덮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피부 가드(50)는 제1 외측 커터(10)의 면도 동작과 간섭하지 않도록 마무리 커터(30)를 향해 오프셋된다. 제2 외측 커터(20)를 이동 방향의 선두로 하여 면도 헤드(100)가 이동할 때, 슬릿 커터(40)는 피부가 마무리 커터(30)의 하위측 부분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로 한다는 점에서 또 다른 피부 가드로서도 작용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마무리 포일(31)은, 마무리 포일(31)의 프레임(33)과 제1 외측 커터(10)의 프레임(13)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14) 사이에 협지된 조정 스프링(adjustor spring)(35)에 의해서도 상방향으로 밀려지면, 구동 요소(230)의 스프링(232)에 의한 상방향 스프링 바이어스(SB232)와 조정 스프링(35)에 의한 상방향 추가 스프링 바이어스(SB35)의 조합인 상방향 스프링-바이어스, 및 슬릿 커터(40)를 상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45)의 반작용 힘(counter-force)인 하방향 스프링 바이어스(CF45)를 받게 된다. 조정 스프링(35)은 제1 외측 커터(10)의 메인 포일(11)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반작용 힘(CF35)을 전개시켜, 제1 외측 커터(10)가 구동 요소(210)의 스프링(212)으로부터의 상방향 스프링 바이어스(SB212)와 조정 스프링(35)의 하방향 바이어스(CF35)의 조합인 상방향 스프링 바이어스를 받게 된다. 그러므로, 도 6에 대응하는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커터는 조정 스프링(35, 45)의 사용에 의해 최적의 스프링 바이어스가 제공된다. 특히, 제1 외측 커터(10) 및 제2 외측 커터(20)는, 동일한 스프링력의 스프링(212, 222)을 채용하는 것과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동 요소(210, 220)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상이한 스프링 바이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요소(210, 230, 220)가, 0.5N의 스프링력을 갖는 조정 스프링(35) 및 0.8N의 스프링력을 갖는 스프링(45)과 조합하여, 각각 1.2N, 1.0N, 및 1.2N의 스프링 바이어스(SB212, SB232, SB222)를 갖도록 선택될 때, 제1 외측 커터(10), 마무리 커터(30), 슬릿 커터(40) 및 제2 외측 커터(20)는 각각 0.7N(= 1.2N - 0.5N), 0.7N(= 1.0N + 0.5N - 0.8N), 0.8N, 및 1.2N의 스프링 바이어스가 제공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마무리 포일(31)의 구조적인 특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통부(32)는 마무리 포일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수평열(row)과 포일의 폭 방향에 대해 다소 경사진 방향을 따라 정렬된 수직열(column)로 이루어진 어레이로 배열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무리 포일(31)은, 그 상부 표면에, 관통부(32)와 교번 관계로 각각의 수직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리세스(130)가 형성되어, 감소된 두께의 복수의 일련의 박막부(thick section)(130)를 형성하며, 나머지 부분은 관통부(32)의 인접한 수직열 사이에서 마무리 포일(31)의 전체 폭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후막부(thick section)(132)로 된다. 그 결과, 각각의 관통부(32)는, 일부분이 박막부(130)로 이루어지고 또한 다른 일부분이 후막부(132)에 의해 이루어지는 둘레를 갖게 된다. 박막부(130)가 수직열을 따라 관통부(32)와 교번하기 때문에, 커터의 폭이 이동 방향에 전반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커터가 배향된 상태에서, 면도 헤드(100)가 피부를 가로질러 이동될 때에, 털이 일련의 박막부(130)를 따라 안내된다. 이 동안에는, 눕혀져 있던 털이 박막부를 통해 관통부 내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고, 성공적으로 절단되도록 박막부(130)에 인접한 관통부(32)의 에지에서 일으켜 세워진다. 한편, 박막부(130)의 제공에 의해 눕혀져 있던 털을 일으켜 세워 절단하는 효과를 유지하면서, 후막부(132)는 면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매끄러운 피부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마무리 포일(31)의 수직열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평탄면을 제공한다. 예컨대, 후막부는 50㎛ 내지 80㎛의 두께를 갖도록 선택되는 한편, 박막부(130)는 45㎛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각각의 메인 포일(11, 21)은, 박막부(130)의 두께보다 훨씬 더 크고 후막부(132)의 두께와 같거나 훨씬 더 큰 균일한 두께의 포일로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관통부(32)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한 쌍의 장측부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2 쌍의 단측부를 갖는 육각형의 형상으로 된다. 박막부(130)는 장측부를 통합하는 한편, 후막부(132)는 단측부를 통합한다. 즉, 각각의 관통부(32)는 그 장측부에서는 박막부(130)에 의해 둘러싸이고, 단측부 에서는 후막부(132)에 의해 둘러싸인다. 박막부(130)는 경사져 있는 숄더부(131)를 통해 박막부(132)의 상부 표면에 연결된 상부 표면을 갖는다. 육각형은 예컨대 수평열 방향으로 0.5㎜의 길이와, 수직열 방향으로 0.3㎜의 폭을 갖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관통부(32)는 마무리 포일(31)의 기저부 상에 돌출하는 돌기 림(raised rim)(134)에 의해 둘러싸이며, 각각 장측부와 단측부로부터 시작되는 경사 에지(135, 136)를 갖도록 형성된다. 경사 에지(135)는 박막부(130)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하고, 경사 에지(136)의 하단부에서의 절단 각도 β2보다 작은 절단 각도 β1가 제공된다. 더 작은 절단 각도인 β1이, 박막부(130)에 의해 안내된 눕혀져 있던 털을 일으켜 세우는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장점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마무리 포일(31)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고 매끄러운 피부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박막부(130)보다 큰 영역을 점유하는 후막부(1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마무리 포일(30)이 박막부 및 후막부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메인 포일의 두께 미만의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마무리 포일(30)에서 후막부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1 외측 커터(10) 및 제2 외측 커터(20)의 메인 포일(11, 21)은, 마무리 포일(31)이 메인 포일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면, 박막부 및 후막부를 포함하는 유사한 구성을 갖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무리 포일(31)이 메인 포일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형태로 되는 구성 및/또는 박막부가 메인 포일 미만의 두께를 갖는 상태에서 마무리 포 일(31)이 각각의 관통부 주변에 박막부를 포함하는 구성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커터(10, 20, 30, 40) 및 피부 가드(50)는 피부와의 매끄러운 접촉을 위해 길이 방향의 축에 대해 아치형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커터들과 피부 가드 중의 적어도 하나가 길이 방향에 대해 일직선의 상부 표면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전기 면도기의 면도 헤드의 사시도.
도 3은 면도 헤드의 단면도.
도 4는 면도 헤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면도 헤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면도 헤드에 장착된 4개의 커터 간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이동하고 있는 아치형의 포일이 피부와 접촉하는 방식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면도기의 조작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4개의 커터 중의 하나인 마무리 커터를 형성하는 마무리 포일의 평면도.
도 11은 마무리 포일의 사시도.
도 12는 한 방향에서의 마무리 포일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또 다른 방향에서의 마무리 포일의 일부분의 단면도.

Claims (7)

  1.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축 및 폭 방향의 축을 갖도록 신장되며, 반원통형의 제1 외측 커터(10), 반원통형의 마무리 커터(30), 슬릿 커터(slit cutter)(40) 및 반원통형의 제2 외측 커터(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면도 헤드(1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 커터(10), 상기 마무리 커터(30), 슬릿 커터(40) 및 상기 제2 외측 커터(20)는, 상기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신장되어 있고 또한 서로 전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제1 외측 커터 및 상기 제2 외측 커터는, 복수의 관통부를 갖는 메인 포일(main foil)(11, 21), 및 상기 메인 포일과 슬라이딩 접촉으로 움직이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내측 커터(16, 26)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포일은 상기 길이 방향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아치형 외형으로 만곡되며,
    상기 슬릿 커터는, 복수의 슬릿이 측면 에지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신장된 외측 블레이드(outer blade)(41), 및 상기 외측 블레이드와의 슬라이딩 접촉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되는 내측 커터(46)를 포함하며,
    상기 마무리 커터는, 복수의 관통부를 갖는 마무리 포일(finishing foil)(31), 및 상기 마무리 포일과의 슬라이딩 접촉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내측 커터(36)를 포함하며, 상기 마무리 포일은, 상기 길이 방향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축과 직각을 이루는 폭을 갖는 아치형 외형으로 만곡되며,
    상기 제1 외측 커터 및 상기 제2 외측 커터는 상기 면도 헤드의 폭 방향의 양측의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마무리 커터 및 상기 슬릿 커터가 상기 제1 외측 커터와 상기 제2 외측 커터 사이에 협지되며,
    상기 마무리 포일은, 상기 메인 포일보다 작은 폭을 갖거나 또는 상기 메인 포일과 대비하여 적어도 각각의 상기 관통부의 일부분의 둘레에 감소된 두께의 박막부(thin section)(130)를 갖도록 형성되는,
    전기 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포일은, 상기 메인 포일보다 작은 폭을 갖고 또한 상기 메인 포일과 대비하여 적어도 각각의 상기 관통부의 일부분의 둘레에 감소된 두께의 박막부(130)를 갖도록 형성되는, 전기 면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포일의 각각의 상기 관통부는, 부분적으로는 상기 박막부(130)에 의해 둘러싸이고 또한 부분적으로는 후막부(thick section)(132)에 의해서도 둘러싸이며, 상기 박막부는 상기 마무리 포일의 상단의 표면 접촉면에 형성된 리세스(recess)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기 면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 헤드는, 상기 메인 포일 및 상기 마무리 포일을 부유 방식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130)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포일 및 상기 마무리 포일은, 사용자의 피부와의 압박 접촉을 위해 스프링에 의해 바이어스(spring-bias)되며,
    상기 제2 외측 커터의 상기 메인 포일은, 상기 마무리 포일 및 상기 제1 외측 커터의 상기 메인 포일에 제공되는 것보다 더 큰 스프링 바이어스가 제공되는,
    전기 면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포일은, 상기 제1 외측 커터의 상기 메인 포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압박되는 방향으로 밀려지도록 조정 스프링(adjustor spring)(35)을 통해 상기 제1 외측 커터의 상기 메인 포일에 연결되는, 전기 면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커터의 상기 외측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에 부유 방식으로 지지되며, 상기 마무리 포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압박되는 방향으로 밀려지도록 조정 스프링(45)을 통해 상기 마무리 포일에 연결되는,
    전기 면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커터는 상기 제2 외측 커터보다 낮은 상단부 끝단을 갖도록 위치되는, 전기 면도기.
KR1020070126112A 2006-12-08 2007-12-06 전기 면도기 KR100913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2431A JP4462261B2 (ja) 2006-12-08 2006-12-08 電気かみそり
JPJP-P-2006-00332431 2006-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205A KR20080053205A (ko) 2008-06-12
KR100913519B1 true KR100913519B1 (ko) 2009-08-21

Family

ID=3914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112A KR100913519B1 (ko) 2006-12-08 2007-12-06 전기 면도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39798B2 (ko)
EP (1) EP1930136B1 (ko)
JP (1) JP4462261B2 (ko)
KR (1) KR100913519B1 (ko)
CN (2) CN100579735C (ko)
AT (1) ATE504404T1 (ko)
DE (1) DE602007013677D1 (ko)
HK (1) HK1113107A1 (ko)
RU (1) RU237406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6516A1 (en) 2004-01-13 2005-08-04 Valinge Aluminium Ab Floor covering and locking systems
DE102006034050A1 (de) * 2006-07-20 2008-01-24 Braun Gmbh Elektrischer Rasierapparat
JP4462261B2 (ja) * 2006-12-08 2010-05-1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207080B2 (ja) * 2006-12-08 2009-01-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595967B2 (ja) * 2007-07-12 2010-12-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刃
JP4955711B2 (ja) 2009-01-15 2012-06-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840450B2 (ja) * 2009-01-16 2011-12-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WO2011037126A1 (ja) * 2009-09-25 2011-03-31 パナソニック電工 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712362B2 (ja) * 2009-09-25 201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EP2359991A1 (fr) * 2010-02-12 2011-08-24 Babyliss Faco S.A. Tondeuse à barbe avec positionnement automatique de l'unité de coupe
JP5385833B2 (ja) * 2010-03-26 2014-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EP2425938B1 (en) * 2010-09-03 2014-02-26 Braun GmbH Shaving head with multiple shaving units
USD676602S1 (en) 2011-01-12 2013-02-19 Braun Gmbh Cleaning center for a shaver
USD765914S1 (en) 2015-01-06 2016-09-06 Telebrands Corp. Abrasive skin treatment device
US10004535B2 (en) 2016-01-27 2018-06-26 Telebrands Corp. Abrasive skin treatment device
USD868377S1 (en) * 2016-09-28 2019-11-26 Braun Gmbh Electric dry shaver brush
JP1609296S (ko) 2016-11-10 2021-07-12
USD922682S1 (en) * 2018-08-10 2021-06-15 Braun Gmbh Electric dry shaver
USD922684S1 (en) 2019-01-24 2021-06-15 Braun Gmbh Part of a hair removal device
JP1654722S (ja) * 2019-08-26 2020-03-09 電気かみそり
USD1022327S1 (en) 2020-12-23 2024-04-09 International Edge, Inc. Foot file
USD1005504S1 (en) 2020-12-23 2023-11-21 Telebrands Corp. Abrasive skin treatment device
USD1017136S1 (en) 2020-12-23 2024-03-05 Telebrands Corp. Abrasive skin treatment device
USD1023468S1 (en) 2021-03-29 2024-04-16 Telebrands Corp. Foot file
JP2022155367A (ja) * 2021-03-30 2022-10-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2022155383A (ja) * 2021-03-30 2022-10-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刃ユニット、および電気かみそ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1227A (ja) * 1994-11-25 1996-06-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式電気かみそり
KR100272416B1 (ko) 1992-02-07 2000-11-15 알렌 에스. 립슨 전기면도기용 다중포일 및 절삭날 조립체
US20060225290A1 (en) 2003-09-25 2006-10-12 Raoul Bader Shear system for an electric hair remov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7915A (en) * 1938-07-19 1942-10-06 Remington Rand Inc Electric razor
US5611145A (en) * 1991-12-20 1997-03-18 Wetzel; Matthias Dry-shaving apparatus
JP2539149B2 (ja) 1992-12-22 1996-10-02 松下電工株式会社 往復式電気かみそり
US5398412A (en) 1992-04-23 1995-03-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ciprocatory dry shaver
JP3609580B2 (ja) 1997-05-30 2005-01-1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TW364870B (en) 1997-05-30 1999-07-21 Sanyo Electric Co Electric razor
KR100543557B1 (ko) * 1997-10-30 2007-04-2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전기면도기
JP4396695B2 (ja) * 2006-12-08 2010-01-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462261B2 (ja) * 2006-12-08 2010-05-1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207080B2 (ja) * 2006-12-08 2009-01-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416B1 (ko) 1992-02-07 2000-11-15 알렌 에스. 립슨 전기면도기용 다중포일 및 절삭날 조립체
JPH08141227A (ja) * 1994-11-25 1996-06-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往復式電気かみそり
US20060225290A1 (en) 2003-09-25 2006-10-12 Raoul Bader Shear system for an electric hair remov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74066C2 (ru) 2009-11-27
JP4462261B2 (ja) 2010-05-12
EP1930136B1 (en) 2011-04-06
ATE504404T1 (de) 2011-04-15
CN201172224Y (zh) 2008-12-31
CN101195224A (zh) 2008-06-11
RU2007145493A (ru) 2009-06-20
KR20080053205A (ko) 2008-06-12
CN100579735C (zh) 2010-01-13
US20080134514A1 (en) 2008-06-12
EP1930136A1 (en) 2008-06-11
DE602007013677D1 (de) 2011-05-19
HK1113107A1 (en) 2008-09-26
JP2008142274A (ja) 2008-06-26
US7739798B2 (en)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519B1 (ko) 전기 면도기
KR100969341B1 (ko) 전기 면도기
KR100909606B1 (ko) 전기 면도기용 면도 포일
CN109079862B (zh) 毛发切割系统和附件
JP3727336B2 (ja) 乾式ひげそり装置のひげそりヘッド
US6684509B1 (en) Dry shaving apparatus
US20060225290A1 (en) Shear system for an electric hair removing apparatus
KR100687842B1 (ko) 왕복식 전기면도기용 내측 커터의 제조 방법
WO2012029042A1 (en) Shaving unit for an electric shaver
RU2760865C1 (ru) Гребень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резания волос
JP4874331B2 (ja) ヒゲ剃りシステム
EP1715984B1 (en) A shaving head having a blade supporting member with reduced cross-sectional area
HU223834B1 (hu) Pengeegység biztonsági borotvához
US4089109A (en) Cutter head assembly
JP2004521689A (ja) 電気かみそり用のかみそり機構
JP3493747B2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EP3960402A1 (en) Razor cartridge
MX2008001670A (es) Afeitadoras electricas.
MXPA99007592A (en) Safety raz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