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655A - 영상신호 선택방법 및 영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선택방법 및 영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655A
KR20080051655A KR1020060123150A KR20060123150A KR20080051655A KR 20080051655 A KR20080051655 A KR 20080051655A KR 1020060123150 A KR1020060123150 A KR 1020060123150A KR 20060123150 A KR20060123150 A KR 20060123150A KR 20080051655 A KR20080051655 A KR 20080051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display
image signal
video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558B1 (ko
Inventor
박기홍
최영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558B1/ko
Priority to US11/846,627 priority patent/US8130266B2/en
Publication of KR2008005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558B1/ko
Priority to US13/366,157 priority patent/US872402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5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a key is pressed, e.g. for inputting sequences of digits when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양한 영상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영상수신장치와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영상장치는,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되는 입력부, 복수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신호명이 저장된 저장부,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에 대응하여 복수의 영상신호부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의 표시 순서가 서로 반대인 방향성을 갖는 제1 표시모드 또는 제 2 표시모드로 설정하고,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신호 선택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리모콘, 영상신호선택, 방향성, 단일키

Description

영상신호 선택방법 및 영상처리장치{Image signals selecting method and thereof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신호 선택방법을 구현하는 영상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기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순차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a~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명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방송수신부                  120: 외부 영상신호부
130 : 영상신호선택부              140 : 화상처리부
150 : 제어부                      160 : 입력부
170 : 디스플레이부                180 : 리모콘
 
본 발명은 영상신호 선택방법 및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신호를 포함한 다 수의 영상신호 입력을 갖는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다 수의 영상신호중 하나의 영상신호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처리되도록 하는 영상신호 선택 방법 및 영상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신호 처리장치는 공중파 또는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 또는 디브디(DVD)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 재생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직접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젼, 모니터 등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셋톱박스(Settop box)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리모콘 또는 영상처리 장치 자체에 구비하고 있는 영상신호 선택키를 이용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영상신호 선택키를 누를 때 마다 기 정해진 순서로 화면 상에 영상신호를 나타내는 영상신호명이 OSD(On Screen Display)로 화면에 표시되며, 표시되는 영상신호명에 해당되는 영상신호가 선택되고, 더 이상의 영상신호 선택키의 눌림이 없을때 최종 선택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복수의 영상신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자 할때에 연속적으로 영상신호 선택키를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할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종래방식에 있어서는, 만약에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영상신호명을 지나칠 경우에 영상신호 선택키를 계속 눌러서 영상신호명이 표시하고 영상신호를 선택하도록 해야 했다.
즉,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TV, Video 1, Video 2, Video 3, ..., Video n. n=정수)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영상처리 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 선택키를 연속적으로 누름으로서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이 TV -> Video 1 -> Video 2 -> Video 3 -> ... -> Video n -> TV 등의 순서로 표시되므로, 만약에 사용자가 Video 2 를 선택하고자 하였으나, 영상신호 선택키를 계속 눌려서 Video 2를 선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n 번의 선택키를 또 눌려 주어야 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에 의해 조사된 관련 특허들을 보면,  한국 공개 특허 10-2005-0039330A에서는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다 수의 영상신호에 대해서 자주 사용하는 순서로 설정하는 방안이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 공개 특허 10-2006-0047033에서는 화면상에 영상신호명에 대한 테이블을 디스플레이 하고, 커서의 상하 이동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JP 2006-094343A는 네트워크 접속된 복수의 디지털 기록 기기와 함께 사용 가능한 텔레비전 방송수신 장치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모트 컨트롤러의 입력 전환키는 비디오 입력을 바꾸는 키로 +측과 -측에 선택적에 조작 가능하고, +를 조작하면 방송 -> 비디오 1 -> 비디오 2 -> 비디오 3 -> 비디오4와 같이 정방향으로 순환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또 입력전환 키를 -로 조작하면 비디오4 -> 비디오3 -> 비디오2 -> 비디오1 -> 방송과 같이 역방향으로 순환적으로 변환되는 리모콘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게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별도의 작업을 통하여 영상신호명의 표시 순서를 설정하거나, 화면에서 영상신호명을 테이블의 형태로 표시한 후에, 리모콘에 구비된 별도의 키 또는 기능이 변경된 커서키를 동작시켜 선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복잡한 작업 설정을 하게 하거나 현재의 화면 시청을 방해하는 영상신호명의 테이블을 표시하고 리모콘에 입력전환을 위한 별도의 키 또는 기능이 변경된 커서키를 동작시켜 선택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게 하는 방법은 리모콘에 복잡하게 복수로 형성된 각 기능키에 대해서 사용자가 별도 학습이 필요하므로 유져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주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영상처리장치의 측면에서, 영상신호명을 테이블로 형성함으로써 그에 대응되도록 영상처리장치의 저장장치 용량이 증가되고, 또한 리모콘 등을 통해서 입력되는 입력전환키의 기능이 증대됨으로써 리모콘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처리장치에 미리 저장해야 하는 프로그램이 복잡해진다.
즉,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입력신호전환키에 해당되는 IR신호의 주파수, 패턴 등이 영상처리 장치에 구비된 저장장치에 저장되어야 되야 하고, 이에 따라서 이를 운용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되는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도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송신호를 포함하여 다양한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다 수의 영상신호중 원하는 영상신호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영상처리장치의 간단한 변경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영상처리장치 또는 리모콘의 간단한 변경을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영상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영상신호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신호명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부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의 표시 순서가 서로 반대인 방향성을 갖는 제1 표시모드 또는 제 2 표시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이 설정된 시 간범위 이내로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 수신될 때 마다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제1 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에 대응하여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인식되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현재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제 1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는 상기 판단된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현재 영상신호명 이후에 저장된 영상신호명부터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들을 기반으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설정된 시간 범위 이상 동안 수신되면,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들을 기반으로 영상신호명을 제1 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와 반대되는 순서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제 2표시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현재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표시모드로 설정된 후에,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이 설정된 시간범위 이내로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 수신될 때 마다,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영상신호명 이전에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시작으로 상기 제 1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와 역순으로 하나씩 표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인식하도록 하는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신호명이 저장된 제 1저장영역과,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값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는 방향이 저장된 제 2 저장영역을 갖는 저장부,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입력 시간에 따라 상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상기 저장된 표시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표시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표시방향에 의거하여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이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기 설정 시간동안 인식되지 않을 때에 표시된 영상신호명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종료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표시방향을 상기 저장부의 제2 저장 영역에 저장하여, 상기 기 저장된 표시방향이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인식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영상신호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 장치의 영상신호 선택방법은,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부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의 표시 순서가 서로 반대인 방향성을 갖는 제1 표시모드 또는 제 2 표시모 드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기 설정 시간동안 인식되지 않으면 표시된 영상신호명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설정된 표시 모드에 따라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이 설정된 시간범위 이내로 수신될 때 마다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영상신호명을 제1 표시모드에 의한 표시 순서로 하나씩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영상신호 선택 방법은,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인식되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현재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된 표시 모드에 따라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표시모드에 의한 표시 순서대로, 상기 판단된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현재 영상신호명 이후에 저장된 영상신호명부터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하나씩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표시모드 또는 제2 표시모드로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선택 키 값이 설정된 시간 범위 이상의 시간 동안 수신되면,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영상신호명을 제1 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와 반대되는 순서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제 2표시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현재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된 표시 모드에 따라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 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표시모드로 설정된 후에,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이 설정된 시간범위 이내로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 수신될 때 마다,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영상신호명 이전에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시작으로 상기 제 1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와 역순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의 영상신호명이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된 영상신호명에 대응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영상신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신호 선택방법은,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단일의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입력 시간에 따라 기 저장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을 기 저장된 방향으로 하나씩 표시하거나, 상기 기 저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표시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표시방향에 의거하여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이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기 설정 시간동안 인식되지 않을 때에 표시된 영상신호명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설정된 표시방향을 저장하여 상기 기 저장된 표시방향이 갱신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인식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신호 수신을 위한 복수의 영상 신호부,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부 중 하나를 통해 영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키값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부를 소정 순서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에 따라 상기 순서를 변경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 키 값의 수신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이면 현재 순서를 유지하고, 상기 임계 시간 이상이면 현재 순서의 역순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순서를 상기 영상 신호부 선택에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영상 신호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부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부를 상기 순서로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 신호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 및 이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로서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방송수신부와 복 수의 외부영상신호기기와 연결되는 영상신호부를 구비한 텔레비젼 장치를 블럭도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처리장치가 적용된 텔레비젼은, 공중파 또는 케이블 통해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방송수신부(110), VTR, DVD 플레이어, 게임기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영상신호를 각각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외부 영상신호 입력부(12-1~12-N)로 이루어진 외부영상신호부(120)와, 방송수신부와 외부영상신호부를 통해 입력되는 복 수의 영상신호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부(130)와, 복 수의 외부영상신호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명이 저장된 저장부(151)와, 영상신호선택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화상처리부(140)와, 화상처리부(140)를 통해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방송수신부(110), 외부영상신호입력부(12-1 ~ 12-N) 각각은 영상신호부로 칭해질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70)는 PDP, LCD 등과 같은 평면 소자와 CRT 등을 이용한 브라운관, 투사형 광학장치인 프로젝터, 프로젝션 장치의 광학계와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처리 장치에서, 저장부(151)에 저장된 영상신호명은 연결되는 기기와 관련이 있는 기기명(VTR, DVD 등)이 되거나, 외부기기1, 외부기기2 또는 비디오 1, 비디오 2 와 같은 포괄적으로 용어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60)와, 입력부를 통 해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수신되는 시간을 판단하여, 저장부(151)에 저장된 영상신호명이 제1 표시모드 또는 제2 표시모드로 디스플레이부(170)에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입력부(160)는 텔레비젼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에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리모콘등과 같은 원격조절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리모콘으로 구현될 경우에, 리모콘과 텔레비젼에는 리모콘 IR이 수신되는 수신부로 구현될 수 있다.
리모콘인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기본적으로 파워키와 숫자키와, 본원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단일의 소스선택키 또는 영상신호선택키(18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리모콘의 소스선택키를 눌려서 선택하거나 누름을 해제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게 되고, 표시된 영상신호명을 참조하여 영상신호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영상신호명의 표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OSD로 표시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로 제시된 영상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입력부(160)는 원격제어장치인 리모콘을 일예로 설명하나, 영상처리장치에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전환 스위치로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처리장치에서 도 2에 도시된 리모콘의 영상신호선택키(180)을 사용자가 누르면, 리모콘의 송신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IR 신호가 발생되며, 이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입력부(160)는 IR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수신부이다.
즉,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S310)되는 동안 입력부(160)를 통해 IR 신호가 수신되면(S320), 수신된 IR 신호가 영상신호선택을 위한 키 값인가를 판단한다(S330). 판단 결과, 영상신호선택을 위한 키 값이 아니면 키 값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S350)한다. 이는 채널 업/다운 또는 볼륨 업/다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능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리고 영상신호선택에 해당되는 키 값이면, 키 값을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으로 인식하고,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시간 T가 0〈 T = t1 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340).
S340단계에서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범위내에 포함되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표시모드를 제1 표시모드로 설정하고(S360), 저장부(151)에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제1 표시모드에 따라 영상신호와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하며(S362),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즉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시간이 0〈 T = t1 의 범위를 벗어나서 t1〈 T로 수신이 되면, 영상표시모드를 제2 표시모드(S370)로 설정한다.
제2 표시모드 설정(S370)단계 이후, 사용자에 의해 제1 표시모드로의 설정변경 요청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입력 키 값의 수신시간 판단단계(S371)를 진행하고,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시간이 t1 < T 일경우, 영상표시모드를 제1 표시모드로 설정하는 단계(S360)로 진행하고,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시간이 0 < T < t1일 경우 제2 표시모드에 따라 영상신호와 영상표시명을 디스플레이 한다(S372).
그리고 제1 표시모드 또는 제2 표시모드에 따른 영상신호선택 명령에 따른 영상표시명을 표시하는 단계(S362, S372)를 진행한 후,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수신되는가를 다시 판단(S363, S373)하여,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수신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시간을 판정하는 단계(S340, S371)를 진행한다.
그러나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수신되지 않으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 표시된 영상신호명에 해당하는 영상신호가 선택되며,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S380).
이때 영상신호명의 표시방향에 관련된 제 1, 2표시모드를 도 4에 도시된 계층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신호가 수신되는 방송수신부(110)외에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외부신호입력부(120)로서 AV1, AV2, S-video1, S-video2, Component1, Component2, HDMI를 구비한 영상처리장치에서, 각각의 영상신호명을 동일하게 가정하면 TV -> AV1 -> AV2 -> S-video1 -> S-video2 -> Component1 -> Component2 -> HDMI -> TV -> ...순의 순방향(실선표시)으로 순환되는 것이 제 1표시모드이며, 제 2표시모드는 제1 표시모드의 역방향인 TV <- AV1 <- AV2 <- S-video1 <- S-video2 <- Component1 <- Component2 <- HDMI <- TV <- ... 순인 역방향(점선표시)으로 순환하는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나, 이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이다.
즉,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수신될 때의 수신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면서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저장부(151)에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순방향으로 하나씩 표시되는 제1 표시모드가 설정(S360)되고 제1 표시모드에 따라 영상신호와 영상표시명이 디스플레이 되고(S362), 그 후에는 입력되는 키 코드값이 입력시간이 0〈 입력시간 = t1 에 포함되어 입력되면, 제1 표시모드에 따라 순방향으로 하나씩 표시된다(S362).
그러나 이때에,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입력시간이 0〈 입력시간 = t1 의 범위를 벗어나서 "t1〈 입력시간"로 입력이 되어, 제 2 표시모드로 설정(S370)되고, 그 이후에는, 입력되는 키 코드값이 입력시간이 0〈 입력시간 = t1 에 포함되어 입력되면, 제1 표시모드의 표시방향인 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제2 표시모드에 의한 역방향으로 하나씩 표시된다(S372).
그러나 제2 표시모드 설정 후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입력시간이 0〈 입력시간 = t1 의 범위를 벗어나서 "t1〈 입력시간"로 입력이 되면, 설정된 제2 표시모드는 제1 표시모드로 재 설정된다(S360).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외에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외부 영상신호수신부로서 AV1, AV2, S-video1, S-video2, Component1, Component2, HDMI 등과 같은 수신부와 각각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이 저장된 저장부를 구비하는 있는 텔레비젼인 경우에, 현재 S-video2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HDMI을 선택하기 위하여 리모콘의 영상신호선택키를 통하여 키 코드값을 일정시간 범위( 0〈 입력시간 = t1 )로 발생하여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 이 인식되도록 하면, 인식이 될 때마다 S-video2 이후의 수신부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인 Component1에서 제1 표시모드인 순방향으로 변환되어 표시된다. 즉, Component1 -> Component2 -> HDMI의 순서로 표시되어 변환되고, 사용자는 HDMI 가 표시될때에 리모콘의 입력을 누르는 것을 멈추면 HDMI가 선택되어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에 사용자가 리모콘의 영상신호 선택키를 일정 시간 이상 누름(t1〈 입력시간)으로써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이 설정된 시간 범위의 이상으로 수신되면,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영상신호명을 상술한 제1 표시모드의 표시방향의 역 방향인 제2 표시모드로 설정된다. 즉, 제1 표시모드가 순방향인 경우에 제2 표시모드는 역방향이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이후에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수신될 때의 수신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범위내에 수신될 때마다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역순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제2 표시모드가 수행된다.
즉, TV 외에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외부 영상신호수신부로서 AV1, AV2, S-video1, S-video2, Component1, Component2, HDMI 등과 같은 수신부와 각각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이 저장된 저장부를 구비하는 있는 텔레비젼인 경우에, 현재 S-video2 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AV1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 순방향모드로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S-video1에서 S-video2 -> Component1 -> Component2 -> HDMI -> AV1의 순서로 입력신호를 선택해야 하나, 현재 AV2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리모콘의 영상신호선택 키를 일정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초 정도 이상 누른 후에, 해제하면, 텔레비젼 장치의 제어부에서는 역방향 모드로 설정되고, 설정된 후에 리모콘의 영상신호선택키를 누를 때마다 S-video1에서 AV2 -> AV1의 방향으로 간단하게 영상신호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서는, 상술한 제1 표시모드 또는 제 2 표시모드에 대응되는 표시방향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즉, 도 5에 도시된 흐름도와 같이, 사용자가 텔레비젼과 같은 영상 처리장치를 켜고(S510), 방송 신호 또는 복수의 외부신호입력부 중의 하나인 현재 선택되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시청(S520)하는 동안, 리모콘의 키 값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530), 그 키 값이 영상신호의 변경을 위한 영상신호선택 키 값인지를 판단한다(S531).
리모콘의 키 값이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아닌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키 값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하고(S550), 영상신호선택 키 값인 경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이 표시되는 방향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표시모드인지 제 2표시모드인지를 디스플레이(S541) 하고,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560).
저장된 영상신호명이 표시되는 방향의 표시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신호선택 키를 누름에 따라, 영상신호가 어떻게 선택되어질 것인지를 예측 가능하게 된다.
즉, 제 1표시모드가 표시되는 경우 제1 표시모드로 저장되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표시모드인 순서에 의거하여 리모콘의 영상신호선택 키를 누를 때마 다 하나씩 표시되고, 만약에 제 2표시모드가 표시되는 경우 제2 표시모드로 저장되어 있어, 제 2표시모드에 의거하여 제 1표시모드의 역방향으로 리모콘의 영상신호선택 키를 누를 때마다 하나씩 표시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영상신호명이 표시되는 방향의 저장은, 현재 복수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명이 저장된 저장부의 일 영역에 저장할 수 도 있고, 또한 별도의 저장부를 두어 저장할 수도 있다(미도시).
물론 저장부를 기술적 발전에 따라 통상적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라 지칭되는 제어부에 내장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제1 표시모드 또는 제2 표시모드에 의거한 방향으로 리모콘의 영상신호선택키가 일정 시간 범위 내로 입력될 때 마다 영상신호명이 하나씩 표시되고 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신호명이 표시될 때에 영상신호선택키의 입력을 중단함에 따라 선택된 영상신호명에 해당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S590)된다.
그리고 영상신호선택키가 일정 시간 범위 이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 즉, 사용자가 영상신호선택키를 일정 시간 이상으로 계속 누르고 있으며, 현재 영상신호명의 표시 순서가 변경된다.
즉, 영상신호선택 키의 수신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일 경우 표시방향모드 전환으로 인식하고, 현재의 표시방향 모드가 제1 표시모드인가를 판단하고(S580), 제1 표시모드이면 현재의 표시방향모드를 제2 표시모드로 전환하여 저장하고(S581), 제1 표시모드가 아닌경우 제2 표시모드로 인식하여 현재의 표시방향모드를 제1 표시모드로 전환하여 저장한다(S582).
예를 들면, 저장부에 영상신호명의 표시방향으로 제1 표시모드가 저장되어 있다면 제1 표시모드 방향에 의거하여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다가, 일정 시간범위 이상으로 입력되면, 제2 표시모드로 변경되어 설정된다. 그 이후에 리모콘의 영상신호선택키가 일정 시간 범위 내로 입력될 때 마다 영상신호명이 제1 표시모드에 의한 표시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하나씩 표시된다. 그리고 설정된 제2 표시모드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기 저장된 데이터인 제1 표시모드에서 제2 표시모드로 대체된다.
이로써, 이후에 사용자가 재 영상신호선택키를 누르거나 또는 영상처리장치를 재 동작(온 -> 오프 -> 온)시킨 후에, 영상신호선택키를 누르면, 본 장치는 제2표시모드에 의한 표시방향으로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복수의 영상신호부, 입력부 및 제어부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될 때마다 복수의 영상 신호부를 소정 순서(즉, 제1 표시 모드 순서 또는 제2 표시모드 순서)로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이에 따라, 선택된 영상 신호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수신될 때마다, 그 수신 시간을 체크한다. 이에 따라, 그 수신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현재 순서의 역순 방향으로 다음 영상 신호부를 선택한다. 반면, 임계치 미만이면 현재 순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음 영상 신호부를 선택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영상신호선택키의 입력에 따른 동작 변화 과정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a의 경우, 영상신호선택키의 키 값이 입력되면, 현재의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영상신호명을 디스플레이 한 후에, 또 다시 키 값이 입력되면 설정된 표시방향으로 현재 영상신호명의 이전 또는 이후의 영상신호명과 함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는, 도 6b에서와 같이, 현재 영상신호명 표시 없이 영상신호만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영상신호선택키의 키값이 입력되면 현재의 표시 방향에 따라 다음 영상신호 및 영상신호명을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또는, 도 6c에서와 같이, 영상신호선택 명령중에는 영상표시명만 디스플레이하고, 영상신호선택 명령이 종료후에 현재 디스플레이중인 영상신호에서 최종 선택된 영상신호로 바로 전환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신호 선택 명령 중에는 현재 화면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무신호 화면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방법이외에 더 다양한 표시방법을 채택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프로세스의 변경없이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되는 제어부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의 간단한 변경으로 영상신호의 선택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 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1)

  1.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영상신호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신호명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부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의 표시 순서가 서로 반대인 방향성을 갖는 제1 표시모드 또는 제 2 표시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이 설정된 시간범위 이내로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 수신될 때 마다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제1 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에 대응하여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인식되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현재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제 1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는 상기 판단된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현재 영상신호명 이후에 저장된 영상신호명부터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들을 기반으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설정된 시간 범위의 이상 수신되면,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들을 기반으로 영상신호명을 제1 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와 반대되는 순서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제 2표시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현재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표시모드로 설정된 후에,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이 설정된 시간범위 이내로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 수신될 때 마다,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영상신호명 이전에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시작으로 상기 제 1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와 역순으로 하나씩 표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6.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영상신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인식하도록 하는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신호명이 저장된 제 1저장영역과,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값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는 방향이 저장된 제 2 저장영역을 갖는 저장부;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입력 시간에 따라 상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상기 저장된 표시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표시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표시방향에 의거하여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이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기 설정 시간동안 인식되지 않을 때에 표시된 영상신호명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종료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표시방향을 상기 저장부의 제2 저장 영역에 저장하여, 상기 기 저장된 표시방향이 갱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인식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영상신호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 장치의 영상신호 선택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부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의 표시 순서가 서로 반대인 방향성을 갖는 제1 표시모드 또는 제 2 표시모드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기 설정 시간동안 인식되지 않으면 표시된 영상신호명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선택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표시 모드에 따라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이 설정된 시간범위 이내로 수신될 때 마다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영상신호명을 제1 표시모드에 의한 표시 순서로 하나씩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선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인식되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현재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표시 모드에 따라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표시모드에 의한 표시 순서대로, 상기 판단된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현재 영상신호명 이후에 저장된 영상신호명부터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선택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모드 또는 제2 표시모드로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선택 키 값이 설정된 시간 범위 이상의 시간 동안 수신되면,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영상신호명을 제1 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와 반대되는 순서로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제 2표시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영상신호 선택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현재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표시 모드에 따라 영상신호명을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표시모드로 설정된 후에,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이 설정된 시간범위 이내로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 수신될 때 마다, 상기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영상신호명 이전에 저장된 영상신호명을 시작으로 상기 제 1표시모드에 의한 표시순서와 역순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선택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영상신호명이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된 영상신호명에 대응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선택방법.
  16. 방송신호를 포함한 복수의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영상신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신호 선택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중에서, 하나의 영상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인식하는 단계;
    단일의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입력 시간에 따라 기 저장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을 기 저장된 방향으로 하나씩 표시하거나, 상기 기 저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표시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표시방향에 의거하여 기 저장된 영상신호명이 하나씩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이 기 설정 시간동안 인식되지 않을 때에 표시된 영상신호명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신호 선택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표시방향을 저장하여 상기 기 저장된 표시방향이 갱신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선택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선택 수행명령을 인식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선택 방법.
  19. 영상 신호 수신을 위한 복수의 영상 신호부;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부 중 하나를 통해 영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영상신호선택 키값이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부를 소정 순서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의 수신 시간에 따라 상기 순서를 변경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 키 값의 수신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미만이면 현재 순서를 유지하고, 상기 임계 시간 이상이면 현재 순서의 역순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순서를 상기 영상 신호부 선택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상 신호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부 각각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신호선택 키 값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복수의 영상 신호부를 상기 순서로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 신호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 및 이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명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20060123150A 2006-12-06 2006-12-06 영상신호 선택방법 및 영상처리장치 KR10109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150A KR101092558B1 (ko) 2006-12-06 2006-12-06 영상신호 선택방법 및 영상처리장치
US11/846,627 US8130266B2 (en) 2006-12-06 2007-08-29 Video signal select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US13/366,157 US8724025B2 (en) 2006-12-06 2012-02-03 Video signal select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150A KR101092558B1 (ko) 2006-12-06 2006-12-06 영상신호 선택방법 및 영상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655A true KR20080051655A (ko) 2008-06-11
KR101092558B1 KR101092558B1 (ko) 2011-12-13

Family

ID=3949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150A KR101092558B1 (ko) 2006-12-06 2006-12-06 영상신호 선택방법 및 영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130266B2 (ko)
KR (1) KR101092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7128B2 (en) 2007-04-19 2014-04-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navigating previously viewed channels
US20090015723A1 (en) * 2007-06-18 2009-01-15 Sony Corporation Of Japan Media switching device
US8225356B2 (en) * 2008-10-02 2012-07-17 Echostar Technologies L.L.C. Media channel selection
EP2445206A4 (en) * 2009-06-19 2014-01-29 Shenzhen Tcl New Technology TELEVISION AND METHOD FOR DISPLAYING CORRESPONDING SIGNAL SOURCES
KR20110006773A (ko) * 2009-07-15 201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텔레비전
KR20110034339A (ko) * 2009-09-28 2011-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EP2611178A3 (en) * 2011-12-29 2015-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6123514B2 (ja) * 2013-06-25 2017-05-1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570551A1 (en) * 2018-05-15 2019-11-20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on of an audio outpu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892A (en) * 1984-03-05 1986-12-02 Rca Corporation Television system with menu like function control selection
JPH01168125A (ja) * 1987-12-23 1989-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US5283561A (en) * 1989-02-24 1994-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lor television window for a video display unit
FR2662009B1 (fr) * 1990-05-09 1996-03-08 Apple Computer Icone manupulable a faces multiples pour affichage sur ordinateur.
US5926155A (en) * 1993-02-02 1999-07-20 Hitachi, Ltd. Digital video display system
US5477275A (en) * 1993-10-02 1995-12-19 Sony Corporation Video signal receiving system with signal source switching based on generated control signals
JPH09307827A (ja) * 1996-05-16 1997-11-28 Sharp Corp 選局装置
US5850212A (en) * 1997-02-19 1998-12-15 Nishibori; Masahiro System for changing modes and cursor appearance by a single button
US6266098B1 (en) * 1997-10-22 2001-07-24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Function presentation and selection using a rotatable function menu
JPH11234580A (ja) * 1998-02-19 1999-08-27 Sony Corp テレビ放送受信装置
US8595764B2 (en) * 1999-06-25 2013-11-26 Jlb Ventures, Llc Image-oriented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KR20010047023A (ko) 1999-11-17 2001-06-15 구자홍 티브이의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JP4696388B2 (ja) * 2000-11-1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処理装置、情報信号処理方法、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画像表示装置、それに使用される係数種データ生成装置、係数データ生成装置、並びに情報記録媒体
CN101969537B (zh) * 2002-01-30 2012-10-10 索尼公司 数据处理设备、数据处理方法
KR100859455B1 (ko) 2002-02-09 2008-09-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티브이 수신장치의 채널 설정/탐색 방법
US8578411B1 (en) * 2003-03-14 2013-11-05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V application behaviors through the use of application profile filters
KR20050073008A (ko) 2004-01-08 200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호 채널 설정 및 전환방법
US20060064719A1 (en) * 2004-09-17 2006-03-23 Youden John J Simultaneous video input display and selection system and method
JP4828812B2 (ja) 2004-09-27 2011-11-30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KR20060087943A (ko) 2005-01-31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KR100681900B1 (ko) 2005-02-24 2007-02-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를 위한 감정표현 애니메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US8635659B2 (en) * 2005-06-24 2014-01-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dio receiver modular card and method thereof
US20070052549A1 (en) * 2005-08-22 2007-03-08 Conte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encoded signal information stored in a remote control unit through direct key entry
US7747968B2 (en) * 2006-09-11 2010-06-29 Apple Inc. Content abstraction presentation along a multidimensional path
JP4543114B1 (ja) * 2009-03-03 2010-09-15 株式会社東芝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558B1 (ko) 2011-12-13
US8724025B2 (en) 2014-05-13
US8130266B2 (en) 2012-03-06
US20120133832A1 (en) 2012-05-31
US20080136906A1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558B1 (ko) 영상신호 선택방법 및 영상처리장치
KR100539537B1 (ko) 입력 레이블링 기능을 갖는 티브이 및 그 레이블링 방법
KR100661649B1 (ko)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US2009021945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4473739B2 (ja) 映像装置、及びそのメニュー操作方法
JP2009118423A (ja) 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60043956A (ko) 리모콘 숫자키를 이용한 선호 채널 설정 시스템 및 방법
JP5908042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遠隔操作装置
JP200508646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操作器を用いるオーディオビデオ機器
KR100913018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입력모드 절환방법
KR100991775B1 (ko) 프로그램 카테고리에 따른 채널 안내 및 전환방법
KR100697424B1 (ko) 영상표시기기의 피아이피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6081106A (ja) マルチ画面制御装置,表示装置
KR1010900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753999B1 (ko) 텔레비젼에서 채널 마크 기능을 이용한 채널 이동 방법
KR20040079110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리모컨 제어방법
KR101021724B1 (ko) 영상표시기기
KR20090030181A (ko) 통합 리모콘의 기기모드 전환 방법
KR20080028246A (ko) 선호채널과 외부입력 설정방법
KR20100045302A (ko)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21648A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리콜 키 설정 방법
KR20010060468A (ko) 티브이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3125300A (ja) Favoriteキーによる番組選局システム
KR20080032830A (ko) 티브이 및 이를 이용한 채널 정보 제공 방법
KR20090016929A (ko) 티브이 및 이를 이용한 동작 모드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