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306A - 칼날몸체등받이 커터칼 - Google Patents

칼날몸체등받이 커터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306A
KR20080050306A KR1020070112334A KR20070112334A KR20080050306A KR 20080050306 A KR20080050306 A KR 20080050306A KR 1020070112334 A KR1020070112334 A KR 1020070112334A KR 20070112334 A KR20070112334 A KR 20070112334A KR 20080050306 A KR20080050306 A KR 20080050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ody
blade
cutter knife
backrest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상
Original Assignee
조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상 filed Critical 조원상
Priority to KR102007012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5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5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2Guards or sheaths for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2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segmented blades

Abstract

본 발명은 칼날몸체등받이 커터칼에 관한 것으로, 커터칼 사용 중 칼날몸체가 쉽게 휘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칼날몸체 상단 위를 이동하며 칼날몸체 상단부를 일정구간 덮어 지지해 주는 칼날몸체등받이(3)를 설치하고, 또한 커터칼케이스에는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을 별도로 설치하며, 커터칼 사용 중 칼날몸체등받이와 칼날몸체 상단부 사이에 틈새가 벌어지는 것과 칼날이 커터칼케이스 하단과 마찰함으로써 칼날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단계로, 스프링(spring)에 의해 칼날몸체를 바쳐주고 제 2단계로 칼날몸체등받이 상단부에 자석들을 부착함으로써, 칼날몸체가 쉽게 휘어 부러짐을 방지하여 커터칼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112334
커터칼, 칼날몸체등받이,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 토션스프링, 자석

Description

칼날몸체등받이 커터칼{A cutter with support for back of the body of bl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칼의 모습을 나타낸 것
도 2는 종래의 커터칼의 모습을 나타낸 것
도 3은 커터칼몸체를 나타낸 것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칼날몸체등받이 및 그 후미에 부착된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을 나타낸 것
도 5는 칼날몸체 상단 부분을 칼날몸체등받이가 덮어 지지해 주는 모습을 나타낸 것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커터칼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칼날몸체이동버튼홈(4) 뿐만 아니라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5)이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커터칼케이스(6) 속에 칼날몸체등받이가 장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커터칼케이스 속에 칼날몸체와 칼날몸체등받이가 조립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칼날몸체이동버튼을 앞으로 밀어 칼날몸체가 커터칼케이스로 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모습을 나타낸 것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을 앞으로 밀어 칼날몸체등받이가 전방으로 나와서 칼날몸체 상단부를 덮어 지지해준 모습을 나타낸 것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커터칼 사용 도중 칼날몸체등받이와 칼날몸체 상단부 사이에 틈이 벌어진 것을 나타낸 것
도 12는 칼날몸체 앞부분이 아래로 처져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
도 13은 칼날몸체가 스프링(spring)에 의해 아래로 처지지 않고 위쪽으로 치켜든 상태를 나타낸 것
도 14는 본 발명에서의 커터칼의 칼날몸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칼날몸체구멍(K1)뿐만 아니라 또 하나의 칼날몸체 리프트(lift) 구멍(K2)이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도 15는 도 13에서 사용된 스프링(spring)(S)의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
도 16은 칼날몸체이동버튼의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
도 17은 칼날몸체등받이 상단부에 자석(M)들을 부착 고정시킨 것을 나타낸 것
도 18은 도 17의 칼날몸체등받이 상단부에 자석(M)들이 부착 고정된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별도로 나타낸 것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커터칼의 모습으로서, 칼날몸체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위를 칼날몸체등받이가 덮어 지지해주며, 칼날몸체등받이와 칼날몸체 상단부가 스프링(spring)(S)과 자석들(M)에 의해 밀착된 모습을 나타낸 것.
도 20은 도 19의 커터칼 사용후 보관을 위해 칼날몸체와 칼날몸체등받이를 커터칼케이스 안쪽으로 밀어 넣은 상태를 나타낸 것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칼날몸체 2:칼날몸체 대각선홈
3:칼날몸체등받이 4:칼날몸체이동버튼홈
5: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 6: 커터칼케이스
7: 칼날몸체이동버튼돌출부 8:종래 커터칼의 케이스
B1: 칼날몸체이등버튼 B2: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
K1: 칼날몸체구멍 K2: 칼날몸체 리프트(lift) 구멍
M: 자석 S: 스프링(spring)
본 발명은 커터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터칼의 칼날몸체가 사용 중 쉽게 휘어 부러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칼날몸체 상단 부분을 덮어 감싸며 지지해주기 위한 별도의 칼날몸체등받이(3)를 설치하여 그것이 칼날몸체 상단부분 위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해가며 칼날몸체 상단 부분의 일정구간을 덮어 지지해 줌으로써 사용 중 칼날몸체가 쉽게 휘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칼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커터칼은 본 발명에서의 커터칼과는 달리 칼날몸체(1)의 상단부분을 지지해주는 칼날몸체등받이가 없어 사용 도중 칼날 몸체가 특히 칼날몸체대각선홈(2)들 부분을 중심으로 쉽게 휘어 부러짐으로서 손에 부상을 입는 등 위험하고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커터칼 사용 도중 칼날몸체가 쉽게 휘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좀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커터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의 커터칼과는 달리 칼날몸체 상단부분을 덮어 감싸며 지지해 줄 수 있는 별도의 칼날몸체등받이(3)와 그 후미 부분에 부착 고정된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B2)의 전후이동을 위한 별도의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5)을 커터칼케이스(6)에 설치하였는데, 칼날몸체이동버튼(B1)을 칼날몸체이동버튼홈(4)을 따라 앞으로 밀어 칼날몸체가 커터칼케이스(6) 전방으로 돌출되게 한 다음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B2)을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5)을 따라 앞으로 밀면 칼날몸체등받이(3)가 커터칼케이스(6) 전방으로 돌출한 칼날몸체의 상단 부분 위를 따라 앞으로 나오면서 칼날몸체 상단부분을 덮어 감싸며 지지해 주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커터칼 사용도중 도 11처럼 칼날몸체등받이(3)와 칼날몸체상단 부분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그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단계로, 도 13에서처럼 스프링(spring)(S)에 의해 칼날몸체 앞 부분이 아래로 처지지 않고 위쪽을 향하여 치켜들게 함으로써 칼날몸체 상단부가 칼날몸체 등받이(3)에 밀착되도록 하고,
제 2단계로, 도 17에서처럼 칼날몸체등받이(3) 상단부에 자석(M)들을 부착 고정시킴으로써 그 자석(M)들의 자력(磁力)에 의해 상기의 칼날몸체등받이(3)와 칼날몸체 상단부가 분리되지 않고 더욱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터칼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칼날몸체이동버튼(B1)을 앞으로 밀어 칼날몸체가 커터칼케이스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게 되고 그 다음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B2)을 앞으로 밀므로서 칼날몸체등받이(3)가 전방으로 나오면서 칼날몸체 상단부분을 덮어감싸주고, 이 때 칼날몸체등받이(3)와 칼날몸체 상단부 사이가 벌어져 틈이 생기지 않도록 칼날몸체이동버튼(B1)에 연결 장착된 스프링(S)에 의해 칼날몸체 상단부가 아래로 처지지 않고 칼날몸체등받이(3) 쪽으로 밀착되고, 또한 칼날몸체등받이(3) 상단부에 부착 고정된 자석(M)들의 자력(磁力)에 의해 칼날몸체등받이(3)와 칼날몸체 상단부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더욱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커터칼 사용 중 칼날이 쉽게 휘어 부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럼 이하에서 본 발명의 커터칼의 구조 및 작동 원리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커터칼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커터칼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며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커터칼은 사용 도중 특히 칼날몸체(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새겨져 있는 칼날몸체대각선홈(2)들 부위를 중심으로 쉽게 휘어 부러짐으로서 칼날이 튀어 날라들어 얼굴이나 눈 등을 다칠 수 있고, 또한 목표물을 자름에 있어 칼날이 휘어 손을 다칠 수가 있도 또 절단 방향이 빗나가 원하는 작업을 하지 못함으로써 사용이 불편하고 다소 위험한 점이 있었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칼날몸체(1) 위에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칼날몸체등받이(3)를 도 5에서처럼 칼날몸체 상단 위에 얹혀 덮으면, 그 얹혀 덮힌 구간(R2)의 칼날몸체 부분은 그렇지 않은 구간(R1)의 칼날몸체 부분보다 좌우로부터 밀어 압력을 받았을 때 휘어 부러질 가능성이 훨씬 더 적게 된다.
실제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도 4와 도 5의 칼날몸체등받이(3)가 도 6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서 별도 고안된 커터칼케이스 속에 도 7에서처럼 장착되어,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B2)을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5)을 따라 앞 뒤로 밀면 그에 따라 칼날몸체등받이(3)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처럼 칼날몸체등받이(3), 칼날몸체 및 칼날몸체이동버튼(B1)을 커터칼 케이스 속에 넣어 조립 장착한 다음( 즉, 도 3의 칼날몸체를 칼날몸체구멍(K1)에 도 16에서와 같은 칼날몸체이동버튼의 돌출부(7)를 끼워 연결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의 커터칼케이스(6) 속에 넣은 후 칼날몸체이동버튼(B1)이 칼날몸체이동버튼홈(4)에 위치하도록 하고,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칼날몸체등받이(3)를 커터칼케이스(6) 안에 넣고 그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 (B2)이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5)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칼날몸체이동버튼(B1)을 앞으로 밀면 도 9에서처럼 칼날몸체가 커터칼케이스(6) 전방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단지 이 단계의 상태(즉, 도 9에서와 같은 상태)는 종래의 커터칼의 구조(도 2)에서 칼날몸체이동버튼(B1)을 앞으로 밀어 칼날몸체가 커터칼케이스(8) 전방으로 돌출되게 한 상태와 별 다를 바 없으며, 이 상태에서는 칼날몸체가 사용 중 쉽게 휘어지면서 부러질 가능성이 많게 된다.
계속해서, 다시 도 9의 상태에서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B2)을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5)을 따라 앞으로 밀면 칼날몸체등받이(3)가 커터칼케이스(6) 전방으로부터 돌출된 상기의 칼날몸체 상단부분 위를 따라 앞으로 나오면서 도 10에서처럼 칼날몸체 상단부분을 덮어 감싸게 된다.
이처럼 도 10의 상태에서 즉, 칼날몸체등받이(3)가 칼날몸체 상단부분을 덮어 지지해주는 상태에서 커터칼을 사용하게 되면 칼날몸체가 쉽게 휘어 부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도 10의 상태로 커터칼을 사용하게 될 때, 사용 도중 도 11에서처럼 칼날몸체등받이(3)와 칼날몸체 상단부 사이가 벌어져 틈이 생김으로서 칼날몸체등받이(3)가 칼날몸체 상단부를 제대로 덮어 감싸 지지해 주지 못하고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사용이 불편할 수가 있고, 또한 칼날이 커터칼케이스 하단과 마찰함으로써 칼날이 쉽게 마모될 수가 있다.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의 한 예는 도 12에서처럼 칼날몸체 앞 부분이 중력에 의해 칼날몸체이동버튼의 돌출부(7)를 축으로 하여 아래로 쳐짐으로써 칼날몸체 상단부분이 칼날몸체등받이(3)로부터 분리되어 틈 이 벌어질 때 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그와같이 칼날몸체 상단부가 칼날몸체등받이(3)로부터 떨어져 틈이 벌어지고, 또한 칼날이 칼날케이스 하단과 마찰되어 칼날이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의 2 단계 조치를 취한다. 여기서의 조치는 제 1단계나 2 단계의 조치를 선택적으로 취하거나 또는 1단계와 2단계를 모두 취할 수 있다.
제 1 단계, 도 13처럼 칼날몸체 앞부분이 아래로 처지지 않고 위쪽을 향해 치켜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4에서와 같이 칼날몸체에 칼날몸체구멍(K1)외에 또 하나의 칼날몸체 리프트(lift) 구멍(K2)이 설치된 별도 고안된 칼날몸체를 사용하여, 칼날몸체구멍(K1)과 도 15와 같은 스프링(spring)(S) 고리 홈에 도 16의 칼날몸체이동버튼의 돌출부(7)를 끼운 다음 스프링(S) 한쪽 끝을 도 14의 칼날몸체 리프트 구멍(K2)에 끼워 연결하고 다른 한쪽 끝을 칼날몸체이동버튼(B1) 하단부 일정 지점에 고정시킴으로써 칼날몸체 앞부분이 스프링(S)의 힘에 의해 아래로 처지지 않고 위쪽으로 치켜든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는 본 발명의 커터칼의 칼날몸체등받이(3)와 칼날몸체 상단부가 분리되어 틈이 벌어지지 않고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프링(spring)(S)에 의해 칼날몸체 앞부분이 아래로 처지지 않고 위를 향해 들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칼날이 커터칼 케이스 하단부와 마찰됨으로써 야기되는 칼날의 마모와 손상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단계는 도 17에서처럼 칼날몸체등받이(3) 상단부 일정 지점들에 자석(M)들을 부착 고정시킴으로써 그 자력(磁力)에 의해 칼날몸체등받이(3)와 칼날몸체 상단부 사이에 틈이 벌어지지 않고 더욱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19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커터칼을 사용하게 되면, 칼날몸체등받이(3)가 칼날몸체 상단부분을 덮어 감싸 지지해 주고, 이 때 커터칼 사용 도중 칼날몸체등받이(3)와 칼날몸체 상단부 사이가 벌어져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단계로 칼날몸체이동버튼(B1)에 설치된 스프링(spring)(S)에 의해 칼날몸체 상단부가 칼날몸체등받이(3)에 밀착하게 되고 또 제 2 단계로 칼날몸체등받이(3) 상단부 일정 지점들에 부착 고정된 자석들(M)의 자력(磁力)에 의해 칼날몸체 상단부가 칼날몸체등받이와 분리되지 않고 더욱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커터칼 사용시 칼날몸체가 쉽게 휘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해 주고 또한 커터칼날이 커터칼케이스의 하단부와 마찰하면서 칼날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해줌으로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커터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도 13처럼 칼날몸체 앞부분이 아래로 처지지 않고 치켜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칼날몸체 리프트(lift) 구멍(K2)에 스프링(spring)(S)의 한쪽 끝을 끼워 연결할 경우, 여기서 커터칼 몸체 상의 리프트 구멍(K2)의 위치는 도 14에서처럼 고정된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예를 들어 칼날몸체구멍(K1)의 뒤쪽이나 좌우측), 또한 칼날몸체 리프트(lift) 구멍(K2) 대신에 칼날몸체 일정 부위 가장자리에 홈을 내어 스프링(spring)(S)이 그 홈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칼날몸체가 아래로 쳐지지 않게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칼날몸체등받이(3)와 칼날몸체 상단부 사이가 분리되어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칼날몸체등받이(3) 상단부에 자석(M)들을 부착할 경우((도17), (도18)), 그 자석(M)의 수와 모양 및 그 부착 위치는 고정된 것이 아니고 커터칼의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칼날몸체등받이의 이동 및 정지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칼날 사용 중 본의 아니게 칼날이 앞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5)의 한쪽 또는 양쪽을 따라 일련의 물결무니의 파형 또는 직각의 모형으로 된 일련의 요철형을 둘 수 있고, 또한 커터칼 사용 중 칼날이 앞뒤로 밀리지 않고 자동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B2)에 칼날자동정지버튼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의 한쪽 또는 양쪽을 따라 설치된 일련의 요철형들은 파형이나 직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고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터칼은 칼날몸체등받이(3)가 칼날몸체 상단부 위를 이동해가며 칼날몸체 상단부의 적정 구간을 덮어주고, 칼날몸체이동버튼(B1)에 설치된 스프링(spring)(S)과 칼날몸체등받이(3)에 부착된 자석(M)들에 의해 칼날몸체 상단부가 칼날몸체등받이(3)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를 유지해줌으로써 사용 중 칼날몸체가 쉽게 휘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해 주고 또한 칼날몸체가 커터칼케이스의 하단부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함으로써으로써 커터칼 사용중 손의 부상을 입는 등의 위험을 감소시켜 주고, 또한 커터칼날을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다.

Claims (6)

  1. 커터칼에 있어서,
    커터칼 사용 도중 칼날몸체가 쉽게 휘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칼날몸체 상단부분 위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칼날몸체 상단 부분을 일정구간 덮어 감싸며 지지해 줄 수 있는 별도의 칼날몸체등받이(3) 및 그 후미 부분에 부착 고정된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B2)을 갖추고;
    또한 커터칼케이스(6)에 상기의 칼날몸체등받이(3)의 전후방 이동 조작을 위한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B2)의 전후 이동을 가능케 해주는 별도의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터칼케이스의 상단의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5)을 따라 칼날몸체등받이의 이동거리의 조정의 용이를 위해, 그리고 커터칼 사용 중 본의 아니게 앞뒤로 밀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을 설치하기 위해 커터칼케이스 상단의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5)을 따라 한쪽 또는 양쪽에 일련의 물결무늬 파형이나 또는 직각으로된 일련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홈을 따라 이동하는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을 사용 중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있도로, 자동 이동 정지 잠금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몸체등받이이동버튼을 갖춘 커터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칼날몸체가 칼날몸체등받이와 분리되지 않고; 또한 칼날이 커터칼케이스 하단부와 마찰함으로써 칼날이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에 의해 칼날이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칼날몸체가 아래로 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칼날몸체를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받쳐주기 위해 칼날몸체에 칼날몸체구멍(K1) 뿐만 아니라 칼날리프트구멍(K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칼.
  6. 청구항 1에 잇어서, 칼날몸체등받이의 상단에 자석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칼
KR1020070112334A 2006-12-01 2007-11-05 칼날몸체등받이 커터칼 KR20080050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535A KR100952579B1 (ko) 2006-12-01 2007-12-03 안전커터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690 2006-12-01
KR20060120690 2006-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306A true KR20080050306A (ko) 2008-06-05

Family

ID=398057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334A KR20080050306A (ko) 2006-12-01 2007-11-05 칼날몸체등받이 커터칼
KR1020070124535A KR100952579B1 (ko) 2006-12-01 2007-12-03 안전커터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535A KR100952579B1 (ko) 2006-12-01 2007-12-03 안전커터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800503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3763A (zh) * 2019-07-10 2019-10-22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片状软组织切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3132A (en) * 1986-08-08 1989-03-21 James Castelluzzo Utility knife
KR200413367Y1 (ko) * 2006-01-05 2006-04-06 이현민 커트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3763A (zh) * 2019-07-10 2019-10-22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片状软组织切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350A (ko) 2008-06-05
KR100952579B1 (ko) 201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1792B2 (en) Fixture of memory card base
JP6148538B2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け機構
JP5127025B2 (ja) 下部プレートと上部プレートから構成されるケースを有するリンク要素
EP2592463B1 (en) Lens receptor lock for glasses
KR20080050306A (ko) 칼날몸체등받이 커터칼
JP2007332524A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け機構
US10317054B1 (en) Lamp retention and shielding
JP4192058B2 (ja) 遊技機用筐体の取手孔カバー
JP2007195712A (ja) パチンコ機
JP4636038B2 (ja) 空気調和機
JP6471583B2 (ja) キャビネットおよびアタッチメント
KR200407535Y1 (ko) 귀걸이
JP2006290572A (ja) テープカッター
CN107458321B (zh) 一种汽车护板的安装结构
WO2008066365A1 (en) A safe cutter
JP2020056235A (ja) アームストッパー
CN108800232A (zh) 一种集成灶用防止炒锅油滴飞溅的阻挡装置及安装方法
JP2005289302A (ja) 外部ミラー
JP2005264633A (ja) 蝶番
WO2008044291A1 (fr) Coupe-ruban
JP3111163U (ja) 着脱容易な壁掛装置
JP2005110705A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5070126A (ja) メガネフレームの鼻当てパット
KR20070025693A (ko) 후드 스테이 로드 후크
JP2000254162A (ja) 屈曲した溶接用遮光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