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397A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397A
KR20080047397A KR1020087006571A KR20087006571A KR20080047397A KR 20080047397 A KR20080047397 A KR 20080047397A KR 1020087006571 A KR1020087006571 A KR 1020087006571A KR 20087006571 A KR20087006571 A KR 20087006571A KR 20080047397 A KR20080047397 A KR 20080047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car
drive device
ventilation duc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25110B1 (en
Inventor
마사노리 야스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7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1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Abstract

In an elevator device, a drive device is placed in a hoistway. An elevator car is moved up and down in the hoistway by the drive device. A ventilation duct is provided in the hoistway. The ventilation duct has an upper air-inlet/outlet positioned in the hoistway, above a landing doorway of the uppermost floor, and also has a lower air-inlet/outlet positioned in the hoistway, below the upper air-inlet/outlet.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Elevator device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구동장치가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 없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of a machine roomless type in which a drive device is installed in a hoistway.

종래의 기계실 없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환기장치가 불필요한 경우가 많지만, 구동장치의 주위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환기장치가 필요하다. 이것에 대해서,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최상층에 정지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의 환기장치에 의해서 승강로 내 및 엘리베이터 칸 내를 환기하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In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less type, a ventilation device is generally unnecessary, but a ventilation device is required when the temperature around the drive device becomes high.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economy and the like, an elevator apparatus for ventilating the inside of a hoistway and the inside of a car by a car ventilator has been proposed in a state where the door of the car is opened when the car stops on the top floor.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01-7234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72347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최상층에 정지하고 있을 때밖에 승강로 꼭대기부의 환기를 행할 수 없어, 승강로 꼭대기부의 온도가 상승해 승강로 꼭대기부에 설치된 기기의 수명이 짧아질 우려가 있었다. 또, 승강로 꼭대기부의 환기를 충분히 행하기 위해서는, 도어가 열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을 최상층에 장시간 정지하게 할 필요가 있어 엘리베이터 장치의 가동률이 저하해 버린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possible to ventilate the top of the hoistway only when the car is stopped at the top flo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top of the hoistway rises, which may shorten the life of equipment install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 In addition, in order to fully ventilate the top of the hoistway, it is necessary to stop the car on the uppermost floor for a long time with the door open, and the operation rate of the elevator device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 꼭대기부의 온도 상승을 효율 좋게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top of a hoistway efficiently.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장치,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승강로 내에서 최상층의 승강장 출입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 급배기구(給排氣口 : air supply and exhaust opening)와, 승강로 내에서 상부 급배기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 급배기구를 가지는 통풍 덕트를 구비하고 있다.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device installed in a hoistway, a car for lifting up and down the hoistway by the drive device, and an upper air supply / exhaust mechanism located above the entrance of the top floor in the hoistway. and an exhaust duct having a lower air supply and exhaust opening located below the upper air supply and discharge in the hoistway.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장치,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및 승강로 내에서 최상층의 승강장 출입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단부와, 승강로 내에서 상단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부를 가지고,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영역과 균형추의 승강 영역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구획판을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device installed in a hoistway, a car for lifting up and down the hoistway by means of a drive device, an upper end positioned above the entrance of the platform on the top floor in the hoistway, and an upper end part in the hoistway. It has a lower end part located below and is provided with the partition plate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lifting area of a cage | basket | car and the lifting area of a counterweigh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할 때 상태를 나타내 는 구성도이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the car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descends. FIG.

도 3은 도 1의 승강로 천장으로부터의 거리와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ceiling of the hoistway of FIG. 1 and the temperatur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Preferred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main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상부(승강로 꼭대기부)에는 구동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2)는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부와,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를 가지고 있다. 또, 구동장치(2)는 구동 쉬브 의 회전축이 연직 또는 대략 연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장치(2)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짧은 박형(薄型) 권상기(卷上機)가 이용되고 있다. 더욱이 또한, 구동장치(2)는 승강로 꼭대기부에 고정된 지지 빔(beam)(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In the figure, the drive device 2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n the hoistway 1. The drive device 2 has a drive sheave, a motor portion for rotating the drive sheave, and a brake portion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Moreover, the drive device 2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of a drive sheave may become perpendicular or substantially perpendicular. Moreover, as the drive device 2, a thin hoisting machine whose axial dimension is shorter than the dimension of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is used. Furthermore, the drive device 2 is supported by a support beam (not shown) fixed to the top of the hoistway.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는 구동 쉬브에 감겨진 메인 로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어 구동장치(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not shown)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by a main rope (not shown)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thereby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device 2. do.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승강로 꼭대기부를 환기하기 위한 통풍 덕트(4)가 설치되어 있다. 통풍 덕트(4)는 승강로(1) 내에서 최상층의 승강장 출입구(5)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 급배기구(4a)와, 승강로(1) 내에서 상부 급배기구(4a)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 급배기구(4b)를 가지고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ventilation duct 4 for ventilating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s provided. The ventilation duct 4 has an upper air supply and exhaust mechanism 4a located above the landing entrance and exit 5 on the uppermost floor in the hoistway 1, and a lower part located below the upper air supply and exhaust 4a within the hoistway 1. It has a supply / exhaust mechanism 4b.

상부 급배기구(4a)는 승강로 꼭대기부에 위치하고, 구동장치(2)의 측면에 대향하고 있다. 하부 급배기구(4b)는 승강로(1) 내에서 최상층의 바닥면의 레벨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바로 아래로 향하여 개구(開口)하고 있다. 즉, 통풍 덕트(4)는 상부 급배기구(4a)의 근방에서 대략 직각으로 굽어져 있고, 통풍 덕트(4)의 상부 급배기구(4a) 측의 단부는 수평으로, 하부 급배기구(4b) 측의 단부는 수직으로 되어 있다. 또, 통풍 덕트(4)의 상단부는 구동장치(2)를 지지하는 지지 빔에 고정되어 있다. 즉, 지지 빔에는 구동장치(2)를 장착하는 구동장치 장착부와, 통풍 덕트(4)를 장착하는 덕트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다.The upper supply / discharge mechanism 4a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and faces the side of the drive device 2. The lower air supply / discharge mechanism 4b is located above the level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most layer in the hoistway 1, and opens directly downward. That is, the ventilation duct 4 is ben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air supply and exhaust mechanism 4a, and the end of the upper air supply and exhaust mechanism 4a side of the ventilation duct 4 is horizontal, and the lower air supply and exhaust mechanism 4b side is provided. The end of is vertical. Moreover, the upper end of the ventilation duct 4 is being fixed to the support beam which supports the drive apparatus 2. In other words, the support beam is provided with a drive unit mounting unit for mounting the drive unit 2 and a duct mounting unit for mounting the ventilation duct 4.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 강로(1)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상승되면, 승강로(1) 내의 상부의 공기가 엘리베이터 칸(3)에 의해 밀려 통풍 덕트(4)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흐른다. 반대로,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되면,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 꼭대기부의 따뜻한 공기가 엘리베이터 칸(3)과 함께 하강되어 비교적 차가운 공기가 통풍 덕트(4)를 통과하여 상승된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 꼭대기부 부근의 온도 상승이 효율 좋게 억제되어 승강로 꼭대기부에 배치된 구동장치(2) 등의 기기의 온도 마진(margin)이 확보되어 기기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1, when the cage | basket | car 3 is raised in the hoistway 1, the upper air in the hoistway 1 is pushed by the cage | basket | car 3, and the ventilation duct ( It passes through 4) and flows downward. On the contrary, when the cage | basket | car 3 descend | falls,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2, the warm air of the top of a hoistway descend | hangs with the cage | basket | car 3, and comparatively cool air rises through the ventilation duct 4, and is rais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rise near the top of the hoistway can be efficiently suppressed, and the temperature margin of the device such as the drive device 2 dispos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can be ensured,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machine.

도 3은 도 1의 승강로 천장으로부터의 거리와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파선은 통풍 덕트(4)를 이용한 환기를 행하지 않는 경우, 실선은 통풍 덕트(4)를 이용한 환기를 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환기를 행하지 않는 경우, 도 3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 꼭대기부의 온도는 천장부에서 가장 높고, 최상층의 승강장 출입구(5) 부근에서 급격하게 저하한다. 이것에 대해서, 환기를 행하는 경우, 도 3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 꼭대기부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승강장 출입구(5) 부근은 도어 개폐에 의해서 승강장과의 환기가 행해지기 쉽기 때문에, 통풍 덕트(4)에 의해서 승강로 꼭대기부의 따뜻한 공기가 보내져도 온도 상승은 거의 없게 된다.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ceiling of the hoistway of FIG. 1 and the temperature. When the broken line does not perform the ventilation using the ventilation duct 4, the solid line shows the case where the ventilation using the ventilation duct 4 is performed. It is shown. When ventilation is not performed, as shown by the broken line of FIG. 3, the temperature of the top of a hoistway is highest in a ceiling part, and falls rapidly near the boarding point entrance 5 of the uppermost floor. On the other hand, when ventilating, as shown by the solid line of FIG. 3, the temperature of an upper part of a hoistway can be reduced. Moreover, since the ventilation with the platform is easy to be per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boarding point entrance and exit 5, even if warm air is sent to the top of the hoistway by the ventilation duct 4, there is almost no temperature rise.

여기서, 통풍 덕트(4)의 상부 급배기구(4a)의 개구 면적은 엘리베이터 칸(3)의 수직 투영 면적보다 충분히 작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에 의해 통풍 덕트(4) 이외에 흐르려고 하는 공기의 유로를 가능한 한 차단하면, 통풍 덕트(4) 내의 기류의 속도는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보다 충분히 빠르게 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3)의 수직 투영 면적이 상부 급배기구(4a)의 개구 면적의 10배로 하고, 손실을 무시한 경우, 통풍 덕트(4) 내의 기류의 속도는 엘리베이터 칸(3)의 주행 속도의 10배가 된다.Here, since the opening area of the upper air supply / exhaust mechanism 4a of the ventilation duct 4 is sufficiently smaller than the vertical projection area of the car 3, the air which is about to flow other than the ventilation duct 4 by lifting and lowering the car 3 is. By blocking the flow path as much as possible, the speed of the air flow in the ventilation duct 4 becomes sufficiently higher than the traveling speed of the car 3. For example, when the vertical projection area of the car 3 is 10 times the opening area of the upper air supply and exhaust port 4a, and the loss is ignored, the speed of the air flow in the ventilation duct 4 is driven by the car 3. 10 times the speed.

이와 같이, 통풍 덕트(4) 내의 기류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 승강로 꼭대기부에 배치된 구동장치(2) 등의 기기에 상부 급배기구(4a)를 대향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했을 때에 승강로 꼭대기부의 기기에 냉각풍을 내뿜을 수 있어 기기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 꼭대기부의 기기에 설치하는 팬을 소형화 또는 생략할 수 있어 기기를 소형화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speed of the air flow in the ventilation duct 4 is increased, and the car 3 is arranged by opposing the upper air supply and exhaust mechanism 4a to devices such as the drive device 2 dispos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When it descends, cooling wind can be blown out to the apparatus of the top of a hoistway, and an apparatus can be cooled efficiently. As a result, the fan installed in the equipment at the top of the hoistway can be miniaturized or omitted, and the equipment can be miniaturized.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구동장치(2)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6)는 최상층과 거의 같은 높이로 승강로 벽에 고정되어 있다. 제어장치(6)에는 냉각 팬(7)이 설치되고 있다.Next, FIG. 4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control apparatus 6 which controls the drive apparatus 2 is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control device 6 is fixed to the hoistway wall at about the same height as the top floor. The cooling apparatus 7 is provided in the control apparatus 6.

하부 급배기구(4b)는 제어장치(6)의 상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풍 덕트(4)에는 제어장치(6)와구동장치(2)를 접속하는 복수 개의 전기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삽입하여 통해져 수용되어 있다. 즉, 통풍 덕트(4)는 배선 덕트를 겸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The lower supply / discharge mechanism 4b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device 6. The plurality of electrical wires (not shown) connecting the control device 6 and the drive device 2 are inserted into the ventilation duct 4 to be accommodated therein. That is, the ventilation duct 4 also serves as a wiring duct.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하부 급배기구(4b)에 대향하여 제어장치(6)를 배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이 정지하고 있을 때나 아래층에서 승강되고 있을 때에서 있어서도, 제어장치(6)의 냉각 팬(7)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통풍 덕트(4)를 통과하여 승강로 꼭대기부의 환기를 행할 수 있어 승강로 꼭대기부의 온도 상승을 효율 좋게 억제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by arranging the control device 6 opposite the lower air supply / exhaust mechanism 4b, the cooling fan of the control device 6 even when the car 3 is stopped or when being lifted from the lower floor. By driving (7),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can be ventilated through the ventilation duct 4, and the temperature rise of the hoistway can be efficiently suppressed.

또, 통풍 덕트(4)가 배선 덕트를 겸하고 있으므로, 코스트를 저감함과 동시에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ventilation duct 4 also serves as a wiring duct, cost can be reduced and space can be utilized effectively.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1) 내의 상부(승강로 꼭대기부)에는 구동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12)는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부와,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부를 가지고 있다. 또, 구동장치(12)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장치(12)는 승강로 꼭대기부에 고정된 지지 빔(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Next, FIG. 5: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drive device 12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n the hoistway 11. The drive apparatus 12 has a drive sheave, a motor part which rotates a drive sheave, and a brake part which brakes rotation of a drive sheave. Moreover, the drive device 12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of a drive sheave may become horizontal. In addition, the drive device 12 is supported by a support beam (not shown) fixed to the top of the hoistway.

구동장치(12)의 근방에는 디플렉션 쉬브(13)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 및 디플렉션 쉬브(13)에는 메인 로프(14)가 감아 걸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15) 및 균형추(16)는 메인 로프(14)에 의해 승강로(11) 내에 매달려 있고, 구동장치(1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1) 내를 승강한다.In the vicinity of the drive device 12, a deflection sheave 13 is arranged. The main rope 14 i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and the deflection sheave 13. The car 15 and the counterweight 16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1 by the main rope 14, and the hoist 11 lifts the inside of the hoistway 11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device 12.

승강로 꼭대기부에는 구동장치(12)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7)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17)는 승강로 꼭대기부에서 승강로 벽에 고정되어 있다. 승강로(11) 내의 상부의 엘리베이터 칸(15)의 승강 영역과 균형추(16)의 승강 영역과의 사이에는 평판 모양의 구획판(18)이 설치되어 있다. 구획판(18)은 그 양측의 영역 사이의 공기의 유통을 차단한다. 또, 구획판(18)은 승강로(11) 내에서 최상층의 승강장 출 입구(5)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단부(18a)와, 승강로(11) 내에서 구획판(18)의 상단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부(18b)를 가지고 있다.At the top of the hoistway, a control device 17 for controlling the drive device 12 is provided. The controller 17 is fixed to the hoistway wall at the top of the hoistway. A plate-shaped partition plate 18 is provided between the lifting area of the upper cage 15 in the hoistway 11 and the lifting area of the counterweight 16. The partition plate 18 blocks the flow of air between the regions on both sides thereof. In addition, the partition plate 18 is located in the hoistway 11 above the upper end part 18a located above the boarding point entrance 5 of the uppermost floor, and is located below the upper end part of the partition plate 18 in the hoistway 11. It has a lower end 18b.

상단부(18a)는 구동장치(12)와 디플렉션 쉬브(1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단부(18b)는 최상층의 바닥면의 레벨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 구획판(18)은 승강로 벽 및 지지 빔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정되어 있다.The upper end 18a is disposed between the drive device 12 and the deflection sheave 13. The lower end 18b is located above the level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most layer. In addition, the partition plate 18 is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hoistway wall and the support beam.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11)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15)이 상승되어 균형추(16)가 하강되면, 승강로(11) 내에 도 5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기류가 발생하고, 승강로 꼭대기부의 따뜻한 공기가 균형추(16) 측의 통로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흘러, 아래쪽의 차가워진 공기가 엘리베이터 칸(15)과 함께 위쪽으로 흐른다. 반대로, 엘리베이터 칸(15)이 하강되어 균형추(16)가 상승되면, 승강로 꼭대기부의 따뜻한 공기가 엘리베이터 칸(15)과 함께 아래쪽으로 흐름과 동시에 아래쪽의 차가워진 공기가 균형추(16) 측의 통로를 통과하여 위쪽으로 흐른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when the cage 15 is raised in the hoistway 11 and the counterweight 16 falls, the airflow indicated by the arrow of FIG. 5 occurs in the hoistway 11, and warm air at the top of the hoistway causes the counterweight. It flows downward through the passage on the side of (16), and cold air of the lower side flows upward with the cage | basket | car 15. On the contrary, when the cage 15 is lowered and the counterweight 16 is raised, the warm air at the top of the hoistway flows downward with the cage 15 and the cold air at the bottom passes the passage on the counterweight 16 side. Pass through and flow upwards.

이것에 의해, 승강로 꼭대기부 부근의 온도 상승이 효율 좋게 억제되어 승강로 꼭대기부에 배치된 구동장치(2) 등의 기기의 온도 마진이 확보되어 기기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 구획판(18)에 의해 기류를 정돈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15)의 승강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temperature rise near the top of the hoistway can be efficiently suppressed, and the temperature margin of the device such as the drive device 2 dispos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can be ensured,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machine. Moreover, the airflow can be trimmed by the partition plate 18, and the lifting resistance of the cage | basket | car 15 can be reduced.

실시 형태 4.Embodiment 4.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실시 형태 3에 비해, 구획판(18)의 하단부(18b)가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구획판(18)의 상하 방향 치수가 실시 형태 3보다 길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단부(18b)는 최상층보다 2층 아래층의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Next, FIG. 6: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In this example, the lower end portion 18b of the partition plate 18 is located below the third embodiment. That is,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partition plate 18 is longer than 3rd Embodiment. Specifically, the lower end 18b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floor below the top floor.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third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5) 및 균형추(16)의 승강에 의해 승강로(11) 내에서 공기가 교반(攪拌)되는 범위가 증대된다. 따라서, 승강로 꼭대기부에서 아래쪽으로 흐르는 따뜻한 공기의 온도는 승강로 벽을 방열면(19)로서 서서히 저하된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 꼭대기부 부근의 온도 상승이 보다 확실하게 억제된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range in which the air is stirred in the hoistway 11 is increased by the hoisting of the car 15 and the counterweight 16.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warm air flowing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hoistway gradually decreases the hoistway wall as the heat dissipation surface 19. As a result, the temperature rise near the top of the hoistway is more reliably suppressed.

실시 형태 5.Embodiment 5.

다음에,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통풍 덕트(4)가 설치되어 있다. 통풍 덕트(4) 내에는 냉각 팬(2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의 천장부에는 승강로 꼭대기부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검출기(22)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 검출기(22)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제어장치(17)에 입력된다.Next, FIG. 7: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same ventilation duct 4 as Embodiment 1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cooling fan 21 is provided in the ventilation duct 4. In addition, a temperature detector 22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top of the hoistway is provided at the ceiling of the hoistway 1.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temperature detector 22 is input to the controller 17.

제어장치(17)는 온도 검출기(2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승강로 꼭대기부의 온도를 검출한다. 승강로 꼭대기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이르면, 제어장치(17)는 엘리베이터 칸(15)을 위쪽 층으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 칸(15) 및 균형추(16)의 승강에 의한 환기 동작을 행하게 한다. 또, 엘리베이터 칸(15)을 위쪽 층으로 이동시킬 수 없는 경우나, 엘리베이터 칸(15)을 정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17)는 냉각 팬(21)을 구동해 승강로 꼭대기부를 강제적으로 환기한다. 다 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동일하다.The controller 17 detects the temperature at the top of the hoistway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temperature detector 22. When the temperature at the top of the hoistway reaches a pre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17 moves the car 15 to the upper floor to perform the ventilation operation by lifting the car 15 and the balance weight 16. When the car 15 cannot be moved to the upper floor, or when the car 15 must be stopped, the controller 17 drives the cooling fan 21 to forcibly vent the top of the hoistway. do.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객에 대한 서비스를 우선시키면서, 승강로 꼭대기부 부근의 온도 상승을 효율 좋게 억제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temperature rise near the top of the hoistway can be efficiently suppressed while prioritizing service to the passenger.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 꼭대기부에 구동장치(2, 12)가 배치되어 있지만, 구동장치는 예를 들면 승강로 바닥부 등, 승강로 내의 다른 장소에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승강로 꼭대기부를 환기하는 것으로, 승강로 꼭대기부에 배치된 기기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drive devices 2 and 12 are dispos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but the drive device may be arranged at another place in the hoistway, for example, at the bottom of the hoistway. Also in this case, by ventilating the top of the hoistwa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ise in temperature of the apparatus arrang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또, 구동장치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 긴 세로로 긴 권상기로 하여도 좋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drive device may be a longitudinally long hoist that is lon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개의 통풍 덕트(4)를 이용했지만, 복수 개의 통풍 덕트를 이용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one ventilation duct 4 is used, but a plurality of ventilation ducts may be used.

더욱이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개의 통풍 덕트(4)에 1개의 상부 급배기구(4a)를 설치하였으나, 복수의 상부 급배기구를 가지는 통풍 덕트를 이용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하부 급배기구를 가지는 통풍 덕트를 이용하여도 좋다.Further, in the above example, one upper air supply and exhaust mechanism 4a is provided in one ventilation duct 4, but a ventilation duct having a plurality of upper air supply and exhaust mechanisms may be used. Similarly, a ventilation duct having a plurality of lower air supply and exhaust mechanisms may be used.

또, 통풍 덕트의 상부 급배기구를 구동장치에 대향시키는 경우, 구동장치에 설치되어 엔코더(모터부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검출기)에 상부 급배기구를 대향시키는 것에 의해, 비교적 열에 약한 엔코더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upper air supply / exhaust mechanism of the ventilation duct is opposed to the driving device, the upper air supply / exhaust mechanism is disposed on the driving device so as to oppose the upper air supply / exhaust mechanism to an encoder (a rotation detector that generates a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unit). Long life can be achie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장치가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 없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vator apparatus of a machine roomless type in which a driving device is provided in a hoistway.

Claims (8)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장치,Drive device installed in the hoistway,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A car for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by the drive device, and 상기 승강로 내에서 최상층의 승강장 출입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 급배기구(給排氣口 : air supply and exhaust opening)와, 상기 승강로 내에서 상기 상부 급배기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 급배기구를 가지는 통풍 덕트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Ventilation duct having an upper air supply and exhaust opening located above the landing entrance of the uppermost floor in the hoistway, and a lower air supply and exhaust mechanism located below the upper air exhauster in the hoistway. Elevator device provided with.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구동장치는 승강로 꼭대기부에서 상기 상부 급배기구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drive device is an elevator device which is disposed opposite the upper air supply and exhaust at the top of the hoistway.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통풍 덕트는 상기 구동장치에 접속되는 배선을 수용하는 배선 덕트를 겸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And said ventilation duct also serves as a wiring duct for accommodating wiring connected to said driv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통풍 덕트에는 냉각 팬이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is provided with a cooling fan in the ventilation duc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냉각 팬을 가지고, 상기 하부 급배기구에 대향하여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And a control device having a cooling fan and installed in the hoistway opposite the lower supply / exhaust mechanism to control the drive device.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냉각 팬은 승강로 꼭대기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이르렀을 경우에 구동되는 엘리베이터 장치.And the cooling fan is driven when the temperature at the top of the hoistway reaches a preset temperature.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장치,Drive device installed in the hoistway,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 및An elevator car and a balance weight for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by the driving device, and 상기 승강로 내에서 최상층의 승강장 출입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단부와, 상기 승강로 내에서 상기 상단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부를 가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영역과 상기 균형추의 승강 영역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구획판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It has an upper end located above the platform entrance of the uppermost floor in the hoistway, and a lower end located below the upper end in the hoistway, and is disposed between the lifting area of the car and the lifting area of the counterweight. Elevator device provided with a partition plate. 청구항 1 또는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7,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구비하고,Further comprising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device, 상기 제어장치는 승강로 꼭대기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이르렀을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위쪽층으로 이동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 형추의 승강에 의한 환기 동작을 행하게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nd the control device moves the car to the upper floor when the temperature at the top of the hoistway reaches a preset temperature, thereby causing the car and the balance weight to be ventilated.
KR1020087006571A 2005-11-22 2005-11-22 Elevator device KR10102511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21442 WO2007060714A1 (en) 2005-11-22 2005-11-22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397A true KR20080047397A (en) 2008-05-28
KR101025110B1 KR101025110B1 (en) 2011-03-25

Family

ID=3806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571A KR101025110B1 (en) 2005-11-22 2005-11-22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53109B1 (en)
JP (1) JP4926713B2 (en)
KR (1) KR101025110B1 (en)
CN (1) CN101277890B (en)
WO (1) WO200706071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5744B1 (en) 2020-07-13 2020-12-29 Robert E. Doyle Passenger elevator air purif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9755A1 (en) * 2007-08-06 200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JP2009227459A (en) * 2008-03-25 2009-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JP5923607B2 (en) * 2012-07-20 2016-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equipment
WO2022122744A1 (en) 2020-12-07 2022-06-16 Dussmann Technical Solutions Gmbh Elevator car having ventilation means for ventilating the car when the car is closed while traveling
DE102020132512A1 (en) 2020-12-07 2022-06-09 Dussmann Technical Solutions Gmbh Elevator car with ventilation means for ventilating the car when the car is closed while driving
CN114789089B (en) * 2022-03-11 2022-11-11 西尼机电(杭州)有限公司 Negative pressure elevator car with air disinfection filtering cap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324Y1 (en) * 1968-10-28 1973-03-12
JPS6043931A (en) * 1983-08-22 1985-03-08 Nec Corp Receiver
JPS6443078U (en) * 1987-09-10 1989-03-15
JP2812597B2 (en) * 1992-01-17 1998-10-2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levator air conditioner
JPH06135655A (en) * 1992-10-27 1994-05-17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Cooler for inside of elevator shaft
JPH06227757A (en) * 1993-02-03 1994-08-16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for elevator
JPH08231136A (en) * 1995-02-28 1996-09-10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Automatic fan driving device in elevator car
JPH0994121A (en) * 1995-09-29 1997-04-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abinet with air blower
JP2000313571A (en) * 1999-04-30 2000-11-1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Controller for elevator
JP2001072353A (en) * 1999-09-02 2001-03-21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apparatus
JP2004360943A (en) * 2003-06-02 2004-12-24 Sekisui Chem Co Ltd Air circulation mechanism using elevator shaft
WO2005070806A1 (en) 2004-01-27 2005-08-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rive unit for elevator apparatus, evator apparatus, installation method of elevator apparatus, and maintenance/inspection method of elevator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5744B1 (en) 2020-07-13 2020-12-29 Robert E. Doyle Passenger elevator air purif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26713B2 (en) 2012-05-09
JPWO2007060714A1 (en) 2009-05-07
EP1953109A4 (en) 2012-09-19
CN101277890B (en) 2011-07-27
WO2007060714A1 (en) 2007-05-31
KR101025110B1 (en) 2011-03-25
EP1953109A1 (en) 2008-08-06
EP1953109B1 (en) 2016-06-29
CN101277890A (en)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110B1 (en) Elevator device
EP1849736B1 (en) Car device of elevator
JP2007254053A (en) Elevator
JP5050526B2 (en) Elevator hoistway heat diffusion device
JP2001072353A (en) Elevator apparatus
JP5885172B2 (en) Elevator equipment
JP4356150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3146555A (en) Elevator
EP1710196B1 (en) Drive unit for elevator apparatus, elevator apparatus, installation method of elevator apparatus, and maintenance/inspection method of elevator apparatus
JP2008297093A (en) Elevator device
JP2017171488A (en) Elevator device
JP2013032192A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car
JP4189382B2 (en) Rooftop control unit for elevator system with removable cover
EP2810910B1 (en) Elevator device
JP2014005090A (en) Elevator device
JP2009113960A (en) Car top control device of elevator
JP2023067490A (en) Air-conditioning management device
JP2001063932A (en) Elevator device
JP7135140B1 (en) Elevator equipment and ventilation method
JP7102562B1 (en) Elevator equipment
KR100850836B1 (en) Heat diffusion device for elevator hoistway
JP2008230813A (en) Main control board automatic cleaning system for elevator
JPH06227757A (en)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for elevator
JPWO2016207994A1 (en) Elevator equipment
JP2000238971A (en)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