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917A -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917A
KR20080046917A KR1020060116585A KR20060116585A KR20080046917A KR 20080046917 A KR20080046917 A KR 20080046917A KR 1020060116585 A KR1020060116585 A KR 1020060116585A KR 20060116585 A KR20060116585 A KR 20060116585A KR 20080046917 A KR20080046917 A KR 20080046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hotographing apparatus
digital photographing
fa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724B1 (ko
Inventor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72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 부분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얼굴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얼굴 부분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지점의 얼굴 부분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다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얼굴 부분 90: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얼굴 부분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얼굴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플레이백 모드에서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촬영모드에서도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기도 한다.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 모드에서 촬영이 이루어진 직후 디스플레이부에 촬영된 이미지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플레이백 모드에서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그러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작은 이미지로는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가 의도한 부분에 초점이 맞은 이미지인지 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촬영에 의해 인물이 포함된 이미지를 얻게 될 경우 통상적으로 인물에 초점이 맞도록 디지털 촬영장치의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한정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작은 이미지로는 이미지 내의 얼굴 부분에 초점이 맞은 이미지 인지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얼굴 부분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얼굴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얼굴 부분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지점의 얼굴 부분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유형의 디스플레이부이며,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지점의 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은,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확대된 얼굴 부분을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얼굴 부분들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얼굴 부분들만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얼굴 부분들만을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얼굴 부분들만을 각각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여기서 CPU(10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ROM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얼굴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RAM은 이미지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 하는 기능을 한다.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로부터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신호가 출력되면 이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에 의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CPU(1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9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91)는 디스플레이부(9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얼굴 검출 처리부(51)에도 입력된다. 얼굴 검출 처리부(51)는 이미지 중 얼굴 부분을 검출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기록/판독 제어부(70)에 입력되는데, 이 기록/판독 제어부(7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매체(80)에 기록하며, 추후 기록매체(8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한다.
상기와 같이 촬영 모드일 경우 촬영에 의해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한 플레이백 모드일 경우에도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90)에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한정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가 축소되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얼굴 부분(1)에 초점이 정확하게 맞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될 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얼굴 부분(1)만을 확대하여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통해서 얼굴 부분에 초점이 정확하게 맞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얼굴을 포함한 이미지 내에서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것은 CPU(ROM)에 저장된 후술하는 것과 같은 얼굴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얼굴 검출 처리부(51, 도 1 참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촬영 모드일 경우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도 1 참조)를 통하여 얼굴 검출 처리부(51)에 입력되어, 얼굴 검출 처리부(51)가 이미지 중 얼굴 부분을 검출한다. 플레이백 모드일 경우에는 기록매체(8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가 기록/판독 제어부(70)에 의해 판독되어 메모리(60)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를 통해 얼굴 검출 처리부(51)에 입력되어, 얼굴 검출 처리부(51)가 이미지 중 얼굴 부분을 검출한다.
얼굴 부분을 검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얼굴의 주된 색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 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의 주된 색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고, 얼굴의 눈동자 또는 눈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 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의 눈동자 또는 눈의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으며, 눈썹 부분(또는 눈 부분)과 코 부분이 이루는 T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사전 입력되어 있어 이미지 데이터 중 그와 같은 T 형상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얼굴 부분을 검출하여 이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얼굴 부분에 초점이 정확하게 맞았는지 등의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 부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얼굴의 주된 색과 유사한 색을 가진 피사체가 얼굴과 함께 촬영될 경우 그와 같은 피사체를 얼굴 부분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눈동자 또는 눈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 피사체가 얼굴과 함께 촬영될 경우에도 그와 같은 피사체를 얼굴 부분으로 판단할 수도 있으며, 눈썹 부분(또는 눈 부분)과 코 부분이 이루는 T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 피사체가 얼굴과 함께 촬영될 경우에도 그와 같은 피사체를 얼굴 부분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이미지 데이터 중 얼굴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검출하되,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 영역에서 그와 같은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얼굴 부분의 검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먼저 전체 이미지를 축소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지점의 얼굴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주변부로 검색 영역을 확대해가면서 얼굴 부분을 검출한다. 따라서 얼굴 부분에 대하여 사전 입력된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얼굴 부분을 검출함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검색을 하므로, 정확하게 얼굴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얼굴 부분의 지점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지점에서 얼굴 부분을 검출하여 이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확하게 얼굴 부분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 다. 만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얼굴 부분의 지점이 아닌 다른 지점(1a)이 선택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1a)으로부터 시작하여 주변부로 얼굴 검색을 행하기 때문에, 얼굴 부분(1)이 아닌 다른 부분을 얼굴 부분으로 인식할 확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지점(1a)은 주로 얼굴 부분(1)에 인접한 지점일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지점의 판단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90)가 터치 스크린 유형의 디스플레이부로 구비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지점의 터치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신호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90) 상에 포인터를 축소된 이미지와 함께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버튼의 클릭 등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될 시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인 것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필요에 따라 확대된 얼굴 부분의 이미지만을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확대된 얼굴을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얼굴들이 포함된 이미지 가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얼굴 부분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의 참조번호 1a로 표시된 부분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지점이라면, 도 5에 도시된 두 인물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지점에 가장 인접한 좌측의 인물의 얼굴 부분을 확대하여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얼굴들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할 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얼굴부들만을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각 인물의 얼굴 부분이 정확하게 촬영되었는지 여부를 일시에 확인하려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복수개의 얼굴 부분들이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얼굴부들만 디스플레이되는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고, 나아가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얼굴부들만을 각각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의 경우에는 두 개의 이미지 파일이 두 얼굴 부분이 각각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얼굴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얼굴 부분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지점의 얼굴 부분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유형의 디스플레이부이며,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신호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스크린 상의 일 지점의 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은, 사용자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될 시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확대된 얼굴 부분을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5.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파일을 기록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얼굴 부분들이 포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얼굴 부분들만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얼굴 부분들만을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얼굴 부분들만을 각각 별도의 이미지 파일로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방법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KR1020060116585A 2006-11-23 2006-11-23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KR10127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585A KR101276724B1 (ko) 2006-11-23 2006-11-23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585A KR101276724B1 (ko) 2006-11-23 2006-11-23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917A true KR20080046917A (ko) 2008-05-28
KR101276724B1 KR101276724B1 (ko) 2013-06-19

Family

ID=3966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585A KR101276724B1 (ko) 2006-11-23 2006-11-23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11B1 (ko) * 2007-12-21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줌-인 장치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606A (ko) * 2005-03-31 2006-10-09 주식회사 팬택 촬영자 거리에 기반한 카메라 줌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811B1 (ko) * 2007-12-21 2014-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줌-인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724B1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3943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a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US8218833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determining presence or absence of image area, and recording medium
US8259192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laying mood music with image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CN102265597B (zh) 摄像装置
JP575325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4023174A (zh) 摄像装置、显示控制方法
WO2011058807A1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JP5106355B2 (ja) 表情判定装置、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70102404A (ko) 화상 표시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
US839154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KR101323735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20160353021A1 (en)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9065542A (ja) 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17456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JP2010181556A (ja)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JP2018007082A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76724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US1083919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3121097A (ja) 撮像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生成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
KR101366255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5526620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4175733A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US11729486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5200959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20100073766A (ko)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