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255B1 -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255B1
KR101366255B1 KR1020080015533A KR20080015533A KR101366255B1 KR 101366255 B1 KR101366255 B1 KR 101366255B1 KR 1020080015533 A KR1020080015533 A KR 1020080015533A KR 20080015533 A KR20080015533 A KR 20080015533A KR 101366255 B1 KR101366255 B1 KR 10136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image
storage medium
stored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214A (ko
Inventor
유수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255B1/ko
Priority to US12/389,429 priority patent/US8432402B2/en
Publication of KR2009009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련된 이미지파일들의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이미지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정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새로운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하는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관련된 이미지파일들의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파일로부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종인 디지털 촬영장치는 나아가 촬영모드에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파일을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 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그 이미지를 수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수정된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에 관한 이미지파일과 상이한 별도의 이미지파일로서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이 경우, 만일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들의 파일명이 예컨대 XXX0012.JPG, XXX0013.JPG, XXX0014.JPG 및 XXX0015.JPG라고 하고 디스플레이부에 XXX0013.JPG의 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그 이미지를 수정하여 별도의 이미지파일로 저장매체에 저장하게 되면, 이 별도의 이미지파일의 파일명은 XXX0016.JPG가 된다. 따라서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파일들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들을 한 개씩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원본 이미지인 XXX0013.JPG의 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와 수정된 이미지인 XXX0016.JPG의 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는 순차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며, 그러므로 사용자는 원본 이미지와 수정된 이미지를 상호 정확하게 비교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련된 이미지파일들의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정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새로운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하는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 파일의 개수와 제2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 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 파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 파일의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제2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제2이미지파일에 저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제1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정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새로운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할 시, 상기 제1이미지파일에 상기 제2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 파일의 개수와 제2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상기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 파일의 개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제2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정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새로운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할 시, 제2이미지파일에 상기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관련된 이미지파일들의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특히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파일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이미지파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이미지파일이라 함은 저장매체(70)에 저장되어 있는 일 이미지 파일을 의미한다.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도 1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일 수도 있고 이와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분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정하여 이를 저장매체(70)에 새로운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에 다양한 효과를 부가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가 칼라 이미지라면 이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할 수도 있고,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의 사이즈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에 부가할 수 있다. 물론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에 그와 같은 효과를 부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와 같이 수정된 이미지를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이때,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한다.
예컨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저장매체(7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들의 파 일명이 XXX0012.JPG, XXX0013.JPG, XXX0014.JPG 및 XXX0015.JPG라고 하고 디스플레이부(80)에 제1이미지파일인 XXX0013.JPG의 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가 그 이미지를 수정하여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매체(70)에 저장하게 되면, 이 제2이미지파일의 파일명은 XXX0016.JPG가 된다.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이와 같은 제2이미지파일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할 시, 제1이미지파일에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는데, 저장매체(70)에 저장한 제1이미지파일과 관련된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파일명 XXX0013.JPG의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하여 이를 수정하여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이 XXX0016.JPG밖에 없다면, 파일명 XXX0013.JPG의 제1이미지파일의 헤더에 "1" 이라는 제2이미지파일 개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만일 저장매체(70)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명 XXX0015.JPG 역시 파일명 XXX0013.JPG의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하여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이라면, 파일명 XXX0016.JPG의 제2이미지파일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할 시 파일명 XXX0013.JPG의 제1이미지파일의 헤더에는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에 관한 정보로서 "2"라는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디스플레이부(80)에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 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된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하여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가 4개라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이와 달리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가 3개이고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포함하여 관련된 총 이미지파일의 개수가 4개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들로부터의 이미지들(썸네일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면서, 현재 커서가 위치한 이미지와 관련된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와 관련된 제2이미지파일들의 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한다. 이때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술한 것과 달리 저장매체(70)에 저장한 제2이미지 파일의 개수에 대한 정보 외에 제2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도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저장매체(7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들의 파일명이 XXX0012.JPG, XXX0013.JPG, XXX0014.JPG 및 XXX0015.JPG라고 하고 디스플레이부(80)에 제1이미지파일인 XXX0013.JPG의 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가 그 이미지를 수정하여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매체(70)에 저장하게 되면, 이 제2이미지파일의 파일명은 XXX0016.JPG가 된다.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이와 같은 제2이미지파일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할 시, 제1이미지파일에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파일명 XXX0013.JPG의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하여 이를 수정하여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이 XXX0016.JPG밖에 없다면, 파일명 XXX0013.JPG의 제1이미지파일의 헤더에 "1, XXX0016.JPG" 이라는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물론 저장되는 데이터 형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 0016"과 같은 형식을 취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른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설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만일 저장매체(70)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명 XXX0015.JPG 역시 파일명 XXX0013.JPG의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하여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이라면, 파일명 XXX0016.JPG의 제2이미지파일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하기 전에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1, XXX0015.JPG"가 되며, 파일명 XXX0016.JPG의 제2이미지파일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하게 되면 파일명 XXX0013.JPG의 제1이미지파일의 헤더에는 "2, XXX0015.JPG, XXX0016.JPG"라는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제1이미지파일에는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제1이미지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이와 관련된 제2이미지파일들로부터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부(8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와 제2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와 같이 원본 이미지인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와 수정된 이미지인 제2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원본 이미지와 수정된 이미지를 동시에 놓고 비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미지들 사이의 차이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와 제2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일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들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설명 역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원본이미지에 칼라 마스크 효과를 부가하여 특정 부분만 칼라로 나타나고 다른 부분은 흑백으로 나타나도록 수정된 제2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가 선택되어, 그에 대핸 설명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만일 원본 이미지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원본 이미지라는 설명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할 시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제2이미지파일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제1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저장매체(7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들의 파일명이 XXX0012.JPG, XXX0013.JPG, XXX0014.JPG 및 XXX0015.JPG라고 하고 디스플레이부(80)에 제1이미지파일인 XXX0013.JPG의 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가 그 이미지를 수정하여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매체(70)에 저장하게 되면, 이 제2이미지파일의 파일명은 XXX0016.JPG가 된다.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이와 같은 제2이미지파일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할 시, 제2이미지파일에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제2이미지파일의 헤더부에 저장하는데, "XXX0013.JPG"와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이미지파일에 "1, XXX0016.JPG"와 같이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 및 제2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되는 정보 형식과 제2이미지파일에 저장되는 정보 형식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면, 제2이미지파일의 헤더부에 "0, XXX0013.JPG"와 같은 형식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가 제2이미지파일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할 시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예컨대 제1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 등)를 제2이미지파일에 저장할 경우, 제2이미지파일을 저장매체에서 삭제할 시 제2이미지파일의 헤더부에 저장된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로부터 제1이미지파일을 파악하고 제1이미지파일의 헤더부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에서 삭제되는 제2이미지파 일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저장매체(7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들의 파일명이 XXX0012.JPG, XXX0013.JPG, XXX0014.JPG, XXX0015.JPG 및 XXX0016.JPG라고 하고 XXX0015.JPG 및 XXX0016.JPG가 XXX0013.JPG의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정한 이미지에 대한 제2이미지파일이라면, 제1이미지파일인 XXX0013.JPG은 헤더부에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로서 "2, XXX0015.JPG, XXX0016.JPG"와 같은 정보를 갖고 있을 수 있고, 제2이미지파일인 XXX0015.JPG와 XXX0016.JPG은 헤더부에 각각 "XXX0013.JPG"라는 정보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XXX0015.JPG이라는 파일명의 제2이미지파일을 삭제할 경우, 삭제되는 XXX0015.JPG라는 파일명의 제2이미지파일의 헤더부에 저장되어 있는 "XXX0013.JPG"라는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제1이미지파일의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인 "2, XXX0015.JPG, XXX0016.JPG"를 "1, XXX0016.JPG"로 수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이미지파일을 삭제할 경우에도 전체적인 파일 관리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만일 제1이미지파일을 삭제할 경우에는 관련된 제2이미지파일이 모두 함께 삭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서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로서 디지털 촬영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장치는 이와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외에,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재생할 수 있는 PDA, 휴대폰 또는 컴퓨터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디지털 촬영장치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정하여 저장매체에 새로운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할 시, 제1이미지파일에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 파일의 개수 및/또는 제2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예컨대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 등)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제2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물론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정하여 저장매체에 새로운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할 시, 제2이미지파일에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예컨대 제1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 등)를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 장매체(70)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1이미지파일들로부터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와 제2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11: 렌즈 구동부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소자 31: 촬상소자 제어부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1: 저장/판독 제어부
70: 저장매체 81: 디스플레이 제어부
80: 디스플레이부 100: CPU
200: 조작부

Claims (15)

  1. 이미지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정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새로운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하는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 파일의 개수와 제2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 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시, 제2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파일 수정부는, 제2이미지파일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시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제2이미지파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제1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8.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정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새로운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할 시, 상기 제1이미지파일에 상기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 파일의 개수와 제2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상기 제1이미지파일에 저장된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 파일의 개수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제2이미지파일의 개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 제2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시, 제2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같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파일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정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새로운 제2이미지파일로 저장할 시, 제2이미지파일에 상기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파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이미지파일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80015533A 2008-02-20 2008-02-20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36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533A KR101366255B1 (ko) 2008-02-20 2008-02-20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2/389,429 US8432402B2 (en) 2008-02-20 2009-02-20 Apparatus for retouching and displaying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533A KR101366255B1 (ko) 2008-02-20 2008-02-20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214A KR20090090214A (ko) 2009-08-25
KR101366255B1 true KR101366255B1 (ko) 2014-02-20

Family

ID=4095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533A KR101366255B1 (ko) 2008-02-20 2008-02-20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32402B2 (ko)
KR (1) KR101366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5690B2 (en) * 2011-11-22 2015-09-15 The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Perceptual rating of digital image retouching
JP6337430B2 (ja) * 2013-08-22 2018-06-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49244B1 (ko) 2013-08-30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6532A1 (en) 2002-06-17 2004-04-08 Hironori Matsugi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prin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20050264833A1 (en) 2004-03-09 2005-12-01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retouching apparatus, corresponding image retouch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age retouching
US20060055785A1 (en) 2004-09-15 2006-03-16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gital camera, and image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6532A1 (en) 2002-06-17 2004-04-08 Hironori Matsugi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prin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20050264833A1 (en) 2004-03-09 2005-12-01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retouching apparatus, corresponding image retouch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age retouching
US20060055785A1 (en) 2004-09-15 2006-03-16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gital camera,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214A (ko) 2009-08-25
US8432402B2 (en) 2013-04-30
US20090207177A1 (en)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612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366255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8141411A5 (ko)
JP4066794B2 (ja) 画像データ記憶方法、画像データ記憶・再生方法及び撮像装置
JP2013165413A (ja) 画像表示装置
JP2007306243A (ja) 撮像装置
JP5375165B2 (ja) 撮像装置
JP200725893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090059514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6270478A (ja) ディジタル・カメラ,画像再生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ならびに画像再生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
JP5332668B2 (ja) 撮像装置および被写体検出プログラム
KR910013921A (ko) 디지탈 스틸비디오 레코더의 자기 기록수단 및 방법
JP2009206652A (ja) 再生装置、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70688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2256985A (ja) 撮像装置及び再生装置
KR20080049468A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JP2014175733A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US8947559B2 (en) Recorder and player
KR101427652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56441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276724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JP5011909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9021733A (ja)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及び、画像ファイル生成プログラム
JP200715059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836273B2 (ja) 映像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