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514A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514A
KR20090059514A KR1020070126396A KR20070126396A KR20090059514A KR 20090059514 A KR20090059514 A KR 20090059514A KR 1020070126396 A KR1020070126396 A KR 1020070126396A KR 20070126396 A KR20070126396 A KR 20070126396A KR 20090059514 A KR20090059514 A KR 2009005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apparatus
digital photographing
image
image fil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808B1 (ko
Inventor
장성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808B1/ko
Priority to US12/290,155 priority patent/US8223211B2/en
Priority to CNA2008101794756A priority patent/CN101453570A/zh
Priority to CN201410182205.6A priority patent/CN103957353B/zh
Publication of KR2009005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극대화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디지털 촬영장치를 위하여, 본 발명은, (a)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b)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및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극대화된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 모드에서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플레이백 모드에서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촬영 모드에서도 촬영동작에 의하여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기도 한다. 또한 촬영 모드와 플레이백 모드 외에도 디지털 촬영장치 환경설정 모드 등 다양한 모드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시, 촬영 모드, 플레이백 모드 및 환경설정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드들에 있어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디지 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버튼 등을 클릭하거나 다이얼을 회전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플레이백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로 변경하는 등의 경우 역시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버튼 등을 클릭하거나 다이얼을 회전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극대화된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b)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플레이백 모드에서, (a)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b)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 파일에 대응하 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제1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2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일 방향이면 상기 (b) 단계에서의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후의 이미지 파일이고, 상기 (a)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타 방향이면 상기 (b) 단계에서의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전의 이미지 파일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일 방향과 일 방향에 이은 타 방향이면 상기 (b) 단계에서의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후의 이미지 파일이고, 상기 (a)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타 방향과 타 방향에 이은 일 방향이면 상기 (b) 단계에서의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전의 이미지 파일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면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었다면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 치의 움직임 방향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클 경우에만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c)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촬상소자에 광이 입력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c)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는 움직임 판단부와,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클 경우에만, 상기 모드 전환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는 움직임 판단부와,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의 플레이백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개수를 변경하거나 디지털 촬영장치의 플레이백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경하는 이미지 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변경부는,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제1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2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일 방향이면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후의 이미지 파일이고,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타 방향이면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전의 이미지 파일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일 방향과 일 방향에 이은 타 방향이면 제2이미지 파일 은 제1이미지 파일 직후의 이미지 파일이고,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타 방향과 타 방향에 이은 일 방향이면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전의 이미지 파일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변경부는,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면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었다면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클 경우에만, 상기 이미지 변경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움직임 판단부가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촬상소자에 광이 입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움직임 판단부가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 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로부터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신호가 출력되면 이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에 의해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CPU(100),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및/또는 메모리(60)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한다.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는 움직임 판단부(92)에도 입력되는데, 움직임 판단부(92)는 촬상소자(30)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한다. 움직임 판단부(92)에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판단하면, 모드 전환부(94)는 움직임 판단부(92)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모드를 전환한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 실시예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구성요소간의 정보 전달 경로 역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도 1에서는 움직임 판단부(92)와 모드 전환부(94)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및 CPU(100)와는 다른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하였으나 이 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움직임 판단부(92)와 모드 전환부(94) 모두 또는 어느 하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일 수도 있고 CPU(100)의 일부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CPU(100) 등의 일부일 경우 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는 본 실시예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판단부(92)가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촬상소자에 입사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e의 이미지들은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디지털 촬영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촬상소자(30, 도 1 참조)를 구비하며 이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바,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는 촬영 모드(라이브 뷰 모드)일 경우에만 촬상소자에 광이 입사하거나 촬상소자(30)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어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 동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는 촬영 모드(라이브 뷰 모드)가 아닌 모드에서도 촬상소자(30)에 광이 입사하고 촬상소자(30)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움직임 판단부(92)는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 및/또는 움직임 크기를 판단한다. 물론 촬영 모드가 아닌 모드에서는 촬상소자(30)에 입사 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더라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후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움직임 판단부(92)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우측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한다. 피사체의 위치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했다는 것은 디지털 촬영장치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후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움직임 판단부(92)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좌측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후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움직임 판단부(92)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하측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하고,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후 도 2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에는 움직임 판단부(92)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상측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한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후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어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움직임 판단부(92)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우측 방향으로 움직인 직후 하측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즉 "ㄱ"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한다. 물론 움직임 판단부(92)는 이 외의 다양한 방향으로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움직임 판단부(92)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B. Lucas 및 T. Kanade가 1981년 Proc. of Int. Joint Conference에서 발표한 "An interactive image registration technique with an application to stereo vision"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전체 화면의 움직임(global motion)을 추정하는 lucas-kanade 기법으로 비젼(vision) 분야에서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특징적인 개별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물론 자이로 센서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자이로 센서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고가이기에 디지털 촬영장치의 가격을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움직임 판단부(92)가 촬상소자(30)에 입사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움직임 판단부(92)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면, 모드 전환부(94)는 움직임 판단부(92)가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모드를 전환한다. 예컨대 디지털 촬영장치의 모드가 플레이백 모드인 상태에서 움직임 판단부(92)가 디지털 촬영장치가 우측으 로 움직였다고 판단하면, 모드 전환부(94)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모드를 플레이백 모드에서 환경설정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움직임 판단부(92)가 디지털 촬영장치가 다른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하면, 모드 전환부(94)는 판단된 다른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모드를 전환한다. 또한, 예컨대 디지털 촬영장치가 촬영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였다고 움직임 판단부(92)가 판단하면, 모드 전환부(94)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모드를 종료 모드로 전환하여 디지털 촬영장치가 작동을 종료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촬영 모드, 플레이백 모드 및 환경설정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드들에 있어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촬영장치에 구비된 버튼 등을 클릭하거나 다이얼을 회전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사전설정된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디지털 촬영장치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 있어서, 움직임 판단부(92)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클 경우에만, 모드 전환부(94)가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촬상소자(30)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촬상소자(30)에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다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면, 디 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크다고 판단하여 모드 전환부(94)가 작동하되, 촬상소자(30)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촬상소자(30)에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다가 도 2e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면,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작다고 판단하여 모드 전환부(94)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드를 전환하려는 의도가 아니었으나 손떨림 등에 의해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인 경우에는 모드가 전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예컨대 촬상소자(30)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촬상소자(30)에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다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나, 그와 같은 변경이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면 이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드를 전환하려는 의사가 없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촬상소자(30)에 입력되는 광을 감지하고 그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과정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력 소모를 유발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움직임 판단부(92)가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30)에 광이 입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의 증가를 방지할 수도 있다. 물론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30)에는 광이 계속해서 입력되도록 하면서도 촬상소자(30)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지 않음으로써, 소비 전력의 증가를 방지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와 상이한 것은, 모드 전환부(94)가 아닌 이미지 변경부(96)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이미지 변경부(96)는, 움직임 판단부(92)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의 플레이백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경한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영에 의해 얻은 각 이미지(still image)에 관한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도 4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DSC111은 해당 파일의 파일명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플레이백 모드에서 만일 DSC118의 이미지 파일(제1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제1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움직임 판단부(92)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판단하면, 이미지 변경부(96)는, 움직임 판단부(92)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저장매체(70)에 저장되어 있는 DSC118의 제1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된 제1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저장매체(70)에 저장되어 있는 제2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DSC118의 제1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촬상소자(30)로부터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후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움직임 판단부(92)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우측 방향(일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이미지 변경부(96)는 제1이미지 파일인 DSC118 직후의 이미지 파일인 DSC119를 제2이미지 파일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제2이미지 파일인 DSC119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반대로 DSC118의 제1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촬상소자(30)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후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움직임 판단부(92)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좌측 방향(타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이미지 변경부(96)는 제1이미지 파일인 DSC118 직전의 이미지 파일인 DSC117을 제2이미지 파일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제2이미지 파일인 DSC117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경하기 위하여 디지털 촬영장치를 움직일 경우,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흔드는 것과 같이 디지털 촬영장치를 움직일 수도 있다. 예컨대 DSC118의 제1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촬상소자(30)로부터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어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후 다시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했다면, 이는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장치를 우측 방향으로 흔든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움직임 판단부(92)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우측 방향(일 방향)과 우측 방향(일 방향)에 이은 좌측 방향(타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린 경우 이미지 변경부(96)는 제1이미지 파일인 DSC118 직후의 이미지 파일인 DSC119를 제2이미지 파일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제2이미지 파일인 DSC119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좌측방향으로 디지털 촬영장치가 흔들린 경우에는 이미지 변경부(96)는 제1이미지 파일인 DSC118 직전의 이미지 파일인 DSC117을 제2이미지 파일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제2이미지 파일인 DSC117 파일을 재생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후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어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한 경우, 움직임 판단부(92)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우측 방향으로 움직인 직후 하측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즉 "ㄱ"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하며, 그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촬영장치가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흔들리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디지털 촬영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흔들리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변경되는 이미지 역시 인접한 이미지 파일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아닐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4에서의 DSC118 이미지 파일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에 의해 DSC113 이미지 파일 또는 DSC123 이미지 파일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이미지 변경부(96)가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와 달리 움직임 판단부(92)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이미지 변경부(96)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플레이백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개수를 변경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움직임 판단부(92)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이미지 변경부(96)는,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면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었다면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80)에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인 것을 움직임 판단부(92)가 판단하면, 이미지 변경부(96)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이미지들 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함은, 통상 복수개의 썸네일 이미지(thumb nail image)들을 디스플레이부(8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인 것을 움직임 판단부(92)가 판단하면, 이미지 변경부(96)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 있어서, 움직임 판단부(92)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클 경우에만, 이미지 변경부(96)가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미지를 변경하려는 의도가 아니었으나 손떨림 등에 의해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인 경우에는 이미지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디지털 촬영장치가 충분히 움직였지만 그와 같은 움직임이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면, 이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미지를 변경하려는 의사가 없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촬상소자(30)에 입력되는 광을 감지하고 그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과정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력 소모를 유발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움직임 판단부(92)가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30)에 광이 입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의 증가를 방지할 수도 있다. 물론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촬상소자(30)에는 광이 계속해서 입력되도록 하면 서도 촬상소자(30)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지 않음으로써, 소비전력의 증가를 방지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한다(S120). 그리고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로, 모드를 전환한다(S130). 이와 같은 제어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디지털 촬영장치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의 경우를 배제하기 위하여, S120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클 경우에만 S130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같이,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10),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았다면 그와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도 있다.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을 감지하고 그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과정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력 소모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한다는 것은 촬상소자에 광이 입력되지 않도록 하거나, 촬상소자에는 광이 계속해서 입력되도록 하면서도 촬상소자에 입력되 는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지 않는 것 등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백 상태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한다(S120). 그리고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경한다(S140). 이와 같은 제어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이미지를 변경하는 것의 의미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작동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물론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의 경우를 배제하기 위하여, S120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클 경우에만 S140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같이,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10),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았다면 그와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도 있다.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을 감지하고 그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과정은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력 소모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한다는 것은 촬상소자에 광이 입력되지 않도록 하거나, 촬상소자에는 광이 계속해서 입력되도록 하면서도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지 않는 것 등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매체(70)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예컨대 도 1에서의 CPU(100)일 수도 있고 그 일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판단부(92)가 도 1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촬상소자에 입사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의 배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디지털 촬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20: 조리개
30: 촬상소자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0: 저장매체 80: 디스플레이부
92: 움직임 판단부 94: 모드 전환부
96: 이미지 변환부 100: CPU

Claims (20)

  1. (a)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b)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2.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플레이백 모드에서,
    (a)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b)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제1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2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 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일 방향이면, 상기 (b) 단계에서의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후의 이미지 파일이고,
    상기 (a)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타 방향이면, 상기 (b) 단계에서의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전의 이미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일 방향과 일 방향에 이은 타 방향이면, 상기 (b) 단계에서의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후의 이미지 파일이고,
    상기 (a)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타 방향과 타 방향에 이은 일 방향이면, 상기 (b) 단계에서의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전의 이미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면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 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었다면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판단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클 경우에만 상기 (b)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촬상소자에 광이 입력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11.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는 움직임 판단부; 및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모드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클 경우에만, 상기 모드 전환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3.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는 움직임 판단부; 및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디 지털 촬영장치의 플레이백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개수를 변경하거나, 디지털 촬영장치의 플레이백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변경하는 이미지 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변경부는,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1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제1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제2이미지 파일에 대응하는 제2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일 방향이면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후의 이미지 파일이고,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타 방향이면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전의 이미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일 방향과 일 방향에 이은 타 방향이면,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후의 이미지 파일이고,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타 방향과 타 방향에 이은 일 방향이면, 제2이미지 파일은 제1이미지 파일 직전의 이미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변경부는,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면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었다면 한 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판단부에서 판단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움직임 방향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의 움직임의 크기가 사전설정된 크기보다 클 경우에만, 상기 이미지 변경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판단부가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 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촬상소자에 광이 입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0.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판단부가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 디지털 촬영장치가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촬상소자에 입력되는 광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KR1020070126396A 2007-12-06 2007-12-0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17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396A KR101417808B1 (ko) 2007-12-06 2007-12-0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2/290,155 US8223211B2 (en) 2007-12-06 2008-10-28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NA2008101794756A CN101453570A (zh) 2007-12-06 2008-11-28 数字拍摄设备、控制方法和存储程序的记录介质
CN201410182205.6A CN103957353B (zh) 2007-12-06 2008-11-28 数字拍摄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396A KR101417808B1 (ko) 2007-12-06 2007-12-0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514A true KR20090059514A (ko) 2009-06-11
KR101417808B1 KR101417808B1 (ko) 2014-07-09

Family

ID=4072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396A KR101417808B1 (ko) 2007-12-06 2007-12-06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23211B2 (ko)
KR (1) KR101417808B1 (ko)
CN (2) CN1039573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199A1 (en) * 2012-12-05 2014-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a sensor and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3265B2 (ja) * 2009-03-27 2013-07-3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CN103747184A (zh) * 2014-01-24 2014-04-2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自动切换拍照场景模式的方法及系统
CN111177420B (zh) * 2019-12-31 2023-10-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媒体文件显示方法、电子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6320B2 (en) * 1997-05-27 2002-09-24 Sanyo Electric Co., Ltd. Monitoring system and imaging system
US6937272B1 (en) * 2000-11-08 2005-08-30 Xerox Corporation Display device for a camera
JP2002157079A (ja) 2000-11-09 2002-05-31 Doko Kagi Kofun Yugenkoshi 意向識別方法
US20040070675A1 (en) * 2002-10-11 2004-04-15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a digital image for intuitive viewing
AU2003303787A1 (en) * 2003-01-22 2004-08-13 Nokia Corporation Image control
KR20050039950A (ko) 2003-10-2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각속도 및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손떨림을 보정하는촬영장치 및 그의 손떨림 보정방법
KR20040010453A (ko) * 2003-12-18 2004-01-31 황정현 영상의 위치정보 입력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JP4745617B2 (ja) * 2004-03-03 2011-08-10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JP4855654B2 (ja) * 2004-05-31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車載装置、車載装置の情報提供方法、車載装置の情報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車載装置の情報提供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I20045300A (fi) * 2004-08-17 2006-02-18 Nokia Corp Elektroninen laite ja menetelmä elektronisen laitteen toimintojen ohjaamiseksi sekä ohjelmatuote menetelmän toteuttamiseksi
KR20060022185A (ko) * 2004-09-06 200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뉴 실행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44206A (ko)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78110B1 (ko) 2004-12-2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촬영방법
CN101137996A (zh) * 2005-01-07 2008-03-05 格斯图尔泰克股份有限公司 基于光流的倾斜传感器
GB0503253D0 (en) * 2005-02-17 2005-03-23 Univ Northumbria Newcastle User control of a hand-held device
US20070273641A1 (en) * 2006-05-24 2007-11-29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KR100790896B1 (ko) * 2006-11-17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부의 움직임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및장치
JP2010515170A (ja) * 2006-12-29 2010-05-06 ジェスチャー テ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機能強化したインタラクティブシステムを用いた仮想オブジェクトの操作
KR101358767B1 (ko) * 2007-04-02 2014-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20090089705A1 (en) * 2007-09-27 2009-04-02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object navigation
US8063942B2 (en) * 2007-10-19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Motion assisted image sensor configuration
US9772689B2 (en) * 2008-03-04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gesture-based image manipulation
KR20120013727A (ko) * 2010-08-06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199A1 (en) * 2012-12-05 2014-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a sensor and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71781B2 (en) 2012-12-05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a sensor and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82716B2 (en) 2012-12-05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a sensor and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57353B (zh) 2017-04-19
US8223211B2 (en) 2012-07-17
US20090147095A1 (en) 2009-06-11
KR101417808B1 (ko) 2014-07-09
CN103957353A (zh) 2014-07-30
CN101453570A (zh)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3847B2 (en) Digital camera having an automatic focus
US7847828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a moving image capture function, and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5234119B2 (ja) 撮像装置、撮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31547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それらの制御プログラム
JP5516662B2 (ja) 撮像装置
JP4732303B2 (ja) 撮像装置
JP6652039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23432B1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기록 매체
JP4894708B2 (ja) 撮像装置
JP6699589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090059514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69026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1390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2017050593A (ja)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36624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10074A (ja) 動画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115679A (ja) 物体検出装置、検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6585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6435904B2 (ja) 出力装置、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1526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115569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90076112A (ko)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
JP2009246699A (ja) 撮像装置
JP2007180920A (ja) 画像処理装置、電子機器、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2191503A (ja) 画像記録装置、画像再生装置、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