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244B1 -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244B1
KR101849244B1 KR1020130104517A KR20130104517A KR101849244B1 KR 101849244 B1 KR101849244 B1 KR 101849244B1 KR 1020130104517 A KR1020130104517 A KR 1020130104517A KR 20130104517 A KR20130104517 A KR 20130104517A KR 101849244 B1 KR101849244 B1 KR 101849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terminal
color information
col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124A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244B1/ko
Priority to US14/473,160 priority patent/US9804758B2/en
Priority to EP14839599.9A priority patent/EP3025221B1/en
Priority to CN201480059788.1A priority patent/CN105683888B/zh
Priority to PCT/KR2014/008151 priority patent/WO2015030555A1/en
Publication of KR2015002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여,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로 상기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image painting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이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가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및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단말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스마트 폰의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의 개발 및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복수의 단말들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공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오프라인 상으로만 가능했던 공동 작업들이 온라인 상에서도 수행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상에서 공동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단말들간에 작업 상황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지 않아, 공동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단말 내에서 복수의 단말들간에 공동 작업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로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적용된 제 2 이미지를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하는 단계는,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객체의 식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객체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위에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 각각은, 하나의 소정 이미지에서 분할된 서로 다른 분할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청하는 단계는, 제 1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일부 영역이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1 이미지의 제 1 경계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2 이미지의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계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2 이미지의 색상 정보, 질감 정보 및 굵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 1 단말에 표시되는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을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로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제 2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2 단말에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제 2 단말로부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은,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 정보를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객체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객체를 포함하는 제 3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제 3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채색된 제 2 이미지를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은, 하나의 소정 이미지를 복수 개의 이미지로 분할하는 단계; 및 하나의 소정 이미지에서 분할된 제 1 이미지를 제 1 단말에 전송하고, 하나의 소정 이미지에서 분할된 제 2 이미지를 제 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을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2 이미지의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제 2 이미지의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2 이미지의 색상 정보, 질감 정보 및 굵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제 1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외부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선택하는 단계; 및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은,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 및 제 1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적용된 제 2 이미지를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x른,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는,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위에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 각각은, 하나의 소정 이미지에서 분할된 서로 다른 분할 이미지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1 이미지의 제 1 경계 영역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단계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2 이미지의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2 이미지의 색상 정보, 질감 정보 및 굵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은,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는, 제 1 단말에 표시되는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을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추출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로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은,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복수의 이미지의 식별 정보 및 복수의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선택하고,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복수 개로 분할된 이미지를 복수 개의 단말 각각에 분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로 분할된 이미지가 복수 개의 각 단말에 분배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하나의 소정 이미지를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에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소정의 객체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소정의 객체에 대한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소정의 객체에 대한 채색 정보를 화면의 채색 정보 설정창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이미지의 경계 영역에 대한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복수 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 및 서버(20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 은 사용자가 채색할 수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채색 가능한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채색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수신한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꽃 이미지를 터치 도구(예컨대, 손가락 또는 전자펜)를 이용하여 붉은 색으로 칠하는 경우,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꽃 이미지에 붉은 색을 적용하여, 붉은 색의 꽃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 각각은 사용자에게 채색 가능한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참고 채색 정보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예컨대,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와 동일한 객체를 포함하거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와 연결 가능한 이미지)의 채색 정보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복수 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 중 참고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 요청하는 단말(100)을 제 1 단말(100)로 설명하고, 나머지 단말(200-1, 200-2, 200-3)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단말(200)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 1 단말(10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제 1 이미지로 설명하고, 제 2 단말(20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제 2 이미지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제 1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소정 주기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단말(100)은 사용자의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참고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 요청해서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면,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에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서버(2000)로부터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소정 주기로 제 1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의 변경이 있을 때마다 제 1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 1 단말(1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단말(200)은 서버(20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단말(200)은 서버(2000)로부터 제 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200)은 화면에 표시되는 제 2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소정 주기로 서버(20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채색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수신한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단말(200)은 서버(20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단말(200)은 서버(2000)로부터 제 2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단말(200)은 서버(2000)로부터 제 2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소정 주기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단말(200)은 사용자의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참고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 요청해서 수신할 수도 있다.
제 2 단말(2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 2 단말(2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복수의 채색 가능한 이미지는 서로 관련된 이미지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관련된 이미지들은 만화 이미지와 같은 시간적인 연결 관계가 있는 복수 개의 이미지 또는 하나의 소정 이미지로부터 분할된 복수 개의 분할된 이미지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복수 개의 단말에 공동 채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0)는 복수 개의 단말로 분배하기 위해 하나의 이미지를 복수 개로 분할할 수 있다. 서버(2000)는 복수 개의 분할된 각 이미지를 복수 개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0)는 복수 개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분할된 이미지 각각에 대한 채색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공동 채색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4장의 만화 이미지에 대한 공동 채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 1 만화 이미지를 제 1 단말(100)에 전송하고, 제 2 만화 이미지를 제 2-1 단말(200-1)에 제공하고, 제 3 만화 이미지를 제 2-2 단말(200-2)에 제공하고, 제 4 만화 이미지를 제 2-3 단말(200-3)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0)는, 제 1 만화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제 1 단말(100)로부터 수신하고, 제 2 만화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제 2-1 단말(200-1)로부터 수신하고, 제 3 만화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제 2-2 단말(200-2)로부터 수신하고, 제 4 만화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제 2-3 단말(200-3)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0)는 복수 개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채색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각 단말 별로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 단말 별로 화면에 표시된 각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채색 정보는, 단말에 표시된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변화할 때마다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이미지들 간의 연관 관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단말 각각에 분배된 4장의 만화 이미지 중 주인공이 등장하는 이미지는, 제 1 만화 이미지와 제 3 만화 이미지 일 수 있다. 서버(2000)는 4장의 만화 이미지 중에서 주인공이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제 1 만화 이미지와 제 3 만화 이미지가 연관된다는 정보를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0)는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채색 정보를 기초로, 복수 개의 단말 각각에 참고 채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 1 단말(100)로부터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 1 단말(100)에 분배된 제 1 이미지와 관련 있는 이미지들의 채색 정보를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제 1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2000)는 복수 개의 단말로부터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소정 주기에 따라 복수 개의 단말 각각에 참고 채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2000)가 하나의 이미지를 복수 개로 분할하는 방법 및 분할된 이미지를 복수 개의 단말 각각에 분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복수 개로 분할된 이미지를 복수 개의 단말 각각에 분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 서버(2000)는 하나의 소정 이미지를 복수 개의 이미지로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소정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가 제공하는 공동 채색 서비스가 학교의 교육 시스템에서 활용되는 경우, 사용자인 선생님은 교육에 사용될 하나의 소정 이미지를 교육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소정 이미지는 여러 개의 이미지가 모여서 이루어진 이미지의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는 복수 개의 만화 이미지 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하나의 소정 이미지를 공동 채색에 참여하는 단말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이 소정 이미지의 공동 채색에 참여하는 경우, 서버(2000)는 소정 이미지를 4개의 이미지(410-1, 410-2, 410-3, 410-4)로 분할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서버(2000)는 분할된 각각의 이미지를 복수 개의 단말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분할된 이미지들 중에서 제 1 이미지를 제 1 단말(100)에 전송하고, 분할된 이미지들 중 제 2 이미지를 제 2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복수 개의 각 이미지를 전송한 복수 개의 각 단말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복수 개의 각 이미지와 복수 개의 각 이미지를 수신한 복수 개의 각 단말의 정보를 매핑한 결과에 대한 정보인, 매핑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매핑 정보는 서버(2000)의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매핑 정보 테이블에는 제 1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 1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2000)는 매핑 정보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들을 기초로, 제 1 단말(100), 제 1 단말(100)이 수신한 제 1 이미지 및 제 1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한편, 매핑 정보 테이블에는 제 2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 2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2000)는 매핑 정보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들을 기초로, 제 2 단말(200), 제 2 단말(200)이 수신한 제 2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로 분할된 이미지가 복수 개의 각 단말에 분배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서버(2000)는 4장의 만화 이미지 (310-1, 310-2, 310-3, 310-4) 를 각각의 단말(100, 200-1, 200-2, 200-3)에 전송할 수 있다. 4장의 만화 이미지(310-1, 310-2, 310-3, 310-4)에는 시간적인 연결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4장의 만화 이미지(310-1, 310-2, 310-3, 310-4)에는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는 객체가 존재할 수도 있다.
서버(2000)는 각 단말(100, 200-1, 200-2, 200-3)에 전송할 이미지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외부로부터 미리 획득한 단말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각 이미지에 대해 채색을 수행하기로 한 사용자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경우, 서버(2000)는 각 이미지를 전송할 단말을 미리 획득한 단말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채색 서비스가 일러스트 작업에 사용되는 경우, 담당자 별로 채색하기로 한 만화 이미지가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2000)는 일러스트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복수의 단말로 복수 개의 이미지를 분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소정 이미지를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4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이 소정 이미지의 공동 채색에 참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공동 채색에 참여하는 단말의 수에 기초하여 하나의 소정 이미지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하나의 소정 이미지를 4개의 이미지(410-1, 410-2, 410-3, 410-4)로 분할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소정 이미지가 동일한 크기로 분할되었지만, 소정 이미지를 분할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소정 이미지는 서로 다른 크기로 분할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모양)로 분할될 수도 있다. 한편, 분할된 4개의 이미지(410-1, 410-2, 410-3, 410-4)는 4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에 각각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100)이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 제 1 단말(100)은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 1 이미지는 서버로부터 제 1 단말(100)로 분배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이미지를 채색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참고 채색 정보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예컨대,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와 동일한 객체를 포함하거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와 연결 되는 이미지)의 채색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제 1 단말(100)에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화면을 터치하여 제 1 단말(100)에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530에서,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에 대한 요청과 함께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는 서버(2000)가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검출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에 대한 요청과 함께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의 식별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소정의 객체는 제 1 단말(100)이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에 디스플레이 된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A를 사용자가 터치하면, 제 1 단말(100)은 객체 A에 대한 식별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2 단말의 사용자가 제 2 이미지를 채색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색상, 명도, 채도, 투명도, 그라데이션 값 및 질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와 동일한 객체를 포함한 이미지의 채색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미지에 제 1 이미지와 동일한 A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단말(100)은 채색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로서 채색된 제 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제 2 이미지에서의 객체 A의 채색 정보를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로서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로서, 제 2 이미지의 경계 영역에 대한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이미지의 경계 영역은 제 1 이미지와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를 분할한 경우, 분할선을 기준으로 서로 맞닿아 있는 영역이 경계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고하여 후에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단계 550에서,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수신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1 단말(100)의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제 1 이미지의 위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영역을 터치하면, 제 1 단말(100)은,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전체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한번 더 터치할 경우, 화면에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제거되고, 제 1 이미지 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시간을 5초로 설정한 경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5초 동안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사용자가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제 1 이미지에 터치 입력을 가하고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이미지에서 사과가 표시된 부분에 터치 입력을 가하면, 터치 입력이 가해지고 있는 동안 사과 위에 사과에 대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영역에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이미지에서 말이 표시된 부분에 터치 입력을 가하면,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50 밀리미터의 영역에 말에 대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310-1)를 제 1 단말(100)의 화면의 제 1 영역(6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제 1 이미지(310-1)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들(310-2, 310-3, 310-4)의 채색 정보를 제 1 이미지(310-1)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로서 제 2 영역(62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이미지(310-1)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로서, 제 1 단말(100)의 미리 설정된 영역(620)에 채색된 제 2 이미지들(310-2, 310-3, 310-4)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제 2 이미지(310-2, 310-3, 310-4)들을 기초로 제 1 이미지(310-1)에 포함된 객체들의 채색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310-1)에 포함된 객체 P(예컨대, 뽀로로 캐릭터)는 제 3 이미지(310-3) 및 제 4 이미지(310-4)에 공통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 3 이미지(310-3) 및 제 4 이미지(310-4) 중 어느 하나에 객체 P가 채색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이를 참고하여, 제 1 이미지(310-1)에 포함된 객체 P의 채색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이미지(310-3)에 포함된 객체 P의 색상이 파란색인 경우, 사용자는 제 1 이미지(310-1)에 포함된 객체 P의 채색 색상을 파란색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310-1)를소정 비율로 축소한 축소 이미지를 제 2 이미지들(310-2, 310-3, 310-4)의 채색 정보와 함께 제 2 영역(6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310-1)의 축소 이미지를 제 2 이미지들(310-2, 310-3, 310-4)과 구별하기 위한 식별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310-1)의 축소 이미지 주변에 굵은 테두리를 표시함으로써, 제 1 단말(100)에서 채색되고 있는 제 1 이미지(310-1)가 제 2 영역(620)에 표시된 이미지들 중 좌측 상단에 표시된 이미지라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영역(610)과 제 2 영역(620)은 일부 중첩될 수도 있고,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제 1 영역(610)과 제 2 영역(620)이 중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제 1 영역(610)과 제 2 영역(620)은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 2 영역(62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2 영역(620)에 표시된 제 2 이미지들(310-2, 310-3, 310-4)의 채색 정보를 터치한 채 우측 상단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제 1 단말(100)은 좌측 하단에 표시되던 제 2 이미지들(310-2, 310-3, 310-4)의 채색 정보를 우측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 1 단말(100)은 사용자가 제 2 영역(620)을 터치하는 경우, 제 2 영역(620)에 표시된 제 2 이미지들(310-2, 310-3, 310-4)의 채색 정보를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이미지들의 채색 정보가 전체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한번 더 터치할 경우, 제 1 단말(100)은 화면에서 제 2 이미지들(310-2, 310-3, 310-4)의 채색 정보를 제거하고, 제 1 이미지(310-1)만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 2 영역(620)에 표시된 제 2 이미지들(310-2, 310-3, 310-4) 중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2 이미지(310-3)를 터치하면, 제 1 단말(100)은 제 2-2 이미지(310-3)를 제 1 단말(100)의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을 한번 더 터치하는 경우, 제 1 단말(100)은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 된 2-2 이미지(310-3)를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제 2 이미지들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410-2)를 제 1 단말(100)의 화면의 제 1 영역(7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410-2)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들(410-1, 410-3, 410-4)의 채색 정보를 제 1 이미지(410-2)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로서 제 2 영역(72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들(410-1, 410-3, 410-4)의 채색 정보로서, 제 1 단말(100)의 미리 설정된 영역인 제 2 영역(720)에 채색된 제 2 이미지들(410-1, 410-3, 410-4)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제 2 이미지들(410-1, 410-3, 410-4)을 기초로 제 1 이미지(410-2)의 채색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이미지(410-2)와 제 2 이미지(410-1, 410-3, 410-4)들은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분할된 복수개의 분할 이미지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말이 도시된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를 단말의 개수만큼 분할하여 4개의 분할된 이미지(410-1, 410-2, 410-3, 410-4)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410-2)는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에 포함된 말의 머리 부분을 포함한 분할 이미지일 수 있다.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분할된 이미지들을 복수의 각 단말에서 채색하는 경우, 분할된 이미지 간에 채색 정보가 일관성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말이라는 하나의 객체에 대한 채색임에도 불구하고, 제 1 이미지(410-2)에서는 노란색이 채색될 수 있고, 제 2 이미지들(410-1, 410-3, 410-4)에서는 갈색이 채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된 이미지들간에 채색 정보를 공유하여, 공동 채색 작업에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분할된 이미지들(410-1, 410-2, 410-3, 410-4)은 모두 말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 1 이미지(410-2)에 포함된 말의 머리 부분을 채색하기에 앞서 제 2 이미지들(410-1, 410-3, 410-4)의 채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1이미지(410-1)에서 말의 일부분을 갈색으로 채색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 2-1 이미지를 참고하여, 제 1 이미지(410-1)에 포함된 말의 머리 부분을 갈색으로 채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410-2)를소정 비율로 축소한 축소 이미지를 제 2 이미지들(410-1, 410-3, 410-4)의 채색 정보와 함께 제 2 영역(7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410-2)의 축소 이미지를 제 2 이미지들(410-1, 310-3, 310-4)과 구별하기 위한 식별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410-2)의 축소 이미지 주변에 굵은 테두리를 표시함으로써, 제 1 단말(100)에서 채색되고 있는 제 1 이미지(410-2)가 제 2 영역(720)에 표시된 이미지들 중 우측 상단에 표시된 이미지라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영역(710)과 제 2 영역(720)은 일부 중첩될 수도 있고,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제 1 이미지(810-1)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들(810-2, 810-3, 810-4)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소정 주기에 따라 제 2 이미지들(810-2, 810-3, 810-4)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사용자의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요청에 따라 제 2 이미지들(810-2, 810-3, 810-4)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이미지(810-1)와 제 2 이미지들(810-2, 810-3, 810-4)은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분할 이미지일 수 있다.
제 1 단말(100)의 화면에는 제 1 이미지(810-1)와 함께 제 1 이미지와 인접한 제 2 이미지들(810-2, 810-3, 810-4)에 포함된 경계 영역들(810-21, 810-31, 810-41)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경계 영역은 제 1 이미지(810-1)와 제 2 이미지들(810-2, 810-3, 810-4)을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1 이미지(810-2)에 포함된 제 1 경계 영역(810-21)은 제 1 이미지와 제 2-1 이미지(810-2)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1센티미터 거리 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 2-2 이미지(810-3)에 포함된 제 2 경계 영역(810-31)은 제 1 이미지(810-1)와 제 2-2이미지(810-3)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1센티미터 거리 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 2-3 이미지(810-3)에 포함된 제 3 경계 영역(810-41)은 제 1 이미지(810-1)와 제 2-3 이미지(810-4)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1센티미터 거리 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2 이미지(810-3)에 포함된 제 2 경계 영역(810-31)의 채색 정보는 제 1 이미지(810-1)의 참고 채색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린을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가 분할선을 기준으로 분할되는 경우, 하나의 객체인 기린이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810-1)는 기린의 머리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2 이미지(810-3)는 기린의 몸통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2 이미지(810-3)의 채색 정보를 기초로 제 1 이미지(810-1)를 채색할 수 있다.
한편,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810-1)와 관련 있는 제 2 이미지들(810-2, 810-3, 810-4)에 포함된 복수의 경계 영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은 화면에 제 2-1 이미지(810-1)에 포함되는 제 1 경계 영역(810-21), 제 2-2 이미지(810-3)에 포함되는 제 2 경계 영역(810-31) 및 제 2-3 이미지(810-4)에 포함되는 제 3 경계 영역(810-4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에 제 1 이미지(810-1)만이 표시되면,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객체들이 일관성 없이 채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810-1)와 제 2-2 이미지(810-3) 간의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기린의 경우, 머리 부분과 몸통 부분이 다른 색상으로 채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화면에 제 2 경계 영역(810-31)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에게 제 1 이미지(810-1)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할된 기린 이미지는 동일한 색상으로 채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100)이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910에서,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이미지로부터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꽃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제 1 단말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지점을 중심으로, 꽃이 표시된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꽃이 표시된 영역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은 객체 별로 미리 설정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서버(2000)에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관련된 이미지들 간에 유사도가 소정 값 이상인 객체를 추출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꽃과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꽃의 유사도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각 이미지에 포함된 꽃에는 동일한 식별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제 1 단말(100)은 추출한 객체의 식별 정보를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추출한 객체의 식별 정보와 함께 추출한 객체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의 요청을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이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꽃의 식별 정보를 추출한 경우, 서버(2000)에 꽃의 식별 정보와 함께 꽃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의 요청을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930에서, 제 1 단말(100)은 추출한 객체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서버(2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객체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채색된 제 2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 전부를 수신하지 않고,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만을 수신할 수도 있다. 객체의 채색 정보는 객체의 색상, 명도, 채도, 투명도, 그라데이션 값 및 질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940에서,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수신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채색된 제 2 이미지를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채색된 제 2 이미지에는 제 1 이미지와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객체가 채색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소정의 객체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 1 단말(100)은 화면의 제 1 영역(1010)에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310-1)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들(310-3, 310-4)의 채색 정보를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로서 제 2 영역(10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이미지들(310-3, 310-4)은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미지들(310-3, 310-4)은 제 1 이미지(310-1)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 P(예컨대, 뽀로로, 101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 2-1 이미지(310-3)의 좌측에 제 1 이미지(310-1)의 객체 P(1010-1)와 동일한 객체(1010-3)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한, 제 2-2 이미지(310-4)의 중앙에 제 1 이미지(310-1)의 객체 P(1010-1)와 동일한 객체(1010-4)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310-1)에서 객체 P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 P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 1 이미지(310-1)에 표시된 객체 P를 터치하면, 제 1 단말(100)은 객체 P를 추출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객체 P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100)은 객체 P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객체 P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을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수신한 객체 P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객체 P와 관련 있는 채색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객체 P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들(310-3, 310-4)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미지들(310-3, 310-4)의 채색 정보는 채색된 제 2 이미지들(310-3, 310-4)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은 객체 P가 채색되어 있는 제 2 이미지들(310-3, 310-4)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수신한 제 2 이미지들(310-3, 310-4)을 제 1 단말(100)의 제 2 경계 영역(10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제 2 이미지들(310-3, 310-4)로부터 제 1 이미지(310-1)에 포함된 객체 P의 채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2 이미지(310-3)에 객체 P가 파란색으로 채색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 1 이미지(310-1) 채색시, 획득한 채색 정보에 따라 객체 P를 파란색으로 채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단말(100)은 참고 채색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만 참고 채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소정의 객체에 대한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100)은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B(1110-1)를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100)은, 객체 B(1110-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객체 B(1110-1)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객체 B(1110-1) 위에 중첩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11(b)를 참고하면, 제 1 단말(100)에는 채색된 객체 B(1110-2)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B(1110-1)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는 객체 B(1110-1)의 색상, 명도, 채도, 투명도, 그라데이션 값 및 질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100)은 객체 B(1110-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경우, 객체 B(1110-1)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소정의 객체에 대한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100)은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C(1210-1)를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이미지는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분할된 복수 개의 분할 이미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100)은, 객체 C(1210-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객체 C(1210-1)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객체 C(1210-1) 위에 중첩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제 1 단말(100)에는 채색된 객체 B(1210-2)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C (1210-1)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C(1210-1)의 일부 영역에 대한 정보 일 수 있다. 예컨대, 제 1 이미지는 말의 머리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 일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말의 몸통 부분을 포함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로부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말의 머리 부분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말의 몸통 부분이 갈색으로 채색된 경우, 말의 몸통 부분에 대한 색상을 참고하여,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말의 머리 부분 역시 갈색으로 채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분할된 이미지들을 일관성 있게 채색할 수 있다.
도 1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100)은 객체 C(1210-1)에 대한 터치 입력이 종료되는 경우, 객체 C(1210-1)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소정의 객체에 대한 채색 정보를 화면의 채색 정보 설정창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참고 채색 정보(예컨대,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채색 정보 설정창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수신된 참고 채색 정보를 채색 설정 창에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제 1 단말(100)은 객체 D(1310-1)와 관련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요청한 결과, 서버(2000)로부터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D(1310-1)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D(1310-1)의 채색 정보는 객체의 채색에 사용되는 선의 색상 정보 및 굵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의 채색 정보는 객체의 채색에 사용되는 펜, 연필, 붓 등의 채색 도구의 종류 정보 및 선을 그릴 수 있는 포인트의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의 채색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정보들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구조에서, 각각의 정보들과 대응되는 각각의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2000)로부터 수신한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D(1310-1)의 채색 정보는 미리 설정된 채색 정보 설정창(1320)을 통해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채색 정보 설정창(1320)에는 객체의 채색에 사용되는 채색 도구의 종류(1320-1), 선의 굵기 정보(1320-2), 색상(1320-3)과 선을 그릴 수 있는 포인트의 크기 정보(1320-4)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된 객체 D(1310-1)를 선택하면, 서버(2000)로부터 수신된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D(1310-1)의 채색 정보에 기초하여 채색 정보 설정창(1320)의 각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미지 상에서 객체 D(1310-1)는 색연필을 이용하여, 파란색으로 채색될 수 있다. 이 때, 색연필의 포인트 크기는 4 포인트이고, 굵기는 10 일 수 있다.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채색 정보 설정창(1320)의 각 항목에는 수신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색 도구의 종류(1320-1) 항목에는 색연필, 선의 굵기 정보(1320-2) 항목에는 10, 색상(1320-3) 항목에는 파란색 및 선을 그릴 수 있는 포인트의 크기 정보(1320-4) 항목에는 4 포인트로 채색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단말(100)이 이미지의 경계 영역에 대한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1410에서,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의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이미지는 하나의 소정 이미지에서 분할된 복수 개의 분할 이미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단계 1420에서, 제 1 단말(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이 제 1 이미지의 제 1 경계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경계 영역은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제 2 이미지에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일부 영역은 제 2 경계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계 1430에서, 제 1 단말(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영역이 제 1 경계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제 2 이미지의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 요청할 수 있다.
단계 1440에서,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제 2 이미지의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채색된 제 2 경계 영역의 이미지를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450에서, 제 1 단말(100)은 수신한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단말(100)은 채색된 제 2 경계 영역의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 2 경계 영역의 이미지는 제 1 단말(100)에 디스플레이 된 제 1 이미지와 중첩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중첩되지 않고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분할된 제 1 이미지(1510-1)는 제 1 단말(100)로 전송되고,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로부터 분할된 제 2 이미지(1510-2)는 제 2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에는 제 1 이미지(1510-1)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화면에 제 1 이미지(1510-1)와 근접해 있는 제 2 이미지(1510-2)의 채색 정보를 제 1 이미지(1510-1)와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1510-1)와 근접하면서, 제 2-1 이미지(1510-2)에 포함되어 있는 제 1-1 경계 영역(1510-21)이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이미지(1510-1)와 근접하면서 다른 분할된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제 1-2 경계 영역(1510-31)이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이미지(1510-1)와 근접하면서 또 다른 분할된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제 1-3 경계 영역(1510-41)이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 2 단말(200-11)의 경우에도 제 2 이미지(1510-2)와 근접하면서, 제 1 이미지(1510-1)에 포함되어 있는 제 2-1 경계 영역(1510-21)이 제 2 단말(200-11)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미지(1510-2)와 근접하면서 다른 분할된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제 2-2 경계 영역(1510-31)이 제 2 단말(200-11)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미지(1510-2)와 근접하면서 또 다른 분할된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제 2-3 경계 영역(1510-41)이 제 2 단말(200-11)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1510-1)의 소정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은 사용자가 제 1 이미지(1510-1)에 포함된 객체인 말의 일부가 표시된 지점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이 제 1 이미지(1510-1)의 제 1 경계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이 제 1 이미지 내에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분할선으로부터 1센티미터 이내의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은 제 1 경계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 2 이미지(1510-2) 내에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의 분할선으로부터 1센티미터 이내의 영역에 포함되는 영역을 제 2 경계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이 제 1 경계 영역에 포함되므로, 제 1 단말(100)은 서버(2000)로부터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로서 채색된 제 2 경계 영역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수신한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채색된 제 2 경계 영역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과 가장 인접한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의 좌표가 (x,y)인 경우, 제 2 경계 영역에서 좌표 (x,y)와 가장 가까운 지점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을 중심으로 한 소정 범위의 영역에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50밀리미터의 영역에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2000)가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1610에서, 서버(2000)는 제 1 단말(100)에 표시되는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을 제 1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참고 채색 정보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예컨대,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와 동일한 객체를 포함하거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와 연결 가능한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은 사용자의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단말(100)로부터 서버(20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는 제 1 이미지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각각의 객체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는, 서버(200)에 의해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서버(200)는, 제 1 이미지를 제 1 단말(100)로 분배하기 전에 제 1 이미지에 대한 식별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는 서버(2000)에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시간적인 연관 관계가 존재하는 4장의 만화 이미지에 서로 연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도록 4장의 만화 이미지를 그룹핑하여 Cartoon1 이라는 식별 값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Cartoon1에 포함되는 4장의 만화 이미지 각각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이미지에 대한 식별 정보에 각각 Scene1, Scene2, Scene3, Scene4 라는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서버(2000)는 제 1 이미지에 Cartoon1이라는 식별 표시와 Scene1이라는 식별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2000)는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에 대한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0)는 제 1 이미지 및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들 간에 유사도가 소정 값 이상인 객체를 추출하여, 동일한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꽃과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꽃의 유사도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서버(2000)는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꽃과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꽃에 동일한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1620에서, 서버(2000)는 수신한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로 관련된 이미지는 만화 이미지와 같은 시간적인 연결관계가 있는 복수개의 이미지, 또는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분할된 복수개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서버(2000)에 포함된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 2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그룹 정보의 식별 표시가 Cartoon1인 경우, 서버(2000)는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그룹 정보의 식별 표시가 Cartoon1인 제 2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 객체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서버(2000)에 포함된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 3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이미지가 소정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제 3 이미지는 제 2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 객체의 식별 정보가 P인 경우, 서버(2000)는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식별 정보가 P인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0)가 제 2 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버(20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 2 단말(200)에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2000)는 제 2 단말(200)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630에서 서버(2000)는 추출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로 제 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채색된 제 2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3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0)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로서 제 2 이미지의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제 1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이미지의 경계 영역은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2 이미지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는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에서 분할된 분할 이미지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복수 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 은 사용자가 채색할 수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채색 가능한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에 대한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채색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단말 각각은 수신한 채색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미지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단말(100)을 제 1 단말(100)로 설명하고, 나머지 단말(200-1, 200-2, 200-3)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단말(200)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 1 단말(10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제 1 이미지로 설명하고, 제 2 단말(20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제 2 이미지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단말(100)은 마스터 단말로부터 제 1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은 복수 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제 2 단말(2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 2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은 wi-fi 또는 BLE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 1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제 2 단말(200)로부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 1 단말(1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단말(200)은 마스터 단말로부터 제 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200)은 제 1 단말(1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 1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200)은 wi-fi 또는 BLE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200)은 제 1 단말(100)로부터 제 1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단말(2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 2 단말(2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간에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단계 1810에서, 제 1 단말(100)은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는 서로 관련된 복수 개의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일 수 있다. 서로 관련된 이미지들은 만화 이미지와 같은 시간적인 연결관계가 있는 복수 개의 이미지 또는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분할된 복수 개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마스터 단말로부터 제 1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은 복수 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마스터 단말은 복수 개의 이미지를 복수 개의 단말(100, 200-1, 200-2, 200-3)에 각각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단말은 제 1 이미지를 제 1 단말(100)에 전송하고, 제 2 이미지를 제 2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820에서,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참고 채색 정보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예컨대,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와 동일한 객체를 포함하거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와 연결 가능한 이미지)의 채색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제 1 단말(100)에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화면을 터치하여 제 1 단말(100)에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1830에서,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외부로부터 수신된 복수 개의 이미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 된 이미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복수 개의 이미지 중에서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그룹 정보의 식별 표시가 Cartoon1인 경우, 제 1 단말(100)은 수신된 복수 개의 이미지 중에서 그룹 정보의 식별 표시가 Cartoon 1 인 제 2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 객체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 객체의 식별 정보가 P인 경우, 제 1 단말(100)은 제 2 이미지 중에서 식별 정보가 P인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1840에서, 제 1 단말(100)은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채색된 제 2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2 이미지의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일 수 있다. 제 2 이미지의 경계 영역은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2 이미지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는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에서 분할된 분할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말(100)은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1 단말(100)의 화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제 1 이미지의 위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면을 한번 더 터치할 경우, 화면에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제거되고, 제 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시간을 5초로 설정한 경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5초 동안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사용자가 제 1 단말(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제 1 이미지에 터치 입력을 가하고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이미지에서 사과가 표시된 부분에 터치 입력을 가하면, 터치 입력이 가해지고 있는 동안 사과 위에 사과에 대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영역에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이미지에서 말이 표시된 부분에 터치 입력을 가하면, 터치된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50 밀리미터의 영역에 말에 대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100)은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 및 제 1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은 wi-fi, BLE, wifi-diner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 및 제 1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제 2 단말(200)은 제 1 단말(100)이 브로드캐스트 한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 및 제 1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단말(200)은 수신한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 및 제 1 이미지의 채색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이미지의 참고 채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9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제 1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제 1 단말(100)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05), 메모리(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사용자 입력부(105)는, 사용자가 제 1 단말(100)에 표시된 제 1 이미지의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05)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05)는, 화면에 표시된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 1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제 1 단말(100)에서 수신한 제 1 이미지,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채색된 제 2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 객체의 채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 전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한번 더 터치할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거하고, 제 1 이미지 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동안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영역에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채색 정보 설정창을 이용하여,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부(1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1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 또는 제 1 단말(100)와 서버(2000)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부(121), 이동 통신부(122), 방송 수신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2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2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2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단말(100)이 방송 수신부(12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제 1 이미지의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서버(2000)에 전송하고, 서버(2000)로부터 제 1 이미지의 참고 채색 정보로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05)에서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에 대한 요청을 서버(20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채색 정보의 요청에 따라 서버(2000)로부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서버(2000)로부터 채색된 제 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채색된 제 2 이미지에는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객체의 채색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20)는 서버(2000)로부터 객체에 대한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제 1 이미지에서 추출한 객체와 동일한 객체를 포함하고 있는 제 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이미지는 채색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객체에 대한 채색 정보로서, 객체의 채색 정보를 수신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의 채색 정보는 객체의 채색에 사용되는 선의 색상 정보 및 굵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의 채색 정보는 객체의 채색에 사용되는 펜, 연필, 붓 등의 채색 도구의 종류와 선을 그릴 수 있는 포인트의 크기 정보 및 선 입력 시 압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의 채색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정보들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구조에 따라, 각각의 정보 별로 대응되는 필드 각각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0)가 서버(2000)로부터 수신하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에는 제 2 이미지에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상적으로 제 1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데이터들로부터,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10), 통신부(15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가 단말(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위해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가 미리 설정된 채색 정보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채색 정보 설정창에는 객체의 채색에 사용되는 선의 색상 정보 및 굵기 정보, 채색 도구의 종류와 선을 그릴 수 있는 포인트의 크기 정보 및 선 입력 시 압력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가 제 1 경계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복수의 메뉴,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복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 터치 스크린 모듈(172), 알림 모듈(1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단말(100)과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00)의 블록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서버(2000)는 수신부(2010), 제어부(2020) 및 전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을 학교에서의 교육 활동에서 활용하는 경우, 서버(2000)는 선생님이 사용하는 태블릿 PC 일 수 있다.
수신부(2010)는 제 1 단말(100)에 표시되는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을 제 1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은,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는 제 1 이미지 전체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각각의 객체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010)는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로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객체는 제 1 단말(100)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채색된 제 2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3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채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0)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로서 제 2 이미지의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제 1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이미지의 경계 영역은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 2 이미지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는 하나의 소정의 이미지에서 분할된 분할 이미지일 수 있다.
제어부(2020)는 수신한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서로 관련된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서로 관련된 이미지는 시간적인 연결관계가 있는 복수개의 이미지, 예를 들어 만화 이미지, 또는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분할된 복수개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20)는 내부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채색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 2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미지가 포함된 그룹의 식별값이 x인 경우, 서버는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식별값이 x인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는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20)는 수신한 객체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객체를 포함하는 제 3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이미지가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제 3 이미지는 제 2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20)는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 객체의 식별값인 y를 수신한 경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수신한 소정 객체의 식별 정보인 y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20)는 수신한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2 단말에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단말은 제 1 단말과 함께 서버(2000)로부터 관련된 이미지를 수신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수신한 제 1 이미지의 식별값인 y와 동일한 식별값을 갖는 제 2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2 단말에 채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채색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단말은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서버(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030)는 추출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로서 제 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채색된 제 2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소정 객체의 채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전송부(2030)는 추출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와 함께 제 2 이미지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 1 단말(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제 1 단말
200-1: 제 2-1 단말
200-2: 제 2-2 단말
200-3: 제 2-3 단말
2000:서버

Claims (29)

  1. 단말이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로 상기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적용된 제 2 이미지를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객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의 채색 정보를 상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 위에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 각각은, 하나의 소정 이미지에서 분할된 서로 다른 분할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일부 영역이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이미지의 제 1 경계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2 이미지의 상기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색상 정보, 질감 정보 및 굵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11. 서버가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말에 표시되는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을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로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2 단말에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를 포함하는 제 3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 3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의 채색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채색된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은,
    하나의 소정 이미지를 복수 개의 이미지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소정 이미지에서 분할된 상기 제 1 이미지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하나의 소정 이미지에서 분할된 상기 제 2 이미지를 제 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을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색상 정보, 질감 정보 및 굵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19. 단말이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외부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이 적용된 제 2 이미지를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의 채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의 채색 정보를 상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객체 위에 소정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 각각은,
    하나의 소정 이미지에서 분할된 서로 다른 분할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미지와 상기 제 2 이미지를 분할하는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이미지의 제 1 경계 영역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분할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제 2 경계 영역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2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색상 정보, 질감 정보 및 굵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26.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 1 단말에 표시되는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참고 채색 정보 요청을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출된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로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8. 이미지 채색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채색 가능한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참고 채색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복수의 이미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제 1 이미지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이미지의 채색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제 1항의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104517A 2013-08-30 2013-08-30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849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517A KR101849244B1 (ko) 2013-08-30 2013-08-30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US14/473,160 US9804758B2 (en) 2013-08-30 2014-08-2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image painting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EP14839599.9A EP3025221B1 (en) 2013-08-30 2014-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image painting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201480059788.1A CN105683888B (zh) 2013-08-30 2014-09-01 提供关于图像绘制的信息的方法和设备及其记录介质
PCT/KR2014/008151 WO2015030555A1 (en) 2013-08-30 2014-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image painting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517A KR101849244B1 (ko) 2013-08-30 2013-08-30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124A KR20150026124A (ko) 2015-03-11
KR101849244B1 true KR101849244B1 (ko) 2018-04-16

Family

ID=5258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517A KR101849244B1 (ko) 2013-08-30 2013-08-30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04758B2 (ko)
EP (1) EP3025221B1 (ko)
KR (1) KR101849244B1 (ko)
CN (1) CN105683888B (ko)
WO (1) WO2015030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4560A1 (ja) 2011-12-07 2013-06-1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文書の表示を行う方法、並びにその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D905718S1 (en) 2018-03-15 2020-12-2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6449S1 (en) 2018-09-12 2020-02-2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190561B (zh) * 2019-12-24 2023-09-15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内容绘制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KR20230040708A (ko) * 2021-09-16 2023-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행위 인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7168A1 (en) 2007-09-13 2009-03-19 Sadasue Tamon Access control method and access control device
US20090207177A1 (en) 2008-02-20 2009-08-20 Samsung Techwin Co., Ltd. Apparatus for retouching and displaying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90320015A1 (en) 2008-06-20 2009-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updating system control program, display apparatus, and server thereof
US20120206319A1 (en) 2011-02-11 2012-08-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edia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US20130091205A1 (en) 2011-10-05 2013-04-11 Microsoft Corporation Multi-User and Multi-Device Collaboration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7950A (en) * 1994-09-16 1997-05-06 Apple Computer, Inc. Real-time three-dimensional color look-up table interactive editor system and method
GB9722766D0 (en) * 1997-10-28 1997-12-24 British Telecomm Portable computers
US6058417A (en) 1998-10-23 2000-05-02 Ebay Inc.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management in an online trading environment
US7356563B1 (en) 2002-06-06 2008-04-0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of annotating a collaborative application display
US7447369B2 (en) * 2003-03-07 2008-11-04 Ricoh Co., Ltd. Communication of compressed digital images
KR100703444B1 (ko) * 2003-06-03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에 관련된 영상의 다운로드 및 표시 장치 및 방법
US7603466B2 (en) * 2004-07-19 2009-10-13 Sap (Ag) Mobile collaborative peer-to-peer business applications
KR100773917B1 (ko) 2005-04-12 2007-11-06 주식회사 넥슨 이미지 채색 방법 및 그 시스템
JP4643430B2 (ja) * 2005-12-14 2011-03-0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プログラ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4250648B2 (ja) * 2006-09-21 2009-04-0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US20080183811A1 (en) * 2007-01-25 2008-07-31 Kotras Timothy W Collaborative Multi-User Method and System
US20090044128A1 (en) 2007-08-06 2009-02-12 Apple Computer, Inc. Adaptive publishing of content
US8739242B2 (en) * 2008-07-07 2014-05-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 collaborative environment
KR101477538B1 (ko) 2008-08-06 2014-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20100083109A1 (en) * 2008-09-29 2010-04-01 Smart Technologies Ulc Method for handling interactions with multiple users of an interactive input system, and interactive input system executing the method
JP2010191026A (ja) * 2009-02-17 2010-09-02 Kddi Corp 外部表示装置に応じた画像データを出力する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4660829B2 (ja) * 2009-03-16 2011-03-30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モバイル通信端末及び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
US8612380B2 (en) * 2009-05-26 2013-12-17 Adobe Systems Incorporated Web-based collaboration for editing electronic documents
US8179417B2 (en) * 2009-07-22 2012-05-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deo collaboration
US8201094B2 (en) * 2009-09-25 2012-06-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borative graphical creation
JP5385775B2 (ja) * 2009-12-25 2014-01-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画像サーバ,その動作制御方法およびその動作を制御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10243397A1 (en) 2010-03-30 2011-10-06 Christopher Watkins Searching digital image collections using face recognition
US9648279B2 (en) * 2010-06-08 2017-05-09 Mi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TWI443581B (zh) * 2010-11-02 2014-07-01 Inst Information Industry 資源共享系統與方法
TWI475468B (zh) * 2011-03-23 2015-03-01 Acer Inc 可攜式裝置、資料傳輸系統及其相關顯示共享方法
US20120280898A1 (en) * 2011-05-03 2012-11-0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information detail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WO2013043355A1 (en) 2011-09-20 2013-03-28 Doodle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terior design
US9250928B2 (en) * 2011-10-18 2016-02-02 Mcafee, Inc. Cooperative mobile analytics
EP2789120B1 (en) * 2011-12-06 2018-06-06 Mitel Networks Corporation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US9256620B2 (en) 2011-12-20 2016-02-09 Amazon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grouping images
US9826491B2 (en) * 2012-01-31 2017-11-2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devices
US9069796B2 (en) * 2012-02-21 2015-06-30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or
US8923760B2 (en) * 2012-04-26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Orientational collaboration of data between multiple devices
US9582142B2 (en) * 2012-05-02 2017-02-28 Office For Media And Arts International Gmbh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computing
US9235373B2 (en) * 2012-06-30 2016-01-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al-time management of content depicted on a plurality of displays
CN102904938A (zh) * 2012-09-26 2013-01-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像数据的共享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20140149499A1 (en) * 2012-11-26 2014-05-29 Appsense Limited Remote request fulfillment and delivery
US8625796B1 (en) * 2012-11-30 2014-01-07 Mourad Ben Ayed Method for facilitating authentication using proximity
US8595810B1 (en) * 2013-01-13 2013-11-26 Mourad Ben Ayed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application access security
US20140236726A1 (en) * 2013-02-18 2014-08-21 Disney Enterprises, Inc. Transference of data associated with a product and/or product package
US9100772B2 (en) * 2013-04-05 2015-08-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multi-device media present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7168A1 (en) 2007-09-13 2009-03-19 Sadasue Tamon Access control method and access control device
US20090207177A1 (en) 2008-02-20 2009-08-20 Samsung Techwin Co., Ltd. Apparatus for retouching and displaying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90320015A1 (en) 2008-06-20 2009-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updating system control program, display apparatus, and server thereof
US20120206319A1 (en) 2011-02-11 2012-08-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edia in a multi-device environment
US20130091205A1 (en) 2011-10-05 2013-04-11 Microsoft Corporation Multi-User and Multi-Device Collabo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124A (ko) 2015-03-11
US20150067526A1 (en) 2015-03-05
WO2015030555A1 (en) 2015-03-05
CN105683888A (zh) 2016-06-15
EP3025221B1 (en) 2020-01-01
EP3025221A1 (en) 2016-06-01
EP3025221A4 (en) 2017-04-12
CN105683888B (zh) 2019-04-26
US9804758B2 (en)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ns et al. Grand challenges in immersive analytics
KR101849244B1 (ko) 이미지 채색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US9160993B1 (en) Using projection for visual recognition
US20190138108A1 (en) Method an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a virtual input interface
US9224237B2 (en)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using planes of content
US10649647B2 (en)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ndwritten content in the same
CN110908504B (zh) 一种增强现实博物馆协作交互方法与系统
US9389703B1 (en) Virtual screen bezel
Kang et al. Minuet: Multimodal interaction with an internet of things
EP3353634B1 (en) Combining mobile devices with people tracking for large display interactions
US95137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 object management in a large-display area computing device
US20190312917A1 (en) Resource collaboration with co-presence indicators
EP28087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based data processing
US11184246B1 (en) Device differentiation for electronic workspaces
CN104951140A (zh) 一种触摸屏菜单显示方法和系统
CN112654955B (zh) 检测笔相对于电子设备的定位
CN108700986A (zh) 图形通知中的信息循环
US10921950B1 (en) Pointing and interaction control devices for large scale tabletop models
KR20150088105A (ko) 색상 생성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그에 따른 시스템
KR20220057388A (ko) Ar 버츄얼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EP380924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418054B1 (ko)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을 통한 내비게이션 지도 내 콘텐츠 표출 방법
KR102238697B1 (ko) 테이블탑 인터페이스 장치, 멀티 터치 객체 및 방법
Albarelli et al. Using multiple sensors for reliable markerless identification through supervised learning
Yi et al. SurfaceLens: near-surface spatial interaction with science museum exhib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