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746A -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한 베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한 베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746A
KR20080046746A KR1020087009485A KR20087009485A KR20080046746A KR 20080046746 A KR20080046746 A KR 20080046746A KR 1020087009485 A KR1020087009485 A KR 1020087009485A KR 20087009485 A KR20087009485 A KR 20087009485A KR 20080046746 A KR20080046746 A KR 20080046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oil
shaft
resi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지 히비
야수히로 야마모토
켄지 이토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806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7949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815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928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81561A external-priority patent/JP47949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87564A external-priority patent/JP4901171B2/ja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3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retained in or near th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Runnin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2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sliding-contact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02Shaping by c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60Shaping by removing material, e.g. machining
    • F16C2220/62Shaping by removing material, e.g. machining by turning, boring, dr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80Shaping by separating parts, e.g. by severing, cr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3/00Surface treatments; Hardening; Coating
    • F16C2223/30Coating surfaces
    • F16C2223/70Coating surfaces by electroplating or electrolytic coating, e.g. anodising, galvan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30Materi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슬라이딩 베어링은 전기 주조 가공으로 형성된 금속부를 내주에 갖고, 또한 베어링 간극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보충 기구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오일 보충 기구에 유지된 오일이 베어링 간극에 공급되므로 베어링 간극에 형성된 오일막에 의해 축부재와의 윤활성이 향상되고, 윤활 불량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나 베어링과 축부재의 접촉 슬라이딩에 의한 부재의 마모를 회피할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 베어링 장치

Description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한 베어링 장치{BEARING DEVICE WITH SLIDING BEARING}
본 발명은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한 베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베어링(이하, 간단히 「베어링」이라고 함)은 베어링과 축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슬라이딩 또는 슬라이딩 회전을 지지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서는 수지 성형부의 축심에 전기 주조 가공으로 형성된 금속부를 인서트해서 몰드 성형한 베어링이 제안되어 있다. 이렇게, 베어링면이 되는 베어링의 내주면을 금속부로 형성함으로써, 내마모성이 우수한 베어링면이 얻어짐과 아울러 내주에 삽입되는 축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을 높은 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3-56552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베어링은 예를 들면 고속 회전, 고속 회전 정밀도가 요구되는 HDD의 자기 디스크 구동용의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 지지 등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베어링과 축부재의 윤활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오일 윤활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베어링의 내주면과 축부재의 외주면 사이의 베어링 간극은 축부재의 덜그덕거림을 억제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미소한 간극 폭으로 설정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금속부를 전기 주조 가공으로 형성할 경우, 전기 주조 가공의 특성으로부터 베어링 간극은 매우 미소한 간극 폭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베어링 간극에 유지되는 윤활유의 양은 극소량이 되므로, 윤활유가 비산, 증발 등에 의해 감소되면, 윤활유 부족에 의한 윤활 불량을 초래하여 이음의 발생이나, 베어링과 축부재의 접촉 슬라이딩에 의한 부재의 마모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축부재와의 윤활이 양호하며, 이음의 발생이나 부재의 마모를 막고, 제품수명이 긴 슬라이딩 베어링 및 베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기 주조 가공으로 형성된 금속부, 및 이 금속부를 내주에 인서트해서 성형된 수지부를 갖는 슬라이딩 베어링과,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에 삽입된 축부재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과 축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베어링 간극이 형성된 베어링 장치로서, 베어링 간극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보충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베어링 장치는 베어링 간극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보충 기구를 갖는다. 이에 따라 오일 보충 기구에 유지된 오일이 베어링 간극에 공급되므로, 베어링 간극에 형성된 오일막에 의해 축부재와의 윤활성이 향상되어 윤활 불량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나, 베어링과 축부재의 접촉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를 회피할 수 있다. 특히, 금속부가 전기 주조 가공으로 형성되는 경우, 베어링 간극에 유지되는 오일 보충량은 극소량이 되므로, 이렇게 오일 보충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유효하게 된다.
오일 보충 기구는 예를 들면 축부재에 접한 오일 저류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 저류부가 축부재에 접하고 있음으로써, 베어링 간극에 오일을 공급하기 쉬워져 보다 원활한 윤활이 얻어진다. 이러한 오일 저류부는 예를 들면 금속부와 축부재 사이 또는 수지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오일 보충 기구를 축부재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오일 저류부로 구성하고, 이 오일 저류부에 유지한 오일을 연통 구멍을 통해 베어링 간극에 공급할 수도 있다. 이렇게, 오일 저류부가 축부재와 비접촉함으로써, 오일 저류부에 의해 베어링면의 면적이 침식되는 일은 없으므로, 베어링 성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이 연통 구멍은 예를 들면 금속부를 관통해서 형성된다.
또는 오일 보충 기구를 오일 함유 금속이나 오일 함유 수지 등의 오일 보충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오일 보충 부재로부터 베어링 간극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극미량씩 급유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적당한 오일막을 베어링 간극에 형성할 수 있다. 이 오일 보충 부재를 축부재와 접한 위치에 형성하면, 베어링 간극에 오일을 공급하기 쉬워져 보다 원활한 윤활이 얻어진다. 한편, 오일 보충 부재를 축부재와 비접촉의 위치에 형성하고, 연통 구멍을 통해 베어링 간극에 오일을 공급하면, 오일 보충 부재에 의해 베어링면의 면적이 침식되는 일이 없어 베어링 성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금속부와, 이 금속부를 내주에 인서트해서 성형된 수지부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금속부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지부가 오일 함유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베어링을 이용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베어링 장치에 이 슬라이딩 베어링을 적용하면, 오일을 수지부의 내부에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오일 보충량을 늘릴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베어링 장치와, 스테이터 코일과, 로터 마그넷을 구비한 모터는 원활하게 작동하므로 이음의 발생이 없고, 제품 수명이 길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베어링과 축부재의 윤활이 양호하고, 이음의 발생이나 부재의 마모를 막고, 제품수명이 긴 베어링 장치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링 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마스터 축(7)에 금속부(4)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전기 주조 축(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사출 성형 금형에 전기 주조 축(10)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베어링 장치(21)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베어링 장치(31)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주조 축(111)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마스터 축(107)의 외주면의 마스킹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마스터 축(107)에 금속부(104)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전기 주조 축(111)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사출 성형 금형에 전기 주조 축(111)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베어링 장치(121)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베어링 장치(131)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링 장치(201)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마스터 축(207)에 금속부(204)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전기 주조 축(209)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사출 성형 금형에 전기 주조 축(209)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베어링 장치(221)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베어링 장치(231)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전기 주조 축(301)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사출 성형 금형에 전기 주조 축(301)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305)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베어링(305)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베어링(305)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을 적용한 모터(10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베어링 장치 2:축부재
3:슬라이딩 베어링 4:금속부
5:수지부 6:오일 저류부(오일 보충 기구)
7:마스터 축 8:피복재
9:오일 저류부 형성부재 10:전기 주조 축
11a:가동형 11b:고정형
1000:모터 1003:디스크 허브
1004:스테이터 코일 1005:로터 마그넷
1006:브래킷 1007:스러스트 플레이트
D:디스크 P:용융 수지
R:레이디얼 베어링부 T:스러스트 베어링부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링 장치(1)의 단면도이다. 베어링 장치(1)는 베어링(3)과, 베어링(3)의 내주에 삽입된 축부재(2)와, 축부재(2)의 외주면(2a)과 베어링(3)의 내주면(3a) 사이에 형성되는 베어링 간극에 오일을 공급 하는 오일 보충 기구로 구성된다. 오일 보충 기구의 형태나 배치되는 장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일 보충 기구로서 오일 저류부(6)가 수지부(5)에 형성되고, 이 오일 저류부(6)가 축부재(2)와 접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베어링(3)은 전기 주조 가공으로 형성되는 금속부(4)와, 금속부(4)를 내주에 유지하는 수지부(5)를 구비한다. 금속부(4)의 내주면(4a)은 베어링면으로서 작용한다. 수지부(5)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수지를 몰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이하, 베어링(3)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베어링(3)은 마스터 축(7)의 소정 개소를 마스킹하는 공정, 비마스크부에 전기 주조 가공을 행해서 전기 주조 축(10)을 형성하는 공정(도 2, 도 3 참조), 전기 주조 축(10)의 금속부(4)를 수지로 사출 성형하는 공정(도 4 참조), 및 금속부(4)를 마스터 축(7)으로부터 박리하고, 베어링(3)과 마스터 축(7)을 분리하는 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회전용 베어링」이란 축부재와의 사이의 상대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의미하고, 베어링이 회전측이 되든지 고정측이 되든지 상관없다. 「슬라이딩용 베어링」이란 축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직선운동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의미하고, 마찬가지로 베어링이 이동측이 되든지 고정측이 되든지 상관없다. 「회전 슬라이딩용의 베어링」이란 상기 2개의 베어링의 기능을 아울러 갖는 것으로, 축과의 사이의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의 쌍방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의미한다. 또한 「회전용 베어링」이란 예를 들면 볼 조인트와 같이 축의 3차원 방향의 운동이 허용되는 베어링을 의미한다.
마스터 축(7)은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담금질처리를 한 스테인레스강이며, 스트레이트인 횡단면 원형의 축으로서 제작된다. 물론 스테인레스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성 등의 기계적 강도, 슬라이딩성, 내열성, 내약품성, 금속부(4)의 가공성 및 분리성 등 베어링의 기능상 또는 베어링 제작의 형편상 요구되는 특성에 적합한 재료, 또한 열처리 방법이 선택된다. 세라믹 등의 비금속재료라도 도전처리를 실시함으로써(예를 들면 표면에 도전성의 금속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사용 가능해진다. 또, 마스터 축(7)의 표면에는 금속부(4)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표면처리, 예를 들면 불소계의 수지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축(7)은 중실축 외에 중공축이나 중공부에 수지를 충전한 중실축이어도 좋다. 또한 회전용 베어링에서는 마스터 축의 횡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슬라이딩용 베어링의 경우에는 횡단면을 임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원형 이외에 다각형상이나 비진원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용의 베어링에서는 기본적으로 마스터 축(7)의 횡단면형상은 축방향으로 일정하지만, 회전용의 베어링이나 회전 슬라이딩용의 베어링에서는 축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횡단면형상이 아닌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마스터 축(7)의 외주면 정밀도는 후술하는 베어링 간극의 정밀도를 직접 좌우하므로, 진원도, 원통도, 표면 거칠기 등의 베어링 기능상 중요하게 되는 표면 정밀도를 미리 고정밀도로 마무리해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회전용 베어링에서는 베어링면과의 접촉 회피의 관점으로부터 진원도가 중시되므로, 마스터 축(7)의 외주면은 가능한 한 진원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베어링 간극 의 평균 폭(반경 치수)의 8할 이하로 까지 마무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베어링 간극의 평균 폭을 2㎛로 설정할 경우, 마스터 축 외주면은 1.6㎛이하의 진원도로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축(7)의 외주면에는 금속부(4)의 형성 예정부를 제외하고, 마스킹이 실시된다(도 2에 산점으로 나타냄). 마스킹용 피복재(8)로서는 비도전성, 및 전해질 용액에 대한 내식성을 갖는 기존품이 선택 사용된다.
전기 주조 가공은 Ni나 Cu 등의 금속이온을 함유한 전해질 용액에 마스터 축(7)을 침지하고, 전해질 용액에 통전해서 목적의 금속을 마스터 축(7)의 표면에 석출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전해질 용액에는 카본 등의 슬라이딩재 또는 사카린 등의 응력 완화재를 필요에 따라 함유시켜도 좋다. 전착 금속의 종류는 베어링의 베어링면에 요구되는 경도나, 내마모성, 피로 강도 등의 물리적 성질, 화학적 성질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된다. 금속부(4)의 두께는 이것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마스터 축(7)으로부터의 박리성이 저하되고, 지나치게 얇으면 베어링면의 내구성 저하 등으로 이어지므로, 요구되는 베어링 성능이나 베어링 사이즈, 또한 용도 등에 따라 최적의 두께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축직경 1mm∼6mm의 회전용 베어링에서는 10㎛∼200㎛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듯이, 마스터 축(7) 외주에 원통형상의 금속부(4)가 형성된다. 또, 마스킹용 피복재(8)가 얇은 경우, 금속부(4)의 양단은 피복재(8)측으로 밀려 나와 내주면에 테이퍼상의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모따기부를 이용해서 금속부의 수지부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플랜지부 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따기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 후에 도 3에 나타내듯이, 마스터 축(7)의 외주면에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를 배치한다.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나타내는 환상 외에 예를 들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단면형상은 도 4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외에 반원상이나 사다리꼴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에 사용되는 재료는 형상이 도 3과 같이 환상인 경우에는 후술의 베어링(3)과 마스터 축(7)의 분리후에 베어링(3)로부터 해체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고무계의 재료로 형성된다.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의 형상이 환상이 아닌 경우에는 베어링(3)으로부터의 해체시에 문제가 없으면, 임의의 재료, 예를 들면 금속이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를 배치하는 위치는 수지부(5)의 형성 예정부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부(4)에 인접해서 배치하는 것 외에 금속부(4)와 축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해도 좋다. 또는, 금속부(4)를 축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에 형성하고, 그 금속부(4) 사이에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배치하는 수도 한정되지 않고, 도 3과 같이 1개소에 배치해도 좋고, 복수 개소에 배치해도 좋다.
이상에 의해 마스터 축(7)의 외주면에 금속부(4)와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 가 설치된 전기 주조 축(10)이 형성된다. 전기 주조 축(10)은 도 4에 나타내는 사출 성형 공정으로 이송되고, 금속부(4),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 및 마스터 축(7)을 인서트 부품으로 하는 인서트 성형이 행해진다.
도 4는 수지부(5)의 인서트 성형 공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가동형(11a) 및 고정형(11b)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에는 러너(12) 및 게이트(13)와, 캐비티(14)가 설치된다. 게이트(13)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점상 게이트이며, 성형 금형(고정형(11b))의 수지부(5)의 축방향 일단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또한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복수 개소(예를 들면 3개소)에 형성된다. 각 게이트(13)의 게이트 면적은 충전하는 용융 수지의 점도나, 성형품의 형상에 맞춰서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구성의 금형에 있어서, 전기 주조 축(10)을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가동형(11a)을 고정형(11b)에 접근시켜서 몰드 클램핑한다. 다음에 결합한 상태에서 스프루(도시생략), 러너(12) 및 게이트(13)를 통해 캐비티(14)내에 용융 수지(P)를 사출, 충전하고, 수지부(5)를 전기 주조 축(10)과 일체로 성형한다.
용융 수지(P)는 열가소성 수지이며, 비결정성 수지로서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술폰(PPSU),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등 결정성 수지로서 액정 폴리머(LC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술피드(PP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지에 충전하는 충전재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등의 섬유상 충전재, 티탄산 칼륨 등의 위스커상 충전재, 마이카 등의 인편상 충전재, 카본섬유, 카본블랙, 흑연, 카본나노마테리알, 금속 분말 등의 섬유상 또는 분말상의 도 전성 충전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충전재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형 개방후 마스터 축(7), 금속부(4),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 및 수지부(5)가 일체가 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탈형한다. 이 성형품은 그 후의 박리공정에 있어서 금속부(4), 수지부(5) 및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로 이루어지는 요소(도 1을 참조)와, 마스터 축(7)으로 분리된다.
이 박리공정에서는 금속부(4)에 축적된 내부응력을 해방함으로써 금속부(4)의 내주면(4a)을 확경시켜서 마스터 축(7)의 외주면으로부터 박리시킨다. 내부응력의 해방은 마스터 축(7) 또는 금속부(4)에 충격을 줌으로써, 또는 금속부(4)의 내주면(4a)과 마스터 축(7)의 외주면 사이에 축방향의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행해진다. 내부응력의 해방에 의해 금속부(4)의 내주면을 반경방향으로 확경시켜서 금속부(4)의 내주면(4a)과 마스터 축(7)의 외주면 사이에 적당한 크기의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금속부(4)의 내주면(4a)으로부터 마스터 축(7)을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빼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성형품은 금속부(4), 수지부(5) 및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로 이루어지는 요소와 마스터 축(7)으로 분리된다. 또, 금속부(4)의 확경량은 예를 들면 금속부(4)의 두께나 전해질 용액의 조성, 전기 주조 조건을 바꿈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충격의 부여만으로는 금속부(4)의 내주를 충분히 확경시킬 수 없는 경우, 금속부(4)와 마스터 축(7)을 가열 또는 냉각해서 양자간에 열 팽창량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마스터 축(7)으로부터 금속부(4)를 박리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분리된 금속부(4), 수지부(5) 및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로 이루어지는 요소로부터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를 해체하여 오일 저류부(6)를 갖는 베어링(3)이 형성된다.
오일 저류부(6)의 용적, 즉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의 체적(V1)은 충분한 오일을 유지하기 위해서 베어링 간극의 용적(V2)에 대한 비를 10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V1/V2>10).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가 고무 등의 탄성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9)를 용융성의 재료로 형성하고, 분리 공정후에 용제에 의해 용융시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베어링(3)의 내주면(3a)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원통형상 내주면(3a)의 일부를 선삭 등의 기계가공으로 제거함으로써 오일 저류부(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3)에 오일 저류부(6)가 형성되지만, 예를 들면 선삭 등의 기계가공으로 축부재(2)의 외주면(2a)의 일부를 제거 함으로써, 축부재(2)에 오일 저류부(6)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 후에 베어링(3)에 별도 제작한 축부재(2)를 삽입하고, 베어링(3)의 내주면과 축부재(2)의 외주면 사이의 베어링 간극 및 오일 저류부(6)에 윤활유를 충전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1)가 완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과 같이, 베어링(3)의 내주면(3a)은 금속부(4)의 내주면(4a)과 수지부(5)의 소경 내주면(5a)으로 형성되고, 금속부(4)의 내주면(4a)이 베어링면으로서 작용한다. 사출 성형후의 고화시에 수지부(5)의 소경 내주면(5a)이 성형 수축에 의해 확경되도록 수지 재료의 조성이나 성형 조건을 배려함으로써, 마 스터 축(7)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부(5)와 마스터 축(7)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미소한 간극의 폭이 적절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1)에 있어서 수지부(5)의 소경 내주면(5a)과 축부재(2)의 외주면(2a) 사이의 미소한 간극을 모세관 시일로서 기능시킬 수 있고, 베어링 간극으로부터의 윤활유의 유출 방지에 유효하게 된다. 이 밖에 마스터 축(7)의 분리후, 기계가공 등으로 소경 내주면(5a)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모세관 시일은 수지부(5)의 소경 내주면(5a)을 확경시키는 외에 소경 내주면(5a)에 대향하는 축부재(2)의 외주면(2a)에 소경 외주면(도시생략)을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모세관 시일을 베어링 간극측일수록 간극폭을 서서히 확경시킨 테이퍼 시일로 하면 보다 유효한 윤활유의 유출 방지가 가능해진다.
축부재(2)로서 분리된 마스터 축(7)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금속부(4)와 마스터 축(7)의 박리공정에서 생긴 금속부(4)의 내주면(4a)과 마스터 축(7)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미소한 간극은 베어링 간극으로서 기능한다. 이 베어링 간극은 전기 주조 가공의 특성으로부터 클리어런스가 매우 작고, 또한 고정밀도이다라는 특징을 가지므로, 높은 회전 정밀도 또는 슬라이딩성을 갖는 베어링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 제작한 축부재로 바꿔서 베어링을 구성하는 경우, 한번 마스터 축(7)을 제작하면, 이것을 반복해서 전용(轉用)할 수 있으므로, 마스터 축(7)의 제작 비용을 억제하여 베어링 장치(1)의 더나은 저비용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베어링 장치(1)의 작동(회전, 슬라이딩, 회전 슬라이딩, 또는 요동)시에는 오일 저류부(6)로부터 공급된 오일이 금속부(4)의 내주면(4a)과 축부재(2)의 외주면(2a) 사이의 베어링 간극에 오일막을 형성하므로, 항상 윤택한 윤활유가 베어링 간극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오일 부족에 의한 윤활 불량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나, 축부재(2)와 베어링(3)의 접촉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가 회피되어 제품수명이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21)는 컵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3)의 내주면 및 내저면에 금속부(4)가 형성된다. 베어링(3)의 내주에는 하단이 볼록 구면상인 축부재(2)가 삽입된다. 축부재(2)의 볼록 구면부(2b)의 선단과 금속부(4)의 내저면(4c) 사이에는 축부재(2)를 스러스트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부(T)가 형성된다. 이 경우, 축부재(2)의 볼록 구면부(2b)와, 금속부(4)의 내주면(4a) 및 내저면(4c) 사이에 오일 보충 기구가 되는 오일 저류부(6)를 형성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31)는 컵형상의 베어링(3)의 측부(15)와 저부(16)가 별체로 형성된다. 저부(16)는 예를 들면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접착, 고주파 용착, 초음파 용착 등의 방법으로 측부(15)에 고정된다. 축부재(2)의 볼록 구면(2b)의 선단과 베어링(3)의 저부(16)의 상단면(16a) 사이에는 축부재(2)를 스러스트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부(T)가 형성된다. 이 경우, 축부재(2)의 볼록 구면부(2b)와, 수지부(5)의 단차부(5b)와, 금속부(4)의 하단부와, 저부(16)의 상단면(16a)으로 둘러싸여지는 공간이 오일 보충 기구가 되는 오일 저류부(6)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사출 성형시의 금형을 조정함으로써 수지부(5)의 단차부(5b)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오일 저류부(6)의 형성이 용이화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7∼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링 장치(101)의 단면도이다. 베어링 장치(101)는 베어링(103)과, 베어링(103)의 내주에 삽입된 축부재(102)로 구성된다. 이 중 베어링(103)은 전기 주조 가공으로 형성되는 금속부(104)와, 금속부(104)를 내주에 유지하는 수지부(105)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오일 보충 기구로서 오일 저류부(106)가 형성되고, 이 오일 저류부(106)가 금속부(104)의 외주면(104b)에 인접하고, 축부재(102)의 외주면(102a)으로부터 이격해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은 베어링면으로서 작용한다. 베어링(103)에는 오일 저류부(106)가 축부재(102)의 외주면(102a)과 이격해서 형성되고, 그 오일 저류부(106)와,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과 축부재(102)의 외주면(102a) 사이의 베어링 간극은 금속부(104)를 관통하는 연통구멍(109)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수지부(105)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수지를 몰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이하, 베어링(103)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베어링(103)은 마스터 축(107)에 소정 개소의 마스킹 등의 소정처리를 행하는 공정(도 8 참조), 비마스크부에 전기 주조 가공 등을 행해서 전기 주조 축(111)을 형성하는 공정(도 9, 도 10 참조), 전기 주조 축(111)의 금속부(104)를 수지로 사출 성형하는 공정(도 11 참조) 및 금속부(104)를 마스터 축(107)으로부터 박리해서 베어링(103)과 마스터 축(107)을 분리 하는 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마스터 축(107)은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담금질 처리를 한 스테인레스강이며, 스트레이트인 횡단면 원형의 축으로서 제작된다. 물론 스테인레스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강성 등의 기계적 강도, 슬라이딩성, 내열성, 내약품성, 금속부(104)의 가공성 및 박리성 등 베어링의 기능상 또는 베어링 제작의 형편상 요구되는 특성에 적합한 재료, 또한 열처리 방법이 선택된다. 세라믹 등의 비금속 재료라도 도전처리를 실시함으로써(예를 들면 표면에 도전성의 금속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사용 가능해진다. 또, 마스터 축(107)의 표면에는 금속부(104)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표면처리, 예를 들면 불소계 수지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축(107)은 중실축 외에 중공축이나 중공부에 수지를 충전한 중실축이어도 좋다. 또한 회전용의 베어링에서는 마스터 축의 횡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슬라이딩용 베어링의 경우에는 횡단면을 임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원형 이외에 다각형상이나 비진원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용 베어링에서는 기본적으로 마스터 축(107)의 횡단면 형상은 축방향으로 일정하지만, 회전용 베어링이나 회전 슬라이딩용 베어링에서는 축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횡단면형상이 아닌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마스터 축(107)의 외주면 정밀도는 후술하는 베어링 간극의 정밀도를 직접 좌우하므로, 진원도, 원통도, 표면 거칠기 등의 베어링 기능상 중요하게 되는 표면 정밀도를 미리 고정밀도로 마무리해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회전용 베어링에서 는 베어링면과의 접촉 회피의 관점으로부터 진원도가 중시되므로, 마스터 축(107)의 외주면은 가능한 한 진원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베어링 간극의 평균 폭(반경치수)의 8할이하로 까지 마무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베어링 간극의 평균 폭을 2㎛로 설정할 경우, 마스터 축 외주면은 1.6㎛이하의 진원도로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축(107)의 외주면에는 금속부(104)의 형성 예정부를 제외하고, 마스킹이 실시된다(도 8에 산점으로 나타냄). 마스킹용의 피복재(108)로서는 비도전성 및 전해질 용액에 대한 내식성을 갖는 기존품이 선택 사용된다. 또한 연통구멍(109)의 형성 예정부에는 돌기부(119)가 형성된다. 돌기부(119)에는 비도전성 및 전해질 용액에 대한 내식성을 갖고, 특정의 용제에 의해 용융되는 재료, 예를 들면 용융성 수지가 사용된다. 돌기부(119)의 지름방향 치수(돌기 높이)는 나중에 형성되는 금속부(104)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119)는 축방향 대략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장소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후술의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전기 주조 가공은 Ni나 Cu 등의 금속이온을 함유한 전해질 용액에 마스터 축(107)을 침지하고, 전해질 용액에 통전해서 목적의 금속을 마스터 축(107)의 표면에 석출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전해질 용액에는 카본 등의 슬라이딩재 또는 사카린 등의 응력 완화재를 필요에 따라 함유시켜도 좋다. 전착 금속의 종류는 베어링의 베어링면에 요구되는 경도나 내마모성, 피로 강도 등의 물리적 성질, 화학적 성질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된다. 금속부(104)의 두께는 이것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마 스터 축(107)으로부터의 박리성이 저하되고, 지나치게 얇으면 베어링면의 내구성 저하 등으로 이어지므로, 구해지는 베어링 성능이나 베어링 사이즈, 또한 용도 등에 따라 최적의 두께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축직경 1mm∼6mm의 회전용 베어링에서는 10㎛∼200㎛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도 9에 나타내듯이, 마스터 축(107) 외주에 원통형상의 금속부(104)가 형성되고, 금속부(104)의 외주면(104b)에는 돌기부(119)의 외경 단면이 노출되어 있다. 또, 마스킹용 피복재(108)가 얇은 경우, 금속부(104)의 양단은 피복재(108)측으로 밀려나와 내주면에 테이퍼상의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모따기부를 이용해서 금속부의 수지부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따기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부(104)가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축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에 금속부(104)를 형성해도 좋다.
그 후, 도 10에 나타내듯이, 금속부(104)의 외주면(104b)의 돌기부(119)를 덮도록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를 배치한다. 배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마스터 축(107), 금속부(104) 및 돌기부(119)를 금형내에 설치하고, 수지 등을 사출 성형해서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를 일체 형성하는 방법, 또는, 별도 형성한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를 금속부(104)의 외주면(104b)에 끼워맞추는 방법 등이 고려된다.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는 용제에 의해 용융되고, 또한, 사출 성형시에 사출되는 고온의 수지 재료에 의해 용융되지 않도록 사출되는 수지보다 높은 융 점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의 재료에 돌기부(119)와 동일 재료 또는 돌기부(119)와 같은 용제로 용융할 수 있는 별도 재료를 선정하면, 후술의 사출 성형후의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 및 돌기부(119)의 용융을 한번에 행할 수 있으므로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마스터 축(107)의 외주면에 금속부(104)와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를 갖는 전기 주조 축(111)이 형성된다.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를 형성하는 장소는 돌기부(119)의 외경측 단면과 접촉 가능한 한 상관없다. 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0에서는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가 원주방향 전체 둘레(환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에 원호상의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의 단면형상은 도 11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외에 반원형상이나 사다리꼴형상 등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는 금속부(104)의 외경측의 축방향 중앙부 1개소에 배치되어 있지만, 축방향 어느 한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하거나, 또는 축방향 복수 개소에 배치해도 좋다.
전기 주조 축(111)은 도 11에 나타내는 사출 성형 공정으로 이송되고, 금속부(104),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 마스터 축(107) 및 돌기부(119)를 인서트 부품으로 하는 인서트 성형이 행해진다.
도 11은 수지부(105)의 인서트 성형 공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가동형(112) 및 고정형(113)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에는 러너(114) 및 게이트(115)와, 캐비티(116)가 설치된다. 게이트(115)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점상 게이트이며, 성형 금형(고정형(113))의 수지부(105)의 축방향 일단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또한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복수 개소(예를 들면 3개소) 형성된다. 각 게이트(115)의 게이트 면적은 충전하는 용융 수지의 점도나, 성형품의 형상에 맞춰서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구성의 금형에 있어서, 전기 주조 축(111)을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가동형(112)을 고정형(113)에 접근시켜서 몰드 클램핑한다. 다음에 몰드 클램핑된 상태에서 스프루(도시생략), 러너(114) 및 게이트(115)를 통해 캐비티(116)내에 용융 수지(P)를 사출, 충전하고, 수지부(105)를 전기 주조 축(111)과 일체로 성형한다.
또, 용융 수지(P)는 열가소성 수지이며, 비결정성 수지로서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술폰(PPSU),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등 결정성 수지로서 액정 폴리머(LC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술피드(PP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지에 충전하는 충전재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등의 섬유상 충전재, 티탄산 칼륨 등의 위스커상 충전재, 마이카 등의 인편상 충전재, 카본섬유, 카본블랙, 흑연, 카본나노마테리알, 금속 분말 등의 섬유상 또는 분말상의 도전성 충전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충전재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형 개방후, 마스터 축(107), 금속부(104),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 돌기 부(119) 및 수지부(105)가 일체로 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탈형한다. 이 성형품은 그 후의 박리공정에 있어서 금속부(104), 수지부(105),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 및 돌기부(119)로 이루어지는 요소와, 마스터 축(107)으로 분리된다.
이 박리공정에서는 금속부(104)에 축적된 내부응력을 해방함으로써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을 확경시켜서 마스터 축(107)의 외주면으로부터 박리시킨다. 내부응력의 해방은 마스터 축(107) 또는 베어링(103)에 충격을 줌으로써, 또는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과 마스터 축(107)의 외주면 사이에 축방향의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행해진다. 내부응력의 해방에 의해 금속부(104)의 내주면을 반경방향으로 확경시켜서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과 마스터 축(107)의 외주면 사이에 적당한 크기의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으로부터 마스터 축(107)을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빼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성형품은 금속부(104), 수지부(105),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 및 돌기부(119)로 이루어지는 요소와, 마스터 축(107)으로 분리된다. 또, 금속부(104)의 확경량은 예를 들면 금속부(104)의 두께나 전해질 용액의 조성, 전기 주조 조건을 바꿈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충격의 부여만으로는 금속부(104)의 내주를 충분히 확경시킬 수 없는 경우, 금속부(104)와 마스터 축(107)을 가열 또는 냉각하고, 양자간에 열 팽창량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마스터 축(107)으로부터 금속부(104)를 박리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분리된 금속부(104), 수지부(105),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 및 돌기부(119)로 이루어지는 요소 중 돌기부(119) 및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를 용제에 의해 용융시켜 연통구멍(109) 및 오일 저류부(106)를 갖는 베어링(103) 이 형성된다. 오일 저류부(106)의 용적, 즉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의 체적(V1)은 충분한 오일을 유지하기 위해서 베어링 간극의 용적(V2)에 대한 비를 10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V1/V2>10).
그 후에 베어링(103)에 별도 제작한 축부재(102)를 삽입하고, 베어링(103)의 내주면과 축부재(102)의 외주면 사이의 베어링 간극 및 오일 저류부(106)에 윤활유를 충전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101)가 완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통구멍(109) 및 오일 저류부(106)를 각각 돌기부(119) 및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의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돌기부(119)와 오일 저류부 형성부재(110)가 일체로 형성된 부재를 전기 주조 가공 공정전의 마스터 축(107)의 외주면에 배치하고, 그 후에 상기와 같이 전기 주조 가공, 사출성형, 분리, 용융을 행함으로써 베어링(103)에 연통구멍(109) 및 오일 저류부(106)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오일 저류부(106)를 금속부(104)의 외주면(104b)과 접하도록 형성해도 좋지만, 금속부(104)와 지름방향으로 이격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통구멍(109)은 금속부(104) 및 수지부(105)를 관통해서 오일 저류부(106)와 베어링 간극을 연통한다(도시생략).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과 같이, 베어링(103)의 내주면(103a)은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과 수지부(105)의 소경 내주면(105a)으로 형성되고,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이 베어링면으로서 작용한다. 사출 성형후의 고화시에 수지부(105)의 소경 내주면(105a)이 성형 수축에 의해 확경되도록 수지 재료의 조성이나 성형 조건 등을 배려함으로써 마스터 축(107)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간극 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부(105)와 마스터 축(107)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미소한 간극의 폭이 적절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101)에 있어서 수지부(105)의 소경 내주면(105a)과 축부재(102)의 외주면(102a) 사이의 미소한 간극을 모세관 시일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베어링 간극으로부터의 윤활유의 유출 방지에 유효하게 된다. 이 밖에, 마스터 축(107)의 분리후, 기계가공 등으로 소경 내주면(105a)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모세관 시일은 수지부(105)의 소경 내주면(105a)을 확경시키는 외에 소경 내주면(105a)에 대향하는 축부재(102)의 외주면(102a)에 소경 외주면(도시생략)을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모세관 시일을 베어링 간극측일수록 간극폭을 서서히 확경시킨 테이퍼 시일로 하면 보다 유효한 윤활유의 유출 방지가 가능해진다.
축부재(102)로서 마스터 축(107)을 사용할 경우, 금속부(104)와 마스터 축(107)의 박리공정에서 생긴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과 마스터 축(107)의 외주면 사이의 미소한 간극은 베어링 간극으로서 기능한다. 이 베어링 간극은 전기 주조 가공의 특성으로부터 클리어런스가 매우 작고, 또한 고정밀도이다라는 특징을 가지므로 높은 회전 정밀도 또는 슬라이딩성을 갖는 베어링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 축부재(102)로서 마스터 축(107)을 사용할 필요는 반드시 없고, 마스터 축(107)과 같은 정도의 정밀도로 별도 제작한 축부재로 바꿔서 베어링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한번 마스터 축(107)을 제작하면, 이것을 반복해서 전용할 수 있으므로, 마스터 축(107)의 제작 비용을 억제하여 베어링 장치(101)의 더나은 저 비용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베어링 장치(101)의 작동(회전, 슬라이딩, 회전 슬라이딩, 또는 요동)시에는 오일 저류부(106)로부터 공급된 오일은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과 축부재(102)의 외주면(102a) 사이의 베어링 간극에 오일막을 형성하므로 항상 윤택한 윤활유가 베어링 간극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오일부족에 의한 윤활불량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나, 축부재(102)와 베어링(103)의 접촉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가 회피되어 제품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오일 저류부(106)에 유지된 오일은 연통구멍(109)을 통해서 베어링 간극에 공급되므로 베어링면이 되는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이 감소되는 면적은 극히 약간(연통구멍(109)뿐)이다. 따라서, 베어링면의 감소에 의한 베어링 성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121)는 컵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103)의 내주면 및 내저면에 금속부(104)가 형성된다. 베어링(103)의 내주에 축부재(102)가 삽입되고, 금속부(104)의 내주면(104a)과 축부재(102)의 외주면(102a) 사이에 레이디얼 베어링 간극이 형성되고, 금속부(104)의 내저면(104c)과 축부재(102)의 볼록 구면부(102b)의 선단 사이에는 축부재(102)를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부(T)가 형성된다. 이 경우, 금속부(104)의 외주면(104b)의 하단 부근에 형성된 오일 저류부(106)에 유지된 오일은 연통구멍(109)을 통과해서 레이디얼 베어링 간극 및 스러스트 베어링부(T)에 공급된다. 상기의 베어링 장치(101)와 같이 오일 저류부(106)의 장소는 축부재와 비접촉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속부(104)의 저부의 하단면(104d)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또는, 금속부(104)와 비접촉이 되도록 수지부(105)의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131)는 컵형상의 베어링(103)의 측부(117)와 저부(118)가 별체로 형성된다. 측부(117)는 대경 내주면(105b)과 소경 내주면(105c)을 갖고, 수지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다. 저부(118)는 예를 들면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접착, 고주파 용착, 초음파 용착 등의 방법으로 측부(117)에 고정된다. 축부재(102)의 볼록 구면부(102b)의 선단과 금속부(104)의 내저면(104c) 사이에는 축부재(102)를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부(T)가 형성된다. 이 경우, 금속부(104)의 외주면(104b)과, 저부(118)의 상단면(118a)과, 수지부(105)의 대경 내주면(105b)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에 의해 오일 저류부(106)가 형성되고, 오일 저류부(106)에 유지된 오일은 연통구멍(109) 및 축부재(102)의 볼록 구면부(102b)와 금속부(104)로 둘러싸여진 공간을 통해 베어링 간극에 공급된다.
베어링 장치(131)에서는 베어링(103)의 저부(118)가 별체로 형성되므로 오일 저류부(106)를 구성하는 수지부(105)의 대경 내주면(105b)의 형성 방법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예를 들면 사출 성형 공정전에 금속부(104)의 외주에 환상의 고무재를 배치하고, 성형후에 분리함으로써 수지부(105)의 대경 내주면(105b)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시의 금형에 의해 대경 내주면(105b)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수지로 사출 성형한 후, 선삭 등의 기계가공에 의해 수지부(105)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대경 내주면(105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방법으로 오일 저류 부(106)를 형성할 경우, 오일 저류부(106)의 위치는 저부(118)의 상단면(118a)과 접하고 있을 필요가 있지만, 상기의 베어링 장치(101, 121)와 같이 용제에 용융되는 물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14∼도 1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베어링 장치(201)의 단면도이다. 베어링 장치(201)는 베어링(203)과, 베어링(203)의 내주에 삽입된 축부재(202)를 구비한다. 베어링(203)은 전기 주조 가공으로 형성되는 금속부(204)와, 금속부(204)를 내주에 유지하는 수지부(205)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일 보충 기구로서 오일 보충 부재(206)가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하, 베어링(203)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베어링(203)은 마스터 축(207)의 소정 개소에 마스킹한 후, 비마스크부에 전기 주조 가공 등을 행해서 전기 주조 축(209)을 형성하는 공정(도 15, 도 16 참조), 전기 주조 축(209)의 금속부(204)를 수지로 사출 성형하는 공정(도 17 참조) 및 금속부(204)를 마스터 축(207)으로부터 박리하고, 베어링(203)과 마스터 축(207)을 분리하는 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마스터 축(207)은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담금질 처리를 한 스테인레스강이며, 스트레이트인 횡단면 원형의 축으로서 제작된다. 물론 스테인레스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강성 등의 기계적 강도, 슬라이딩성, 내열성, 내약품성, 금속부(204)의 가공성 및 박리성 등 베어링의 기능상 또는 베어링 제작의 형편상 요구되는 특성에 적합한 재료, 또한 열처리 방법이 선택된다. 세라믹 등의 비금속 재료라도 도전처리를 실시함으로써(예를 들면 표면에 도전성의 금속피막을 형성함으로 써) 사용 가능해진다. 또, 마스터 축(207)의 표면에는 금속부(204)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표면처리, 예를 들면 불소계의 수지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축(207)은 중실축 외에 중공축이나 중공부에 수지를 충전한 중실축이어도 좋다. 또한 회전용 베어링에서는 마스터 축의 횡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슬라이딩용 베어링의 경우에는 횡단면을 임의형상으로 할 수 있고, 원형 이외에 다각형상이나 비진원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용의 베어링에서는 기본적으로 마스터 축(207)의 횡단면형상은 축방향으로 일정하지만, 회전용의 베어링이나 회전 슬라이딩용의 베어링에서는 축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횡단면형상이 아닌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마스터 축(207)의 외주면 정밀도는 후술하는 베어링 간극의 정밀도를 직접 좌우하므로, 진원도, 원통도, 표면 거칠기 등의 베어링 기능상 중요하게 되는 표면정밀도를 미리 고정밀도로 마무리해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회전용의 베어링에서는 베어링면과의 접촉 회피의 관점으로부터 진원도가 중시되므로, 마스터 축(207)의 외주면은 가능한 한 진원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베어링 간극의 평균 폭(반경치수)의 8할이하로 까지 마무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베어링 간극의 평균 폭을 2㎛로 설정할 경우, 마스터 축 외주면은 1.6㎛이하의 진원도로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축(207)의 외주면에는 금속부(204)의 형성 예정부를 제외하고, 마스킹이 실시된다(도 15에 산점으로 나타냄). 마스킹용의 피복재(208)로서는 비도전성 및 전해질 용액에 대한 내식성을 갖는 기존품이 선택 사용된다.
전기 주조 가공은 Ni나 Cu 등의 금속이온을 함유한 전해질 용액에 마스터 축(207)을 침지하고, 전해질 용액에 통전해서 목적의 금속을 마스터 축(207)의 표면에 석출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전해질 용액에는 카본 등의 슬라이딩재 또는 사카린 등의 응력 완화재를 필요에 따라 함유시켜도 좋다. 전착 금속의 종류는 베어링의 베어링면에 요구되는 경도나 내마모성, 피로 강도 등의 물리적 성질, 화학적 성질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된다. 금속부(204)의 두께는 이것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마스터 축(207)으로부터의 박리성이 저하되고, 지나치게 얇으면 베어링면의 내구성 저하 등으로 이어지므로, 요구되는 베어링 성능이나 베어링 사이즈, 또한 용도 등에 따라 최적의 두께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축직경 1mm∼6mm의 회전용의 베어링에서는 10㎛∼200㎛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도 15에 나타내듯이 마스터 축(207) 외주에 원통형상의 금속부(204)가 형성된다. 또, 마스킹용 피복재(208)가 얇은 경우, 금속부(204)의 양단은 피복재(208)측으로 밀려나와 내주면에 테이퍼상의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모따기부를 이용해서 금속부의 수지부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따기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 후에 도 16에 나타내듯이, 마스터 축(207)의 외주면에 오일 보충 부재(206)를 금속부(204)와 축방향으로 인접해서 배치한다. 오일 보충 부재(206)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소결 금속 등의 다공질 금속에 윤활유를 함침시킨 오일 함유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다공질 수지에 윤활유를 함침시킨 오일 함유 수지, 윤활 성분을 수지중에 분산 유지한 오일 함유 수지, 오일 함유된 다공질 입자를 배합한 오일 함유 수지, 또는, 펠트 등의 섬유 재료에 윤활유를 함침시킨 오일 함유 섬유 등도 오일 보충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수지로 오일 보충 부재(206)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후의 사출 성형시에 사출되는 고온의 수지 재료에 의해 용융되지 않도록 사출되는 수지 재료보다 높은 융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오일 보충 부재(206)에 윤활유를 함침시킬 필요가 있는 재료(다공질 금속, 다공질 수지, 섬유 재료 등)를 사용할 경우, 후술의 베어링 장치(201)의 베어링 간극에 윤활유를 충전할 때에 동시에 오일 보충 부재(206)에 윤활유를 함침시킬 수도 있다.
오일 보충 부재(206)의 형상이나 배치하는 장소, 배치하는 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6에서는 오일 보충 부재(206)가 원주방향 전체 둘레(환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에 오일 보충 부재(206)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오일 보충 부재(206)의 단면형상은 도 14에 나타내는 직사각형 외에 반원형상이나 사다리꼴형상 등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오일 보충 부재(206)는 베어링(203)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복수 개소에 배치해도 좋고, 예를 들면 베어링(203)의 양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금속부(204)를 축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에 형성하고, 그 금속부 사이에 오일 보충 부재(206)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오일 보충 부재(206)와 금속부(204)를 축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할 수도 있 다.
이상에 의해 마스터 축(207)의 외주면에 금속부(204)와 오일 보충 부재(206)가 설치된 전기 주조 축(209)이 형성된다. 전기 주조 축(209)은 도 17에 나타내는 사출 성형 공정으로 이송되고, 금속부(204), 오일 보충 부재(206) 및 마스터 축(207)을 인서트 부품으로 하는 인서트 성형이 행해진다.
도 17은 수지부(205)의 인서트 성형 공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가동형(210) 및 고정형(211)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에는 러너(212) 및 게이트(213)와, 캐비티(214)가 설치된다. 게이트(213)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점상 게이트이며, 성형 금형(고정형(211))의 수지부(205)의 축방향 일단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또한 원주방향 등간격으로 복수 개소(예를 들면 3개소) 형성된다. 각 게이트(213)의 게이트 면적은 충전되는 용융 수지의 점도나, 성형품의 형상에 맞춰서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구성의 금형에 있어서, 전기 주조 축(209)을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가동형(210)을 고정형(211)에 접근시켜서 몰드 클램핑한다. 다음에 몰드 클램핑한 상태에서, 스프루(도시생략), 러너(212) 및 게이트(213)를 통해 캐비티(214)내에 용융 수지(P)를 사출, 충전하고, 수지부(205)를 전기 주조 축(209)과 일체로 성형한다.
또, 용융 수지(P)는 열가소성 수지이며, 비결정성 수지로서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술폰(PPSU),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등 결정성 수지로서 액정 폴리머(LCP),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 트(PBT), 폴리페닐렌술피드(PP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지에 충전하는 충전재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충전재로서 유리섬유 등의 섬유상 충전재, 티탄산 칼륨 등의 위스커상 충전재, 마이카 등의 인편상 충전재, 카본섬유, 카본블랙, 흑연, 카본나노마테리알, 금속 분말 등의 섬유상 또는 분말상의 도전성 충전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충전재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형 개방후, 마스터 축(207), 금속부(204), 오일 보충 부재(206) 및 수지부(205)가 일체로 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탈형시킨다. 이 성형품은 그 후의 박리공정에 있어서 금속부(204), 수지부(205), 및 오일 보충 부재(206)로 이루어지는 베어링(203)(도 14를 참조)과, 마스터 축(207)으로 분리된다.
이 박리공정에서는 금속부(204)에 축적된 내부응력을 해방시킴으로써, 금속부(204)의 내주면(204a)을 확경시켜 마스터 축(207)의 외주면으로부터 박리시킨다. 내부응력의 해방은 마스터 축(207) 또는 베어링(203)에 충격을 줌으로써 또는 금속부(204)의 내주면(204a)과 마스터 축(207)의 외주면 사이에 축방향의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행해진다. 내부응력의 해방에 의해 금속부(204)의 내주면을 반경방향으로 확경시켜서 금속부(204)의 내주면(204a)과 마스터 축(207)의 외주면 사이에 적당한 크기의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금속부(204)의 내주면(204a)으로부터 마스터 축(207)을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빼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성형품이 금속부(204), 수지부(205), 및 오일 보충 부재(206)로 이루어지는 베어링(203)과, 마스터 축(207)으로 분리된다. 또, 금속부(204)의 확경량은 예를 들면 금속부(204)의 두께 나 전해질 용액의 조성, 전기 주조 조건을 바꿈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충격의 부여만으로는 금속부(204)의 내주를 충분히 확경시킬 수 없는 경우, 금속부(204)와 마스터 축(207)을 가열 또는 냉각해서 양자간에 열 팽창량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마스터 축(207)과 베어링(203)을 분리할 수도 있다.
그 후에 베어링(203)에 축부재(202)를 삽입하고, 베어링(203)의 내주면과 축부재(202)의 외주면 사이의 베어링 간극에 윤활유를 충전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201)가 완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와 같이, 베어링(203)의 내주면(203a)이 금속부(204)의 내주면(204a)과 수지부(205)의 소경 내주면(205a)으로 형성되고, 금속부(204)의 내주면(204a)이 베어링면으로서 작용한다. 사출 성형후의 고화시에 수지부(205)의 소경 내주면(205a)이 성형 수축에 의해 확경되도록 수지 재료의 조성이나 성형 조건 등을 배려함으로써, 마스터 축(207)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부(205)와 마스터 축(207)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미소한 간극의 폭이 적절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201)에 있어서, 수지부(205)의 소경 내주면(205a)과 축부재(202)의 외주면(202a) 사이의 미소한 간극을 모세관 시일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베어링 간극으로부터의 윤활유의 유출 방지에 유효하게 된다. 이 밖에, 마스터 축(207)의 분리후, 기계 가공 등으로 소경 내주면(205a)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모세관 시일은 수지부(205)의 소경 내주면(205a)을 확경시키는 외에 소경 내주면(205a)에 대향하는 축부재(202)의 외주면(202a)에 소경 외주면(도시 생략)을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모세관 시일을 베어링 간극측일수록 간극폭을 서서히 확경시킨 테이퍼 시일로 하면 보다 유효한 윤활유의 유출 방지가 가능해진다.
축부재(202)로서 마스터 축(207)을 사용할 경우, 금속부(204)와 마스터 축(207)의 박리공정에서 생긴 금속부(204)의 내주면(204a)과 마스터 축(207)의 외주면 사이의 미소한 간극은 베어링 간극으로서 기능한다. 이 베어링 간극은 전기 주조 가공의 특성으로부터 클리어런스가 매우 작고, 또한 고정밀도이다라는 특징을 가지므로 높은 회전 정밀도 또는 슬라이딩성을 갖는 베어링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 축부재(202)로서 마스터 축(207)을 사용할 필요는 반드시 없고, 마스터 축(207)과 같은 정도의 정밀도로 별도 제작한 축부재로 바꿔서 베어링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한번 마스터 축(207)을 제작하면, 이것을 반복해서 전용할 수 있으므로, 마스터 축(207)의 제작 비용을 억제하여 베어링 장치(201)의 더나은 저비용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부(204), 수지부(205), 및 오일 보충 부재(206)를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오일 보충 부재(206)를 배치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지부(205)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에 오일 보충 부재(206)를 고정할 수도 있다. 수지부(205)의 오목부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시의 금형의 형상에 의해 형성하거나, 또는, 사출 성형후에 선삭 등의 기계가공에 의해 수지부(205)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베어링 장치(201)의 작동(회전, 슬라이딩, 회전 슬라이딩, 또는 요동)시에는 오일 보충 부재(206)로부터 공급된 오일이 금속부(204)의 내주면(204a)과 축부재(202)의 외주면(202a) 사이에 오일막을 형성함으로써, 오일부족에 의한 윤활불량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나, 축부재(202)와 베어링(203)의 접촉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가 회피되어 제품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오일 보충 부재에 오일을 유지시킴으로써 오일 저류부 등의 공간으로부터 급유하는 것보다 미량씩 오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적당한 오일막을 베어링 간극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베어링 장치(201)에서는 오일 보충 부재(206)가 축부재(202)와 접촉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221)와 같이 오일 보충 부재(206)를 축부재(202)와 비접촉이 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금속부(204)를 관통하는 연통 구멍(217)을 통해 베어링 간극에 오일을 공급할 수도 있다. 베어링 장치(221)는 컵형상으로 형성된 베어링(203)의 내주면 및 내저면에 금속부(204)가 형성되고, 베어링(203)의 내주에 축부재(202)가 삽입된다. 금속부(204)의 내저면(204c)과 축부재(202)의 볼록 구면부(202b)의 선단 사이에는 축부재(202)를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부(T)가 형성된다. 오일 보충 부재(206)는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듯이 금속부(204)의 외경면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밖에, 오일 보충 부재(206)를 금속부(204)의 저부의 하단면(204d)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또는, 오일 보충 부재(206)를 금속부(204)와 직경방향으로 이격된 수지부(205)의 내부에 배치하고, 연통 구멍(217)을 통해 베어링 간극과 연통시킬 수도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231)는 컵형상의 베어링(203)의 측부(215)와 저부(216)가 별체로 형성된다. 측부(215)는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대경 내주면(205b) 및 소경 내주면을 갖는다. 수지부(205)의 대경 내주면(205b)에 오일 보충 부재(206)가 배치된다. 저부(216)는 예를 들면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접착, 고주파 용착, 초음파 용착 등의 방법으로 측부(215)에 고정된다. 축부재(202)의 볼록 구면부(202b)의 선단과 저부(216)의 상단면(216a) 사이에는 축부재(202)를 스러스트 방향으로 접촉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부(T)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9와 같이 측부(215)측에 오일 보충 부재(206)를 형성하는 것 외에 저부(216)에 오일 보충 부재(206)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20∼도 2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305)의 수지부(315)가 오일 함유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베어링(305)(도 22 참조)은 마스터 축(302)의 소정 개소를 마스킹하는 공정, 비마스크부에 전기 주조 가공을 행해서 전기 주조 축(301)을 형성하는 공정(도 20 참조), 전기 주조 축(301)의 금속부(304)를 수지로 사출 성형하는 공정(도 21 참조) 및 금속부(304)와 마스터 축(302)을 분리하는 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마스터 축(302)은 도전성 재료, 예를 들면 담금질 처리를 한 스테인레스강이며, 스트레이트인 횡단면 원형의 축으로서 제작된다. 물론 스테인레스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성 등의 기계적 강도, 슬라이딩성, 내열성, 내약품성, 금속부(304)의 가공성 및 분리성 등 베어링의 기능상 또는 베어링 제작의 형편상 요구 되는 특성에 적합한 재료, 또한 열처리 방법이 선택된다. 세라믹 등의 비금속 재료라도 도전처리를 실시함으로써(예를 들면 표면에 도전성의 금속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사용 가능해진다. 또, 마스터 축(302)의 표면에는 금속부(304)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표면처리, 예를 들면 불소계의 수지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축(302)은 중실축 외에 중공축이나 중공부에 수지를 충전한 중실축이어도 좋다. 또한 회전용 베어링에서는 마스터 축의 횡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슬라이딩용의 베어링의 경우에는 횡단면을 임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원형 이외에 다각형상이나 비진원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용의 베어링에서는 기본적으로 마스터 축(302)의 횡단면형상은 축방향으로 일정하지만, 회전용 베어링이나 회전 슬라이딩용의 베어링에서는 축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횡단면형상이 아닌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마스터 축(302)의 외주면 정밀도는 후술하는 베어링 간극의 정밀도를 직접 좌우하므로, 진원도, 원통도, 표면 거칠기 등의 베어링 기능상 중요하게 되는 표면정밀도를 미리 고정밀도로 마무리해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회전용 베어링에서는 베어링면과의 접촉 회피의 관점으로부터 진원도가 중시되므로, 마스터 축(302)의 외주면은 가능한 한 진원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베어링 간극의 평균 폭(반경치수)의 8할이하로 까지 마무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베어링 간극의 평균 폭을 2㎛로 설정할 경우, 마스터 축 외주면은 1.6㎛이하의 진원도로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축(302)의 외주면에는 도 20의 산점으로 나타내듯이 금속부(304)의 형성 예정부를 제외하고, 마스킹이 실시된다. 마스킹용의 피복재(303)로서는 비도전성 및 전해질 용액에 대한 내식성을 갖는 기존품이 선택 사용된다.
전기 주조 가공은 Ni나 Cu 등의 금속이온을 함유한 전해질 용액에 마스터 축(302)을 침지하고, 전해질 용액에 통전해서 목적의 금속을 마스터 축(302)의 표면에 석출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전해질 용액에는 카본 등의 슬라이딩재 또는 사카린 등의 응력 완화재를 필요에 따라 함유시켜도 좋다. 전착 금속의 종류는 베어링의 베어링면에 구해지는 경도, 피로 강도 등의 물리적 성질, 화학적 성질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된다. 금속부(304)의 두께는 이것이 지나치게 두꺼우면 마스터 축(302)로부터의 박리성이 저하되고, 지나치게 얇으면 베어링면의 내구성 저하 등으로 이어지므로, 구해지는 베어링 성능이나 베어링 사이즈, 또한 용도 등에 따라 최적의 두께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축직경 1mm∼6mm의 회전용 베어링에서는 10㎛∼200㎛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도 20에 나타내듯이 마스터 축(302) 외주에 원통형상의 금속부(304)를 피착한 전기 주조 축(301)이 제작된다. 또, 마스킹용의 피복재(303)가 얇은 경우, 금속부(304)의 양단은 피복재(303)측으로 밀려나와 내주면에 테이퍼상의 모따기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모따기부를 이용해서 금속부의 수지부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따기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다.
전기 주조 축(301)은 도 21에 나타내는 사출 성형 공정으로 이송되고 금속 부(304) 및 마스터 축(302)을 인서트 부품으로 하는 인서트 성형이 행해진다.
이 사출 성형 공정에서는 전기 주조 축(301)은 도 21에 나타내듯이 그 축방향을 몰드 클램핑 방향(도면 상하 방향)과 평행하게 하고, 가동형(306) 및 고정형(307)으로 이루어지는 금형 내부에 공급된다. 고정형(307)에는 마스터 축(302)의 외경 치수에 적합한 위치 결정 구멍(309)이 형성된다. 이 위치 결정 구멍(309)에 전공정으로부터 이송된 전기 주조 축(301)의 하단을 삽입하여 전기 주조 축(301)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가동형(306)에는 위치 결정 구멍(309)과 동축에 가이드 구멍(310)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형(306)을 고정형(307)에 접근시켜서 몰드 클램핑하면, 우선 전기 주조 축(301)의 상단이 가이드 구멍(310)에 삽입되어서 전기 주조 축(301)의 센터링이 행해지고, 더욱 접근시켜서 가동형(306)과 고정형(307)이 접촉한 시점에서 몰드 클램핑이 완료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몰드 클램핑 완료시에 있어서, 전기 주조 축(301)의 하단은 위치 결정 구멍(309)의 하단에 충돌되고, 금속부(304)의 상단은 성형면의 상단면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금속부(304)의 하단은 성형면의 하단면보다 위에 위치한다. 즉, 금속부(304)의 축방향 치수는 성형면의 축방향 치수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루(312), 러너(313) 및 게이트(314)를 통해 캐비티(308)에 수지 재료를 사출하여 인서트 성형을 행한다.
사출 성형 공정에서 사용하는 수지 재료는 오일 함유 수지가 이용된다. 오일 함유 수지로서, 예를 들면 윤활 성분(윤활유 또는 윤활 그리스)을 수지중에 분산 유지시킨 상태에서 고화(경화)된 것이 사용 가능하며, 그 성분이 되는 수지나 윤활 유, 윤활 그리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오일 함유 수지의 수지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초고분자량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술피드, 액정 폴리머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또한 윤활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광유, 합성 탄화 수소 오일, 에스테르 오일 등의 윤활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고, 또한 윤활 성분으로서 윤활 그리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적점을 갖는 윤활 그리스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강화재(섬유상, 분말상 등의 형태는 상관없음)나 응력 완화재 등의 각종 충전재를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오일 함유 수지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염화나트륨이나 황산나트륨 등의 수용성 첨가제를 배합하고, 성형후에 물에 침지해서 첨가제를 용융함으로써 얻어지는 다공질 수지에 윤활유를 함침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부에 함침된 윤활유가 주위로 누설되지 않기 위해서 베어링 간극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부분을 제외한 표면은 봉공 처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공 처리의 수단으로서는 표면에 노출된 중공내로의 수지 등의 함침, 또는, 니켈 등의 금속 도금 피막의 형성 등에 의한 표면 코팅 등이 고려된다. 이밖에, 오일 함유한 다공질 입자를 배합한 수지도 사용 가능하다.
형 개방후, 탈형된 성형품은 도 22에서 나타내듯이 마스터 축(302), 금속부(304) 및 수지부(315)가 일체로 된 구조를 갖는다. 이 성형품은 그 후 분리 공정으로 이송되어 금속부(304) 및 수지부(315)로 이루어지는 베어링(305)과, 마스터 축(302)으로 분리된다.
이 분리 공정에서는 금속부(304)에 축적된 내부응력을 해방시킴으로써, 금속부(304)의 내주면을 확경시켜 마스터 축(302)의 외주면으로부터 박리시킨다. 내부응력의 해방은 마스터 축(302) 또는 베어링(305)에 충격을 줌으로써 또는 금속부(304)의 내주면과 마스터 축(302)의 외주면 사이에 축방향의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행해진다. 내부응력의 해방에 의해 금속부(304)의 내주면을 반경방향으로 확경시켜서 금속부(304)의 내주면과 마스터 축(302)의 외주면 사이에 적당한 크기의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금속부(304)의 내주면으로부터 마스터 축(302)을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빼낼 수 있고, 이에 따라 성형품이 금속부(304) 및 수지부(315)로 이루어지는 베어링(305)과, 마스터 축(302)으로 분리된다. 또, 금속부(304)의 확경량은 예를 들면 금속부(304)의 두께를 바꿈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충격의 부여만으로는 금속부(304)의 내주를 충분히 확경시킬 수 없는 경우, 금속부(304)와 마스터 축(302)을 가열 또는 냉각하고, 양자간에 열 팽창량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마스터 축(302)과 베어링(305)을 분리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베어링(305)의 내주에 별도 제작한 축부재를 삽입하고, 베어링(305)의 내주면과 축부재의 외주면 사이의 베어링 간극에 윤활유를 충전함으로써 베어링 장치가 완성된다(도시생략).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2와 같이, 베어링(305)의 내주면은 금속부(304)의 내주면(304a)과 수지부(315)의 소경 내주면(315a)으로 형성되고, 금속부(304)의 내주면(304a)이 베어링면(311)으로서 작용한다. 사출 성형후의 고화시에 수지부(315)의 소경 내주면(315a)이 성형 수축에 의해 확경되도록 수지 재료의 조성이나 성형 조 건을 배려함으로써, 마스터 축(30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부(315)와 마스터 축(302)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미소한 간극의 폭이 적절하면, 베어링의 내주에 축부재가 삽입된 베어링 장치에 있어서, 수지부(315)의 소경 내주면(315a)과 축부재의 외주면 사이의 미소한 간극을 모세관 시일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베어링 간극으로부터의 윤활유의 유출 방지에 유효하게 된다. 이 밖에, 마스터 축(302)의 분리후, 기계 가공 등으로 소경 내주면(315a)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모세관 시일은 수지부(315)의 소경 내주면(315a)을 확경시키는 외에 소경 내주면(315a)에 대향하는 축부재의 외주면에 소경 외주면(도시생략)을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모세관 시일을 베어링 간극측일수록 간극폭을 서서히 확경시킨 테이퍼 시일로 하면 보다 유효한 윤활유의 유출 방지가 가능해진다.
축부재로서 마스터 축(302)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금속부(304)와 마스터 축(302)의 분리 공정에서 생긴 금속부(304)의 내주면과 마스터 축(302) 사이의 미소한 간극은 베어링 간극으로서 기능한다. 이 베어링 간극은 전기 주조 가공의 특성으로부터, 클리어런스가 매우 작고, 또한 고정밀도라는 특징을 가지므로 높은 회전 정밀도 또는 슬라이딩성을 갖는 베어링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 제작한 축부재로 바꿔서 베어링을 구성할 경우, 한번 마스터 축(302)을 제작하면, 이것을 반복해서 전용할 수 있으므로, 마스터 축(302)의 제작 비용을 억제하여 베어링(305)의 더나은 저비용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오일이 함침된 오일 함유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부(315)는 일부가 베어링 간극에 면하고 있기 때문에 베어링(305)의 작동(회전, 슬라이딩, 회전 슬라이딩, 또는 요동)시에 수지부(315)로부터 배어 나온 오일이 베어링면(311)과 축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오일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항상 윤택한 윤활유가 베어링 간극에 개재되므로, 오일부족에 의한 윤활불량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나, 축부재와 베어링(305)의 접촉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가 회피되어 제품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수지부(315)의 소경 내주면(315a)과 대경 내주면(315b)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316)가 금속부(304)의 상단 및 하단과 결합됨으로써, 금속부의 축방향의 빠짐을 방지하는 앵커 효과도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마스터 축(302)에 전기 주조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부(304)의 축방향 치수나, 금형(306, 307)의 형상을 조정해서 베어링(305)의 내주면을 모두 금속부(304)로 형성할 수도 있다(도 23 참조). 이 경우, 오일 함유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부(315)는 베어링 간극에 면하지 않지만, 배어 나온 오일이 금속부(304)의 상단 또는 하단을 돌아서 베어링 간극에 도달하므로 상기와 동일한 윤활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다른 예로서, 축방향으로 이간된 복수 개소를 마스킹해서 전기 주조 가공을 행하고, 베어링(305)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이간된 복수의 전기 주조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도 24 참조). 이 방법에 의하면, 필요한 부분(예를 들면 동압 홈형성 부분)만을 전기 주조면으로 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오일 함유 수지제의 수지부가 베어링 간극에 면하는 면적을 확대하면, 오일이 공급되기 쉬워져 보다 원활한 윤활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베어링면(311)이 축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에 형성되므로 모멘트 하중에 대한 베어링 강성도 높아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제 4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베어링은 금속부의 내주면과 축부재의 외주면 사이의 레이디얼 베어링 간극에 유체의 동압작용으로 압력을 발생시키는 동압 베어링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동압 베어링은 예를 들면 축부재의 외주면에 헤링본형상 등으로 형성한 동압 홈, 다원호면 또는 스텝면 등의 동압 발생부를 형성하고, 이 동압 발생부를 금속부의 진원상 내주면과 대향시킴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금속부의 내주면에 동압 발생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금속부 내주면의 동압 발생부는 마스터 축의 외주면에 동압 발생부의 형상에 대응한 형을 형성해서 전기 주조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 가능하다. 그 후에 같은 순서로 베어링과 마스터 축의 분리를 행하고, 또한 베어링의 내주에 진원상의 외주면을 갖는 축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동압 베어링이 구성된다.
또한 베어링 장치의 스러스트 베어링부에도 동압 베어링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단면을 갖는 축부재를 사용하고, 예를 들면 축부재의 하단면에 스파이럴형상으로 형성된 동압 홈이나 스텝면 등의 동압 발생부를 형성하고, 이 동압 발생부를 축부재의 하단면과 대향하는 면, 예를 들면 금속부의 내저면과 대향시킴으로써 스러스트 베어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과는 반대로, 금속부의 내저면에 동압 발생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베어링 장치는, 예를 들면 정보기기용의 모터에 조립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하, 베어링 장치(1)를 상기 모터용의 회전축 지지 장치로서 사용한 예를 도 2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내듯이 이 모터(1000)는 예를 들면 HDD 등의 디스크 구동 장치용 스핀들 모터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축부재(2)를 회전 가능하게 비접촉 지지하는 베어링 장치(1)와, 축부재(2)에 장착된 로터(디스크 허브)(1003)와, 예를 들면 반경방향의 갭을 통해 대향시킨 스테이터 코일(1004) 및 로터 마그넷(1005)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 코일(1004)은 브래킷(1006)의 외주에 부착되고, 로터 마그넷(1005)은 디스크 허브(1003)의 내주에 부착되어 있다. 디스크 허브(1003)에는 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D)가 1개 또는 복수개 유지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일(1004)에 통전하면 스테이터 코일(1004)과 로터 마그넷(1005) 사이의 전자력에 의해 로터 마그넷(1005)이 회전하고, 그것에 따라 디스크 허브(1003) 및 디스크 허브(1003)에 유지된 디스크(D)가 축부재(2)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어링 장치(1)는 베어링(3)과, 베어링(3)의 내주에 삽입되는 축부재(2)와, 베어링(3)의 일단에 장착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007)를 구비한다. 도 25에서는, 베어링 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베어링 장치(1)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베어링 장치도 사용 가능하다. 스러스트 플레이트(1007)의 상단면에는 스러스트 동압 발생부로서 복수의 동압 홈을 스파이럴형상으로 배열한 영역(스러스트 베어링면)(1007a)이 형성된다. 축부재(2)의 회전시에는 축부재(2)의 외주면(2a)과 베어링(3)의 레이디얼 베어링면이 되는 금속부(4)의 내주면(4a)의 레이디얼 베어링 간극에 오일막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축부 재(2)를 레이디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비접촉 지지하는 레이디얼 베어링부(R)가 형성된다. 동시에, 축부재(2)의 하단면(2c)과 스러스트 플레이트(1007)의 상단면(1007a) 사이의 스러스트 베어링 간극에 동압 홈에 의한 윤활유의 동압 작용으로 축부재(2)를 스러스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비접촉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부(T)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베어링 장치는 이상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광디스크의 광자기 디스크 구동용의 스핀들 모터 등 고속 회전하에서 사용되는 정보기기용의 소형 모터 또는 레이저빔 프린터의 폴리곤 스캐너 모터 등에 있어서의 회전축 지지용으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수명이 요구되는 팬 모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베어링을 회전축의 지지에 사용할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 외에도 베어링은 축과의 사이의 직선적인 상대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슬라이딩용 베어링이나, 상대 슬라이딩과 상대 회전의 쌍방을 지지하는 슬라이딩 회전용의 베어링 또는 축의 3차원 방향의 운동을 지지하는 요동용 베어링 어느 것에나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전기 주조 가공으로 형성된 금속부 및 이 금속부를 내주에 인서트해서 성형된 수지부를 갖는 슬라이딩 베어링과,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에 삽입된 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과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베어링 간극이 형성된 베어링 장치로서:
    상기 베어링 간극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보충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보충 기구는 축부재에 접한 오일 저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저류부는 금속부와 축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저류부는 수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보충 기구는 축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오일 저류부이며, 이 오일 저류부에 유지된 오일은 연통 구멍을 통해 베 어링 간극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은 금속부를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보충 기구는 오일 보충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보충 부재는 축부재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보충 부재는 축부재와 비접촉이며, 연통 구멍 을 통해 베어링 간극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10. 금속부와, 이 금속부를 내주에 인서트해서 성형된 수지부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금속부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지부가 오일 함유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베어링.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가 전기 주조 가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베어링.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기재된 슬라이딩 베어링과,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에 삽입된 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과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베어링 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9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베어링 장치와, 스테이터 코일과, 로터 마그넷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087009485A 2005-09-27 2006-09-21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한 베어링 장치 KR200800467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0610A JP4794964B2 (ja) 2005-09-27 2005-09-27 軸受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モータ
JPJP-P-2005-00280610 2005-09-27
JP2005281559A JP2007092845A (ja) 2005-09-28 2005-09-28 軸受装置
JP2005281561A JP4794966B2 (ja) 2005-09-28 2005-09-28 軸受装置、これを備えたモータ、及び軸受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5-00281559 2005-09-28
JPJP-P-2005-00281561 2005-09-28
JP2005287564A JP4901171B2 (ja) 2005-09-30 2005-09-30 軸受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モータ
JPJP-P-2005-00287564 2005-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746A true KR20080046746A (ko) 2008-05-27

Family

ID=3789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485A KR20080046746A (ko) 2005-09-27 2006-09-21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한 베어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52328B2 (ko)
KR (1) KR20080046746A (ko)
WO (1) WO2007037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0959B2 (ja) * 2008-04-10 2010-02-24 村田機械株式会社 パラレルメカニズム
JP5335621B2 (ja) 2009-08-28 2013-11-06 Ntn株式会社 すべり軸受およびこれを備えるすべり軸受ユニット、並びにこの軸受ユニットを備えるモータ
TWI496994B (zh) * 2011-11-10 2015-08-21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軸心結構及其散熱風扇
CN103104535A (zh) * 2011-11-10 2013-05-15 奇鋐科技股份有限公司 轴心结构及其散热风扇
US20130149155A1 (en) * 2011-12-07 2013-06-13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Rotor shaft and cooling fan using same
TWM474950U (zh) * 2013-12-05 2014-03-21 Cooler Master Co Ltd 具有耐磨耗鍍膜軸套之風扇結構
DE102014208227B3 (de) * 2014-04-30 2015-06-11 Robert Bosch Gmbh Getriebebauteil mit einer Aufnahme zum Lagern eines Bauteil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7127A1 (de) * 1984-05-09 1985-11-14 Papst-Motoren GmbH & Co KG, 7742 St Georgen Kleinstventilator
JPS61152813A (ja) 1984-12-26 1986-07-11 Asahi Chem Ind Co Ltd 耐熱性アクリル系繊維及びその製造法
JPH0438102Y2 (ko) * 1985-03-13 1992-09-07
US4806081A (en) * 1986-11-10 1989-02-21 Papst-Motoren Gmbh And Company Kg Miniature axial fan
DE3605781A1 (de) 1986-02-22 1987-09-03 Kernforschungsz Karlsruhe Verwendung eines folien- oder plattenfoermigen gebildes als lagerwerkstoff fuer gleitlager
JPH0618743B2 (ja) * 1986-11-04 1994-03-16 三菱化成株式会社 摺動部品の製造方法
US5264748A (en) * 1990-05-24 1993-1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xial-flow fan motor
DK0512138T3 (da) * 1991-05-07 1994-09-26 Hauhinco Maschf Højtrykspumpe til renset vand
TW263629B (ko) * 1992-05-27 1995-11-21 Nihon Densan Kk
JPH06197487A (ja) * 1992-12-25 1994-07-15 Toshiba Home Technol Corp モータ
US5540504A (en) 1995-09-07 1996-07-30 Quantum Corporation Shock resistant bearing
JP3475215B2 (ja) * 1995-11-30 2003-12-08 日立粉末冶金株式会社 複合型多孔質軸受
GB2307947B (en) * 1995-12-08 1999-08-18 Aisan Ind Magnetically coupled pump
JP3731246B2 (ja) * 1996-03-28 2006-01-05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軸受の製造方法
JP3432376B2 (ja) * 1996-11-20 2003-08-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気部品
JP3168538B2 (ja) * 1997-04-19 2001-05-21 チャン リー ウー 滑りベア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20695A (ja) * 1998-10-19 2000-04-25 Seiko Instruments Inc 動圧軸受装置
JP2000352414A (ja) * 1999-06-11 2000-12-19 Ntn Corp 動圧型軸受ユニット
US6753628B1 (en) * 1999-07-29 2004-06-22 Encap Motor Corporation High speed spindle motor for disc drive
US6183221B1 (en) * 1999-10-29 2001-02-06 Hsieh Hsin-Mao Heat dissipation fan with a shaft positioned to prevent chafing between the fan blades and the bearing
US6318976B1 (en) * 2000-04-10 2001-11-20 Hsieh Hsin-Mao Heat dissipation fan
US6547439B2 (en) * 2001-04-10 2003-04-15 Yen Sun Technology Corp. Bearing device
JP3820480B2 (ja) * 2001-08-09 2006-09-13 株式会社ティ・アンド・ティホールディングス 一対の軸と樹脂製軸受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3027521A1 (fr) * 2001-09-21 2003-04-03 Sony Corporation Unite de palier et moteur utilisant cette unite
KR20030048800A (ko) * 2001-12-13 2003-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모터
JP2003230250A (ja) * 2002-01-31 2003-08-15 Nidec Copal Corp モータ
JP3921517B2 (ja) 2002-05-27 2007-05-30 日本電産株式会社 オイル動圧軸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軸回転型モータ
JP2004040926A (ja) * 2002-07-04 2004-02-05 Minebea Co Ltd ファンモータ
TW534241U (en) * 2002-07-10 2003-05-2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Dustproof bearing structure
JP2005042838A (ja) * 2003-07-23 2005-02-17 Ntn Corp 流体軸受装置
TWI231085B (en) * 2003-09-05 2005-04-1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Assembling device for an axial tube structure of a motor
JP2005127226A (ja) * 2003-10-24 2005-05-19 Hitachi Industries Co Ltd 排水ポンプ及び水中軸受装置
JP2006070986A (ja) * 2004-09-01 2006-03-16 Ntn Corp 動圧軸受装置用軸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10339A1 (en) 2009-04-30
US8052328B2 (en) 2011-11-08
WO2007037169A1 (ja) 200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281B2 (en) Bearing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earing unit having bearing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07099790A1 (ja) 流体軸受装置
KR101414110B1 (ko) 베어링 장치
KR20080046746A (ko) 슬라이딩 베어링을 구비한 베어링 장치
CN101321963B (zh) 具备滑动轴承的轴承装置
JP4794966B2 (ja) 軸受装置、これを備えたモータ、及び軸受装置の製造方法
JP4813211B2 (ja) 滑り軸受、これを備えたモータ、及び、滑り軸受の製造方法
JP4901171B2 (ja) 軸受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モータ
JP2007092845A (ja) 軸受装置
JP2006342912A (ja) 軸受装置
JP4642686B2 (ja) 滑り軸受の製造方法
US8469596B2 (en) Electroformed bea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804894B2 (ja) 軸受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33591B2 (ja) 滑り軸受
JP5198027B2 (ja) 滑り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263310B (zh) 轴承部件和其制造方法、及具备轴承部件的轴承装置
JP4890066B2 (ja) 動圧軸受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ファンモータ
JP5198028B2 (ja) 電鋳軸受
JP4584093B2 (ja) 滑り軸受
JP2007333153A (ja) 静圧軸受装置
JP2006322522A (ja) 軸受装置および軸受部材の製造方法
JP4937675B2 (ja) 流体軸受装置
JP2006322512A (ja) 軸受、この軸受を用いた軸受装置、及び軸受装置を用いたモータ
JP2007298057A (ja) 静圧軸受ユニット
JP2007255644A (ja) 動圧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