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464A -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464A
KR20080046464A KR1020060115950A KR20060115950A KR20080046464A KR 20080046464 A KR20080046464 A KR 20080046464A KR 1020060115950 A KR1020060115950 A KR 1020060115950A KR 20060115950 A KR20060115950 A KR 20060115950A KR 20080046464 A KR20080046464 A KR 20080046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attery
locking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봉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6464A/ko
Publication of KR2008004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부(20)의 케이스(21) 일측에 배터리안착부(23)가 형성된다. 케이스(21)의 내부공간(22)에는 상기 배터리안착부(23)에 안착되는 배터리(70)의 체결홈(73)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한 쌍의 래치(50)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50)에는 상기 래치(50)가 상기 체결홈(7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4)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50)의 체결해제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래치(50)의 일측에는 걸림돌기(57)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7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57)가 걸어지도록 걸림턱(7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장착구조에서는 배터리의 돌출구조를 제거하여 그 내구성이 유지되며, 배터리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60115950
휴대용 컴퓨터, 배터리, 장착, 래치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A battery 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터리 장착구조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체부의 외부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가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가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본체부 21:케이스
22:내부공간 23:배터리안착부
25:커넥터안착홈 27:래치통공
28:걸림통공 31:노브홈
32:노브통공 34:지지벽
35:지지보스 36:가이드리브
40:래치노브 50:래치
51:래치몸체 54:탄성부재
55:체결돌기 56:걸이아암
57:걸림돌기 58:경사면
70:배터리 72:장착부
76:제1안착홈 77:제2안착홈
78:걸림턱 79:통과안내면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에 장착하는 배터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터리 장착구조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의 외관을 구성하는 바텀케이스(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에는 본체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부품 및 회로기판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터리후크(11)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래치(5,5')가 구비된다.
상기 바텀케이스(11)의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2)으로 요입되게 배터리안착부(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터리안착부(3)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 및 배면으로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안착부(3)의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2)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후크통공(6)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안착부(3)에는 배터리(10)가 안착되는데, 상기 배터리(10)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통공(6)을 통하여 내부공간(2)으로 돌출되는 배터리후크(11)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후크(11)에 상기 래치(5,5')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배터리(10)가 배터리안착부(3)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래치(5,5')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래치(5,5')가 상기 배터리후크(11)와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이 연결된다. 따라서 스프링(12)이 연결된 래치(5')는 상기 배터리후크(11)에 자동적으로 체결되나, 나머지 래치(5)는 수동으로 동작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배터리장착구조에서는 배터리(10)의 외부에 배터리후크(11)가 돌출되어 외부 충격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10)를 바닥에 떨어뜨리는 경우 상기 배터리후크(11)가 파손될 가능성이 크고, 배터리후크(11)가 파손되면 배터리(10)를 본체부에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수동으로 동작되는 래치(5)를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배터리후크(11)와 체결시키기 않으면, 휴대용 컴퓨터가 동작되는 상태에서 배터리(10)가 배터리안착부(3)에서 빠져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배터리(10)의 전원이 공급이 차단되어 휴대용 컴퓨터의 동작이 급작스럽게 멈추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사용자가 배터리(10)를 교환하려면, 한 손으로는 상기 래치(5')를 체결이 해제되도록 당긴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는 배터리(10)를 분리시켜야 하므로, 배터리(10) 분리 과정이 번거롭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구조를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결상태가 견고한 배터리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터리가 안착되고, 일측에 케이스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래치통공이 형성되는 배터리안착부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된 노브홈에 안착되는 적어도 2개의 래치노브;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래치노브와 일체로 동작되며, 상기 래치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배터리의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걸어지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래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래치의 체결해제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해제유지기구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래치해제유지기구는, 상기 배터리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되는 걸림통공과, 상기 걸림통공과 대응되는 상기 배터리의 일측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과, 상기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을 구획하는 걸림턱, 그리고 상기 래치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걸이아암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통공을 통해 상기 배터리안착부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래치의 체결상태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2안착홈에 위치하고, 상기 래치의 체결해제상태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어져 상기 제1안착홈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래치의 해제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2안착홈의 내면을 형성하는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통과를 부드럽게 하는 통과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통과안내면과 접촉하는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통과안내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통과안내면을 따라 안내되는 동안 상기 걸이아암이 탄성변형된다.
한편, 상기 래치는, 상기 래치노브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결합후크가 걸어지도록 결합통공이 형성된 래치몸체와, 상기 래치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체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통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보스와 상기 결합통공의 타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벽에서 돌출되는 지지보스 사이에 구비되어 그 양단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케이스의 일측에 배터리가 안착되도록 요입되게 형성된 배터리안착부와, 상기 배터리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의 배터리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와 일체로 동작되는 래치노브와, 상기 래치를 상기 배터리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래치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래치의 체결해제상태를 유지시키는 래치해제유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래치해제유지기구는, 상기 래치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걸이아암과,
상기 걸이아암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래치의 체결해제상태를 유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배터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의 해제상태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배터리안착부의 일측에 천공된 걸림통공을 통하여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 걸어짐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걸림턱의 타측면에는 상기 래치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턱의 타측면을 부드럽게 통과하도록 통과안내면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장착구조에서는 배터리장착구조의 내구성이 유지되며, 배터리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체부의 외부에서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20)의 외관을 케이스(21)가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22, 도 3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2)에는 휴대용 컴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부품 및 회로기판 등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는 배터리안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안착부(23)는 케이스(21)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안착부(23)가 케이스(21)의 하면과 배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안착부(23)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터리(70)가 안착된다.
상기 배터리안착부(23)의 양측면에는 걸이리브(2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24)는 배터리(70)의 대응되는 면에 형성된 걸이채널(71)에 안착되어 배터리(70)가 배터리안착부(23)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걸이리브(24)는 상기 케이스(21)의 하면 방향으로 배터리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터리안착부(23)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터리(70)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부(72)가 안착되는 커넥터안착홈(2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안착홈(25)은 상기 배터리안착부(23)의 전면에서 요입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안착홈(25)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7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터리커넥터(미도시)와 대응되는 본체커넥터(26)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커넥터(26)는 상기 내부공간(22)에 설치된 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그 일부가 커넥터안착홈(25)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안착홈(25)의 양측면에는 상기 내부공간(22)과 상기 배터리안착부(23)를 연통시키는 래치통공(27)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안착홈(25)의 전면에는 상기 내부공간(22)과 배터리안착부(23)를 연통시키는 걸림통공(28)이 상기 래치통공(27)과 각각 인접한 위치에 천공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안착부(23)에 인접한 케이스(21)의 하면에는 상기 래치통공(27)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노브홈(31)이 형성된다. 상기 노브홈(31)에는 노브통공(32)이 천공된다. 상기 노브통공(32)은 상기 케이스(21)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22)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브통공(32)은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브홈(31)의 중앙에서 일단부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노브통공(32)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케이스(21)의 내면에는 지지벽(3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벽(3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54)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보스(3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의 내면 중 상기 노브통공(32)에 인접한 위치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리브(3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6)는 아래에서 설명될 래치(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리브(36)의 선단은 상기 걸림통공(28)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22)이 상기 걸림통공(28)을 통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래치노브(40)는 아래에서 설명될 래치(50)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래치노브(40)는 상기 케이스(21)의 노브홈(31)에 안착된다. 상기 래치노브(40)의 노브몸체(41)는 대략 납작한 판상으로 상기 노브홈(31)의 내부에 안착된다. 상기 노브몸체(41)는 그 크기가 상기 노브홈(31) 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노브홈(31)은 그 폭이 래치노브(40)의 폭과 서로 대응되지만, 상기 노브홈(31)의 길이는 상기 노브몸체(41)의 이동행정만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노브몸체(41)의 표면에는 노브돌기(42)가 형성된다. 상기 노브돌기(42)는 상기 노브몸체(41)의 표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노브몸체(4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노브돌기(42)는 상기 래치노브(40)의 표면에서의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면 충분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몸체(41)에서 상기 노브돌기(42)가 형성된 반대쪽 면에는 한 쌍의 결합후크(43)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43)는 상기 래치노브(40)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후크(43)의 선단에는 결합턱(4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45)은 서로 마주보는 결합후크(43)의 선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후크(43)는 상기 래치노브(40)의 중앙에서 일단부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터리(70)의 체결홈(73)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래치(5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50)의 양측면은 각각 상기 배터리안착부(23)의 이면과 상기 가이드리브(36)의 일측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래치(50)를 구성하는 래치몸체(51)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결합통공(52)이 천공된다. 상기 결합통공(52)의 가장자리는 상기 결합후크(43)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통공(52)은 상기 결합후크(43) 쌍이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턱(45)이 걸어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결합턱(45)이 상기 결합통공(52)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면, 상기 래치(50)는 상기 래치노브(40)와 일체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통공(52)의 일측벽에는 지지보스(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통공(52)에서 상기 지지보스(53)가 형성되는 일측벽의 반대쪽에는 상기 지지벽(34)이 관통하여 위치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보스(53)와 상기 지지벽(34)의 지지보스(35) 사이에는 탄성부재(54)의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래치(50)의 이동행정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래치몸체(51)의 선단, 즉 상기 래치통공(27)을 향하는 일단부에는 체결돌기(5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55)는 상기 래치통공(27)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홈(73)의 일측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돌기(55)의 일측은 가이드면(55a)으로, 상기 래치(50)의 이동행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로인해 상기 체결돌기(55)가 상기 래치통공(27)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55)의 타측은 걸이면(55b)으로, 상기 래치(50)의 이동행정에 대해 평행한 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54)가 상기 래치(50)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래치(50)의 체결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50)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상기 래치(50)를 이동시 켜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래치(50)의 해제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래치해제유지기구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 래치해제유지기구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래치몸체(51)의 선단, 즉 상기 체결돌기(55)가 형성된 면에는 걸이아암(56)이 소정길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아암(56)의 끝단부에는 걸림돌기(57)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7)는 상기 래치(50)의 해제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배터리(70)의 걸림턱(78)에 걸어지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래치(50)가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래치(50)의 해제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돌기(57)가 상기 걸림턱(78)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래치(50)의 해제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래치(50)가 해제상태일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57)가 상기 걸림턱(78)에 걸어져 상기 배터리(70)의 제1안착홈(76)에 안착되고, 상기 래치(50)가 체결상태일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57)가 상기 걸림턱(78)을 통과하여 상기 배터리(70)의 제2안착홈(77)에 안착된다.
상기 걸이아암(56)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57)가 제2안착홈(77)에서 제1안착홈(76)으로 이동될 때, 상기 걸림턱(78)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안착홈(77)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걸림턱(78)의 일측면에는 통과안내면(79)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통과안내면(79)과 접촉하는 걸림돌기(57)의 일측면에는 상기 통과안내면(79)과 대응하도록 경사면(58)이 형성되어 상기 통과안내면(79)을 부드럽게 통과하도록 한다.
배터리(70)는 상기 배터리안착부(23)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70)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이리브(24)와 대응되는 걸이채널(71)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71)에는 상기 걸이리브(24)가 안착되어 배터리(70)가 배터리안착부(23)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터리(70)의 일측에는 상기 커넥터안착홈(25)에 삽입되기 위한 장착부(72)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72)에는 상기 본체커넥터(26)와 대응되는 배터리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72)의 일측에는 상기 래치(50)의 체결돌기(55)가 걸어지는 체결홈(7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72)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배터리(70)가 상기 커넥터안착홈(2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안내면(74)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72)에서 상기 걸림통공(28)이 형성되는 커넥터안착홈(25)의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제1안착홈(76)과 제2안착홈(7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착홈(76)과 제2안착홈(77) 사이에는 상기 제1안착홈(76)과 제2안착홈(77)을 구획하는 걸림턱(7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78)은 상기 제1안착홈(76)에 안착되는 상기 걸림돌기(57)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안착홈(77)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걸림턱(78)의 일측에는 통과안내면(79)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걸림돌기(57)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통과안내면(79)은 상기 걸림돌기(57)의 경사면(58)과 경사방향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가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가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래치(5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래치(50)를 상기 케이스(21)의 내면 중 상기 노브홈(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시킨다. 상기 래치(50)의 안착상태를 손으로 고정한 다음, 상기 래치노브(40)를 상기 케이스(21)의 하면에서 상기 노브홈(31)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후크(43)가 상기 노브통공(32)과 결합통공(52)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후크(43)는 상기 결합턱(45)이 상기 노브통공(32) 및 결합통공(52)을 통과하면서 서로 인접하게 되도록 탄성변형되고, 상기 결합턱(45)이 상기 결합통공(52)을 완전히 통과하면 다시 원형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결합턱(45)이 상기 결합통공(52)의 가장자리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래치(50)와 래치노브(40)가 일체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래치노브(40)를 노브홈(3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래치노브(40)를 상기 케이스(21)의 내면 중 상기 노브홈(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노브통공(32)을 통하여 상기 내부공간(22)으로 돌출된 결합턱(45)이 상기 결합통공(52)을 통과하여 그 가장자리에 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래치(50)에는 탄성부재(54)를 설치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54)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통공(52)에 있는 지지보스(53)에 연결시키고, 그 타단부는 상기 지지벽(34)에 있는 지지보스(35)에 연결시킨다.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래치(50)를 상기 체결돌기(55)의 선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래치(50)는 상기 탄성부재(54)가 제공하는 힘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55)가 상기 래치통공(27)을 통과하여 상기 커넥터안착홈(25) 내부로 돌출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아암(56)의 걸림돌기(57)는 걸림통공(28)을 통과하여 상기 커넥터안착홈(25) 내부로 돌출된다.(도 4a 참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래치(50)는 상기 배터리안착부(23)에 배터리(70)가 안착된 상태를 체결하고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70)를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배터리(70)를 상기 배터리안착부(23)에 안착시키기만 하면 된다. 이하 도 4를 중심으로 배터리의 장착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상기 배터리(70)의 장착부(72)가 커넥터안착홈(25)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래치(50)는 상기 장착부(72)의 삽입안내면(74)이 상기 체결돌기(55)의 가이드면(55a)을 미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후퇴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안내면(74)이 상기 체결돌기(55)를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탄성부재(5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래치(50)는 원래 위치로 이동한다. 즉, 도4c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55)가 장착부(72)의 체결홈(73)에 삽입되어 걸어짐으로써 상기 배터리(70)의 장착상태를 체결하게 된다. 참고로, 이때 상기 래치(50)의 걸림돌기(57)는 상기 장착부(72)의 제2안착홈(77)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중심으로 배터리의 분리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7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양쪽의 래치(50)를 잠금해제상태로 만들어야한다. 즉, 도 5a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탄성부재(54)의 탄 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래치(50)를 계속 후퇴시킨다. 이때, 상기 래치(50)의 걸림돌기(57)가 상기 제2안착홈(77)의 일측면인 걸림턱(78)을 타고 넘는다. 즉, 상기 래치(50)의 걸림돌기(57)가 상기 제2안착홈(77)의 일측면인 걸림턱(78)의 통과안내면(79)에 접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57)의 경사면(58)이 상기 통과안내면(79)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치(50)의 걸이아암(56)이 탄성변형되어, 상기 걸림돌기(57)가 상기 걸림턱(78)을 통과한다.
상기 걸림돌기(57)가 상기 걸림턱(78)을 통과하면, 도 5b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7)는 상기 장착부(72)의 제1안착홈(76)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57)의 일측이 상기 제1안착홈(76)의 일측면인 상기 걸림턱(78)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래치(50)의 잠금해제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양 쪽의 래치(50)를 위와 같은 과정으로 모두 잠금해제시키면, 상기 배터리(70)를 배터리안착부(23)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70)를 분리시키면, 상기 걸림돌기(57)를 지지하던 걸림턱(78)이 제거되므로 상기 래치(50)는 상기 탄성부재(54)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턱(78)이 배터리(70)의 일측에 구비되므로 걸림돌기(57)가 걸림턱(78)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70)를 분리시키면, 상기 걸림돌기(57)를 지지하던 걸림턱(78)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래치(50)가 다시 원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걸림턱(78)은 상기 걸림턱(78)의 일측을 지지하여 래치(50)의 해제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배터리(70)의 일측에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케이스(21)의 이면 일측이나 내부공갖(22)의 일측 어디에라도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걸림턱(78)이 배터리(70) 이외에 다른 곳에 구비되면, 상기 배터리(70)를 분리하더라도 래치(50)의 체결해제상태가 계속 유지되므로, 배터리(70)의 분리가 상기 래치(50)의 상태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체결돌기가 배터리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체결되므로 배터리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구조가 없다. 따라서, 배터리 장착구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래치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도록 래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체결상태가 견고해지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배터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상의 신뢰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배터리를 장착할 때에는 배터리 안착부에 배터리를 안착시키기만 하면 되고 별도로 래치를 체결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아울러 배터리를 분리할 때에는 사용자가 래치를 후퇴시키는데, 이때 래치의 걸림돌기가 걸림턱 에 의해 지지되므로 래치의 잠금해제상태가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터리 분리시에 양쪽 래치의 잠금해제상태를 별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어, 배터리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터리가 안착되고, 일측에 케이스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래치통공이 형성되는 배터리안착부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된 노브홈에 안착되는 적어도 2개의 래치노브;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래치노브와 일체로 동작되며, 상기 래치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배터리의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걸어지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래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래치의 체결해제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해제유지기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해제유지기구는,
    상기 배터리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 통되는 걸림통공과,
    상기 걸림통공과 대응되는 상기 배터리의 일측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과,
    상기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을 구획하는 걸림턱, 그리고
    상기 래치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걸이아암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통공을 통해 상기 배터리안착부로 돌출되며,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래치의 체결상태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2안착홈에 위치하고, 상기 래치의 체결해제상태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어져 상기 제1안착홈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래치의 해제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홈의 내면을 형성하는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통과를 부드럽게 하는 통과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통과안내면과 접촉하는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는 상기 통과안내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통과안내면을 따라 안내되는 동안 상기 걸이아암이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래치노브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결합후크가 걸어지도록 결합통공이 형성된 래치몸체와,
    상기 래치몸체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체결홈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체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통공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보스와 상기 결합통공의 타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벽에서 돌출되는 지지보스 사이에 구비되어 그 양단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7. 케이스의 일측에 배터리가 안착되도록 요입되게 형성된 배터리안착부와,
    상기 배터리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의 배터리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와 일체로 동작되는 래치노브와,
    상기 래치를 상기 배터리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래치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래치의 체결해제상태를 유지시키는 래치해제유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해제유지기구는
    상기 래치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걸이아암과,
    상기 걸이아암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래치의 체결해제상태를 유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배터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래치의 해제상태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배터리안착부의 일측에 천공된 걸림통공을 통하여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 걸어짐에 의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타측면에는 상기 래치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턱의 타측면을 부드럽게 통과하도록 통과안내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KR1020060115950A 2006-11-22 2006-11-22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KR20080046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950A KR20080046464A (ko) 2006-11-22 2006-11-22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950A KR20080046464A (ko) 2006-11-22 2006-11-22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464A true KR20080046464A (ko) 2008-05-27

Family

ID=3966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950A KR20080046464A (ko) 2006-11-22 2006-11-22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64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5744A (zh) * 2010-10-29 2012-05-16 宏碁股份有限公司 具有电池扣开关的笔记型计算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5744A (zh) * 2010-10-29 2012-05-16 宏碁股份有限公司 具有电池扣开关的笔记型计算机
CN102455744B (zh) * 2010-10-29 2014-08-06 宏碁股份有限公司 具有电池扣开关的笔记型计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709B1 (ko) 포트 리플리케이터의 도난방지장치
US20220085581A1 (en) Mounting device with fastener receiving structure
JP2003041833A (ja) ラッチ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100643388B1 (ko) 휴대용 컴퓨터
KR20080046464A (ko)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US20070056229A1 (en) Fastening means of return air grille
KR20140147594A (ko) 미닫이창용 잠금장치
KR101093262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KR20020020493A (ko) 컴퓨터 본체용 케이싱
JP3691350B2 (ja) 蓋体を具えた機器
KR2005005678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JP4920267B2 (ja) ドア
JP3560472B2 (ja)
JP3338786B2 (ja) 機器筐体の壁掛け構造
KR200298379Y1 (ko)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JP2003147834A (ja) 壁面取付装置
JP3106781U (ja) 引出しロックパーツ及び引出しロックパーツを備えた引出し付家具
KR101793543B1 (ko) 기중차단기 투입 잠금장치
KR200198638Y1 (ko) 슬라이드 래치
JP4785632B2 (ja) 電子機器における機器ユニットの着脱構造
JP4675935B2 (ja) ラッチ
WO2019184260A1 (zh) 自锁结构、仓体机构及射击装置
JP3094988U (ja) ドーターボード保持器を有するカード・コネクタ装置
JP2006102132A (ja) 液体貯留ポット
JP3766333B2 (ja) キャビネット等におけるシリンダ錠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