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379Y1 -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379Y1
KR200298379Y1 KR2020020027781U KR20020027781U KR200298379Y1 KR 200298379 Y1 KR200298379 Y1 KR 200298379Y1 KR 2020020027781 U KR2020020027781 U KR 2020020027781U KR 20020027781 U KR20020027781 U KR 20020027781U KR 200298379 Y1 KR200298379 Y1 KR 200298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ssembly
locking
latch member
latch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7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379Y1/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컴퓨터 본체에 대해 분리가능한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물림부 및 상기 물림부와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조립체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부를 갖는 래치부재와; 상기 래치부재를 향하는 상기 배터리조립체의 판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림부와 결합될 수 있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와 상기 걸림부가 상호 결합되어 있는 래치부재의 록킹위치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록킹부와 상기 걸림부가 결합해제되어 상기 래치부재가 록킹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부에 물려서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멈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용컴퓨터 본체에 배터리조립체의 분리 및 결합이 편리한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FOR BATTERY ASSEMBLY}
본 고안은, 휴대용컴퓨터 본체에 대해 분리가능한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조립체의 장착 및 분리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를 비롯한 다양한 생활용품에는 배터리커버, 배터리팩 등 개폐 혹은 분리 가능한 커버, 부착물 혹은 디바이스(이하 이들을 “부착물”이라 한다.)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들 부착물에는 사용자가 개폐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혹은 분리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커버 등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잠금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잠금장치는 본체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래치부재를 갖는다. 래치부재는 래칭부를 가지고 배터리커버에 마련되어 래칭걸림부와 맞물린다. 또한, 본체에 고정되어 래치부재를 물림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과, 래치부재를 해제방향으로 조작하기 위한 노브가 마련되어 있다.
래치부재의 래칭부가 배터리커버의 래칭걸림부와 맞물렸을 때, 즉 래치부재가 래칭위치에 있을 때 배터리커버의 분리가 저지되고, 사용자가 노브를 탄성력에 대항하여 밀어 래치부재의 래칭부가 래칭걸림부와 분리되었을 때 즉 래치부재가 래칭해제위치에 있을 때, 배터리커버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브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래치부재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래칭위치로되돌아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배터리커버를 분리하고자 노브를 탄성력에 대항하여 밀어 래치부재를 래칭해제위치에 있게 한 후, 노브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력이 해제하면, 래칭부재가 래칭해제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래칭위치로 이동할려고 하기 때문에, 배터리커버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래칭해제위치에 있는 래치부재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래칭위치를 향해 이동하지 못하도록 반드시 사용자 한 손으로는 노브를 계속해서 파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배터리커버는 나머지 다른 한 손만으로 분리해 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반대로 다시 배터리커버를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한 손으로 반드시 노브를 밀어 래칭위치로 복귀하여 있는 래치부재를 래칭해제위치로 이동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는 배터리커버를 휴대용 컴퓨터에 끼워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같이, 종래의 잠금장치에 있어서는, 휴대용컴퓨터에 부착물을 결합시키고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손을 사용해야 안정적으로 부착물의 분리 및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부착물을 휴대용컴퓨터에 결합시킬 때나 부착물을 휴대용컴퓨터로부터 분리시킬 때만 매번 노브를 파지하고 미는 동작을 반복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터리조립체의 장착 및 분리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가 채용된 휴대용 컴퓨터의 배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배터리조립체의 설치영역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3에 따른 배터리조립체의 분리동작상태도,
도 8 내지 도 11은 도3에 따른 배터리조립체의 결합동작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5 : 조작노브
7 : 삽입부 10 : 케이싱
11 : 노브공 12 : 가이드
20 : 래치부재 21 : 래치본체
22 : 연장부 23 : 걸림턱
24 : 물림돌기 30 : 배터리조립체
31 : 록킹부 32 : 멈춤부
40 : 스프링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휴대용컴퓨터 본체에 대해 분리가능한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물림부 및 상기 물림부와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조립체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부를 갖는 래치부재와; 상기 래치부재를 향하는 상기 배터리조립체의 판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림부와 결합될 수 있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와 상기 걸림부가 상호 결합되어 있는 래치부재의 록킹위치를 향해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록킹부와 상기 걸림부가 결합해제되어 상기 래치부재가 록킹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부에 물려서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멈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재는 래치본체와, 상기 래치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림부는 상기 래치본체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래치본체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물림돌기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고 선단이 상기 배터리조립체를 향하는 걸림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래치본체의 동작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래치본체에는 조작노브가 결합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조작노브를파지하고 손쉽게 래치본체의 슬라이딩 이동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가 채용된 휴대용 컴퓨터의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배터리조립체의 설치영역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개략단면도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의 케이싱(10)에는 배면에 배터리조립체(30)와 이 배터리조립체(30)의 분리를 선택하기 위한 한 쌍의 조작노브(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배터리조립체(30)의 분리를 선택하기 위한 한 쌍의 조작노브(5)는 그 구성 및 그 설치영역의 구성이 상호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하므로, 한 쌍의 조작조브 중 하나의 조작노브(5)의 구성 및 그 설치영역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싱(10)의 배면에는, 배터리조립체(30)와 인접영역한 판면에 노브공(11)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조작노브(5)는 일측에 노브공(11)을 통과하여 케이싱(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7)를 갖는다.
또한, 케이싱(10)의 내부에는, 긴 막대상의 래치부재(20)가 가이드(12)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래치부재(20)는 래치본체(21)와, 래치본체(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전진방향을 향하는 연장부(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래치본체(21)의 상부영역에 노브공(11)을 통해 케이싱 내부로 삽입된 조작노브(5)의 삽입부(7)가 결합되기 때문에, 래치부재(20)는 조작노브(20)와일체로 조작노브의 이동에 따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케이싱(10)과 가이드(12)는 래치부재(20) 및 조작노브(5)를 지지하는 래치지지부로서 역할한다.
조작노브(5)의 이동에 따라 함께 슬라이딩이동하게 되는 래치부재(20)와, 배터리조립체(30)의 결합영역에는, 배터리조립체(30)를 케이싱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케이싱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록킹수단 및 록킹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록킹수단은, 래치본체(21)에 마련된 물림부 및 배터리조립체(30)에 마련되어 물림부와 결합하는 록킹부(31)를 포함한다.
물림부인 물림돌기(24)는, 경사면을 가지며 선단이 래치부재(20)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즉 래치부재(20)의 전진방향을 향하도록 래치본체(21)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록킹부(31)는, 래치부재(20)를 향하는 배터리조립체(30)의 판면에 마련되어 물림돌기(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물림돌기(24)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한다.
록킹저지수단은, 물림돌기(24)와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걸림부 및 걸림부와 접촉하면서 물리게 멈춤부(32)를 포함한다.
걸림부인 걸림턱(23)은,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고 래치부재(20)의 연장부(22)로부터 멈춤부(32)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턱(23)은 배터리조립체(30)를 향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다.
멈춤부(32)는, 래치부재(20)의 걸림턱(23)을 향하는 배터리조립체(30)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물림돌기(24)와 록킹부(31)가 결합되어 있으면멈춤부(32)는 걸림턱(23)과 상호 마주보고 있으며, 록킹부(31)로부터 물림돌기(24)가 이탈되어 있으면 멈춤부(32)는 걸림턱(23)과 물려서 록킹부(31)로부터 물림돌기(24)가 이탈되어 전진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에 물림돌기(24)가 록킹부(3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즉 래치부재(20)가 록킹위치에 있을 때는, 케이싱으로부터 배터리조립체(30)의 분리가 저지되며, 물림돌기(24)가 록킹부(31)로부터 삽입해제된 상태에서는 즉 래치부재(20)가 록킹해제위치에 있을 때는, 배터리조립체(30)의 분리를 허용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강제로 록킹부(31)와 물림돌기(24)의 결합을 해제시킨 상태에서는 즉 래치부재(20)가 록킹해제위치에 있을 때에는 물림돌기(24)가 록킹부(31)에 삽입되는 방향 즉 전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멈춤부(32)와 걸림턱(23)의 물림에 의해 저지된다.
그리고 이렇게 록킹부(31)와 물림돌기(24)의 결합이 해제되고 멈춤부(32)와 걸림턱(23)의 물림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터리조립체(30)를 당겨 본체(1) 부터 완전히 분리하게 되면, 이때 멈춤부(32)와 걸림턱(23)의 물림이 해제되므로 록킹해제위치에 와 있던 래치부재(20)를 다시 본래의 위치인 록킹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래치부재(20)의 일단측에는 스프링부재(40)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스프링부재(40)의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조작노브(5)를 파지하고 스프링부재(40)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즉 래치부재(20)의 록킹해제위치를 향하여 밀게 되면 스프링부재(40)는 탄성력이 억제된 수축된 상태에 놓이게 되고, 래치부재(20)가 계속해서 록킹해제위치를 향해 이동하다가 멈춤부(32)와걸림턱(23)이 물리게 되면 스프링부재(40)의 수축상태는 유지된다 이때는 래치부재(20)의 록킹해제위치에 있는 것이며 래치부재(20)가 걸림턱(23)과 멈춤부(32)의 물림에 의해 전진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조작노브(5)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여도 래치부재(20)는 전진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케이싱으로부터 배터리조립체(30)를 당겨 빼내게 되면 멈춤부(32)와 걸림턱(23)의 물림이 해제되고 이에 멈춤부(32)와 걸림턱(23)의 물림에 의해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부재(40)는 확장되고 그 복원력으로 래치부재(20)를 본래의 위치인 록킹위치를 향해 밀어내게 된다. 이때 최종적으로 래치부재(20)는 록킹위치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본체(1)에 배터리조립체(30)를 장착시키는 과정 및 배터리조립체(30)를 본체(1)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배터리조립체(30)가 휴대용 컴퓨터 본체(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초기상태즉, 래치부재(20)의 물림돌기(24)가 배터리조립체(30)의 록킹부(31)에 삽입되어 있는 배터리조립체(30)의 록킹상태를 초기상태(도4참조)로 하여 배터리조립체(30)를 본체(1)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래치부재(20)에 연결된 조작노브(5)를 록킹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래치부재(20)의 물림돌기(24)가 배터리조립체(30)의 록킹부(31)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래치부재(20)는 스프링부재(4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되고 래치부재(20)의걸림턱(23)은 배터리조립체(30)의 멈춤부(32) 경사면을 미끄럼 접촉하면서 이동되고(도5참조), 최종적으로 걸림턱(23)은 멈춤부(32) 경사면의 반대면에 의해 접촉지지된다(도6참조). 여기서, 스프링부재(4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록킹해제방향으로 이동되었던 래치부재(20)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록킹방향을 향해 다시 전진이동하려는 하는 것을 멈춤부(32)가 걸림턱(23)의 전방에서 가로막게 되므로, 조작노브(5)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를 해제하여도 래치부재(20)가 록킹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즉, 래치부재(20)가 본래의 위치인 록킹위치를 향해 이동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조작노브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면 래치부재가 록킹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렇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반드시 한 손으로 조작노브를 파지하고 나머지 한 손으로 배터리조립체를 본체로부터 빼내던 종래와는 달리,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조작노브(5)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고도 조작노브(5)에 연결된 래치부재(20)가 록킹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양손이 자유로워지게 된다.
따라서, 두 손으로 배터리조립체(30)를 본체(1)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배터리조립체(30)의 록킹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배터리조립체(30)를 본체(1)로부터 완전히 뽑아내게 되면, 그 순간에 걸림턱(23)과 멈춤부(32)의 물림이 해제되기 때문에(도 7참조), 걸림턱(23)과 멈춤부(32)의 물림으로 인해 수축되었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부재(20)가 록킹위치를 향해 전진이동하게 된다. 즉, 전진이동하려던 걸림턱(23)을 가로막고 있던 멈춤부(32)가 사라지게 되는 것이므로 래치부재(20)가 본래의 록킹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래치부재(20)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있는, 즉 록킹위치(도8참조)에 있는 것을 초기상태로 하여 다시 사용자가 배터리조립체(30)를 본체(1)에 장착하는 것을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기 배터리조립체(30)를 래치부재(20)를 향해 밀게 되면, 배터리조립체(30)의 록킹부(31)가 래치부재(20)의 물림돌기(24)의 경사면을 따라 경사면을 따라 미끄럼 접촉이동하게 되고(도 9 및 도 10참조), 사용자가 계속해서 배터리조립체(30)를 래치부재(20)를 향해 밀게 되면 최종에는 배터리조립체(30)의 록킹부(31)로 래치부재(20)의 물림돌기(24)가 삽입된다(도11참조). 즉, 배터리조립체(30)는 래치부재(20)에 록킹된다. 이때 배터리조립체(30)의 멈춤부(32)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조립체(30)의 록킹부(31)와 래치부재(20)의 걸림턱(2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배터리조립체(30)는 본체(1)에 장착이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조립체(3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착탈가능한 디바이스 혹은 부착물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컴퓨터 본체에 배터리조립체의 분리 및 결합이 편리한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를 제공된다.

Claims (4)

  1. 휴대용컴퓨터 본체에 대해 분리가능한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물림부 및 상기 물림부와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조립체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부를 갖는 래치부재와;
    상기 래치부재를 향하는 상기 배터리조립체의 판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림부와 결합될 수 있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와 상기 걸림부가 상호 결합되어 있는 래치부재의 록킹위치를 향해 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록킹부와 상기 걸림부가 결합해제되어 상기 래치부재가 록킹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부에 물려서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멈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는 래치본체와, 상기 래치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림부는 상기 래치본체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래치본체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물림돌기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고 선단이 상기 배터리조립체를 향하는 걸림턱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래치본체의 동작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본체에는 조작노브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KR2020020027781U 2002-09-16 2002-09-16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KR200298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81U KR200298379Y1 (ko) 2002-09-16 2002-09-16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81U KR200298379Y1 (ko) 2002-09-16 2002-09-16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379Y1 true KR200298379Y1 (ko) 2002-12-20

Family

ID=7307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781U KR200298379Y1 (ko) 2002-09-16 2002-09-16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3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424B1 (ko) * 2005-11-23 2009-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노트북 컴퓨터에서의 전지팩 락커 구조
KR101093262B1 (ko) 2004-07-29 2011-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262B1 (ko) 2004-07-29 2011-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장착구조
KR100933424B1 (ko) * 2005-11-23 2009-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노트북 컴퓨터에서의 전지팩 락커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3869B2 (en) Hard disk drawing device
JP4758433B2 (ja) プッシュプラグ及び工具
US7531268B2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20090290322A1 (en) Enclosure operable between unlocked and locked states and including a switch device
WO2003026040A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battery mounting device of the equipment
EP1265320B1 (en) Power tool cord retainer
KR100643388B1 (ko) 휴대용 컴퓨터
US5620244A (en) Computer accessory engagement/disengagement mechanism
JPH11274751A (ja) 小型電子機器の着脱装置
KR200298379Y1 (ko) 배터리조립체의 잠금장치
KR101825925B1 (ko) 케이스의 잠금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케이스
JP3780497B2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JP2002044207A (ja) バッテリロック機構
JP2006011102A (ja) 光コネクタ
KR100471067B1 (ko) 부착물의 잠금장치
KR0130438B1 (ko) 록크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푸쉬형 스위치
JP4560244B2 (ja) 光プラグ着脱工具
KR1005113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JP3025886B1 (ja) コネクタのロック解除機構
KR101453076B1 (ko) 사물함 손잡이
JPH0945170A (ja) 操作ボタン装置
TWI308681B (en) Locking/releasing device and exchanging apparstus using the same
JP4040871B2 (ja) ルースリーフ綴具
KR0130840B1 (ko)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KR100661570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