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135A -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Google Patents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45135A KR20080045135A KR1020087003745A KR20087003745A KR20080045135A KR 20080045135 A KR20080045135 A KR 20080045135A KR 1020087003745 A KR1020087003745 A KR 1020087003745A KR 20087003745 A KR20087003745 A KR 20087003745A KR 20080045135 A KR20080045135 A KR 20080045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celerator pedal
- kick
- down device
- wedg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8—Non-slip pedal treads; Pedal extensions or attachment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487—Pedal ext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59/20—Kickdow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링 블록(3)에 지지되는, 정지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을 포함하는,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액셀러 레이터 페달 모듈은,
a) 상기 킥-다운 장치(1)는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2) 또는 상기 베어링 블록(3)의 개구(4) 내에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용 에지(8)를 가지는 작동 부재(6), 및
b) 상기 개구(4) 내에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16)에 의해 상기 작동 바디(6)와 협동하고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10)에 의해 하중을 받는, 웨지 면(14)을 가지는 웨지 부재(12)를 포함하고,
c)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작동시 규정된 지점에 이를 때까지, 상기 작동 부재(6)가 상기 개구(4) 내로 축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작동 부재의 상기 작용 에지(8)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16)가 횡방향 개구(18)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밀려나와 상기 웨지 부재(12)의 상기 웨지 면(14)에 대해 가압 가능하다.
웨지 면, 작동 부재, 작용 에지, 압축 스프링, 롤링 바디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라, 베어링 블록에 지지되는, 정지 위치 및 최종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액셀레이터 페달을 포함하는,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를 포함하는 차량 또는 인-라인 시프트(in-line shift)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내의 킥-다운 장치 또는 인-라인 시프터(in-line shifter)는 운전자에게 킥-다운- 또는 인-라인 시프트 기능이 가동되었다는 것에 대한 감지 가능한 통보를 순간적인 작동력 상승에 의해 제공한다.
상기 방식의 킥-다운 장치는 예컨대 WO 00/64696에 공지되어 있다. 거기에는 스프레드 스프링이 작동 부재 내에서 방사방향으로 안내되는 2 개의 구들을 작동 부재의 축방향 작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방사방향 외부로 인장한다. 복귀 스프링의 작용에 대항하는 작동 부재의 축방향 작동에 의해, 구들이 가압하려는 탄성 금속 스트랩에 접촉한다. 상기 킥-다운 장치의 구성은 부재가 많아서, 특히 3 개의 스프링 부재들로 인해 복잡하고 고 비용이다.
EP 1 129 884 B1에 따라, 킥-다운 장치는 복귀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는 축방 향으로 이동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2 개의 롤링 바디들을 지지하고, U-형의 플레이트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는 슬라이딩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롤링 바디들은 작동 부재가 킥-다운 장치의 하우징 내로 삽입될 때, 각각 하나의 가압 에지를 지나 가압된다. 상기 킥-다운 장치도 부재들이 많기 때문에 비교적 복잡하게 구성된다.
DE 195 21 821 C1에 따른 킥-다운 장치에서, 힘의 급상승은 액셀러레이터 페달에 배치된 캠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캠은 2 개의 롤러 사이의 사이 공간 내로 가압되어, 상기 롤러들을 플레이트 스프링의 암에 대항해 방사방향 외부로 민다. 킥-다운 장치의 복귀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복귀 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해결 방법은 베어링 블록과 액셀러레이터 페달 사이의 매우 작은 공차만을 필요로 하는데, 그 이유는 롤러들에 대한 캠의 상대 위치가 확실한 기능을 위해, 결정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비교적 높은 제조- 및 조립 비용을 전제로 한다. 킥-다운 장치에 고유 복귀 스프링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롤러들 사이에 캠이 끼이면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복귀될 수 없고, 전부하 위치로 유지될 위험이 있다. 또한 플레이트 스프링이 복귀되고 롤러들이 그 출발 위치에 부딪히면, 복귀가 확실히 청취 가능한 소음을 내며 이루어진다. 또한, 공지된 장치 내의 플레이트 스프링의 내구성도 그리 양호하지 않다.
본 발명의 장점
청구항 제 1 항에 따라, 킥-다운 장치는,
a) 액셀러레이터 페달 또는 베어링 블록의 개구 내에서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작용 에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 및
b) 개구 내에서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를 통해 작동 부재와 협동하고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에 의해 하중을 받는, 웨지 면을 가지는 웨지 부재를 포함하고,
c) 규정된 지점에까지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작동시, 작동 부재는 작동력에 의해 개구 내로 축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작동 부재의 작용 에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가 개구의 횡방향 개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밀려져서 웨지 부재의 웨지 면을 가압 가능하다.
즉, 웨지 부재의 웨지 면은 압축 스프링의 힘을 방사 방향으로 롤링 바디로 전달하므로, 이로써, 작동력의 증가를 위한 예비 응력 및 킥-다운 장치의 복귀를 위한 복귀력이 제공된다.
상기 조치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의 2 개의 스프링 대신, 2 중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스프링만이 필요하다. 상기 스프링이 한편으로는 웨지 부재의 웨지 면과 협동하여 작동력을 변화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웨지 부재의 축방향 가압 및 횡방향 개구 내로 롤링 바디의 방사 방향 가압에 의해 킥-다운 장치를 복귀시킨다. 운전자가 킥-다운 장치의 작동시 액셀러레이터 페달에서 감지하여야 하는 힘의 피크는 롤링 바디가 횡방향 개구로부터 밀려지는데 필요한 힘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힘 피크의 크기는 횡방향 개구 내의 롤링 바디의 삽입 깊이, 또는 롤링 바디 및 횡방향 개구의 형태, 및/또는 스프링 레이트에 의해 결정된다. 그 후, 작동력이 급격히 강하하는데, 그 이유는 극복하려는 마찰과 더불어, 액셀러레이터 페달에서 감지 가능한 킥-다운 장치의 대응력이 인장되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서만 실질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압축 스프링은 웨지 면을 통한 힘의 흐름에 의해 비교적 작고 연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힘의 피크 후에 나타나는 힘-패스(path)-특성 곡선의 힘의 강하가 비교적 높고, 이것은 소음의 쾌적도를 매우 상승시키고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통보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웨지 부재에 의해 롤링 바디가 압축 스프링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지원된다.
힘의 피크를 상이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길이에 매칭하는 것은 액셀러레이터 페달 또는 베어링 블록 내의 개구의 깊이를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로써, 액셀러레이터 페달 또는 베어링 블록만 매칭되면 되고, 동일 부품을 형성하는 나머지 부재들은 매칭될 필요가 없다. 전체적으로 킥-다운 장치는 4 개의 부재들만으로, 즉 작동 부재, 웨지 부재, 압축 스프링 및 롤링 바디로 구성된다. 특히 액셀러레이터 페달 또는 베어링 블록의 개구 내에 상기 부재들이 수용되기 때문에, 분리된 하우징 또는 다른 연결- 또는 고정 부재들이 필요 없다. DE 195 21 821 C1에 따른 방법과 달리, 베어링 블록에 대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공차는 아주 작다. 이로써, 전체적으로 간단하고 컴팩트하고 저렴한 킥-다운 장치의 구성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 조치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에 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및 개선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웨지 면은 헤드 부분으로부터 웨지 형태로 확대되는, 웨지 부재의 레그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작동 부재는 예컨대 컵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고, 웨지 부재의 헤드 부분은 작동 부재의 작동 면으로부터 먼, 작동 부재의 블라인드 홀(blind hole) 내에서 축방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압축 스프링은 한편으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또는 베어링 블록의 개구의 베이스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웨지 부재의 레그 부분 내의 개구 내에서 지지된다. 이로써 킥-다운 장치가 매우 컴팩트하게 형성된다.
또한, 예컨대 작동 부재의 외장 벽 내에,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의 횡단면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 통과 홀이 배치되고, 작동 부재의 외장 벽은, 롤링 바디가 횡방향 개구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통과 홀을 지나 돌출하여 웨지 바디의 웨지 면에 접촉할 수 있는 벽 두께를 가진다.
이로써 킥-다운 장치의 작동시, 웨지 부재는 작동 부재가 액셀러레이터 페달 또는 베어링 블록의 개구 내로 삽입되는 최대 깊이를 넘어, 웨지 면에 접촉하고 횡방향 개구로부터 작용 에지에 의해 방사방향 내부로 가압되는 롤링 바디에 의해, 압축 스프링의 작용에 대항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 또는 베어링 블록의 개구 내로 더 가압된다.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는 바람직하게 롤러 바디 또는 구로 형성되고, 롤링 바디의 직경의 절반보다 작은 삽입 깊이를 가진 횡방향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롤링 바디는 끼임 또는 기울어짐 없이, 작동 부재의 작용 에지에 의해 횡방향 개구로부터 밀려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는 압축 스프링의 예비 응력에 의해 웨지 면과 항상 접촉한다. 맞물림 소음이 없기 때문에 킥-다운 장치의 소음이 매우 적은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와 개선은 종속 청구항에 기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작동되지 않은 출발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킥-다운 장치의 횡단면도,
도 2는 작동된 최종 위치에서의 도 1의 킥-다운 장치의 횡단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킥-다운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에 전체적으로 1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킥-다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축척으로 인해 도시되지 않은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 내에 통합되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은 유닛으로서 예비 조립되어 있다.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은 베어링 블록(3)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정지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킥-다운 장치(1)는,
a)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개구(4) 내에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작용 에지(8)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6), 및
b) 개구(4) 내에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인 롤링 바디들(16)을 통해 작동 부재(6)와 협동하고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10)에 의해 하 중을 받는, 웨지 면(14)을 가지는 웨지(wedge) 부재(12)를 포함하고,
c) 규정된 지점에까지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작동시, 작동 부재(6)가 작동력에 의해 개구(4) 내로 축방향으로 가압 가능하고, 상기 작동 부재의 작용 에지(8)에 의해 2 개의 롤링 바디들(16)이 개구(4)의 횡방향 개구들(18)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밀려져서 웨지 부재(12)의 웨지 면(14)을 가압 가능하다.
롤링 바디들(16)은 개구(4) 내에서 서로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실린더형 롤러들로 형성된다. 따라서, 횡방향 개구들(18)의 횡단면이 상보적 횡단면을 가지게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횡방향 개구들(18)의 중심 축선은 개구(4)의 벽 외부에 위치하므로, 횡방향 개구들(18) 내로 롤러들(16)의 최대 삽입 깊이가 롤러 직경의 절반보다 작다.
작동 부재(6)는 컵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고, 블라인드 홀(20)을 둘러싸는 외장 벽(22) 내에, 롤러들(16)의 종단면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지는 2 개의 방사방향 통과 홀들(24)이 제공된다. 작용 에지(8)는 작동 부재(6)의 작동 면(26)을 향하는, 통과 홀들(24)의 종방향 정면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출발 위치에서 통과 홀들(24)은 횡방향 개구들(18) 내에 지지되는 롤러들(16)에 의해 커버된다. 여기에서 작동 부재(6)의 외장 벽(22)은, 롤러들(16)이 통과 홀들(24)을 지나 돌출하고 웨지 부재(12)의 웨지 면(14)에 접촉할 수 있는 벽 두께를 가진다. 웨지 부재(12)의 헤드 부분(28)은 작동 부재(6)의 블라인드 홀(20) 내에서 축방향으로 안내된다. 바람직하게 웨지 면(14)은 헤드 부분(28)으로부터 웨지형으로 확대되는, 웨지 부재(12)의 레그 부분(30)에 형성된다. 작동되지 않은, 즉, 도 1에 도시되는 출발 상태에서, 작동 부재(6)의 베이스와 웨지 부재(12)의 헤드 부분(28)의 사이에는 작은 공기 갭이 주어진다. 압축 스프링(10)은 한편으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개구(4)의 베이스에, 다른 한편으로는 헤드 부분(28)으로부터 먼, 웨지 부재(12)의 계단식 블라인드 홀(32)에 지지되고, 바람직하게는 항상 예비 응력 하에 있다. 상기 압축 스프링은 웨지 면(14)과 연결되어 롤러들(16)이 압축 스프링의 힘의 방사방향 성분에 의해 횡방향 개구들(18) 내에 지지되게 한다.
작동 부재(6)가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상응하는 가압력에 의해 작동되면, 상기 작동 부재(6)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베어링 블록(3)에 있는 스토퍼(34)에 접촉하고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개구(4) 내로 가압된다. 도 2를 참조로 쉽게 상상할 수 있듯이, 작동 부재(6)의 작용 에지(8)가, 전체 직경의 절반 미만의 직경이 횡방향 개구들(18) 내에 지지되는 롤러들을 방사방향 내부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작동 부재(6)는 통과 홀들(24)을 지나 돌출하는 롤러들(16)을 종동시킨다. 즉, 또한, 웨지 면(14)에 항상 접촉하는 롤러들(16)은 웨지 부재(12)를 작동 부재(6)에 대해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개구(4) 내로 더 이동시키고, 롤러들(16)이 항상 그렇듯이 작동 부재(6)의 외장 벽(22)의 통과 홀들(24) 내에 안내되고 압축 스프링(10)은 더 인장된다.
운전자가 킥-다운 장치(1)의 작동시 액셀러레이터 페달(2)에서 감지해야 하는 힘의 피크는 롤러들(16)이 횡방향 개구들(18)로부터 밀려지는데 필요한 힘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힘의 피크의 크기는 롤러들(16)의 횡방향 개구들(18) 내로의 삽입 깊이, 또는 롤러들(16) 및 횡방향 개구들(18)의 형태, 및/또는 압축 스프링(10)의 스프링 레이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롤러들(16)이 순간적으로 밀려나오게 가압된 후, 작동력이 급격히 강하하는데, 그 이유는 마찰력과 더불어, 킥-다운 장치(1)에 의해 생기는, 작동력에 대항해서 작용하는 대응력이 인장되는 압축 스프링(10)에 의해서만 실질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동작 방식에 의해,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에서 감지해야 하는, 바람직한 급격한 힘의 상승 및 그 후에 후속하는 힘의 강하가 구현된다.
킥-다운 장치(1)를 도 2에 도시된 최종 위치로부터 도 1의 출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즉, 작동 부재(6)가 다시 스토퍼(34)로부터 분리되면, 웨지 면(14)은 압축 스프링(10)의 힘을 방사방향으로 전달하므로, 이로써 롤러들(16)이 횡방향 개구들(18) 내로 다시 삽입되고, 그 결과, 통과 홀들(24) 내에 지지되는 롤러들(16)이 작동 부재(6)를 출발 위치로 종동시킨다.
조립을 위해, 압축 스프링(10), 롤러들(16), 웨지 부재(12) 및 작동 부재(6)로 구성된 예비 조립된 킥-다운 장치(1)는, 도 2에 도시되는, 롤러가 방사방향 내부에 놓인 상태에서, 웨지 면(14)을 통해 전달되는 압축 스프링(10)의 가압력에 의해 롤러들(16)이 횡방향 개구들(18) 내로 맞물릴 때까지 개구(4) 내로 삽입된다.
도 3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 및 동일하게 작용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번호로 표시된다.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킥-다운 장치(1)를 수용하는 개구(4)가 액셀러레이터 페달(2) 내가 아니라 베어링 블록(3) 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엑셀러레이터 페달(2)은 작동 부재(6)의 작 동 면과 마주 대하는 접촉 면(36)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면은, 액셀러레이터 페달(2)이 특정 작동 각도만큼 작동했다면, 작동 면(26)에 접촉하고 이로써 킥-다운 장치(1)의 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그 외, 킥-다운 장치(1)의 기능 및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같다.
Claims (10)
- 베어링 블록(3)에 지지되는, 정지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액셀러레이터 페달(2)을 포함하는,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1)에 있어서,a) 상기 킥-다운 장치(1)는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2) 또는 상기 베어링 블록(3)의 개구(4) 내에서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용 에지(8)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6), 및b) 상기 개구(4) 내에서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16)를 통해 상기 작동 부재(6)와 협동하고 적어도 하나의 압축 스프링(10)에 의해 하중을 받는, 웨지 면(14)을 가지는 웨지 부재(12)를 포함하고,c) 규정된 지점에까지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2)의 작동시, 상기 작동 부재(6)가 상기 개구(4) 내로 축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작동 부재의 상기 작용 에지(8)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16)가 상기 개구(4)의 횡방향 개구(18)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밀려져서 상기 웨지 부재(12)의 상기 웨지 면(14)을 가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웨지 면(14)이 헤드 부분(28)으로부터 웨지 형태로 확대되는, 상기 웨지 부재(12)의 레그 부분(3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작동 부재(6)가 컵 형태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웨지 부재(12)의 헤드 부분(28)이 상기 작동 부재(6)의 작동 면(26)으로부터 먼, 상기 작동 부재(6)의 블라인드 홀(20) 내에서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16)의 횡단면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 통과 홀(24)이 상기 작동 부재(6)의 외장 벽(22) 내에 제공되고, 상기 작동 부재(6)의 상기 외장 벽(22)은, 상기 롤링 바디(16)가 횡방향 개구(18) 내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통과 홀(24)을 지나 돌출하여 상기 웨지 부재(12)의 상기 웨지 면(14)에 접촉할 수 있는 벽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작용 에지(8)가 작동 면(26)을 향하는, 상기 작동 부재(6)의 상기 통과 홀(24)의 정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킥-다운 장치(1)의 작동시, 상기 웨지 부재(12)는 상기 작동 부재(6)의 최대 삽입 깊이를 넘어, 상기 웨지 면(14)에 접촉하고 상기 횡방향 개구(18)로부터 상기 작용 에지(8)에 의해 방사방향 내부로 가압되는 상기 롤링 바디(16)에 의해, 상기 압축 스프링(10)의 작용에 대항해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2) 또는 상기 베어링 블록(3)의 상기 개구(4) 내로 더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압축 스프링(10)이 한편으로는 상기 액셀러레이터 페달(2) 또는 상기 베어링 블록(3)의 상기 개구(4)의 베이스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웨지 부재(12)의 상기 레그 부분(30) 내의 블라인드 홀(32) 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롤링 바디(16)는 롤러 바디 또는 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롤링 바디(16)의 직경의 절반 보다 작은 삽입 깊이를 가지는 상기 횡방향 개구(18)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작동 부재(6)는 할당 배치되는 스토퍼(34)에 의해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압축 스프링(10)의 예비 응력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16)가 상기 웨지 면(14)에 항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5038750A DE102005038750A1 (de) | 2005-08-17 | 2005-08-17 | Kick-Down-Einrichtung eines Fahrpedalmoduls |
DE102005038750.0 | 2005-08-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5135A true KR20080045135A (ko) | 2008-05-22 |
Family
ID=3719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03745A KR20080045135A (ko) | 2005-08-17 | 2006-07-26 |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1917153B1 (ko) |
KR (1) | KR20080045135A (ko) |
CN (1) | CN101242969A (ko) |
DE (1) | DE102005038750A1 (ko) |
WO (1) | WO2007020163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1145B1 (ko) * | 2008-07-04 | 2009-12-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조정식 킥 다운 스위치의 조작기구 |
KR100974706B1 (ko) * | 2008-07-23 | 2010-08-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페달 유동 방지장치 |
KR101047393B1 (ko) * | 2009-08-27 | 2011-07-07 | (주) 디에이치홀딩스 |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
KR101109417B1 (ko) * | 2009-08-27 | 2012-01-31 | (주) 디에이치홀딩스 | 자동차용 기계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1090B1 (ko) * | 2009-11-09 | 2011-07-22 | (주) 디에이치홀딩스 |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
DE102011080297A1 (de) | 2010-08-25 | 2012-03-01 | Robert Bosch Gmbh | Pedalwertgeberanordnung |
DE102010040837A1 (de) | 2010-09-15 | 2012-03-15 | Robert Bosch Gmbh | Fahrpedal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
US9513656B2 (en) * | 2013-12-30 | 2016-12-06 | Cts Corporation | Vehicle pedal resistance and kickdown assembly |
DE102014100613A1 (de) | 2014-01-21 | 2015-08-06 | Hella Kgaa Hueck & Co. | Kick- Down- 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
DE102015200669B4 (de) * | 2015-01-16 | 2017-09-14 | Robert Bosch Gmbh | Federanordnung mit Hysterese und Übergas-Eigenschaft |
DE102015200670B3 (de) * | 2015-01-16 | 2016-02-11 | Robert Bosch Gmbh | Federanordnung mit Hysteres und Übergas-Eigenschaft |
CN104875614B (zh) * | 2015-06-15 | 2018-04-06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电子踏板及汽车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7927176U1 (de) * | 1979-09-25 | 1980-01-17 | Adam Opel Ag, 6090 Ruesselsheim | Nachgiebiger anschlag mit druckpunkt, insbesondere fuer das fahrpedal von mit automatischem getriebe ausgeruesteten kraftfahrzeugen |
DE19918119A1 (de) * | 1999-04-22 | 2000-10-26 | Bosch Gmbh Robert | Pedalwertgeberanordnung |
DE10010432A1 (de) * | 2000-03-03 | 2001-09-06 | Bosch Gmbh Robert | Kick-down-Element für ein Fahrpedalmodul eines Kraftfahrzeugs |
US6394431B1 (en) * | 2001-03-21 | 2002-05-28 | Caterpillar Inc. | High force feel bumper with low final load |
US20050097980A1 (en) * | 2003-11-07 | 2005-05-12 | Brad Menzies | Kickdown mechanism |
-
2005
- 2005-08-17 DE DE102005038750A patent/DE102005038750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6
- 2006-07-26 KR KR1020087003745A patent/KR2008004513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6-07-26 EP EP06792579A patent/EP1917153B1/de not_active Not-in-force
- 2006-07-26 WO PCT/EP2006/064695 patent/WO2007020163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7-26 CN CNA2006800299820A patent/CN101242969A/zh active Pending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1145B1 (ko) * | 2008-07-04 | 2009-12-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조정식 킥 다운 스위치의 조작기구 |
US8250945B2 (en) | 2008-07-04 | 2012-08-28 | Hyundai Motor Company | Adjustable operating mechanism for kick down switch |
KR100974706B1 (ko) * | 2008-07-23 | 2010-08-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페달 유동 방지장치 |
KR101047393B1 (ko) * | 2009-08-27 | 2011-07-07 | (주) 디에이치홀딩스 | 자동차용 전자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
KR101109417B1 (ko) * | 2009-08-27 | 2012-01-31 | (주) 디에이치홀딩스 | 자동차용 기계식 킥 다운 스위치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7020163A1 (de) | 2007-02-22 |
CN101242969A (zh) | 2008-08-13 |
DE102005038750A1 (de) | 2007-02-22 |
EP1917153B1 (de) | 2013-01-23 |
EP1917153A1 (de) | 2008-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45135A (ko) | 액셀러레이터 페달 모듈의 킥-다운 장치 | |
US6446500B1 (en) | Pedal-travel sensor device | |
KR101294472B1 (ko) |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 |
KR102599465B1 (ko) | 자동차용 제동력 시뮬레이터 | |
US20080289928A1 (en) | Ball Screw Drive Having Overload Clutch | |
US20090208272A1 (en) | Clamping and/or braking device | |
JPH11235936A (ja) |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機構 | |
WO2008132586A3 (en) | Frictional engagement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 |
JPH11505594A (ja) |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ブレーキライニング押しつけ装置 | |
CN108027626B (zh) | 具有致动阻尼的踏板装置 | |
US7444918B2 (en) | Pyrotechnic actuator | |
DE10010432A1 (de) | Kick-down-Element für ein Fahrpedalmodul eines Kraftfahrzeugs | |
KR101324892B1 (ko) | 자동차 클러치 제어 시스템용 보조 장치 및 보조 조립체 | |
JP2001132772A (ja) | 特にクラッチ用のレリーズ装置 | |
JP2021176747A (ja) | 電気機械式のブレーキ倍力装置 | |
KR101503093B1 (ko) | 히스테리시스 및 종속 슬라이더 마찰 시스템을 포함하는 프리-댐퍼를 갖는 마찰 클러치 | |
JP2006522320A (ja) | ブレーキペダルの作動力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及び制動システム | |
KR20050053022A (ko) | 푸시 로드에 통합된 플라스틱제 감압 피스톤을 포함하는브레이크 서보 | |
JPH08219122A (ja) | 補償要素を備えた係止装置 | |
JP4091435B2 (ja) | ブレーキ倍力装置用ブレーキ力伝達装置 | |
JP3743967B2 (ja) | 気圧式倍力装置 | |
KR100315870B1 (ko) | 브레이크배력장치 | |
CN112196921B (zh) | 制动器致动机构和盘式制动器以及制造方法 | |
JP4724382B2 (ja) | アクセルペダル装置 | |
CN113631439B (zh) | 用于制动装备的操纵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