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978A -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978A
KR20080044978A KR1020060113855A KR20060113855A KR20080044978A KR 20080044978 A KR20080044978 A KR 20080044978A KR 1020060113855 A KR1020060113855 A KR 1020060113855A KR 20060113855 A KR20060113855 A KR 20060113855A KR 20080044978 A KR20080044978 A KR 20080044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bucket
rail
excavator
rai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9285B1 (ko
Inventor
강승호
Original Assignee
강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호 filed Critical 강승호
Priority to KR102006011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285B1/ko
Publication of KR2008004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91Tool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굴삭기 버킷의 투스(tooth)에 평탄작업 등을 위한 작업판을 범용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굴삭기 버킷(B)의 투스(4)가 끼워질 수 있는 투스끼움홈(12)을 가지는 머리부재(6); 조인트(joint) 수단에 의해 최소한 어느 일방향으로는 자재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재(6)에 연결되는 몸체부재(8); 상기 버킷(B)의 폭에 유사한 길이로서, 상기 몸체부재(8)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길이 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레일부재(10); 대지의 평탄작업 등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레일부재(10)에 결합되는 작업판(2)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투스가 사용에 의해 휨 등의 변형이 생긴 경우에도 용이하게 작업판을 결합하여 작업에 임할 수 있게 된다.
굴삭기, 버킷(bucket), 투스(tooth), 평탄작업판

Description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 assembly of a working plate and an excavator's shovel bucket}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스와 작업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조인트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방향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 방향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하 부호의 설명 *
2 ; 작업판 4 ; 투스(tooth)
6 ; 머리부재 8 ; 몸체부재
10 ; 레일부재 14 ; 고정키
16 ; 고정키홀 28 ; 회전구
30 ; 회전구홈 32 ; 커버
40 ; 지지대 42 ; 링베어링
B ; 버킷(bucket)
본 발명은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굴삭기 버킷의 투스(tooth)에 범용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는 건축공사, 토목공사 등에 널리 사용되는 중장비중 하나이며, 그의 암 선단에는 버킷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버킷은 작업 태양에 따라 파쇄기 등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특히 평탄작업시에는 평평한 판재 형태의 평탄작업판를 버킷의 투스에 부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내용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5-0024650호에 개시되어 있다. 위 출원내용을 포함하여 버킷에 평탄작업판을 결합하는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게 된다.
버킷의 투스는 강성이 높은 특수 재질이지만 굴삭기의 일반작업에 의해 마모, 파손 내지 변형되기 쉽다. 투스가 임의의 방향으로 비틀리거나 휘었을 때에는 상기 평탄작업판을 투스에 결합시키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의해 많이 사용된 버킷에는 상기 평탄작업판이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생기거나 정상상태 의 버킷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내용은 비단 평탄작업판에 한정되지 않고 버킷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작업도구들에 적용될 수 있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평탄작업판은 물론이요 그 이외의 굴삭기용 작업도구들에게도 미친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에 의해 투스가 심하게 변형된 버킷에도 적용이 가능한 굴삭기의 버킷과 평탄작업판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스의 간격 및 개수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버킷에도 적용이 가능한 범용의 굴삭기의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굴삭기 버킷의 투스가 끼워질 수 있는 투스끼움홈을 가지는 머리부재; 조인트(joint) 수단에 의해 최소한 어느 일방향으로는 자재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재에 연결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일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되는 작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스와 작업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평탄작업을 위한 작업판(2)이 본 발명의 결합구조에 의해 버킷(B)의 선단에 설치되는 투스(4, tooth)에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의 양끝에 위치한 두개의 투스만이 작업판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경제성을 위한 것이지만 작업환경에 따라 큰 강도를 요구할 경우에는 더 많은 투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작업판(2)은 평탄작업을 위한 것이지만, 굳이 평탄작업에 한정하여 적용할 필요는 없다. 작업판(2)의 형상 또한 실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의 기본적인 구성은 머리부재(6), 몸체부재(8), 레일부재(10)를 포함한다. 머리부재(6)는 버킷의 투스(4)를 끼움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투스(4)가 삽입될 수 있는 넓이의 투스끼움홈(12)이 마련되어 있다. 머리부재(6)는 디귿 형태로 절곡된 형태인데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는 투스를 보다 용이하게 끼워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머리부재(6)에 투스가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키(14,14a)가 사용된다. 이를 위해 머리부재(6)의 양측벽에는 고정키(14)를 관통시키기 위한 고정키홀(16,16a)이 마련되어 있다. 투스(4)는 그의 선단이 납작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키홀(16,16a)은 도시된 것처럼 경사져 있게 된다.
일반적인 투스(4)에는 측방향으로 핀홀(18)이 마련되어 있다. 머리부재 양측벽에는 투스고정핀(20)을 끼우기 위한 투스고정핀홀(22)이 타공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 투스가 머리부재와 결합된다.
고정키(14)는 투스가 머리부재의 투스끼움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키홀(16)을 통해 압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키(14)는 연성의 금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키의 결착홈(24)에는 머리부재(6)의 양측벽이 끼워진다. 투스(4)와 머리부재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다양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몸체부재(8)는 조인트(joint) 수단에 의해 최소한 일방향으로 어느 정도 상대운동을 할 수 있도록 머리부재(6)와 결합된다. 머리부재(6)와 몸체부재(8)는 최소한 일방향으로는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어느 방향으로도 자재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만 움직임의 폭은 그리 클 필요가 없다. 조인트 수단의 구체적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레일부재(10,10a)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작업판(2)의 상면 후단에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재(8,8a)가 레일부재(10,10a)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며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레일부재(10,10a)에는 몸체의 크기에 부합하는 요철 형상의 장공(2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으로 상방향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몸체부 재(8,8a)는 레일부재(10,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임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와 연결된 머리부재(6,6a)는 상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게 된다. 레일부재(10)의 길이는 버킷(B)의 폭에 유사하다.
작업판(2)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5-0024650호를 통해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바 있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투스(4)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조인트 수단의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조인트 수단은 통상의 볼조인트(ball joint)와 그 기능면에서 유사하다. 회전구(28)가 머리부재(6)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몸체부재(8,8a)에 마련되어 있는 구형상의 회전구홈(30)에 안착되어 상호 구면(求面)접촉을 하며 구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몸체부재 상면에는 커버(32)가 고정되는데 이는 회전구(28)가 몸체부재(8,8a)에 인입 안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머리부재(6)는 레일부재(10)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까딱거릴(tilting) 수 있다.
투스(4)가 머리부재(6)에 끼워져 고정키(14,14a) 및 투스고정핀(2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몸체부재(8,8a)가 레일부재(10,10a)에 끼워져 있어 도면상 수직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다. 커버홀(34)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의 부시(36)가 끼워져 먼지의 유입을 막고 금속간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한다. 커버(32)는 볼트에 의해 몸체부재(8,8a) 상면에 고정된다.
도 4는 조인트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 방향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머리부재(6)는 전 실시예와 동일하며, 투스(4) 역시 고정키(14) 및 투스고정핀(20)에 의해 끼워져 결합된다. 몸체부재(10,10b)는 분리형 소켓(38)과 그 내부에 끼워지는 링형상의 링베어링(40)으로 구성된다. 봉형상의 레일부재(10,10b)는 작업판(2)으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대(40,40a)에 의해 작업판(2)과 일체가 된다. 지지대(40,40a)는 레일부재(10,10b)로부터 및/또는 작업판(2)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조인트 수단은 봉형상의 레일부재(10b)와 레일부재를 끼울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링베어링(42)에 의해 구성된다. 링베어링(42)의 외면은 구(求)의 형태로서 그 위에 안착되는 몸체부재(8,8b)가 역시 어느 정도 까딱거릴 수 있다. 링베어링(42) 또한 분할형이 사용됨으로써 용이하게 레일부재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재(10b)와 레일부재(10b)는 자주 분해하거나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성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머리부재(6)와 투스(4)의 결합관계는 타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고정키(14b)가 원형단면의 핀부재이다. 다만 고정키홀(16b)과 투스고정핀홀이 동일한 형태로서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투스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레일부재(10c)와 몸체부재(8c)의 결합방식에 있어 큰 특징이 있는데 이를 설명한다. 몸체부재(8c)는 구형상으로서 탈착 가능하게 머리부재(6) 저면에 결합됨으 로써 머리부재와 일체를 이룬다. 때에 따라서는 용접에 의해 영구 접합될 수 있다. 레일부재(10c)는 원통 형태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머리부재는 임의의 각도로 어느 정도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레일부재는 지지대(40,40b)를 매개로 하여 작업판(2)에 결합된다.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조인트 수단은 기계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축이음부재가 거의 변형 없이 채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른 각도로 축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만능조인트(universal join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조인트 수단은 축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용도가 아닌, 부재와 부재가 임의의 각도로 약간씩 까딱거릴(tilting) 수 있게끔 하기 위한 용도이므로 단순한 구성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모든 실시예에서 몸체부재(6)가 레일부재(10)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록킹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사용하지 않을 때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되긴 하지만, 본 발명의 필수적 구성요소는 아니다. 그러므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많이 사용되어 형태적으로 변형이 생긴 투스를 가지는 굴삭기의 버킷에도 평탄 작업판 등의 작업판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여러 종류의 굴삭기 버킷에도 자재하게 작업판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굴삭기 버킷(B)의 투스(4)가 끼워질 수 있는 투스끼움홈(12)을 가지는 머리부재(6); 조인트(joint) 수단에 의해 최소한 어느 일방향으로는 자재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재(6)에 연결되는 몸체부재(8); 상기 버킷(B)의 폭에 유사한 길이로서, 상기 몸체부재(8)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길이 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레일부재(10); 대지의 평탄작업 등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레일부재(10)에 결합되는 작업판(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수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향을 향하여 일정폭으로 개방되어 있는 레일부재(10,10a); 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레일부재(10,10a)에 끼워져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되며, 구형상의 회전구홈(30)이 상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재(8,8a); 하부에 상기 회전구홈(30)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면(求面) 접촉되도록 하는 회전구(28)가 일체로 연결되는 머리부재(6,6a); 상기 회전구홈(30)이 상기 회전구홈(30)에 인입 안착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재(8,8a)의 상면에 고정되는 커버(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수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향을 향하여 일정폭으로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레일부재(10,10a); 구형상으로서 상기 레일부재(10,10c)에 끼워져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되는 몸체부재(8,8c); 상기 레일부재(10,10a)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몸체부재(8,8c)에 연결되는 머리부재(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KR1020060113855A 2006-11-17 2006-11-17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KR100859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55A KR100859285B1 (ko) 2006-11-17 2006-11-17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55A KR100859285B1 (ko) 2006-11-17 2006-11-17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978A true KR20080044978A (ko) 2008-05-22
KR100859285B1 KR100859285B1 (ko) 2008-09-19

Family

ID=3966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855A KR100859285B1 (ko) 2006-11-17 2006-11-17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4911A1 (de) * 2015-09-28 2017-04-06 Franz Kassecker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assgenauen vorsatzmessers und eines korrespondierenden baggerlöffe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63611A (ja) * 2018-03-19 2019-09-26 越後商事株式会社 作業機械バケット用の交換式エッジ体及び該交換式エッジ体を備える作業機械バ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568Y2 (ko) * 1989-07-14 1992-02-17
JPH11148149A (ja) 1997-11-17 1999-06-02 Yasuo Suzuki パワーショベル等のバケット本体に付設する地均板部材
JPH11293716A (ja) 1998-04-07 1999-10-26 Mitsubishi Steel Mfg Co Ltd パワーショベルのバケット工具
JP2001323518A (ja) 2000-05-16 2001-11-22 Okamoto Kaihatsu Kogyo:Kk 土木工事用ショベル機械におけるバケット用掘削兼整地具
JP3827073B2 (ja) 2001-11-09 2006-09-27 株式会社樋口製作所 土木工事用ショベル機械におけるバケット用掘削兼整地具
KR200401677Y1 (ko) 2005-08-26 2005-11-21 강승호 굴삭기 버켓용 평탄작업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4911A1 (de) * 2015-09-28 2017-04-06 Franz Kassecker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assgenauen vorsatzmessers und eines korrespondierenden baggerlöffels
CN108431335A (zh) * 2015-09-28 2018-08-21 弗朗兹卡斯挨克有限责任公司 用于制造精确配合的附件刀片和相应的挖掘机铲斗的系统和方法
US10378178B2 (en) 2015-09-28 2019-08-13 Franz Kassecker GmbH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precisely fitting attachment blade and a corresponding excavator scoop
CN108431335B (zh) * 2015-09-28 2021-05-18 弗朗兹卡斯挨克有限责任公司 用于制造精确配合的附件刀片和相应的挖掘机铲斗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285B1 (ko)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4286B2 (ja) コネクタピン組立体および関連する装置
DE60333502D1 (de) Verschleißanordnung und Verriegelung für eine Baggerschaufel.
AU2014281002B2 (en) Tool retention system
JP2009540167A5 (ko)
US6554526B1 (en) Fastening device
KR100859285B1 (ko) 굴삭기 버킷과 작업판의 결합구조
US8430593B2 (en) Two-member connection structure for working machine
JP2017115330A (ja) 取付ピン組立体
US11391012B2 (en) Ripper shank pocket with wear inserts
KR910021516A (ko) 굴착공구
CN105873705B (zh) 用于剪切机的穿刺尖端
US1210366A (en) Dipper-tooth.
JP2008095298A (ja) 軸受装置
CA2886832C (en) Bucket of a rope shovel
JP2001289237A (ja) 2部材連結装置
US20220241938A1 (en) Universal joint
JP4437659B2 (ja) 多軸型地盤掘削装置
JP4164869B2 (ja) 連結用リング
JP2019039142A (ja) 鋼管継手装置
JP2006132224A (ja) バケット給脂構造体
JP4416312B2 (ja) 継手構造体、該継手構造体を用いたセグメント用継手、セグメントおよびシールドトンネル
AU2010101088A4 (en) Locking assembly
JPH0226988Y2 (ko)
JP3213135U (ja) 挟持工具
JP6663379B2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