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196A - 평형(平型)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平型)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196A
KR20080044196A KR1020070116760A KR20070116760A KR20080044196A KR 20080044196 A KR20080044196 A KR 20080044196A KR 1020070116760 A KR1020070116760 A KR 1020070116760A KR 20070116760 A KR20070116760 A KR 20070116760A KR 20080044196 A KR20080044196 A KR 20080044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essing
terminals
arm portion
movab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615B1 (ko
Inventor
시로 스나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4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복수종의 단자간에서의 평형 도체에 대한 압압력을 균일하게 하는 평형 도체에 대한 압압력을 균일하게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단자 (10, 20) 의 고정 아암부 (11, 21) 는 하우징 (30) 에 의해 고정 유지되고, 가동 아암부 (12, 22) 는 일단측에 압압부 (12A, 22A) 를 그리고 타단측에 피압부 (12B, 22B) 를 갖고, 가압 부재 (40) 의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가압 부재 (40) 의 캠부 (43, 44) 가 가동 아암부의 피압부 (12B, 22B) 를 변위시키고, 가동 아암부 (12, 22) 가 연결부 (13, 23) 를 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하여 압압부 (12A, 22A) 를 변위시키고, 단자 (10, 20) 는 가동 아암부 (11, 21) 의 압압부 (12A, 22A) 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종의 단자로 구성되고, 가압 부재 (40) 는 복수종의 단자 (10, 20) 에 대응하여 캠부 (43, 44) 의 캠 변위량이 설정되어 있고, 단자의 종류간에서의 가동 아암부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최소차 혹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평형(平型) 도체용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FOR PARALLEL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로서, 금속판의 평탄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단자를 만들고, 이 평탄면내에서 단자의 압압부를 변위시켜 평형 도체를 그 단자의 접촉부에 압접시키는 단자를 갖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 특허 문헌 1 에서는, 단자는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와 2 개의 아암부를 거의 평행 상태에서 중간부에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여, 일 부재로서 형성하고 있다. 상방에 위치하는 가동 아암부는 일단에 평형 도체를 누르는 압압부를 갖고, 타단에 가압 부재의 캠부에 의해 압력을 받는 피압부를 갖고 있다. 피압부가 캠부로부터 힘을 받아 변위하면 가동 아암부는 연결부를 지점으로 하여 각 변위하고, 압압부가 평형 도체를 누르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단자는 2 종류 있으며, 양 단자는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양 단자를 비교하면, 연결부와 피압부의 거리는 동일하지만, 연결부와 압압부의 거리가 상이하다. 그 결과, 양 단자의 압압부 의 위치는 가동 아암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분포되어, 평형 도체를 넓은 영역에서 평균적으로 압압하고자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78959호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2 종의 단자는, 연결부와 피압부의 거리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연결부와 압압부의 거리가 상이하다. 따라서, 평형 도체를 압압하는 영역은 넓어지지만, 단자의 종류에 따라, 압압부는 그 위치의 차이에서 기인하여 변위량이 다르다. 즉, 압압력이 상이하다.
이러한, 커넥터에 있어서는, 압압 영역이 넓을뿐만 아니라, 압압력이 어느 단자에 대해서도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쪽이, 보다 평균적으로 평형 도체를 누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종의 단자가 혼재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어느 단자에 의해서도, 압압부가 동일한 힘으로 평형 도체를 누를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진 단자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병설된 아암 형상의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를 갖고, 그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 부재로서 형성되고, 상기 고정 아암부는 하우징에 의해 고정 유지되고,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일단측에 압압부를 그리고 타단측에 피압부를 갖고, 이동 조작을 받는 가압 부재의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그 가압 부재의 캠부가 소정량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 아암부의 피압부를 눌러 단자의 평 면을 포함한 면내에서 변위시키고, 이 피압부의 변위에 의해 가동 아암부가 상기 연결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하여 압압부를 변위시키고, 그 압압부에서 평형 도체에 압압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커넥터에 복수종의 단자가 혼재하고 있어도, 압압부에 있어서의 변이량이 단자의 종류간에서 최소차 혹은 동일한 것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 목적은 다음의 제 1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제 1 발명>
단자는 가동 아암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압압부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종의 단자로 구성되고, 가압 부재는 복수종의 단자에 대응하여 캠부의 캠 변위량이 설정되어 있고, 단자의 종류간에서의 가동 아암부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최소차 혹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
단자는 가동 아암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압압부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종의 단자로 구성되고, 복수종의 단자는 가동 아암부에 형성된 피압부와 고정 아암부에 형성된 캠 안내부 사이의 거리가 단자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어 있고, 단자의 종류간에서의 가동 아암부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최소차 혹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
단자는 가동 아암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압압부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종의 단 자로 구성되고, 복수종의 단자는 연결부로부터 압압부까지의 거리와 연결부로부터 피압부까지의 거리의 비가 이종 단자간에서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단자의 종류간에서의 가동 아암부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최소차 혹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발명에 의하면, 캠부의 변위량을 대응 단자의 종류에 따라 설정하거나, 혹은, 단자 자체의 피압부로부터 캠부까지의 거리를 단자의 종류에 따라 설정하고, 또한, 가동 아암부의 연결부로부터 압압부까지의 거리와 연결부로부터 피압부까지의 거리의 비, 즉,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하는 가동 아암부의 아암 길이비를 복수종의 단자간에서 동일하게 함으로써, 어느 단자에서도 압압부에서의 변위량이 동일한 것으로 하거나, 혹은 최소차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3 발명의 어느 경우에도, 복수종의 단자는 1 종의 단자가 오목부에서 피압부를 형성하고, 타종의 단자가 직선 가장자리에서 피압부를 형성하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는, 그 종류마다 하우징에 삽입 조립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단자의 종류에 따라, 삽입 조건, 예를 들어, 삽입압, 삽입 깊이에 대하여 다소라도 차이가 날 가능성이 있다. 혹은, 삽입 방향이 상이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삽입 조건이 달라지면, 피압부를 캠부를 캠부의 안내에 적합하게 하기 위하여 오목부에서 형성해도, 단자의 종류에 따라, 이 오목부의 위치에 어긋남이 생겨 버려, 캠부의 안내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와 같이, 1 종의 단자에서는 피압부를 오목부로서 형성하고, 타종에서는 직선 가장자리에서 형 성해 두면, 상기 어긋남이 단자의 종류간에서 발생해도, 직선 가장자리에서의 피압부는 어느 위치에서도 안내할 수 있으므로, 이 어긋남에 대응할 수 있다. 소정 위치에서의 안내는 1 종의 단자에서의 오목부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복수종의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단자의 압압부의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평형 도체에 대한 압압 영역을 확장하고, 또한 단자의 종류가 상이해도 압압부에서의 변위치를 동일하게 하였으므로, 상기 압압 영역내에서의 각 단자로부터의 압압력은 동등해지고, 평형 도체의 압압은 양호하게 평균화된다. 그 결과, 각 단자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평형 도체와의 접촉도 평균화되고 안정된다.
이하, 첨부 도면의 도 1 내지 도 3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형태의 커넥터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지면에 평행한 평탄면을 갖는 단자가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 배열되어 있다. 단자는 2 종의 단자 (10, 20) 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도 1(A1) 에서는 일방의 종류의 단자 (10), 그리고 도 1(A2) 에서는 타방의 종류의 단자 (20) 의 위치에서의 단면도로서 각각 나타나 있다. 이 도 1(A1) 그리고 도 1(A2) 는 후술하는 가압 부재의 개방 위치에서의 도면이고, 이에 대하여, 도 1(Bl) 와 도 1(B2) 는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동일 커넥터를, 도 1(B1) 이 일방의 단자, 도 1(B2) 가 타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고 지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30) 은 절연 재료를 성형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2 종의 단자 (10, 20) 를 넣기 위한 수용 홈 (31, 32)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 (31, 32) 은, 각각 단자 (10, 20) 의 판두께에 맞는 내폭 (지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내폭) 으로, 지면에 평행하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을 이루고, 도 1(A1), 도 1(A2) 에 있어서, 좌우로 관통하여 하우징 (30) 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수용 홈 (31, 32) 은 하우징 (30) 의 우반부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 중간부로부터 상방을 향한 영역에서, 모든 수용 홈 (31, 32) 이 연통하고 있고, 상방으로 개구되는 가압 부재 회전 운동 공간 (33) 을 형성하고, 하우징 (30) 의 좌반부에서는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모든 수용 홈 (31, 32) 이 연통하고 있고, 좌방으로 개구되는 평형 도체 삽입 공간 (34) 을 형성하고 있다. 그 결과, 하우징 (30) 내에서는, 수용 홈 (31, 32) 은 하우징 하벽 (35) 그리고 좌반부에 위치하는 상벽 (36) 의 내면을 따른 부분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30) 은 수용 홈 (31, 32) 내에, 그들의 내벽면 (지면에 직각 방향으로 대면하는 내벽면) 끼리를 연결하는 섬 형상의 고정부 (37, 38) 를 갖고 있다.
이들 고정부 (37, 38) 는 도면에서 좌우 방향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수용 홈 (32) 내의 고정부 (38) 는 수용 홈 (31) 내의 고정부 (37) 에 대하여 우방에 위치하고 있다.
단자 (10, 20)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의 평담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형상이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와 같이, 가로 H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단자 (10, 20) 는, 하방에 위치하는 고정 아암부 (11, 21) 와, 그 상방에 위치하여, 그 고정 아암부 (11, 21) 에 거의 평행한 가동 아암부 (12, 22) 를 각각 갖고, 고정 아암부 (11, 21) 와 가동 아암부 (12, 22) 는, 이들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부 (13, 23) 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 일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단자 (10) 는, 하우징 (30) 의 좌단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는 고정 아암부 (11) 의 좌단에 상기 가동 아암부 (12) 에 대향하도록 돌출 형상의 접촉부 (11A) 와, 하우징 (30) 밖으로 돌출하는 우단에 형성된 접속부 (11B) 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단자 (10) 는 연결부 (13) 의 우방에 형성된 돌기부 (11C) 와, 상기 접속부 (11B) 사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캠 안내부 (11D) 와, 상기 연결부 (13) 의 좌방에 형성된 걸림 돌기 (11E) 를 갖고 있다. 상기 캠 안내부 (11D) 는 홈 바닥부가 직선부를 이루고 그 양측에 둥그스름한 부분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 (11B) 는 하우징 (30) 밖으로 돌출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형성되고, 하우징의 하벽 (35) 의 우단부에 끼워맞추어 장착되는 고정 홈 (11F) 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일방의 단자 (10) 의 가동 아암부 (12) 는, 상기 연결부 (13) 에 의해 상기 고정 아암부 (11) 와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부 (13) 의 위치에 대하여 좌우로 연장되어 있다. 그 가동 아암부 (12) 의 좌단은 상기 고정 아암부 (11) 의 접촉부 (11A) 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그 좌단에 상기 접촉부 (11A) 에 대향하여 돌출하는 압압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 아암부 (12) 의 우단 근방에는, 상기 고정 아암부 (11) 의 캠 안내부 (11D) 에 대향한 위치의 가장자리가 둥 그스름한 오목부를 이루고, 그 오목부가 피압부 (12B) 를 형성하고 있다. 그 피압부 (12B) 는 가동 아암부 (12) 그리고 고정 아암부 (11) 의 각각의 길이 방향에서, 고정 아암부 (11) 의 캠 안내부 (11D) 의 둥그스름한 우부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일방의 단자 (10) 는 상기 하우징 (30) 의 수용 홈 (31) 으로 하우징 (30) 의 우단측으로부터 삽입된다. 고정 아암부 (11) 는 하우징 (30) 하벽 (35) 측에서의 수용 홈 (31) 으로 그리고 가동 아암부 (12) 는 상벽 (36) 측에서의 수용 홈 (31) 으로 들어간다. 고정 아암부 (11) 는 상기 수용 홈 (31) 의 하부 가장자리에 접하고, 그 고정 아암부 (11) 의 걸림 돌기 (11E) 가 하우징 (30) 의 고정부 (37) 에 파고들어, 그 고정부 (37) 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그 고정 아암부 (11) 하부 가장자리가 하우징 (30) 하벽 (35) 의 상면에 강하게 눌려, 확실히 고정된다. 또한, 접속부 (11B) 에 형성된 고정 홈 (11F) 이 하우징의 하벽 (35) 의 우단부에 끼워맞추어 장착되고 이것에 의해서도 고정 아암부 (11) 는 확실히 고정된다. 이에 대하여, 가동 아암부 (12) 는 그 상부 가장자리와 하우징 (30) 의 상벽 (36) 의 하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홈 (31) 의 홈 폭방향의 내벽면에서 가동 아암부 (12) 의 판두께 방향에서 지지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가동 아암부 (12) 는 상기 연결부 (13) 보다 우방의 부분이 하우징 (30) 의 상벽 (36) 의 존재하지 않는, 가압 부재 회전 운동 공간에 돌입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타방의 단자 (20) 는 고정 아암부 (21) 가 연결부 (23) 로부터 좌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하우징 (30)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우징의 좌단에 접속부 (21B) 가, 그리고 그 접속부 (21B) 와 연결부 (23) 사이에 접촉부 (21A) 를 갖고 있다. 상기 접속부 (21B) 는 일방의 단자 (10) 의 접속부 (11B) 를 좌우 반대로 하여 형성한 형태와 유사하고, 하우징 (30) 하벽 (35) 의 좌단부에 끼워맞추어 장착되는 고정 홈 (21F)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 (21A) 는, 상기 일방의 단자 (10) 의 접촉부 (11A) 의 위치에 비하여 우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고정 아암부 (21) 는, 연결부 (23) 의 우방에 걸림 돌기 (21E) 를 갖고, 이 걸림 돌기 (21E) 보다 우방은 자유단까지, 가동 아암부 (22) 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는 직선 가장자리를 이루고, 그 일부에서 상기 가압 부재의 캠부를 안내 지지하는 캠 안내부 (21D) 를 형성하고 있다.
이 타방의 단자 (20) 의 가동 아암부 (22) 는 상기 연결부 (23) 에 의해 상기 고정 아암부 (21) 와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부 (23) 의 위치에 대하여 좌우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 아암부 (22) 는, 그 연결부 (23) 의 좌방에서는, 일방의 단자 (10) 의 경우에 비하여 짧게 연장되어 있고, 그 좌단에는 고정 아암부 (21) 의 접촉부 (21A) 에 대하여 돌출하는 압압부 (22A) 를 갖고 있다. 연결부 (23) 보다 좌방의 부분은 하우징 상벽 (36) 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가동 아암부 (22) 는, 상기 연결부 (23) 의 우방에서는, 우단부에 상기 고정 아암부 (21) 의 캠 안내부 (21D) 의 우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직선 가장자리에서 피압부 (22B) 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타방의 단자 (20) 는, 상기 일방의 단자 (10) 와 비교하면, 전체 형상은 가로 H 형상을 이루고 있어 일방의 단자 (10) 와 유사하기는 하나, 그 타방의 단자 (20) 가 좌방으로부터 하우징 (30) 으로 삽입 장착되는 점, 따라서 걸림 돌기 (21E) 는 연결부 (23) 의 우방에 위치하고 있는 점, 고정 아암부 (21) 의 접촉부 (21A) 와 가동 아암부 (22) 의 압압부 (22A) 가 연결부 (23) 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점, 고정 아암부 (21) 의 캠 안내부 (21D) 와 가동 아암부 (22) 의 피압부 (22B) 가 직선 가장자리의 부분에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단자 (10) 와 상이하다.
가압 부재 (40) 는, 수지 등의 절연재를 성형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1 에서 하우징 안에서 밖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지면에 직각 방향 즉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는, 단자 (10, 20) 의 배열 범위를 커버하는 폭을 갖고 있다. 그 가압 부재 (40) 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거의 하우징 (30) 내에 위치하는 약 절반 부분에, 단자 (10, 20) 에 대응한 위치에 단자 (10, 20) 의 가동 아암부 (12, 22) 의 관통을 허용하는, 지면에 평행한 슬릿 형상의 홈부 (41, 42) 가 형성되어 있다. 각 홈 (41, 42) 은 그 가압 부재 (40) 의 단부 위치에, 각 홈 (41, 42) 의 대향 내벽면 (상기 배열 방향에서 서로 면하는 내벽면) 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캠부 (43, 44)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캠부 (43, 44) 는, 가압 부재 (40) 가 도 1(a1), (a2) 에서 보여지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그들의 단면이 횡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동일 도면에 있어서, 캠의 좌단에서 우단까지의 거리가 캠 안내부 (11D, 21D) 와 피압부 (12B, 22B) 의 간격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일방의 단자 (10) 에 대응하는 캠부 (43) 보다 타방의 단자 (20) 에 대응하는 캠부 (44) 쪽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 캠부 (43, 44) 는 도 1(a1), (a2) 에서 우측 반원부의 중심 (45) 에 지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공통의 회전 운동 축선을 갖고 있지만, 이 중심 (45) 으로부터의 왼쪽 절반의 길이는 캠부 (44) 쪽이 캠부 (43) 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타방의 단자 (20) 에 대응하는 캠부 (44) 쪽이 일방의 단자 (10) 에 대응하는 캠부 (43) 보다 캠의 변위량이 크게 되어 있다. 이 변위량의 차이는, 일방의 단자 (10) 의 연결부 (13) 로부터 피압부 (12B) 까지의 거리와 타방의 단자 (20) 의 연결부 (23) 로부터 피압부 (22B) 까지의 거리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일방의 단자 (10) 의 연결부 (13) 로부터 압압부 (12A) 까지의 거리보다 타방의 단자 (20) 의 연결부 (23) 로부터 압압부 (22A) 까지의 거리 쪽이 짧은 것에 대처하여 설정되어 있다. 양 단자 (10, 20) 의 피압부 (12B, 22B) 는 가압 부재 (40) 의 도 1(b1), (b2) 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까지의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해, 캠부 (43, 44) 로부터 압력을 받고, 그 캠 변위량에 따라 상방으로 탄성 변위되는데, 이 피압부 (12B, 22B) 의 탄성 변위는 가동 아암부 (12, 22) 가 연결부 (13, 23) 을 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경사지는 변위를 발생시킴으로써, 압압부 (12A, 22A) 에 하방으로의 탄성 변위를 가져온다. 그 때, 만일, 양 단자 (10, 20) 에 대한 캠 변위량이 동일하면, 상기 압압부 (12A) 보다 압압부 (22A) 쪽이 그 변위치가 작아져 버린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타방의 단자 (20) 에 대한 캠 변위량 쪽이 일방의 단자 (10) 에 대한 캠 변위량을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압압부 (22A) 의 변위량을 압압부 (12A) 의 변위량에 접근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캠 변위량의 선정에 의해 양 압압부 (12A, 22A) 의 변위 량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된다.
(1) 먼저, 도 1(A1), (A2)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0) 를 기립시키는 개방 위치로 가져오고, 하우징 (30) 내 좌부에 형성되어 있는 평형 도체 삽입 공간 (34) 으로 평형 도체 (도시 생략) 의 단부인 접속 회로부를 삽입한다. 그 때, 그 접속 회로의 면은 양 단자 (10, 20) 의 접촉부 (11A, 21A) 에 면하도록 하면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2) 평형 도체를 소정 위치까지, 구체적으로는 선단이 하우징의 맞닿음부에 맞닿는 깊이까지 삽입한 후에, 가압 부재 (40) 를 도 1(B1), (B2) 의 폐쇄 위치를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다. 가압 부재 (40) 가 폐쇄 위치로 옮겨지면, 캠부 (43, 44) 는 그 중심 (45) 주위를 회전하여 세로로 길어진 자세를 취한다. 캠부 (43, 44) 는 양 단자 (10, 20) 의 피압부 (12B, 22B) 를 눌러 상방으로 변위시킨다. 이 때, 캠부 (44) 는 캠부 (43) 보다 캠 변위량이 크기 때문에, 이에 수반하여, 타방의 단자 (20) 의 피압부 (22B) 는 일방의 단자 (10) 의 피압부 (12B) 보다 상방까지 탄성 변위된다.
(3) 양 단자 (10, 20) 의 피압부 (12B, 22B) 의 변위에 의해, 양 단자 (10, 20) 의 가동 아암부 (12, 22) 는 연결부 (13, 23) 를 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경사지게 되고, 그 결과, 압압부 (12A, 22A) 는 하방으로 탄성 변위된다. 그 때, 타방의 단자 (20) 은 연결부 (23) 로부터 압압부 (22A) 까지의 거리가 일방의 단자 (10) 의 연결부 (13) 로부터 압압부 (12A) 까지의 거리보다 짧지만, 피압부 (22B) 쪽이 피압부 (12B) 보다 크게 변위하고 있으므로, 그 결과, 압압부 (12A, 22A) 의 변위치간에 차이가 거의 없거나 혹은 양자의 변위량이 동일해진다. 이렇게 하여, 양 단자 (10, 20) 의 압압부 (12A, 22A) 는 평형 도체에 대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분포하고, 또한 그들의 압압력은 거의 균등해진다.
이와 같이 도 1 의 실시형태는, 상이한 양 단자에 대하여, 가압 부재의 캠부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대응하여 설정함으로써, 양 단자의 압압부에서의 변위량을 동일 혹은 동일에 근접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가압 부재에 의하지 않고, 단자 자체의 형태에 따라, 마찬가지로 대응시킬 수도 있다.
도 2 에 있어서, 양 단자 (10, 20) 는 그들의 피압부 (12B, 22B) 를 제외하고 도 1 의 단자와 완전히 동일하고, 또한 가압 부재 (40) 의 양 단자 (10, 20) 에 대한 캠부 (43, 44) 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 의 형태에서는, 양 단자 (10, 20) 에 대응하는 캠부 (43, 44) 가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로 동일한 위치에 회전 운동 중심을 갖고 있지만, 타방의 단자 (20) 의 피압부 (22B) 가 일방의 단자 (10) 의 피압부 (12B) 보다 캠 안내부 (21D) 에 대하여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도 2(A1), (A2) 참조). 따라서, 가압 부재 (40) 의 폐쇄 위치로의 회전운동에 의한 캠부 (43, 44) 의 캠 변위량이 동일해도, 상기 타방의 단자 (20) 의 피압부 (22B) 쪽이 일방의 단자 (10) 의 피압부 (12B) 보다 크게 상방으로 변위되고, 그 결과, 연결부 (23) 로부터 압압부 (22A) 까지의 거리가 짧은 타방의 단자 (20) 에서도, 그 압압부 (22A) 의 변위량은 상기 일방의 단자 (10) 의 압압부 (12A) 에 있어서의 변위량과 거의 동일 혹은 동일해진다 (도 2(B1), (B2) 참조).
다음에, 도 3 의 실시형태에서는, 단자의 연결부의 위치를 선정함으로써, 양 단자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동일 혹은 그것에 근접시키고자 하고 있다. 도 3 에서는, 양 단자 (10, 20) 의 연결부 (13, 23) 의 위치가 도 1 에 있어서의 단자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 의 단자와 동일하다. 도 3 의 형태에서는, 타방의 단자 (20) 의 연결부 (23) 가 일방의 단자 (10) 의 연결부 (13) 보다 우방에 위치하고 있고, 타방의 단자 (20) 에 있어서의 연결부 (23) 로부터 압압부 (22A) 까지의 거리와 연결부 (23) 로부터 피압부 (22B) 까지의 거리의 비가, 일방의 단자 (10) 에 있어서의 연결부 (13) 로부터 압압부 (12A) 까지의 거리와 연결부 (13) 로부터 피압부 (12B) 까지의 거리의 비와 동일하거나 그것에 가까운 값으로 되어 있다. 상기 비가 양 단자 (10, 20) 에서 동일하면, 캠 변위량은 상기 비에 따라 압압부를 변위시키므로, 양 단자 (10, 20) 의 압압부 (12A, 22A) 에서의 변위량이 동일해진다.
본 발명은, 도시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자는 2 종이 아니더라도, 3 종 이상의 복수이어도 된다. 각종 단자에 따라, 가압 부재의 캠부에 있어서의 캠 변위량, 단자의 피압부 그리고 연결부의 위치를 선정 또는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단자의 종류에 따른 압압부의 변위에 차이를 없애거나 혹은 최소차로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종의 단자는 모두 고정 아암부측에 평형 도체와의 접촉부를 갖고 있었지만, 이 고정 아암부측의 접촉부를 평형 도체를 위한 수부(受部)로 하고 가동 아암부측의 압압부가 접촉부를 겸하여 기능하도록 해도 되고, 혹은 양자를 접촉부로서 기능하게 하는 사용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것은, 평형 도체의 접속 회로부가, 어느 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가, 혹은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가에 의해 결정되는데, 어느 경우에도 본 발명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도 회전 운동하는 형식이 아니라도, 하우징에 삽입되는 슬라이더 형식이라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A1) 은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일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A2) 는 타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또한 (B1) 은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일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B2) 는 타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각각 나타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A1) 은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일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A2) 는 타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또한 (B1) 은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일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B2) 는 타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각각 나타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A1) 은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일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A2) 는 타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또한 (B1) 은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일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B2) 는 타방의 단자의 위치에서, 각각 나타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단자 13; 23 연결부
11; 21 고정 아암부 30 하우징
12; 22 가동 아암부 40 가압 부재
12A; 22A 압압부 43; 44 캠부
12B; 22B 피압부

Claims (4)

  1.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진 단자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병설된 아암 형상의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를 갖고, 상기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 부재로서 형성되고, 상기 고정 아암부는 하우징에 의해 고정 유지되고,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일단측에 압압부를 그리고 타단측에 피압부를 갖고, 이동 조작을 받는 가압 부재의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가압 부재의 캠부가 소정량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 아암부의 피압부를 눌러 단자의 평면을 포함한 면내에서 변위시키고, 이 피압부의 변위에 의해 가동 아암부가 상기 연결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하여 압압부를 변위시키고, 상기 압압부에서 평형 도체에 압압력을 인가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는 가동 아암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압압부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종의 단자로 구성되고, 가압 부재는 복수종의 단자에 대응하여 캠부의 캠 변위량이 설정되어 있고, 단자의 종류간에서의 가동 아암부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최소차 혹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진 단자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병설된 아암 형상의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를 갖고, 상기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 부재로서 형성되 고, 상기 고정 아암부는 하우징에 의해 고정 유지되고,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일단측에 압압부를 그리고 타단측에 피압부를 갖고, 이동 조작을 받는 가압 부재의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가압 부재의 캠부가 소정량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 아암부의 피압부를 눌러 단자의 평면을 포함한 면내에서 변위시키고, 이 피압부의 변위에 의해 가동 아암부가 상기 연결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하여 압압부를 변위시키고, 상기 압압부에서 평형 도체에 압압력을 인가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는 가동 아암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압압부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종의 단자로 구성되고, 복수종의 단자는 가동 아암부에 형성된 피압부와 고정 아암부에 형성된 캠 안내부 사이의 거리가 단자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어 있고, 단자의 종류간에서의 가동 아암부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최소차 혹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진 단자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병설된 아암 형상의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를 갖고, 상기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 부재로서 형성되고, 상기 고정 아암부는 하우징에 의해 고정 유지되고,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일단측에 압압부를 그리고 타단측에 피압부를 갖고, 이동 조작을 받는 가압 부재의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가압 부재의 캠부가 소정 각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 아암부의 피압부를 눌러 단자의 평면을 포함한 면내에서 변위시키고, 이 피압부의 변위에 의해 가동 아암부가 상기 연결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각 변위하여 압압부를 변위시키고, 상기 압압부에서 평형 도체에 압압력을 인가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는 가동 아암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압압부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종의 단자로 구성되고, 복수종의 단자는 연결부로부터 압압부까지의 거리와 연결부로부터 피압부까지의 거리의 비가 이종 단자간에서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단자의 종류간에서의 가동 아암부의 압압부에 있어서의 변위량이 최소차 혹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종의 단자는 1 종의 단자가 오목부에서 피압부를 형성하고, 타종의 단자가 직선 가장자리에서 피압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축 전기 커넥터.
KR1020070116760A 2006-11-15 2007-11-15 평형(平型)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018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09005 2006-11-15
JP2006309005A JP4282027B2 (ja) 2006-11-15 2006-11-15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196A true KR20080044196A (ko) 2008-05-20
KR101018615B1 KR101018615B1 (ko) 2011-03-03

Family

ID=3892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760A KR101018615B1 (ko) 2006-11-15 2007-11-15 평형(平型)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7962B2 (ko)
EP (1) EP1923959A1 (ko)
JP (1) JP4282027B2 (ko)
KR (1) KR101018615B1 (ko)
CN (1) CN101202387B (ko)
TW (1) TW2008224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0884B2 (ja) * 2007-03-06 2012-11-1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527511B1 (en) * 2008-05-09 2009-05-0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4878615B2 (ja) * 2008-09-11 2012-02-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TWM354923U (en) * 2008-11-21 2009-04-11 Taiwan Suncagey Ind Co Ltd Improved electrical connector for back-lift flexible circuit board
JP5344285B2 (ja) * 2008-12-02 2013-11-2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989741B2 (ja) * 2010-02-26 2012-08-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989740B2 (ja) * 2010-02-26 2012-08-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951085B2 (ja) * 2010-04-08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21884B2 (ja) * 2010-05-31 2013-0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630365B2 (ja) * 2011-04-13 2014-11-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621999B2 (ja) * 2012-03-09 2014-11-1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92929B2 (ja) * 2012-06-11 2014-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42342B2 (ja) * 2015-01-26 2018-06-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56167B2 (ja) * 2016-02-10 2018-07-11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
JP7033727B2 (ja) * 2017-08-09 2022-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543054B1 (ko) * 2017-12-27 2023-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컨넥터, 그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및 표시장치
TWI824285B (zh) * 2021-08-27 2023-12-0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4773B2 (en) * 2002-08-01 2006-05-16 Ddk Ltd. Connector
JP4073766B2 (ja) 2002-11-27 2008-04-09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178959A (ja) 2002-11-27 2004-06-24 D D K Ltd コネクタ
CN2596583Y (zh) * 2003-02-19 2003-12-31 禾昌兴业股份有限公司 端子结构改良
JP4223323B2 (ja) 2003-05-14 2009-02-12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83777B2 (ja) * 2005-03-09 2009-06-24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309005A (ja) 2005-04-28 2006-11-09 Canon Inc 光学機器
JP4484219B2 (ja) * 2005-06-20 2010-06-1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2387A (zh) 2008-06-18
JP2008123946A (ja) 2008-05-29
US20080113542A1 (en) 2008-05-15
CN101202387B (zh) 2011-07-13
US7467962B2 (en) 2008-12-23
KR101018615B1 (ko) 2011-03-03
TW200822473A (en) 2008-05-16
EP1923959A1 (en) 2008-05-21
TWI356543B (ko) 2012-01-11
JP4282027B2 (ja)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615B1 (ko) 평형(平型)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03228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7530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298798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9735503B2 (en) Connector for receiv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cable
KR101331295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06981754B (zh) 连接器
KR20090067166A (ko) 가요성 케이블용 릴레이 커넥터
EP2568540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31303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34855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159462B1 (ko) 커넥터
JP2013257960A (ja) コネクタ
JP5624191B2 (ja) コネクタ
JP4775917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574514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2169296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989740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WO2023042619A1 (ja) 積層コネクタ
KR20200107814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2008091108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