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077A -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077A
KR20080044077A KR1020060112901A KR20060112901A KR20080044077A KR 20080044077 A KR20080044077 A KR 20080044077A KR 1020060112901 A KR1020060112901 A KR 1020060112901A KR 20060112901 A KR20060112901 A KR 20060112901A KR 20080044077 A KR20080044077 A KR 20080044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rack
holder
shelf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618B1 (ko
Inventor
신갑수
박능서
최용진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618B1/ko
Priority to US11/846,592 priority patent/US8042559B2/en
Priority to PCT/KR2007/004229 priority patent/WO2008060028A1/en
Publication of KR2008004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는 랙과; 상기 랙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셀프와; 상기 랙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셀프가 고정되도록 상기 셀프가 수직하게 고정되는 셀프 고정부가 복수개 형성된 셀프 홀더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셀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셀프 홀더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셀프 홀더의 개수가 최소화된만큼 조립 공정이 단순한 이점이 있다.
Figure P1020060112901
식기세척기, 랙, 셀프, 셀프 고정부, 셀프 홀더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 of dish wash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셀프를 수직하게 세웠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셀프를 옆으로 눕혔을 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셀프 홀더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셀프를 수직하게 세웠을 때의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셀프를 옆으로 눕혔을 때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랙 56: 수평 봉부
57: 수직 봉부 61: 전방측 셀프 지지부
62: 후방측 셀프 지지부 70: 전방측 셀프
71: 랙 연결봉 72: 셀프 홀더 연결봉
73: 메인 셀프 74: 지지봉
75: 받침봉 76: 절곡부
80: 후방측 셀프 81: 랙 연결봉
82: 셀프 홀더 연결봉 83: 메인 셀프
84: 지지봉 85: 받침봉
86: 절곡부 90: 셀프 홀더
91: 전방측 고정부 92: 후방측 고정부
93,94: 후크 95: 전방측 지지부
96: 후방측 셀프 지지부 99: 전방측 셀프 눕힘 받침부
100: 후방측 셀프 눕힘 받침부 101: 연결부
102: 스토퍼부 105: 내측 회전 스토퍼
108: 회측 회전 스토퍼
본 발명은 컵 등이 올려지는 셀프가 랙에 설치된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셀프가 하나의 셀프 홀더에 의해 수직하게 고정 되는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컵이나 식기나 조리 도구 등(이하, ‘식기’라 칭함)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를 세척하는 기기로서, 세척조 내부에 식기가 올려지는 랙(Rack)이 전후로 직선 이동되게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1)의 내부에 식기 등이 올려지는 랙 어셈블리(2)(3)(4)가 전후로 직선 이동되게 배치되도록 랙 어셈블리(2)(3)(4)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5)(6)가 설치된다.
랙 어셈블리(2)(3)(4) 중 하나(3)에는 컵이 흔들리지 않게 올려지는 셀프(7)(8: Shelf)가 복수개 구비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셀프(7,8)가 설치되는 랙 어셈블리(3)는 랙(9)의 좌,우측부(10)(11)의 전,후측 각각에 셀프(7)(8)가 수직하게 세워져 고정되는 셀프 홀더(12)(13)(14)(15)가 장착된다.
즉, 랙(9)의 좌측부(10)에는 전방 좌측 셀프 홀더(12)와 후방 좌측 셀프 홀더(13)가 좌측 셀프(7)의 전후 길이 보다 짧은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좌측 설프(7)가 수직하게 세워질 때, 전방 좌측 셀프 홀더(12)가 좌측 셀프(7)의 앞부분을 고정하고, 후방 좌측 셀프 홀더(13)가 좌측 셀프(7)의 뒷부분을 고정한다.
그리고, 랙(9)의 우측부(13)에는 전방 우측 셀프 홀더(14)와 후방 우측 셀프 홀더(15)가 우측 셀프(8)의 전후 길이 보다 짧은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우측 설 프(8)를 수직하게 세워질 때, 전방 우측 셀프 홀더(14)가 우측 셀프(8)의 앞부분을 고정하고, 후방 우측 셀프 홀더(15)가 우측 셀프(8)의 뒷부분을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는 좌,우측 셀프(7)(8) 각각의 앞부분과 뒤부분 각각을 셀프 홀더(12)(13)(14)(15)로 고정하여 하나의 셀프 당 두 개의 셀프 홀더가 필요하므로 두 개의 셀프(7)(8)를 설치할 경우 총 4개의 셀프 홀더(12)(13)(14)(15)가 필요하여 부품수가 많고, 복수개의 셀프 홀더(7)(8) 및 복수개의 셀프(12)(13)(14)(15)를 조립하는 조립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셀프 홀더로 복수개의 셀프를 고정하여 부품수가 최소화되고 조립 공정이 단순한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는 랙과; 상기 랙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셀프와; 상기 랙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셀프가 함께 고정되도록 상기 셀프가 고정되는 셀프 고정부가 복수개 형성된 셀프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랙에는 상기 셀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셀프 지지부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셀프 홀더는 상기 랙의 전,후,좌,우측부 중에서 일측부에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셀프 지지부는 상기 랙의 전,후,좌,우측부 중에서 상기 셀프 홀더가 장착되는 일측부 이외에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셀프는 상기 랙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랙 연결봉와, 상기 셀프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셀프 홀더 연결봉이 형성된 다.
상기 랙 연결봉과 셀프 홀더 연결봉은 상기 셀프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복수개의 셀프 각각은 상기 고정부에 착탈되는 메인 셀프와, 상기 메인 셀프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랙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셀프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봉과, 상기 메인 셀프에 연결된 받침봉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셀프는 상기 받침봉을 향해 돌출되게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다.
상기 셀프 홀더에는 상기 셀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셀프 지지부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셀프 홀더에는 상기 셀프가 수평 혹은 경사지게 눕혀졌을 때 상기 셀프를 받치는 셀프 눕힘 받침부가 복수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셀프를 수직하게 세웠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셀프를 옆으로 눕혔을 때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 등의 식기가 올려지는 랙(50)과, 컵 등이 올려지는 복수개의 셀프(70)(80)와, 랙(50)에 장착되어 복수개의 셀프(70)(80)가 함께 고정되는 셀프 홀더(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5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상면이 개방된 그릴체로서, 좌측부(51)와 우측부(52)와 전방부(53)와 후방부(54)와 하측부(55)로 이루어진다.
랙(50)은 좌측부(51)와 우측부(52)와 전방부(53)와 후방부(54) 각각이 복수개의 수평 봉부(56)와 복수개의 수직 봉부(57)가 직교하게 연결된다.
랙(50)은 하측부(55)가 복수개의 좌우 봉부(58)와 복수개의 전후 봉부(59)가 직교하게 연결된다.
랙(50)에는 복수개의 셀프(70)(80) 각각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셀프 지지부(61)(62)가 복수개 형성된다.
복수개의 셀프 지지부(61)(62)는 복수개의 셀프(70)(80) 개수만큼 형성된다.
복수개의 셀프 지지부(61)(62)는 랙(50)의 좌측부(51)와 우측부(52)와 전방부(53)와 후방부(54) 중에서 셀프 홀더(90)가 장착되는 일측부(52)에 형성되지 않고 그 이외(53)(54)에 각각 형성된다.
셀프 홀더(90)가 랙(50)의 우측부(52)에 장착될 경우, 셀프 지지부(61)(62)는 랙(50)의 전방부(53)와 랙(50)의 후방부(54)에 각각 형성된다.
셀프 지지부(61)(62)는 랙(50)의 전방부(53)와 랙(50)의 후방부(54) 중에서 셀프 홀더(90)가 장착되는 일측부(52)에 최대한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는 바, 셀프 홀더(90)가 랙(50)의 우측부(52)에 장착될 경우 랙(50)의 전방부(53) 우측단과 랙(50)의 후방부(54) 우측단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그 각각은 셀프(70)(80)의 일부를 감싸면서 감싸는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고리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랙(50)의 전방부(53) 우측단에 형성된 셀프 지지부를 전방측 셀프 지지부(61)라 칭하고, 랙(50)의 후방부(54) 우측단에 형성된 셀프 지지부를 후방측 셀프 지지부(62)라 칭하여 설명한다.
복수개의 셀프(70)(80)는 랙(50)의 좌측부(51)와 우측부(52)와 전방부(53)와 후방부(54) 중에서 일측부(52)에 함께 전,후 또는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랙(50)의 좌측부(51)와 우측부(52)와 전방부(53)와 후방부(54) 중에서 일측부(52)와 타측부(51)에 각각 분산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 랙(50)의 일측부 특히 랙(50)의 우측부(52)에 함께 전후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방측 셀프(70)와 후방측 셀프(80)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복수개의 셀프(70)(80) 각각은 랙(50)의 전방측 셀프 지지부(61) 또는 후방측 셀프 지지부(6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랙 연결봉(71)(81)과, 셀프 홀더(90)에 형성된 후술하는 셀프 지지부(95)(9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셀프 홀더 연결봉(72)(82)이 각각 형성된다.
랙 연결봉(71)(81)과 셀프 홀더 연결봉(72)(82)은 셀프 각각에 서로 반대 방 향으로 돌출된다.
즉, 복수개의 셀프(70)(80) 중에서 전방측 셀프(70)는 랙 연결봉(71)이 전방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셀프 홀더 연결봉(72)이 후방으로 돌출되고, 복수개의 셀프(70)(80) 중에서 후방측 셀프(80)는 랙 연결봉(81)이 후방으로 돌출되고 셀프 홀더 연결봉(82)이 전방으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셀프(70)(80) 각각은 셀프 홀더(90)에 착탈되는 메인 셀프(73)(83)와, 메인 셀프(73)(83)에 연결되고 일측이 랙(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이 셀프 홀더(9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봉(74)(84)과, 메인 셀프(73)(83)에 연결된 받침봉(75)(8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봉(75)(85)은 컵 등이 올려지는 부분으로서 지지봉(74)(84)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지지봉(74)(84)은 전후 길이가 메인 셀프(73)(83) 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전,후 단부 각각이 랙 연결봉(71)(81)과 셀프 홀더 연결봉(72)(82)이 된다.
메인 셀프(73)(83)는 받침봉(75)(85)을 향해 돌출되게 절곡된 절곡부(76)(86)를 갖는다.
절곡부(76)(86)는 받침봉(75)(85)과 함께 컵 등이 올려지는 부분으로서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셀프 홀더(90)는 랙(50)의 좌측부(51)와 우측부(52)와 전방부(53)와 후방부(54) 중에서 일측부(52) 장착되는 바, 이하, 랙(50)의 일측부(52) 중앙에 장착되어, 복수개의 셀프(70)(80) 각각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수직하게 세워 져 고정되며, 이하 랙(50)의 우측부(52) 중앙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셀프 홀더(90)에는 셀프(70)(80) 각각이 수직하게 세워져 고정되는 고정부(91)(92)가 복수개 형성되어 복수개의 셀프(70)(80)가 하나의 셀프 홀더(90)에 함께 고정된다.
복수개의 고정부(91)(92) 각각은 복수개의 후크(93)(94)가 대향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고정부(91)(92) 각각은 셀프(70)(80)를 수직하게 세울 때 복수개의 후크(93)(94)가 메인 셀프(73)(83)에 의해 탄성적으로 휘면서 메인 셀프(73)(83)가 복수개의 후크(93)(94) 사이로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복수개의 후크(93)(94)는 탄성적으로 휘었다가 복원될 수 있도록 셀프 홀더(90)의 상면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하, 셀프 홀더(90)는 대략 전방부에서 전방측 고정부(91)가 옆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대략 후방부에서 후방측 고정부(92)가 옆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셀프 홀더(90)에는 셀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셀프 지지부(95)(96)가 복수개 형성되어, 복수개의 셀프(70)(80)가 하나에 셀프 홀더(90)에 함께 지지된다.
복수개의 셀프 지지부(95)(96) 각각은 셀프(70)(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종의 베어링으로서, 대략 반대 방향으로 곡면진 홈부(97)(98)가 전후 이격되 게 형성된다.
이하, 셀프 홀더(90)는 중앙을 기준으로 대략 전방부에서 전방측 셀프 지지부(95)가 형성되고, 대략 후방부에서 후방측 셀프 지지부(96)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셀프 홀더(90)에는 셀프(70)(80)가 수평 혹은 경사지게 눕혀지도록 셀프(70)(80)를 받치는 셀프 눕힘 받침부(99)(100)가 복수개 형성된다.
셀프 눕힘 받침부(99)(100)는 셀프(70)(80)가 수평 혹은 경사지게 눕혀질 때 셀프(70)(80)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 돌출부(77)(87)가 상향으로 걸리는 걸림부로서, 수평하게 형성되면 셀프(70)(80)가 수평하게 눕혀지고,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셀프(70)(80)가 경사지게 눕혀진다.
이하, 셀프 홀더(90)는 중앙을 기준으로 대략 전방부에서 전방측 셀프 눕힘 받침부(99)가 형성되고, 대략 후방부에서 후방측 셀프 눕힘 받침부(100)가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셀프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셀프를 수직하게 세웠을 때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일실시예의 셀프를 옆으로 눕혔을 때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셀프 홀더(9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50)의 복수개의 수평 봉부(56) 중 하나에 연결된 연결부(101)와, 셀프 홀더(90)가 연결부(101)를 중 심으로 임의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101)는 랙(50)의 복수개의 수평 봉부(56) 중 하나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토퍼부(102)는 셀프 홀더(90)가 랙(50)의 내측 방향으로 임의 회전되는 것을 구속하도록 셀프 홀더(90)의 상부에 형성된 내측 회전 스토퍼부(105)를 포함하는 바, 내측 회전 스토퍼부(105)는 셀프 홀더(90)의 상면부에 상향 돌출 형성된 돌출부(106)(107)로 이루어진다.
스토퍼부(102)는 셀프 홀더(90)가 랙(50)의 외측 방향으로 임의 회전되는 것을 구속하도록 셀프 홀더(90)의 상부에 형성된 외측 회전 스토퍼부(108)를 포함하는 바, 외측 회전 스토퍼부(108)는 셀프 홀더(90)의 상면부에 복수개의 수직 봉부(57) 중 하나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된 홈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셀프(70)(80) 모두가 눕혀진 상태에서, 전방측 셀프(7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전방측 셀프(70)는 랙 연결봉(71)이 랙(50)의 전방측 셀프 지지부(61)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셀프 홀더 연결봉(72)이 셀프 홀더(90)의 전방측 셀프 지지부(95)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전방측 셀프(70)는 대략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그 메인 셀프(73)의 일부가 전방측 고정부(91)의 복수개 후크(93)(94)를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전방측 고정부(91) 의 복수개 후크(93)(94) 사이로 삽입되고, 전방측 셀프(7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세워졌을 때 전방측 고정부(91)의 복수개 후크(93)(94)가 원래 형태로 복원되면서 그 메인 셀프(73)의 일부를 구속하며, 전방측 셀프(70)는 복수개 후크(93)(94)에 의해 걸려서 전방측 셀프(70)가 눕혀지는 방향으로 임의 회전이 제한된다.
한편, 후방측 셀프(80)를 전방측 셀프(70)와 같이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후방측 셀프(80)는 랙 연결봉(81)이 랙의 후방측 셀프 지지부(62)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셀프 홀더 연결봉(82)이 셀프 홀더(90)의 후방측 셀프 지지부(96)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후방측 셀프(80)는 전방측 셀프(70)와 같이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그 메인 셀프(83)의 일부가 후방측 고정부(92)의 복수개 후크(93)(94)를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후방측 고정부(92)의 복수개 후크(93)(94) 사이로 삽입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세워졌을 때 후방측 고정부(92)의 복수개 후크(93)(94)에 원래 형태로 복원되면서 그 메인 셀프(84)의 일부를 구속하며, 후방측 셀프(80)는 전방측 셀프와 같이 그 눕혀지는 방향으로 임의 회전이 제한된다.
즉, 복수개의 셀프(70)(80)는 하나의 셀프 홀더(90)에 의해 수직하게 세워져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셀프(70)(80)를 수직하게 세워 고정한 상태에서 전방측 셀프(70)를 옆으로 눕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방측 셀프(70)는 전방측 고정부(91)의 복수개 후크(93)(94) 사이에 구속되어 있던 부분이 전방측 고정부(91)의 복수개 후크(93)(94)을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전방측 고정부(91)의 복수개 후크(93)(94) 사이를 빠져나오고, 전방측 셀프(70)는 랙 연결봉(71)과 셀프 홀더 연결봉(72)이 랙(50)의 전방측 셀프 지지부(61)과 셀프 홀더(90)의 전방측 셀프 지지부(95)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전방측 셀프(70)가 회전되어 그 메인 셀프(73)의 하단 돌출부(77)가 셀프 홀더(90)의 전방측 셀프 눕힘 받침부(99)에 상향으로 걸리면, 전방측 셀프(7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후방측 셀프(80)를 전방측 셀프(70)와 같이 옆으로 눕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방측 셀프(80)는 후방측 고정부(92)의 복수개 후크(93)(94) 사이를 빠져나오고, 랙(50)의 후방측 셀프 지지부(62)과 셀프 홀더(90)의 후방측 셀프 지지부(96)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그 메인 셀프(83)의 하단 돌출부(87)가 셀프 홀더(90)의 후방측 셀프 눕힘 받침부(100)에 상향으로 걸리면, 후방측 셀프(8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복수개의 셀프(70)(80)는 하나의 셀프 홀더(90)에 의해 옆으로 눕혀지게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랙(50)의 좌측부(51)에 셀프 홀더(90)가 장착되고 랙(50)의 전방부(53) 좌측단과 후방부(54) 좌측단 각각에 셀프 지지부(61)(62)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셀프(70)(80)가 랙(50)의 좌측부(51)측 에 전,후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는 셀프 홀더에 복수개의 셀프 각각이 수직하게 고정되는 셀프 고정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복수개의 셀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셀프 홀더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셀프 홀더의 개수가 최소화된만큼 조립 공정이 단순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는 랙에 셀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셀프 지지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랙 자체가 셀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므로, 랙에 셀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셀프 서포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제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는 셀프 홀더에 셀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셀프 지지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셀프 홀더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랙에만 셀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셀프 지지부를 형성할 경우 보다 랙의 구조를 단순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셀프가 랙의 전,후,좌,우측부 중에서 일측부에 전,후 또는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셀프가 여러부에 분산 배치되는 경우 보다 공간 활용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랙과;
    상기 랙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셀프와;
    상기 랙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셀프가 함께 고정되도록 상기 셀프가 고정되는 셀프 고정부가 복수개 형성된 셀프 홀더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에는 상기 셀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셀프 지지부가 복수개 형성된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홀더는 상기 랙의 전,후,좌,우측부 중에서 일측부에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셀프 지지부는 상기 랙의 전,후,좌,우측부 중에서 상기 셀프 홀더가 장착되는 일측부 이외에 형성된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셀프는 상기 랙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랙 연결봉와, 상기 셀프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셀프 홀더 연결봉이 형성된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랙 연결봉과 셀프 홀더 연결봉은 상기 셀프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셀프 각각은 상기 고정부에 착탈되는 메인 셀프와, 상기 메인 셀프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랙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셀프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봉과, 상기 메인 셀프에 연결된 받침봉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셀프는 상기 받침봉을 향해 돌출되게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홀더에는 상기 셀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셀프 지지부가 복수개 형성된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홀더에는 상기 셀프가 수평 혹은 경사지게 눕혀졌을 때 상기 셀프를 받치는 셀프 눕힘 받침부가 복수개 형성된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KR1020060112901A 2006-11-15 2006-11-15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KR101270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901A KR101270618B1 (ko) 2006-11-15 2006-11-15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US11/846,592 US8042559B2 (en) 2006-11-15 2007-08-29 Dishwasher having rack with shelf holder
PCT/KR2007/004229 WO2008060028A1 (en) 2006-11-15 2007-09-03 Dishwasher having rack with shelf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901A KR101270618B1 (ko) 2006-11-15 2006-11-15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077A true KR20080044077A (ko) 2008-05-20
KR101270618B1 KR101270618B1 (ko) 2013-06-07

Family

ID=3936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901A KR101270618B1 (ko) 2006-11-15 2006-11-15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42559B2 (ko)
KR (1) KR101270618B1 (ko)
WO (1) WO20080600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653A (ko) * 2013-03-21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2055011A1 (ko) * 2020-09-08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7765A1 (de) * 2003-10-14 2005-05-12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Geschirrkorb mit höhenverstellbaren Ablagen
DE102008015714A1 (de) * 2008-03-26 2009-10-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korb und Geschirrspülmaschine
DE102008015716A1 (de) * 2008-03-26 2010-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korb und Geschirrspülmaschine
AU2009320505B2 (en) * 2008-11-28 2013-10-31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Adjustable shelf assembly and appliances incorporating the adjustable shelf assembly
PL2215956T3 (pl) * 2009-02-10 2020-11-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egulowany zespół stojakowy kosza do zmywarki
EP2377455B1 (de) * 2010-04-14 2013-07-03 Miele & Cie. KG Spülkorbeinsatz
US20120211453A1 (en) * 2011-02-17 2012-08-23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Appliance with a support rack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elements
DE102015206869A1 (de) * 2015-04-16 2016-10-20 BSH Hausgeräte GmbH Fachboden zum Unterteilen eines Kühlgutlagerraumes eines Haushaltskühlgerätes sowie Haushaltskühlgerät
DE102015219620B3 (de) * 2015-10-09 2016-10-13 BSH Hausgeräte GmbH Spülgutaufnahme für ein flächiges Spülgut i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KR102512217B1 (ko) 2018-05-10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1006814B1 (en) * 2020-06-04 2021-05-1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Stemware support/cup shelf for dishwasher
US11317740B2 (en) 2020-07-09 2022-05-03 Logiquip Llc Clip-on adaptor for inventory divider
US10973318B1 (en) * 2020-07-09 2021-04-13 Logiquip Llc Adaptor for modifying the pivot axis of a wire shelf divider
US11330961B1 (en) * 2020-12-07 2022-05-1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with stemware hold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2484A1 (de) * 1980-06-14 1982-01-07 Euro Hausgeräte GmbH, 6680 Neunkirchen Vorrichtung fuer geschirrkoerbe von haushaltgeschirrspuelmaschinen
US4917248A (en) * 1989-01-12 1990-04-1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ishwasher rack with movable fence
US5158185A (en) * 1991-09-27 1992-10-27 Maytag Corporation Dividers for dishwasher racking system
US5351837A (en) * 1993-09-07 1994-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assembly with fold down combs
US5480035A (en) * 1994-02-07 1996-01-02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with adjustable shelf
US5344029A (en) * 1994-03-25 1994-09-06 Ann T. Oghia Dishwasher holddown rack
JP3340331B2 (ja) * 1996-11-19 2002-11-05 株式会社東芝 食器洗浄機
FR2775180B1 (fr) 1998-02-26 2000-05-05 Metafil Perfectionnement aux paniers de lave-vaisselle a clayettes
US6571965B1 (en) * 2000-04-12 2003-06-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rack with pivotable fences
ATE472290T1 (de) * 2000-05-15 2010-07-15 Arcelik As Geschirrkorb mit höhenverstellbaren haltern
EP1275336A1 (en) * 2001-07-11 2003-01-15 Bonferraro S.p.A. Dishwasher rack with tip-up shelves provided with pull-out cutlery grids
US7231929B2 (en) 2003-11-20 2007-06-1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and adjustable rack
JP2006055353A (ja) 2004-08-19 2006-03-0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および補助カゴ
JP4490851B2 (ja) * 2005-03-03 2010-06-30 株式会社東芝 食器洗浄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653A (ko) * 2013-03-21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2055011A1 (ko) * 2020-09-08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618B1 (ko) 2013-06-07
WO2008060028A1 (en) 2008-05-22
US20080110481A1 (en) 2008-05-15
US8042559B2 (en) 201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618B1 (ko)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KR20080044079A (ko)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CN105249914B (zh) 洗碗机碗篮的杯托组件及具有其的洗碗机碗篮
KR20060135617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랙을 구비한 식기 바스켓
US11751750B2 (en) Rack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same
CN210019226U (zh) 碗篮组件和洗碗机
US20060254627A1 (en) Dishwasher with utensil basket
CN109674431B (zh) 餐具架、碗篮组件和洗碗机
KR20080044080A (ko)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EP1413241B1 (en) Household dishwasher with upper rack partially housed in a recess of the front loading door and frontally equipped with tipping shelf
EP1286616B1 (en) Dishwasher basket with foldable crockery holder racks
JPH0910158A (ja) 食器洗浄機の食器カゴ
KR101240857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CN108144089A (zh) 消毒柜拉篮和消毒柜
JP4123367B2 (ja) 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KR10133083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2128351B1 (ko) 식기선반
CN109662667B (zh) 碗篮组件和洗碗机
CN217592811U (zh) 碗篮及洗碗机
KR200386351Y1 (ko) 식기 세척기의 랙
CN111700568A (zh) 餐盘收纳架及具有其的碗篮
KR101238147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CN211355336U (zh) 一种洗碗机搁架及洗碗机
CN215015904U (zh) 一种筷子笼及厨房电器
KR100658850B1 (ko) 식기 세척기의 틴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