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653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653A
KR20140115653A KR1020130030473A KR20130030473A KR20140115653A KR 20140115653 A KR20140115653 A KR 20140115653A KR 1020130030473 A KR1020130030473 A KR 1020130030473A KR 20130030473 A KR20130030473 A KR 20130030473A KR 20140115653 A KR20140115653 A KR 20140115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rack
tub
side wal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912B1 (ko
Inventor
윤상헌
정문기
신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912B1/ko
Priority to AU2014201663A priority patent/AU2014201663B2/en
Priority to EP14160819.0A priority patent/EP2792291B1/en
Priority to CN201410106996.4A priority patent/CN104055474B/zh
Priority to US14/221,508 priority patent/US9131828B2/en
Publication of KR2014011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식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에 배치되는 랙; 및 식기가 올려지도록 상기 식기수용공간을 향해 눕혀지고 회전축이 상기 식기수용공간의 외부에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랙의 측벽에 장착되어 식기를 적층 할 수 있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터브 내부에 식기가 수납되는 랙과, 랙에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세척암과, 상기 세척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펌프 및 세척모터로 이루어진다.
식기 세척기는 상기 세척 펌프가 구동하여 상기 섬프 내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암으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세척암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고압으로 분출되어 랙에 수납된 식기의 표면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식기의 표면에 부딪히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오물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또한, 식기 세척 과정은 식기에 묻어 있는 오물을 씻어내는 세척 과정과, 세척 과정이 종료된 다음에 식기를 헹구는 헹굼 과정 및 헹굼이 끝난 상태의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과정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세척이 진행된 후 세척중에 세제와 함께 오물 등이 섞인 세척수는 섬프로 집수 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식기 세척기 내부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랙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랙 내부에는 그릇, 컵 및 수저와 같은 식기들이 수납된다.
한편, 랙의 벽면에는 식기를 적층 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피벗 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받침대는 사용시에는 랙의 중심을 향해 펼쳐지고, 미 사용시에는 랙의 측벽에 세워둔다. 받침대의 사용 여부는 랙에 수납되는 식기의 높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받침대는 랙에 장착되므로 랙과 연결된 부분이 랙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경우 받침대와 식기와 서로 간섭을 일으켜 식기수용공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받침대를 세울 경우 있는 상부에 있는 다른 랙과 간섭을 줄이기 위해 받침대의 폭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식기수용공간 내부에 받침대의 모든 부분이 배치되므로 받침대의 상하이동시 식기와 부딪치지 않도록 먼저 받침대를 눕혀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받침대가 식기수용공간을 침범하는 경우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받침대의 폭을 줄이지 않고도 다른 랙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받침대의 상하이동시 수용된 식기와의 간섭을 최소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식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에 배치되는 랙; 및 식기가 올려지도록 상기 식기수용공간을 향해 눕혀지고 회전축이 상기 식기수용공간의 외부에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서 식기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식기수용공간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천장부가 상기 식기수용공간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보다 넓도록 상측이 하측보다 좌우로 확장된 랙; 상측은 상기 천장부를 향해 세워지고 하측은 상기 바닥부와 마주하지 않도록 상기 랙의 측벽에 배치된 받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배치되고 식기수용공간이 형성된 랙; 및 상기 식기수용공간에 눕혀지고 단부가 상기 랙을 형성하는 와이어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된 받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식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에 배치되는 랙; 식기가 올려지도록 상기 식기수용공간을 향해 눕혀지고, 세워지면 상기 랙을 형성하는 와이어 사이로 삽입되는 받침대; 및
상기 랙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가 상하이동하면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과 선택적으로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식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에 배치되는 랙; 및 식기가 올려질 수 있도록 상기 식기수용공간에 눕혀지고, 세워지면 눕혀졌을때 보다 상기 식기수용공간내에 배치되는 면적이 줄어들도록 상기 랙을 형성하는 와이어 사이로 삽입되어 하측으로 이동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받침대의 회전축이 식기수용공간을 침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둘째, 받침대의 폭을 줄이지 않고도 다른 랙과 간섭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셋째, 받침대의 상하이동시 식기와 간섭될 확률이 줄어들어 식기를 랙에 수용한 후 받침대를 눕히고 다른 식기를 받침대 위에 올려두는 순서로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랙과 받침대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받침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브라켓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4의 A-A'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4의 B-B'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받침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의 랙(10)과 받침대(20)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의 받침대(2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식기(7)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3); 식기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터브(3)에 배치되는 랙(10); 및 식기(7)가 올려지도록 식기수용공간(S)을 향해 눕혀지고 회전축(20a)이 식기수용공간(S)의 외부에 형성된 받침대(20)를 포함한다.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프레임의 내부에는 터브(3)가 배치된다. 터브(3)는 식기(7)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터브(3)는 식기(7)가 수납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된다. 세척수는 터브(3) 내부로 분사된다.
랙(10)은 복수의 와이어로 형성된다. 랙(10)은 와이어를 엇갈리게 배치하여 형성한다. 랙(10)은 식기수용공간(S)을 형성한다. 랙(10)은 식기(7)를 담을 수 있도록 바구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랙(10)은 터브(3)에 장착된다. 랙(10)은 터브(3)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받침대(20)는 식기수용공간(S)에 눕혀질 수 있도록 랙(10)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받침대(20)는 랙(10)의 측벽에 배치된다. 받침대(20)는 식기수용공간(S)에 식기(7)를 적층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받침대(20)는 랙(10)의 측벽에 세워둘 수 있다. 받침대(20)는 랙(10)의 중심을 향해 펼쳐질 수 있다. 랙(10)의 내부에는 식기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받침대(20)는 회전축(20a)이 식기수용공간(S)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랙(10)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받침대(20)의 회전축(20a)은 랙(10)의 외부에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받침대(20)의 회전축(20a)은 랙(10)의 측벽과 터브(3)의 측벽 사이에 배치된다. 받침대(20)는 H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랙(10)의 측벽에 배치된다. 받침대(20)는 P 방향으로 피벗 운동 가능하게 랙(10)의 측벽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랙(10)은 상부가 하부보다 식기수용공간(S)이 넓도록 측벽을 형성하는 와이어를 터브(3)를 향해 절곡시킨 확장부(18)를 포함하고, 받침대(20)의 회전축(20a)은 확장부(18)의 하측에 배치된다.
랙(10)은 천장부(14), 바닥부(13), 상측벽부(16), 하측벽부(16) 및 확장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천장부(14)는 랙(10)의 상측 끝단을 형성하는 와이어가 형성하는 평면이다. 바닥부(13)는 랙(10)의 하측 끝단을 형성하는 와이어가 형성하는 평면일 수 있다. 바닥부(13)는 랙(10)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와이어가 형성하는 평면일 수 있다.
하측벽부(16)는 랙(10)의 하측 끝단을 형성하는 와이어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측벽부(16)와 터브(3) 사이에는 롤러(5)가 배치된다. 하측벽부(16)는 롤러(5)가 배치될 수 있도록 터브(3)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롤러(5)는 랙(10)이 터브(3) 내에서 전후로 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롤러(5)는 랙(10)의 측벽과 터브(3)의 측벽 사이에 배치된다. 롤러(5)는 하측벽부(1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측벽부(16)와 바닥부(13)는 하부 식기수용공간(S2)을 형성한다. 상측벽부(16)는 하측벽부(16)보다 터브(3)의 측벽과 가깝게 배치된다. 상측벽부(16)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벽부(16)와 하측벽부(16)는 하나의 와이어를 절곡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측벽부(16)는 하측벽부(16)를 형성하는 와이어를 상측으로 연장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측벽부(16)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하측벽부(16)를 형성하는 와이어보다 내부면적이 넓도록 형성된다. 상측벽부(16)와 하측벽부(16)는 확장부(18)와 연결된다.
확장부(18)는 하측벽부(16)의 상측에 배치된다. 확장부(18)는 상측벽부(16)의 하측에 배치된다. 확장부(18)는 터브(3)의 측벽을 향해 기울어져 배치된다. 확장부(18)의 상측은 하측보다 터브(3)의 측벽과 근접하게 배치된다.
랙(10)은 식기수용공간(S)을 형성한다. 식기수용공간(S)은 하부 식기수용공간(S2)과 상부 식기수용공간(S1)을 포함한다. 상부 식기수용공간(S1)은 확장부(18)의 하측과 천장부(14) 사이에 형성된다. 하부 식기수용공간(S2)은 확장부(18)의 하측과 바닥부(13)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20)는 회전축(20a)을 형성하는 걸림부(21)를 포함하고, 걸림부(21)는 랙(10)의 측벽으로 삽입되도록 랙(10)의 측벽을 형성하는 와이어들의 간격보다 길이가 짧도록 형성된다.
받침대(20)는 걸림부(21)를 포함한다. 받침대(20)는 피벗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받침대(20)의 회전축(20a)은 일측 끝단에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1)는 받침대(20)의 회전축(20a)을 형성한다. 걸림부(21)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정 길이의 봉으로 설명한다. 걸림부(21)는 랙(10)의 측벽을 형성하는 와이어 사이로 삽입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랙(10)의 측벽을 형성하는 와이어들은 d의 간격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확장부(18)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d의 간격을 갖는다. 걸림부(21)의 길이는 d보다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확장부(18)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걸림부(21)는 측벽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사이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20)는 식기수용공간(S)에 배치되는 평판부(23); 및 랙(10)을 형성하는 와이어들 사이로 삽입되어 받침대(20)의 회전축(20a)과 연결되는 연결부(25)를 더 포함한다. 받침대(20)는 평판부(23)를 포함한다. 평판부(23)는 식기수용공간(S)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평판부(23)는 식기수용공간(S) 내에서 세워지거나 펼쳐진다.
평판부(23)는 식기수용공간(S) 내에서 눕혀질 수 있다. 평판부(23)는 식기(7)가 올려질 수 있다. 평판부(23)의 상측과 하측에는 식기(7)가 배치될 수 있다. 평판부(23)는 식기(7)를 적층 할 수 있는 선반일 수 있다. 평판부(23)는 식기(7)에 뭍은 세척수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평판부(23)는 식기(7)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평판부(23)는 연결부(25)와 연결된다.
연결부(25)는 와이어들 사이로 삽입된다. 연결부(25)는 받침대(20)의 회전축(20a)과 연결된다. 연결부(25)는 걸림부(21)와 연결된다. 연결부(25), 걸림부(21) 및 평판부(23)는 서로 연결되어 대략 사각형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후술할 힌지부(31)는 사각형의 테두리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각형의 테두리는 평판부(2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사각형의 테두리는 평판부(23)를 브라켓(30)에 고정시킨다. 사각형의 테두리는 평판부(23)를 랙(10)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랙(10)이 터브(3)의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랙(10)의 측벽에 구비된 롤러(5)를 더 포함하고, 랙(10)은 롤러(5)가 장착되도록 터브(3)의 측벽과 이격된 하측벽부(16); 및 하측벽부(16)가 형성하는 하부 식기수용공간(S2)보다 더 넓은 상부 식기수용공간(S1)을 형성하도록 하측벽부(16)보다 터브(3)의 측벽과 근접하게 배치된 상측벽부(16)를 포함하며, 받침대(20)의 회전축(20a)은 하측벽부(16)와 터브(3)의 측벽 사이에 배치된다.
하측벽부(16)와 터브(3) 사이에는 롤러(5)가 배치된다. 하측벽부(16)는 롤러(5)가 배치될 수 있도록 터브(3)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롤러(5)는 랙(10)이 터브(3) 내에서 전후로 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롤러(5)는 랙(10)의 측벽과 터브(3)의 측벽 사이에 배치된다. 롤러(5)는 하측벽부(1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측벽부(16)는 하측벽부(16)보다 터브(3)의 측벽과 가깝게 배치된다. 상측벽부(16)와 하측벽부(16)는 하나의 와이어를 절곡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측벽부(16)는 하측벽부(16)를 형성하는 와이어를 상측으로 연장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측벽부(16)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하측벽부(16)를 형성하는 와이어보다 내부면적이 넓도록 형성된다.
상측벽부(16)와 하측벽부(16)는 확장부(18)와 연결된다. 확장부(18)는 하측벽부(16)의 상측에 배치된다. 확장부(18)는 상측벽부(16)의 하측에 배치된다. 확장부(18)는 터브(3)의 측벽을 향해 기울어져 배치된다. 확장부(18)의 상측은 하측보다 터브(3)의 측벽과 근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20)는 상측벽부(16)와 하측벽부(16) 사이로 삽입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측벽부(16)는 랙(10)의 하측 끝단을 형성하는 와이어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측벽부(16)와 터브(3) 사이에는 롤러(5)가 배치된다. 하측벽부(16)는 롤러(5)가 배치될 수 있도록 터브(3)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측벽부(16)는 하측벽부(16)보다 터브(3)의 측벽과 가깝게 배치된다. 상측벽부(16)와 하측벽부(16)는 하나의 와이어를 절곡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측벽부(16)는 하측벽부(16)를 형성하는 와이어를 상측으로 연장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측벽부(16)를 형성하는 와이어는 하측벽부(16)를 형성하는 와이어보다 내부면적이 넓도록 형성된다. 상측벽부(16)와 하측벽부(16)는 확장부(18)와 연결된다.
확장부(18)는 하측벽부(16)의 상측에 배치된다. 확장부(18)는 상측벽부(16)의 하측에 배치된다. 확장부(18)는 터브(3)의 측벽을 향해 기울어져 배치된다. 확장부(18)의 상측은 하측보다 터브(3)의 측벽과 근접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받침대(20)는 확장부(18)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20)는 확장부(18)를 형성하는 와이어들 사이로 삽입된다. 받침대(20)의 회전축(20a)은 랙(10)을 형성하는 와이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받침대(20)의 회전축(20a)은 확장부(18)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걸림부(21)는 하측벽부(16)와 터브(3)의 측벽 사이에 배치된다. 걸림부(21)는 확장부(18)의 하측에 배치된다. 걸림부(21)는 확장부(18)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걸림부(21)는 랙(10)을 형성하는 와이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의 브라켓(30)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의 브라켓(30)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4의 A-A'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4의 B-B'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의 받침대(20)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랙(10)의 측벽에 장착되어 받침대(20)와 힌지 결합하는 브라켓(30)을 더 포함한다. 브라켓(30)은 랙(10)의 측벽에 장착된다. 브라켓(30)은 후술할 안착부(37)가 랙(10)을 형성하는 와이어에 장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라켓(30)은 받침대(20)의 회전축(20a)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힌지 결합하고 하측으로 이동하면 힌지 결합이 해제되도록 터브(3)의 하측을 향해 개구된 힌지부(31)를 포함한다. 힌지부(31)는 브라켓(30)에 형성된다.
힌지부(31)는 하측이 개구된 고리모양일 수 있다. 힌지부(31)는 걸림부(2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힌지 결합되고, 걸림부(2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힌지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측으로 굽은 고리모양일 수 있다. 브라켓(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부(31)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30)은 둘 이상의 힌지부(31)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라켓(3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부(33)를 포함하고, 수직부(33)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3a)과 가이드홈(33a)의 상측 폭을 넓게 확장시킨 확장홈(33b)이 형성된다.
브라켓(30)은 받침대(2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부(33)를 포함한다. 수직부(3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몸통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35)는 수직부(33), 힌지부(31), 안착부(37), 가압부(38)등이 배치될 수 있다. 몸통부(35)는 기다란 막대기 형상일 수 있다. 수직부(33)는 기다란 막대기 형상일 수 있다. 몸통부(35)는 평판부(23)가 세워질 때 평판부(23)가 터브(3)의 측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몸통부(35)는 후술할 안착부(37) 및 집게부(39)에 장착된 와이어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몸통부(35)와 와이어 사이로 연결부(25)가 삽입된다. 몸통부(35)는 와이어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몸통부(35)는 터브(3)의 측벽을 향해 배치된다. 몸통부(35)는 리브(36)를 포함할 수있다.
리브(36)는 몸통부(35)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리브(36)는 터브(3)의 측벽을 향해 돌출 배치된다. 리브(36)는 랙(1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수직부(33)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33a)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메인 돌기(27) 및 서브 돌기(29)는 가이드홈(33a)에 삽입된다 메인 돌기(27) 및 서브 돌기(29)는 확장홈(33b)을 통해 가이드홈(33a)으로 이동 및 탈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20)는 받침대(20)의 회전축(20a)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홈(33a)에 끼워지는 메인 돌기(27)가 형성된다. 메인 돌기(27)는 회전축(20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메인 돌기(27)는 가이드홈(33a)에 삽입된다. 메인 돌기(27)는 받침대(20)가 브라켓(30)에 장착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홈(33a)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20)는 가이드홈(33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받침대(20)의 회전축(20a)으로부터 반경방향에 형성된 서브 돌기(29)를 더 포함하고, 서브 돌기(29)는 확장홈(33b)을 통해 가이드홈(33a)으로 삽입 및 탈거된다. 메인 돌기(27)의 상측에는 서브 돌기(29)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돌기(27) 및 서브 돌기(29)는 연결부(25)에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돌기(29)는 메인 돌기(27)보다 길이가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돌기(29)는 받침대(20)가 식기수용공간(S)으로 눕혀지면 가이드홈(33a)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가이드홈(33a)의 상측 끝단은 서브 돌기(29)가 탈거될 수 있도록 확장홈(33b)이 형성된다. 서브 돌기(29)는 확장홈(33b)을 통해 브라켓(3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확장홈(33b)은 서브 돌기(29) 및 메인 돌기(27)가 가이드홈(33a)으로 유입되도록 비교적 넓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라켓(30)은 랙(10)을 형성하는 와이어에 걸려 브라켓(30)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도록 랙(10)을 향해 돌출된 후크모양의 안착부(37)를 포함한다.
안착부(37)는 브라켓(30)에 형성된다. 안착부(37)는 상측이 개구된 고리모양일 수 있다. 브라켓(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착부(37)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30)은 둘 이상의 안착부(37)를 갖는다. 랙(10)은 상기 안착부(37)에 삽입되는 고정 와이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와이어(11)는 랙(1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고정 와이어(11)는 랙(10)의 측벽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와이어(11)는 하측벽부(16)에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정 와이어(11)는 브라켓(30)이 롤러(5)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확장부(18)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라켓(30)은 후크부의 반대편에서 후크부에 걸린 와이어를 가압하도록 돌출된 가압부(38)를 더 포함한다. 가압부(38)는 고정 와이어(11)를 가압한다.
가압부(38)는 안착부(37)를 향하여 고정 와이어(11)를 가압한다. 가압부(38)와 안착부(37)는 고정 와이어(11)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고정 와이어(11)의 상측에는 가압부(38)가 배치되고, 고정 와이어(11)의 하측에는 안착부(37)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라켓(30)은 랙(10)을 형성하는 와이어와 장착되어 브라켓(30)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도록 집게모양으로 형성된 집게부(39)를 더 포함한다. 집게부(39)는 수직부(33)에 배치된다. 집게부(39)는 식기수용공간(S)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 집게부(39)는 수직부(33)가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집게부(39)는 하측벽부(17)을 형성하는 와이어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집게부(39)는 하측벽부(17)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와이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식기(7)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3); 터브(3) 내부에서 식기수용공간(S)을 형성하고 식기수용공간(S)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천장부(14)가 식기수용공간(S)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3)보다 넓도록 상측이 하측보다 좌우로 확장된 랙(10); 상측은 천장부(14)를 향해 세워지고 하측은 바닥부(13)와 마주하지 않도록 랙(10)의 측벽에 배치된 받침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식기(7)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3); 터브(3)에 배치되고 식기수용공간(S)이 형성된 랙(10); 및 식기수용공간(S)에 눕혀지고 단부가 랙(10)을 형성하는 와이어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된 받침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받침대(20)를 지지하고, 받침대(20)의 회전축(20a)이 랙(10)의 측벽을 형성하는 와이어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랙(10)에 장착된 브라켓(30)을 더 포함한다. 브라켓(30)은 받침대(20)를 지지한다. 브라켓(30)은 랙(10)을 형성하는 와이어에 장착된다. 브라켓(30)은 받침대(20)의 회전축(20a)을 랙(1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20)는 랙(10)을 형성하는 와이어들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이빨 모양으로 돌출 형성된다. 받침대(20)는 일측이 이빨 모양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빨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의 끝단은 회전축(20a)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빨 모양으로 돌출된 부분의 폭은 d보다 좁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3); 식기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터브(3)에 배치되는 랙(10); 식기가 올려지도록 식기수용공간(S)을 향해 눕혀지고, 세워지면 랙(10)을 형성하는 와이어 사이로 삽입되는 받침대(20); 및 랙(10)에 장착되고, 받침대(20)가 상하이동하면 받침대(20)의 회전축(20a)과 선택적으로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3); 식기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터브(3)에 배치되는 랙(10); 및 식기가 올려질 수 있도록 식기수용공간(S)에 눕혀지고, 세워지면 눕혀졌을때 보다 식기수용공간(S)내에 배치되는 면적이 줄어들도록 랙(10)을 형성하는 와이어 사이로 삽입되어 하측으로 이동하는 받침대(2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랙(10)에 세척을 원하는 식기(7)를 수용한다. 사용자는 식기(7)의 양이 많지 않거나 세척하려는 식기(7)의 높이가 비교적 높다면 굳이 받침대(20)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받침대(20)를 랙(10)의 측벽에 세워둔다. 우선 식기(7)세척공간을 향해 눕혀진 받침대(20)를 랙(10)의 측벽을 향해 세운다. 다음으로 받침대(20)를 수직하강 시켜 받침대(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받침대(20)는 랙(10)의 측벽과 몸통부(35)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하측으로 이동해서 측면으로 쓰러지지 않는다. 또한 수직부(33)에는 가이드홈(33a)이 형성되고 메인 돌기(27)와 서브 돌기(29)는 확장홈(33b)을 통해 가이드홈(33a)에 끼워지므로 수직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받침대(20)를 랙(10)의 측벽에 삽입시켜 세우면, 회전축(20a)이 랙(1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식기수용공간(S)을 침범하는 영역이 최소화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받침대(20)는 상부 식기수용공간(S1)만 침범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대(20)는 하부 식기수용공간(S2)을 침범하지 않게 된다.
한편, 랙(10)에 수용하려는 식기(7)의 양이 많은 경우, 사용자는 높이가 낮은 식기(7)를 랙(10)의 측벽에 배치한다. 그 후 세워진 상태의 받침대(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메인 돌기(27)와 서브 돌기(29)는 가이드홈(33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고, 일정 높이에 다다르면 서브 돌기(29)는 확장홈(33b)을 통해 상측으로 이탈된다. 또한, 걸림부(21)는 힌지부(31)에 고정된다. 걸림부(21)와 힌지부(31)가 힌지 결합되면 받침대(20)는 피벗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식기(7) 위로 받침대(20)를 눕힌 후, 받침대(20) 위에 다른 식기(7)를 올려둘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받침대(20)의 걸림부(21)는 항상 랙(10)의 외측에 배치되게 되므로 받침대(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식기수용공간(S)을 최대화 할 수 있게된다. 또한, 받침대(20)의 상하이동시 식기(7)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되므로, 기존과 같이 받침대(20)를 눕힌 후 식기(7)를 받침대(20)의 상하로 배치할 필요가 없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식기세척기 3: 터브
5: 롤러 7: 식기
10: 랙 11: 고정 와이어
13: 바닥부 14: 천장부
16: 상측벽부 17: 하측벽부
18: 확장부 20: 받침대
20a: 회전축 21: 걸림부
23: 평판부 25: 연결부
27: 메인 돌기 29: 서브 돌기
30: 브라켓 31: 힌지부
33: 수직부 33a: 가이드홈
33b: 확장홈 35: 몸통부
36: 리브 37: 안착부
38: 가압부 39: 집게부
S: 식기 수용공간 S1: 상부 식기수용공간
S2: 하부 식기수용공간

Claims (22)

  1.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식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에 배치되는 랙; 및
    식기가 올려지도록 상기 식기수용공간을 향해 눕혀지고 회전축이 상기 식기수용공간의 외부에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부가 하부보다 식기수용공간이 넓도록 측벽을 형성하는 와이어를 상기 터브를 향해 절곡시킨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은 상기 확장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랙의 측벽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랙의 측벽을 형성하는 와이어들의 간격보다 길이가 짧도록 형성된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식기수용공간에 배치되는 평판부; 및
    상기 랙을 형성하는 와이어들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이 상기 터브의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랙의 측벽에 구비된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롤러가 장착되도록 상기 터브의 측벽과 이격된 하측벽부; 및
    상기 하측벽부가 형성하는 하부 식기수용공간보다 더 넓은 상부 식기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측벽부보다 상기 터브의 측벽과 근접하게 배치된 상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은 상기 하측벽부와 상기 터브의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상측벽부와 상기 하측벽부 사이로 삽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하측벽부와 상기 상측벽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터브의 측벽을 향해 기울어진 확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확장부의 상측을 향해 세워지는 식기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확장부를 형성하는 와이어들 사이로 삽입되는 식기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측벽에 장착되어 상기 받침대와 힌지 결합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힌지 결합되고 하측으로 이동하면 힌지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터브의 하측을 향해 개구된 힌지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상측 폭을 넓게 확장시킨 확장홈이 형성된 식기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메인 돌기가 형성된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에 형성된 서브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돌기는 상기 확장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홈으로 삽입 되는 식기세척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랙을 형성하는 와이어에 걸려 상기 브라켓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랙을 향해 돌출된 후크모양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후크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후크부에 걸린 와이어를 가압하도록 돌출된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랙을 형성하는 와이어와 장착되어 상기 브라켓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도록 집게모양으로 형성된 집게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고,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이 상기 랙의 측벽을 형성하는 와이어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랙에 장착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랙을 형성하는 와이어들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이빨모양으로 돌출 형성된 식기세척기.
  19.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서 식기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식기수용공간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천장부가 상기 식기수용공간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보다 넓도록 상측이 하측보다 좌우로 확장된 랙;
    상측은 상기 천장부를 향해 세워지고 하측은 상기 바닥부와 마주하지 않도록 상기 랙의 측벽에 배치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0.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배치되고 식기수용공간이 형성된 랙; 및
    상기 식기수용공간에 눕혀지고 단부가 상기 랙을 형성하는 와이어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1.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식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에 배치되는 랙;
    식기가 올려지도록 상기 식기수용공간을 향해 눕혀지고, 세워지면 상기 랙을 형성하는 와이어 사이로 삽입되는 받침대; 및
    상기 랙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가 상하이동하면 상기 받침대의 회전축과 선택적으로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2.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식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에 배치되는 랙; 및
    식기가 올려질 수 있도록 상기 식기수용공간에 눕혀지고, 세워지면 눕혀졌을때 보다 상기 식기수용공간내에 배치되는 면적이 줄어들도록 상기 랙을 형성하는 와이어 사이로 삽입되어 하측으로 이동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30030473A 2013-03-21 2013-03-21 식기세척기 KR102001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73A KR102001912B1 (ko) 2013-03-21 2013-03-21 식기세척기
AU2014201663A AU2014201663B2 (en) 2013-03-21 2014-03-19 Dishwasher
EP14160819.0A EP2792291B1 (en) 2013-03-21 2014-03-20 Dishwasher
CN201410106996.4A CN104055474B (zh) 2013-03-21 2014-03-21 洗碗机
US14/221,508 US9131828B2 (en) 2013-03-21 2014-03-21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73A KR102001912B1 (ko) 2013-03-21 2013-03-21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653A true KR20140115653A (ko) 2014-10-01
KR102001912B1 KR102001912B1 (ko) 2019-07-19

Family

ID=5033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473A KR102001912B1 (ko) 2013-03-21 2013-03-21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31828B2 (ko)
EP (1) EP2792291B1 (ko)
KR (1) KR102001912B1 (ko)
CN (1) CN104055474B (ko)
AU (1) AU2014201663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8642B1 (en) * 2014-09-01 2018-05-3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upport assembly
USD762019S1 (en) * 2015-04-27 2016-07-19 Whirlpool Corporation Dish rack
CN104905753A (zh) * 2015-05-29 2015-09-16 长兴晨怡电子器材有限公司 水槽碗碟架
USD809220S1 (en) * 2015-12-03 2018-01-30 DePuy Synthes Products, Inc. Washer basket
CN106963319B (zh) * 2016-01-13 2019-10-11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搁架
US10426315B2 (en) * 2017-02-21 2019-10-01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US10405731B2 (en) 2017-09-07 2019-09-10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Specialty dishwasher for glasses and lower rack for same
CN108542331A (zh) * 2018-06-14 2018-09-1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杯托组件、碗篮组件和洗涤电器
DE102019220277B3 (de) * 2019-12-19 2021-01-14 BSH Hausgeräte GmbH Spülgutaufnahme
US11006814B1 (en) * 2020-06-04 2021-05-1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Stemware support/cup shelf for dishwasher
US11786104B2 (en) * 2022-03-18 2023-10-1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movable rack accessor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D1022357S1 (en) * 2022-11-10 2024-04-09 Whirlpool Corporation Cup shelf for dishr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670A (ja) * 1999-12-27 2001-07-03 Rinnai Corp 食器洗浄機用食器カゴ
KR20080044077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KR20080044079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EP1475030B1 (en) * 2003-05-09 2008-09-10 CANDY S.p.A. Dish-holder support for dishwasher rack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4728A (en) * 1974-10-15 1976-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EP1275336A1 (en) * 2001-07-11 2003-01-15 Bonferraro S.p.A. Dishwasher rack with tip-up shelves provided with pull-out cutlery grids
DE10347765A1 (de) * 2003-10-14 2005-05-12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Geschirrkorb mit höhenverstellbaren Ablagen
US7665475B2 (en) * 2004-06-02 2010-02-23 Maytag Corporation Utility shelf for a dishwasher dish rack
US7909181B2 (en) * 2005-08-17 2011-03-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rticle holders
US20070039904A1 (en) * 2005-08-18 2007-02-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Brackets for supporting article holders
DE202007013640U1 (de) * 2007-09-28 2009-02-12 Paul Hettich Gmbh & Co. Kg Möbelauszugsführung
US7766175B2 (en) * 2007-11-09 2010-08-0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helf accessory for a dishwasher rack
ATE498350T1 (de) * 2007-12-31 2011-03-15 Arcelik As Höhenverstellbares gestell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PL2326237T3 (pl) * 2008-07-30 2016-11-30 Zmywarka do naczyń z szufladą przymocowaną do górnej ścianki komory
KR20100037460A (ko) * 2008-10-01 201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US8701898B2 (en) * 2008-11-28 2014-04-22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Adjustable shelf assembly and appliances incorporating the adjustable shelf assembly
DE102009002270A1 (de) * 2009-04-07 2010-10-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PL2377455T3 (pl) * 2010-04-14 2013-10-31 Miele & Cie Wkład do kosza zmywarki
DE102011003657B4 (de) * 2011-02-04 2024-01-11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ablagesystem für einen Geschirrkorb einer Geschirrspülmaschine
TR201106334A1 (tr) * 2011-06-27 2013-01-21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bulaşık makinas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670A (ja) * 1999-12-27 2001-07-03 Rinnai Corp 食器洗浄機用食器カゴ
EP1475030B1 (en) * 2003-05-09 2008-09-10 CANDY S.p.A. Dish-holder support for dishwasher rack
KR20080044077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KR20080044079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01663B2 (en) 2015-11-19
US20140285077A1 (en) 2014-09-25
CN104055474A (zh) 2014-09-24
AU2014201663A1 (en) 2014-10-09
US9131828B2 (en) 2015-09-15
EP2792291A2 (en) 2014-10-22
CN104055474B (zh) 2017-03-01
EP2792291A3 (en) 2014-12-31
KR102001912B1 (ko) 2019-07-19
EP2792291B1 (en)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912B1 (ko) 식기세척기
US8104628B2 (en) Dishwasher rack having slidably coupled tine holder and tine rack
US8714371B2 (en) Dishwasher basket with a cup support
US7694844B2 (en) Spoon basket structure of dish washer
CN110464282B (zh) 洗碗机
US10080478B2 (en) Rack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US20080110480A1 (en) Dishwasher having rack assembly with movable shelves
KR102021823B1 (ko) 식기세척기
KR20060135617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랙을 구비한 식기 바스켓
US20060254627A1 (en) Dishwasher with utensil basket
KR20200055460A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2641374B1 (ko) 식기세척기
KR20080044080A (ko)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JP4123367B2 (ja) 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KR20090024004A (ko) 식기 세척기
KR200386351Y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1935489B1 (ko) 식기 건조판
WO2015101881A1 (en) Dishwasher and corresponding rack accessory
KR20120107222A (ko) 식기세척기
KR20070008808A (ko) 식기 세척기
KR20070008813A (ko) 식기 세척기
JPH07265254A (ja) 食器洗い機用食器かご
CN110604526A (zh) 一种碗篮及洗碗机
CN108968878A (zh) 一种洗碗机用果蔬清洗篮及洗碗机
KR20120107224A (ko) 식기세척기의 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