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063A -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063A
KR20080044063A KR1020060112880A KR20060112880A KR20080044063A KR 20080044063 A KR20080044063 A KR 20080044063A KR 1020060112880 A KR1020060112880 A KR 1020060112880A KR 20060112880 A KR20060112880 A KR 20060112880A KR 20080044063 A KR20080044063 A KR 2008004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dielectric composition
colo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원
오진목
문원석
이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4063A/ko
Publication of KR2008004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metallic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그리고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를 포함하는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광의 반사율을 낮추어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고선명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모상유리분말이 되는 유전체 조성물에 Pb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 규제로부터 자유롭고, 상기 유전체 조성물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용하면 컬러필터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PDP, 유전체, 페이스트, 조성물, 격벽

Description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방법{DIELECTRIC COMPOSITION AND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을 이용한 투명 유전체의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1 : 제 1 기판(상부) 2, 12 : 제 2 기판(하부)
3, 13 : 격벽 4, 14 : 제 2 유전체(하부)
5, 15 : 형광체 6, 16 : 제 1 유전체(상부)
7, 17 : 보호층 9, 19 : 서스테인 전극쌍
X, X1 : 어드레스 전극
본 발명은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할 가장 높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평판표시소자로 부상하는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Plasma Display Panel)은 격벽으로 구획된 방전셀(cell)에서 통상 He+Xe, Ne+Xe,He+Xe+N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방전할 때 발생하는 147nm의 진공자외선이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박막화와 대형화가 용이하여 대면적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주목받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전극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은 상부 유리기판(1) 상에 형성되어진 서스테인 전극쌍(9)과, 서스테인 전극쌍(9) 위에 형성된 상부 유전체(6)와, 상부 유전체(6) 상에 형성된 보호막(7)과, 하부기판(2) 상에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X)과, 어드레스 전극(X) 위에 형성된 하부 유전체(4)와, 하부 유전체(4) 위에 형성된 격벽(3)을 구비한다.
서스테인 전극쌍(9) 각각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ITO) 등의 투명전극(9a)과, 투명전극(9a)의 선폭보다 작은 선폭을 가지며, 투명전극(9a)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금속버스전극(9b)을 포함한다. 금속버스전극(9b)은 Cr/Cu/Cr을 증착법으로 적층한 후에 에싱공정(ashing)을 거쳐 형성된다. 서스테인 전극쌍(9)이 스크린인쇄나 진공증착법으로 형성된 상부기판(1)에는 상부 유전체(6)과 보호막(7)이 적층된다. 상부 유전체(6)에는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벽전하가 축적되어 방전을 유지시키며, 플라즈마 방전시 이온의 스퍼터링의 확산방지막의 역할을 함으로써 이온 스퍼터링으로 인한 서스테인 전극쌍(9)의 전극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보호층(7)은 대략 5000 Å 정도의 두께로 상부 유전체층(6) 상에 형성되어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스퍼터링으로 인한 상부 유전체층(6)과 서스테인 전극쌍(9)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2차 전자의 방출 효율을 높이게 된다. 보호층(7) 으로는 통상 산화마그네슘(MgO)이 이용된다.
어드레스 전극(X)이 형성된 하부기판(2) 상에는 하부 유전체(4), 격벽(3)이 형성되며, 하부 유전체(4)와 격벽(3)의 표면에는 스크린 프린팅공정으로 형광체(5)가 형성된다. 형광체(5)는 방전셀에 주입된 혼합가스의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진공자외선(VUV)에 의해 여기되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가시광선을 발생하게 된다. 어드레스 전극(2)은 서스테인 전극쌍(9)과 교차하게 형성된다. 격벽(3)은 스크린 프린팅공정이나 금형법 등으로 형성된다. 이 격벽(3)은 벽전하를 형성함으로써 방전을 유지함과 아울러 형광체(5)로부터 발광된 가시광을 반사시키는 등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격벽(3)은 셀 간의 전기적, 광학적 상호혼신(cross talk)를 방지함으로써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 및 가시광이 인접한 방전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유전체(4)는 형광체(5)로부터 후방으로 방사되는 가시광을 재반사시킴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고 격벽(3)의 기반층 역할을 한다. 이와 동시에 하부 유전체(4)는 어드레스 전극(X)을 구성하는 전극재료가 형광체(5)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산방지막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부 유전체(6)를 형성하는 방법은 Pb를 약 60wt%이상 함유하는 1~2㎛ 크기의 입격인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 유리분말에 20~30wt%의 유기바인더를 혼합하여 약 40,000 cps의 점도를 갖도록 한 후,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서스테인 전극쌍(9)이 형성된 상부 유리기판(1)에 전면 도포하고 550~580℃의 온도에서 소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6)의 유전율은 14~16 범위의 값을 갖게 되며, 중심파장인 550nm에서 약 70%의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광투과율을 나타내게 된다. 하부 유전체(4)와 격벽(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PbO를 약 60wt%이상 함유하는 모상유리분말에 수십wt%의 TiO2, Al2O3와 같은 미분말 상태의 산화물을 혼합하고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약 40,000cps 정도의 점도를 갖는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페이스트가 제조된 후,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어드레스 전극(X)이 형성된 하부 유리기판(2) 상에 20~25㎛의 두께로 전면 도포하고 550~600℃의 온도에서 산화분위기로 소성하면 하부 유전체(4)가 형성된다. 이 후, 하부 유전체(4) 상에 다시 페이스트를 120~200㎛의 두께로 전면 도포하고 스크린 프린팅, 샌드 블라스팅, 금형법 등을 통해 격벽패턴을 형성한 후 소성하면 격벽(3)이 형성된다. 여기서, 미분말 상태의 산화물은 격벽(3) 및 하부 유전체(4)의 반사특성을 향상시키고 유전율을 조절하며 내충격성을 확보하게 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으로서 PD-200의 고왜점 유리가 사용되고 있지만 소다-라임 유리(Soda-Lime Glass)의 사용이 적극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왜냐하면, 소다-라임 유리가 PD-200에 비해 약 1/6 배로 저렴하기 때문에 단가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다-라임 유리 기판의 사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상부기판 상에 형성되는 유전층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납(Pb)을 함유한 재료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Pb으로 인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Pb 을 함유한 재료에 대한 규제가 나날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로서 Pb 함유 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그 대표적인 것으로 비스무스(Bi)계 유전체 조성물 및 아연(Zn)계 유전체 조성물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Bi계 유전체 조성물은 그 정도에 차이는 있으나 그 역시도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단가가 높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Zn계 유전체 조성물은 환경오염으로부터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Bi계 유전체 조성물에 비해 50% 정도의 가격 이점이 있기 때문에 Bi계 유전체 조성물에 비해 그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단, Zn계 유전체 조성물은 유리화 온도가 높기 때문에 소다-라임 유리 기판을 사용할 경우 유전체 소성 조건에 맞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단가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으로 주로 사용될 소다-라임 유리기판은 약 550℃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열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후속의 공정에서 그 이상의 온도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Zn계 유전체 조성물은 유리화 온도가 550℃를 넘기 때문에, 유전층 형성을 위해 필수적으로 수행되는 소성 공정에 필요한 온도, 즉 소성온도가 550℃보다 높을 것이 요구되었고, 이와 같은 높은 소성온도로 인하여 소성 공정 중 소다-라임 유리기판의 열변형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소성온도로 제조할 수 있는 유전체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Pb을 함유하지 않아 환경오염으로부터 자유롭고, 저렴한 단가로 제조할 수 있는 유전체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컬러필터 기능과 색온도 보정 기능의 유전체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을 향상시키도록 한 유전체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은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그리고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유전체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제 2 유전체가 형성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유전체 및 격벽은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 그리고 유기 바인더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은 제 1 전극, 제 1 유전체를 갖는 제 1 기판과, 제 2 전극, 제 2 유전체 및 격벽을 갖는 제 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 유전체 조성물과 비히클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페이스트를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페이스트를 소성하여 상기 제 1, 2 유전체 및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냈으며, 도면에 나타난 각 층간의 두께 비가 실제 두께 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한편,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형성 또는 위치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형성되어 직접 접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을 이용한 투명 유전체의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투명 유전체나 격벽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611㎚의 적색(R) 광, 525㎚의 녹색(G) 광, 454㎚의 청색(B) 광은 80%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내고 있고, 585㎚의 오렌지 광은 50% 이하로 차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에 의한 형광체의 발광시, 상기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가스 중 Ne에 의해 585㎚의 파장을 갖는 오렌지 광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필요한 오렌지 광의 발광과 외부광에 의한 반사로 인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고, 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다-라임 유리(soda-lime glass)에 적용 가능한 특성(저온소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ZnO가 무연 유전체가 방전시 Ne에 의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오렌지 광을 제거하여, 적색(R), 녹색(G), 청색(B) 형광체의 스펙트럼을 최적화하고, 외부광에 의한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사용중인 적색(R), 녹색(G), 청색(B) 형광체를 선택적으로 투과하고, 585nm의 오렌지광을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 Nd2O3를 Zn계 무연 유전체 유리성분에 포함시켜, 투명 유전체와 컬러필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무연 투명 유전체 재료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색(R), 녹색(G) 형광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청색(B) 형광체의 효율이 낮아짐으로써, 색온도가 약 5000K(켈빈) 전후로 낮아지게 된다. 상기 색온도는 모든 색의 표현에 있어서 이 적색(R), 녹색(G), 청색(B) 3원색간의 배합비율과 관련된 문제로, 날씨를 기준으로 색온도를 설명하자면, 맑은날 기준으로 색온도는 대략 6000K 전후이고 구름이 낀 흐린 날씨의 색온도는 대략 5000K 전후이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낮은 색온도 값을 보상하기 위해 적색(R), 녹색(G), 청색(B)의 입력신호를 조절하거나, 또는 하부기판(제 2 기판)의 격벽 구조를 비대칭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전면필터에 R, G의 투과율을 저하시킴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감소를 감수하게 하여 색온도를 보상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부기판(제 1 기판), 하부기판(제 2 기판) 및 격벽에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을 이용하면, 상기 유전체 조성물 중의 Nd2O3 성분에 의해 컬러필터의 역할뿐만 아니라 Co계 산화물(CoO, Co3O4, Co2O3 등) 성분에 의한 적색(R), 녹색(G)의 투과율을 청색(B)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하부기판(제 2 기판)의 격벽 구조 변경 혹은 전면필터 내의 유전체에 의한 투과율 감소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상부기판(제 1 기판)의 유전체에 이러한 기능을 추가로 포함시킴으로써 공정의 단순화 및 기존 방법에서 발생하는 휘도의 감소를 획기적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 순도 및 색 좌표 개선에도 큰 효과가 있다.
전술한 효과가 있는 유전체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세히 살펴보면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이하, 제 1 기판은 투명전극과 버스전극으로 구성된 유지전극쌍과 상부 유전체층 및 보호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기판이고, 제 2 기판은 유지전극쌍과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어드레스 전극과 하부 유전체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기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 1 기판에 구비된 전극, 유전체는 제 1 전극, 제 1 유전체라 하고, 제 2 기판에 구비된 전극, 유전체는 마찬가지로, 제 2 전극, 제 2 유전체라 명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컬러필터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유전체인 제 1 유전체(16)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유전체(16)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ZnO,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그리고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런트는 Nd2O3,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고, 상기 R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며, 상기 R2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La2O, Bi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 조성물의 조성비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06083613067-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유전체인 제 1 유전체(16)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1 기판(11) 상에 전면 도포되고,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제 1 유전체(16)가 완성된다.
상기 유전체 페이스트는 70∼90wt%의 분말 상태인 유전체 조성물과 10∼30wt%의 비히클이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비히클은 분말들의 혼합이나 인쇄를 돕기 위해 0∼15wt% 바인더, 0∼80wt%의 용제, 0∼5wt%의 분산제 등이 혼합된다.
여기서, 30∼50wt%로 첨가되는 상기 ZnO는 유리화 형성능력을 증가시키면서 열팽창 계수와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방전가스 중 Ne의 방전으로 발생한 오렌지 광을 흡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0~45wt%로 첨가되는 X(colorant)는 Nd2O3,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물로서 청색으로 발색되는 기능과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컬러런트는 외부광을 흡수하거나 차단하여 외부광의 반사율을 저하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컨트라스트를 증가시키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온도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1∼40wt% 또는 0∼45wt%로 첨가되는 알칼리 산화물인 RO, R2O는 알칼리토류로서 망목수식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량 첨가되면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과량 함유하게 되게 되면 실투를 유발하게 되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20∼40wt%로 첨가되는 B2O3는 일반적으로 고상반응의 촉진을 위한 플럭스로서 첨가되지만, 유리형성능력을 향상시켜 유리화 온도를 향상시키는 단점이 있으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컬러필터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유전체인 격벽(13)을 구비한다. 상기 격벽(13)에 이용하는 유전체 조성물은 ZnO,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그리고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런트는 Nd2O3,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고, 상기 R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며, 상기 R2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La2O, Bi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 조성물의 조성비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06083613067-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인 격벽(13)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2 기판(12) 상에 전면 도포되고 패터닝된 후,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격벽(13)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13)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고온안정화 세라믹 충진제인 10~30wt%의 Al2O3, 충진제인 동시에 고굴절률 재료인 10∼20wt%의 TiO2가 더 혼합된다.
상기 유전체 페이스트는 70∼90wt%의 분말 상태인 유전체 조성물과 10∼30wt%의 비히클이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비히클은 분말들의 혼합이나 인쇄를 돕기 위해 0∼15wt% 바인더, 0∼80wt%의 용제, 0∼5wt%의 분산제 등이 혼합된다.
여기서, 30∼50wt%로 첨가되는 ZnO는 유리화 형성능력을 증가시키면서 열팽창 계수와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방전가스 중 Ne의 방전으로 발생한 오렌지 광을 흡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0~45wt%로 첨가되는 X(colorant)는 Nd2O3, CoO, Co2O, Co2O3,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또는 CoO, Co3O4, Co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희토류 원소계의 첨가물로서 청색으로 발색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컬러런트는 외부광을 흡수하거나 차단하여 외부광의 반사율을 저하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컨트라스트를 증가시키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온도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1∼40wt% 또는 0∼45wt%로 첨가되는 알칼리 산화물인 RO, R2O는 알칼리토류로서 망목수식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량 첨가되면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과량 함유하게 되게 되면 실투를 유발하게 되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20∼40wt%로 첨가되는 B2O3는 일반적으로 고상반응의 촉진을 위한 플럭스로서 첨가되지만, 유리형성능력을 향상시켜 유리화 온도를 향상시키는 단점이 있으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컬러필터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유전체인 제 2 유전체(14)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유전체인 제 2 유전체(14)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ZnO,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그리고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런트는 Nd2O3,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고, 상기 R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며, 상기 R2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La2O, Bi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 조성물의 조성비는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06083613067-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유전체인 제 2 유전체(14)에 이용되는 조성물은 모상유리분말로서,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2 기판(12) 상에 전면 도포되고,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제 2 유전체(14)가 완성된다.
상기 유전체 페이스트는 70∼90wt%의 분말 상태인 유전체 조성물과 10∼30wt%의 비히클이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비히클은 분말들의 혼합이나 인쇄를 돕기 위해 0∼15wt% 바인더, 0∼80wt%의 용제, 0∼5wt%의 분산제 등이 혼합된다.
또한, 상기 제 2 유전체(16)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고온안정화 세라믹 충진제인 10~30wt%의 Al2O3, 충진제인 동시에 고굴절률 재료인 10∼20wt%의 TiO2가 더 혼합된다.
여기서, 30∼50wt%로 첨가되는 ZnO는 유리화 형성능력을 증가시키면서 열팽창 계수와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방전가스 중 Ne의 방전으로 발생한 오렌지 광을 흡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0~45wt%로 첨가되는 X(colorant)는 Nd2O3,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물로서 청색으로 발색되는 기능과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컬러런트는 외부광을 흡수하거나 차단하여 외부광의 반사율을 저하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컨트라스트를 증가시키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온도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1∼40wt% 또는 0∼45wt%로 첨가되는 알칼리 산화물인 RO, R2O는 알칼리토류로서 망목수식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량 첨가되면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과량 함유하게 되게 되면 실투를 유발하게 되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20∼40wt%로 첨가되는 B2O3는 일반적으로 고상반응의 촉진을 위한 플럭스로서 첨가되지만, 유리형성능력을 향상시켜 유리화 온도를 향상시키는 단점이 있으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컬러필터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유전체인 제 1 유전체(16)와 격벽(13)을 구비한다. 상부 유전체인 상기 제 1 유전체(16)와 격벽(13)의 유전체 조성물은 ZnO,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그리고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런트는 Nd2O3,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고, 상기 R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며, 상기 R2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La2O, Bi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 조성물의 조성비는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06083613067-PAT00004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유전체인 제 1 유전체(16)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1 기판(11) 상에 전면 도포되고,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제 1 유전체(16)가 완성된다.
유전체인 격벽(13)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2 기판(12) 상에 전면 도포되고 패터닝된 후,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격벽(13)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13)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고온안정화 세라믹 충진제인 10~30wt%의 Al2O3, 충진제인 동시에 고굴절률 재료인 10∼20wt%의 TiO2가 더 혼합된다.
여기서, 30∼50wt%로 첨가되는 ZnO는 유리화 형성능력을 증가시키면서 열팽창 계수와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방전가스 중 Ne의 방전으로 발생한 오렌지 광을 흡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0~45wt%로 첨가되는 X(colorant)는 Nd2O3, CoO, Co2O, Co2O3,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물로서 청색으로 발색되는 기능과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컬러런트는 외부광을 흡수하거나 차단하여 외부광의 반사율을 저하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컨트라스트를 증가시키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온도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1∼40wt% 또는 0∼45wt%로 첨가되는 알칼리 산화물인 RO, R2O는 알칼리토류로서 망목수식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량 첨가되면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과량 함유하게 되게 되면 실투를 유발하게 되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20∼40wt%로 첨가되는 B2O3는 일반적으로 고상반응의 촉진을 위한 플럭스로서 첨가되지만, 유리형성능력을 향상시켜 유리화 온도를 향상시키는 단점이 있으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히클 중 분말들의 혼합이나 인쇄를 돕기 위해 0∼80wt%의 용제, 0∼5wt%의 분산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컬러필터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유전체인 제 1 유전체(16)와 제 2 유전체(14)를 구비한다. 상부 유전체인 상기 제 1 유전체(16)와, 하부 유전체인 상기 제 2 유전체(14)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ZnO,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그리고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런트는 Nd2O3,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고, 상기 R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며, 상기 R2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La2O, Bi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 조성물의 조성비는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06083613067-PAT00005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유전체인 제 1 유전체(16)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1 기판(11) 상에 전면 도포되고,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제 1 유전체(16)가 완성된다.
하부 유전체인 제 2 유전체(14)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2 기판(12) 상에 전면 도포되고,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제 2 유전체(16)가 완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유전체(16)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고온안정화 세라믹 충진제인 10~30wt%의 Al2O3, 충진제인 동시에 고굴절률 재료인 10∼20wt%의 TiO2가 더 혼합된다..
여기서, 30∼50wt%로 첨가되는 ZnO는 유리화 형성능력을 증가시키면서 열팽창 계수와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방전가스 중 Ne의 방전으로 발생한 오렌지 광을 흡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0~45wt%로 첨가되는 X(colorant)는 Nd2O3, CoO, Co2O, Co2O3,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물로서 청색으로 발색되는 기능과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컬러런트는 외부광을 흡수하거나 차단하여 외부광의 반사율을 저하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컨트라스트를 증가시키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온도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1∼40wt% 또는 0∼45wt%로 첨가되는 알칼리 산화물인 RO, R2O는 알칼리토류로서 망목수식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량 첨가되면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과량 함유하게 되게 되면 실투를 유발하게 되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20∼40wt%로 첨가되는 B2O3는 일반적으로 고상반응의 촉진을 위한 플럭스로서 첨가되지만, 유리형성능력을 향상시켜 유리화 온도를 향상시키는 단점이 있으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컬러필터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유전체인 제 1 유전체(16), 격벽(13), 및 제 2 유전체(14)를 구비한다. 상부 유전체인 상기 제 1 유전체(16)와, 유전체인 상기 격벽(13)과, 하부 유전체인 상기 제 2 유전체(14)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그리고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런트는 Nd2O3,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고, 상기 R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며, 상기 R2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La2O, Bi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 조성물의 조성비는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06083613067-PAT00006
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유전체인 제 1 유전체(16)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모상유리분말로서,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1 기판(11) 상에 전면 도포되고,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제 1 유전체(16)가 완성된다.
유전체인 격벽(13)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2 기판(12) 상에 전면 도포되고 패터닝된 후,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격벽(13)이 완성된다.
하부 유전체인 제 2 유전체(14)에 이용되는 조성물은 모상유리분말로서,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2 기판(12) 상에 전면 도포되고,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제 2 유전체(14)가 완성된다.
상기 유전체 페이스트는 70∼90wt%의 분말 상태인 유전체 조성물과 10∼30wt%의 비히클이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비히클은 분말들의 혼합이나 인쇄를 돕기 위해 0∼15wt% 바인더, 0∼80wt%의 용제, 0∼5wt%의 분산제 등이 혼합된다.
또한, 상기 격벽(13)과 제 2 유전체(16)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고온안정화 세라믹 충진제인 10~30wt%의 Al2O3, 충진제인 동시에 고굴절률 재료인 10∼20wt%의 TiO2가 더 혼합된다.
여기서, 30∼50wt%로 첨가되는 ZnO는 유리화 형성능력을 증가시키면서 열팽창 계수와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방전가스 중 Ne의 방전으로 발생한 오렌지 광을 흡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0~45wt%로 첨가되는 X(colorant)는 Nd2O3, CoO, Co2O, Co2O3,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물로서 청색으로 발색되는 기능과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컬러런트는 외부광을 흡수하거나 차단하여 외부광의 반사율을 저하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컨트라스트를 증가시키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온도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1∼40wt% 또는 0∼45wt%로 첨가되는 알칼리 산화물인 RO, R2O는 알칼리토류로서 망목수식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량 첨가되면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과량 함유하게 되게 되면 실투를 유발하게 되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20∼40wt%로 첨가되는 B2O3는 일반적으로 고상반응의 촉진을 위한 플럭스로서 첨가되지만, 유리형성능력을 향상시켜 유리화 온도를 향상시키는 단점이 있으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히클 중 분말들의 혼합이나 인쇄를 돕기 위해 0∼80wt%의 용제, 0∼5wt%의 분산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컬러필터의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유전체인 격벽(13)과 제 2 유전체(14)를 구비한다. 유전체인 상기 격벽(13)과, 하부 유전체인 상기 제 2 유전체(14)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ZnO,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그리고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런트는 Nd2O3,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고, 상기 R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며, 상기 R2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La2O, Bi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 조성물의 조성비는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112006083613067-PAT00007
표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인 격벽(13)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2 기판(12) 상에 전면 도포되고 패터닝된 후,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격벽(13)이 완성된다.
하부 유전체인 제 2 유전체(14)에 이용되는 조성물은 모상유리분말로서, 입경 1~1.5㎛인 분말상태로 비히클과 혼합되어 점도 40,000~60,000cps의 유전체 페이스트로 제조된 후, 제 2 기판(12) 상에 전면 도포되고,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되는 공정을 거쳐 제 2 유전체(14)가 완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13)과 제 2 유전체(14)에 이용되는 유전체 조성물은 고온안정화 세라믹 충진제인 10~30wt%의 Al2O3, 충진제인 동시에 고굴절률 재료인 10∼20wt%의 TiO2가 더 혼합된다.
상기 유전체 페이스트는 70∼90wt%의 분말 상태인 유전체 조성물과 10∼30wt%의 비히클이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비히클은 분말들의 혼합이나 인쇄를 돕기 위해 0∼15wt% 바인더, 0∼80wt%의 용제, 0∼5wt%의 분산제 등이 혼합된다.
여기서, 30∼50wt%로 첨가되는 ZnO는 유리화 형성능력을 증가시키면서 열팽창 계수와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방전가스 중 Ne의 방전으로 발생한 오렌지 광을 흡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0~45wt%로 첨가되는 X(colorant)는 Nd2O3, CoO, Co2O, Co2O3,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물로서 청색으로 발색되는 기능과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컬러런트는 외부광을 흡수하거나 차단하여 외부광의 반사율을 저하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컨트라스트를 증가시키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온도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1∼40wt% 또는 0∼45wt%로 첨가되는 알칼리 산화물인 RO, R2O는 알칼리토류로서 망목수식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량 첨가되면 유리화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과량 함유하게 되게 되면 실투를 유발하게 되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20∼40wt%로 첨가되는 B2O3는 일반적으로 고상반응의 촉진을 위한 플럭스로서 첨가되지만, 유리형성능력을 향상시켜 유리화 온도를 향상시키는 단점이 있으므로, 적당량의 조성비를 첨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히클 중 분말들의 혼합이나 인쇄를 돕기 위해 0∼80wt%의 용제, 0∼5wt%의 분산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8∼제 10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Figure 112006083613067-PAT00008
제 8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ZnO, B2O3, RO, SiO2 및 R2O`의 중량비가 47:33:12:5:3이 되도록 각 재료를 혼합한 혼합물에 Nd2O3를 첨가하되,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1/100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였다. 즉, Nd2O3가 전제 조성물에서 차지하는 wt%는 약 1.0wt%이다. 이후의 재료의 혼합물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 9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ZnO, B2O3, RO, SiO2 및 R2O`의 중량비가 46:32:12:5:5가 되도록 각 재료를 혼합한 혼합물에 Nd2O3를 첨가하되,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3/100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였다. 즉, Nd2O3가 전제 조성물에서 차지하는 wt%는 약 2.9wt%이다. 이후의 재료의 혼합물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 10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ZnO, B2O3, RO, SiO2 및 R2O`의 중량비가 34:42:0:11:13이 되도록 각 재료를 혼합한 혼합물에 Nd2O3를 첨가하되,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 대비 5/100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였다. 즉, Nd2O3가 전제 조성물에서 차지하는 wt%는 약 4.8wt%이다. 이후의 재료의 혼합물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 1 전극을 갖는 제 1 기판과, 제 2 전극 및 방전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을 갖는 제 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101)와,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 유전체 조성물과 비히클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102)와, 상기 페이스트를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103)와, 상기 페이스트를 소성하여 상기 제 1, 2 유전체 및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102)는, 먼저, 30∼50wt%의 ZnO, 20∼40wt%의 B2O3, 1~40wt%의 RO 또는 0.5~15wt%의 R2O, 0~45wt% 또는 0~15wt%의 컬러런트를 혼합한다. 이때, 컬러런트는 0~45wt%의 Nd2O3 또는 0~15wt%의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한 유전체 조성물(유리)을 고온에서 용융시킨 후 상온의 물에 침지하거나 건식으로 트윈롤을 사용하여 급냉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고, 필요에 따라 필러(filler)와 혼합하여 건조함으로써, 모상유리분말을 제조한다.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70∼90wt%의 모상유리분말과 10∼30wt%의 비히클을 혼합한다. 여기서, 상기 비히클은 분말들의 혼합이나 인쇄를 돕기 위해 0∼15wt% 바인더, 0∼80wt%의 용제, 0∼5wt%의 분산제 등을 혼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제로는 Alcohol계, Glycol계, Propylene Glycol Ether류, Propylene Glycol Acetate류, Ketone류, BCA, Xylene, Terpineol, Texanol, 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분산제로는 분산효과가 큰 Acryl계 분산제를 주로 사용한다.
상기 페이스트를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104)는 스크린 프린팅, 디스펜싱, 잉크젯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 1, 2 유전체 및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할 수 있는 층의 전면에 도포하여 540℃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상기 제 1, 2 유전체 및 격벽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방법은 단가 면에서 저렴한 소다-라임 유리 기판과 ZnO 유전체 조성물을 같이 사용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Pb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 규제로부터도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방전가스 중 Ne의 방전으로 발생한 오렌지광을 유전체가 흡수하여 PDP의 색순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 광의 반사율을 저하시켜 명실 컨트라스트를 증가시키며, 청색의 휘도를 증가시켜 색온도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구동시 발생하는 근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근적외선으로 인한 전파방해를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그리고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런트는,
    Nd2O3,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2O계 알칼리 재료는,
    BaO, SrO, MgO, La2O, Bi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유전체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조성물은,
    30∼50wt%의 ZnO;
    20∼40wt%의 B2O3;
    1~40wt%의 RO 또는 0.5~15wt%의 R2O; 그리고
    0~45wt% 또는 0~15wt%의 컬러런트를 포함하는 조성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런트는
    0~45wt%의 Nd2O3 또는 0~15wt%의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조성물은,
    결정화 방지를 위해 0∼10wt%의 SiO2 또는 Al2O3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조성물.
  8. 제 1 유전체가 형성된 제 1 기판과,
    제 2 유전체가 형성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유전체 및 격벽은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청색에 비해 적색,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런트는,
    Nd2O3, CoO, Co3O4, Co2O,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유전체 및 격벽은,
    상기 전극을 덮는 30∼50wt%의 ZnO, 20∼40wt%의 B2O3, 1~40wt%의 RO 또는 0.5~15wt%의 R2O, 0~45wt% 또는 0~15wt%의 컬러런트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런트는
    0~45wt%의 Nd2O3 또는 0~15wt%의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유전체 및 격벽은,
    결정화 방지를 위해 0∼10wt%의 SiO2 또는 Al2O3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1 전극, 제 1 유전체를 갖는 제 1 기판과, 제 2 전극, 제 2 유전체 및 격벽을 갖는 제 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ZnO, B2O3, RO계 또는 R2O계 알칼리 재료, 청색에 비해 적색 및 녹색의 투과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컬러런트가 포함된 유전체 조성물과 비히클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페이스트를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페이스트를 소성하여 상기 제 1, 2 유전체 및 격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조성물은,
    30∼50wt%의 ZnO, 20∼40wt%의 B2O3, 1~40wt%의 RO 또는 0.5~15wt%의 R2O, 0~45wt% 또는 0~15wt%의 컬러런트가 포함된 조성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런트는,
    0~45wt%의 Nd2O3 또는 0~15wt%의 CoO, Co2O, Co2O3 , Co3O4, CuO, Cr2O3, MnO, FeO, NiO, CeO2, Er2O3, Pr2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조성물은,
    결정화 방지를 위해 0∼10wt%의 SiO2 또는 Al2O3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는,
    70∼90wt%의 분말 상태인 유전체 조성물과 10∼30wt%의 비히클이 포함된 조성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의 도포는,
    스크린 프린팅, 디스펜싱, 잉크젯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060112880A 2006-11-15 2006-11-15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그 제조방법 KR20080044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880A KR20080044063A (ko) 2006-11-15 2006-11-15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880A KR20080044063A (ko) 2006-11-15 2006-11-15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063A true KR20080044063A (ko) 2008-05-20

Family

ID=3966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880A KR20080044063A (ko) 2006-11-15 2006-11-15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40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3336A (zh) * 2013-10-25 2014-02-05 上海大学 气密密封的密封材料及制备方法、气密密封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3336A (zh) * 2013-10-25 2014-02-05 上海大学 气密密封的密封材料及制备方法、气密密封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980B1 (ko) 전극 피복용 유리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유리페이스트
US6897610B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50242725A1 (en) Glass composition and paste composition suitable for a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JP2006193385A (ja) 電極被覆用ガラス、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前面基板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背面基板
JP433186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5336048A (ja) ガラス組成物、ペースト組成物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0226229A (ja) 誘電体形成材料及び誘電体形成ペースト
US7847483B2 (en) Glass composition and display panel using same
KR1007396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8004193B2 (en) Glass composition and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20080044063A (ko)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그 제조방법
JP201100632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85423A1 (en) Plasma display panel,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related technologies
KR2008008076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078128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2462A (ko)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그 제조방법
KR1007974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8155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 제조방법
US20050017640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4823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081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8076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6027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전체용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115333A1 (en) Dielectric materials for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PDP device
KR20070103986A (ko) 고휘도의 디스플레이용 유전체 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