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512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512A
KR20080043512A KR1020060112159A KR20060112159A KR20080043512A KR 20080043512 A KR20080043512 A KR 20080043512A KR 1020060112159 A KR1020060112159 A KR 1020060112159A KR 20060112159 A KR20060112159 A KR 20060112159A KR 20080043512 A KR20080043512 A KR 20080043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oun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177B1 (ko
Inventor
정선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1352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4351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177B1/ko
Priority to CN2007101860490A priority patent/CN101184295B/zh
Priority to US11/939,526 priority patent/US7848785B2/en
Priority to EP07120675A priority patent/EP1924060A1/en
Publication of KR2008004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설치되는 마이크와 음향안내구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각종 전기부품들이 설치되는 회로부와, 상기 회로부에 설치되며, 음향이 입력되는 마이크와, 외부의 음향을 상기 마이크로 안내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음향안내구 및,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와 상기 음향안내구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메우도록 제공되는 방음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단말기, 마이크, 방음부재, 음샘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음부재 적용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음부재가 적용된 키패드의 평면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하측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가 설치된 회로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음부재가 적용된 키패드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마이크에 방음부재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부 102 : 케이스
104 : 송화구 110 : 회로부
112 : 제2 홀 120 : 마이크
130 : 음향안내구 140 : 방음부재
142 : 제1 홀 150 : 키패드
152 : 키패드 고정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설치되는 마이크와 음향안내구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무선통신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화상, 음성, 문자 등의 정보를 주고 받거나, 소정의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휴대폰, PDA를 일컫는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래에 들어 그 기능에 있어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다. 단순히 전화의 송, 수신만이 가능했었던 초기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부터 시작하여, 현재는 게임 및 VOD(Video On Demand), 전자사전, MP3 플레이어, 사진촬영 등에 이르는 최신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에 있어서는 바(Bar)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부터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까지 개발되었다. 한편, 소비자들이 얇고 가벼운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호함에 따라 단말기의 두께가 점점 슬림화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종래의 바 형태의 단말기가 초박형으로 다시 출시되기도 하였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형의 경우, 문자나 각종 기호의 신호입력을 위한 키패드(11)를 구비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드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에는 후면에 결합되는 배터리(13)와,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송화구(12)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20)에는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화면(21)과, 음향을 출력하는 수화구(22), 그리고 특수기능 실행을 위한 기능키(23)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시 슬라이드부(20)를 슬라이딩시켜 키패드(11)와 송화구(12)를 노출시킨 후 키패드(11)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하고 송화구(12)와 수화구(22)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송화구(12) 하부의 회로부(30) 위에 마이크(32)가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32)는 상기 송화구(12)로 안내되는 음향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때, 상기 송화구(12)와 마이크(32) 사이에 간격(gap)이 존재하게 되는데, 그 간격으로 송화구(12)로 안내되는 음이 누설되는 문 제점이 있다. 즉, 통화음성이 모두 마이크(32)로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송화구(12)와 마이크 사이에서 본체부(10) 내부로 누설되어 통화 상대방에 전달되는 음량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화구(22) 하부에 위치한 스피커(미도시)로부터 흘러나오는 음성이 상기 슬라이드부(20)와 본체부(10) 내부를 통해 마이크(32)로 전달되어, 통화 상대방이 자신의 음성을 다시 듣게 되는 에코(echo)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 설치되는 마이크와 음향안내구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각종 전기부품들이 설치되는 회로부와, 상기 회로부에 설치되며, 음향이 입력되는 마이크와, 외부의 음향을 상기 마이크로 안내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음향안내구 및,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와 상기 음향안내구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메우도록 제공되는 방음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음향안내구로 유입되는 음향이 상기 마이크로 전달될 수 있기 위한 제1 홀이 방음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상기 회로부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회로부의 상기 마이크가 부착되는 곳에, 음향이 상기 회로부의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여 전달될 수 있기 위한 제2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음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과 상기 음향안내구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음향안내구는 키 입력을 위해 구비되는 키패드에 형성되는데, 상기 방음부재는 상기 키패드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키패드 또는 회로부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홀은 상기 방음부재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홀과 음향안내구는 상기 제1 홀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음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부의 상면과 상기 음향안내구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보다 소정 길이 더 긴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음부재는 상기 키패드에 평행한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는 상기 회로부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방음부재는 상기 마이크가 상기 회로부 상면 위로 돌출된 부분을 덮어씌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향안내구는 단말기 본체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에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음부재 적용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음부재가 적용된 키패드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하측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단말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각종 전기부품들이 설치되는 회로부(110)와, 상기 회로부(110)에 설치되며, 음향이 입력되는 마이크(120)와, 외부의 음향을 상기 마이크(120)로 안내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음향안내구(130)와, 상기 마이크(120)로 입력되는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120)와 상기 음향안내구(13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메우도록 제공되는 방음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로 슬라이드형 단말기 본체부(100)에 구성되 는 것을 위주로 설명되겠지만, 본체부(100)가 아닌 슬라이드부(미도시)에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슬라이드형이 아닌 폴더형, 바타입 등에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회로부(110)는 주로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지며, 각종 전기부품들이 실장되어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로부(110)에 음향이 입력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는 마이크(12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마이크(120)는 상기 회로부(110)와 별도로 설치되고 회로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이크(120)는 임의의 용기 속에, 음파에 의해 진동하고, 기계적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소자가 들어 있는데, 여기서는 반도체를 사용한 소형, 고성능의 마이크(12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0)가 상기 회로부(110)에 설치되는 경우, 회로부(110) 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가 슬림화되는 추세에 있어서 회로부(110) 저면의 남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마이크(120)가 회로부(110)의 다른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외부의 음향을 상기 마이크(120)로 안내하기 위하여 음향안내구(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120)로 입력되는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120)와 상기 음향안내구(13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메우도록 방음부재(140)가 제공된다.
상기 방음부재(140)는 사용자의 통화음이 중간에 누설되지 않도록 음의 경로 를 실링(sealing)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통화 상대방에 전달되는 음량의 저하가 방지되고,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들려오는 통화 상대방의 음성이 마이크(120)로 전달되어 다시 통화 상대방에 들리게 되는 에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음부재(140)에는 상기 음향안내구(130)로 유입되는 음향이 상기 마이크(120)로 전달될 수 있기 위한 제1 홀(1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방음부재(140)에는 그 주위로 음의 출입을 차단하면서 음의 경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홀(142)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회로부(110)의 마이크(120)가 부착되는 곳에, 음향이 상기 회로부(110)의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여 전달될 수 있기 위한 제2 홀(112)이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120)가 회로부(110) 저면에 설치되므로 음향이 상기 마이크(120)로 안내되기 위하여는 상기 제2 홀(112)이 회로부(110)상의 대응되는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음부재(140)가 상기 회로부(110)의 상면과 상기 음향안내구(130) 사이의 간격에 제공되어 상기 마이크(120)로 입력되는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음향안내구(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02)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음향안내구(130)가 종래의 송화구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어 음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향안내구(130)는 키 입력을 위해 구비되는 키패드(15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향안내구(130)가 키패 드(150)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음향안내구(130)에 대응하는 본체부(100)의 케이스(102)에는 상기 음향안내구(130)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송화구()가 마련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안내구(130)는 상기 키패드(150)의 하부 일측에 마련된다. 상기 키패드(150)의 둘레에는 회로부(110) 또는 케이스(102)에 형성되는 돌기(미도시)와 결합되어 키패드(150)를 고정시키기 위한 키패드 고정홀(152)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음향안내구(130)는 상기 키패드 고정홀(152)과 겹치지 않도록 적정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안내구(130)는 상기 키패드(150)의 하부 중앙, 좌우측 끝단 또는 키패드(150)의 중앙부 등 상기 키패드(150) 상의 원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키패드(150)에 의한 키 입력이 방해받지 않도록 음향안내구(130)의 위치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음향안내구(1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방음부재(140), 마이크(120), 제1 홀(142), 제2 홀(112)의 위치도 그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방음부재(140)는 상기 키패드(15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키패드(150)의 음향안내구(130)가 형성되는 곳의 저면에 상기 키패드(15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패드(150)가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제조된다면, 상기 방음부재 또한, 상기 키패드(150)와 함께 사출성형되어 제조되며, 키패드(150)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방음부재(140)가 키패드(15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 단말기 조립 시 작업자의 실수로 방음부재(140)를 잘못 붙이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부재(140)가 음향안내구(130)를 막아서 소리가 마이크(120)로 유입되지 못하거나, 상기 키패드(150)와의 간섭으로 키가 오작동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방음부재(140)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키패드(150)의 음향안내구(130) 저면에 또는 상기 회로부(110) 상면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방음부재(140)가 전술한 일체형이든 또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부착되든, 단말기 조립과정에서 상기 키패드(150) 조립 시 함께 고정되므로, 상기 키패드 고정홀(152)만 돌기에 잘 끼워주면, 상기 음향안내구(130), 제1 홀(142), 제2 홀(112)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142)은 상기 방음부재(14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음부재(140)를 관통하는 제1 홀(142)이 수직방향으로 여러 개 형성되어 음의 경로가 다양해 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홀(142)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홀(112)과 음향안내구(130)도 제1 홀(142)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방음부재(14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15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키패드(150)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음부재(140)는 상기 회로부(110)의 상면과 상기 음향안내구(13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보다 소정 길이 더 긴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방음부재(140)가 키패드(150), 회로부(110), 케이스(102)와 함께 조립될 때, 상기 회로부(110)와 음향안내구(130) 사이의 간격보다 두꺼우므로, 회로부(110)와 음향안내구(130) 사이에서 압축된다. 상기 방음부재(14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회로부(110)와 음향안내구(130)에 접촉되는 면에 강하게 밀착되며, 그 결과, 음향의 누설을 더 잘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2)에 형성되는 송화구(104)가 상기 음향안내구(130)에 대응되도록 케이스(102)가 상기 음향안내구(130) 상부를 덮게 되는데, 이때도 상기 송화구(104)가 상기 음향안내구(130)에 밀착되도록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의 통화음성이 송화구(104), 음향안내구(130), 제1 홀(142), 제2 홀(112)을 따라서 안내되며, 누설됨이 없이 상기 마이크(120)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음부재(140)의 형상은 방음부재(140)가 구비되는 공간에 맞추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음부재(140)의 상기 키패드(150)에 평행한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경우가 제시되었으나, 다른 다각형이나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이크가 설치된 회로부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음부재가 적용된 키패드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마이크에 방음부재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220)는 회로부(210) 상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이크(220)가 회로부(210) 하부 중앙에 위치하고 있지만, 마이크(22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마이크(220)가 회로부(210) 상면에 위치하면, 마이크(220)에 적용되는 방음부재(240)의 구조도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음부재(240)는 상기 마이크(220)가 상기 회로부(210) 상면 위로 돌출된 부분을 덮어씌우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방음부재(240)는 마찬가지로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250)에 구비되는데, 상기 마이크(220)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키패드(250) 하부 중앙에 구비된다. 상기 방음부재(240)는 상기 마이크(220)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상기 키패드(250) 상면에 캡 모양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키패드(250)는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방음부재(240)의 구조가 달라질 뿐, 키패드 고정홀(252)등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음향안내구(미도시)는 단말기 본체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미도시)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조립 시, 상기 음향안내구는 상기 방음부재(240) 위에 위치하게 되며, 음향안내구가 상기 방음부재(240)에 밀착되도록 조립된다. 또한, 상기 방음부재(240)에는 상기 음향안내구로 유입되는 음향이 상기 마이크(220)로 전달될 수 있기 위한 제1 홀(242)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음향안내구, 제1 홀(242)이 일렬로 배치되며, 외부의 음향은 상기 음향안내구와 제1 홀(242)이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마이크(220)로 전달된 다. 이때, 상기 방음부재(240)는 상기 음향안내구와 마이크(220) 사이의 간격을 실링하여 음향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방음부재(240)는 상기 음향안내구와 마이크(220)의 사이의 간격을 실링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와 음향안내구 사이의 간격을 통해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통화 시, 상대방에 전달되는 음량의 저하가 방지된다.
둘째, 스피커로부터 흘러나오는 음성이 본체 내부를 통해 마이크로 전달되어, 통화 상대방이 자신의 음성을 다시 듣게 되는 에코(echo)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셋째,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음부재가 키패드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 단말기 조립 시 작업자의 실수로 방음부재를 잘못 붙이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고, 방 음부재가 음향안내구를 막아서 소리가 마이크로 유입되지 못하거나, 키패드와의 간섭으로 키가 오작동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단말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각종 전기부품들이 설치되는 회로부;
    상기 회로부에 설치되며, 음향이 입력되는 마이크;
    외부의 음향을 상기 마이크로 안내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음향안내구; 및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와 상기 음향안내구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메우도록 제공되는 방음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음향안내구로 유입되는 음향이 상기 마이크로 전달될 수 있기 위한 제1 홀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회로부 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의 상기 마이크가 부착되는 곳에, 음향이 상기 회로부의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여 전달될 수 있기 위한 제2 홀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부재는 상기 회로부의 상면과 상기 음향안내구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안내구는 키 입력을 위해 구비되는 키패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부재는 상기 키패드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부재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키패드 또는 회로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부재는 상기 회로부의 상면과 상기 음향안내구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보다 소정 길이 더 긴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회로부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부재는 상기 마이크가 상기 회로부 상면 위로 돌출된 부분을 덮어씌우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 항에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안내구는 단말기 본체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112159A 2006-11-14 2006-11-14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53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159A KR101253177B1 (ko) 2006-11-14 2006-11-14 이동통신 단말기
CN2007101860490A CN101184295B (zh) 2006-11-14 2007-11-09 移动终端的键区组合件
US11/939,526 US7848785B2 (en) 2006-11-14 2007-11-13 Keypad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EP07120675A EP1924060A1 (en) 2006-11-14 2007-11-14 Keypad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159A KR101253177B1 (ko) 2006-11-14 2006-11-14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512A true KR20080043512A (ko) 2008-05-19
KR101253177B1 KR101253177B1 (ko) 2013-04-10

Family

ID=3913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159A KR101253177B1 (ko) 2006-11-14 2006-11-14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48785B2 (ko)
EP (1) EP1924060A1 (ko)
KR (1) KR101253177B1 (ko)
CN (1) CN1011842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902A (ko) * 2011-11-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0735B2 (en) 2010-08-06 2012-12-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magnetic shielding and an acoustic chamber for a microphone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EP2416544B1 (en) * 2010-08-06 2015-04-29 BlackBerry Limited Electromagnetic Shielding and an Acoustic Chamber for a Microphone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D967076S1 (en) * 2019-03-28 2022-10-18 Sony Group Corporation Microphone
KR20210099970A (ko) * 2020-02-05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260A (ja) * 1995-02-16 1996-08-30 Fujitsu Ltd 携帯無線端末装置
US5999821A (en) 1997-01-29 1999-12-07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user interface module
US6052464A (en) * 1998-05-29 2000-04-18 Motorola, Inc.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or an earpiece for generating an acoustic signal via a keypad
US6137883A (en) * 1998-05-30 2000-10-24 Motorola, Inc.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via keypad
ATE222673T1 (de) * 1999-02-01 2002-09-15 Ericsson Telefon Ab L M Kommunikationsstation
FI108186B (fi) * 1999-09-29 2001-11-30 Nokia Mobile Phones Ltd Näytön kehys, jossa on integroitu ESD-suoja, sekä käyttöliittymärakenne
JP2004343267A (ja) 2003-05-14 2004-12-02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
FI20031892A0 (fi) 2003-12-22 2003-12-22 Perlos Oyj Kannettavan elektroniikkalaitteen kuoriosa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DE602004021148D1 (de) 2004-05-28 2009-06-25 Research In Motion Ltd Tastatur und Mikrophonanordnung
US7349723B2 (en) * 2004-05-28 2008-03-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pad and microphone arrangement
US7328047B2 (en) * 2004-08-31 2008-02-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reduced interfering energy from the display and related methods
US7444174B2 (en) * 2004-08-31 2008-10-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reduced interfering energy into audio circuit and related methods
US7243851B2 (en) * 2004-08-31 2007-07-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reduced interfering energy from the keyboard
US7327547B1 (en) * 2006-01-20 2008-02-05 Epstein Barry M Circuit element and use thereof
US20090296674A1 (en) * 2008-05-29 2009-12-0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nsity determinatioi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160528B2 (en) * 2008-10-24 2012-04-1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resence of a carrier signal in a received signal
US8180411B2 (en) * 2009-02-08 2012-05-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jection molded solid mobile phone, machine,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902A (ko) * 2011-11-28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177B1 (ko) 2013-04-10
CN101184295B (zh) 2012-08-08
CN101184295A (zh) 2008-05-21
US20080113695A1 (en) 2008-05-15
EP1924060A1 (en) 2008-05-21
US7848785B2 (en)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슬라이딩 모듈 및 그의 연성 회로
JP3718137B2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を用いるスライドタイプ携帯電話
KR10163646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향 기기의 소리 입·출력 홀 구조
US912434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 microphone sound hole and speaker sound hole disposed on the same plane
US7447040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electronic equipment
US8189848B2 (en) Speaker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690766B1 (ko) 피에조 스피커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3466B1 (ko) 슬림형 휴대 단말기
KR20080017748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7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9486B1 (ko) 공명 공간을 이용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12531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055168A (ko)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00135356A (ko) 휴대 단말기용 스피커 장치
US20110237314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9980081204A (ko) 통신 장치의 현저한 전화 장치
KR100663490B1 (ko) 안테나 실장 공간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CN1722740B (zh) 键盘和麦克风布置系统和无线通信设备
JP4436013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70330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KR1007055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하울링방지구조
KR1010947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0640458B1 (ko)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KR200285857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13110464A (ja) 防水型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