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168A -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168A
KR20120055168A KR1020100116725A KR20100116725A KR20120055168A KR 20120055168 A KR20120055168 A KR 20120055168A KR 1020100116725 A KR1020100116725 A KR 1020100116725A KR 20100116725 A KR20100116725 A KR 20100116725A KR 20120055168 A KR20120055168 A KR 20120055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duct
housing
hold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968B1 (ko
Inventor
정지영
장성민
남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6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968B1/ko
Priority to CN2011202356402U priority patent/CN202261712U/zh
Priority to US13/212,464 priority patent/US8611577B2/en
Publication of KR2012005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92Mountings or supports fo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외측벽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마이크로 폰 홀(microphone hole);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연장되며 상면으로 개방된 덕트 홈; 상기 덕트 홈의 상면에 결합되는 마이크로 폰 홀더; 및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에 결합된 마이크로 폰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와 상기 덕트 홈이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 홀에 연결된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로 폰이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폰 홀과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의 하우징에 형성된 덕트 홈과 마이크로 폰이 결합된 마이크로 폰 홀더로 덕트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 등 입력되는 음향을 마이크로 폰까지 원활하게 전달하면서, 단말기의 슬림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ORTABLE TERMINAL WITH DUCT FOR TRANSCIEVE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성 통화 등을 위한 음향 입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송화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통화, 메시지 송수신, 일정 관리, 게임,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재생 등의 기능을 활용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전자 수첩이나 게임기, 멀티미디어 재생기 등 특정 기능으로 특화된 기기들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음성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해 오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러한 기능들이 집약되면서,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로도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전자 /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되면서도, 인터넷이나 모바일 뱅킹 등의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한편, 음성 통화 기능이나 녹음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는 마이크로 폰을 탑재한 송화부를 구비하는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폰은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동전형 마이크로 폰(coin type microphone)이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동전형 마이크로 폰은 그 두께 방향으로 사용자의 음성이나 음향이 입력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송화부(1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송화부(10)는 하우징(11)의 외측벽으로부터 내측벽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마이크로 폰 홀(13)을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 폰 홀(13)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마이크로 폰(17)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폰(17)은 마이크로 폰 홀더(15)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5)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마이크로 폰(17)은 동전형 마이크로 폰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하우징(11)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마이크로 폰 홀(13)은 상기 하우징(11)의 전면을 향하게 배치되어 있고, 사용자의 음성 등이 입력되는 음향 입력 방향은 상기 마이크로 폰(17)의 음향 입력 방향(I)에 일치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마이크로 폰의 배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폰의 두께가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슬림화된 휴대용 단말기에 실장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최근,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하면서,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 향상을 위해서, 송화부의 마이크로 폰 홀은 대체로 단말기의 하우징 측면, 더 구체적으로는, 하단면에 배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경우, 마이크로 폰의 음향 입력 방향을 단말기 하우징의 하단면을 향하게 배치함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단말기의 두께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폰을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면서, 단말기 하우징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폰 홀로부터 마이크로 폰의 음향 입력 위치까지 덕트를 형성하기도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마이크로 폰을 단말기 하우징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하고, 덕트를 형성하여 마이크로 폰과 하우징에 형성된 마이크로 폰 홀을 연결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이때, 마이크로 폰(27)의 음향 입력 방향(I)은 하우징(21)의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하게 배치되지만,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음성 등 음향은 상기 하우징(2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1)의 길이방향으로 입력되다가 상기 마이크로 폰(27)의 전면에 이르러서 상기 마이크로 폰(27)의 음향 입력 방향(I)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폰(27)은 탄성체 재질의 마이크로 폰 홀더(25)에 감싸진 상태로 상기 하우징(21)에 배치되며,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25)는 상기 하우징(21) 상에 형성된 고정 리브 등의 구조물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25)에는 상기 마이크로 폰 홀(23)과 상기 마이크로 폰(27)의 음향 입력 부분을 연결하는 덕트(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29)는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25)의 일부분을 구성하므로,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25)를 구성하는 재질로 감싸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송화부 구조는 마이크로 폰 홀더의 재질이 덕트를 모두 감싸야 하기 때문에 그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서, 도 3에 도시된 마이크로 폰 홀더(25)의 하단부 구조에서, 상기 덕트(29)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덕트(29)를 감싸는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25)의 하단 부분은 일정한 크기 이상의 두께가 요구된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 등을 마이크로 폰까지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덕트를 확보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25)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단말기의 소형화, 슬림화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측면에 마이크로 폰 홀을 배치하면서도,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하우징의 외측벽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마이크로 폰 홀(microphone hole);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연장되며 상면으로 개방된 덕트 홈; 상기 덕트 홈의 상면에 결합되는 마이크로 폰 홀더; 및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에 결합된 마이크로 폰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와 상기 덕트 홈이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 홀에 연결된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로 폰이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폰 홀과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덕트 홈은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리브가 상기 제1 가이드 리브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덕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가이드 리브의 주위를 둘러싸게 제공되는 고정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는 상기 고정 리브에 감싸지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의 외주면에 형성된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고정 리브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고정 리브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정 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고정 홈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를 상기 하우징 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 홈은, 상기 마이크로 폰 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폰은 상기 연결부에 대면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에 형성되는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폰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연결부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의 하우징에 형성된 덕트 홈과 마이크로 폰이 결합된 마이크로 폰 홀더로 덕트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 등 입력되는 음향을 마이크로 폰까지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덕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말기의 하우징 자체를 활용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슬림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송화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송화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화부의 마이크로 폰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송화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송화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송화부의 덕트 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덕트 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송화부의 마이크로 폰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마이크로 폰 홀더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송화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바형 단말기로서, 송화부(119)가 상기 단말기 하우징(101)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바형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마이크로 폰을 구비하는 단말기,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음성이나 외부의 음향을 입력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면 폴더형 단말기나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 다른 형태의 단말기가 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에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측에 수화부(117)가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의 하측에는 터치 패드(115)를 포함하는 키패드(113)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113)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작동 모드, 예를 들어, 통화 모드, 문자 입력 모드, 음악 / 동영상 재생 모드 등으로 전환하거나 각종 메뉴 등을 호출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키패드(113)를 조합하여 각각의 작동 모드에서 세부적인 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송화부(119)의 더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의 송화부(119)는 하우징(101)에 형성된 덕트 홈(131)과 마이크로 폰 홀더(125)가 결합되어 덕트(103; 도 11에 도시됨)를 형성하며,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에 설치된 마이크로 폰(127)이 상기 덕트(103)를 통해 상기 하우징(101)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폰 홀(123)과 연결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1)에는 외측벽으로부터 내측벽으로 관통하게 상기 마이크로 폰 홀(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1)의 내측에 상기 덕트 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덕트 홈(131)은 상기 하우징(101)의 내주면 일부분을 함몰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그의 일단은 상기 마이크로 폰 홀(123)과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덕트 홈(131)은 상기 하우징(10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의 가이드 리브(133)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며, 도 7에서 볼 때, 상면으로 개방된 형상이다. 아울러, 상기 덕트 홈(131)은 상기 마이크로 폰 홀(123)로부터 연장되는 덕트부(131a)와, 상기 덕트부(131a)의 단부에 제공되는 연결부(131b)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1b)는 상기 덕트부(131a)의 폭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는 원 형상이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1)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가이드 리브(133)의 주위를 둘러싸는 고정 리브(1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리브(135)는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를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덕트 홈(131)을 형성하는 상기 제1 가이드 리브(133)나 상기 고정 리브(135)가 상기 하우징(10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상기 하우징(101)이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면, 상기 하우징(101)의 내주면에 상기 덕트 홈(131)을 함몰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을 함몰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는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하우징(101)에 배치되었을 때, 그의 저면이 상기 덕트 홈(131)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덕트(10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폰(137)은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127)을 결합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는 상면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127)이 결합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저면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구(129)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개구(129)는 상기 마이크로 폰(127)의 음향 입력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127)으로 입력되는 음향의 진행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의 저면에는 제2 가이드 리브(1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리브(137)는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덕트 홈(131)의 형상과 상응하게 연장된다.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가 상기 하우징(101)에 설치된 때,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의 저면이 상기 덕트 홈(131)과 결합되어 상기 덕트(103)가 형성됨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리브(137)를 형성하여 상기 제1 가이드 리브(133)의 상단과 밀착되게 한다면, 상기 덕트(103)를 진행하는 음향이 상기 덕트(103)를 진행하는 동안 상기 덕트(103)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제2 가이드 리브(133, 137)를 형성함으로써, 음향의 진행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밀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리브(137)의 일단부는 상기 개구(129)의 주위를 둘러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의 외주면에는 밀봉 부재(1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가 상기 하우징(101)에 설치되면, 상기 고정 리브(135)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는데, 상기 밀봉 부재(139)는 상기 고정 리브(135)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 자체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므로, 상기 고정 리브(13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보다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를 좀더 크게 제작한다면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를 상기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가 항상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 리브(135) 등에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밀봉 부재(139)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리브(135)의 내측에 상기 밀봉 부재(139)와 맞물리는 고정 홈을 형성한다면,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가 상기 고정 리브(135)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제2 가이드 리브(133, 137)의 밀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 폰(127)은 상기 하우징(101)의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음향의 입력 방향(I)은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을 향하게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마이크로 폰 홀(123)은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면,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우징(101)의 하단면에 외측벽으로부터 내측벽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103)는 상기 마이크로 폰 홀(12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127)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폰(127)은 상기 개구(129)를 통해 상기 덕트 홈(131)의 연결부(131b)와 대면하게 위치된다.
즉, 상기 마이크로 폰(127)은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125)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상기 개구(129)를 통해 상기 덕트(103)로 연결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폰 홀(123)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은 상기 하우징(101)의 세로 방향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연결부(131b)에서 상기 마이크로 폰(127)의 음향 입력 방향(I)을 따라 상기 마이크로 폰(127)으로 입력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101: 하우징
119: 송화부 123: 마이크로 폰 홀
125: 마이크로 폰 홀더 127: 마이크로 폰
103: 덕트 131: 덕트 홈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측벽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마이크로 폰 홀(microphone hole);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연장되며 상면으로 개방된 덕트 홈;
    상기 덕트 홈의 상면에 결합되는 마이크로 폰 홀더; 및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에 결합된 마이크로 폰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와 상기 덕트 홈이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 홀에 연결된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로 폰이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폰 홀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덕트 홈은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리브가 상기 제1 가이드 리브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덕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리브의 주위를 둘러싸게 제공되는 고정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는 상기 고정 리브에 감싸지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의 외주면에 형성된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고정 리브의 내벽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브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정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고정 홈에 맞물려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홈은, 상기 마이크로 폰 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폰은 상기 연결부에 대면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폰 홀더에 형성되는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폰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연결부에 대면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00116725A 2010-11-23 2010-11-23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74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25A KR101747968B1 (ko) 2010-11-23 2010-11-23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2011202356402U CN202261712U (zh) 2010-11-23 2011-06-30 便携式终端
US13/212,464 US8611577B2 (en) 2010-11-23 2011-08-18 Portable terminal with duct for transmi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25A KR101747968B1 (ko) 2010-11-23 2010-11-23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168A true KR20120055168A (ko) 2012-05-31
KR101747968B1 KR101747968B1 (ko) 2017-06-16

Family

ID=4606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725A KR101747968B1 (ko) 2010-11-23 2010-11-23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11577B2 (ko)
KR (1) KR101747968B1 (ko)
CN (1) CN2022617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8488B2 (en) 2021-05-26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2661B (zh) * 2012-12-14 2017-05-10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麦克风密封装置
CN105849665A (zh) * 2013-12-25 2016-08-1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子设备
JP6588758B2 (ja) 2015-07-21 2019-10-0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ノイズキャンセルヘッドホン
JP1541645S (ko) 2015-08-07 2017-01-10
JP6611512B2 (ja) 2015-08-07 2019-11-27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ノイズキャンセルヘッドホン
CN105611011A (zh) * 2015-08-18 2016-05-2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Mic导音路径结构及移动终端
CN108307285A (zh) * 2017-12-12 2018-07-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麦克密封组件和移动终端及其装配方法
CN109327777B (zh) * 2018-11-01 2020-11-24 歌尔股份有限公司 声学模组和电子产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7646A (en) * 1974-10-11 1976-03-30 Olympus Optical Company Ltd. Resilient microphone mounting
US5210793A (en) * 1990-11-07 1993-05-11 Motorola, Inc. Apparatus for mounting transducers
US8213660B2 (en) * 2006-04-07 2012-07-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hielded microphone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8488B2 (en) 2021-05-26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968B1 (ko) 2017-06-16
CN202261712U (zh) 2012-05-30
US20120128191A1 (en) 2012-05-24
US8611577B2 (en)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5168A (ko) 송화부용 덕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EP1968285B1 (en) Mobile terminal
US7331516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movable keypad
KR20100050031A (ko) 이동 단말기
KR100689486B1 (ko) 공명 공간을 이용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EP172733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ound leakage preventing unit
WO2002102034A1 (fr) Radio portable
KR100767893B1 (ko) 휴대 단말기
JP2011205494A (ja) 携帯端末装置
US8478357B1 (en) Removable adapter with speaker and microphon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20130040600A (ko) 휴대용 단말기
JP4628896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2531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3963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JP4515368B2 (ja) 携帯端末装置
CN110995900B (zh) 电子设备
WO2019072121A1 (zh) 电子设备及其中框结构
KR100865147B1 (ko) 휴대 단말기
KR20040042477A (ko) 스테레오 사운드 기능을 갖는 휴대폰
KR1007055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하울링방지구조
KR100640493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515039B1 (ko) 모바일기기 케이스
KR101438567B1 (ko) 모바일기기 케이스
KR20140122996A (ko) 모바일기기 케이스
CN112736552A (zh) 一种防水耳机孔及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