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299A -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진동치료 기구 - Google Patents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진동치료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299A
KR20080043299A KR1020087001375A KR20087001375A KR20080043299A KR 20080043299 A KR20080043299 A KR 20080043299A KR 1020087001375 A KR1020087001375 A KR 1020087001375A KR 20087001375 A KR20087001375 A KR 20087001375A KR 20080043299 A KR20080043299 A KR 20080043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ositioner
patient
plate assembly
platfor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티 트랜다피르
로저 제이 탈리쉬
Original Assignee
주벤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벤트, 인크 filed Critical 주벤트, 인크
Priority claimed from US11/488,227 external-priority patent/US8603017B2/en
Publication of KR2008004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6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for compressive stressing of a part of the skeletal structure, e.g.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68P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9/00Devices for avoiding blood stagnation, e.g. Deep Vein Thrombosis [DVT]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진동 치료 장치는 진동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a, 100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12a, 12b)와 환자의 몸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이웃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18a, 18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진동 치료 기구{VIBRATIONAL THERAPY ASSEMBLY FOR TREATING AND PREVENTING THE ONSET OF DEEP VENOUS THROMBOSIS}
본 발명은 비감염성 의료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진동치료를 실시하여 피하정맥 혈전증(deep venous thrombosis)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진동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하정맥 혈전증은 혈액의 응고, 즉 혈전에 의한 피하정맥의 폐색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피하정맥 혈전증은 다리의 정맥, 예를 들면, 대퇴부 정맥 또는 오금부 정맥에 영향을 미치며 응고된 혈액이 정맥내의 혈류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을 경우 발생한다. 이 피하정맥 혈전증과 관련된 주요 위험성은 폐색전증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페색전증은 응고된 혈액이 정맥의 벽으로부터 떨어져 폐로 이동하여 폐동맥 또는 이 폐동맥의 분지 혈관 중 하나를 막는 경우 발생한다.
몇몇 의학적 요소, 예를 들면 부상, 부동성, 그리고 응고장애 등이 피하정맥 혈전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의학적 요소들도 종종 그 원인이 된다. 예를 들면, 비행동안 장기간의 착석 및 드러누움 그리고 부동상태로의 장기 입원 등도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 피하정맥 혈전증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치료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간헐성 공압식 압축기가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환자의 사지에 혈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장치들은 전형적으로 한쌍의 압축 의류 또는 환자의 사지(일반적으로 다리)를 감싸는 슬리브들(sleeves)을 포함한다. 각각의 슬리브는 다수의 팽창 챔버들을 가지며, 이 챔버들은 관을 통하여 압축유체(공기)원과 연결된다. 상기 챔버들은 순서대로 팽창되어 사지에 압축진동을 제공함으로써, 혈액의 순환을 개선시키고 현전의 형성을 최소화한다. 상기 압축진동은 심장으로부터 가장 먼곳에서 시작하여 심장을 향하여 순서대로 진행된다. 예를 들면, 3개의 챔버를 가지는 다리 슬리브의 경우, 발목의 챔버가 가장 먼저 팽창되고 뒤이어서 종아리 챔버, 그리고 허벅지 챔버 순으로 팽창한다. 이러한 전형적인 압축장치들은 미국특허 4,013,069호 및 6,610,021호에 설명되어 있다. 피하정맥 혈전증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로는 항응고제와 같은 약물치료요법 뿐만 아니라 외과적 수술 등이 있다.
그러나, 환자의 경우 피하정맥 혈전증에 걸리기 쉽고 예고 없이 그 증세가 나타나므로, 피하정맥 혈전증에 대한 가장 좋은 방법은 피하정맥 혈전증의 발병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걷기는 잘 알려진 그리고 추천되는 치료법이다. 걷기는 신체의 근육펌프(muscle pump)를 활성화하여 혈류를 개선시키고, 그 결과 정맥속도가 증가되며 혈액의 정체를 방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걷기는 많은 사람들, 예를 들면, 노인들 및/또는 노약자들에게는 가능한 선택이 될 수 없다. 게다가, 걷기가 항상 가능하고 안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비행기가 기류에 흔들릴 경우, 걷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안전하지 않다. 따라서,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장치 및 피하정맥 혈전증의 발병을 방지하기 위해 혈액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거나 또는 피하정맥 혈전증의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진동 치료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006년 3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번호 11/369,467호에 설명된 저자세 진동 플레이트 시스템과 유사한 저자세 진동 플레이트 시스템을 가지는 진동 치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의 개시에 따르면, 진동 치료 장치는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 및 그 발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진동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 다른 용도로는 자세 불안정을 교정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진동 치료 장치는 진동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와 환자의 몸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이웃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가 적어도 두 상태에 있을 때 진동 에너지를 전달한다. 제 1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는 실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와 직각을 이룬다. 제 2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는 실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와 병렬 관계를 이룬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는 상기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두 상태중 제 1 상태에서, 환자의 몸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접촉하며, 제 2 상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진동 치료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는 환자의 몸체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는 메모리폼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상기 패드는 제거 가능하며 그리고 일회용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진동 치료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을 더욱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치료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 진동 치료 어셈블리는 진동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 1 플렛폼 부재와, 환자의 몸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이웃하게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 플렛폼 부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포지셔너를 포함하는 제 1 진동 치료 장치와; 진동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 2 플렛폼 부재와, 환자의 몸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이웃하게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 2 플렛폼 부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포지셔너를 포함하는 제 2 진동 치료 장치와;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 치료 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치료 장치를 상기 제 2 치료 장치와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킨다.
상기 제1 진동 치료 장치 및 상기 제 2 진동 치료 장치는 적어도 두 위치에서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작동된다. 상기 적어도 두 상태 중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렛폼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2 포지션너들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플렛폼 부재들에 대하여 직각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두 상태 중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렛폼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2 포지션너들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플렛폼 부재들에 대하여 병렬관계를 이루는 진동 치료 어셈블리.
본 개시의 특징들은 이하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음의 도면들과 함께 설명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휴대가능한 상태에 있는 두 개의 진동 치료 장치를 포함하는 진동 치료 어셈블리의 사시도 이며;
도 1A는 도 1의 진동 치료 장치의 사시도로서, 본 개시에 따른 치료장치의 내부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개방된 상태에 있는 두 진동 치료 장치의 사시도로서, 본 개시에 따라 그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장치와 결합된 진동 플레이트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1의 진동 치료 어셈블리의 사시도로서, 휴대상태에 있을때 어셈블리를 개방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진동 치료 장치의 포지셔너를 들어올리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두 진동 치료 장치를 분리하기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다리에 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진동 치료가 가능하도록 침대에 제공된 도 6의 분리된 진동 치료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닫힌 상태에 있는 두 진동 치료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로서, 장치위에 올라서 있는 환자에게 진동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리고
도 9는 진동 에너지를 환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도 8의 진동 치료 장치를 설 명하는 사시도이다.
미국 특허 6,24,975호, 6,561,991호, 그리고 6,607497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진동치료는 자세 불안정성, 골다공증, 등과 같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미국 특허들의 전체 내용은 본 출원서에 모두 인용된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진동 치료 어셈블리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 치료 어셈블리 및 장치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며, 전체 도면에 걸쳐, 동일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치료 어셈블리가 휴대가능한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며 참조번호 10으로 지시되고 있다. 진동 치료 어셈블리(10)는 두 개의 진동 치료장치(10a, 10b)를 포함한다. 진동 치료 어셈블리(10)를 정의하는 진동 치료 장치들(10a, 10b)은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혈액의 흐름을 개선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진동 치료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상기 어셈블리(10) 및 장치들(10a, 10b)이용하여 치료 받거나 예방될 증상/병을 예상 할 수 있다.
도 1A는 개방된 상태에 있는 진동 치료 장치(10b)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개시에 따른 그 내부 부품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진동 치료 장치(10b)는 플렛폼 부재(12)와 포지셔너(18)를 포함한다. 상기 플렛폼 부재(12)는 바닥부(B)와 상단부(T)를 포함한다. 플렛폼 부재(12)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며, 진동 에너지를 환자의 몸체에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 진동 에너지는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한다.
포지셔너(18)는 플렛폼 부재(12)와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1A에서, 포지셔너(18)는 플렛폼 부재(12)에 힌지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피봇 핀(20)은 플렛폼 부재(12)의 힌지부(12h)를 포지셔서(18)의 힌지부(18h)에 고정시킨다. 다른 다양한 부착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지셔너는 플렛폼 부재(12)의 적어도 일부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다 (예를 들면, 다수의 힌지부들, 하나 이상의 리빙(living) 힌지, 또는 하나 이상의 볼 조인트 등).
포지셔너(18)는 환자의 몸체가 플렛폼 부재(12)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진동플레이트 어셈블리(10))에 이웃하여 위치하도록 가이드 한다. 환자의 몸체, 예를 들면, 다리 및/또는 발은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가 환자의 몸체에 전달 되도록 위치된다. 환자의 몸체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진동에너지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때, 진동 에너지는 상기 장치(10b)의 다른 부분을 통하여 전달 된다. 예를 들면, 환자의 몸체는 상기 포지셔너(18) 또는 패드(24)와 접촉할 수 있으며, 진동 에너지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로 부터 상기 포지셔너 또는 패드를 통하여 환자의 몸체로 전달 된다.
포지셔너(18)는 플렛폼 부재(12)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각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힌지부는 포지셔너(18)를 플렛폼 부재(12)에 대한 하나 이상의 각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플렛폼 부재(12)에 대한 상기 포지셔너(18)의 각 위치들은 임상의에 의해서, 환자에게 적용되는 의학 치료타입에 따라, 또는 진동 치료를 받는 환자의 자세에 따라 결정 될 수 있다. 도 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지셔너(18)는 포지셔너(18)과 플렛폼 부재(12) 사이의 각 관계가 실직적으로 직각을 이루고 플렛폼 부재(12)가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위치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봇 메커니즘이 상기 플렛폼 부재(12)에 대한 상기 포지셔너(18)의 각 운동을 제한하여, 개방 상태에서 포지셔너(18)의 각 조건이 특정 의료치료에 적합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를 위하여, 포지셔너(18)의 최대 각 상태가 실질적으로 플렛폼 부재(12)에 직각이 되도록 피봇 메커니즘은 포지셔너(18)의 각운동을 제한한다.
장치(10b)는 플렛폼 부재(12)에 의해서 정의되는 손잡이를 잡고 위치를 변경하거나 운반될 수 있다.
플렛폼 부재(12)는 적어도 하나의 제거 가능한 또는 고정된 패드(24)를 포함한다. 이 패드(24)는 진동치료를 받는 환자의 다리를 지지한다. 포지셔너(18)에 대한 플렛폼 부재(12)상에서 포지셔너(18)에 패드의 상태는 다리를 적절하게 지지하고 위치 시킬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패드는 포지셔너(18)에 기대어 위치되거나 또는 포지셔너(18)로 부터 떨어져 위치 할 수 있다.
상기 패드(24)는 진동 치료중에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렛폼 부재(12)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부착 수단(예를 들면, 벨크로(velcro), 스냅(snaps), 버튼, 클립, 젤, 접착제, 또는 이들의 어떠한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장치(10b)는 사용동안에 이를 위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부재(26)를 포함한다. 이 위치 부재(26)는 상기 장치(10b)를 어떠한 구조물(예를 들면, 침대, 검사용 침상, 환자 주변부, 환자용 이동 활차, 환자 회복용 이동 활차, 환자용 침상, 의자, 휠체어, 항공기 좌석, 차량 의자, 버스 의자, 소파, 기댐 의자, 스쿠터 등)에 위치시킨다.
상기 장치(10b)는 위치 부재(26)가 침대의 다리에서 매트리스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한 상태에서 침대의 다리 또는 그와 유사한 구조물에 위치되어, 사용동안에 침대 머리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위치 부재(26)는 매트리스와 침대의 받침판 사이에 위치되어 장치(10b)를 침대 다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 부재(16)는 상기 장치(10b)를 의자(예를 들면, 휠체어, 항공기 좌석, 차량좌석, 버스 좌석, 기댐의자 또는 스쿠터)와 근접한 위치에 고정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치 부재(26)는 휠체어의 다리 받침부에 부착되어 휠체어에 앉아 있는 환자가 진동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부재는 상기 장치(10b)를 환자의 의자(예를 들면, 항공기, 차량, 버스의 좌석)와 매우 가깝게 위치 시켜 환자가 여행중에도 진동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부재(26)는 상기 장치(10b)를 소파 또는 기댐의자와 관련하여 이 소파 또는 기댐의자 내로 또는 아래로 연장시켜 위치 시킴으로서, 환자가 집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에 진동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부재(26)는 제 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개할 수 있다. 도 1 및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 위치 부재(26)는 실질적으로 포지셔너(18) 또는 플렛폼 부재(12)내에 또는 이웃하여 있다. 상기 위치 부재(16)는 피벗 가능하게 상기 포지셔너(18) 또는 플렛폼 부재(12)에 부착되는데, 이때, 상기 위치 부재(26)는 회동하여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전개된다.
상기 장치(10)를 구조물 (침대, 검사용 침상, 환자 주변부, 환자용 이동 활차, 환자 회복용 이동 활차, 환자용 침상, 의자, 휠체어, 항공기 좌석, 차량 좌석, 버스 좌석, 기댐 의자, 스쿠터 등)에 일체화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진동 치료 장치(10b)는 2006년 3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번호 11/369,467호 및 2006년 7월 11일에 출원된 예비출원서에서 개시되고 설명된 저자세 진동 플레이트 시스템과 구조 및 작동이 유사한 저자세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렛폼 부재(12)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저자세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렛폼 부재(12)는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22)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22)은 상기 장치(10)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패널(22)은 플렛폼 부재(12)로 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와 통신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서 작동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 패널(22)은 유선 또는 무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장치(10b)와 통신한다.
상기 장치(10b)에는 환자의 다리가 진동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위치되었을때 이를 감지하는 터치 감응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는 환자의 다리가 진동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위치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즉, 환자의 다리가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 상부에 위치되고, 또는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와 접촉하거나, 또는 패드(24)와 접촉하는 경우) 작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장치(10b)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베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10b)는 파워코드를 더욱 포함하여 장치(10b)를 전기 출력부에 꼽아 베터리 전원을 충전 또는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진동 치료 어셈블리(10)는 제 1 및 제2 진동 치료 장치(10a, 10b)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진동 치료 장치(10a)는 작동적으로 상기 제2 진동 치료 장치(10b)와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2 진동 치료 장치(10a, 10b)는 일측을 따라 연결핀(14)에 의해서 힌지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 치료 장치(10a, 10b)는 상기 연결핀(14)이 제거되면 서로 분리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연결 수단은 힌지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볼/소켓 조인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빙 힌지들,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두 부재를 작동가능하게 조합시키는 수단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진동 장치(10a, 10a)는 플렛폼 부재(12a, 12b)와 각각의 플렛폼 부 재(12a, 12b)와 작동적으로 조합되는 포지셔너(18a, 18b)를 포함한다. 포지셔너(18a, 18b)와 각각의 플렛폼 부재(12a, 12b)는 피벗핀(20a, 20b)을 가지고 일측을 따라서 힌지 가능하게 부착된다. 피벗 연결을 위한 다른 수단으로는, 힌지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볼/소켓 조인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리빙 힌지들,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두 부재를 작동가능하게 조합시키는 수단들이 이용될 수 있다.
플렛폼 부재(12a, 12b)는 손잡이(16a, 16b)를 정의하며 제어패드(22a, 22b)와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a, 100b)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16a 16b)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용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사용자가 장치를 잡고 이송할 수 있도록 플렛폼 부재(12a, 12b)의 각 측부에 배치된다.
위치 부재들(26a, 26b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상기 어셈블리(10)를 구조물에 대하여 위치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부재(26a)는 도면에서 도시되는 형상 이외에 다른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어셈블리(10)를 구조물(휠체어, 침대, 의자, 스쿠터, 환자용 침상, 검사용 침상, 환자 주변부, 환자용 이동 활차, 환자 회복용 이동 활차 등)에 일체화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A를 다시 참조하면, 사용에 있어서, 상기 패드(24)는 사용자의 다리를 진동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지 및 위치시킨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로부터의 진동 에너지는 환자의 다리에 직접 또는 패드(24)를 통하여 전달된다.
상기 패드(24)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로부터 환자에게로 에너 지를 전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24)는 플라스틱, 콩처럼 생긴 재료, 모래, 발포제, 메모리폼,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24)는 다양한 프리폼 형상 또는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임상의 또는 환자가 환자의 다리에 가장 잘 맞는 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패드(24)는 제거 및 버려지기 전에 재사용이 가능하거나 또는 일회 또는 그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재사용이 가능한 패드는 버려지기 전에 수회의 치료를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장치(10)의 사용 수명 동안에 이용될 수 있도록 될 수도 있다. 일회용 패드는 일회의 치료를 위해 이용되거나 버려지기 전에 2회 이상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24)는 발포재, 메모리폼, 점토, 석고, 젤 등과 같은 성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패드(24a')는 성형되지 않거나 딱딱하지 않은 상태의 장방형 블록이다. 도 2에서 더욱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드(34a')는 환자의 다리가 패드(24b')에 의해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용될 경우 환자의 다리에 형상이 맞추어 진다. 패드(24a', 24b')는 다리를 뺀 후에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형상화되지 않거나 딱딱하지 않은 상태로 회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자세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는 저자세 베이스(102)와 플렛폼(104)을 포함한다. 플렛폼(104)은 상기 베이스(102)의 상면에 형성된 동공(103)에 위치된다. 제 1 세트의 자석(106a)이 플렛폼(104)의 저면부에 위치된다. 또한, 제 2 세트의 자석들이 베이스(102)의 동공(103) 저면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세트의 자석들(106a)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세트의 자석들과 직접 관련하여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쌍으로 이루어진 자석(106a, 106b)은 동일한 극성이 서로 마주하도록 세팅된다. 따라서, 이들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하여 플렛폼(104)이 베이스(103)위로 부양하게 된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는 상기 제 2 세트의 자석들(106b)과 통신하는 프로세서(108)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세트의 자석들(106b)은 상기 프로세서(108)에 의해서 제어되는 조절 가능한 자기특성(극성, 자계 강도)을 가진다.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들(106a, 106b)은 예를 들면 영구 강자석, 전자석,그리고 코일과 같은 정자계(static magnetic field) 발생 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다른 동적 자계 발생 장치 또한 이용가능하다.
자계강도를 가변시킴으로서 그리고/또는 베이스 자석들(106b)의 극성을 바꿈으로서, 플렛폼(104)의 수직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진동 주파수는 자기특성의 변화율에 의해서 결정되며, 진동진폭은 자계강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한, 자계강도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환자의 몸무게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되어 플렛폼(104)을 적절한 상태로 진동시킨다. 본 개시에 따르면, 환자 또는 사용자가 사지 내에서 피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이용중에, 어셈블리(10)는 도 1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휴대상태에서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두 장치(10a, 10b) 닫혀진 상태로 변환된다.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어셈블리(10)는 닫혀진 상태에 있는 장치(10a, 10b)상에 서있는 환자에게 진동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서 큰 곡률의 화살표에 의해서 지시되는 것처럼 포지셔너(18a,18b)는 닫혀진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회동할 수 있다. 즉, 각각의 플렛폼 부재(12a, 12b)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포지셔너(18a, 18b)가 회동하여 열린 상태가 된다. 도 5의 작은 화살표로 지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부재(26a)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회동한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부재(26a)는 장치(10a)를 구조물, 예를 들면, 매트리스(300)의 가장자리에 위치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도 5 내지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동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제거 가능한 지지 패드들(24a, 24b)이 진동 플레이트(100a, 100b) 상에 위치된다. 상기 어셈블리(10)는 지지패드(24a, 24b) 없이도 이용될 수 있다.
도 6 및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10a, 10b)는 분리되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요할 경우 그리고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쪽 다리만의 치료가 가능하다. 각각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a)는 각각 제어패널(22a, 22b)을 가지고 있어 필요할 경우 한쪽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a 또는 100b)만 한번에 작동되도록 하여 진동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닫힌 상태에 있는 제1 및 제2 진동 치료 장치(10a, 10b)를 포함하는 진동 치료 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다. 포지셔너(18a, 10b) 각각의 플렛폼 부재(12a, 12b)에 대하여 병렬배치된다. 환자가 어셈블리(12)에 올라서 각각의 발을 장치(10a, 10b)에 위치시킨다. 적절한 발의 위치는 표시부, 예를 들면, 포지셔너(18a, 18b)상에 형성된 발모양표시 또는 삽입부(도시 생략)에 의해서 지시되고 있다. 포지셔너 상에 서있는 환자의 무게의 의해서 패드(24a)는 압축되고 또는 닫혀진 상태에서 발을 올리기 전에 패드(24a)는 제거될 수도 있다. 포지셔너(18a, 18b)는 플렛폼 부재(12a, 12b)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a)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에너지가 각각의 포지셔너(18a, 18b)에 전달되도록 한다. 손잡이(16b)는 상기 어셈블리(10)의 위치를 바꾸거나 이송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셔너(18)는 진동 에너지를 환자의 몸체에 전달하는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닫혀진 상태에서, 포지셔너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플렛폼 부재(12)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와는 별도로 진동을 환자의 몸체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닫혀진 상태에서, 진동 에너지는 포지셔너(18)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되며, 열려진 상태에서 진동에너지는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로부터 플렛폼 부재(12)로 전달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플렛폼 부재(12)의 제1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와 상기 포지셔너(100)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가 동시에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거나 또는 교대로 진동 에너지를 전달 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들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에너지를 동시에 전달하거나 또는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에너지를 동시에 전달 할 수 있다.
진동 치료 어셈블리(10)의 이용 방법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포지셔 너(18a, 18b) 상의 발표시부(19a, 19b)는 환자 몸체(P)가 플렛폼 부재(12a, 12b)의 적어도 일부 상측 또는 일부와 이웃하도록 가이드한다. 즉, 환자의 발을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a, 100b)에 이웃하도록 위치시킨다. 각각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a, 100b)에 의해서 생성된 진동 에너지는 각각의 포지셔너(18a, 18b)를 통하여 환자의 몸체(P)에 전달된다.
도 2, 7, 그리고 9를 참조하면, 포지셔너(18a, 18b)의 다양한 위치에서, 진동 치료 장치(10a, 10b)와 어셈블리(10)는 진동 에너지를 환자의 몸체(P)에 전달한다. 도 2 및 7에서, 포지셔너(18a, 18b)는 실질직으로 플렛폼 부재(12a, 12b)와 직각으로 배치된다. 도 9에서, 포지셔너(18a, 18b)는 플렛폼 부재(12a, 12b)와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a, 100b)와 같은 플렛폼 부재(12a, 12b)의 다양한 부분들에 대해서 병진 배치된다.
도 1, 2, 그리고 8을 참조하면, 사용 후에, 상기 장치(10a, 10b)는 도 2와 같은 개방 상태에서 도 8과 같은 닫힘 상태로 변환된다. 닫힘 상태에서 상기 포지셔너(18a, 18b)는 각각의 플렛폼 부재(12a, 12b)에 대해 병렬배치된다. 상기 어셈블리(10)를 용이하게 보관하고 운반하기 위하여, 닫힘 상태에 있는 장치(10a, 10b)가 함께 접혀 상기 장치(10a, 10b)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도 1 및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지셔너는 상기 장치의 플렛폼 또는 베이스로서 역할을 하여 상기 진동 플레이트(100)가 이 포지셔너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는 그의 다리를 앉은 상태에서 제거 가능한 패드(24)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진동 치료 장치(10a, 10b)는 피하정맥 혈전증을 치료 또는 발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피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는데 이용된다. 치료 시간과 및 하루 중 치료 횟수는 환자가 피하정맥 혈전증을 치료하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피하정맥 혈전증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것인지에 따라서, 환자의 나이에 따라서, 그리고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서, 그리고 환자의 몸무게(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환자의 경우 치료시간을 길게 한다)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2006년 7월 17일자로 미국에 출원된 그리고 그 전체 내용이 본 출원서에 인용된 것으로 하는 "치료 피드백 지시계를 가지는 동적 운동 치료장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에 의하여 또는 상기 장치(10a, 10b)에 제공된 통신회로를 통한 원격 연결에 의해서 상기 장치(10a, 10b)가 프로그램 될 수 있도록 한 세트의 사용방법을 알려줄 수 있는 메모리를 가지는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로세서는 치료 시작을 알려주는 알람 사운드를 생성하고 치료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자동으로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100a, 100b)의 작동을 멈추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내의 메모리는 환자의 치료와 관계된 데이타 및 다른 정보 (예를 들면, 환자의 이름, 나이, 처방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2006년 7월 17일자로 미국에 출원된 그리고 그 전체 내용이 본 출원서에 인용된 것으로 하는 "치료 피드백 지시계를 가지는 동적 운동 치료장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치료와 관련된 데이타는 떨어져 있는 관리기관에 전달된다.
본 개시에 몇몇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 실시예들이 본 개시를 한정하지는 않으며 그 범위가 더 넓게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단지 일예로서 제공된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되는 특허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9)

  1. 진동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와; 그리고
    환자의 몸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이웃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를 포함하는 진동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가 적어도 두 상태에 있을때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진동 치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상태중 제 1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는 실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와 직각을 이루는 진동 치료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상태중 제 2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는 실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와 병렬 관계를 이루는 진동 치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는 상기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진동 치료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상태중 제 1 상태에서, 환자의 몸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접촉하며, 제 2 상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접촉하지 않는 진동 치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피하정맥 혈전증을 치료하도록 되어 있는 진동 치료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 중 하나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진동 치료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진동 치료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는 환자의 몸체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진동 치료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드는 메모리폼 재료로 형성되는 진동 치료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너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진동 치료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제거 가능하며 그리고 일회용으로 되어 있는 진동 치료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을 더욱 포함하는 진동 치료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있는 진동 치료 장치.
  16. 진동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 1 플렛폼 부재와, 환자의 몸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이웃하게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 플렛폼 부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 는 제 1 포지셔너를 포함하는 제 1 진동 치료 장치와;
    진동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 2 플렛폼 부재와, 환자의 몸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에 이웃하게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 2 플렛폼 부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포지셔너를 포함하는 제 2 진동 치료 장치와;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 치료 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진동 치료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치료 장치를 상기 제 2 치료 장치와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진동 치료 어셈블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치료 장치 및 상기 제 2 진동 치료 장치는 적어도 두 위치에서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작동되는 진동 치료 어셈블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상태 중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렛폼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2 포지션너들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플렛폼 부재들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진동 치료 어셈블리.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상태 중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렛폼 부재들은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2 포지션너들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플렛폼 부재들에 대하여 병렬관계를 이루는 진동 치료 어셈블리.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치료 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위치부재와 상기 제 2 진동 치료 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위치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진동 치료 어셈블리.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2 포지셔너는 상기 제 1 및 제 2 플렛폼 부재와 병렬관계로 배치되면, 상기 제 1 진동 치료 장치는 상기 제 2 진동 치료 장치와 병렬관계를 이루는 진동 치료 어셈블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렛폼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형성하는 진동 치료 어셈블리.
  24. 진동 플레이스 어셈블리를 가지는 플렛폼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플렛폼 부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포지셔너를 이용하여 상기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 상측으로 환자의 몸체를 가이드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진동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치료를 제공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렛폼 부재에 대하여 상기 포지셔너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진동치료를 제공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몸체를 가이드 하는 단계는 환자가 상기 포지셔너상에 서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치료를 제공하는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몸체를 가이드 하는 단계는 환자의 다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플렛폼 부재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동치료를 제공하는 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렛폼 부재 상에 패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진동치료를 제공하는 방법.
  29. 제 24 항에 있어서, 치료와 관련된 데이타를 떨어진 관리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진동치료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87001375A 2005-07-18 2006-07-18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진동치료 기구 KR20080043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009205P 2005-07-18 2005-07-18
US60/700,092 2005-07-18
US70281505P 2005-07-27 2005-07-27
US70273505P 2005-07-27 2005-07-27
US60/702,815 2005-07-27
US60/702,735 2005-07-27
US83028606P 2006-07-11 2006-07-11
US60/830,286 2006-07-11
US11/488,227 2006-07-18
US11/488,227 US8603017B2 (en) 2005-03-07 2006-07-18 Vibrational therapy assembly for treating and preventing the onset of deep venous thrombo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299A true KR20080043299A (ko) 2008-05-16

Family

ID=3710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375A KR20080043299A (ko) 2005-07-18 2006-07-18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진동치료 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909731A1 (ko)
JP (1) JP2009501614A (ko)
KR (1) KR20080043299A (ko)
AU (1) AU2006270046A1 (ko)
BR (1) BRPI0612855A2 (ko)
CA (1) CA2614966A1 (ko)
IL (1) IL188881A0 (ko)
MX (1) MX2008000759A (ko)
WO (1) WO2007011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2711A2 (en) * 2011-02-15 2012-08-23 Wisys Technology Foundation, Inc. Vibration unit for musculoskeletal vibration system for jointed limbs
MX368585B (es) * 2013-06-03 2019-10-08 Sackner Marvin Dispositivo pasivo de trote simulad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5063A (en) * 1957-01-03 1958-07-29 Charles S Allen Exercising device
US3841320A (en) * 1973-08-30 1974-10-15 J Brown Kinesitherapy appliance
JPH0618596B2 (ja) * 1985-09-25 1994-03-16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ツサ−ジ機
JPH0260608A (ja) * 1988-08-25 1990-03-01 Adonisu Enterp Kk 高さ調節式フットレスト
JPH0647170Y2 (ja) * 1989-11-11 1994-11-3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変速機の集塵装置
JPH05317376A (ja) * 1992-05-26 1993-12-03 Daiyamondo Bed Kk バイブレータ付ベッド
US5716331A (en) * 1997-02-04 1998-02-10 Chang; Li-Hsia Massage device having a motor for vibrating and reciprocating a massage pad with protrusions
JP2001000496A (ja) * 1999-06-25 2001-01-09 Kyushu Hitachi Maxell Ltd マッサージ器
JP2001070383A (ja) * 1999-08-31 2001-03-21 Toshiba Tec Corp マッサージ器及び該マッサージ器を備えた椅子
JP2002153349A (ja) * 2000-11-21 2002-05-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体頭部支持装置
JP3648171B2 (ja) * 2001-04-20 2005-05-18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マッサージ装置
JP2002325808A (ja) * 2001-04-27 2002-11-12 Toshiba Tec Corp エアーマッサージ具及びエアーマッサージ機
JP4686084B2 (ja) * 2001-09-28 2011-05-18 タカノ株式会社 椅子
IL155639A0 (en) * 2003-04-29 2003-11-23 A thorny mosaic-like massaging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9731A1 (en) 2008-04-16
BRPI0612855A2 (pt) 2012-10-09
IL188881A0 (en) 2008-04-13
AU2006270046A1 (en) 2007-01-25
MX2008000759A (es) 2008-02-21
CA2614966A1 (en) 2007-01-25
JP2009501614A (ja) 2009-01-22
WO2007011885A1 (en)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3017B2 (en) Vibrational therapy assembly for treating and preventing the onset of deep venous thrombosis
US20080139979A1 (en) Vibrational therapy assembly adapted for removably mounting to a bed
US6752772B2 (en) Manipulation device with dynamic intensity control
US79428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apeutic treatment using a combination of ultrasound and vibrational stimulation
US8567407B1 (en) Internal pressure therapy apparatus
US72294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audible acoustic energy to increase tissue perfusion and/or vasodilation
US99498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knee rehabilitation
US8202237B2 (en) Portable air pulsator and thoracic therapy garment
KR102102551B1 (ko) 신체 펄스형성 기기 및 방법
KR20150056564A (ko) 공기 펄스형성기 제어 시스템
US200902040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Neck Tension or Neck Injury
US6669649B2 (en) Manipulation device with buoyancy breath monitor
KR20180042048A (ko) 기능성 침대
KR20150075338A (ko) 온열벨트가 있는 견인치료기
US20230061558A1 (en) Multiple actuator vibration therapy
WO1993024179A1 (en) Electromagnetic therapeutic device
KR20080043299A (ko) 피하정맥 혈전증의 치료 및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진동치료 기구
WO2019240665A1 (en) Vibroacoustic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restrictive pulmonary diseases and improving drainage function of lungs
CN101222896A (zh) 防治深静脉血栓症发作的振动治疗装置
RU22830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сажа
WO2017197911A1 (zh) 具有肢体康复功能的理疗装置
US118330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knee rehabilitation
KR100380816B1 (ko) 신체교정용 자중 견인침대
WO2003094820A2 (en) Manipulation device with dynamic intensity control
BR202018074087Y1 (pt) Equipamento de mobilização ativa e passiva de pés e tornozel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