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848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848A
KR20080041848A KR1020060109960A KR20060109960A KR20080041848A KR 20080041848 A KR20080041848 A KR 20080041848A KR 1020060109960 A KR1020060109960 A KR 1020060109960A KR 20060109960 A KR20060109960 A KR 20060109960A KR 20080041848 A KR20080041848 A KR 20080041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ircuit unit
hard
boar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3946B1 (ko
Inventor
정무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946B1/ko
Priority to JP2007003721A priority patent/JP2008124412A/ja
Priority to US11/701,219 priority patent/US20080106494A1/en
Priority to CNA2007100850311A priority patent/CN101178864A/zh
Priority to EP07251965A priority patent/EP1921907A3/en
Publication of KR2008004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전극과 인쇄회로 보드 사이의 접속 및 인쇄회로 보드들 사이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EMI 노이즈를 저감시키며, 부품 수의 감소로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대 쪽에서 상기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전극에 연결되는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60109960
표시전극, 유연회로, 경성 회로부, 연성 회로부, 유지 보드, 주사 보드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LASMA DISPLAY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표시전극의 접속 상태를 배면에서 보아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에서 경성 회로부와 연성 회로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Ⅵ-Ⅵ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의 Ⅶ-Ⅶ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 전면기판
12 : 배면기판 11a, 11b : 장변
11c, 11d : 단변 21 : 방열시트
22 : 샤시 베이스 22a, 22b : 장변
22c, 22d : 단변 23 : 인쇄회로 보드
23a : 어드레스 버퍼 보드 23b : 영상처리/제어 보드
23c : 전원 보드 24 보스
25 : 세트 스크류 26 : 양면 테이프
30 :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 31 : 유지 보드
131 : 경성 회로부 131a : 회로 패턴
131b : 기판 131c : 경성 단자
231 : 연성 회로부 231a : 제1 회로 패턴
231b, 231c : 필름 231d : 연성 단자
32 : 주사 보드 132 : 제1 경성 회로부
232 : 제1 연성 회로부 232a : 제2 회로 패턴
33 : 주사 버퍼 보드 133 : 제2 경성 회로부
233 : 제2 연성 회로부 40 : 표시전극
41 : 유지전극 41a : 단자
42 : 주사전극 42a : 단자
DC : 방전셀 DG : 방전갭
P : 피치 CB : 도전볼
ACF : 이방성도전필름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 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전극에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를 접속하여, 표시전극과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 사이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EMI 노이즈를 저감시키며, 부품 수의 감소로 원가를 절감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및 이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복수의 인쇄회로 보드들(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체방전을 통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이 플라즈마로부터 방사되는 진공자외선(VUV: Vacuum Ultra-Violet)으로 형광체를 여기시키며, 여기된 형광체의 안정화를 통하여 발생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가시광으로 영상을 구현한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체방전을 위하여, 방전셀에 대응하여 서로 교차하는 어드레스전극과 표시전극을 각각 구비한 2장의 글라스 기판을 서로 마주하여 서로 봉착(封着)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대하여 약한 기계적 강성을 가진다. 따라서 샤시 베이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하여 글라스 기판보다 기계적 강성이 큰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이 샤시 베이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는 기능에 더하여, 인쇄회로 보드들을 장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열을 방열시키는 기능, 및 전자기적간섭(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접지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샤시 베이스가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샤시 베이스의 전면(前面)에는 양면 테이프를 개재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되고, 이 샤시 베이스의 배면(背面)에는 인쇄회로 보드들이 장착된다.
이 샤시 베이스의 배면에는 복수의 보스들(boss)이 구비되고, 이 인쇄회로 보드들이 이 보스들 위에 놓여지며, 세트 스크류가 인쇄회로 보드들을 관통하여 보스에 체결된다. 따라서 인쇄회로 보드들은 샤시 베이스에 장착된다.
이 인쇄회로 보드들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위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로 구비된다. 즉 이 인쇄회로 보드들은 유지전극을 제어하는 유지 보드, 주사전극을 제어하는 주사 보드, 어드레스전극을 제어하는 어드레스 버퍼 보드를 포함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전극은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포함한다. 이 유지전극들에는 공통의 유지 전압이 인가되지만, 주사전극들에는 각각의 스캔 전압이 인가된다. 이 스캔 전압은 스캔 IC에서 발생되어 주사전극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주사 보드는 별도의 주사 버퍼 보드를 구비하고, 이 주사 버퍼 보드에 스캔 I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쇄회로 보드들은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레스전극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와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보드들에 인가하는 영상처리/제어 보드와, 각종 보드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보드를 포함한다.
이 유지 보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유지전극에 유연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와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된다. 주사 보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주사전극에 유연회로와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주사 보드와 주사 버퍼 보드는 유연회로와 커넥터를 통하거나, 케이블과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먼지나 이물질에 의하여 커넥터들 간의 체결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유지 및 주사 보드 사이 및 주사 보드와 주사 버퍼 보드 사이의 접속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EMI 노이즈를 발생시키며, 또한 부품 수의 증가로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전극에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를 접속하여, 표시전극과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 사이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EMI 노이즈를 저감시키며, 부품 수의 감소로 원가를 절감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대 쪽에서 상기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전극에 연결되는 경연성 인쇄회 로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는, 상기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는 경성 회로부와, 상기 경성 회로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표시전극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성 회로부는 평면 방향 끝에 형성되는 경성 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회로부는 상기 경성 단자들에 마주하여 형성되는 연성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잇다.
상기 경성 회로부는 휘어진 상기 연성 회로부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상기 끝을 곡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경성 회로부와 상기 연성 회로부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기 경성 단자와 상기 연성 단자를 연결하는 이방성도전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성 회로부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는 기판, 상기 회로 패턴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의 일측 끝으로 노출되는 경성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부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는 2장의 필름, 상기 회로 패턴에 연결되어 일측 상기 필름으로 노출되는 연성 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성 단자들과 연성 단자들은, 각각 소정의 피치를 가지고 서로 마주하며, 양자들 사이에 밀집 배치되는 도전볼들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부는 1개의 상기 경성 회로부에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전극은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회로부는, 복수의 상기 유 지전극들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전극은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회로부는, 복수의 상기 주사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제2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전극은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샤시 베이스는 서로 마주하는 2장변들과, 이 장변들과 수직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2단변들을 포함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는, 상기 유지전극에 연성 회로부로 연결되어 상시 샤시 베이스의 1단변 측에 경성 회로부로 장착되는 유지 보드와, 상기 주사전극에 제1 연성 회로부로 연결되고 상기 유지 보드와 마주하는 상기 샤시 베이스의 다른 1변 측에 제1 경성 회로부로 장착되는 주사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 보드는, 상기 제1 연성 회로부와 상기 제1 경성 회로부 사이에 연결되는 주사 버퍼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 버퍼 보드는, 상기 제1 연성 회로부와 상기 제1 경성 회로부 사이에 마주하는 상기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연성 회로부에 접속되는 제2 경성 회로부와, 상기 제2 경성 회로부와 상기 제1 경성 회로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 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체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방열시트들(21)과, 샤시 베이스(22)와, 인쇄회로 보드들(23) 및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들(30)을 포함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는 2개의 기판을, 예를 들면, 전면기판(11)과 배면기판(12)을 상호 봉착하여 형성된다. 도2를 참조하여, xy 평면을 기준으로 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서로 마주하는 2장변들과, 이 2장변들에 각각 직교하는 2단변들을 가지는 평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배면기판(12)이 은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므로 전면기판(11)을 기준을 설명하면, 전면기판(11)은 2장변들(11a, 11b)과, 이 2장변들(11a, 11b)에 각각 직교하는 2단변들(11c, 11d)을 가진다.
일례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은 기체방전을 발생시키도록 상호 교차하여 배치되는 표시전극(40)과 어드레스전극(미도시)을 구비하며, 상호 교차하는 위치에 방전셀들(DC)을 구비한다. 이 표시전극(40)은 방전셀(DC) 내에서 서로 마주하는 유지전극(41)과 주사전극(42)을 포함하고, 이 유지전극(41)과 주사전극(42)은 서로의 사이에 방전갭(DG)을 형성한다.
도3을 참조하여, xz 평면을 기준으로 보면, 표시전극(40)은 전면기판(11)과 배면기판(12)의 내부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표시전극(40)은 전면기판(11)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어 유전층(43)으로 덮혀진다. 편의상, 도3에는 표시전극(40)을 제외한 구성, 예를 들면 방전셀(DC) 및 어드레스전극과 같은 구성 요소가 생략되어 있다.
유지전극(41)과 주사전극(42)은 각각 전면기판(11)의 장변들(11a, 11b)과 평행한 상태로 x축 방향을 따라 신장 형성되고, 또한 y축 방향을 따라 서로의 사이에 방전갭(DG)을 형성한다. 유지전극(41)은 전면기판(11)의 2단변들(11c, 11d) 중에서 한쪽 단변(11c)으로 인출되어 전면기판(11)의 끝에 형성되는 단자(41a)에 연결된다. 주사전극(42)은 다른 단변(11d)으로 인출되어 전면기판(11)의 끝에 형성되는 단자(42a)에 연결된다.
다시,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방열시트들(2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기판(12)에 구비되어, 기체방전으로 인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발생되는 열을 xy 평면 방향으로 전도 확산시킨다. 이 방열시트(21)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도 및 확산시키도록 아크릴계 방열재, 그래파이트(graphite)계 방열재, 금속계 방열재, 또는 탄소나노튜브계 방열재와 같이은 재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3에서 방열시트(21)와 샤시 베이스(22)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 양자 사이에는 미세한 간격(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열 중 대부분의 열은 방열시트(21)를 통하여 확산 및 방사된다.
샤시 베이스(22)는 전면에 방열시트들(21)을 두고 양면 테이프(26)로 플라즈 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기판(12)에 부착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한다. 또한 샤시 베이스(2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반대 쪽 즉, 배면에 인쇄회로 보드들(23) 및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들(30)을 장착하고 있다. 따라서 샤시 베이스(22)는 전면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지지하고, 배면에 인쇄회로 보드들(23) 및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들(30)을 지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는 인쇄회로 보드들(23) 보다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들(30)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인쇄회로 보드들(23)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하여 복수의 인쇄회로 보드들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들(30)을 구비하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제어하기 위하여 모두 인쇄회로 보드들을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들(30)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일부에만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들(30)을 적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는 어드레스 버퍼 보드(23a)와 영상처리/제어 보드(23b) 및 전원 보드(23c)가 통상의 인쇄회로 보드(23)로 형성되고, 유지 보드(31)와 주사 보드(32)가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들(3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유지 보드(31)와 주사 보드(32)를 예로 들어, 이하에서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30)를 설명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들(30) 중, 유지 보드(31)는 일측으로 유지전극(41)의 단자(41a)에 연결되어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주사 보드(32)는 일측으로 주사전극(42)의 단자(42a)에 연결되어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유지 보드(31)와 주사 보드(32)는 각각 다른 일측으로 샤시 베이스(22)에 장착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샤시 베이스(22)를 먼저 설명하면, 샤시 베이스(22)는 서로 마주하는 2장변들(22a, 22b)과, 이 장변들(22a, 22b)과 수직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2단변들(22c, 22d)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전면기판(11)의 2장변들(11a, 11b)은 샤시 베이스(22)의 2 장변들(22a, 22b)에 대응하고, 전면기판(11)의 2단변들(11c, 11d)은 샤시 베이스(22)의 2 단변들(22c, 22d)에 대응한다.
도1을 참조하면, 유지 보드(31)는 샤시 베이스(22)의 1단변(22c) 측에 장착되고, 주사 보드(32)는 샤시 베이스(22)의 다른 1단변(22d) 측에 장착된다. 유지 보드(31)는 샤시 베이스(22)에 장착되는 경성 회로부(131)와(도1 참조), 유지전극(41)에 연결되는 연성 회로부(231)를 포함한다(도3 참조).
도4를 참조하면, 유지 보드(31)에서 경성 회로부(131)는 샤시 베이스(22)에 복수로 구비되는 보스들(24) 상에 놓여지고, 이 보스들(24)에 체결되는 세트 스크류들(25)에 의하여 고정된다. 연성 회로부(231)는 경성 회로부(131)에 일체로 연결되고 또한 유지전극(41)에 일체로 연결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경성 회로부(131)는 회로 패턴(131a)을 형성하는 기판(131b)과, 이 회로 패턴(131a)에 연결되어 기판(131b)의 일측 끝으로 노출되는 경성 단자들(131c)을 포함한다. 기판(131b)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경성 단자들(131c)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xy 평면 방향 끝에 형성된다.
도7을 참조하면, 연성 회로부(231)는 제1 회로 패턴(231a)을 형성하는 2장의 필름(231b, 231c)과, 이 제1 회로 패턴(231a)에 연결되어 한쪽 필름(231b)으로 노출되는 연성 단자들(231d)을 포함한다. 이 연성 단자들(231d)은 경성 단자들(131c)에 마주하여 형성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유지전극들(41)에는 공통 전압이 인가되므로 제1 회로 패턴(231a)은 복수의 유지전극들(41)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도2 참조). 즉 연성 회로부(231)은 하나로 형성되는 제1 회로 패턴(231a)을 가지고, 이 제1 회로 패턴(231a)에는 복수의 유지전극들(41)이 연결된다. 제1 회로 패턴(231a)을 가지는 연성 회로부(231)는 복수로 구비되어 하나의 경성 회로부(131)에 연결될 수 있다(도1, 도2 및 도4 참조)
이 경성 회로부(131)과 연성 회로부(231)는 각각 경성 단자들(131c)과 연성 단자들(231d)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경성 단자들(131c)과 연성 단자들(231d)은 각각 소정의 피치(P)를 가지고 서로 마주하며(도5 및 도6 참조), 양자들 사이에 밀집 배치되는 도전볼들(CB)에 의하여 연결된다(도6 및 도7 참조). 미세한 피치(P)를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경성 단자들(131c)과 연성 단자들(231d)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도전볼들(CB)은 이방성도전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예로 들수 있다.
유지 보드(31)의 경성 회로부(131)가 1단변(22c) 측 샤시 베이스(22)의 배면에 장착되고, 연성 회로부(231)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유지전극(41)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성 회로부(23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회로부(231)는 경성 회로부(131) 쪽에서 가상선 상태의 굽힘력을 받게 된다. 이때 휘어지는 연성 회로부(231)와 경성 회로부(131)의 간섭을 방지하여 연성 회로부(231)의 회로 패턴(231a)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경성 회로부(131)는 끝을 곡선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30) 즉, 경성 회로부(131)와 연성 회로부(231)가 접속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유지 보드(3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조립시, 커넥터를 제거하여 부품 수를 줄임으로서 경성 회로부(131)와 연성 회로부(231)의 연결 작업을 불필요하게 한다.
유지전극(41)과 유지 보드(31)의 경성 회로부(131)는 별도의 연결 작업없이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유지전극(41)과 경성 회로부(131) 사이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이물질이 유입처가 되거나 EMI 노이즈의 발원지가 되는 커넥터를 제거함으로써 EMI 노이즈를 저감시킨다.
도3을 참조하면, 유지전극(41)의 단자(41a)와 연성 회로부(231)의 접속부에는 제1, 제2 실링부(27a, 27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실링부(27a)는 전면기판(11)의 단변(11c)과 이에 인접하는 연성 회로부(231)의 일면 사이 공간을 채워 접속부에 이물질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실링부(27b)는 배면기판(12)의 과 이에 인접하는 연성 회로부(231)의 다른 일면 사이 공간을 채워 접속부에 이물질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제1, 제2 실링부(27a, 27b)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주사 보드(32)는 샤시 베이스(22)의 다른 1단변(22d) 측에 장착되며, 샤시 베이스(22)에 장착되는 제1 경성 회로부(132)와(도1 참조), 주사전극(42)에 연결되는 제1 연성 회로부(232)를 포함한다(도3의 유지 전극 연결 구조 참조). 또한, 주사 보드(32)는 주사 버퍼 보드(33)를 더 포함한다. 주사 버퍼 보드(33)는 제1 연성 회로부(232)와 제1 경성 회로부(132) 사이에 연결된다.
주사 보드(32)는 전체적으로 유지 보드(31)와 같은 구조로 샤시 베이스(22)에 장착되므로 여기서 동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유지 보드(31)와 비교하여 서로 다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주사 보드(32) 및 주사 버퍼 보드(33)는 유지 보드(31)와 같이 보스(24) 및 세트 스크류(25)로 샤시 베이스(22)에 장착된다.
유지전극들(41)과 달리 주사전극들(42)은 방전셀(DC)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각각 선택적으로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주사 보드(32)의 제1 연성 회로부(232)는 복수의 주사전극들(42) 각각에 연결되는 제2 회로 패턴(232a)을 구비한다(도2 참조). 제2 회로 패턴(232a)에 연결되는 연성 단자들(232d)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주사전극들(42) 각각에 독립적으로 접속된다.
주사 버퍼 보드(33)는 제2 경성 회로부(133)와 제2 연성 회로부(233)를 포함한다. 제2 경성 회로부(133)는 제1 연성 회로부(232)와 제1 경성 회로부(132) 사이 에 마주하는 샤시 베이스(22)에 장착되어, 제1 연성 회로부(232)에 접속된다. 제2 연성 회로부(233)는 제2 경성 회로부(133)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 경성 회로부(132)에 접속된다. 이로 인하여, 주사전극들(42)은 제1 연성 회로부(232), 제2 경성 회로부(133) 및 제2 연성 회로부(233)를 통하여 제1 경성 회로부(132)에 접속된다.
한편, 유지 보드(31)에 적용되는 경성 회로부(131)와 연성 회로부(231)의 연결 구조를 가지는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30)는 주사 보드(32) 및 주사 버퍼 보드(33)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유지 보드(31)의 경성 단자들(131c)과 연성 단자들(231d)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도전볼들(CB)은 주사 보드(32) 및 주사 버퍼 보드(33)의 제1, 제2 경성 회로부(132, 133)와 제1, 제2 연성 회로부(232, 233)를 접속하는 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유지 보드(31), 주사 보드(32) 및 주사 버퍼 보드(33)에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30)를 적용하는 경우, 유지전극(41) 및 주사전극(42)과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30) 각 사이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EMI 노이즈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를 샤시 베이스에 장착하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전극에 연결함으로서, 표시전극과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 사이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EMI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서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들 사이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EMI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를 적용함으로써 부품 수를 감소시켜 원가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화상을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대 쪽에서 상기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전극에 연결되는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는,
    상기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는 경성 회로부와,
    상기 경성 회로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표시전극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성 회로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 회로부는 평면 방향 끝에 형성되는 경성 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회로부는 상기 경성 단자들에 마주하여 형성되는 연성 단자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 회로부는 휘어진 상기 연성 회로부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상기 끝을 곡선으로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 회로부와 상기 연성 회로부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기 경성 단자와 상기 연성 단자를 연결하는 이방성도전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 회로부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는 기판,
    상기 회로 패턴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의 일측 끝으로 노출되는 경성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부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는 2장의 필름,
    상기 회로 패턴에 연결되어 일측 상기 필름으로 노출되는 연성 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성 단자들과 연성 단자들은,
    각각 소정의 피치를 가지고 서로 마주하며, 양자들 사이에 밀집 배치되는 도전볼들로 연결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부는 1개의 상기 경성 회로부에 복수로 연결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전극은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회로부는,
    복수의 상기 유지전극들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 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전극은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회로부는,
    복수의 상기 주사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제2 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전극은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샤시 베이스는 서로 마주하는 2장변들과, 이 장변들과 수직하면서 서로 마주하는 2단변들을 포함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연성 인쇄회로 보드는,
    상기 유지전극에 연성 회로부로 연결되어 상시 샤시 베이스의 1단변 측에 경성 회로부로 장착되는 유지 보드와,
    상기 주사전극에 제1 연성 회로부로 연결되고 상기 유지 보드와 마주하는 상기 샤시 베이스의 다른 1변 측에 제1 경성 회로부로 장착되는 주사 보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보드는,
    상기 제1 연성 회로부와 상기 제1 경성 회로부 사이에 연결되는 주사 버퍼 보드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버퍼 보드는,
    상기 제1 연성 회로부와 상기 제1 경성 회로부 사이에 마주하는 상기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연성 회로부에 접속되는 제2 경성 회로부와,
    상기 제2 경성 회로부와 상기 제1 경성 회로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성 회로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109960A 2006-11-08 2006-11-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43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960A KR100943946B1 (ko) 2006-11-08 2006-11-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003721A JP2008124412A (ja) 2006-11-08 2007-01-11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11/701,219 US20080106494A1 (en) 2006-11-08 2007-01-31 Plasma display device with partly rigid and partly flexible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ircuit board
CNA2007100850311A CN101178864A (zh) 2006-11-08 2007-02-28 等离子体显示装置
EP07251965A EP1921907A3 (en) 2006-11-08 2007-05-11 Plasma display device with partly rigid and partly flexible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ircuit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960A KR100943946B1 (ko) 2006-11-08 2006-11-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848A true KR20080041848A (ko) 2008-05-14
KR100943946B1 KR100943946B1 (ko) 2010-02-26

Family

ID=3835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960A KR100943946B1 (ko) 2006-11-08 2006-11-0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06494A1 (ko)
EP (1) EP1921907A3 (ko)
JP (1) JP2008124412A (ko)
KR (1) KR100943946B1 (ko)
CN (1) CN1011788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52B1 (ko) * 2008-03-07 2009-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8314785B2 (en) 2008-10-08 2012-11-20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KR20110055089A (ko) * 2009-11-19 201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0618Y2 (ko) * 1971-10-29 1976-12-04
JP2612968B2 (ja) * 1991-01-31 1997-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5592199A (en) * 1993-01-27 1997-01-07 Sharp Kabushiki Kaisha Assembly structure of a flat type device including a panel having electrode terminals disposed on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3659810B2 (ja) * 1998-08-05 2005-06-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二次元表示装置の駆動モジュール取付構造
JP3353719B2 (ja) * 1998-09-16 2002-12-03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電極端子取出し構造
JP2003195777A (ja) * 2001-12-25 2003-07-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JP2003309381A (ja) * 2002-04-15 2003-10-31 Mitsumi Electric Co Ltd 可撓性配線基板の配設構造
JP2004184805A (ja) * 2002-12-05 2004-07-02 Tohoku Pioneer Corp 導電配線の接続構造
JP4661028B2 (ja) * 2003-04-28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43900B1 (ko) * 2003-05-23 201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
JP2005049686A (ja) * 2003-07-30 2005-02-24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
KR100542190B1 (ko) * 2003-10-17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드라이버 ic 방열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151B1 (ko) * 2004-02-21 2006-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2234B1 (ko) * 2004-05-28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27287B1 (ko) * 2004-06-30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42192B1 (ko) * 2004-06-30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04B1 (ko) * 2004-11-17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4793B1 (ko) * 2004-12-07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릴상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와 이를 적용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1907A3 (en) 2010-11-24
EP1921907A2 (en) 2008-05-14
JP2008124412A (ja) 2008-05-29
US20080106494A1 (en) 2008-05-08
CN101178864A (zh) 2008-05-14
KR100943946B1 (ko) 201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3529B2 (en) Plasma display device
US7639489B2 (en) Plasma display device
US7453528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6492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8456384B2 (en) Plasma display device
JP200619545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80186662A1 (en) Plasma display device
JP200912889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8045342B2 (en) Plasma display device
US20070159777A1 (en) Chassis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9439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793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180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219227A1 (en) Plasma display device
US8193708B2 (en) Plasma display device
KR2008010554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00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9632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38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402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478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8776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3739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