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492A -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492A
KR20080039492A KR1020087006214A KR20087006214A KR20080039492A KR 20080039492 A KR20080039492 A KR 20080039492A KR 1020087006214 A KR1020087006214 A KR 1020087006214A KR 20087006214 A KR20087006214 A KR 20087006214A KR 20080039492 A KR20080039492 A KR 20080039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compressed air
tank
sulfur material
materia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타카 오오타
쥬니찌 츄시마
Original Assignee
신닛뽄 세끼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 세끼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 세끼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160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spraying of the material involving the use of an atomising fluid, e.g. air
    • B05B7/161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spraying of the material involving the use of an atomising fluid, e.g. air comprising means for heating the atomising fluid before mixing with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16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spraying of the material involving the use of an atomising fluid, e.g. air comprising means for heating the atomising fluid before mixing with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material to be sprayed and the atomising fluid being heated by independent sources of heat, without transfer of heat between atomising fluid and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16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material to be sprayed being heated in a container
    • B05B7/166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material to be sprayed being heated in a container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6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artificial stone
    • C04B41/6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6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6Implements for applying plaster,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 E04F21/08Mechanical implements
    • E04F21/12Mechanical implements acting by gas pressure, e.g. steam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2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lectrically, magnetically or electromagnetically, e.g. by ar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24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the carried liquid and the main stream of atomising fluid being brought together downstream of the container before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zzles (AREA)
  • Aftertreatme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t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된 유황 자재를 분무재로서 내부에 수용하는 자재 탱크(1)와, 이 자재 탱크(1)의 외주부를 유황의 융점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하여 내부의 유황 자재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도록 온도 조절 가능한 가온 히터(2)와, 상기 자재 탱크(1)의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 자재 탱크(1)내의 유황 자재를 이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하는 분사 노즐(3)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를 시공면에 분사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상온에서는 고체이고, 융점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됨으로써 용융되어 유동 상태가 되는 유황 자재를 분무재로 하여 시공면에 연속적으로 분사 가능하게 한다
Figure P1020087006214
유황 자재, 분사 노즐

Description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SURFUR MATERIAL SPRA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시공면으로 하여 분무재를 분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온에서는 고체이고, 융점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됨으로써 용융되어 유동 상태가 되는 유황 자재를 분무재로서 시공면에 연속적으로 분사 가능하게 하는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온에서는 고체이고,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됨으로써 용융되어 유동 상태가 되는 자재로서, 상온에서는 고체이고, 약119℃ 내지 159℃로 가열하면 용융되는 유황의 성질에 주목하고, 이 유황에 소정의 시료를 배합하여 토목용, 건설용 자재의 하나로서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상기 유황을 사용한 자재는 시멘트를 사용하는 통상의 콘크리트와 마무리나 취급이 유사해 보이기 때문에, 유황 콘크리트 또는 유황 고화체(固化體)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유황 고화체는 용융시킨 유황에 모래나 자갈, 석탄재 등을 혼합하여, 약 119℃ 내지 159℃를 유지하면서 배합한 후, 이것을 냉각 경화시켜 제조된다. 유황 고화체는 시멘트를 사용하는 통상의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배합에 의해, 통상의 콘크리트 이상(약 2배)의 압축 강도를 얻을 수 있다.
(2) 중성이기 때문에 산에 대하여 불활성이고, 따라서 산에 용해되지 않는다. 이것으로부터, 산성이 강한, 예를 들면 온천에 있어서의 자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3) 통상의 콘크리트는 경화시키는데 약 1 내지 4주가 소요되지만, 유황 고화체는 상온에서 몇 시간만에 경화한다.
또한, 최근 상기 유황 고화체를, 예를 들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분사하여, 그 구조물 표면에 소정 두께의 유황 고화체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이 경우, 분무재로서의 유황 고화체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분사하는 분사 장치가 필요하다. 여기서, 종래의 분사 장치로서는, 분무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탱크와, 이 탱크의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 탱크 내의 분무재를 그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하며, 통상의 도료 또는 몰탈 등을 분무재로서 시공면에 분사하는 것은 있지만(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3 참조), 유황 고화체를 분무재로 하는 분사 장치는 거의 제안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4-16069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1-3825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3-206632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황 고화체를 분무재로 하는 분사 장치의 경우에는 용융된 유황 고화체가 단시간에 경화하므로, 가열 또는 보온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탱크에서는 상기 유황 고화체를 시공면에 분사할 때에 분사 노즐에서 고화하거나 탱크 주위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고화하여, 상기 탱크 내에 수용된 분무제 전량(全量)을 분사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고화한 유황 고화체를 다시 가열기에 넣고 용융시키거나, 또는 탱크 외벽을 치는(beating) 등 유황 고화체를 탱크 내벽으로부터 박리하는 등의 여분의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용융된 유황 고화체를 시공면에 연속적으로 분사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처하고, 상온에서는 고체이고, 융점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됨으로써 용융되어 유동 상태가 되는 유황 자재를 분무재로서 시공면에 연속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는 용융된 유황 자재를 분무재로서 내부에 수용하는 자재 탱크와, 이 자재 탱크의 외주부를 유황의 융점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하여 내부의 유황 자재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도록 온도 조절 가능한 가온(加溫) 히터와, 상기 자재 탱크의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 자재 탱크내의 유황 자재를 이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를 시공면에 분사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자재 탱크의 내부에 용융된 유황 자재를 분무재로서 수용하여 두고, 온도 조절 가능한 가온 히터와, 상기 자재 탱크의 외주부를 유황의 융점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하여 내부의 유황 자재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자재 탱크의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 연결하여 일체적으로 장착되며,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분사 노즐에 의하여 자재 탱크 내의 유황 자재를 이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하여, 상기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를 시공면에 분사한다.
또한, 상기 자재 탱크 내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자재 탱크 내에 설치된 온도 검출 수단으로 자재 탱크 내부에 수용된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의 온도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자재 탱크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는 유황 자재 유출(流出)의 개폐 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자재 탱크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 설치된 개폐 밸브로 유황 자재의 유출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의 압축 공기 흡입구(inlet port) 근방에는 압축 공기의 유량 조절 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분사 노즐의 압축 공기 흡입구 근방에 설치된 유량 조절 밸브로,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구부는 착탈하여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분사 노즐의 분사구부를 다른 사양의 것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의 도중에는 이 압축 공기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공기 가온 히터가 설치되어 있다. 분사 노즐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의 도중에 설치된 상기 공기 가온 히터로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한다.
또한, 상기 공기 가온 히터로부터 분사 노즐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의 배관에는 이 압축 공기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 수단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 공기 가온 히터로부터 분사 노즐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의 배관에 부설된 상기 가열 수단으로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온도 조절 가능한 가온 히터로 자재 탱크의 외주부를 유황의 융점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하여 내부의 유황 자재를 용융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상온에서는 고체이고, 융점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됨으로써 용융되어 유동 상태가 되는 유황 자재를 분무재로 하여 시공면에 연속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재 탱크의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 연결되어 분사 노즐을 일체적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분사 장치 전체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1명의 작업자도 손에 잡고서, 좁은 장소에서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자재 탱크 내에 설치된 온도 검출 수단으로 그 내부에 수용된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의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가온 히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재 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유황 자재를 유황의 융점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자재 탱크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 설치된 개폐 밸브로, 유황 자재의 유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면에 대한 유황 자재의 분사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분사 노즐의 압축 공기 흡입구 근방에 설치된 유량 조절 밸브로,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면에 대한 유황 자재의 분사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분사 노즐의 분사구부를 다른 사양의 것과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구부의 노즐 구경을 변경하여, 분사 대상에 따라서 유황 자재의 분사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구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직선 형태의 노즐에 의하여 벽면·바닥면 등에 분사하거나 또는 상향 노즐에 의하여 천정면에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분사 노즐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의 도중에 설치된 공기 가온 히터로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 노즐부에 있어서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가 고화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공기 가온 히터로부터 분사 노즐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의 배관에 부설된 가열 수단으로,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 노즐 부에 있어서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가 더 고화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요 도이다.
도 2는 상기 분사 장치에 있어서의 자재 탱크 및 분사 노즐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분사 장치의 가온 히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분사 장치의 가온 히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분사 장치의 자재 탱크 및 분사 노즐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재 탱크 2 : 가온 히터
3 : 분사 노즐 3a : 노즐 본체부
3b : 분사구부 4 : 개폐 밸브
6 : 조작 레버 7 : 레버 로드
8 : 손잡이 9 : 온도 조절기
10 : 온도 센서 12 : 공기압축기
13a, 13b : 에어 호스 15 : 유량 조절 밸브
16 : 코크 핸들 18 : 공기 가온 히터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요도이다. 이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는 상온에서는 고체이고, 융점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됨으로써 용융되어 유동 상태가 되는 유황 자재를 분무재로 하여 시공면에 연속적으로 분사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재 탱크(1)와, 가온 히터(2)와, 분사 노즐(3) 구비하여 완성된다.
상기 자재 탱크(1)는 용융된 유황 자재를 분무재로서 내부에 수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할 수 있고, 소정의 용적(예를 들면. 1.5 내지 5 L)을 가지고 하단부측이 좁아지는 호퍼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무재로서의 유황 자재는 상온에서는 고체이고, 약 119℃ 내지 159℃에서 용융되는 유황의 성질을 이용하여, 119℃ 이상의 설정 온도범위 내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유황에 모래나 자갈, 석탄재 등을 혼합하고, 약 119℃ 내지 159℃를 유지하면서 배합하며, 이것을 냉각 경화시켜 제조한 유황 고화체라 불리는 것이다. 또는, 마찬가지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유황과, 이 용융 유황을 변성시키는 유황 개질제(改質劑)를 혼합하여 개질 유황을 제조하고, 이 개질 유황에 모래나 자갈, 석탄재 등을 혼합하여, 상기와 같이 가열하면서 배합하고, 이것을 냉각 경화시켜 제조한 개질 유황 고화체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와 같은 유황 고화체 또는 개질 유황 고화체를 소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하여,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로서 사용한다.
또한, 상기 분무재로서의 유황 자재는 순유황이어도 좋지만, 순유황에 올레핀계 탄화수소를 첨가한 개질 유황의 단체 또는 이것과 무기질 첨가재의 혼합물이 좋고, 이와 같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유황 고화체 또는 개질 유황 고화체의 피막은 차수성,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하고, 또한 콘크리트에 대한 부착력도 충분히 높으며, 방식재 피막으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한 것이 된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자재 탱크(1) 내부의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는 개폐 밸브(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 밸브(4)는 상기 자재 탱크(1) 하단부의 자재 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유황 자재의 유출량을 제어함으로써, 자재 탱크(1)의 상단 가장자리에 설치된 지지 부재(5)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면부에 대략 평행하게 장착된 조작 레버(6)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자재 탱크(1) 내부에 아래쪽으로 뻗은 레버 로드(7)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6)의 기단부를 화살표 A와 같이 아래로 누름으로써, 상기 레버 로드(7)에 의하여 개폐 밸브(4)를 들어올려, 상기 자재 탱크(1) 하단부의 자재 출구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 8은 상기 자재 탱크(1)의 손잡이를 나타낸다.
상기 자재 탱크(1)의 외주부 전체에는 가온 히터(2)가 감겨져 있다. 이 가온 히터(2)는 상기 자재 탱크(1)의 외주부를 유황의 융점(119℃)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하여 내부의 유황 자재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전열선 히터를 구비하고 있고, 온도 조절기(9)에 의하여 자재 탱크(1)의 외주부를 가열하는 온도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자재 탱크(1)의 내부에 수용된 유황 자재를, 고체 상태로부터 가열 용융하여 유동 상태로 하여도 좋고, 또는 별개의 가열 탱크 등으로 미리 가열 용융하여 유동 상태로 만들어서 상기 자재 탱크(1)의 내부에 수용된 유황 자재를 유동 상태로 유지하여도 된다. 상기 온도 조절기(9)의 설정 온도는, 예를 들면 140 내지 150℃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재 탱크(1) 내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온도 검출 수단)(10)가 세로 방향에 설치되어 있고, 이 온도 센서(10)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가 상기 온도 조절기(9)로 보내져서, 설정 온도가 되도록 조절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 11a는 상기 온도 센서(10)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온도 조절기(9)로 보내는 신호선을 나타내고, 부호 11b는 상기 온도 조절기(9)로부터의 가열 제어 신호를 가온 히터(2)로 보내는 제어선을 나타낸다.
상기 자재 탱크(1)의 하단부에는 분사 노즐(3)이 장착되어 있다. 이 분사 노즐(3)은 외부의 공기압축기(12)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 자재 탱크(1)내의 유황 자재를 상기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하는 것으로, 노즐 본체부(3a)와 분사구부(3b)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 본체부(3a)는 상기 자재 탱크(1)의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그 축심부에는 상기 공기압축기(12)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에어 호스(배관)(13a, 13b)와 연통하는 공기 유로(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노즐 본체부(3a)의 압축 공기 흡입구 근방에는 압축 공기의 유량 조절 밸브(15)가 설치되고, 이 유량 조절 밸브(15)를 상면에 설치된 코크 핸들(16)로 개폐 조작하게 되어 있다.
상기 분사구부(3b)는 노즐 본체부(3a)의 선단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축심부에는 상기 노즐 본체부(3a)의 공기류로(14)와 연통하는 분사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코크 핸들(16)을 여는 동시에, 상기 개폐 밸브(4)를 열어서, 상기 자재 탱크(1)로부터 흘러내리는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를, 분사 노즐(3) 내를 흐르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자재 출구(23)에 발생하는 부압으로 흡인하여 분사한다. 이 상태로, 상기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를 시공면에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구부(3b)는 착탈하여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압축기(12)는, 예를 들면 가솔린 엔진 구동 방식이고, 그 운전에 의한 분사 압력은 가변되는데, 예를 들면 5 내지 7 ㎏/㎠로 되어 있다.
상기 공기압축기(12)로부터 분사 노즐(3)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의 도중에는 공기 가온 히터(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가온 히터(18)는 상기 공기압축기(12)로부터 분사 노즐(3)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전열선 히터를 구비하고 있고, 압축 공기를 가열하는 온도가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그때의 실온(또는 상온)으로부터 유황의 융점 정도의 온도까지 가열한다.
또한, 상기 공기 가온 히터(18)로부터 분사 노즐(3)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의 에어 호스(13b)에는 이 압축 공기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 수단이 부설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에어 호스(13b)의 재료두께부 내에 전열선 히터를 매설한 것으로 하면 좋다. 이 경우에도, 그 내부를 통과하는 압축 공기를, 예를 들면 유황의 융점 전후의 온도 정도까지 가열하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자재 탱크(1) 및 분사 노즐(3) 그리고 가온 히터(2)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자재 탱크(1) 및 분사 노즐(3)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자재 탱크(1)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부가 원통 형태이고 하부가 원추 형태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호퍼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외측면에는 가늘고 긴 원통 모양의 손잡이(8)가 세로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손잡 이(8)의 원통 형상의 내부에는 내부에 스프링(20)을 삽입한 스프링 케이스(21)가 포개지는 식으로 끼워져 있고, 상기 스프링 케이스(21)의 머리부가 상기 손잡이(8)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스프링(20)의 스프링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자재 탱크(1)의 상기 손잡이(8) 근방의 상단 가장자리부에는 지지 부재(5)가 설치되고, 이 지지 부재(5)를 이용하여 조작 레버(6)가 상면부에 대략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조작 레버(6)의 대략 중앙부를 상기 지지 부재(5)의 홈에 끼우고, 조작 레버(6) 및 지지 부재(5)를 관통하여 분할핀(split pin)(22)을 끼움으로써, 이 분할핀(22)을 지축(支軸)으로 하여, 상기 조작 레버(6)가 지지 부재(5)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6)의 선단부에는 레버 로드(7)가 연결되어, 자재 탱크(1) 내부에서 아래를 향하여 뻗어 있고, 그 레버 로드(7)의 선단에는 개폐 밸브(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 밸브(4)는 상기 자재 탱크(1) 내의 하단부의 자재 출구(23)에 장착되는 밸브 패킹(24)에 접촉하여, 상기 자재 출구(23)를 개폐한다.
이 상태로, 상기 조작 레버(6)의 기단부 아래면은 상기 스프링(20)의 스프링력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프링 케이스(21)의 머리부에 의하여 밀어 올려지고, 이 조작 레버(6)의 선단부는 분할핀(22)을 지축으로 하여 아래로 눌려지고, 레버 로드(7)의 선단의 개폐 밸브(4)가 자재 출구(23)에 장착된 밸브 패킹(24)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레버(6)의 기단부를 화살표 A와 같이 아래로 누름으로써, 상기 레버 로드(7)에 의하여 개폐 밸브(4)를 들어 올릴 수 있고, 상기 자재 탱크(1) 하단부의 자재 출구(23)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분사 노즐(3)은 상기 자재 탱크(1)의 하단부의 자재 출구(23)에 연통되어 노즐 본체부(3a)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노즐 본체부(3a)의 내부에, 교체하여 공기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심(芯)(air core)(25)을 넣고, 그 선단측(도 2에 대해 왼쪽)에 베이스 캡(base cap)(26)을 로크너트(27)로 설치하고, 그 베이스 캡(26)의 선단에 분사구부(3b)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노즐 본체부(3a)의 기단부(도 2에 있어서 오른쪽)에서 압축 공기 흡입구 측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량 조절 밸브(15)를 내장하는 코크부(28)가 연결되어 있고, 상면에 설치된 코크 핸들(16)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15)를 개폐 조작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부호 29는 상기 자재 탱크(1)의 상단 개구부의 손잡이(8)측을 덮는 반달 모양의 뚜껑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가온 히터(2)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 가온 히터(2)는 러버(rubber) 히터라고 불리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하는 자재 탱크(1) 및 분사 노즐(3)의 바깥쪽 전체를 덮어 가열 보온하게 되어 있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재 탱크(1)용 덮개부(2a)와, 분사 노즐(3)용 덮개부(2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덮개부(2a)의 일부에 절개선(30)을 넣고, 덮개부(2b)의 일부에도 절개선(31)을 넣어, 이 절개선(30, 31)을 이용하여 덮개부(2a, 2b)를 열고, 각각 자재 탱크(1) 및 분사 노즐(3)의 바깥쪽에 덮어씌우게 되어 있다.
상기 자재 탱크(1)용의 덮개부(2a)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장재(32)와 외장재(33)와, 이 내장재(32)와 외장재(33) 사이에 끼워진 단열재(34)를 구비하고 있고, 이 단열재(34)의 내부에 전열선이, 예를 들면 코일 형태로 매설되 어 있고, 그 단부로부터 끌어낸 리드선(35a, 35b)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자재 탱크(1)용 덮개부(2a)의 하부와, 분사 노즐(3)용 덮개부(2b)에는 전열선은 매설되어 있지 않고, 단열재(34)로 보온만 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전열선을 매설하여 가열하여도 좋다.
도 4에 있어서, 분사 노즐(3)용 덮개부(2b)에서는, 도면의 왼쪽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화살표 B와 같이 보내져, 도면의 오른쪽 분사구부(3b)로부터 화살표 C와 같이 유황 자재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2b)의 길이 방향의 축은 자재 탱크(1)의 상하축에 대한 교차각 α가, 예를 들면 약 100도로 되어, 분사구부(3b)측이 약간 위쪽으로 향하게 되어 있다.
도 5는 자재 탱크(1) 및 분사 노즐(3)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는, 기본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분사 노즐(3)로부터의 분사 방향이 고정되어 있는 데 대하여,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그 분사 방향을 위쪽으로 가변된 것이다. 즉, 도 5에 있어서, 자재 탱크(1)의 하단부의 자재 출구(23)에 연통하여 장착된 노즐 본체부(3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T형 관이음부(36)를 패킹재(37)를 사이에 끼우고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이 T형 관이음부(36)의 내부에 공기심(25)을 넣고, 그 선단측(도 5에서 왼쪽)에 베이스 캡(26)을 로크너트(27)로 설치하며, 그 베이스 캡(26)의 선단에는 분사구부(3b)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T형 관이음부(36)의 기단부(도 5에서 오른쪽)에서 압축 공기 흡입구 측에는 유량 조절 밸브(15)(도 1 참조)를 내장하는 코크부(cock portion)(28)가 접속 되어 있고, 코크 핸들(16)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15)를 개폐 조작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T형 관이음부(36)를 손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분사 노즐(3)로부터의 분사 방향을 위쪽으로 적당한 각도만큼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분사 노즐(3)에 의하여, 유황 자재를 벽면 또는등에 분사할 뿐만 아니라, 분사 방향을 위쪽으로 하여 천정면에 분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먼저, 온도 조절기(9)에 전원을 투입하여 가온 히터(2)를 동작시켜 가열 상태로 하는 동시에, 공기압축기(12)를 운전하여 분사 노즐(3)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상태로 한다. 또한, 작업자는 자재 탱크(1)의 손잡이(8)을 잡고, 별개의 가열 탱크 등으로 미리 가열 용융하여 유동 상태로 된 유황 자재를 자재 탱크(1)의 내부에 적당량만 수용한다. 이 때, 상기 분사 노즐(3)의 코크 핸들(16)은 여전히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압축기(12)로부터의 에어 호스(13a, 13b)의 도중에 설치된 공기 가온 히터(18)는 필요에 따라서 전원을 온(ON)하고, 또한 분사 노즐(3)에 접속된 에어 호스(13b)에 부설된 가열 수단도 필요에 따라서 전원을 온(ON)하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코크 핸들(16)을, 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유량 조절 밸브(15)를 열고, 작업자는 자재 탱크(1)의 손잡이(8)를 잡으면서, 조작 레버(6)의 기단부를 화살표 A와 같이 아래로 누른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조작 레버(6)가 지지 부재(5)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하여, 조작 레버(6)의 선단부에 연결된 레버 로드(7)가 상승하고, 이 레버 로드(7)의 선단에 설치된 개폐 밸 브(4)를 들어올려서, 상기 자재 탱크(1) 하단부의 자재 출구(23)가 열린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자재 탱크(1)의 자재 출구(23)로부터 흘러내리는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를, 분사 노즐(3) 내를 흐르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자재 출구(23)에 발생하는 부압으로 흡인하여 분사한다. 이 상태로, 상기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를 시공면에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유황 자재의 분사를 정지하려면, 상기 조작 레버(6)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스프링(20)의 스프링력으로 스프링 케이스(21)의 머리부가 조작 레버(6)를 역방향으로 요동시켜, 레버 로드(7)의 선단의 개폐 밸브(4)로 자재 탱크(1) 하단부의 자재 출구(23)를 닫으면 좋다. 그 후, 코크 핸들(16)을 닫는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자재 탱크(1)의 외주부 전체에 가온 히터(2)를 감은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자재 탱크(1)을 구성하는 재료두께부 내에 절연한 상태로 전열선 히터를 매설하여도 좋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공기압축기(12)로부터의 에어 호스(13a, 13b)의 도중에 공기 가온 히터(18)를 설치하고, 분사 노즐(3)에 접속된 에어 호스(13b)에 가열 수단을 부설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에어 호스(13b)에 가열 수단을 부설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에어 호스(13a, 13b)의 도중에 공기 가온 히터(18)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Claims (7)

  1. 용융된 유황 자재를 분무재로서 내부에 수용하는 자재 탱크와,
    이 자재 탱크의 외주부를 유황의 융점 이상의 설정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하여 내부의 유황 자재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도록 온도 조절 가능한 가온 히터와,
    상기 자재 탱크의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 자재 탱크 내의 유황 자재를 이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를 시공면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탱크 내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용융 상태의 유황 자재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탱크 하단부의 자재 출구에는 유황 자재 유출의 개폐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의 압축 공기 흡입구 근방에는 압축 공기의 유량 조절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구부는 착탈하여 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의 도중에는 상기 압축 공기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공기 가온 히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온 히터로부터 분사 노즐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경로의 배관에는 이 압축 공기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KR1020087006214A 2005-08-26 2006-08-24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KR200800394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45823A JP2007054783A (ja) 2005-08-26 2005-08-26 硫黄資材の吹付け装置
JPJP-P-2005-00245823 2005-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492A true KR20080039492A (ko) 2008-05-07

Family

ID=3777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214A KR20080039492A (ko) 2005-08-26 2006-08-24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32596A4 (ko)
JP (1) JP2007054783A (ko)
KR (1) KR20080039492A (ko)
CN (1) CN101247896A (ko)
EA (1) EA200800671A1 (ko)
WO (1) WO20070238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525B1 (ko) * 2011-04-28 2013-04-19 한미이엔씨 주식회사 개질 유황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1688A (zh) * 2011-07-04 2013-01-09 青岛鼎基环境防护科技有限公司 硫磺改性复合涂料的雾化喷涂设备
CN102500490A (zh) * 2011-10-19 2012-06-20 玉环县正日塑机有限公司 高浓度硅油喷枪装置
CN105752942A (zh) * 2016-04-20 2016-07-13 广西大学 硫磺喷射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9939A (ja) * 1975-03-23 1976-09-29 Yasuyuki Sakurada Butsushitsuokanetsuyokaishitetososuruhoho to kyujobifunmatsunoseiho to sonosochinitsuite
US4613078A (en) * 1984-04-09 1986-09-23 Nordson Corporation Quick replaceable nozzle assembly
JPH07222942A (ja) * 1994-02-14 1995-08-22 Nagai Tekkosho:Kk 液体噴霧装置
JPH09187688A (ja) * 1996-01-10 1997-07-22 Synx Kk ワックス噴霧塗布装置
JP2001038254A (ja) 1999-08-02 2001-02-13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吹付け装置
JP2003206632A (ja) 2002-01-11 2003-07-25 Denki Kagaku Kogyo Kk 吹付け装置とそれを用いた吹付け工法
JP2004160693A (ja) 2002-11-08 2004-06-10 Ohbayashi Corp 硫黄固化成形体の接合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JP4040000B2 (ja) * 2003-09-11 2008-01-30 新日本石油株式会社 硫黄中間資材、硫黄資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38176A (ja) * 2004-02-27 2005-09-08 Ohbayashi Corp 硫黄吹付材の塗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525B1 (ko) * 2011-04-28 2013-04-19 한미이엔씨 주식회사 개질 유황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2596A4 (en) 2008-12-24
CN101247896A (zh) 2008-08-20
JP2007054783A (ja) 2007-03-08
EP1932596A1 (en) 2008-06-18
WO2007023885A1 (ja) 2007-03-01
EA200800671A1 (ru) 200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9492A (ko) 유황 자재의 분사 장치
US8057279B2 (en) Abrasive blasting system with remote flow control and method
KR101293153B1 (ko)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KR20080034917A (ko) 연료 분사 시스템
JP5095522B2 (ja) 混合比の制御が可能な塗装装置及び塗装方法
KR101828313B1 (ko) 에어 충돌방식 및 스태틱 방식을 채택한 복합형 분사장치
JP2012024682A (ja) 発泡ウレタン充填装置および発泡ウレタン充填用の注入ガン
JP2007222759A (ja) 硫黄資材の吹付け装置
US3248093A (en) Refractory slurry mixer and applicator
KR20100037423A (ko) 노면 도색용 도료 용융장치
KR101054789B1 (ko) 차선표시 시설장비
JP2008031689A (ja) マンホール内壁吹付け工法及び吹付け装置
CN101387348A (zh) 一种电热水器混水阀
JP2008019556A (ja) コンクリート表面層の施工方法
JP2005296896A (ja) 噴霧装置およびその取扱方法
EP2175339A1 (en) Device for preparing plastic mixture and method for preparing plastic mixture
KR20170099595A (ko) 스프레이건을 이용한 도장장치
KR102293040B1 (ko) 액상물질 토출장치
JP2006239521A (ja) アスファルト系塗布材の吹付け装置
KR101381554B1 (ko) 저녹스 버너 구동시스템
KR101866532B1 (ko) 수전 장치
KR101857645B1 (ko) 화이버 보강 로토 몰딩 방법
KR101582328B1 (ko) 진공을 이용한 용융 재료 정량 공급장치
KR20130046474A (ko) 중화제 자동투입장치
KR100855560B1 (ko) 이액혼합송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