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153B1 -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 Google Patents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153B1
KR101293153B1 KR1020110054870A KR20110054870A KR101293153B1 KR 101293153 B1 KR101293153 B1 KR 101293153B1 KR 1020110054870 A KR1020110054870 A KR 1020110054870A KR 20110054870 A KR20110054870 A KR 20110054870A KR 101293153 B1 KR101293153 B1 KR 10129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ylindrical
mixing
blade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956A (ko
Inventor
박원주
Original Assignee
(주)에이디엘알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디엘알앤에스 filed Critical (주)에이디엘알앤에스
Priority to KR1020110054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15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5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06Details; Accessories
    • B28C5/0812Drum mixer cover, e.g.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06Details; Accessories
    • B28C5/0856Supporting frames or structures, e.g. suppor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6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8Mixing in containers to which motion is impar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806Mixing in containers to which motion is imparted to effect the mixing rot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B28C5/1818Mobile or portable devices, e.g. on a wheelbarrow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6Monolithic refractories or refractory mortars, including those whether or not containing c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터블 내화물의 잘 교반될 수 있고, 내화물의 투입과 작동시 그리고 내화물을 외부로 꺼낼때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한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에 관한 것이며, 양측으로 바퀴(11)가 설치되어 이동가능하고, 네 모서리에 고정다리(12)가 설치되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10);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함체(21)의 중심에 회전축(22)이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축(22)에 교반날개(23)가 설치되며, 함체(21)의 바닥면 일측에 드레인판(28)이 형성되고, 드레인판(28)은 드레인레버(26)에 의하여 하향이동하여 내부의 내용물이 몸체(10)에 형성된 배출구(25)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드레인레버(26)는 상향 회전하도록 설치된 고정핀(27)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형혼합함(20); 내부에 제어부가 내장되고, 외면에 작동 스위치가 제어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원통형혼합함(20)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전기배전함(30); 원형 테두리(42)의 내측에 망(41)이 고정되고, 테두리(42)의 일측에 손잡이(43)가 형성되며, 원통형혼합함(20)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안전망(40); 원통형혼합함(20) 외측에 수직으로 연결부(51)가 형성되고, 연결부(51)의 내측으로 스위치봉(52)이 설치되되 스프링(53)에 의해 탄력지지되며, 스위치봉(52)의 상단은 돌출되어 안전망(40)의 테두리(42)에 의해 눌려지면서 전원이 연결되는 안전스위치(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 A mixing machine of Castable Refractories }
본 발명은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스터블 내화물의 잘 교반될 수 있고, 내화물의 투입과 작동시 그리고 내화물을 외부로 꺼낼때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한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화물은 고온에서 연화 또는 용융하기 어려운 비금속 무기재료를 말하며 영어로는 Refractory로서 “고온에서 잘 녹지 않는 물질”의 의미를 나타낸다. 고온에서 잘 녹지 않는 물질이라고 하는 것은 고온에서 열의 작용에 견디고, 용적의 변화도 작으며, 동시에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여 열의 급변에도 견디고, 접촉하는 가스(Gas) 및 용융체 또는 고체 등의 침식, 마모 등에 저항성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특성을 지닌 것을 내화물이라고 한다.
고온 내화도를 가져야 하는데 고온 내화도는 독일공업규격 (DIN) 제겔콘(SEGER CONE) 26번 이상 (SK26 : 1,580℃) 미국 공업 규격 (ASTM) 점토연와 P.C.E NO 15이상 (1,430℃) 의 것을 뜻하고, 용적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용적안정성은 열간 선팽창율, 잔존선팽창수축율, 하중연화점, 피로(CREEP)로 용적안정성을 판단한다.
최근에 와서는 내화벽돌과 같이 일정한 모양을 가지지 않고 분말 상태 그대로 현장에서 물 또는 다른 첨가제를 넣어서 혼합한 것을 필요한 형태로 사용하는 내화물을 많이 사용한다. 내화벽돌을 정형내화물이라고 하는데 반해서 이것을 부정형 내화물이라고 한다.
부정형 내화물에는 캐스터블 내화물, 플라스틱 내화물, 내화몰탈, 래밍재, 거닝내화물, 슬링재 등이 있다.
캐스터블 내화물(Castable Refractories)은 내화성 골재와 수경성시멘트를 혼합한 내화물과 물을 섞어 주입 시공하여 그대로 내화성 구조물로 사용하는 것이며, "유입하여 성형하는 내화물" 이라는 의미이다.
입도 조정된 내화성 골재와 적절한 결합재를 첨가 배합하고 수분 또는 특정의 액체를 첨가, 혼련, 시공함으로써 내화 구조체가 얻어지고, 최근에는 Patching시공, Spray기에 의한 분사 시공 방법이 사용되며 이와 같이 시공된 구조체가 단시간에 경화되어 강도와 내화성이 발현되는 내화물을 캐스터블 내화물이라 한다.
내화물을 분쇄한 골재에 결합재로 알루미나시멘트(때로는 황산염이나 규산나트륨)를 배합한 것으로 이른바 내화콘크리트로 쓰인다. 골재에는 여러가지 내화물이 쓰이는데 보통 점토질 고알루미나질을 사용한다. 내화성 열화성을 목적하는 캐스터블내화물과 경량과 단열성을 목적으로 하는 경량 캐스트블내화물이 있다.
이러한 캐스터블 내화물을 바르기 위하여 가압하에 운반 호스를 통하여 분배 노즐로 캐스터블 내화물을 운송하고, 캐스터블 내화물을 노즐에 의하여 도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캐스터블 내화물을 효과적으로 믹싱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치를 쉽게 이동하여 거닝 장소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고, 교반시 효과적으로 교반하여 잘 섞이도록 교반장치를 구성하고자 한다.
또한 안전망이 들리면 믹싱장치의 작동이 멈추게 하여 안전사고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이 있고, 내부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두어 별도의 물공급장치 없이 호스만 연결하면 물이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바퀴(11)가 설치되어 이동가능하고, 네 모서리에 고정다리(12)가 설치되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10);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함체(21)의 중심에 회전축(22)이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축(22)에 교반날개(23)가 설치되며, 함체(21)의 바닥면 일측에 드레인판(28)이 형성되고, 드레인판(28)은 드레인레버(26)에 의하여 하향이동하여 내부의 내용물이 몸체(10)에 형성된 배출구(25)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드레인레버(26)는 상향 회전하도록 설치된 고정핀(27)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형혼합함(20); 내부에 제어부가 내장되고, 외면에 작동 스위치가 제어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원통형혼합함(20)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전기배전함(30); 원형 테두리(42)의 내측에 망(41)이 고정되고, 테두리(42)의 일측에 손잡이(43)가 형성되며, 원통형혼합함(20)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안전망(40); 원통형혼합함(20) 외측에 수직으로 연결부(51)가 형성되고, 연결부(51)의 내측으로 스위치봉(52)이 설치되되 스프링(53)에 의해 탄력지지되며, 스위치봉(52)의 상단은 돌출되어 안전망(40)의 테두리(42)에 의해 눌려지면서 전원이 연결되는 안전스위치(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교반날개(23)는 회전축(22)과 연결된 중심부(23-1)의 둘레에 장날개(23-2) 중날개(23-3) 단날개(23-4)가 동일한 각도로 고정되고, 장날개(23-2)는 단부가 절곡되어 원통형혼합함(20) 내측벽면과 인접하여 회전하며, 중날개(23-3)의 일측에 지지대(23-5)로 교반보조날개(23-6)가 고정되고, 단날개(23-4)의 길이는 중날개(23-3)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단부에 교반보조날개(23-6)가 설치되며, 원통형함체(20)에 주입관(24)이 형성되고, 주입관(24)에 밸브(24-2)가 형성되어 물의 유입을 개폐하며, 주입관(24)과 물공급호스(60)가 연결구(61)로 연결되고, 밸브(24-2)는 전자식 밸브를 사용하되 전기박스(30)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믹싱작업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캐스터블 내화물을 효과적으로 믹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믹싱장치를 쉽게 이동하여 거닝 장소에 움직이지 않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반날개를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교반시 내화물이 잘 섞이고, 안전망이 들리면 믹싱장치의 작동이 멈추게 되어 안전사고가 원천적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주입관과 물공급호스에 의하여 원통형함체의 내부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별도의 물공급장치 없이 호스만 연결하면 물을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에서 드레인레버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에서 안전망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의 안전스위치를 도시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의 물공급호스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캐스터블 내화제를 거닝장치에서 분사할 수 있도록 수분과 혼합하여 믹싱하는 장치이고, 효과적인 믹싱이 이루질 뿐만 아니라 고속으로 회전하는 교반날개에 의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지 않도록 안전하게 구성하며, 거닝장소까지 직접 이동하여 교반할 수 있도록 이동성을 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믹싱장치 몸체(10)의 양측면으로 한쌍의 바퀴(11)가 설치되고,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다른쪽을 들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10)의 네 모서리에 고정다리(12)가 설치되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정다리(12)는 몸체(10)의 네모서리에 고정부(12-1)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부(12-1)에 지면안착부(12-3)가 고정된 원형봉이 나사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승강하게 된다. 원형봉의 상단에는 조절나사(12-2)가 형성되어 회전시키기 용이하다.
따라서 몸체(10)는 바퀴(11)에 의해 이동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 조절나사(12-2)를 회전시켜 바퀴가 지면에서 들리게 하여 안착시킨다.
원통형혼합함(20)은 몸체(10)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함체(21)로서, 상기 함체(21)의 중심에 회전축(22)이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구동장치는 몸체(10) 내부에 설치된다. 회전축(22)에 교반날개(23)가 설치되고, 함체(21)의 바닥면 일측에 드레인판(28)이 형성되어 교반된 내화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드레인판(28)은 드레인레버(26)에 의하여 하향이동하여 내부의 내용물이 몸체(10)에 형성된 배출구(25)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드레인레버(26)는 상향 회전하도록 설치된 고정핀(27)에 의해 고정된다. 드레인판(28)은 일측단에 지지봉이 고정되고, 지지봉은 원통형혼합함(20)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지지봉의 일단에는 수직으로 절곡된 드레인레버(26)가 형성되고, 드레인레버(26)를 옆으로 밀면 드레인판(28)이 회전되어 열리게 된다. 이때 드레인판(28)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핀(27)을 설치하는데, 고정핀(27)은 힌지부(27-1)에 의하여 상하이동이동하게 일단이 고정된다. 고정핀(27)은 평소에 드레인레버(26)에 가로질러 위치하고 있다가 드레인판(28)을 열때만 고정핀(27)을 들고 드레인레버(26)를 옆으로 밀어 드레인판(28) 지지봉을 회전시킨다.
고정핀(27)은 드레인레버(26)를 가로 질러 막고 있으므로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한 진동에도 열리지 않게 된다.
또한 드레인판(28)을 열었을 경우 몸체(10)에 형성된 배출구(25)를 통하여 배출된다.
전기배전함(30)은 원통형혼합함(20)의 외측면에 설치하되, 내부에 제어부가 내장되고, 전기배전함(30) 외면에 작동 스위치가 형성되어 제어부와 연결된다. 전기배전함(30)은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개폐하게 된다.
안전망(40)은 회전하는 교반날개(23)에 의하여 손이나 기타 신체 손상을 입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개방된 원통형혼합함(20) 상부에 덮는 것으로서, 원형 테두리(42)의 내측에 망(41)이 고정되고, 테두리(42)의 일측에 손잡이(4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43)를 사용하여 들거나 놓으면 원통형혼합함(20)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안전망(40)이 들리면 교반날개(23)의 작동을 멈추도록 안전스위치(50)가 형성되는데, 안전스위치(50)는 원통형혼합함(20) 외측에 수직으로 연결부(51)가 형성되고, 연결부(51)의 내측으로 스위치봉(52)이 설치되되 스프링(53)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이루어진다. 스위치봉(52)의 상단은 돌출되어 안전망(40)의 테두리(42)에 의해 눌려지면서 전원이 연결되고, 안전망(40)이 이탈되어 스위치봉(52)이 다시 위로 들리면 전원의 연결이 끊기게 되어 작동이 멈춘다.
이때 스위치봉(52)이 들리면 전원의 개폐 뿐만 아니라 비상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교반날개의 회전을 바로 멈출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교반날개(23)는 회전축(22)과 연결된 중심부(23-1)의 둘레에 장날개(23-2) 중날개(23-3) 단날개(23-4)가 동일한 각도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장날개(23-2)는 단부가 절곡되어 원통형혼합함(20) 내측벽면과 인접하여 회전하면서 벽면에 붙은 내화물을 교반시키게 된다.
그리고 중날개(23-3)는 장날개(23-2)보다 작게 형성하되 중날개(23-3)의 일측에 지지대(23-5)로 교반보조날개(23-6)가 고정된다. 교반보조날개(23-6)는 바닥면에 있는 내화물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회전하는 방향을 향하여 <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날개(23-4)의 길이는 중날개(23-3)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단부에 중날개(23-3)에 설치된 교반보조날개(23-6)가 동일한 회전 방향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원통형함체(20)에 주입관(24)이 형성되고, 주입관(24)에 밸브(24-2)가 형성되어 물의 유입을 개폐하며, 주입관(24)과 물공급호스(60)가 연결구(61)로 연결된다.
주입관(24)의 단부에 연결부(24-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4-1)와 맞물리는 연결부(61)가 물공급호스(60)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고정하게 된다.
밸브(24-2)는 일반 수동식 밸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전자식 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기박스(30)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믹싱작업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10 : 몸체 11 : 바퀴
12 : 고정다리 12-1 : 고정부
12-2 : 조절나사 12-3 : 지면안착부
20 : 원통형혼합함 21 : 함체
22 : 회전축 23 : 교반날개
23-1 : 중심부 23-2 : 장날개
23-3 : 중날개 23-4 : 단날개
23-5 : 지지대 23-6 : 교반보조판
24 : 주입구 24-1 : 연결부
24-2 : 밸브 25 : 배출구
26 : 드레인레버 27 : 고정핀
27-1 : 힌지부 28 : 드레인판
30 : 전기박스 40 : 안전망
41 : 망 42 : 테두리
43 : 손잡이

Claims (4)

  1. 양측으로 바퀴(11)가 설치되어 이동가능하고, 네 모서리에 고정다리(12)가 설치되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몸체(10);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함체(21)의 중심에 회전축(22)이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축(22)에 교반날개(23)가 설치되며, 함체(21)의 바닥면 일측에 드레인판(28)이 형성되고, 드레인판(28)은 드레인레버(26)에 의하여 하향이동하여 내부의 내용물이 몸체(10)에 형성된 배출구(25)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드레인레버(26)는 상향 회전하도록 설치된 고정핀(27)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형혼합함(20);
    내부에 제어부가 내장되고, 외면에 작동 스위치가 제어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원통형혼합함(20)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전기배전함(30);
    원형 테두리(42)의 내측에 망(41)이 고정되고, 테두리(42)의 일측에 손잡이(43)가 형성되며, 원통형혼합함(20)의 상부 개방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안전망(40);
    원통형혼합함(20) 외측에 수직으로 연결부(51)가 형성되고, 연결부(51)의 내측으로 스위치봉(52)이 설치되되 스프링(53)에 의해 탄력지지되며, 스위치봉(52)의 상단은 돌출되어 안전망(40)의 테두리(42)에 의해 눌려지면서 전원이 연결되는 안전스위치(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교반날개(23)는 회전축(22)과 연결된 중심부(23-1)의 둘레에 장날개(23-2) 중날개(23-3) 단날개(23-4)가 동일한 각도로 고정되고, 장날개(23-2)는 단부가 절곡되어 원통형혼합함(20) 내측벽면과 인접하여 회전하며, 중날개(23-3)의 일측에 지지대(23-5)로 교반보조날개(23-6)가 고정되고, 단날개(23-4)의 길이는 중날개(23-3)보다 작게 형성되어 그 단부에 교반보조날개(23-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원통형함체(20)에 주입관(24)이 형성되고, 주입관(24)에 밸브(24-2)가 형성되어 물의 유입을 개폐하며, 주입관(24)과 물공급호스(60)가 연결구(61)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밸브(24-2)는 전자식 밸브를 사용하되 전기박스(30)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믹싱작업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KR1020110054870A 2011-06-08 2011-06-08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KR10129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870A KR101293153B1 (ko) 2011-06-08 2011-06-08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870A KR101293153B1 (ko) 2011-06-08 2011-06-08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956A KR20120135956A (ko) 2012-12-18
KR101293153B1 true KR101293153B1 (ko) 2013-09-04

Family

ID=4790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870A KR101293153B1 (ko) 2011-06-08 2011-06-08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15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884B1 (ko) * 2014-01-03 2015-07-13 박종남 혼합믹서기
CN108858772A (zh) * 2018-07-19 2018-11-23 合肥欧仕嘉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预制砂浆高效搅拌釜
CN109129908A (zh) * 2018-07-30 2019-01-04 芜湖品源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装修用的原料搅拌机
CN110080068A (zh) * 2019-05-11 2019-08-02 哈尔滨职业技术学院 一种公路施工混凝土浇筑装置及操作方法
CN111805740A (zh) * 2020-07-21 2020-10-23 虹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固体废料路沿石及其制备设备
CN116175768A (zh) * 2023-01-29 2023-05-30 宜兴市凯达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耐火浇注料的混合搅拌方法、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653B1 (ko) * 2011-11-15 2013-11-27 (주)에이디엘알앤에스 프리믹서기를 이용한 내화물 시공 장치
KR101526241B1 (ko) * 2013-11-27 2015-06-05 주식회사메인테크 모르타르 혼합기
KR200488037Y1 (ko) 2018-04-06 2018-12-06 심상대 용광로의 내화물 자동 혼합장치
KR102034876B1 (ko) 2019-08-12 2019-10-21 (주)한성테크 혼련효율을 향상한 내화물 혼련장치
KR102030486B1 (ko) 2019-08-12 2019-10-10 (주)한성테크 개폐문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물 혼련장치
KR102308878B1 (ko) 2020-04-07 2021-10-06 (주)한성테크 내화물 혼련장치
CN111483058B (zh) * 2020-04-15 2021-05-18 杨长江 一种建筑用搅拌装置
CN112622047A (zh) * 2020-12-21 2021-04-09 安徽太基建设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连续墙混凝土制备用泥浆搅拌装置
CN113510846A (zh) * 2021-04-09 2021-10-19 江苏地控新材料科技有限公司 盾构施工沉降控制用支撑泥施工工艺
KR102499860B1 (ko) 2021-09-14 2023-02-16 (주)한성테크 분진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물 혼련장치
KR20230105502A (ko) 2022-01-04 2023-07-11 (주)한성테크 내화물 혼련장치의 제어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427U (ko) * 1995-10-28 1997-05-23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몰탈 반죽장치
KR200338444Y1 (ko) * 2003-10-06 2004-01-16 (주) 하렉스 콘크리트 혼합기
JP2005138919A (ja) * 2003-11-04 2005-06-02 Plibrico Japan Co Ltd 耐火材連続配合混合定量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427U (ko) * 1995-10-28 1997-05-23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몰탈 반죽장치
KR200338444Y1 (ko) * 2003-10-06 2004-01-16 (주) 하렉스 콘크리트 혼합기
JP2005138919A (ja) * 2003-11-04 2005-06-02 Plibrico Japan Co Ltd 耐火材連続配合混合定量供給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884B1 (ko) * 2014-01-03 2015-07-13 박종남 혼합믹서기
CN108858772A (zh) * 2018-07-19 2018-11-23 合肥欧仕嘉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预制砂浆高效搅拌釜
CN108858772B (zh) * 2018-07-19 2020-09-11 江苏晨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砂浆高效搅拌釜
CN109129908A (zh) * 2018-07-30 2019-01-04 芜湖品源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装修用的原料搅拌机
CN110080068A (zh) * 2019-05-11 2019-08-02 哈尔滨职业技术学院 一种公路施工混凝土浇筑装置及操作方法
CN111805740A (zh) * 2020-07-21 2020-10-23 虹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固体废料路沿石及其制备设备
CN116175768A (zh) * 2023-01-29 2023-05-30 宜兴市凯达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耐火浇注料的混合搅拌方法、设备
CN116175768B (zh) * 2023-01-29 2023-11-10 宜兴市凯达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耐火浇注料的混合搅拌方法、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956A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153B1 (ko) 캐스터블 내화물의 믹싱장치
KR101233690B1 (ko) 개질유황 고화체 제조시스템
ITFI940065A1 (it) Mescolatore a pale perfezionato, specialmente per edilizia
KR101128050B1 (ko)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JP3207180U (ja) キャスタブル耐火物混練装置
KR101587064B1 (ko)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의 일체형 믹싱 및 타설 장치 및 그 방법
CN203418639U (zh) 一种无机防火绝热板生产线
KR101218700B1 (ko) 믹싱 플랜트
KR200477980Y1 (ko)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CN107457899A (zh) 可移动式混泥土搅拌装置
KR200434373Y1 (ko) 섬유보강모르타르용 믹서
KR200460543Y1 (ko) 타일 부착용 접착제 믹싱장치
RU2348520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баросмесител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енобетона, бетонных смесей и строительных растворов
CN107399010A (zh) 一种泡沫混凝土搅拌机
CN207495787U (zh) 一种简易水泥沙石搅拌推车
JP2007203539A (ja) 硫黄資材融解装置
JP3113127U (ja) 連続練りミキサーとこれを用いたセメント注入装置
CN208263158U (zh) 搅拌机
CN205853087U (zh) 一种用于蒸压加气混凝土砌块生产的搅拌机
CN220261429U (zh) 用于石膏基体干粉砂浆的储存制备装置
CN216396237U (zh) 飞灰固化用混料机
CN214110897U (zh) 轨道交通预制板轨道结构自密实混凝土搅拌机
CN203752327U (zh) 连续立式混合机
CN111098406A (zh) 一种建筑工程用水泥搅拌装置
CN220634796U (zh) 一种高纯石英砂浮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