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239A - 카나비노이드 cb1 수용체의 효능제로서의(인돌-3-일)-헤테로사이클 유도체 - Google Patents

카나비노이드 cb1 수용체의 효능제로서의(인돌-3-일)-헤테로사이클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239A
KR20080038239A KR1020087006920A KR20087006920A KR20080038239A KR 20080038239 A KR20080038239 A KR 20080038239A KR 1020087006920 A KR1020087006920 A KR 1020087006920A KR 20087006920 A KR20087006920 A KR 20087006920A KR 20080038239 A KR20080038239 A KR 20080038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indole
mmol
chloro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데이빗 레트클리프
줄리아 아담-워랄
앵거스 존 모리스
스튜어트 존 프란시스
다카오 기요이
Original Assignee
엔.브이.오가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오가논 filed Critical 엔.브이.오가논
Publication of KR20080038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23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45Oxa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인돌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 염,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통증 치료 시 상기 인돌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8020634254-PCT00034
(식 중, A, X1, X2, X3, Y, R1, R2, R3 및 R4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

Description

카나비노이드 CB1 수용체의 효능제로서의 (인돌-3-일)-헤테로사이클 유도체{(INDOL-3-YL)-HETEROCYCLE DERIVATIVES AS AGONISTS OF THE CANNABINOID CB1 RECEPTOR}
본 발명은 인돌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치료 시, 특히 통증 치료 시 상기 인돌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통증 치료는 현재 사용가능한 약제의 부작용으로 인해 종종 제한을 받는다. 중간 내지 심한 통증에 대해서 오피오이드(opioid)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제제는 저렴하고 효과적이지만, 심각하며 잠재적으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부작용, 가장 두드러지게는 호흡 저하 및 근경직과 같은 부작용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투여될 수 있는 오피오이드의 투여량은 메스꺼움, 구토, 변비, 소양증 및 요폐에 의해 제한되는데, 왜냐하면 대개 환자들은 상기 괴로운 부작용을 겪는 것보다 최적에 못미치는 통증 억제를 선택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 부작용은 장기간 입원을 요하는 환자에게서 종종 발생한다. 오피오이드는 높은 중독성을 보이기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계획적으로 투여되는 약물이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제품에 비해 동등진통 용량에서 개선된 부작용 프로파일을 보이는 새로운 진통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카나비노이드 효능제(agonist)가 진통제 및 소염제로서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대한 증거는 축적되고 있다. 2가지 형태의 카나비노이드가 관련이 있는데, 이는 우선 중추신경계에 위치하나 말초 신경에 의해, 그리고 다소는 기타 말초 조직에서 발현되는 카나비노이드 CB1 수용체와, 대부분 면역 세포에 위치하는 카나비노이드 CB2 수용체이다(Howlett, A.C. 등에 의한 문헌[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XXVII. Classification of Cannabinoid Receptors. Pharmacol. Rev.54, 161-202, 2002]). 카나비노이드의 면역 및 소염 반응을 조절하는 데에는 CB2 수용체가 관련이 있으나,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효능제, 특히 CB1 수용체에서 작용하는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효능제가 통증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서 제안된 바 있다(Iversen, L. 및 Chapman, V.에 의한 문헌[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2, 50-55, 2002] 및 상기 문헌의 참조문헌을 참고).
WIN 55,212-2, 즉 (R)-(+)-[2,3-디히드로-5-메틸-[(모르폴리닐)메틸]피롤로[1,2,3-데]-1,4-벤즈옥사지닐]-(1-나프탈레닐)메타논의 메실레이트 염은 진통제로서 미국 특허 제4,939,138호(Sterling Drug Inc.)에 개시되었다. 이 화합물은 아미노알킬인돌의 프로토타입(prototype)으로서(Eissenstat, M.A 등에 의한 문헌[J. Med. Chem. 38, 3094-3105, 1995]), 이는 급성 통증, 만성 염증 통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동물 모델에서 모르핀과 효능이 동일한 항통각수용(antinociception)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카나비노이드 CB1 수용체 효능제이다.
대마 유사(cannabimimetic) 특성을 가진 아미노알킬인돌의 주요 구조 특 징(Adam, J. 및 Cowley, P.에 의한 문헌[Expert Opin. Ther. Patents, 12, 1475-1489, 2002])은 인돌 부분의 1번 위치에 아미노알킬 치환기가 있고, 인돌고리의 3번 위치에 추가의 벌키(bulky) 치환기가 있다는 것인데, 이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4,939,138호(Sterling Drug Inc.) 및 보다 최근의 W0 02060447(University of Connecticut)에 개시된 아미노알킬인돌 중의 아로일기에 의해, 또는 W0 0158869(Bristol-Myers Squibb)에 개시된 화합물 중의 치환 아미도기에 의해 예증된다. 최근, 3번 위치에 치환된 옥사디아졸-5-일 고리를 가지는 1-(아미노알킬)인돌 유도체가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조절자로서, 또한 진통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W0 0236590(Amrad Operations PTY Ltd.)에 개시되었다.
WO04000832(Akzo Nobel N.V.)에서, 1-[(인돌-3-일)카보닐]피페라진 유도체는 카나비노이드 수용체를 조정하는 진통제로서 개시되어 있다.
치료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증가된 수용성과 같은 개선된 특징을 가진 카나비노이드 효능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수술중(peri-operative)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증성 통증, 암 통증, 및 다발성 경화증과 관련된 통증 및 경직과 같은 통증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카나비노이드 CB1 수용체의 효능제로서의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인돌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20634254-PCT00001
식 중,
A는 5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고, 여기서 X1, X2 및 X3는 N, O, S 및 CR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은 존재하는 경우, H, 할로겐 또는 (C1 -4)알킬이고;
Y는 CH2, O, S 또는 SO2이고;
R1은 (C1 -4)알킬, (C1 -4)알킬옥시, CN 또는 할로겐이고;
R2는 H 또는 (C1 -4)알킬이거나; 또는
R2는 R3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및 질소 원자와 함께 4원∼7원 고리를 형성하고;
R3는 H, (C1 -6)알킬 또는 (C3 -7)사이클로알킬이고, 알킬기는 경우에 따라 OH, (C1-4)알킬옥시, (C1 -4)알킬티오, (C1 -4)알킬설포닐, CO-NR5R6, CO-OR7, CN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고;
R4는 CO-NR5R6, CO-OR7, SO2-R8, SO2-NR9R10 또는 CO-R11이거나; 또는
R4는 CO-NR5R6, CO-OR7, SO2-R8, SO2-NR9R10, NH-CO-R11, NH-SO2-R12 또는 2개의 OH 기로 치환되고, 경우에 따라 OH로 더 치환된 (C1 -3)알킬이거나; 또는
R4는 R3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N과 함께, 경우에 따라 O, S 및 SO2로부터 선택된 추가 헤테로원자를 보유하는 4원∼8원 고리를 형성하고, 이 고리는 CH2-OH, CO-NR13R14, CO-OR7, SO2-R8, SO2-NR9R10, NH-CO-R11 또는 NH-SO2-R12로 치환되거나; 또는 상기 고리는 NH-CO-R11 또는 NH-SO2-R12로 치환된 (C1 -3)알킬로 치환되고;
R5는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C1 -4)알킬옥시 또는 CONR7R8로 치환된 (C1-4)알킬 또는 H이고;
R6은 존재하는 경우, H 또는 (C1 -4)알킬이거나; 또는
R6은 R5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N과 함께, 경우에 따라 O, S 및 SO2로부터 선택된 추가 헤테로원자를 보유하는 4원∼8원 고리를 형성하고, 이 고리는 경우에 따라 OH로 치환되고;
R7은 존재하는 경우, H 또는 (C1 -4)알킬이고;
R8은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또는 (C1 -4)알킬옥시로 치환된 (C1 -4)알킬 또는 (C3 -7)사이클로알킬이고;
R9는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또는 (C1 -4)알킬옥시로 치환된 (C1 -4)알킬 또는 H이고;
R10은 존재하는 경우, H 또는 (C1 -4)알킬이고;
R11은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또는 (C1 -4)알킬옥시로 치환된 (C1 -4)알킬 또는 H이고;
R12는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또는 (C1 -4)알킬옥시로 치환된 (C1 -4)알킬이고;
R13은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C1 -4)알킬옥시 또는 CONR7R8로 치환된 (C1-4)알킬 또는 H이고;
R14는 존재하는 경우, H 또는 (C1 -4)알킬이거나; 또는
R14는 CO-NR13R14 기가 결합되어 있는 C 원자와 함께 5원 또는 6원 스파이로 고리를 형성하고;
단, Y가 SO2인 경우,
R4는 H, (C1 -6)알킬 또는 (C3 -7)사이클로알킬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알킬기는 경우에 따라 OH, (C1 -4)알킬옥시, (C1 -4)알킬티오, (C1 -4)알킬설포닐, CN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또는 R3은 R4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N과 함께, 경우 에 따라 O, S 및 SO2로부터 선택된 추가 헤테로원자를 보유하는 4원∼8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고리는 경우에 따라 OH로 치환된다.
화학식 I의 인돌 유도체의 정의에 있어서, 더 넓은 범위는 Y가 SO2를 의미하는 경우라는 조건에 의해 한정된다. 이 조건은 2005년 2월 28일에 출원한 국제 특허 출원 EP05/050833(AKZO NOBEL N.V.)에서 Y가 CH2, O 또는 S인 인돌 유도체에 관한 앞선 기재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정의에서 사용된 5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A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개∼3개의 헤테로원자를 보유하는 5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나타낸다. 이는 헤테로사이클 A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 X1, X2 및 X3 중 1 이상이 CR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헤테로사이클 A는 티오펜, 푸란, 트리아졸, 티아졸, 티아디아졸, 옥사졸, 옥사디아졸, 및 이소티아졸, 이소티아디아졸, 이속사졸 및 이속사디아졸을 비롯한 이들의 이성질체로부터 유도된 것들이다. 바람직한 헤테로사이클 A는 1,2,4-옥사디아졸(X1은 N이고, X2는 O이고, X3은 N임), 1,2,4-티아디아졸(X1은 N이고, X2는 S이고, X3은 N임) 및 티아졸(X1은 S이고, X2는 CR이고, X3은 N임)이다.
화학식 I의 정의에서 사용된 용어 (C1 -4)알킬은 부틸, 이소부틸, 3차 부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에틸 및 메틸과 같이 1개∼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분지 또는 비분지 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C1 -6)알킬은 마찬가지로 헥실, 펜틸, 부틸, 이소부틸, 3차 부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에틸 및 메틸과 같이 1개∼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분지 또는 비분지 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C3 -7)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부틸 및 사이클로프로필과 같이 3개∼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사이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용어 (C1 -4)알킬옥시, (C1 -4)알킬티오 및 (C1 -4)알킬설포닐에서, (C1 -4)알킬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용어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를 의미한다.
화학식 I의 정의에서, R2는 R3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및 질소 원자와 함께 4원∼7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포화 고리의 예로는 아제티디니-2-일, 피롤리딘-2-일, 피페리딘-2-일 및 아제핀-2-일이 있다.
화학식 I의 정의에서, R4는 R3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N과 함께, 경우에 따라 O, S 및 SO2로부터 선택되는 추가 헤테로원자를 보유하는 4원∼8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의 예로는 피롤리딘-1-일, 피페리딘-1-일, 아제핀-1-일, 모르폴린-4-일 및 티오모르폴린-4-일이 있다. 이 중 피롤리딘-1-일, 피페리딘-1-일 및 모르폴린-4-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정의에서, R6은 R5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N과 함께, 경우에 따 라 O, S 및 SO2로부터 선택되는 추가 헤테로원자를 보유하는 4원∼8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의 예는 피롤리딘-1-일, 피페리딘-1-일, 아제핀-1-일, 모르폴린-4-일 및 티오모르폴린-4-일이 있다. 이 중 모르폴린-4-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인돌 유도체의 정의에서, 치환기 R5, R6, R7 및 R8의 여러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대해, 의미는 치환기의 각각에 대해 정의된 의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R이 존재하는 경우, H이고; Y는 CH2, O 또는 SO2이고; R2는 H이거나; 또는 R2는 R3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와 함께 5원 고리를 형성하는, 화학식 I에 따른 인돌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헤테로사이클 A가 1,2,4-옥사디아졸(X1 N이고, X2O이고, X3 N임), 1,2,4-티아디아졸(X1은 N이고, X2는 S이고, X3은 N임), 티아졸(X1은 S이고, X2는 CR이고, X3은 N임) 또는 1,3,4-옥사디아졸(X1은 N이고, X2는 N이고, X3은 O임)인, 화학식 I에 따른 인돌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헤테로사이클 A가 1,2,4-옥사디아졸(X1은 N이고, X2는 S이고, X3은 N임) 또는 1,2,4-티아디아졸(X1은 N이고, X2는 S이고, X3은 N임)이고, 특히 그래서 R3이 경우에 따라 OH로 치환된 (C1 -6)알킬이고, R4가 SO2-R8이거나 또는 CO-NR5R6로 치환된 (C1 -3) 알킬일 때; 또는 R4가 R3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N과 함께 6원 고리를 형성할 때, 상기 고리가 CO-NR13R14로 치환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인돌 유도체는:
ㆍ7-클로로-3-[(5-{[4-(N-메틸)카복시아미도]피페리딘-1-일}메틸)-([1,2,4]-티아디아졸-3-일)]-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1H-인돌;
ㆍ7-클로로-3-[(5-{4-[(N-{2-히드록시}에틸)카복시아미도]피페리딘-1-일}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ㆍ7-클로로-3-[(5-{[N-(카복시아미도)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ㆍ7-클로로-3-({5-[(N-{[N-(카복시아미도)메틸]카복시아미도}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ㆍ7-클로로-3-({5-[(N-{[N-(2-히드록시에틸)]카복시아미도}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ㆍ7-클로로-3-({5-[(N-{2-히드록시}에틸)-(N-{메틸설포닐})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ㆍ7-에틸-3-[(5-{4-[(N-{2-히드록시}에틸)카복시아미도]피페리딘-1-일}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또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염이다.
본 발명의 인돌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유기 화학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인돌-3-일)-헤테로사이클 유도체는 화학 식 NHR3R4의 아민과 이탈기의 친핵성 치환에 의해,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여기서, L은 할로겐 또는 알킬설포네이트 기와 같은 이탈기임)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I(여기서, L은 알킬설포네이트기임)의 화합물은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할로겐화 알킬설포닐과의 반응에 의해 화학식 II(여기서, L은 히드록시임)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인돌-3-일)-헤테로사이클은 트리아세톡시수소화붕소나트륨과 같은 환원제의 존재하에 화학식 NHR3R4의 아민을 사용하여,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I(여기서, L은 히드록시임)의 화합물이 문헌[Burke D.S., Danheiser, R.L. Handbook of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 Oxidising and Reducing agents (Wiley: New York, 199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절한 산화제 및 환원제를 사용한 산화 및 환원에 의해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상호전환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화학식 II(여기서, L은 히드록시이고, R2 수소임)의 화합물은 적절한 환원제를 사용하여 환원 반응에 의해 하기 화학식 IV(여기서, R15는 수소 또는 (C1 -4)알킬임)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0634254-PCT00002
Figure 112008020634254-PCT00003
Figure 112008020634254-PCT00004
화학식 I, 화학식 II,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구성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V∼화학식 X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인 참조 문헌[Katritzky, A.R.: Comprehensive heterocyclic chemistry(First Edition, Pergamon Press, 1984, 특히 부피 4, Part 3, 1개의 산소, 황 또는 질소 원자를 가 진 5원 고리, 및 부피 6, Part 4B, 2 이상의 산소, 황 또는 질소 원자를 가진 5원 고리 참고)]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8020634254-PCT00005
Figure 112008020634254-PCT00006
Figure 112008020634254-PCT00007
Figure 112008020634254-PCT00008
Figure 112008020634254-PCT00009
Figure 112008020634254-PCT00010
Figure 112008020634254-PCT00011
Figure 112008020634254-PCT00012
R1, R2, L 및 Y가 앞서 정의된 의미를 가지고, R8이 H 또는 (C1 -4)알킬인, 화학식 V∼화학식 XII의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문헌의 방법 또는 이의 변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VI의 화합물은 적절한 용매에서 암모니아와 반응시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활성화 유도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VII의 화합물은 5황화인 또는 라웨슨 시약과 같은 티오화 시약을 사용하여 화학식 V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화학식 VII의 화합물은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에서 티오아세트아미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VI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탈수 반응에 의해 화학식 V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X의 화합물은 적절한 용매에서 히드록실아민과 반응시켜 화학식 Ⅸ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XI의 화합물(여기서, L은 NH2임)은 시안화물 음이온과 반응시켜 옥소아세토니트릴을 형성한 뒤, 활성탄 상 팔라듐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 가스와 같은 환원제를 사용하여 니트릴을 1차 아민으로 환원시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활성화 유도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XII의 화합물은 적절한 용매에서 히드록실아민과 반응시켜 화학식 VI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V의 화합물 및 화학식 XI의 화합물은 화학식 XIII의 화합물의 아실화 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V의 화합물(여기서, R8은 수소임)은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화학식 XIII의 화합물을 아실화시킨 뒤, 상승된 온도에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가수분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XI의 화합물(여기서, L은 염소임)은 피리딘과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염화클로로아세틸을 사용하여 화학식 XIII의 화합물을 아실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Ⅸ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필스마이어 반응을 사용하여, 포르밀화에 의해 화학식 XI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문헌[Jutz, Adv. Org. Chem. 9, pt.1, 225-342, 1976]을 참조).
선택적으로, 화학식 V의 화합물은 문헌[Wijngaarden 등(J. Med. Chem. 36, 3693-3699, 1993) 또는 Hwu 등(J. Org. Chem.59, 1577-1582, 1994)]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또는 이의 변형법을 사용하여 화학식 XIV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0634254-PCT00013
Figure 112008020634254-PCT00014
Figure 112008020634254-PCT00015
Figure 112008020634254-PCT00016
상기 화학식 XIII의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문헌의 방법 또는 이의 변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XIII의 화합물은 화학식 XV의 화합물을 알킬화시키고, 수소화나트륨과 같은 염기로 처리한 뒤, 화학식 XVI(여기서, Y는 앞서 정의한 의미를 가지며, L은 할로겐 또는 알킬설포네이트 기와 같은 이탈기임)의 알킬화제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XV의 화합물은 시중에서 입수가능하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방법 또는 이의 변형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화학식 XIII의 화합물은 피셔 인돌 합성 또는 이의 변형법을 사용하여 화학식 XIV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Chem. Rev. 69, 227-250, 1969).
화학식 XIV의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문헌의 방법 또는 이의 변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Ⅰ, 화학식 II, 화학식 III 또는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선택적으로 참조 일반적인 참조 문헌[Hegedus, L.S. Transition Metals in the Synthesis of Complex Organic Molecules(Second Edition, University Science: Sausalito 1999)]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이 금속 촉매화 커플링 반응을 사용하여 화학식 XV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스즈키 반응(Chem. Rev. 95, 2457-2483, 1995) 또는 이의 변형법을 사용하여, 화학식 XVII의 화합물(여기서, Y1은 할로겐임)과 화학식 XVIII의 화합물(여기서, Y2는 보론산 또는 보론산 에스테르임)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20634254-PCT00017
Figure 112008020634254-PCT00018
화학식 XVII의 화합물 및 화학식 XVIII의 화합물은 시중에서 입수가능하고,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문헌의 방법 또는 이의 변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XVII의 화합물(여기서, Y1은 브롬임)은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에서 브롬을 사용하여 화학식 XIII의 화합물을 브롬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인돌 질소는 아릴설포닐기와 같은 보호기를 사용하여 상술한 변형 도중 일시적으로 보호시키고, 탈보호화시킨 뒤, 합성의 후기 단계에서 알킬화시킬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보호기는 친전자체에 대한 인돌 고리의 반응성 및 중간체의 안정성을 변경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이해될 것이다. 적절한 보호기는 문헌[Kocienski, P.J.: Protecting Groups, Thieme, Stuttgart; New York, 1994]에 기재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화학식 Ⅰ의 다양한 (인돌-3-일)-헤테로사이클 유도체를 소정의 치환기 R3-R7에 해당하는 작용기의 적절한 전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R3 또는 R4가 경우에 따라 히드록실, (C1-4)알킬옥시, (C1-4)알킬티오, (C1 -4)알킬설포닐, CO-OR7, CONR8R9, 할로겐 또는 시아노로 치환된 C1∼C6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기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R3 또는 R4가 탄산칼륨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C1∼C6의 알킬 할라이드 또는 작용화 C1∼C6의 알킬 할라이드가 있는 수소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R4가 CONR5R6 또는 COOR7 또는 COR11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R4가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C1∼C4의 아실 클로라이드, 또는 무수물의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작용화 C1∼C4 아실 클로라이드가 있는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R4가 SO2R8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R4가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 에 C1∼C4, 또는 C3∼C7,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 설포닐 클로라이드 또는 작용화 C1∼C4 알킬 설포닐 클로라이드가 있는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R4가 SO2NR9R10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피리딘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R4가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설파미드 또는 작용화 설파모일 클로라이드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Ⅰ의 인돌 유도체 및 이의 염은 1 이상의 키랄성 중심을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비롯한 입체이성질체로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상술한 입체이성질체, 및 다른 거울상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는, 즉 5%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미만, 특히 1% 미만인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개별 R 및 S 거울상이성질체 각각 및 이들의 염,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라세미 혼합물을 비롯하여 임의 비율의 상기 거울상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순수 입체이성질체를 수득하는 비대칭 합성 또는 키랄 분리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키랄 매질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거나, 또는 키랄 반대 이온을 이용한 결정화에 의한 입체이성질체의 분리, 또는 키랄 유도를 이용한 합성 또는 시판되는 키랄 기재로부터 출발한 합성 등이 있다.
약학적 허용 염은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리 염기를, 무기 산(예,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및 황산), 또는 유기산(예,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타르타르 산, 락트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글리콜산, 숙신산, 프로피온산, 아세트산 및 메탄설폰산)으로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물, 에탄올 등과 같은 약학적 허용 용매를 가진 용매화 형태뿐 아니라 비용매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화 형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비용매화 형태와 동등한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약학적 허용 보조제 및 경우에 따라 기타 치료제와 함께, 화학식 Ⅰ에 따른 인돌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허용"이란,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혼화성이 있으며, 이의 수용자에게 해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 상기 조성물은 모든 투여용 단위 제형으로, 예컨대 경구, 설하, 피하, 정맥내, 경막외, 경막내, 근내, 경피, 폐, 국부 또는 직장 투여용 등으로 적절한 것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경구 경로이다.
경구 투여하기 위해, 활성 성분은 개별 단위로서, 예컨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용액, 현탁액 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예컨대 소정량의 주입액을 단일 투여 또는 다중 투여 용기로, 예컨대 봉인된 바이알 및 앰플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하기 전에 물과 같은 멸균 액상 담체를 첨가할 것만을 요하는 동결 건조된(lyophilized) 상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문헌[Gennaro, A.R. 등,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특히 Part 5 참조: Pharmaceutical Manufacturing)]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약학적 허 용 보조제와 혼합하는 경우, 활성 제제는 알약, 정제와 같은 고형 투약 단위로 압축하거나, 또는 캡슐, 좌제 또는 패치로 처리할 수 있다. 약학적 허용 액체에 의해, 활성 제제는 예컨대 용액, 현탁액, 에멀션 형태의 주입 제제로서, 또는 예컨대점비 스프레이와 같은 스프레이로서 가할 수 있다.
고형 투약 단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충전제, 착색제, 중합체 결합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의 사용을 고려한다. 일반적으로, 활성 화합물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어떠한 약학적 허용 첨가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제제를 고형 조성물로서 투여할 수 있는 적절한 담체에는, 적절한 양으로 사용되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서는 약학적 허용 분산제 및/또는 습윤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 등장성 염수액 및 주입가능한 멸균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약학 조성물용으로 적절한 포장재와 조합된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해 조성물 사용에 대한 설명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인돌 유도체는 인간 CB1 수용체 분석에서 CHO 세포를 사용하여 측정한 바와 같이, CB1 수용체의 효능제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조절자의 시험관내 생물학적 활성뿐 아니라 수용체 결합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발현된 수용체는 시험하고자 하는 화합물과 접촉시키고, 기능적 반응의 결합 또는 자극 또는 억제를 측정한다.
기능적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CB1 수용체 유전자를 코딩하는 단리된 DNA, 바람직하게는 인간 수용체를 적절한 숙주 세포에서 발현시킨다. 이러한 세포는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세포(Chinese Hamster Ovary cell)일 수 있으나, 다른 세포들도 적절하다. 바람직한 세포는 포유동물 기원인 것이다.
세포주를 발현하는 재조합 CB1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latest edition). 수용체 발현은 소정의 단백질을 코딩하는 DNA 발현에 의해 이루어진다. 추가 서열의 결찰 및 적절한 발현 시스템의 구성을 위한 기법 모두 현재 모두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소정의 단백질을 코딩하는 DNA의 일부 또는 모두를 표준 고상 기법을 사용하여 합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이한 결찰을 위해 제한 부위가 포함된다. 포함된 코딩 서열의 전사 및 번역을 위한 적절한 조절 요소를 DNA 코딩 서열에 제공할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박테리아와 같은 원핵 숙주, 및 효모, 식물 세포, 곤충 세포, 포유동물 세포, 조류 세포 등과 같은 진핵 숙주를 비롯한 광범위한 숙주와 융화성이 있는 발현 시스템을 현재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시험 화합물과 접촉시켜, 기능적 반응의 결합, 또는 자극, 또는 억제를 관찰한다.
선택적으로, 발현된 CB1(또는 CB2) 수용체를 보유하는 단리된 세포막을 화합물의 결합을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결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방사성 또는 형광 표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 다.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방사능 표지된 카나비노이드 프로브는 [3H]CP55940으로서, 이는 CB1 및 CB2 결합 부위에 대해 대략 동일한 친화도를 보인다.
예컨대 cAMP 또는 MAP 키나제 경로에서의 수용체 매개 변화 측정과 같이, 2차 메신저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기능적 CB1 효능제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숙주 세포의 세포 표면 상에 CB1 수용체를 발현시키고, 상기 세포를 시험 화합물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뒤 2차 메신저 반응을 측정한다. 2차 메신저의 수준은 수용체에 대한 결합 시 시험 화합물의 효과에 따라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노출된 세포에서, 예컨대 cAMP 수준을 직접 측정하는 것 외에, DNA를 코딩하는 수용체로 감염시키는 것 외에 발현이 수용체 활성화와 관련이 있는 리포터(reporter) 유전자를 코딩하는 제2 DNA로 감염시킨 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포터 유전자 발현은 2차 메신저의 변화 수준에 반응하는 어떠한 반응 요소로도 조절될 수 있다. 적절한 리포터 유전자에는, 예컨대 LacZ, 알칼리 포스파타제, 반딧불이 루시퍼라제 및 녹색 형광 단백질이 있다. 이러한 전사활성화 측정법(transactivation assay)의 원리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문헌[Stratowa, Ch, Himmler, A. 및 Czernilofsky, A.P., Curr. Opin. Biotechnol. 6, 574 (1995)]에도 기재되어 있다. CB1 수용체에 대한 활성 효능제 화합물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EC50 값이 < 10-5 M, 바람직하게는 < 10-7 M이어야 한다.
화합물은, 예컨대 수술중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증성 통증, 암 통증, 및 다발성 경화증과 관련된 통증 및 경직과 같은 통증의 치료 시 진통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나비노이드 효능제는 잠재적으로 다발성 경화증, 경직, 염증, 녹내장, 메스꺼움 및 구토, 식욕 부진, 수면 장애, 호흡기 질환, 알러지, 간질, 편두통, 심혈관 질환, 퇴행성신경 질환, 불안 장애, 외상성 뇌 손상 및 발작과 같은 다른 질환의 치료에도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오피오이드와 같은 진통제 약물, 및 COX-2 선택적 억제제를 비롯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NSAID)과 같은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증상을 완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충분한 양으로 인간에게 투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인간에 대한 투여 수준은 체중 1 kg당 0.001 ㎎∼50 ㎎, 바람직하게는 체중 1 kg당 0.01 ㎎∼20 ㎎ 범위일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일반적인 방법
- 달리 언급하지 않는다면 Emrys OptimizerTM(Personal Chemistry)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파 반응을 수행하였다.
-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 겔 상에서 수행하였다.
- 반분취용 ( semi - preparative ) 고압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반분취용 HPLC)는 하기에 약술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방법 (i): Waters Xterra(RP18, 5 ㎛) 30 ㎜ ×100 ㎜; 25 분간 10%∼100% 구배의 아세토니트릴-물; 25 ㎖/분;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완충액; 254 ㎚에서 UV로 검출.
방법 (ⅱ): Waters Xterra(RP18, 5 ㎛) 30 ㎜×100 ㎜; 25 분간 10%∼100% 구배의 아세토니트릴-물; 25 ㎖/분;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pH 10으로 조정된, 5 mM 암모늄 중탄산염 완충액; 254 ㎚에서 UV로 검출.
1H NMR 커플링 상수는 Hz로 나타낸다.
중간체의 제조.
I : 톨루엔-4- 설폰산 테트라히드로피란 -4- 일메틸 에스테르 중간체의 합성 방법
p-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29.8 g, 157 mmol)는 디클로로메탄(200 ㎖) 중 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메탄올(20.0 g, 172 mmol) 및 피리딘(25.2 ㎖, 313 mmol)의 혼합물에 일부씩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시킨 뒤, 염산 수용액(2 M; 100 ㎖)으로 켄칭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층은 디클로로메탄(2×100 ㎖)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합하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켰다. 디클로로메탄:헵탄(5:1)으로부터의 재결정화로 톨루엔-4-설폰산 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모액은 n-헵탄 중 50% 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더 정제하여, 추가량의 톨루엔-4-설폰산 테트라 히드로-피란-4-일-메틸 에스테르(총 수율 41.6 g, 154 mmol)를 수득하였다.
II : 톨루엔-4- 설폰산 1,1- 디옥소 - 헥사히드로 -1- 티오피란 -4- 일메틸 에스테르 중간체
단계 A : 테트라히드로 - 티오피란 -4- 카보니트릴
디메톡시에탄(2.5 L) 중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4-온(75 g, 646 mmol) 및 톨루엔설포닐메틸 이소시아나이드(138.6 g, 710 mmol)의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tert-부탄올(1.3 L) 중 칼륨 tert-부톡시드(145 g, 1.29 mol)의 용액을 적하방식으로 첨가하였다. 그 다음 이 혼합물을 실온으로 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디에틸에테르(3 L)로 희석시키고, 포화 중탄산나트륨(2 x 1.5 L)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진공 중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담갈색 오일로서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4-카보니트릴(88.3 g, 646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B : 테트라히드로 - 티오피란 -4- 카복시산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4-카보니트릴(646 mmol)의 용액을 일정량 넣고 물(1.1 L) 중 수산화나트륨(258.4 g, 6.46 mol)의 혼합물을 빠르게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 2 시간 동안 90℃로 가열하고, 0℃로 냉각시키고, 농축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2로 하였다. 그 다음 에탄올을 진공 중에서 제거하고, 그 현탁액을 디클로로메탄(3 x 1 L)으로 추출하였다. 그 다음 합한 유기 추출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켜 갈색 고체로서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4- 카복시산(96 g, 646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C : ( 테트라히드로 - 티오피란 -4-일)-메탄올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1.5 L) 중 보란 디메틸설파이드 착물(73.5 ㎖, 775 mmol)의 용액을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300 ㎖) 중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4-카복시산(646 mmol)의 용액으로 15 분에 걸쳐 적하방식으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상기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70℃로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품이 멎을 때까지 적하방식으로 물을 첨가하여 켄칭하였다. 그 다음 추가량의 물(500 ㎖)을 넣고,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그 다음 잔여물을 염산 용액으로 희석시켜 산성화하고, 디클로로메탄(3 x 500 ㎖)으로 추출하였다. 그 다음 합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이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여 갈색 오일로서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4-일)-메탄올(90.2 g, 646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D : (1,1- 디옥소 - 헥사히드로 -1- 티오피란 -4-일)-메탄올
물(3 L) 중 과요오드산나트륨(304 g, 1.42 mol)의 용액을 메탄올(1.7 L) 중 (테트라히드로-티오피란-4-일)-메탄올의 용액으로 처리하고, 이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그 다음 과요오드산나트륨(10 g)을 첨가하고, 추가 1 시간 동안 가열을 계속하고,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그 다음 생성된 입자성 잔여물을 연속적으로 일정량의 디에틸에테르(2 x 500 ㎖), 디클로로메탄(2 x 500 ㎖) 및 메탄올(2 x 500 ㎖) 중 50%(v/v)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흔들었다. 그 다음 남아있는 잔여물을 18 시간 동안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한 연속 추출로 처리하고, 초기 용매 추출액과 합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정체 시 결정된 오렌지색 오일로서 (1,1-디옥소-헥사히드로-1-티오피란-4-일)-메탄올(106.2 g, 646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E : 톨루엔-4- 설폰산 1,1- 디옥소 - 헥사히드로 -1- 티오피란 -4- 일메틸 에스테르
클로로포름(1.5 L) 중 (1,1-디옥소-헥사히드로-1-티오피란-4-일)-메탄올(105 g, 640 mmol), 피리딘(155 ㎖, 1.92 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5 g, 20.5 mmol)의 용액을 15 분에 걸쳐서 p-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244 g, 1.28 mol)로 일부씩 처리하였다. 이 혼합물을 72 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2 x 1 L),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1 L)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이 유기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고, 오일성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 60%(v/v) n-헵탄으로 흔들어 여과하여 갈색 고체를 얻었다. 이것을 최소한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4 L)로 용출하는 셀라이트 패드를 통과시켰다. 그 다음 이 용매를 용액 부피가 750 ㎖가 될 때까지 진공 중에서 제거하고, n-헵탄(1.5 L)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여, 모래 빛깔의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130 g, 408 mmol)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1.80-2.00 (3H, m), 2.07-2.15 (2H, m), 2.46 (s, 3H), 2.90-3.09 (m, 4H), 3.90 (2H, d, J 6.3), 7.36 (2H, d, J 8.1) 및 7.78 (2H, d, J 8.2).
실시예 1
7- 클로로 -3-({5-[ N -(모르폴린-1- 일카복시아미도 ) 메틸 ] 아미노메틸 }-([1,2,4]- 티아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A : 7- 클로로 -1 H -인돌-3- 카복시산
디메틸포름아미드(60 ㎖) 중 7-클로로인돌(7.1 g, 47.0 mmol)의 용액을 질소 하에 5℃로 냉각시키고, 온도를 10℃ 이하로 유지하면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7.6 ㎖, 54.0 mmol)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5∼10℃에서 교반하고, 그 다음 물(600 ㎖)에 부었다. 생성된 현탁액을 15 분간 교반하고, 7-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1H-인돌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중성화하였다. 축축한 고체를 4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0 ㎖) 중에 현탁시키고, 1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이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디에틸 에테르(2 x 100 ㎖)로 세척하였다. 그 다음 수층을 5 M 염산을 사용하여 pH 1로 산성화하고, 생성된 미세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중성화하고 건조시켜, 분홍색 고체로서 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7.5 g, 38.0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B : 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7- 클로로 -1 H -인돌-3- 카복시산
디메틸포름아미드(100 ㎖) 중 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7.5 g, 38.0 mmol)의 용액에, 질소 하에 10℃에서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물, 3.1 g, 76.0 mmol)을 10 분에 걸쳐 일부씩 첨가하고, 온도를 15℃ 이하로 유지하였다. 냉각 베스를 제거하고, 현탁액을 90 분간 교반하였다. 톨루엔-4-설폰산 테트라히드로-4-일메틸에스테르(14.6 g, 53.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50℃에서 가열하였다.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잔여물을 물(500 ㎖)에 용해시켰다. 에멀젼을 디클로로메탄(2 x 100 ㎖)으로 세척하였 다. 수층을 5 M 염산을 사용하여 pH 1로 산성화하고,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중성화하고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15.0 g, 51.0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C : 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7- 클로로 -1 H- 인돌-3- 카복시산 아미드
얼음물 냉각하에 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15.0 g, 51.0 mmol) 및 디클로로메탄(300 ㎖)의 혼합물에 옥사일 클로라이드(9.0 ㎖, 102 mmol)를 적하방식으로 첨가하고, 이 생성된 혼합물을 18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및 과량의 옥사일 클로라이드를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얻어진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300 ㎖)과 혼합하였다. 암모니아 수용액(200 ㎖)을 첨가하고, 탄산칼륨(13.5 g, 102 mmol)을 넣었다. 생성된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 아미드(8.0 g, 27.0 mmol)를 얻었다. 남아있는 여과액을 물(2 x 100 ㎖)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켜 갈색 고체로서 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 아미드(5.0 g, 17.0 mmol)를 수득하였다.
단계 D : 7- 클로로 -3-([1,3,4]-옥사티아졸-2-온-5-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테트라히드로푸란(100 ㎖) 중 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 아미드(8.0 g, 27.0 mmol)의 현탁액에 클로로카보닐설페닐 클로라 이드(4.7 ㎖, 55.0 mmol)를 넣고, 이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가열하여 환류시키고 냉각시켰다. 이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5-(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1,3,4]-옥사티아졸-2-온(5.3 g, 15.0 mmol)을 얻었다. 이 여과액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n-헵탄 중 5%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그 다음 건조시켜 분홍빛 고체로서 7-클로로-3-([1,3,4]-옥사티아졸-2-온-5-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2.6 g, 7.0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E : 7- 클로로 -3-({5- 에틸카복실레이트 }-([1,2,4] 티아디아졸 -3-일))-1-(테 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H-인돌
m-크실렌(10 ㎖) 중 7-클로로-3-([1,3,4]-옥사티아졸-2-온-5-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0.79 g, 2.0 mmol)의 현탁액에 에틸시아노포메이트(2.2 ㎖, 23 mmol)를 넣고, 이 반응에 Emrys Optimizer EXPTM를 사용하여 15 분간 180℃에서 마이크로파를 방사하였다. 이 반응을 동일한 스케일로 10차례 반복하고, 합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여 백색 고체로서 7-클로로-3-({5-에틸카복실레이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7.1 g, 17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F : 7- 클로로 -3-({5- 히드록시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테트라히드로푸란(80 ㎖) 및 메탄올(80 ㎖) 중 7-클로로-3-({5-에틸카복실레 이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7.1 g, 17.0 mmol)의 냉각 용액(얼음/메탄올 베스)에 수소화붕소나트륨(1.9 g, 50.0 mmol)을 일부씩 첨가하였다. 이 반응을 18 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 다음 1 M 염산(20 ㎖)으로 켄칭하였다. 메탄올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진공 중에 제거하고, 디클로로메탄(200 ㎖) 및 2 M 염산(50 ㎖)을 첨가하였다. 이 유기층을 분리하고, 염수(50 ㎖)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여물을 n-헵탄 중 20%∼50%(v/v) 에틸아세테이트로 용출하는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옅은 분홍색 고체로서 7-클로로-3-({5-히드록시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6 g, 10.0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G : 메탄설폰산 3-(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7- 클로로 -1H-인돌-3-일)-[1,2,4] 티아디아졸 -5- 일메틸 에스테르
디클로로메탄(150 ㎖) 중 7-클로로-3-({5-히드록시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6 g, 10.0 mmol)의 냉각 용액(얼음/메탄올 베스)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0.97 ㎖, 12.0 mmol) 및 트리에틸아민(2.6 ㎖, 20.0 mmol)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이 반응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 다음 분별 깔대기에 부었다. 유기층을 5% 탄산나트륨 수용액(2 x 100 ㎖), 염수(1 x 100 ㎖)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여 메탄설폰산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4.6 g, 10.0 mmol)를 얻고,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 였다.
단계 H : 7- 클로로 -3-({5-[ N -(모르폴린-1- 일카복시아미도 ) 메틸 ] 아미노메틸 }-([1,2,4]-티아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1-메틸-2-피롤리딘온(4 ㎖) 중 메탄설폰산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0.20 g, 0.45 mmol)의 용액에 2-아미노-(1-모르폴린-4-일)에타논 히드로클로라이드(0.98 g, 0.54 mmol) 및 탄산칼륨(0.90 g, 0.68 mmol)을 넣었다. 이 반응을 18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디클로로메탄(8 ㎖)으로 희석시키고, 5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시켰다. 이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이 메탄올성 암모니아 용액을 증발시켜, 유리 염기로서 표제 화합물(115 ㎎, 0.23 mmol)을 수득하였다. 이 유리 염기(0.04 g, 0.08 mmol)를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염화수소(디에틸에테르 중 2 M 용액; 1.0 ㎖, 2.0 mmo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시키고, 디에틸에테르 중 30%(v/v) 디클로로메탄으로부터 재결정하여 1:1 히드로클로라이드로서 표제 화합물(0.02 g, 0.037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90.3[M+H]+.
실시예 2
(+/-)-7- 클로로 -3-[(5-{2- 카복시피롤리딘 -1-일}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메탄설폰산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3-일)- [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1 ; 단계 1G ; 0.08 g, 0.18 mmol)를 아세토니트릴(2 ㎖) 중에 용해시켰다. DL-프롤린(0.1 g, 0.9 mmo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50℃에서 20 분간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이 혼합물을 여과하고 반분취용 HPLC(방법 i)에 의해 정제하여, 1: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으로서 표제 화합물(0.005 g, 0.009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61.0[M+H]+.
실시예 3
7- 클로로 -3-[(5-{4- 스파이로[(2-피롤리딘온)-3-일]피페리딘 -1-일} 메틸 )-([1,2,4]-티아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 라이드 염
메탄설폰산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1 ; 단계 1G ; 0.10 g, 0.23 mmol)를 1-메틸-2-피롤리디논(1 ㎖) 및 4-스파이로-[3-(2-피롤리딘온)]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0.21 g, 1.1 mmol) 중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0.30 g, 2.3 mmo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00℃에서 5 분간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이 혼합물을 5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반분취용 HPLC(방법 ⅱ)로 정제하여 유리 염기로서 표제 화합물(0.03 g, 0.062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500.0[M+H]+.
실시예 3A
( S )-7- 클로로 -3-[(5-{[({ N - 카복시아미도 } 메틸 )-2- 카복스아미드 ] 피롤리딘 -1-일}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드로클로라이드 염
4-스파이로-[3-(2-피롤리딘온)]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H-Pro-Gly-OH를 사용하여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7-클로로-3-[(5-{[({N-카복시}메틸)-2-카복스아미드]피롤리딘-1-일}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을 제조하였다. 7-클로로-3-[(5-{[({N-카복시}메틸)-2-카복스아미드]피롤리딘-1-일}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5 ㎎, 0.068 mmol)을 디클로로메탄 중 용해시키고, 옥사일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0.012 ㎖, 0.14 mmol), 반응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및 과량의 옥사일 클로라이드를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얻어진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10 ㎖)과 혼합하였다. 암모니아 수용액을 첨가하고, 반응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분별 깔대기로 옮기고, 물(2 x 10 ㎖)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진공 중에 농축시켰다. 반분취용 HPLC(방법 ⅱ)로 정제하여 유리 염기로서 표제 화합물(0.008 g, 0.015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517.2[M+H]+, [a]D 22 +1.7°(메탄올 중 c=0.60 ㎎/㎖).
실시예 4
( R )-7- 클로로 -3-[(5-{[3- N - 아세틸아미노 ] 피롤리딘 -1-일} 메틸 )-([1,2,4]- 티아 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메탄설폰산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1 ; 단계 1G ; 100 ㎎, 0.227 mmol)를 디클로로메탄(1 ㎖) 중에 용해시키고, 3(R)-(+)-아세트아미도피롤리딘(0.145 g, 1.14 mmo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00℃에서 3 분간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그 다음 이 반응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분별 깔대기로 옮기고,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5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70.1 ㎎, 0.148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74.0[M+H], [a]D 22 +28.8(메탄올 중 c=2.60 ㎎/㎖).
실시예 4A
7- 클로로 -3-[(5-{2-( R )-[ 히드록시메틸 ] 피롤리딘 -1-일} 메틸 )-([1,2,4]- 티아디 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실시예 4 의 방법을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고, 3-아세트아미도피롤리딘 대신에 L-(+)-프롤리놀을 사용하여 HPLC(방법 ⅱ)에 따라 정제하였다. EsIMS: m/z: 447.0[M+H]
실시예 5
7- 메톡시 -3-[(5-{[( N - 카복시아미도 ) 메틸 ] 메틸아미노 }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
7-클로로인돌 대신에 7-메톡시인돌을 사용하여 실시예 1 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메탄설폰산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메톡시-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106 ㎎, 0.25 mmol)를 아세토니트릴(2 ㎖) 중에 용해시키고, 마이크로파 바이알로 옮겼다. N-메틸 글리신 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53 ㎎, 1.26 mmol) 및 탄산칼륨(174 ㎎, 1.26 mmol)을 넣고, Emrys Optimizer EXPTM을 사용하여 30 분간 150℃에서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유리 염기를 반분취용 HPLC(방법 i)로 정제하여 1: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으로서 표제 화합물(17.4 ㎎, 0.03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52.1[M+Na]+, 429.8[M+H]+
실시예 6
7- 클로로 -3-[(5-{ N -[2- 메틸설폰아미도 ] 에틸렌아미노 } 메틸 )-([1,2,4]- 티아디 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2 ㎖)/아세토니트릴(2 ㎖) 중 메탄설폰산 3-[7-클로로-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1 ; 단계 1G ; 44 ㎎, 0.10 mmol), 탄산칼륨(55 ㎎, 0.4 mmol) 및 N-(메탄 설폰아미도)에틸렌디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염(35 ㎎, 0.20 mmol)의 혼합물을 10 분간 160℃에서 마이크로 방사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5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메탄올성 암모니아 용액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n-헵탄 중 67∼100%(v/v) 에틸 아세테이트, 그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중 10%(v/v) 메탄올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 염기를 수득하였다. 디에틸에테르(5 ㎖) 중 유리 염기의 용액에 염화수소(디에틸에테르 중 1 M 용액; 1 ㎖)를 첨가하여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의 형성을 달성하였다. 이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시켜 1:1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표제 화합물(10 ㎎, 0.022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506.0[M+Na]+, 484.4[M+H]+.
실시예 6A
7- 클로로 -3-[(5-{[( N - 카복시아미도 ) 메틸 ]아미노}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N-(메탄설폰아미도)에틸렌디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대신에 글리신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6 의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EsIMS: m/z 442.1[M+Na]+, 420.0[M+H]+.
실시예 7
7- 클로로 -3-({5-[( N -{2- 메톡시 }에틸)-( N -{ 메틸설포닐 })아미노] 메틸 }- ([1,2,4]-티아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테트라히드로푸란(2 ㎖) 중 메탄설폰산 3-[7-클로로-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1 ; 단계 1G ; 60 ㎎, 0.14 mmol) 및 2-메톡시에틸아민(41 ㎎, 0.54 mmol)의 혼합물을 10 분간 160℃에서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5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용출하였다. 이 메탄올성 암모니아 용액을 진공 중에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 0∼10%(v/v) 메탄올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7-클로로-3-[(5-{[N-(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58 ㎎, 0.14 mmol)을 얻었다. 디클로로메탄(2 ㎖) 중 7-클로로-3-[(5-{[N-(2-메톡시에틸)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58 ㎎, 0.14 mmol), 트리에틸아민(17 ㎎, 0.17 mmol) 및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19 ㎎, 0.17 mmol)의 혼합물을 18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과량의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를 메탄올(0.5 ㎖)로 켄칭하고, 혼합물을 n-헵탄 중 33∼67% (v/v)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7 ㎎, 0.074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521.0[M+Na]+, 499.1[M+H]+.
실시예 7A
7- 클로로 -3-[(5-{[( N -{ 카복시아미도 } 메틸 )]-( N -{2- 메톡시에틸설포닐 })아미 노}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7-클로로-3-[(5-{N-[(카복시아미도)메틸]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시예 6A) 및 2-메톡시에탄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7 의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EsIMS: m/z 564.0[M+Na]+, 542.0[M+H]+.
실시예 8
7- 클로로 -3-[(5-{ N -[(2- 설폰아미도 )-2- 메톡시에틸 ] 에틸렌아미노 } 메틸 )-([1,2,4]-티아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10 ㎖) 중 N-(2-tert-부톡시카보닐)-에틸렌디아민(0.63 ㎖, 4.00 mmol) 및 트리에틸아민(0.67 ㎖, 4.80 mmol)의 용액에, 0℃에서 2-메톡시에탄설포닐 클로라이드(761 ㎎, 4.80 mmol)를 넣고, 이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물로 구분하였다. 수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진공 중에서 농축시켜 N-(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2-메톡시에탄설폰아미드를 얻었다. 메탄올(8 ㎖) 중 N-(2-ter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2-메톡시에탄설폰아미드 및 5 N HCl(8 ㎖)의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그 다음 1 시간 동안 50℃에서 교반하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켜 N-(2-아미노에틸)-2-메톡시에탄설폰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얻었다. 표제 화합물의 유리 염기는 메탄설폰산 3-[7-클 로로-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 및 N-(2-아미노에틸)-2-메톡시에탄설폰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사용하여 실시예 6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얻어진 표제 화합물의 미정제 유리 염기를 반분취용 LCMS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을 산출하였다. EsIMS: m/z 528.0[M+H]+.
실시예 9
7-에틸-3-[(5-{[ N -( 카복시아미도 ) 메틸 ]- N- 메틸아미노 } 메틸 )-([1,2,4]- 티아디 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H-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7-클로로인돌 대신에 7-에틸인돌을 사용하여 실시예 1 에 따라 제조된 메탄설폰산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에틸-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30 ㎎, 0.07 mmol)를 5 ㎖ 마이크로파 바이알 중 무수 디클로로메탄(1 ㎖) 중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을 첨가하고(70 ㎎, 0.51 mmol), N-메틸 글리신 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26 ㎎, 0.21 mmo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3 분간 100℃에서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물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구분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증발시켰다. 미정제 오일을 n-헵탄 중 50%∼100%(v/v)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는 2 g SCX 칼럼 및 2 g Si계 단리 칼럼 상에서 예비정제하였다. 유리 염기를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에테르 중 HCl의 2 M 용액을 첨가하여 이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 전환시켜 표제 화합물(7.9 ㎎, 0.017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28.1[M+H]+.
실시예 10
(+/-)-7-에틸-3-[(5-{[3- 메틸설포닐 ] 피롤리딘 -1-일} 메틸 )-([1,2,4]- 티아디아 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H-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7-클로로인돌 대신에 7-에틸인돌을 사용하여 실시예 1 에 따라 제조된 메탄설폰산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에틸-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60 ㎎, 0.14 mmol)를 5 ㎖ 마이크로파 바이알 중 무수 디클로로메탄(1 ㎖) 중에 용해시키고, (+/-)-3-(메틸설포닐)-피롤리딘(104 ㎎, 0.7 mmol)을 넣었다. 이 혼합물을 3 분간(작동되도록 고정된 시간) 100℃에서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그 다음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증발로 건조시킨 후, 미정제 생성물을 n-헵탄 중 50%∼100%(v/v)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는 2 g Si계 단리 칼럼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2 g StrataTM SCX 칼럼 상에서 추가 정제하였다. 유리 염기를 무산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에테르 중 HCl의 2 M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그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 전환시켜, 표제 화합물(8.0 ㎎, 0.015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89.1[M+H]+.
실시예 10A
7-에틸-3-[(5-{4-[( N- {2-히드록시}에틸) 카복시아미도 ]피페리딘-1-일} 메틸 )- ([1,2,4]-티아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H-인돌,
표제 화합물은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 대신에 메탄설폰산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에틸-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 및 2-아미노-1-모르폴린-4-일-에타논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4-[({2-히드록시}에틸)-카복시아미도]피페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에 1에 따라 제조하였다. EsIMS: m/z 512.3[M+H]+.
실시예 11
(+/-)-7-에틸-3-[(5-{[2- 히드록시메틸 ]모르폴린-4-일}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H-인돌,
메탄설폰산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에틸-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60 ㎎, 0.14 mmol)를 5 ㎖ 마이크로파 바이알 중 무수 아세토니트릴(1.5 ㎖)에 용해시키고, (+/-)-2-히드록시메틸모르폴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207 ㎎, 0.9 mmol), 탄산칼륨(200 ㎎, 1.47 mmol) 및 요오드화칼륨(150 ㎎; 0.9 mmol)을 넣었다. 이 혼합물을 5 분간 160℃에서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고,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 및 물로 구분하였다. 수층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그 다음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n-헵탄 중 50%-100%(v/v)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는 2 g Si계 단리 칼럼 상에서 정 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증발시켜 건조하고, 2 g SCX 칼럼 상에서 추가로 정제하였다. 유리 염기를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에테르 중 HCl의 2 M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그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 전환시켜, 표제 화합물(44.3 ㎎, 0.09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57.4[M+H]+.
실시예 5 의 방법은 N-메틸 글리신 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대체 아민, 30 분 대신에 5 분의 반응 시간, 실시예 10 의 방법에 따른 정제를 사용하여 하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데 추가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7-에틸-3-[(5-{N-[4-( 카복시아미도 ) 메틸 ]피페리딘-1-일}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H-인돌,
표제 화합물은 피페리딘-4-N-메틸 카복시산 아미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EsIMS: m/z 482.1[M+H]+.
실시예 12A
7-에틸-3-[(5-{[ (S) -( 메틸카복실레이트 ) 메틸 ]- N -(1- 히드록시메틸 )- 메틸아미노 }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표제 화합물은 (S)-N-메틸-세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EsIMS: m/z 473.0[M+H]+.
실시예 12B
7-에틸-3-[(5-{[ N -(2,3-디히드록시프로필)] 메틸아미노 } 메틸 )-([1,2,4]- 티아 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표제 화합물은 N-메틸-N-(2,3-디히드록시프로필)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EsIMS: m/z 445.4[M+H]+.
실시예 13
(S)-7- 클로로 -3-[(5-{[3-N-(2- 히드록시에틸 ) 카복시아미도 ]피페리딘-1-일}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티오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A : 7- 클로로 -1-[(1,1- 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디메틸포름아미드(450 ㎖) 중 7-클로로인돌(45 g, 296 mmol)을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물; 17.8 g, 444 mmol)으로 일부씩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30 분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톨루엔-4-설폰산 1,1-디옥소-헥사히드로-1-티오피란-4-일메틸 에스테르(95.45 g, 300 mmol)를 15 분에 걸쳐서 일부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7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물(2 L)로 켄칭하고,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3 x 300 ㎖)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무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79 g, 266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B : 7- 클로로 -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티오피란 -4-일) 메틸 ]-1 H -인돌-3-카 복시
디메틸포름아미드(800 ㎖) 중 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7-클로로-1H-인돌(79 g, 266 mmol)의 용액을 질소 하에 아세톤/얼음 베스에서 냉각 시키고, 온도를 5℃ 이하로 유지하면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74.3 ㎖, 532 mmol)을 적하방식으로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2 시간에 걸쳐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하고, 그 다음 물(3 L)로 켄칭하였다. 생성된 7-클로로-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1H-인돌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3 x 700 ㎖)로 세척하였다. 젖은 고체를 에탄올(500 ㎖) 중에 현탁시키고, 4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00 ㎖)을 넣고,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이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진공 중에서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물(500 ㎖) 및 n-헵탄(200 ㎖)을 넣고, 5 M 염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혼합물을 pH 2로 산성화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3 x 500 ㎖)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담갈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70 g, 205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C : 7- 클로로 -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티오피란 -4-일) 메틸]-1 H -인돌-3-카 복스아미
테트라히드로푸란(750 ㎖) 중 7-클로로-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1H-인돌-3-카복시산(70 g, 205 mmol)의 용액을 질소 하에 0℃로 냉각시키고, 옥사일 클로라이드(23 ㎖, 266 mmol)를 적하방식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휘발성 성분을 진공 중에서 증발시키고,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에 현탁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수산화암모늄(물 중 33% 용액, 750 ㎖) 및 탄산칼륨(56.5 g, 410 mmol)의 냉각된(0℃) 혼합물에 천천히(3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생성된 이층의 현탁액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디클로로메탄을 진공 중에서 제거하고, pH를 염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8∼9로 조정하였다. 그 다음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2 x 300 ㎖), n-헵탄(2 x 300 ㎖) 및 디에틸에테르(2 x 300 ㎖)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모래 빛깔의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66.5 g, 195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D : 7- 클로로 -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티오피란 -4-일) 메틸 ]-3-([1,3,4]-옥사티아졸-2-온-5-일)-1 H -인돌
테트라히드로푸란(150 ㎖) 중 7-클로로-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1H-인돌-3-카복스아미드(10.0 g, 29.3 mmol) 및 클로로카보닐설페닐클로라이드(5.05 ㎖, 60.9 mmol)의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질소 하에 약하게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냉각시키고, 고체를 여과하였다. 아세톤에서 고체를 얻어내고,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냉각시키고, 생성된 담황색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8.7 g, 21.8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E : 7- 클로로 -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티오피란 -4-일) 메틸 ]-3-[(5- 에톡시카보닐 )-([1,2,4] 티아디아졸 -3-일)]-1 H -인돌; 7- 클로로 -3- 시아노 -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티오피란 -4-일) 메틸 ]-1H- 인돌과 대략 1:1 혼합물
혼합된 크실렌(200 ㎖) 중 7-클로로-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3-([1,3,4]-옥사티아졸-2-온-5-일)-1H-인돌(8.3 g, 20.8 mmol) 및 에틸시아노포메이트(20 ㎖, 202 mmol)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3 시간 동안 세게 환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냉각시키고, 더 이상 침전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n-헵탄으로 희석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n-헵탄으로 세척하 고 건조시켜 담황색 고체로서 표제 혼합물(8.2 g)을 얻었다.
단계 F : 7- 클로로 -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티오피란 -4-일) 메틸 ]-3-[(5- 히드록시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 H -인돌
실온에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1:1; 240 ㎖) 중 7-클로로-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3-[(5-에틸카복실)-([1,2,4]티아디아졸-3-일)]-1H-인돌 및 7-클로로-3-시아노-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1H-인돌(8.0 g)의 상기 혼합물의 용액에, 5 분에 걸쳐 일부씩 수소화붕소나트륨(1.34 g, 35.4 mmol)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을 15 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아세톤(20 ㎖)을 넣고, 혼합물을 추가 5 분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낮은 부피로 농축시키고, 더 이상 침전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물로 희석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공기 건조하였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200 ㎖)에 용해시키고, 물(100 ㎖), 염수(100 ㎖)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용액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켰다. 정체 결정화된 표제 화합물(4.5 g, 10.9 mmol)을 여과해버렸다. 여과액을 추가 농축시켜 이전 단계로부터 수행된 니트릴의 결정, 7-클로로-3-시아노-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1H-인돌 (1.7 g)을 얻었다.
단계 G : 7- 클로로 -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티오피란 -4-일) 메틸 ]-3-{5-[( 메탄설포닐옥시 )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 H -인돌
디클로로메탄(200 ㎖) 중 7-클로로-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3-[(5-히드록시메틸)-([1,2,4]티아디아졸-3-일)]-1H-인돌(4.5 g, 10.9 mmol)의 현탁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7 ㎖, 21.4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1.01 ㎖, 13.1 mmol)를 2∼3 분에 걸쳐 적하방식으로 첨가하였다. 반응을 15 분간 교반하고, 그 다음 얼음 물로 켄칭하고, 10 분간 더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물(100 ㎖), 염수(100 ㎖)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고, 잔여물을 아세톤으로부터 재결정하여 분홍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4.2 g, 8.6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H : (S)-7- 클로로 -3-[(5-{[3- N -(2- 히드록시에틸 ) 카복시아미도 ]피페리딘-1-일}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티오피란 -4-일)메틸-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아세톤(10 ㎖) 중 7-클로로-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3-{5-[(메탄설포닐옥시)메틸]-([1,2,4]-티아디아졸-3-일)}-1H-인돌(245 ㎎, 0.5 mmol), (S)-N-(2-히드록시에틸)니페코타미드(103 ㎎, 0.6 mmol)[시판중인 (S)-Boc-니페코트산 및 에탄올아민의 표준 아미드 결합으로부터 제조됨] 및 탄산칼륨(103 ㎎, 0.75 mmol)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5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이 미완료될 때, 별도의 (S)-N-(2-히드록시에틸)니페코타미드(40 ㎎)를 첨가하고, 추가 2 시간 동안 환류를 계속하였다. 무기층을 여과한 후, 진공 중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과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그 다음 미정제 생성물을 5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메탄 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메탄올성 암모니아 용액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 중 4∼6%(v/v) 에탄올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 염기를 수득하였다. 디클로로메탄(5 ㎖) 중 유리 염기의 용액에 염화수소(디에틸에테르 중 1 M 용액)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 미량의 메탄올과 에테르로부터 두 차례 침전시켜 비결정질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 225 ㎎(0.37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566.5[M+H]+. [a]D -3.37°(메탄올 중 c= 1.78 ㎎/㎖).
실시예 13A
7- 클로로 -3-[(5-{[4-( N - 메틸 ) 카복시아미도 ]피페리딘-1-일}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 - 티오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 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은 단계 H 중 (S)-N-(2-히드록시에틸)니페코타미드 대신에 피페리딘-4-N-메틸 카복시산 아미드, 2 시간의 반응 시간, 및 아세톤으로부터의 결정화에 따른 석출시킴으로써 정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3 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EsIMS: m/z 536.5, 538.5[M+H]+
실시예 14
7- 클로로 -3-[(5-{[4-히드록시]피페리딘-1-일}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 - 티오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7-클로로-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3{-[5-[(메탄설포닐 옥시)메틸]-([1,2,4]-티아디아졸-3-일)-1H-인돌(98 ㎎, 0.2 mmol)을 1-메틸-2-피롤리딘온(0.5 ㎖),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69 ㎕, 0.4 mmol) 및 4-히드록시-피페리딘(26 ㎎, 0.26 mmol)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40℃로 가온시켰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침전물에 물을 천천히 부가하여 여과가능한 반고체로서 생성물을 얻었다. 디클로로메탄 4%(v/v) 중 에탄올을 용출하는, 실리카 상에서 미정제 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프하였다. 이어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 전환시키고, 미량의 에탄올과 디에틸에테르를 함유하는 디클로로메탄으로부터 침전시켜 비결정질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55 ㎎, 0.11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95.4, 497.4[M+H]+
실시예 14A
7- 클로로 -3-[(5-{[ N -(2- 메톡시 )에틸] 메틸아미노 } 메틸 )-([1,2,4]- 티아디아졸 -3-일)]-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 - 티오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은 4-히드록시-피페리딘 대신에 N-2-(메톡시에틸)메틸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EsIMS: m/z 483.3, 485.3[M+H]+
실시예 14B
7- 클로로 -3-[(5-{[ N -(2-히드록시)에틸] 메틸아미노 ] 메틸 )-([1,2,4]- 티아디아 졸-3-일)]-1-(1,1- 디옥소 - 헥사히드로 - 티오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 드 염
표제 화합물은 4-히드록시-피페리딘 대신에 2-메틸아미노-에탄올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EsIMS: m/z 469.5, 471.5[M+H]+
실시예 14C
7-에틸-3-[(5-{[4-( 메틸설폰아미도 ) 메틸 ]피페리딘-1-일} 메틸 )-([1,2,4]- 티아 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표제화합물은 7-클로로인돌 대신에 7-에틸인돌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따라 메탄설폰산 3-(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7-에틸-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그리고 4-히드록시-피페리딘 대신에 N-(2-tert-부톡시카보닐)-4-아미노메틸-피페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4에 따라 제조하였다. N-(2-tert-부톡시카보닐) 기의 제거는 실온에서 디클로로메탄(10 ㎖) 중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 ㎖)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온에서 디클로로메탄 및 DIPEA(56 ㎕, 0.3 mmol) 중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13.8 ㎕, 0.18 mmol)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을 연속 처리하고, 실리카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EsIMS: m/z 532.0[M+H]+
실시예 15
7- 클로로 -3-({5-[( N -{2-히드록시}에틸)-( N -{ 메틸설포닐 })아미노] 메틸 }-([1,2,4]-티아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테트라히드로푸란(4 ㎖) 중 메탄설폰산 3-[7-클로로-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일]-[1,2,4]-티아디아졸-5-일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1 ; 단계 1G ; 300 ㎎, 0.68 mmol), 글리신 에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 염(114 ㎎, 0.82 mmol) 및 트리에틸아민(206 ㎎, 2.04 mmol)의 혼합물을 10 분간 160℃에서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이 메탄올성 암모니아 용액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켜 7-클로로-3-[(5-{[(에틸카복실레이트)메틸]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144 ㎎, 0.32 mmol)을 얻었다. 디클로로메탄(2 ㎖) 중 7-클로로-3-[(5-{[(에틸카복실레이트)메틸]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60 ㎎, 0.13 mmol), 트리에틸아민(19 ㎎, 0.19 mmol) 및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18 ㎎, 0.16 mmol)의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과량의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에탄올(0.5 ㎖)로 켄칭하고, 혼합물은 n-헵탄 중 33∼60%(v/v)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7-클로로-3-[(5-[({에틸카복실레이트}메틸)-(N-{메틸설포닐})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46 ㎎, 0.87 mmol)을 얻었다. 테트라히드로푸란(1 ㎖) 및 메탄올(1 ㎖)의 혼합물 중 7-클로로-3-[(5-[({에틸카복실레이트}메틸)-(N-{메틸설포닐})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5 ㎎, 0.066 mmol)의 용액에 수소화붕소나트륨(10 ㎎, 0.27 mmol)을 넣고, 이 혼합물을 18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 5 N HCl(0.1 ㎖)로 켄칭하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켰 다. 잔여물을 n-헵탄 중 33∼100%(v/v) 에틸 아세테이트, 그 다음 10%(v/v) 에틸 아세테이트 중 메탄올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9 ㎎, 0.039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507.0[M+Na]+, 485.1[M+H]+.
실시예 16
7- 클로로 -1-(사이클 로헥실 ) 메틸 -3-({4-[4-( 히드록시메틸 )피페리딘-1-일] 메틸 }-[1,3]-티아졸-2-일)-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단계 A : 7- 클로로 -1-사이클 로헥실메틸인돌
0℃에서 질소하에 디메틸포름아미드(60 ㎖) 중 7-클로로인돌(4.91 g, 32.4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물, 1.43 g, 35.6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사이클로헥실메틸 브로마이드(5.0 ㎖, 35.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물, 358 ㎎, 8.94 mmol)을 첨가하였다. 15 분간 교반 후, 사이클로헥실메틸 브로마이드(1.25 ㎖, 8.9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가열하면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과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여물을 n-헵탄 중 0∼5%(v/v)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7-클로로-1-사이클로헥실메틸인돌(8.1 g, 32.0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B : 7- 클로로 -1-(사이클 로헥실 ) 메틸 -3-[( 트리플루오로메틸 ) 카보닐 ]-1 H -인돌
디메틸포름아미드(40 ㎖) 중 7-클로로-1-사이클로헥실메틸인돌(8.1 g, 32.0 mmol)의 용액을 질소 하에 0℃로 냉각시키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4.1 ㎖, 36.0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켰다. 얻어진 결정을 n-헵탄으로 세척하여 7-클로로-1-(사이클로헥실)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1H-인돌(8.6 g, 25.0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C : 7- 클로로 -1-(사이클 로헥실 ) 메틸 -1 H- 인돌-3- 카복시산
에탄올(40 ㎖) 중 7-클로로-1-(사이클로헥실)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카보닐]-1H-인돌(8.6 g, 25.0 mmol) 및 4 N NaOH(60 ㎖)의 혼합물을 18 시간 동안 85℃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시키고, 잔여물을 5 N HCl로 산성화하고, 그 다음 디클로로메탄과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얻어진 결정을 n-헵탄으로 세척하여 7-클로로-1-(사이클로헥실)메틸-1H-인돌-3-카복시산(6.4 g, 21.9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D : 7- 클로로 -1-(사이클 로헥실 ) 메틸 -1 H- 인돌-3- 카복시산 아미드
얼음물 냉각 하에 옥사일 클로라이드(4.95 g, 39.0 mmol)를 7-클로로-1-(사이클로헥실)메틸-1H-인돌-3-카복시산(6.4 g, 21.9 mmol) 및 디클로로메탄(150 ㎖) 의 혼합물에 적하방식으로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0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및 과량의 옥사일 클로라이드를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얻어진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100 ㎖)과 혼합하였다. 암모니아 수용액(33 %, 50 ㎖) 및 탄산칼륨(6.05 g, 43.8 mmol)을 얼음물 베스 냉각 하에 혼합물로 첨가하였다.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그 다음 얻어진 고체를 물로, 그 다음 n-헵탄으로 세척하고, 감압하에 건조하여 7-클로로-1-(사이클로헥실)메틸-1H-인돌-3-카복시산 아미드(6.4 g, 22.0 mmol)를 수득하였다.
단계 E : 7- 클로로 -3-[4-( 클로로메틸 )티아졸-2-일]-1-(사이클 로헥실 ) 메틸 -1 H- 인돌
7-클로로-1-(사이클로헥실)메틸-1H-인돌-3-카복시산 아미드(1.74 g, 6.0 mmol), 라웨슨 시약(4.85 g, 12.0 mmol), 톨루엔(150 ㎖) 및 테트라히드로푸란(50 ㎖)의 혼합물을 3일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n-헵탄 중 20∼50%(v/v)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7-클로로-1-(사이클로헥실)메틸-1H-인돌-3-카보티오산 아미드(1.38 g, 4.50 mmol)를 수득하였다.
톨루엔(30 ㎖) 중 7-클로로-1-(사이클로헥실)메틸-1H-인돌-3-카보티오산 아미드(921 ㎎, 3.00 mmol), 1,3-디클로로아세톤(571 ㎎, 4.50 mmol)의 혼합물을 18 시간 동안 4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얻어진 결정을 n-헵탄 중 10% 디클로로메탄(v/v)으로 세척하여 7-클로로-3-[4-(클로로메틸)티아졸-2-일]-1-(사이클로헥실)메틸-1H-인돌(587 ㎎, 1.55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F : 7- 클로로 -1-(사이클 로헥실 ) 메틸 -3-({4-[4-( 히드록시메틸 )피페리딘-1-일] 메틸 }-[1,3]-티아졸-2-일)-1 H- 인돌
7-클로로-3-[4-(클로로메틸)티아졸-2-일]-1-(사이클로헥실)메틸-1H-인돌(140 ㎎, 0.37 mmol), 4-(히드록시메틸)피페리딘(85 ㎎, 0.74 mmol), 탄산칼륨(56 ㎎, 0.41 mmol), 요오드화나트륨(55 ㎎, 0.37 mmol) 및 아세토니트릴(3 ㎖)의 혼합물을 160℃에서 5 분간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메탄올성 암모니아 용액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 0∼25%(v/v) 메탄올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 염기를 얻었다. 염화수소(디에틸에테르 중 1 M 용액; 2 ㎖)를 디에틸에테르(10 ㎖) 중 유리 염기의 용액에 첨가하여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형성하였다. 이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켜 1:1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표제 화합물(167 ㎎, 0.36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58.4[M+H]+.
실시예 16A
7- 클로로 -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3-(4-{[ N -( 카복시아미도 ) 메틸 - N - 메틸아미노 ] 메틸 }-[1,3]-티아졸-2-일)-1 H- 인돌
디메틸포름아미드(2 ㎖) 중 7-클로로-3-[4-(클로로메틸)티아졸-2-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사이클로헥실메틸 브로마이드 대신에 톨루엔-4-설폰산 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16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40 ㎎, 0.10 mmol), N-메틸 글리신 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18.4 ㎎, 0.15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5 ㎕, 0.21 mmol) 및 요오드화나트륨(16 ㎎, 0.10 mmol)의 혼합물을 160℃에서 5 분간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튜브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고, 그 다음 디클로로메탄 중 10%(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생성물을 3:97(v/v)(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9 ㎎, 0.09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33.5, 435.4[M+H]+.
실시예 17
7- 클로로 -3-[(5-{4-[ 히드록시메틸 ]피페리딘-1-일} 메틸 )-([1,3,4]- 옥사디아졸 -2-일)]-1-(사이클 로헥실 )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60 ㎖) 중 1-사이클로헥실메틸-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실시예 16에서 제조됨)(2.0 g, 6.8 mmol)의 현탁액에 옥사일 클로라이드(1.2 ㎖, 14 mmol)를 넣고, 반응을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밤새 정치시켰다. 용매 및 과량의 시약을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10 ㎖)에 용해시키고, 디에틸에테르(60 ㎖) 중 히드라진 수화물(1.7 ㎖, 34 mmol)의 냉각 용액(얼음/메탄올 베스)에 5 분에 걸쳐 적하방식으로 첨가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추가 40 분간 교반하고, 그것의 부피를 진공 중에서 반으로 감소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더 농축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침전물을 합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1-사이클로헥실메틸-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 히드라지드(2.3 g, 7 mmol)를 수득하였다.
디클로로메탄(20 ㎖) 중 1-사이클로헥실메틸-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 히드라지드(0.71 g, 2.3 mmol)의 현탁액에 탄산칼륨(1.6 g, 11 mmol)을 넣고, 반응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무수 얼음/에탄올 베스에서 냉각시키고,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0.2 ㎖, 3.0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30 ㎖)을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1(v/v)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3 x 20 ㎖)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염수(1 x 30 ㎖)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여 1-사이클로헥실메틸-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 N' -(2-클로로아세틸)히드라지드(0.6 g, 2.0 mmol)를 수득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5 ㎖) 중 1-사이클로헥실메틸-7-클로로-1H-인돌-3-카복시산 N'-(2-클로로아세틸)히드라지드(0.6 g, 2.0 mmol)의 용액에 (메톡시카보닐설파모일)트리에틸암모늄 히드록시드, 분자내 염(0.78 g, 3.0 mmol)을 넣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5 분간 150℃에서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로 켄칭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생성된 잔여물을 n-헵탄 중 33∼50%(v/v)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7-클로로-3-[(5-클로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1-(사이클로헥실)메틸-1H-인돌(0.48 g, 1.0 mmol)을 수득하였다.
디클로로메탄(2 ㎖) 중 7-클로로-3-[(5-클로로메틸)-([1,3,4]-옥사디아졸-2- 일]-1-(사이클로헥실)메틸-1H-인돌(0.08 g, 0.2 mmol)의 용액에 4-피페리딘 메탄올(0.13 g, 1.0 mmol)을 넣고, 반응 혼합물을 20 분간 100℃에서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반분취용 HPLC(방법 ⅱ)로 정제하여 유리 염기로서 표제 화합물(10 ㎎, 0.02 mmol)을 수득하였다. 이 유리 염기를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염화수소(디에틸에테르 중 2 M 용액; 1.0 ㎖, 2.0 mmol)를 첨가하였다. 과량의 시약 및 용매를 증발에 의해 제거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1:1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43.3[M+H]+
실시예 18
( S )-7- 클로로 -3-[(5-{ N - 메틸설포닐 } 피롤리딘 -2-일)-([1,3,4]- 옥사디아졸 -2-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단계 A : ( S )-7- 클로로 -3-[(5-{ N - tert - 부톡시카보닐 } 피롤리딘 -2-일)-([1,2]-디히드라지드)]-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디클로로메탄(35 ㎖) 중 1-(테트라히드로피란)메틸-7-클로로-3-(카복시산 히드라지드)-1H-인돌(사이클로헥실 메틸 브로마이드 대신에 톨루엔-4-설폰산 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17 에 따라 제조됨)(1.0 g, 3.2 mmol), O-벤조트리아졸-1-일-N,N, N' ,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인산염(1.8 g, 4.7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6 ㎖, 9.1 mmol) 및 N-Boc-[L]-프롤린(756 ㎎, 3.52 mmol)의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그 다음 포화 중탄산염 용액 및 디클로로메탄을 진 공 중에서 농축시켰다. 이렇게 하여 갈색 검으로서 (S)-7-클로로-3-[(5-{N-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딘-2-일)-([1,2]-디히드라지드)]-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2.5 g, 50.0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B : ( S )-7- 클로로 -3-[(5-{ N - tert - 부톡시카보닐 } 피롤리딘 -2-일)-([1,3,4]-옥사디아졸-2-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테트라히드로푸란(15 ㎖) 중 (S)-7-클로로-3-[(5-{N-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딘-2-일)-([1,2]-디히드라지드)]-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2.5 g, 5 mmol), 및 Burgess 시약(1.43 g, 10 mmol)의 혼합물을 5개의 배취에서 Emrys Optimizer EXPTM을 사용하여 5 분간 200℃에서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n-헵탄, 그 다음 디에틸에테르 및 최종적으로 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직접 정제하여 (S)-7-클로로-3-[(5-{N-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딘-2-일)-([1,3,4]-옥사디아졸-2-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1.0 g, 2.0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C : ( S )-7- 클로로 -3-[(5-{ N - 메틸설포닐 } 피롤리딘 -2-일)-([1,3,4]- 옥사디아졸 -2-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디클로로메탄(10 ㎖) 중 (S)-7-클로로-3-[(5-{N-tert-부톡시카보닐}피롤리딘-2-일)-([1,3,4]-옥사디아졸-2-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210 ㎎, 0.43 mmo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 13.0 mmol)의 혼합물을 30 분간 실 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10 ㎖) 중 트리에틸아민(93 ㎕, 0.66 mmol),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21 ㎕, 0.3 mmol)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2 ㎎, 0.018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2 M HCl 수용액(20 ㎖)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상기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직접 정제하고, 최종적으로 에탄올 및 물로 결정화하여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25 ㎎, 0.048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465.0 m/z[M+H]+ .
실시예 18A
( S )-7- 클로로 -3-[(5-{ N -( 카복시아미도 )에틸} 피롤리딘 -2-일)-([1,3,4]- 옥사디아졸 -2-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표제 화합물은 에틸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EsIMS: 480.0 m/z [M+Na]+, [a]D 22 -40.0°(메탄올 중 c=2.55 ㎎/㎖).
실시예 18B
( S )-7- 클로로 -3-[(5-{ N -사이클 로프로판설포닐 } 피롤리딘 -2-일)-([1,3,4]- 옥사디아졸 -2-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표제 화합물은 사이클로프로판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EsIMS: 513.0 m/z [M+Na]+, [a]D 22 -56.0°(메탄올 중 c=1.0 ㎎/㎖).
하기의 화합물은 N-Boc-[L]-프롤린 대신에 N-Boc-[D]-프롤린을 사용하여, 시예 18 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C
( R )-7- 클로로 -3-[(5-{ N -( N' ,N'- 디메틸설폰아미도 )} 피롤리딘 -2-일)-([1,3,4]-옥사디아졸-2-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표제 화합물은 디메틸설파모일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EsIMS: 516.0 m/z [M+Na]+, [a]D 22 +58.8°(메탄올 중 c=1.40 ㎎/㎖).
실시예 19
7- 클로로 -3-[(5-{4-[( N -{2-히드록시}에틸) 카복시아미도 ]피페리딘-1-일} 메틸 )-([1,2,4]옥사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 라이드 염
단계 A : 7- 클로로 -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3- 카보니트릴
인 옥시클로라이드(9.6 ㎖, 103 mmol)를 압력 균등 깔대기를 통해 디메틸포름아미드(200 ㎖) 중 7-클로로-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카복시산 아미드(20.0 g, 68.3 mmol)의 냉각(5∼10℃) 용액에 적하방식으로 첨가하였다. 인 옥시클로라이드의 첨가를 완료한 후, 반응을 10 분간 교반하고, 실온으로 가온하고, 추가 30 분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얼음 물(2000 ㎖)에 조심스 레 붓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다. 그 다음 여과 케이크를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디에틸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여 백색 고체로서 7-클로로-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카보니트릴(12.9 g, 46.9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B : 7- 클로로 -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3- 카복스아미딘
에탄올(280 ㎖)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6.7 ㎖, 96.0 mmol) 중 7-클로로-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카보니트릴(12.9 g, 46.9 mmol)의 현탁액에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6.8 g, 121.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가온하여 환류시키고, 6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 제거하였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디에틸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여 회백색 고체로서 7-클로로-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카복스아미딘(13.1 g, 42.5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C : 7- 클로로 -3-[(5- 클로로메틸 )-([1,2,4] 옥사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테트라히드로푸란(150 ㎖) 중 7-클로로-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3-카복스아미딘(5.3 g, 17.2 mmol)의 교반 용액에 분자체(5.3 g)를 넣고, 이 반응 혼합물을 60 분간 교반하였다. 수소화나트륨(2.8 g, 116.6 mmol)을 일부씩 첨가하고, 이 반응 혼합물을 추가 60 분간 교반하고, 30 분간 40℃로 가온하였다. 그 다음 이 반응을 -70℃(무수 얼음/아세톤 베스)로 냉각시키고, 압력 평형 깔대기를 통해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2.8 ㎖, 35.2 mmol)를 적하방식으로 첨가하였다. 그 다음 이 반응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추가 4 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5 ㎖)을 첨가하여 켄칭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 중 1%(v/v) 에탄올부터 디클로로메탄 중 3%(v/v) 에탄올로 용출하는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분획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합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고, 생성된 고체를 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하여 백색 고체로서 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4.1 g, 11.2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D : 7- 클로로 -3-[(5-{4-[( N -{2-히드록시}에틸) 카복시아미도 ]피페리딘-1-일} 메틸 )-([1,2,4] 옥사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아세토니트릴(2 ㎖) 중 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0.25 g, 0.68 mmol)의 용액에 피페리딘-4-카복시산(2-히드록시에틸)아미드(0.24 g, 1.36 mmol) 및 탄산칼륨(0.15 g, 1.05 mmol)을 넣었다. 반응을 7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8 ㎖)으로 희석시키고, 20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이 메탄올성 암모니아 용액을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이것을 디클로로메탄에 재용해시키고, 탄산나트륨 용액,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염화수소(디에틸에테르 중 2 M 용액)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에탄올 및 디에틸에테르 혼합물로부터 침전시켜 1:1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표제 화합물(190 ㎎, 0.38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502.3[M+H]+.
실시예 20
7- 클로로 -3-[(5-{[ N- ( 카복시아미도 ) 메틸 ]- N - 메틸아미노 } 메틸 )-([1,2,4] 옥사 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1-메틸-2-피롤리디논(5 ㎖) 중 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실시예 19 ; 단계 C ; 1.5 g, 4.09 mmol)의 용액에 N-메틸 글리신 아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1.0 g, 8.19 mmol) 및 탄산칼륨(3.4 g, 24.6 mmol)을 넣었다. 반응을 18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10 ㎖)으로 희석시키고, 20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메탄올성 암모니아 용액을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이것을 디클로로메탄에 재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 중 2%(v/v) 에탄올을 용출하는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 키고, 염화수소(디에틸에테르 중 2 M 용액)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아세톤으로부터 결정화하여 1:1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표제 화합물(1.24 g, 2.73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18.3[M+H]+.
실시예 20A
7- 클로로 -3-({5-[( N- {[ N -( 카복시아미도 ) 메틸 ] 카복시아미도 } 메틸 )- N - 메틸아미노 ] 메틸 }-[1,2,4] 옥사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디메틸포름아미드(15 ㎖) 중 7-클로로-3-[(5-{[N-(카복시아미도)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염(1.19 g, 2.6 mmol)의 용액을 질소 하에 0℃에서 냉각시키고, 수소화나트륨(미네랄 오일 중 60% 분산물; 420 ㎎, 10.5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2-클로로아세트아미드(257 ㎎, 2.7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일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튜브를 디클로로메탄 중 10%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디클로로메탄 중 10%(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생성물을 5:95 (v/v)(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2 ㎎, 0.07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75.3[M+H]+.
실시예 20B
7- 클로로 -3-({5-[( N- {[ N -(2- 히드록시에틸 )] 카복시아미도 } 메틸 )- N - 메틸아미 노 ] 메틸 }-[1,2,4] 옥사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단계 A : 7- 클로로 -3-({5-[( N- { 메톡시카보닐 } 메틸 )- N - 메틸아미노 ] 메틸 }-[1,2,4]옥사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아세토니트릴(50 ㎖) 중 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실시예 19 ; 단계 C ; 1.0 g, 2.7 mmol)의 용액에 사르코신 메틸 에스테르 히드로클로라이드(754 ㎎, 5.4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94 ㎖, 5.4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로 가열하고,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에서 거둬내고,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여 갈색 오일로서 7-클로로-3-({5-[(N-{메톡시카보닐}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1.2 g, 2.7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B : 7- 클로로 -3-({5-[( N- { 카복실 } 메틸 )- N - 메틸아미노 ] 메틸 }-[1,2,4] 옥사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메탄올(20 ㎖) 및 물(2 ㎖) 중 7-클로로-3-({5-[(N-{메톡시카보닐}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1.2 g, 2.7 mmol)의 용액에 수산화나트륨(146 ㎎, 3.6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로 가열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20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 기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여 담황색 분말로서 7-클로로-3-({5-[(N-{카복실}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750 ㎎, 1.8 mmol)을 수득하였다.
단계 C : 7- 클로로 -3-({5-[( N- {[ N -(2- 히드록시에틸 )] 카복시아미도 } 메틸 )- N - 메틸아미노 ] 메틸 }-[1,2,4] 옥사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디클로로메탄(20 ㎖) 중 7-클로로-3-({5-[(N-{카복실}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500 ㎎, 1.2 mmol)의 현탁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65 ㎖, 4.8 mmol) 및 에탄올아민(0.29 ㎖, 4.8 mmol)을 넣었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1-프로필포스폰산 사이클 릭 무수화물(에틸 아세테이트 중 50% 용액; 1.42 ㎖, 2.4 mmol)을 일부씩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30 ㎖)으로 희석시키고, 탄산나트륨 용액(물 중 5% w/v; 50 ㎖)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2:98(v/v)의 메탄올: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하는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얻었다. 디에틸에테르로 적정하여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269 ㎎, 0.6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62.1[M+H]+
실시예 21
(S) -7- 클로로 -3-({5-[ N -(1- 카복시아미도 -2- 히드록시에틸 )- N - 메틸아미노 ] 메 틸 }-[1,2,4]- 옥사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히드로클 로라이드 염
아세토니트릴(2 ㎖) 중 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실시예 19 ; 단계 C ; 29 ㎎, 0.08 mmol), 탄산나트륨(9 ㎎, 0.09 mmol), 요오드화나트륨(12 ㎎, 0.08 mmol) 및 N-메틸-L-세린아미드(14 ㎎, 0.12 mmol)의 혼합물을 5 분간 160℃에서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g StrataTM SCX giga 튜브를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튜브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그 다음 메탄올 중 2 M 암모니아로 용출하였다. 메탄올성 암모니아 용액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n-헵탄 중 50-100%(v/v) 에틸 아세테이트, 그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중 10%(v/v) 메탄올로 용출하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 염기를 형성하였다. 디에틸에테르(5 ㎖) 중 유리 염기의 용액에 염화수소(디에틸에테르 중 1 M 용액; 1 ㎖)를 첨가하여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형성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시켜 1:1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표제 화합물(24 ㎎)을 수득하였다. EsIMS: m/z 470.5[M+Na]+, 448.3[M+H]+, [a]D 22 +3.1°(메탄올 중 c=2.75 ㎎/㎖).
실시예 22
7- 클로로 -3-[(5-{[ N -사이클 로프로필설포닐 ]- N - 메틸아미노 } 메틸 )-([1,2,4]- 옥사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단계 A : 7- 클로로 -3-[(5-{ N - 메틸아미노 } 메틸 )-([1,2,4]- 옥사디아졸 -3-일)]- 1-(테 트라히드로피 란-4-일) 메틸 -1 H -인돌
디클로로메탄(50 ㎖) 중 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실시예 19 ; 단계 C ; 700 ㎎, 1.9 mmol) 및 에탄올(5.0 ㎖, 40 mmol) 중 8 M 메틸아민의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4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은 5 g StrataTM SCX 칼럼을 통해 메탄올 및 암모니아 용액을 용출시켜 정제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켜 갈색 오일로서 7-클로로-3-[(5-{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660 ㎎, 1.8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361.1 m/z[M+H]+
단계 B : 실시예 1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사이클로로프로판설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MS: 465.0 m/z[M+H]+
실시예 22A
7- 클로로 -3-[(5-{ N -( N' ,N'- 디메틸설폰아미도 )}- N - 메틸아미노 } 메틸 )-([1,2,4]-옥사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표제 화합물은 디메틸설파모일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실시예 22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EsIMS: 489.9 m/z[M+Na]+
실시예 23
7- 클로로 -3-[(5-{[ N -( 포름아미도 )에틸]아미노} 메틸 )-([1,2,4]- 옥사디아졸 -3- 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단계 A : 7- 클로로 -3-[(5- 아미노메틸 )-([1,2,4]- 옥사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메탄올(3.0 ㎖, 6.0 mmol) 중 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실시예 19 ; 단계 C ; 500 ㎎, 1.4 mmol) 및 2M 암모니아의 혼합물은 Emrys Optimizer EXPTM를 사용하여 20 분간 120℃에서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5 g StrataTM SCX 칼럼을 통해 메탄올 및 암모니아 용액으로 용출하여 정제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시키고, 디클로로메탄(1 ㎖)에 용해시키고, 디에틸에테르 중 2 M HCl을 첨가하여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7-클로로-3-[(5-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500 ㎎, 1.8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347 m/z[M+H]+
단계 B : 실시예 1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에틸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EsIMS: 418.1 m/z[M+H]+
실시예 24
7- 클로로 -3-[(5-{[N- 메톡시메틸포밀 ]아미노} 메틸 )-([1,2,4]- 옥사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H-인돌
디클로로메탄(10 ㎖) 중 7-클로로-3-[(5-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 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실시예 23 에서 제조됨)(50 ㎎, 0.14 mmol), O-벤조트리아졸-1-일-N,N, N' , N' -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인산염(53 ㎎, 2.1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51 ㎕, 9.1 mmol) 및 메톡시아세트산(15 ㎕, 0.15 mmol)의 혼합물을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2 M HCl 수용액(20 ㎖)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반분취용 HPLC(방법 i)에 의해 정제하여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10 ㎎, 0.024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419.1 m/z[M+H]+
실시예 25:
7- 클로로 -3-[(5-{ N -( N' ,N'- 디메틸설폰아미도 )}-( N -{2-히드록시} 에틸아미노 ) 메틸 )-([1,2,4]- 옥사디아졸 -3-일)]-1-( 테트라히드로피란 -4-일) 메틸 -1 H -인돌
디클로로메탄(3 ㎖) 중 7-클로로-3-[(5-클로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실시예 19 ; 단계 C ; 500 ㎎, 1.4 mmol) 및 2-에탄올아민(0.5 ㎖, 8.0 mmol)의 혼합물을 Emrys Optimizer EXPTM을 사용하여 60 분간 100℃에서 마이크로파 방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시키고, 얻어진 잔여물을 5 g StrataTM SCX 칼럼을 통해 메탄올 및 암모니아 용액을 용출함으로써 정제하여 황색 액체 180 ㎎을 얻었다. 잔여물은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63 ㎕, 0.51 mmol), 이미다졸(35 ㎎, 0.51 mmol)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2 ㎎, 0.018 mmol)과 실온에서 30 분간 혼합하였다. 물(5 ㎖)을 넣고, 반응을 진공 중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3 ㎕, 0.48 mmol)의 혼합물, 디메틸설파모일클로라이드 클로라이드(20 ㎕, 0.27 mmol) 및 디클로로메탄(10 ㎖) 중 디메틸아미노피리딘(2 ㎎, 0.018 mmol)을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2 M HCl 수용액(20 ㎖)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진공 중에서 제거하였다. 반분취용 HPLC(방법 i)에 의해 정제하여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10 ㎎, 0.020 mmol)을 수득하였다. EsIMS: 498.1 m/z[M+H]+
실시예 26
CHO 세포에서 발현된 인간 CB1 수용체에서의 효능 및 효력에 대한 시험관내 측정
인간 CB1 수용체 및 루시퍼라제 리포터 유전자를 발현하는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 세포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50 U/50 ㎍/㎖) 및 펀지존(1 ㎍/㎖)을 함유하는 페놀 레드/무혈청 DMEM/F-12 너트(nut) 믹스에 현탁시키고, 웰당 3×104 세포 밀도로 96 웰 플레이트에 시딩하였다(최종 부피 100 ㎕). 분석하기 전, 세포를 밤새 배양하였다(37℃, 5% CO2/95% 공기에서 대략 18 시간 동안).
테스트 화합물(디메틸설폭시드 중 10 mM 용액)은 F12 너트 믹스에 희석하여, 0.11 mM 내지 0.11 nM 범위의 저장 용액을 얻었다. 상기 저장 용액(10 ㎕)은 해당 웰에 직접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는 5 시간 동안 37℃에서 항온처리하여, 루시퍼라제 효소의 효능제 유도 발현이 일어나게 하였다. 약한 조명 하에서, LucLite 기 질(Packard;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재구성함; 100 ㎕)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Top Seal로 덮은 뒤 5 분간 실온에서 항온처리 한 후, Packard TopCount(단광자 계수기, 계수 시간 0.01 분, 계수 지연 5 분)로 계수하였다.
"최적 적합(best-fit)" 곡선을, 화합물 농도(M)에 대한 초당 계수(CPS)의 플롯에 최소 자승 합을 적합시켜, EC50 값을 얻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몇몇 대표적인 화합물에 대해 수득한 pEC50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화학명 화학구조 pEC50
7 7-클로로-3-({5-[(N-{2-메톡시}에틸)-(N-{메틸설포닐})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Figure 112008020634254-PCT00019
7.1
9 7-에틸-3-[(5-{[N-(카복시아미도)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Figure 112008020634254-PCT00020
6.9
10A 7-에틸-3-[(5-{4-[(N-{2-히드록시}에틸)카복시아미도]피페리딘-1-일}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Figure 112008020634254-PCT00021
7.9
12 7-에틸-3-[(5-{[N-(2,3-디히드록시프로필)]-메틸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Figure 112008020634254-PCT00022
6.9
13 7-클로로-3-[(5-{[4-(N-메틸)카복시아미도]피페리딘-1-일}메틸)-([1,2,4]-티아디아졸-3-일)]-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1H-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Figure 112008020634254-PCT00023
6.9
15 7-클로로-3-({5-[(N-{2-히드록시}에틸)-(N-{메틸설포닐})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Figure 112008020634254-PCT00024
7.7
17 7-클로로-3-[(5-{4-[히드록시메틸]피페리딘-1-일}메틸)-([1,3,4]-옥사디아졸-2-일)]-1-(사이클로헥실)메틸-1H-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Figure 112008020634254-PCT00025
6.9
18 (S)-7-클로로-3-[(5-{N-사이클로프로판-설포닐}피롤리딘-2-일)-([1,3,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Figure 112008020634254-PCT00026
7.2
19 7-클로로-3-[(5-{4-[(N-{2-히드록시}에틸)카복시아미도]피페리딘-1-일}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Figure 112008020634254-PCT00027
7.1
20 7-클로로-3-[(5-{[N-(카복시아미도)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히드로클로라이드 염
Figure 112008020634254-PCT00028
7.4
20A 7-클로로-3-({5-[(N-{[N-(카복시아미도)메틸]카복시아미도}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Figure 112008020634254-PCT00029
7.5
20B 7- 클로로 -3-({5-[( N- {[ N -(2- 히드록시에틸 )] 카복시아미도 } 메틸 )- N - 메틸아미노 ] 메틸 }-[1,2,4]옥사디아졸-3-일)-1-( 테트라히드로피 란-4- )메 -1 H -인돌
Figure 112008020634254-PCT00030
7.3
24 7-클로로-3-[(5-{[N-메톡시메틸-포밀]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Figure 112008020634254-PCT00031
6.7
25 7-클로로-3-[(5-{N-(N' , N' ,-디메틸-설폰아미도)}-(N-{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Figure 112008020634254-PCT00032
7.0
실시예 27
마우스에서의 포르말린 발 테스트
6마리의 마우스로 구성된 4∼6 그룹의 마우스를, 비히클 및 4∼5 가지 용량 중 한 용량의 테스트 화합물(전형적으로 0.03, 0.1, 3 및 10 μmol/kg)을 꼬리 정맥에 정맥 투여하여 처리하였다(비히클: 염수 중 10% Tween-80; 주사 용량 10 ㎖/kg). 이 주사 5 분 후에 5% 포르말린 20 ㎕를 왼쪽 뒷 발등에 피하 투여하였다. 포르말린 투여 후 즉시, 동물을 테스트 챔버에 놓고, 검출 장치[자동 통각 분석기(ANA);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마취학과]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각각의 챔버에 대하여 데이터 수집을 시작했다. 통각 반응은 2기의 통각 내에서 검출된 계수(핥기, 들기, 물기 및 움찔거리는 행동들)로서 측정하였다(Yaksh 외, 2001). 포르말린 주사 후 0∼5 분 사이의 통각 반응(제 1기) 및 포르말린 주사 후 20∼30 분 후의 통각 반응(제 2기)을 기록하고, 비히클 처리된 동물에 대한 평균 계수와 비교한 각각의 마우스에 대한 계수를 산출하였다. 각각의 마우스의 값이 얻어지면, 각각의 처리 그룹에 대하여 평균 및 s.e.m.을 산출하였다. 그 다음 억제율 데이터를 제 1기 및 제 2기에 대한 ED50 값을 산출하는 데 사용하였다.
실시예 10A , 15 , 19 20 의 화합물이 ED50 < 5 μmol/kg에서 제 2기의 통각 반응을 억제했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인돌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 염:
    화학식 I
    Figure 112008020634254-PCT00033
    식 중,
    A는 5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고, 여기서 X1, X2 및 X3는 N, O, S 및 CR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은 존재하는 경우, H, 할로겐 또는 (C1 -4)알킬이고;
    Y는 CH2, O, S 또는 SO2이고;
    R1은 (C1 -4)알킬, (C1 -4)알킬옥시, CN 또는 할로겐이고;
    R2는 H 또는 (C1 -4)알킬이거나; 또는
    R2는 R3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및 질소 원자와 함께 4원∼7원 고리를 형성하고;
    R3는 H, (C1 -6)알킬 또는 (C3 -7)사이클로알킬이고, 알킬기는 경우에 따라 OH, (C1-4)알킬옥시, (C1 -4)알킬티오, (C1 -4)알킬설포닐, CO-NR5R6, CO-OR7, CN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고;
    R4는 CO-NR5R6, CO-OR7, SO2-R8, SO2-NR9R10 또는 CO-R11이거나; 또는
    R4는 CO-NR5R6, CO-OR7, SO2-R8, SO2-NR9R10, NH-CO-R11, NH-SO2-R12 또는 2개의 OH 기로 치환되고, 경우에 따라 OH로 더 치환되는 (C1 -3)알킬이거나; 또는
    R4는 R3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N과 함께, 경우에 따라 O, S 및 SO2로부터 선택된 추가 헤테로원자를 보유하는 4원∼8원 고리를 형성하고, 이 고리는 CH2-OH, CO-NR13R14, CO-OR7, SO2-R8, SO2-NR9R10, NH-CO-R11 또는 NH-SO2-R12로 치환되거나; 또는 상기 고리는 NH-CO-R11 또는 NH-SO2-R12로 치환된 (C1 -3)알킬로 치환되고;
    R5는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C1 -4)알킬옥시 또는 CONR7R8로 치환되는 (C1 -4)알킬 또는 H이고;
    R6은 존재하는 경우, H 또는 (C1 -4)알킬이거나; 또는
    R6은 R5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N과 함께, 경우에 따라 O, S 및 SO2로부터 선택된 추가 헤테로원자를 보유하는 4원∼8원 고리를 형성하고, 이 고리는 경우에 따라 OH로 치환되고;
    R7은 존재하는 경우, H 또는 (C1 -4)알킬이고;
    R8은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또는 (C1 -4)알킬옥시로 치환되는 (C1 -4)알킬 또는 (C3 -7)사이클로알킬이고;
    R9는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또는 (C1 -4)알킬옥시로 치환되는 (C1 -4)알킬 또는 H이고;
    R10은 존재하는 경우, H 또는 (C1 -4)알킬이고;
    R11은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또는 (C1 -4)알킬옥시로 치환되는 (C1 -4)알킬 또는 H이고;
    R12는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또는 (C1 -4)알킬옥시로 치환되는 (C1 -4)알킬이고;
    R13은 존재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OH, (C1 -4)알킬옥시 또는 CONR7R8로 치환되는 (C1 -4)알킬 또는 H이고;
    R14는 존재하는 경우, H 또는 (C1 -4)알킬이거나; 또는
    R14는 CO-NR13R14 기가 결합되어 있는 C 원자와 함께 5원 또는 6원 스파이로 고리를 형성하고;
    단, Y가 SO2인 경우,
    R4는 H, (C1 -6)알킬 또는 (C3 -7)사이클로알킬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알킬기는 경우에 따라 OH, (C1 -4)알킬옥시, (C1 -4)알킬티오, (C1 -4)알킬설포닐, CN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또는 R3은 R4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N과 함께, 경우에 따라 O, S 및 SO2로부터 선택된 추가 헤테로원자를 보유하는 4원∼8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고리는 경우에 따라 OH로 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은 존재하는 경우, H이고;
    Y는 CH2, O 또는 SO2이고;
    R2 H이거나; 또는
    R2는 R3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및 질소 원자와 함께 5원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인돌 유도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1은 N 또는 S이고;
    X2는 S, O, N 또는 CR이고;
    X3은 N 또는 O인 인돌 유도체.
  4. 제3항에 있어서,
    헤테로사이클 A는 1,2,4-옥사디아졸(X1은 N이고, X2는 O이고, X3은 N임), 1,2,4-티아디아졸(X1은 N이고, X2는 S이고, X3은 N임), 티아졸(X1은 S이고, X2는 CR이고, X3은 N임) 또는 1,3,4-옥사디아졸(X1은 N이고, X2 N이고, X3은 O임)인 인돌 유도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사이클 A는 1,2,4-옥사디아졸(X1 N이고, X2는 O이고, X3은 N임) 또는 1,2,4-티아디아졸(X1은 N이고, X2는 S이고, X3은 N임)인 인돌 유도체.
  6. 제5항에 있어서,
    R3은 경우에 따라 OH로 치환된 (C1 -6)알킬이고;
    R4는 SO2-R8이거나; 또는
    R4는 CO-NR5R6로 치환된 (C1 -3)알킬이거나; 또는
    R4는 R3 및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N과 함께 6원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는 CO-NR13R14로 치환되는 것인 인돌 유도체.
  7. 제1항에 있어서,
    ㆍ7-클로로-3-[(5-{[4-(N-메틸)카복시아미도]피페리딘-1-일}메틸)-([1,2,4]-티아디아졸-3-일)]-1-(1,1-디옥소-헥사히드로-티오피란-4-일)메틸-1H-인돌;
    ㆍ7-클로로-3-[(5-{4-[(N-{2-히드록시}에틸)카복시아미도]피페리딘-1-일}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ㆍ7-클로로-3-[(5-{[N-(카복시아미도)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ㆍ7-클로로-3-({5-[(N-{[N-(카복시아미도)메틸]카복시아미도}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ㆍ7-클로로-3-({5-[(N-{[N-(2-히드록시에틸)]카복시아미도}메틸)-N-메틸아미노]메틸}-[1,2,4]옥사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ㆍ7-클로로-3-({5-[(N-{2-히드록시}에틸)-(N-{메틸설포닐})아미노]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ㆍ7-에틸-3-[(5-{4-[(N-{2-히드록시}에틸)카복시아미도]피페리딘-1-일}메틸)-([1,2,4]-티아디아졸-3-일)]-1-(테트라히드로피란-4-일)메틸-1H-인돌
    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인돌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 허용 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인돌 유도체.
  9. 약학적 허용 보조제와의 혼합물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인돌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0. 통증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I의 (인돌-3-일)헤테로사이클 유도체의 용도.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인돌 유도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수술중(peri-operative)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증성 통증, 암 통증, 및 다발성 경화증과 관련된 통증 및 경직과 같은 통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여, 상기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
KR1020087006920A 2005-08-23 2006-08-21 카나비노이드 cb1 수용체의 효능제로서의(인돌-3-일)-헤테로사이클 유도체 KR200800382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7725.3 2005-08-23
EP05107725 2005-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239A true KR20080038239A (ko) 2008-05-02

Family

ID=3553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920A KR20080038239A (ko) 2005-08-23 2006-08-21 카나비노이드 cb1 수용체의 효능제로서의(인돌-3-일)-헤테로사이클 유도체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EP (1) EP1919471B1 (ko)
JP (1) JP5283505B2 (ko)
KR (1) KR20080038239A (ko)
CN (1) CN101272783B (ko)
AR (1) AR055384A1 (ko)
AU (1) AU2006283884B2 (ko)
BR (1) BRPI0615201A2 (ko)
CA (1) CA2619038A1 (ko)
EC (1) ECSP088270A (ko)
IL (1) IL189390A0 (ko)
MX (1) MX2008002539A (ko)
NO (1) NO20080750L (ko)
NZ (1) NZ566007A (ko)
PE (1) PE20070236A1 (ko)
RU (1) RU2008110961A (ko)
TW (1) TW200745096A (ko)
WO (1) WO2007023143A1 (ko)
ZA (1) ZA2008015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782A (ko) * 2013-12-09 2015-06-17 동우신테크 주식회사 광학활성 1-(인돌린-5-일)프로판-2-올 유도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30635B (en) 2004-03-05 2010-09-21 Organon Nv (indol-3-yl)-heterocycle derivatives
US7763732B2 (en) 2005-08-24 2010-07-27 N.V. Organon Indole derivatives
TW200848417A (en) * 2007-02-22 2008-12-16 Organon Nv Indole derivatives
WO2008119694A1 (en) * 2007-03-30 2008-10-09 Janssen Pharmaceutica Nv Benzimidazole cannabinoid agonists
JP5569397B2 (ja) 2009-01-16 2014-08-13 ダイソー株式会社 2−ヒドロキシメチルモルホリン塩の製造方法
US9310374B2 (en) 2012-11-16 2016-04-12 Redwood Bioscience, Inc. Hydrazinyl-indole compound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conjugate
CN116102449A (zh) * 2015-12-09 2023-05-12 豪夫迈·罗氏有限公司 作为大麻素受体2激动剂的苯基衍生物
WO2021241725A1 (ja) 2020-05-29 2021-12-02 富士フイルム富山化学株式会社 高純度のn-(5-メトキシ―2-フェノキシフェニル)メタンスルホンアミド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118000A0 (en) * 2000-11-02 2000-11-23 Amrad Operations Pty. Limited Therapeutic molecules and methods
TW200402417A (en) * 2002-06-21 2004-02-16 Akzo Nobel Nv 1-[(Indol-3-yl)carbonyl]piperazine derivatives
US20040077650A1 (en) * 2002-10-18 2004-04-22 Pfizer Inc. Cannabinoid receptor ligands and uses thereof
US7247628B2 (en) * 2002-12-12 2007-07-24 Pfizer, Inc. Cannabinoid receptor ligands and uses thereof
TWI330635B (en) * 2004-03-05 2010-09-21 Organon Nv (indol-3-yl)-heterocycle derivativ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782A (ko) * 2013-12-09 2015-06-17 동우신테크 주식회사 광학활성 1-(인돌린-5-일)프로판-2-올 유도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110961A (ru) 2009-09-27
WO2007023143A1 (en) 2007-03-01
JP2009506010A (ja) 2009-02-12
CA2619038A1 (en) 2007-03-01
CN101272783B (zh) 2011-05-25
MX2008002539A (es) 2008-03-14
EP1919471B1 (en) 2014-01-08
TW200745096A (en) 2007-12-16
IL189390A0 (en) 2008-06-05
ECSP088270A (es) 2008-04-28
AR055384A1 (es) 2007-08-22
CN101272783A (zh) 2008-09-24
BRPI0615201A2 (pt) 2011-05-10
JP5283505B2 (ja) 2013-09-04
AU2006283884B2 (en) 2011-06-02
PE20070236A1 (es) 2007-04-16
AU2006283884A1 (en) 2007-03-01
NZ566007A (en) 2009-12-24
NO20080750L (no) 2008-05-14
EP1919471A1 (en) 2008-05-14
ZA200801519B (en)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8239A (ko) 카나비노이드 cb1 수용체의 효능제로서의(인돌-3-일)-헤테로사이클 유도체
JP5335426B2 (ja) ジアリールアミン含有化合物および組成物、ならびにc−kit受容体の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KR102151288B1 (ko) [오르토 바이 (헤테로 )아릴]-[2-(메타 바이 (헤테로 )아릴)-피롤리딘-1-일]-메타논 유도체인 오렉신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KR101204213B1 (ko) 오렉신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헤테로아릴 유도체
JP6116245B2 (ja) 神経変性疾患治療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インドールアミン誘導体および関連化合物
MX2009001634A (es) Compuestos heterociclicos adecuado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relacionadas con el nivel elevado de lipidos.
KR20030045187A (ko) 도파민 d₃수용체 조절제 (정신병 치료제)로서 유용한테트라히드로벤즈아제핀 유도체
JP2012140445A (ja) アリール尿素誘導体
CN101616667A (zh) 可用作激酶抑制剂的杂环酰胺化合物
BRPI0714663A2 (pt) composto e composiÇÕes como moduladores da via hedgehog
US7655645B2 (en) Indole derivatives
JP5011097B2 (ja) カンナビノイドcb1受容体のアゴニストとしての、(インドール−3−イル)−複素環誘導体
US7763732B2 (en) Indole derivatives
RU2376302C2 (ru) Производные (индол-3-ил)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в качестве агонистов каннабиноидных рецепторов св1
JP2008509121A (ja) ニューロキニン受容体拮抗薬としてのキノリン誘導体
CN118047793A (zh) 一种吡啶衍生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