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8164A - 좌석용 채열장치 - Google Patents

좌석용 채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8164A
KR20080038164A KR1020087003798A KR20087003798A KR20080038164A KR 20080038164 A KR20080038164 A KR 20080038164A KR 1020087003798 A KR1020087003798 A KR 1020087003798A KR 20087003798 A KR20087003798 A KR 20087003798A KR 20080038164 A KR20080038164 A KR 20080038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temperature control
temperature
sensing element
he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226B1 (ko
Inventor
다다히코 오하시
야스히로 오하시
Original Assignee
쿠라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라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라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7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systems
    • B60N2/5685Resist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3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serpentine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4Heaters using resistive wires or cables not provided for in H05B3/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9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seat wa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 신뢰성 및 안전성에 있어서 우수하고, 좌석에 대한 부착 작업성이 향상되고, 비용의 절감과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석시의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고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차량좌석용 채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재2와 상기 기재에 배치된 코드 형상 히터3으로 이루어지는 히터4와,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소자5와, 상기 온도감지소자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회로1로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감지소자 및 상기 온도제어회로는 모두 상기 기재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좌석용 채열장치이다. 또한 온도제어회로는 상기 온도제어회로에 접속된 리드선의 일부와 함께 절연 피복되어 있다.

Description

좌석용 채열장치{HEATING DEVICE FOR SEAT}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부착하여 좌석의 난방을 하는 카시트 히터(automobile seat heater) 등의 좌석용 채열장치(座席用採熱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구성, 신뢰성 및 안전성에 있어서 우수하고, 좌석에 대한 부착 작업성이 향상되고, 비용의 절감과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석시의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아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좌석용 채열장치로서는, 코드 형상 히터(code 形狀 heater) 등으로 구성된 히터(heater)를 서모스탯(thermostat)에 의하여 일정한 온도가 되도록 온도제어 하는 방식의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서모스탯에 의한 온도제어의 것은, 사용하고 있는 서모스탯의 동작온도에 의하여 히터의 온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자유롭게 좌석용 채열장치의 온도를 설정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키고 싶다고 하는 요구에 대하여는, 동작온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모스탯을 사용하거나, 서모스탯을 동작시키는 보조 히터의 발열량을 전환한다고 하는 방법을 취하는 등 부품수의 증가나 복잡한 회로구성을 필요로 하여 현실적으로는 실현이 곤란하였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8∼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좌석용 채열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8∼도10에 있어서, 코드 형상 히터103이 기재(基材)102에 사행(蛇行)으로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히터104에, 온도제어회로101이 기재102의 외부에서 직렬로 접속되고, 코드 형상 히터103의 근방에는 써미스터(thermistor) 등의 온도감지소자(溫度感知素子)10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온도감지소자105로부터의 온도신호에 의하여 온도제어회로101에 내장된 파워 MOS FET(Field Emission Transistor;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등의 전류제어소자를 제어 함으로써 히터104의 온도가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온도제어회로101의 회로기판(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은, 제1케이스체(case體)111과 제2케이스체112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113에 수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케이스체111에는 케이스체113을 좌석으로부터 자유롭게 탈착하기 위한 부착부114가 설치되고, 또한 제2케이스체112에는 회로기판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체113에는, 좌석에 대한 히터104의 설치에 있어서의 순서의 제약을 해소해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터104와 상기 온도조절회로10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히터104에는 온도감지소자105가 고정되어 있고, 이 온도감지소 자105도 접속부115를 통하여 온도제어회로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유추된다. 한편 히터104 이외의, 예를 들면 전원 등에 접속되는 리드선108은 상기 제2케이스체112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또한 써미스터 등에 의한 온도감지소자를 사용하여 온도제어를 하는 기술을 개시한 문헌으로서, 상기 특허문헌1 이외에 다수의 문헌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등 참조).
또, 상기 도8∼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온도제어회로101과 온도감지소자105를 히터104의 기재102에 고정시키는 것이 시사된 문헌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의 단락0003, 0005 참조).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72755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표2004-504082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17796호 공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에 나타내어진 구성에서는, 히터104와는 별도로 온도제어회로101을 수납한 케이스체113을 좌석에 부착하고, 더욱이 히터104와 온도제어회로101을 접속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복잡한 구조의 부착부114나 회로기판을 수납하는 부분을 구비하는 케이스체113의 사용에 의하여 상당한 비용상승이 예상된다.
또, 상기 케이스체113에 있어서의 제1케이스체111과 제2케이스체112의 결합부분은 서로 삽입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씰(seal)이 불완전하게 되어버린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다습(多濕)한 환경 등에서 사용하였을 경우에, 회로기판이 결로(結露)하여 절연저항(絶緣抵抗)이 저하하고, 리크(leak) 전류에 의한 발화(發火) 등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체112에 있어서의 리드선108의 도출부분은 진동 등이 가해지는 경우에, 굴곡하는 하중이 리드선108에 직접 가해지기 때문에 리드선108이 단선(斷線)될 우려가 있다.
한편 히터104에 고정되는 온도감지소자105는, 히터104의 기재102의 외부에 설치된 온도제어회로101에 접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히터104와 온도제어회로101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108의 개수가 많아지므로 비용이 들어감과 아울러 경량화의 장애가 된다. 또한 온도감지소자105와 온도제어회로101의 사이의 접속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온도제어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3에 시사된 구성의 경우에, 케이스체113에 의하여 온도제어회로101의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또 두께도, 온도제어회로기판의 두께와 제1케이스체111 및 제2케이스체112의 두께가 두꺼운 것에 더하여, 회로기판에 탑재된 전자부품이 제1케이스체111 및 제2케이스체112에 닿지 않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상당한 두께가 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3의 단락 0005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온도제어회로101을 고정시킨 히터104를 차량 좌석에 부착하여 사용하면 착석시의 위화감이 있어, 쾌적성을 현저하게 손상시키기 때문에 실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내구성, 신뢰성 및 안전성에 있어서 우수하고, 좌석에 대한 부착 작업성이 향상되고, 비용의 절감과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석시의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아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좌석용 채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1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기재와 상기 기재에 배치된 코드 형상 히터로 이루어지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소자와, 상기 온도감지소자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회로로 이루어지는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 및 상기 온도제어회로는 모두 상기 기재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2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1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는, 상기 온도제어회로에 접속된 리드선의 일부와 함께 절연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3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2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의 상기 온도제어회로와의 접속측의 단부에는 미리 보호피복이 실시되어 있어서, 그 상태에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와 함께 더 절연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4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은 열수축성 튜브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5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4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에 사용되는 열수축성 튜브는 그 내면에 열가소성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6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1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의 리드선은, 상기 기재 상에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7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1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는 두께가 9mm 이하가 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8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1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의 상하 양면 사이에, 좌석에 실장된 상태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쪽에는 보강판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9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1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를 상기 온도제어회로 내에 조립한 상태에서 절연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10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9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는 상기 온도제어회로 내에 있어서 발열하는 전자부품의 근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11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9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의 상하 양면 사이에 좌석에 실장된 상태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쪽에는 보강판이 내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온도감지소자는 상기 보강판에 있어서 각종 전자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측에 대하여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12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9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의 상하면의 적어도 한 면에는 집열용 금속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13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9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 내에 상기 온도감지소자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청구항1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내구성, 신뢰성 및 안전성에 있어서 우수하고, 좌석에 대한 부착 작업성이 향상되고, 비용의 절감과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석시의 위화감이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좌석용 채열장치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2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1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는, 상기 온도제어회로에 접속된 리드선의 일부와 함께 절연피복 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선의 굴곡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청구항3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2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의 상기 온도제어회로와의 접속측의 단부에는 미리 보호피복이 실시되어 있어서, 그 상태에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와 함께 더 절연피복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선의 굴곡에 대한 내구성이 더 향상되는 것이다.
청구항4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은 열수축성 튜브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피복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청구항5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4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에 사용되는 열수축성 튜브는 그 내면에 열가소성 접착제층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한 틈을 형성하지 않아 원하는 절연피복을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6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1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의 리드선은, 상기 기재 상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그것에 의해서도 굴곡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청구항7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1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는 두께가 9mm 이하가 되도록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좌석에 실장하였을 경우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청구항8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1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의 상하 양면 사이에 좌석에 실장된 상태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쪽에는 보강판이 내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착석시의 하중에 의하여 온도제어회로의 안전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9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1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를 상기 온도제어회로 내에 조립한 상태에서 절연 피복하도록 하였으므로, 그것에 의해서도 좌석에 실장했을 경우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청구항10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9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는 상기 온도제어회로 내에 있어서 발열하는 전자부품의 근방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온도감지의 감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청구항11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9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의 상하 양면 사이에 좌석에 실장된 상태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쪽에는 보강판이 내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온도감지소자는 상기 보강판에 있어서 각종 전자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측에 대하여 반대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온도감지소자가 본래의 온도감지 위치인 코드 형상 히터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므로 온도감지 감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청구항12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에 의하면, 청구항9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의 상하면의 적어도 한 면에는 집열용 금속박(集熱用 金屬箔)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감지 감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청구항13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청구항9의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홈 내에 상기 온도감지소자를 조립하도록 하였으므로, 돌출하는 것을 없앨 수 있으므로 좌석에 실장했을 경우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석용 채열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석용 채열장치의 일부인 열수축 튜브 등으로 절연 피복된 온도제어회로의 한 실시예를 나타 내는 일부를 절단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석용 채열장치의 조립에 있어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석용 채열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선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석용 채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석용 채열장치의 일부인 열수축 튜브 등에 의하여 절연 피복된 온도제어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절단한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석용 채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종래의 예의 좌석용 채열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9는, 종래의 예의 좌석용 채열장치의 일부인 온도제어회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0은, 종래의 예의 좌석용 채열장치를 나타내는 배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온도제어회로 2 기재(基材)
3 코드 형상 히터 4 히터
5 온도감지소자 7 절연피복(絶緣被覆)
8 리드선(lead線) 9 회로기판
10 보강판(補强板) 11 보호 튜브
E 전원 SW 스위치
VR 온도설정 가변저항(temperature setting variable resistance)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1∼도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재2가 있고, 이 기재2에는 코드 형상 히터3이 고정되어 있어서, 이들 기재2와 코드 형상 히터3에 의하여 히터4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기재2의 소정의 위치에는 온도제어회로1이 배치되어 있다. 온도제어회로1에는 리드선8의 일단측(一端側)이 접속되어 있고, 이 리드선8의 타방(他方)은,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원E, 온도설정 가변저항VR, 스위치SW, 온도감지소자5 및 코드 형상 히터3에 접속되어 있다. 또 온도감지소자5는, 히터4의 온도를 되도록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기재2 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온도감지소자5의 리드선8은 기재2 상에서 온도제어회로1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온도감지소자5 및 온도제어회로1은 모두 기재2의 소정의 위치에 미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괄하여 좌석27의 좌부(座部)29나 등받이부31의 소정의 장소에 부착할 수 있어(도3에 나타낸다), 좌석27에 대한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코드 형상 히터3과 온도제어회로1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8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비용절감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감지소자5와 온도제어회로1의 접속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온도제어의 신뢰성에 있어서 우수한 것이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온도제어회로1은,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온도제어회로1에 접속된 리드선8의 일부와 함께 절연피복(絶緣被覆)되어 있다. 절연피복의 방법으로서는, 유기재료로 구성된 열수축성 튜브(熱收縮性 tube)7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열수축성 튜브7의 내주면에는 열가소성 접착제(熱可塑性 接着劑)21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열수축 튜브7의 내부에 회로기판9를 배치한 후에 가열에 의하여 열수축 튜브7을 수축시킴으로써, 회로기판9의 주위를 열가소성 접착제21로 충전(充塡)하는 것이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축한 열수축성 튜브7의 개구부에는 용융된 열가소성 접착제21이 틈 없이 충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열수축성 튜브7의 내부에 회로기판9를 배치한 후에, 열수축성 튜브7의 개구부로부터 열가소성 혹은 열경화성 유기재료(熱硬化性 有機材料)를 충전하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리드선8이 열수축성 튜브7에 의하여 절연 피복되는 길이는, 내습(耐濕)이 유지되고 또한 리드선8의 굴곡에 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소정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온도제어회로1이 리드선8의 일부와 함께 열수축성 튜브7에 의하여 절연 피복되어 있으면, 회로기판9의 결로(結露)에 의한 발화(發火)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연피복에 의하여 리드선8에 가해지는 굴곡하는 하중을 부드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리드선8의 단선(斷線)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배경기술의 세 번째 단락 등에 기재한 바와 같은 대형의 케이스체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온도제어회로1의 사이즈나 두께를 대폭적으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석시의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고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온도제어회로1에 있어서의 절연피복의 피복 후의 두께는,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는 두께인 9mm 이하로 되어 있고, 또한 착석했을 때에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기재2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매우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온도제어회로1을 두께 9mm 이하로 절연 피복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열수축성 튜브7을 사용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지 몰드 공법(樹脂mold工法), 수지 포팅 공법(樹脂potting工法) 등이 고려된다. 또, 접착제 등이 도포(塗布)된 수지나 고무의 시트에 의하여 온도제어회로를 에워싸는 것도 고려된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드선8에 미리 보호피복으로서 보호 튜브11을 배치하고, 그 위에 열수축성 튜브7에 의하여 절연 피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리드선8로서 가는 지름의 것을 사용하였을 경우이더라도 절연피복의 단부에 있어서의 굴곡에 의하여 리드선8이 단선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보호 튜브11에는 상기한 절연피복과 동일한 열수축성 튜브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이하에 도1∼도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이 하여 각 구성 부품이 리드선8에 의하여 접속된다. 즉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원E의 +측과 회로기판9가 스위치SW를 통하여 접속되고, 전원E의 +측과 코드 형상 히터3의 다른 일단이 접속되고, 온도감지소자5의 리드선은 +측, -측 모두 회로기판9에 직접 접속되고, 회로기판9와 온도설정 가변저항VR가 접속되고 또한 회로기판9가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이 회로기판9는, 내층(內層)에 열용융성 접착제21이 구비되고 외층(外層)이 전자빔 가교(electron beam 架橋)의 올레핀 수지제(olefin 樹脂劑)로 이루어지는 열수축 튜브7의 내부에 배치된 후에 가열됨으로써 절연 피복된다. 이 때에, 온도제어회로1의 두께가 9mm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리드선8의 일부는 회로기판9와 함께 열수축성 튜브7에 의하여 절연 피복되지만, 리드선8이 피복되는 길이는, 절연이 유지되고 또한 굴곡에 대한 내구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약 10mm가 적당하다.
온도감지소자5는, 코드 형상 히터3의 배선간의 간격 내에서 시트 히터의 온도를 고정밀도로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지만, 상기 코드 형상 히터3에 지나치게 접근한 위치에서는 시트 히터의 온도가 설정온 도까지 상승하기 전에, 상기 코드 형상 히터3의 열을 감지해 상기 코드 형상 히터3의 통전(通電)이 오프(off) 하는 소위 조기 오프 상태가 된다.
열수축성 튜브7에 의하여 절연 피복된 회로기판9는, 사이즈가 소형(약 25mm×40mm)이고 두께도 얇게(9mm 이하) 마무리되고 있고, 또한 착석했을 때에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히터4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판10을 회로기판9에 포갠 상태에서, 열수축성 튜브7에 의하여 절연피복을 실시함으로써 착석시의 충격 및 하중에 의한 회로기판9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판10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보강판10이 위치하는 면이 좌면측(座面側)이 되도록 온도제어회로1을 배치하는 것 더 효과적으로 회로기판9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제어회로1을 기재2에 부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온도감지소자5도 회로기판9와 일괄하여 열수축성 튜브7의 내부에 내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때에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9의 각종 소자25 내의, FET와 같은 발열하는 소자25의 근방에 온도감지소자5를 배치함으로써 이 소자25로부터의 열을 유사적(類似的)으로 온도감지소자5에 감지시켜, 히터4의 온도제어를 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보강판10에 있어서 회로기판9의 각종 소자25가 배치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온도감지소자5를 배치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러한 배치의 경우에는,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보강판10에 온도감지소자5가 수납되는 홈부23을 형성하고, 이 홈부23에 온도감지소자5를 수납하는 것도 생각된다. 아울러 집열 때문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을 온도감지소자5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하는 것도 생각된다.
상기의 온도제어회로1은 코드 형상 히터3이 배치된 기재2에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하여 배치되지만, 더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사이즈의 기재2와 같은 재질의 시트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온도제어회로1을 고정시키는 방법도 생각된다.
온도감지소자5로서는, 예를 들면 써미스터, 백금 저항 소자, 열전대(熱電對; thermocouple)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온도감지 정밀도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당하게 선택하면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 절연피복으로서 사용한 열수축 튜브7에 대해서 도전성 부여재(導電性 附與材)가 첨가된 것을 사용하면, 차량 내 등에 발생하는 노이즈로부터 회로기판9를 차폐할 수 있어,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전성 부여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 예를 들면 카본블랙 입자(carbon black 粒子), 그래파이트 입자(graphite 粒子), 탄소섬유 분쇄물(ground carbon fiber), 금속분말(金屬粉末), 금속산화물 분말(金屬酸化物 粉末), 도전성 폴리머 분말(導電性 polymer 粉末)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구성, 신뢰성 및 안전성에 있어서 우수하고, 좌석에 대한 부착 작업성이 향상하고, 비용의 절감과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석시의 위화감을 발생시키지 않아 쾌적한 착석감을 얻을 수 있는 좌석용 채열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예를 들면 자동 이륜차나 철도차량 등의 차량 좌석에서도 좋고, 차일드 시트(child safety seat), 선박이나 항공기 등의 좌석, 유원지의 관람차의 좌석, 각종 경기장의 관람석, 극장이나 영화관 등의 감상용 좌석, 역이나 테마파크(theme park), 옥외공원 등에 설치된 벤치, 가정 내나 오피스에서 사용되는 소파(sofa)나 의자, 이발소의 의자, 각종 의료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료용 의자 등에 대한 적용도 생각된다. 또한 좌석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침대, 이부자리, 베개, 베이비카, 변좌 커버(toilet seat cover), 피복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응용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좌석용 채열장치는, 공기조절장치(air conditioner)가 조립된 좌석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좌석의 내부에 조립한 형태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좌석의 표면에 나중에 배치하는 형태로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Claims (13)

  1. 기재(基材)와 상기 기재에 배치된 코드 형상 히터(code 形狀 heater)로 이루어지는 히터(heater)와,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소자(溫度感知素子)와, 상기 온도감지소자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회로로 이루어지는 좌석용 채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 및 상기 온도제어회로는 모두 상기 기재(基材)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는, 상기 온도제어회로에 접속된 리드선(lead線)의 일부와 함께 절연피복(絶緣被覆)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와의 접속측의 단부에는 미리 보호피복(保護被覆)이 실시되어 있어서, 그 상태에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와 함께 더 절연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은 열수축성 튜브(熱收縮性 tub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복에 사용되는 열수축성 튜브는 그 내면에 열가소성 접착제층(熱可塑性 接着劑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의 리드선은, 상기 기재 상에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는, 두께가 9mm 이하가 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의 상하 양면 사이에, 좌석에 실장된 상태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쪽에는 보강판(補强板)이 내장(內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를 상기 온도제어회로 내에 조립한 상태에서 절연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는 상기 온도제어회로 내에 있어서 발열하는 전자부품의 근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회로의 상하 양면 사이에 좌석에 실장된 상태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쪽에는 보강판이 내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온도감지소자는 상기 보강판에 있어서 각종 전자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측에 대하여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소자의 상하면의 적어도 한 면에는 집열용 금속박(集熱用 金屬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홈 내에 상기 온도감지소자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용 채열장치.
KR1020087003798A 2005-08-11 2006-08-10 좌석용 채열장치 KR101327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3820 2005-08-11
JPJP-P-2005-00233820 2005-08-11
PCT/JP2006/315872 WO2007018271A1 (ja) 2005-08-11 2006-08-10 座席用採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164A true KR20080038164A (ko) 2008-05-02
KR101327226B1 KR101327226B1 (ko) 2013-11-11

Family

ID=3772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798A KR101327226B1 (ko) 2005-08-11 2006-08-10 좌석용 채열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92680B2 (ko)
EP (1) EP1929901B1 (ko)
JP (1) JP5116470B2 (ko)
KR (1) KR101327226B1 (ko)
CN (1) CN101242757B (ko)
CA (1) CA2618074C (ko)
RU (1) RU2403845C2 (ko)
WO (1) WO20070182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4111B2 (en) 2013-05-02 2019-06-04 Gentherm Gmbh Liquid resistant heating element
KR20190073517A (ko) * 2016-12-21 2019-06-26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소자 탑재용 배선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1899B3 (de) * 2006-04-20 2007-06-21 W.E.T. Automotive Systems Ag Einrichtungen zum Klimatisieren, zum Detektieren und zum Sitzen
JP4861450B2 (ja) * 2009-05-12 2012-01-25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ヒータ・ユニット
JP5304895B2 (ja) * 2009-05-26 2013-10-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面状採暖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座席
CN102656052A (zh) * 2009-12-14 2012-09-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座椅用加热器
JP5442427B2 (ja) * 2009-12-25 2014-03-1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ヒータを備えたシート
US8567861B2 (en) * 2009-12-25 2013-10-29 Ts Tech Co., Ltd. Seat with heater
CN102247943B (zh) * 2010-05-18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点胶装置
JP5701571B2 (ja) * 2010-10-27 2015-04-15 株式会社クラベ シートヒータ
DE102011011344B4 (de) * 2011-02-16 2014-12-11 Audi Ag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 elektrische Sitzheizung
CN103380026B (zh) * 2011-04-27 2016-03-2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座椅加热器
DE102011121978B4 (de) * 2011-11-17 2023-03-16 Gentherm Gmbh Heiz- oder Temperier-Einrichtung
JP5805509B2 (ja) * 2011-11-30 2015-11-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ヒータ制御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ヒータ
JP5960545B2 (ja) * 2012-08-13 2016-08-0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6177653B2 (ja) 2013-10-10 2017-08-0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101381073B1 (ko) * 2013-11-19 2014-04-04 송성진 신체교정과 온열치료를 겸한 기능성 의자
US9675180B2 (en) 2015-03-13 2017-06-13 Charles N Currie Portable solar powered heated seat cushion
JP6043972B1 (ja) * 2015-04-08 2016-1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シートヒータ
DE102016003830A1 (de) * 2015-04-17 2016-10-20 Gentherm Gmbh Elektrische Heizeinricht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Fahrzeugsitz mit einer solchen Heizeinrichtung
US11096248B2 (en) * 2015-05-29 2021-08-17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Resistive heater with temperature sensing power pins and auxiliary sensing junction
CN104921535B (zh) * 2015-07-14 2016-08-24 成都市伺服液压设备有限公司 一种多功能枕头
US10279714B2 (en) *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20180124871A1 (en) * 2016-10-31 2018-05-03 Gentherm Gmbh Carbon veil heater and method of making
DE202019005342U1 (de) * 2019-03-28 2020-07-20 Gentherm Gmbh Elektronisches Steuergerät für eine Heizeinrichtung
WO2021205490A1 (ja) * 2020-04-05 2021-10-14 奥村真理子 ホットファニチャー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739A (ja) 1982-07-26 1984-02-03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経糸整経機用ビ−ムクリ−ルのビ−ム着脱装置
JPS5921739U (ja) * 1982-08-02 1984-0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温度検出器
US4542750A (en) 1982-08-13 1985-09-24 Primary Diagnostic Systems, Inc. Non-invasive method for diagnosing incipient or developed cancer tissue
JPS5950362U (ja) * 1982-09-28 1984-04-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輛用シ−トヒ−タ
JPS6271869U (ko) * 1985-10-24 1987-05-08
US4813738A (en) * 1988-01-04 1989-03-21 Tachi-S Co., Ltd. Automotive seat with heating device
US4865379A (en) * 1988-02-04 1989-09-12 Tachi-S Co., Ltd. Automotive seat with heating device
SE465509B (sv) * 1988-03-04 1991-09-23 Scandmec Mecania Ab Foerfarande vid tillverkning av ett eluppvaermt fordonssaete samt eluppvaermt fordonssaete
DE3818974A1 (de) * 1988-06-03 1990-02-08 Ruthenberg Gmbh Waermetechnik Regel- und ueberwachungsschaltung fuer elektrische sitzheizung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US5176424A (en) * 1988-06-10 1993-01-05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bile seat assembly
JPH02108253U (ko) * 1988-10-07 1990-08-28
CN2155741Y (zh) * 1993-03-16 1994-02-16 杨家建 可调电热椅
JPH08203706A (ja) * 1995-01-20 1996-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6073998A (en) * 1996-10-15 2000-06-13 Siarkowski; Bret Seat warmer
DE19752135A1 (de) * 1997-11-25 1999-06-1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izstromregelung und Sitzheizungsregelschaltung
DE19851979C2 (de) * 1998-11-11 2000-08-31 Daimler Chrysler Ag Temperaturfühler für einen klimatisierten Fahrzeugsitz
US6189487B1 (en) * 1999-04-09 2001-02-20 Allied Precision Industries Inc. Heated animal bed
JP2000342382A (ja) * 1999-06-07 2000-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装置付座席
JP3289005B2 (ja) * 2000-06-14 2002-06-04 芳郎 野尻 着座荷重センサ及びその作製方法
US7134715B1 (en) 2000-07-17 2006-11-14 Kongsberg Automotive Ab Vehicle seat heating arrangement
JP2004217796A (ja) 2003-01-15 2004-08-05 Kasei Optonix Co Ltd 球状希土類酸化物系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72755A (ja) 2003-03-11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ヒータの制御装置
NO321923B1 (no) * 2004-12-27 2006-07-24 Nexans Varmekab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4111B2 (en) 2013-05-02 2019-06-04 Gentherm Gmbh Liquid resistant heating element
KR20190073517A (ko) * 2016-12-21 2019-06-26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소자 탑재용 배선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018271A1 (ja) 2009-02-19
RU2008104502A (ru) 2009-09-20
CN101242757A (zh) 2008-08-13
US20090095725A1 (en) 2009-04-16
RU2403845C2 (ru) 2010-11-20
CA2618074C (en) 2013-10-15
WO2007018271A1 (ja) 2007-02-15
CN101242757B (zh) 2010-09-15
US8492680B2 (en) 2013-07-23
JP5116470B2 (ja) 2013-01-09
EP1929901A4 (en) 2011-07-06
EP1929901A1 (en) 2008-06-11
KR101327226B1 (ko) 2013-11-11
CA2618074A1 (en) 2007-02-15
EP1929901B1 (en)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226B1 (ko) 좌석용 채열장치
KR101347020B1 (ko) 발열기구 및 차량좌석용 발열장치
US8091960B2 (en) Seat assembly having seat heating and occupant detection
US7510239B2 (en) Air-conditioning device for the passenger area of a vehicle
CN105075390B (zh) 加热器装置
JP5072826B2 (ja) 採暖器具及び車両座席用採暖装置
WO2011060340A1 (en) Multilayer structural heating panel
US20060267260A1 (en) Device for receiving functional elements
US20090008377A1 (en) Occupant sensing heat mat
JP2006516102A (ja) 車両の車室用空調装置
JP3041631B2 (ja) 車両用暖房装置
CN109479342A (zh) 用于机动车的具有辐射加热装置的加热系统和用于运行辐射加热装置的方法
KR101948562B1 (ko) 다층열선 매트
KR20180104347A (ko) 히팅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220842131U (zh) 车辆
JP3577691B2 (ja) 面状発熱体
JPH0525192Y2 (ko)
JPS58214289A (ja) 車輛用シ−トヒ−タ−装置
JP2000342382A (ja) 暖房装置付座席
JP2009247771A (ja) 自動車用暖房装置付き座席
JPS58214290A (ja) 車輛用シ−トヒ−タ−装置
JP2006145178A (ja) 電気式床暖房構造
JP2004272755A (ja) シートヒータの制御装置
JPS58214292A (ja) 車輛用シ−トヒ−タ−装置
JP2002043027A (ja) ヒ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