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021A -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와 축경용 조인트 및 이것들을사용한 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와 축경용 조인트 및 이것들을사용한 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021A
KR20080037021A KR1020087003490A KR20087003490A KR20080037021A KR 20080037021 A KR20080037021 A KR 20080037021A KR 1020087003490 A KR1020087003490 A KR 1020087003490A KR 20087003490 A KR20087003490 A KR 20087003490A KR 20080037021 A KR20080037021 A KR 20080037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using
shaft
diamet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데 마루야마
치카시 고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기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기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기츠
Publication of KR20080037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2Shaping of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07Joints with cut-off devices controlled separa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밸브의 접합부위를 가공하지 않고, 하우징을 조여 축경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배관 접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합한 배관에 대하여 적당한 가요성을 가져서 진동 등을 흡수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밸브이며, 또한 배관접합을 편측마다 독립하여 행할 수 있고, 접합시나 분리시에도 밸브의 고씨일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는 비용적으로도 유리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 축경 가능한 하우징(2) 내에 고무 등으로 성형한 밀봉 슬리브(3)를 수납하고, 하우징(2)에 밸브체(11)를 갖는 밸브 기구(4)를 내장시켜, 하우징(2) 내의 유로의 개폐와 유량제어를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하우징(2)을 축경시켜 밀봉 슬리브(3)로 접합용 파이프(P)의 접합 단부를 밀봉 접합한 축경 조인트부(18)를 갖는 밸브이다.
Figure 112008010677823-PCT00007
배관 시스템, 조인트, 밸브 기구, 핸들, 슬릿

Description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와 축경용 조인트 및 이것들을 사용한 배관 시스템{VALVE WITH DIAMETER-REDUCED JOINT PART, JOINT FOR DIAMETER REDUCTION, AND PIPE SYSTEM USING THESE VALVE AND JOINT}
본 발명은 유로의 개폐와 유량제어 등에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합용 파이프를 밀봉 접합할 수 있는 축경(縮徑)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와 축경용 조인트 및 이것들을 사용한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건축시설의 공조 설비나 수도시설 등에서 설치되는 배관은 설치조건 등에 따라, 각종 배관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배관의 용도에 따른 소정 기능의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밸브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으로서는, 이들 단부에 설치한 플랜지를 통하여 볼트·너트에 의한 플랜지 접합 방식이나, 볼트부와 너트부에 의한 나사식으로 부착 방식, 또는 밸브와 파이프의 접합부를 용접으로 접합하는 용접 방식, 또는 페럴 조인트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상기의 접합 방식은 배관의 설치에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 정해진 면 사이에 배관이 들어가도록 부설하기 때문에, 배관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개스킷 부재의 사용이나, 용접작업, 나사 절단 작업 등과 같은 경우에 따라서는 배관을 만곡시켜서 부설하고 있다. 그 결 과, 밸브나 조인트 등의 접합부위에 배관 응력이 걸릴 뿐만 아니라, 밸브와 접합 파이프가 가요성이 허용되지 않는데다, 작업성에도 과제를 갖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도 1, 도 2 참조).
그런데, 파이프끼리를 접합하는 조인트에는 반복 굽힘에도 대응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갖고, 파이프와의 밀봉성도 좋고, 게다가, 작업성이 우수한 각종의 조인트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에 개시되는 조인트 구조와 같이, 조인트 본체의 양단으로부터 파이프를 꽂아 넣고, 단면 C형상으로 설치한 하우징 양단을 볼트로 조이고, 관 끝끼리의 연결을 행하는 방식의 조인트가 알려져 있다.
또, 비특허문헌 1에서는, 커플링 조인트라고 불리는 이 종류의 조인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조인트를 사용하여, 집합주택/수도 계량기 교환 라이닝 강관에 밸브를 접속한 예를 게시한 것이다. 도 40에서는, 이 종류의 조인트(201)를 사용한 배관(202)과 밸브(203)의 접합의 일반적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0에서, 커플링 조인트(201)를 사용하여 밸브(203)와 배관(202)을 접합하는 예를 설명한다. 우선, 밸브(203)의 내주측의 도시하지 않은 암나사에 접합 파이프(205)의 볼트(205a)를 나사 결합하고, 밸브(203)의 측부에 접합부위를 설치한다. 계속해서, 접합부위를 조인트(201)의 일방측에 끼워 넣음과 아울러, 조인트(201)의 타방에 접합용의 배관(202)을 끼워 넣어서 임시 부착한다. 이어서, 조인트(201)의 조임 볼트(204)를 조임으로써 밸브(203)와 배관(202)이 조인트(201)에 의해 접합된다. 이 때, 조임 볼트(204, 204)는 조인트(201)에 대하여 번갈아 조여 한쪽으로 치우쳐 조여지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또, 도면과 같이, 밸브(203)의 양측에 배관(202)을 접합하는 경우에는, 타방의 배관(202)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조인트(201)를 통하여 밸브(203)와 접합한다.
특허문헌 1: 일본 실개 소57-1056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103253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제1157995호 공보
비특허문헌 1: 「스트라브 커플링 그립 타입 카탈로그」 쇼-본드 커플링 주식회사, 2005년 4월, p.7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대표되는 것과 같은 밸브를 접합하는 경우, 이 면 사이의 정해진 밸브를 배관의 도중에 유로방향을 따라 고정적으로 부착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배관의 길이에 따라 각종 단관(單管)을 사용하거나, 곡관을 사용하여 배관부설 작업을 행하고 있어, 작업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배관의 유로방향에 대하여 가요성이 없어, 예를 들면 진동 등의 대응에 불안정한 요소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일반 밸브의 접합방식은 각종 배관부설 현장에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한편, 특허문헌 2나 3, 비특허문헌 1이나 도 40에서의 조인트는 작업성이나 가요성이 좋은 반면, 배관에 밸브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이 종류의 조인트 와는 별도로 단체의 밸브를 배관의 도중에 장착하지 않으면 안 되어, 배관 기재의 필요 개수가 많아질 뿐만 아니라, 작업성도 저하된다. 또한, 단체의 밸브는 여전히, 특허문헌 1과 같은 접합방식으로 접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밸브의 부착도 번거로웠다.
또한 상기의 과제의 해결과 더불어, 이 종류의 밸브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의 개발이 원해지고 있다.
우선, 밸브를 접합할 때에 있어서, 특허문헌 1과 같이 단관이나 곡관을 사용하지 않고, 게다가, 밸브의 좌우(1차측과 2차측) 중 어느 일방을 느슨하게 했을 때, 타방이 느슨하게 되지 않는, 좌우의 조임이 독립된 구조의 밸브가 요망되고 있다. 또, 조임 부위를 느슨하게 했을 때에, 밸브 기능 부분의 밀착 씨일이 느슨하게 되지 않고, 씨일성을 유지한 채 접합할 수 있는 밸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밸브의 한쪽 접속구에만 관을 접합하고 유로를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는 배관(예를 들면, 편배관이나 말단배관)으로 설치한 경우에, 새롭게 밸브의 다른 쪽에 배관을 접합하려고 했을 때에, 이미 접합된 관과 밸브 부위 사이에서 누설을 발생시키지 않고 접합할 수 있어, 예를 들면, 배관의 증설을 목적으로 하여, 배관의 말단에 배치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밸브의 개발이 원해지고 있다.
또, 별도의 부품을 신규로 준비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밸브 기능을 조인트 내부에 고정하여, 배관으로의 접합 전후에 상관없이, 항상 밸브 기구를 하우징 내의 소정 위치에 수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밸브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밸브의 기능은 조인트에 응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합에 사용되는 배관은 가령 공칭 직경이 동일하여도, 정확하게 동일한 직경으로 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규격이나 치수 오차, 파이프 재료의 차이 등에 의해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배관을 접합할 때에, 배관 중심이 완전하게 일치한 상태에서 조임이 어렵게 되거나, 조인트의 양측부위를 균등하게 죌 수 없게 되어, 배관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조여져 씨일성이 나쁜 상태로 접합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들을 막기 위해서, 밸브 좌우의 독립된 조인트 부위를 조인트의 좌우의 조임 부위에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조인트가 갖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과제점을 해결하여, 신규 유용한 회전밸브 등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밸브의 접합부위를 가공하지 않고, 하우징을 조여 축경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배관접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합한 배관에 대하여 적절한 가요성을 가지고 진동 등을 흡수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밸브이고, 또한, 배관접합을 한쪽마다 독립하여 행할 수 있고, 접합시나 분리시에도 밸브의 고씨일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는 비용적으로도 유리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밸브의 조인트 부위를 그대로 응용하여, 치수 오차가 있는 동일한 직경의 관이나, 또는 상이한 직경 관, 재질이 상이한 관을, 높은 밀봉성을 발휘하면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축경용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축경가능한 하우징 내에 고무 등으로 성형한 밀봉 슬리브를 수납하고, 하우징에 밸브체를 갖는 밸브 기구를 내장시켜, 하우징 내의 유로의 개폐와 유량제어를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하우징을 축경시켜 밀봉 슬리브로 접합용 파이프의 접합 단부를 밀봉 접합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한 축 구멍부에 밸브 기구의 축장착 통을 설치하고, 이 축장착 통 내에 밀봉 슬리브에 설치한 축장착 링을 장입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밸브 기구는 밀봉 슬리브의 내주면에 설치한 금속제 등의 강체 통 형상의 프레임체 내에 버터플라이 밸브용의 원판 모양의 밸브체를 스템 조작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버터플라이 밸브의 밸브체를 씨일재로 피복하거나, 적어도 환상 외주면에 씨일재를 설치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스템과 상기 축장착 링 사이에 O링을 통하여 금속제 등의 강체 형상의 유지통을 설치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밀봉 슬리브의 중앙 내주면에 환상 밸브시트부를 돌출하여 형성하고, 이 환상 밸브시트부에 원판 모양의 밸브체를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환상 밸브시트부의 보스부 위치에 인서트 부재를 매설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밸브 기구가 밀봉 슬리브의 내주면에 설치한 금속제 등의 강체 형상의 통 형상 홀더의 내주면에 볼시트를 통하여 관통구멍을 갖는 볼을 스템 조작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은, 스템의 하단을 볼에 접합하고, 이 스템과 축장착 링과의 사이에 O링을 통하여 금속제 등의 강체 형상의 유지통을 설치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0에 따른 발명은, 축장착 통의 상단에 글랜드를 돌려 넣고, 이 글랜드보다 돌출시킨 스템의 상단에 핸들을 고착하고, 또한 중간 개도(開度) 고정 기구를 부착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1에 따른 발명은, 절결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을 프레스 성형하고, 이 하우징의 내부에 고무 등으로 성형한 밀봉 슬리브를 수납하고, 이 밀봉 슬리브의 양단부를 안쪽에 절곡 형성한 립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밀봉 슬리브의 양단 위치에, 하우징의 파이프 접합의 축경시에 파이프의 접합 외주면에 파고 들어가는 로킹 링을 배열 설치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2에 따른 발명은, 밀봉 슬리브의 립부는 하우징의 축경력과 유체압의 자기 조임력과 스프링의 구심력에 의해, 접합용 파이프의 양단부 외주면에 밀봉성과 적당한 가요성을 갖도록 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3에 따른 발명은, 스테인리스 등의 하우징의 양단부에 플랜지부를 프레스 성형하고, 이 플랜지부 내주 위치에, 로킹 링과, 절결부를 갖는 삼각 링과, 절결부를 갖는 유지 링을 수납 유지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4에 따른 발명은, 하우징의 양단부에 설치한 볼트·너트 기구로 조여, 하우징을 축경 고정하도록 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5에 따른 발명은, 하우징의 접합측의 일방 또는 쌍방을 확경/축경시켜서 배관을 접합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고정부를 통하여 밸브 기구를 고정함과 아울러, 이 고정부의 고정기능과 축경 조인트부의 확경/축경 기능을 분할 기구를 통하여 분할시킨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6에 따른 발명은, 분할기구는, 밸브 기구의 고정부 근방 위치에서,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한 소정 길이의 슬릿인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7에 따른 발명은, 슬릿은 하우징의 원주방향 양단부의 일방 또는 쌍방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8에 따른 발명은, 고정부는 하우징의 밸브 기구 근방에 설치한 슬릿을 통하여 원주방향 양단부를 볼트 조임 기구로 조여 밸브 기구를 고정시킨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9에 따른 발명은, 밸브 기구는 밸브체를 수납한 환상의 프레임체를 하우징 내에 설치하고, 이 밸브체를 회전시키는 밸브축을 프레임체에 설치한 축통부로부터 하우징의 개구부보다 돌출시킴과 아울러, 축통부를 하우징의 바깥쪽으로부터 글랜드로 나사결합시켜 프레임체를 매달아 고정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20에 따른 발명은, 축통부에 설치한 암나사 또는 수나사에, 글랜드의 수나사 또는 암나사를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나사결합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21에 따른 발명은, 하우징의 원주방향 양단 개구부를 볼트 조임 기구로 확경/축경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하우징의 내주에 밀봉 슬리브를 설치하고, 또한, 하우징의 양단 내주에 로킹 기구를 설치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22에 따른 발명은 밀봉 슬리브의 내측 형상을 편평하게 형성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23에 따른 발명은, 하우징의 원주방향 양단 개구부의 근방에서, 또한 밀봉 슬리브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판을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 판을 분할 구성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24에 따른 발명은, 하우징의 양단 개구부에 인디케이터를 배치하고, 이 인디케이터로 고정기능과 축경 기능을 시각적인 확인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25에 따른 발명은, 밸브축의 바깥 끝에 핸들을 부착하고, 이 핸들로 밸브 기구를 개폐 또는 제어한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26에 따른 발명은, 밀봉 슬리브를 둘러싸는 단면 C형상의 통형의 하우징 양단을 볼트 체결 부재로 조여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한 로킹 링 기구로 배관을 접합하는 축경용 조인트에 있어서, 하우징의 양단부의 일방, 또는 쌍방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적절한 길이의 슬릿을 설치한 축경용 조인트이다.
청구항 27에 따른 발명은 하우징의 원주방향 양단부에 상기 슬릿을 1개 설치한 축경용 조인트이다.
청구항 28에 따른 발명은 하우징을 긴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하우징의 원주방향 양단부에 복수의 슬릿을 설치한 축경용 조인트이다.
청구항 29에 따른 발명은 하우징의 내주측에 배관을 피복할 수 있는 얇은 판상의 슬라이드 판을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 판을 하우징의 내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한 축경용 조인트이다.
청구항 30에 따른 발명은, 하우징을 확장/축소하는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볼트 체결 부재에, 하우징의 축경 상태를 확인하는 인디케이터를 부착하고, 이 인디케이터는 하우징의 축경시의 양단부 간극에 대응한 폭 형상으로 형성한 축경용 조인트이다.
청구항 31에 따른 발명은, 적어도 청구항 26에서 슬릿을 설치한 축경용 조인트 또는 슬릿이 없는 축경용 조인트로 배관끼리를 접합한 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이 배관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5에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를 적절하게 착탈 자유롭게 접합한 배관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예에 비해, 배관시의 접속 개소를, 씨일 치핑, 나사 절단, 플랜지에 의한 개스킷을 사용한 볼트 조임, 용접작업 등이 사라져, 대폭 삭감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담이 경감되어, 배관작업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밸브와 조인트를 개별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게다가, 우수한 가요성과 밀봉성을 가지고 관 끝끼리를 접합할 수 있어, 유로의 개폐와 유량제어를 행할 수 있는 전혀 새로운 밸브로서, 각종 분야의 유체 배관에 적용가능하다.
밸브의 접합부위를 가공하지 않고, 하우징을 조여 축경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배관 접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접합한 배관에 대하여 적당한 가요성을 갖는 밸브로서 제공가능하여, 기능으로서 조인트와 밸브를 복합화하여 비용의 저감화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 내의 유로의 개폐와 유량제어를 행하는 밸브 기구로서, 버터플라이 밸브, 볼 밸브, 게이트 밸브, 글로브 밸브, 체크 밸브, 스트레이너 등, 모든 밸브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을 확경/축경시켜 조이는 것만으로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배관에 접합할 수 있고, 접합한 배관에 대하여 적합한 가요성을 가지면서 한쪽마다 배관의 접합을 행할 수 있고, 또, 이 배관 접합시나 분리시의 밸브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조인트부측과 밸브 기구측의 씨일성을 항상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이것에 의해, 배관 시스템 내의 유체를 빼내지 않고, 1개의 밸브체를 사용하여 배관의 증설 등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분할 기구를 갖지 않는 하우징 일체형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가 갖는 여러 효과를 그대로 발휘할 수 있고, 이 효과를 가지면서도 하우징 일체형이 안고 있던 각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6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와 축경 조인트부의 기능을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고정부는 조인트부의 축경 동작이 전파하지 않아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고, 한편, 조인트부는 고정부의 강성 구조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자유롭게 확경/축경 가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배관을 씨일하는 씨일 부위의 립 부분이 고정부의 조임 등에 추종하여 변형되지 않아, 용이하게 이 배관을 삽입하여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공칭 직경의 배관을 밸브체의 양측에 접합하는 경우에 실제의 관 직경에 오차가 생겼거나, 또은, 공칭 직경이 상이한 이경관(異徑管)이나, 금속과 수지 등의 상이한 재질의 배관을 접합하는 경우에도, 높은 씨일성을 발휘하면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밸브이다.
청구항 17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양단부 중 일방에 슬릿을 설치한 경우, 타방의 단부측을 강체로서 일체적으로 기능시킬 수 있어, 굽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선체나 터널 등에서의 곡선부(만곡한 배관)에 사용하거나, 또는, 공사 현장 등의 사람이 탐으로써 강한 부하가 걸릴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사용할 수 있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한편, 하우징 양단부의 쌍방에 슬릿을 설치한 경우에는, 하우징의 확경/축경 변형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관 직경차가 큰 이경관을 접합할 수 있고, 조인트를 필요로 하는 않아 관 직경이나 재질이 상이한 배관을 접합하여, 접합부위로서 높은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하우징의 양단부측을 변형시켜 밀봉 슬리브를 진원 모양으로 축경시킬 수 있어, 조임 후에 고씨일성을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밸브 기구의 씨일성을 유지하면서 볼트 조임 기구에 의해 이 밸브 기구를 간단하고 또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축경 조인트부의 확경/축경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씨일성에 의해 밸브체의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19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체가 하우징 분기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조임 볼트를 늦춰도 밸브 기구를 본체 내에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축경조인트를 갖는 밸브이다. 따라서, 하우징을 분할하지 않는 구조이어도, 밸브 기구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유효하다.
한편, 조임 볼트를 조였을 때에는, 보다 강고하게 밸브 기구를 고정하여 밸브체가 기울거나 벗어나거나 하는 것을 막아, 소정의 위치에 밸브 기구를 들어가게 하면서도, 고씨일성을 유지하면서 개폐 조작할 수 있다.
청구항 20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부착 구조에 의해 밸브 기구를 하우징에 부착할 수 있고, 높은 정밀도로 이 밸브 기구를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또, 고씨일성을 발휘하여 유체의 누설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청구항 2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에 대하여 배관을 간단하게 접합할 수 있고, 접합 후에는 높은 밀봉성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빠짐방지성을 발휘하여 견고하게 배관을 접합할 수 있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또, 우수한 가요성을 발휘할 수 있고, 지진 등의 진동에 대해서도 강한 접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밸브이다.
청구항 2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체 외경의 형상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또, 슬리브 본체의 조임 지지점 부위의 변형을 작게 할 수 있어, 이 조임 지지점 부위가 립 부분으로부터 멀어짐으로 인한 변형 전파의 저감과 더불어 변형량이 작아짐으로써, 립 부분의 추종 변형을 보다 저감화할 수 있다.
청구항 2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각 측부에서 높은 씨일성에 의해 배관을 접합하고, 조임 부위로부터의 누설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고, 또, 우수한 배관의 빠짐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다. 게다가, 볼트 조임시의 슬라이드 판 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배관 접합시에 밸브 기구의 밀봉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밸브이다.
청구항 2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와 조인트부의 조임 잊음을 막을 수 있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며, 적절한 조임량에 의해 조임을 행할 수 있다. 또, 조인트부에 이경관을 접합하는 경우에도, 각 배관의 직경에 대응한 조임량을 확보할 수 있어, 쌍방의 배관을 모두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밸브이다.
청구항 2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게 수동조작할 수 있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이며, 또,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수동조작시에 확실하게 개폐 상태까지 조작할 수 있다.
청구항 26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밸브의 조인트 부위를 그대로 조인트에도 응용할 수 있어, 동일한 공칭 직경의 배관을 접합하는 경우에 실제의 관 직경에 오차가 발생했거나, 또는, 공칭 직경이 상이한 이경관이나 금속과 수지 등의 상이한 재질의 배관을 접합하는 경우에도, 로킹 링 기능을 작용시키면서도, 높은 씨일성을 발휘하면서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축경용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의 양단부의 쌍방으로부터 슬릿을 설치한 경우에는, 하우징의 축경 변형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관 직경차가 큰 이경관을 접합할 수 있어, 높은 리듀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하우징의 양단측을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밀봉 슬리브에 대한 축경을 균일하게 행하여 높은 씨일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의 단부의 일방으로부터 슬릿을 설치한 경우에는, 타방측 단부를 일체로 강체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굽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선체나 터널 등에서의 곡선부(만곡한 배관)에 사용하거나, 또는, 공사현장 등의 사람이 탐으로써 강한 부하가 걸릴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 사용할 수도 있는 축경용 조인트이다.
청구항 27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양측의 조임 부분을 각각 독립하여 조여서 직경확장하거나 축경하거나 할 수 있고, 각 배관마다 조임을 행하여 높은 씨일성에 의해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축경용 조인트이다. 또한, 미리 하우징 양측부의 구경을 바꾸어 형성함으로써, 상이한 구경의 배관을 접합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높은 씨일성을 유지하면서 접합할 수 있는 축경용 조인트이다.
청구항 28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삽입 여유부를 길게할 수 있고, 이 배관의 복수의 외주 위치를 조임으로써 높은 씨일성과 빠짐방지성을 발휘하여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으며, 게다가, 밀봉 슬리브의 축경방향의 두께가 쌍방의 배관 삽입측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균등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축경용 조인트이다.
청구항 29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각 측부에서 높은 씨일성에 의해 배관을 접합하여 조임 부위로부터의 누설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고, 또, 우수한 배관의 빠짐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축경용 조인트이다.
청구항 30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단부의 조임 잊음을 막을 수 있고, 또, 이경관을 접합하는 경우에도, 각 배관의 직경에 대응한 적절한 조임량을 확보할 수 있어, 쌍방의 배관을 모두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는 축경용 조인트이다.
청구항 3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축경용 조인트로 배관끼리를 접합하고, 이 배관에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를 원하는 시스템에서 착탈 자유롭게 접합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간 개도 고정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4 실시형태에서의 밸브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제 5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 형상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제 6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6 실시형태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6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프레임체와 글랜드의 1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 17은 슬라이드 판의 가공 전의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8은 도 12의 바닥면도이다.
도 19는 밀봉 슬리브의 신축상태를 도시한 원리 설명도로, (a)는 밀봉 슬리브가 확경된 상태를 도시하는 원리 설명도이고, (b)는 밀봉 슬리브가 축경된 상태를 도시하는 원리 설명도이다.
도 20은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1에서 있어의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제 7 실시형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24는 프레임체와 글랜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제 8 실시형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26은 내압 시험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7은 내탈관 시험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8은 굽힘 시험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9는 도 11에 있어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주요부와 관련된 발명에서의 축경용 조인트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축경용 조인트의 내부 기구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축경용 조인트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하우징의 굽힘 가공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하우징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34는 도 31의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35는 도 31의 슬라이드 판의 절곡 가공 전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6은 도면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7은 축경용 조인트의 제 2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8은 축경용 조인트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39는 축경용 조인트의 제 3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은 배관과 밸브의 접합의 일반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 밸브체(버터플라이 밸브, 볼 밸브)
2 하우징 3 밀봉 슬리브
3a 립부 4 밸브 기구
5 플랜지 6 축 구멍부
7 축장착 통 8 스프링
9 축장착 링 10 틀
11 밸브체(디스크) 12 스템
140 링 15 유지통
16 글랜드 18 축경 조인트부
19 로킹 링 20 삼각 링
21 유지 링 23 볼트·너트 기구
29 중간 개도 고정 기구
31 밀봉 슬리브 31a 립부
32 프레임체 33 유지통
34 밀봉 슬리브 34a 립부
35 환상 밸브시트부 36 밸브체(디스크)
37 인서트 부재 41 통 형상 홀더
42 볼 시트 43 밸브체(볼)
43b 관통구멍 150 조인트 본체
151 하우징 152 단부
154 슬릿 P 파이프(배관)
이하에, 본 발명에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밸브를 버터플라이 밸브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로부터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또,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통체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밸브체(1)는 축경가능한 하우징(2) 내에, 고무 등으로 성형한 밀봉 슬리브(3)를 수납하고, 하우징(2)에 밸브체(버터플라이 밸브의 디스크)를 갖는 밸브 기구(4)를 내장시켜, 하우징(2) 내의 유로의 개폐와 유량제어를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하우징(2)을 축경시켜, 밀봉 슬리브(3)로 접합용 파이프(P)(이하, 파이프(P)라고 함)의 접합 단부를 밀봉 접합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절결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되고, 축방향 양단에는 안쪽을 향하는 플랜지부(5, 5)를 설치하고 있다. 하우징(2)의 외주면에 형성한 축 구멍부(6)에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축장착 통(7)이 용접 고착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평탄면에 성형한 축 구멍부(6)의 구멍 가장자리 부위에 축장착 통(7)을 용접 고착하고 있지만, 이 평탄면은 하우징(2)의 외면보다 돌출시켜 형성해도 되고, 하우징(2)의 외면으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함몰시켜서 형성해도 된다. 하우징(2) 내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밀봉 슬리브(3)가 장착되어 있고, 본 예에서는 하우징(2) 내의 유로의 개폐(90° 개폐)를 행하는 밸브 기구(4)가 내장되어 있다. 물론이지만, 중간 개도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밀봉 슬리브(3)는 내압 밀봉식의 고무제 슬리브를 채용하고, 밀봉 슬리브(3)의 양단부를 안쪽으로 절곡 형성한 립부(3a)와, 립부(3a)의 절곡 부위에 형성된 환상 홈(3b)을 갖고, 환상 홈(3b)에는 환상의 스프링(8)이 장착되어 있다. 밀봉 슬리브(3)의 외주면에는 하우징(2)의 축장착 통(7) 내에 장입되는 통 형상의 축창착 링(9)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축장착 링(9)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한 테이퍼부(9a)를 설치하고 있어, 후술하는 프레임체(10)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프레임체(10)와의 걸어맞춤 부위에 우수한 밀봉성을 확보한다. 밀봉 슬리브(3)의 하방 내주면에는 리브(3c)가 형성되어 있어, 밀봉 슬리브(3)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프레임체(10)를 위치결정함과 아울러, 조립 후는 위치유지 기능이 발휘된다. 본 예에서는 물결 모양의 리브(3c)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단면 삼각형이나 단면 사각형 등의 톱니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축장착 링(9)이 돌출하는 외주의 근원 둘레 가장자리를 두겁게 하고 그 상면을 평탄하게 성형하고 있고, 평탄면에 성형된 축 구멍부(6)의 구멍 가장자리 부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하우징(2) 내에 수납하고 있다.
본 예에서 나타내는 밸브 기구(4)는 밀봉 슬리브(3)의 내주면에 설치한 금속제 등의 강체 통 형상의 프레임체(10) 내에, 대략 원판 모양의 밸브체(11)(이하, 디스크(11)라고 함)를 스템(12)의 조작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프레임체(10)는 그 내주면이 디스크(11)의 밸브시트부로서 기능한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10)의 양측면에는 하우징(2)의 양측으로부터 삽입한 파이프(배관)(P)의 접합 끝면이 맞닿는 맞닿음부(10a)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파이프(배관)(P) 내를 유체가 흐르고 이 유체가 프레임체(10)와 파이프(P)의 접합 끝면에 도달했을 때에, 이 간극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고, 환상 홈(3b) 내로 들어가서 립부(3a)를 밀어 벌어지게 하려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립부(3a)의 내주면측이 파이프(P)의 외주면에 강하게 맞닿아 씨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용 파이프(P)의 구경을 고려한 위치에, 4개의 맞닿음부(10a)를 축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하고 있는데, 맞닿음부(10a)를 설치하는 위치나 개수, 형상은 실시에 따라 임의이다. 예를 들면, 일련의 링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프레임체(10)의 하방 외주면에는 리브(10b)를 설치하고 있어, 밀봉 슬리브(3)를 위치결정함과 아울러, 조립 후는 위치유지 기능을 발휘한다. 본 예에서는 물결 모양의 리브(10b)를 채용하고 있지만, 그 형상은 실시에 따라 임의이다. 프레임체(10)의 직경위치에 스템(12)을 삽입통과시키는 스템 삽입통과구멍(10c)과, 스템(12)의 하단을 삽입부착하는 스템 삽입부착부(10d)를 설치하고 있다. 스템 삽입통과구멍(10c)과 스템(12) 사이는 O링(13)에 의해 씨일된다. 스템 삽입통과구멍(10c), 스템 삽입부착부(10d)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가공 여유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프레임체(10)는 직경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밀봉 슬리브(3)에 주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이지만, 도 2 중에서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10)의 외주면에 적당한 개수의 돌기부(10e)를(예를 들면,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이것을 밀봉 슬리브(3)에 형성한 구멍부(3d)에 결합하여 부착하면, 밀봉 슬리브(3)와 프레임체(10)에 보다 강고한 위치유지 기능을 구비시킬 수 있다. 이 돌기부(10c)는, 하우징(2)이 축경되었을 때에, 후술하는 슬라이드 판(22)에 부분적으로 맞닿는 길이로 해도 된다.
디스크(11)의 심재는 스테인리스, 황동, 청동, 주철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주조, 단조 또는 프레스 가공 등의 수단으로 성형하고 있다. 디스크(11)는 금속 재료 이외이어도 되고, 실시에 따라 적당히 선택한다. 또, 디스크(11)는 씨일재로 피복하거나, 적어도 환상 외주면에 씨일재를 형성해도 된다. 본 예에서는 심재의 외주면을 4불화에틸렌 수지(PTF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FA, 나일론, 또는 그 밖의 수지로부터 적당하게 선택한 수지 재료로 피복하여 라이닝 밸브체를 구성하고 있지만,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의 외주면에 형성한 홈부에 고무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씨일 링을 끼워 부착한 구조로 해도 된다. 디스크(11)의 직경방향에는 스템(12)을 끼워넣어 고정하는 도시하지 않은 삽입부가 천공되고, 이 삽입부 내에 끼워 부착한 스템(12)의 회전에 수반되는 디스크(11)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 디스크(11)는, 예를 들면, NBR 고무 라이닝에 의해 코팅해도 된다. 이 경우, 금속제인 프레임체(10)에 대하여 씨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템(12)과 축장착 링(9) 사이에는 O링(14)을 통하여 금속제 등의 강체 형상 의 유지통(15)이 장착되어 있다. 유지통(15)의 하단은 프레임체(10)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고, 축장착 링(9)의 테이퍼부(9a)와 프레임체(10)의 상방 외주면에 설치한 테이퍼부(10f)를 액체가 새지 않게 밀착시켜져 있다. 유지통(15)은, 하우징(2)의 축장착 통(7)의 상단에 돌려 넣는 글랜드(16)에 의해 디스크(11)측으로 가압되고, 이것에 의해, 스템(12), O링(14), 축장착 링(9)이 위치 유지되고, 또, 적절하게 가압된 O링(14)과 축장착 링(9)이 스템(12) 주위의 유체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다른 예로서, 축장착 링(9)의 내주면에 반구 모양이나 물결 모양 등의 적절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리브(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함으로써 스템(12)과의 면압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글랜드(16)로부터 돌출한 스템(12)의 상단에는 핸들(17)이 고착되고, 디스크(11)를 회전시켜 유로의 개폐, 또는 유량제어가 행해진다.
도면 중, 18은 축경 조인트부이다. 또한, 본 예에서 채용하는 축경 조인트부(18)는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에 설치한 플랜지부(5, 5)의 내주 위치에 로킹 링(19)과, 삼각 링(20)과, 유지 링(21)이 수납 유지되어 있다. 이것들은 하우징(2)에 수납한 밀봉 슬리브(3)의 양단 위치에 각각 배열 설치되어 있다. 로킹 링(19)은 슬릿 모양으로 절결한 선단 위치에 복수의 발톱(claw)(19a)를 형성하고 있고, 하우징(2)의 축경시에 파이프(P)의 접합 외주면에 파고 들어가, 파이프(P)의 빠져나감을 저지함과 동시에, 파이프(P)의 외주면에 밀봉 슬리브(3)를 압착하여, 파이프(P)와의 밀봉 구조를 형성시킨다.
삼각 링(20)은 일부를 슬릿 모양으로 절결한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축경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안쪽에는, 정점 부위를 갖는 단면 삼각형상을 보이고 있고, 각 원추면(20a, 20a)에 밀봉 슬리브(3)측과 로킹 링(19)을 각각 걸어맞추고 이것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작용시키도록 하고 있다.
유지 링(21)은 삼각 링(20)과 동일하게 슬릿 모양 부위를 설치한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축경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유지 링(21)은 단면 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외주면측을 플랜지부(5)와 로킹 링(19)에 맞닿도록 이것들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로킹 링(19)을 유지하고 있다.
22는 슬라이드 판으로, 하우징(2)과 밀봉 슬리브(3) 사이에 설치하여 하우징(2)의 절결부를 커버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절결 위치에는 볼트·너트 기구(23)를 설치하고 있다. 본 예에서 나타내는 볼트·너트 기구(23)는 하우징(2)의 양단면을 되접어서 되접기 부위(2a, 2b)를 형성하고, 일방의 되접기 부위(2a)에 봉 형상 와셔(24)를 끼우고, 마찬가지로 타방의 되접기 부위(2b)에 봉 형상 너트(25)를 끼우고, 각 끝면을 하우징(2)에 용접 고착하고 있다. 봉 형상 와셔(24)에는, 볼트(26)의 수나사가 삽입통과 가능한 관통구멍을 갖고 있고, 또, 봉 형상 너트(25)에는, 볼트(26)의 수나사가 나사식으로 부착 가능한 암나사를 갖고 있다.
긴 구멍(2c, 2d)은 하우징의 각 되접기 부위(2a, 2b)에 대하여, 원주방향에서 적당한 길이로 천공하고, 이 되접기 부위(2a, 2b)를 되접었을 때에, 일방측의 긴 구멍(2c)으로부터 타방의 긴 구멍(2d)에 대하여 볼트(26)가 삽입/분리되고, 이 긴 구멍(2c, 2d)을 통하여 봉 형상 와셔(24)와 봉 형상 너트(25)에 대하여 볼 트(26)가 삽입/분리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밸브체(1)의 양측으로부터 파이프(P)(강관 등의 금속 또는 수지 파이프도 포함함)를 삽입하면, 파이프(P)의 선단면이 프레임체(10)의 양측면에 설치한 맞닿음부(10a)에 맞닿는다. 따라서, 밸브체(1)와 접합하는 파이프(P)를 용이하게 적정 위치에 세팅할 수 있다. 맞닿음부(10a)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파이프 외주면의 접합 위치를 마킹하여 시각적인 확인에 의해 적정 위치를 판단해도 된다.
파이프(P)를 삽입한 후, 볼트·너트 기구(23)를 통하여 하우징(2)을 조여 축경시킨다. 볼트·너트 기구(23)의 볼트(26)를 조이면, 하우징(2)의 되접기 부위(2a, 2b)가 점차로 근접해 간다. 이 하우징(2)의 축경에 따라,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킹 링(19)이 서서히 기립해 가고, 로킹 링(19)의 발톱(19a)이 파이프(P)의 접합 외주면에 깊게 파고들어 간다. 동시에, 하우징(2)의 내주면과 밀봉 슬리브(3)의 외주면에 있던 초기시의 간극은 없어져, 파이프(P)의 조임 면압(F1)과 슬라이드 판(22)의 조임 면압(F2)은 F1>F2로 된다.
토크 렌치 등을 사용하여 볼트(26)를 조일 때는, 2개의 볼트(26, 26)를 번갈아 소정량씩 조여감으로써 한쪽으로 조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 규정 토크까지 확실하게 조이기 위하여, 되접기 부위 (2a, 2b)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인디케이터를 개재시켜, 고정상태를 시각적인 확인하도록 하면 된다.
조임 작업이 완료된 파이프(P)는 탈관하거나, 누수의 우려가 없어, 우수한 밀봉 접합 상태가 실현된다. 또한, 파이프(P)에 빼내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이 파이프(P)가 쉽게 빠질 우려가 없고, 접합 강도는 극히 커, 장기간의 사용할 수 있다. 파이프(P)의 접합 외주면에는 밀봉 슬리브(3)가 압착되어 있고, 즉, 밀봉 슬리브(3)의 슬리브(3a)는 하우징(2)의 축경력과 유체압의 자긴력(自緊力)과 스프링(8)의 구심력에 의해, 파이프(P)의 양단부 외주면에 밀봉성과 적당한 가요성(구체예로서, 가요각 편측±2°, 양측 4°)을 가지고 압착되어 있어, 극히 우수한 밀봉 구조가 형성된다.
파이프(P)의 접합이 완료되면, 하우징(2) 내의 유로의 개폐와 유량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압 밀봉식의 밀봉 슬리브(3)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파이프(P) 내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한 밀봉 구조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파이프(P)의 맞댐 부위로부터 유체가 새어나오려고 하여 밀봉 슬리브(3)가 확경되려고 한 경우, 자긴력이 작용하여 밀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밸브체(1)를 각종 배관에 설치하면, 스페이스를 널리 확보하지 않고, 사용 목적이나 설치 조건 등에 따른 배관을 설계할 수 있고, 게다가, 종래와 같이, 조인트와 밸브를 각각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 들지 않는다. 또, 종래에 비해, 접속 개소가 대폭 삭감되는 결과, 작업자의 부담이 경감되어, 작업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다. 배관의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써, 보수 점검이나 부품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파이프(P)는 규격상 동일한 직경의 관이어도 치수 오차가 생기거나, 또는, 수지나 금속 등의 재질의 차이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볼트(26)의 조임시에 밀봉 슬리브(3)에 의해 이 오차를 흡수할 수 있어, 파이프(P)를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 밀봉 슬리브(3)의 립부(3a)의 내경의 크기나 두께를 미리 변경함으로써, 밸브 본체의 양단측에 공칭 직경이 상이한 이경관을 접합할 수 있어, 소위, 리듀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밸브의 축경 조인트부는 밸브체의 일방에만 설치하고, 타방측을 다른 접속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어, 임의의 접속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밸브의 구조는 상기와 같은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하우징 형상의 밸브 이외에도, 예를 들면, 보수 밸브나, 또는 힌지 방식의 밸브에도 응용할 수 있고, 이 보수 밸브나 힌지 방식의 밸브의 하우징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밸브 기구의 고정 기능과 축경 조인트부의 확경/축경 기능을 분할할 수 있어,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는 강관, 라이닝 강관, 스테인리스 강관, 염화비닐관 등, 각종 파이프의 접합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빌딩 공조 설비의 공조 냉온수 배관이나 냉각수 배관, 약품공장 공조 설비의 냉온수 배관, 청소 공장의 냉각수 배관이나 소석회 취입 배관, 폐기물 처리 시설의 산기(散氣) 설비 디퓨저 배관, 쓰레기 소각장의 소각로 냉각수 배관, 정수장의 여과장치 주변 배관, 상수도 가설 배관, 상수도 교량 설치 배관, 수도 시설의 매설 송수관, 철도 제설 배관, 지하철 소화 배관, 지하철 소화 배관의 연결 송수관, 철도 패널 순환 융설 배관, 도로 설비의 온수 순환 융설 배관이나 제설 배관, 경기장 살수 배관, 커브 배관 등, 각종 배관에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의 밸브의 제 2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밸브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중간 개도 고정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이후의 실시형태에서, 상기의 실시형태와 동일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예에서는, 밀봉 슬리브(3)의 축장착 링(9)이 스템(12)에 장착되어, 스템(12) 주위의 유체 누설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하우징(2)의 축장착 통(7)의 상단에 돌려 넣는 글랜드(16)에 의해, 베어링(28)을 통하여 축장착 링(9)이 가압되어, 스템(12) 주위에 우수한 밀봉성이 확보된다. 다른 예로서, 축장착 링(9)의 내주면에 반구 모양이나 물결 모양 등의 적당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리브(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함으로써 스템(12)과의 면압을 더욱 올리 수 있다. 글랜드(16)로부터 돌출시킨 스템(12)의 상단에는 핸들(17)을 고착하여, 유로의 개폐, 또는 유량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도 4에서, 하우징(2)을 축경한 상태에서, 파이프(P)의 외주면과 립부(3a)의 씨일면의 씨일 면압을 A로 하고, 밀봉 슬리브(3)의 내주면과 프레임체(10)의 외주면의 씨일 면압을 B라고 하고, 디스크(11)의 외주면과 프레임체(10)의 내주면의 씨일 면압을 C라고 하면, 축경한 상태에서, 그 면압은 A≥B, A≥C, B≒C를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면압으로 함으로써, 축경한 상태의 밸브체(1)에서는, 외부 누설을 전무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 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예에서는 밸브를 중간 개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7)의 기단부를 스템(12)에 고착하고, 그 부착 부위에 중간 개도 고정 기구(29)를 설치하고 있다. 이 개도 고정 기구(29)는 핸들(17)의 기단부의 주위에 형성한 눈금(29a)과 원호 구멍(29b)과, 원호 구멍(29b)의 가장시트부를 조여 고정하는 나비 너트(30)를 갖고, 적절한 개도의 눈금에서 나비 너트(30)를 죔으로써 중간 개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의 밸브의 제 3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밸브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밀봉 슬리브(31)는 내압 밀봉식의 고무제 슬리브를 채용하고, 밀봉 슬리브(31)의 양단부를 안쪽으로 절곡 형성한 립부(31a)와, 립부(31a)의 절곡 부위에 형성된 환상 홈(31b)을 갖고, 환상 홈(31b)에는 스프링(8)이 장착되어 있다. 밀봉 슬리브(31)의 하방 내주면에는 리브(31c)가 형성되어 있고, 밀봉 슬리브(3)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프레임체(32)를 위치 결정함과 아울러, 조립 후에는 위치 유지 기능이 발휘된다. 본 예에서는 물결 모양의 리브(31c)를 채용하고 있다. 밀봉 슬리브(31)의 스템 삽입통과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돌출한 테이퍼부(31d)를 설치하고 있어, 프레임체(32)와의 조립을 쉽게 함과 아울러, 프레임체(32)와의 걸어맞춤 부위가 우수한 밀봉성을 확보한다.
프레임체(32)는 그 내주면이 디스크(11)의 밸브시트부로서 기능한다. 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32)의 양측면에는 하우징(2)의 양측으로부터 삽입한 파이프(P)의 접합 끝면이 맞닿는 맞닿음부(32a)를 설치하고 있다. 맞닿음부(32a)를 설치하는 위치나 개수, 형상은 실시에 따라 임의이다. 예를 들면, 일련의 링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프레임체(32)의 하방 외주면에는 리브(32b)를 설치하고 있어, 밀봉 슬리브(31)를 위치 결정함과 아울러, 조립 후에는 위치 유지 기능을 발휘한다. 본 예에서는 물결 모양의 리브(32b)를 채용하고 있다.
스템(12)과 축장착 통(7) 사이에는 O링(14)을 통하여 금속제 등의 강체 형상의 유지통(33)이 장착되어 있다. 유지통(33)의 하단에는 볼트(33a)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체(32)에 형성한 암나사(32c)에 나사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유지통(33)의 나사 결합에 의해, 밀봉 슬리브(31)의 테이퍼부(31d)와 프레임체(32)의 상방 외주면에 설치한 테이퍼부(32d)와를 액체가 새지 않게 밀착시키고 있다. 유지통(33)의 상면에는 베어링(28)을 통하여 글랜드(16)가 나사식으로 부착되어 있고, 글랜드(16)로부터 돌출한 스템(12)의 상단에는 핸들(17)이 고착되어, 디스크(11)를 회전시켜 유로의 개폐, 또는 유량제어가 행해진다.
상기의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하우징(2)을 축경한 상태에서, 파이프(P)의 외주면과 립부(31a)의 씨일면의 씨일 면압을 A라고 하고, 밀봉 슬리브(31)의 내주면과 프레임체(32)의 외주면의 씨일 면압을 B라고 하고, 디스크(11)의 외주면과 프레임체(32)의 내주면의 씨일 면압을 C라고 하면, 축경한 상태에서, 그 면압은 A≥B, A≥C, B≒C를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러한 면압으로 함으로써, 축경한 상태의 밸브체(1)에서는, 외부 누설을 전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의 밸브의 제 4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밸브의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제 4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밸브체의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 도시하는 밸브 기구(4)는 밀봉 슬리브(34)의 중앙 내주면에 돌출시켜 형성한 환상 밸브시트부(35)에 배치한 대략 원판 모양의 밸브체(36)(이하, 디스크(36)라고 함)를 스템(12)의 조작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밀봉 슬리브(34)는 내압 밀봉식의 고무제 슬리브를 채용하고, 밀봉 슬리브(34)의 양단부를 안쪽으로 절곡 형성한 립부(34a)와, 립부(34a)의 절곡 부위에 형성된 환상 홈(34b)을 갖고, 환상 홈(34b)에는 스프링(8)이 장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슬리브(34)의 중앙 내주면에 환상 밸브시트부(35)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고, 이 밸브체 밀봉 기능을 구비하는 환상 밸브시트부(35)에 디스크(36)를 삽입하고 있다. 환상 밸브시트부(35)의 상하 보스부 위치에는 금속제의 인서트 부재(37, 37)를 매설하고 있어, 스템(12)과 밀봉 슬리브(34)의 밀봉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밀봉 슬리브(34) 자체의 보강재로서 기능한다.
본 예에서 나타내는 디스크(36)는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황동, 청동, 주철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주조, 단조 또는 프레스 가공 등의 수단으로 성형하고 있다. 금속 재료 이외이어도 되며, 실시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디스크(36)는 직경방향의 대향 위치에 외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을 향하여 상하부 스템(12a, 12b)을 끼워넣어 고정하는 스템 삽입구멍(36a, 36b)이 천공되고, 이들 스템 삽입구멍(36a, 36b) 내에 끼워 부착한 스템(12)의 회전에 따라, 디스크(36)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부 스템(12)과 축장착 통(7) 사이에는 원통 형상의 베어링(38)이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38)의 하단면은 상부 스템(12a)의 외주에 형성한 환상 단차부(39), 및 밀봉 슬리브(34)의 상방 외주면에 설치한 환상 오목부(34c)에 걸어맞추어, 스템(12) 주위의 유체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하우징(2)의 축장착 통(7)의 상단에 돌려 넣는 글랜드(16)에 의해 베어링(38)이 가압되어, 스템(12) 주위가 우수한 밀봉성이 확보된다. 이 글랜드(16)로부터 돌출한 스템(12)의 상단에는 핸들(17)을 고착하여, 유로의 개폐, 또는 유량제어가 행해진다.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본 예에서는 중간 개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밸브체(1)의 상단에는 개도 고정 기구(29)를 부착하고 있다. 도면 중 40은 하부 스템(12b)을 부착하는 고정 부재이다.
도 7에서, 하우징(2)을 축경한 상태에서, 파이프(P)의 외주면과 립부(34a)의 씨일면의 씨일 면압을 D라고 하고, 환상 밸브시트부(35)와 디스크(36)의 외주면의 씨일 면압을 E라고 하면, 그 면압은 D≥E를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러한 면압으로 함으로써, 축경한 상태의 밸브체(1)에서는, 외부 누설을 전무하게 할 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다른 예로서, 면 사이를 연장한 밀봉 슬리브(34)의 내주면의 적당한 위치에, 밸브체(1)의 양측으로부터 파이프(P)(강관 등의 금속 또는 수지 파이프도 포함함)를 삽입했을 때, 파이프(P)의 선단면이 맞닿는 관용 스토퍼(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해도 되고, 이것에 의해, 밸브체(1)와 접합하는 파이프(P)를 용이하게 적정 위치에 세팅할 수 있다. 물론, 파이프 외주면의 접합 위치를 마킹하여 시각적인 확인에 의해 적정 위치를 판단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밸브를 볼 밸브에 적용한 제 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밸브의 제 5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 5 실시형태에서의 통 형상 홀더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밸브체(1)는 축경가능한 하우징(2) 내에, 고무 등으로 성형한 밀봉 슬리브(3)를 수납하고, 하우징(2)에 밸브체(볼 밸브의 볼)를 갖는 밸브 기구(4)를 내장시켜, 하우징(2) 내의 유로의 개폐와 유량제어를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하우징(2)을 축경시켜, 상기 밀봉 슬리브(3)로 접합용 파이프(P)의 접합 단부를 밀봉 접합하고 있다.
본 예에서 나타내는 밸브 기구(4)는 밀봉 슬리브(3)의 내주면에 금속제 등의 강체 형상의 통 형상 홀더(41)를 설치하고, 이 통 형상 홀더(41)의 내주면에 볼 시트(42)를 통하여 구 형상의 밸브체(43)(이하, 볼(43)이라고 함)를 스템(12)의 조작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프레스 가공 등의 수단으로 성형된 통 형상 홀더(41)의 양측면에는 하우징(2)의 양측으로부터 삽입한 파이프(P)의 접합 끝면이 맞닿는 맞닿음부(41a)를 설치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P)의 구경을 고려한 위치에, 4개의 맞닿음부(41a)를 축방향으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지만, 맞닿음부(41a)를 설치하는 위치나 개수, 형상은 실시에 따라 임의이다. 예를 들면, 일련의 링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통 형상 홀더(41)의 하방 외주면에는 리브(41b)를 설치하고 있고, 밀봉 슬리브(3)의 하방 내주면에 설치한 리브(3c)와 걸어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 후는 위치 유지기능이 발휘된다.
통 형상 홀더(41)는 그 내주면에 볼 시트(42)를 통하여 유로(43a)를 갖는 볼(43)을 수납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종래의 볼 밸브의 구조에서는 인서트를 사용하여 볼을 적정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있지만, 본 예에서는 통 형상 홀더(41)가 그 기능을 갖추고 있고, 따라서, 부품수의 삭감이 도모됨과 아울러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통 형상 홀더(41)와, 볼 시트(42)와, 볼(43)을 편입한 상태에서 하우징(2)에 탈착할 수 있어,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템(12)의 하단을 볼에 설치한 관통구멍(43b)에 끼워 부착하여, 스템(12)의 회전에 수반되는 볼(43)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템(12)과 축장착 링(9) 사이에는, O링(14)을 개재하여 금속제 등의 강체 형상의 유지통(15)이 장착되어 있다. 유지통(15)의 하단은 통 형상 홀더(41)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어, 축장착 링(9)의 테이퍼부(9a)와 통 형상 홀더(41)의 상방 외주면에 설치한 테이퍼부(41c)를 액체가 새지 않게 밀착시키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다른 예로서, 유지통(15)의 하단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통 형상 홀더(41)에 형성한 암나사에 나사식으로 부착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유지통(15)은 하우징(2)의 축장착 통(7)의 상단에 돌려 넣는 글랜드(16)에 의해 볼(43)측으로 가압되어, 스템(12), O링(14), 축장착 링(9)이 위치 유지되며, 적절하게 가압된 O링(14)과 축장착 링(9)이 스템(12) 주위의 유체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다른 예로서, 축장착 링(9)의 내주면에 반구 형상이나 물결 모양 등의 적당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리브(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함으로써 스템(12)과의 면압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글랜드(16)로부터 돌출한 스템(12)의 상단에는 핸들(17) 이 고착되어, 볼(43)을 회전시켜서 유로의 개폐, 또는 유량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의 볼 밸브에 대해서도, 동일한 면압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의 밸브의 제 6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 12에서, 밸브체(51)는, 하우징(52)의 접합측의 일방 또는 쌍방을 확경/축경시켜서 파이프(P)를 접합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에서, 밸브 기구(54)와, 축경 조인트부(68)로 나누어서 구성한 것이다. 게다가, 하우징(52) 내에 고정부(80)를 통하여 밸브 기구(54)를 고정함과 아울러, 이 고정부(80)의 고정기능과 축경 조인트부(68)의 확경/축경 기능을 분할기구를 통하여 분할시킨 것이다.
하우징(52)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도 13과 같은 단면 C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하우징(52)은 동일한 사이즈의 조인트면 사이보다도, 면 사이를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렇게 면 사이를 늘림으로써, 프레임체(60)의 폭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어, 디스크(61)가 배관 단부에 접촉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52)의 내주방향 양단부의 쌍방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슬릿(90, 90)을 형성하고, 이 슬릿(90, 90)에 의해 하우징(52)에 구성되는 조임 부위를 3분할하고 있다. 슬릿(90)은, 하우징(52)의 단부 부위로부터 소정 길이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고, 이 슬릿(90)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되접기 부위의 각각을 하우징(52)의 외주측으로 되접을 수 있는 길이로 설치하고 있다. 또, 슬릿(90)은, 되접기 부위의 되접기 시에, 서로 간섭하지 않고 되접을 수 있는 넓이로 설치하고 있다. 슬 릿(90)의 후단부분에는 원호 형상의 확경 절결부(90a)를 형성하고, 이 확경 절결부(90a)를 설치함으로써, 볼트·너트 기구(73)에 의한 조임시의 응력에 의해 슬릿(90) 선단측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슬릿(90)은, 후술과 같이, 하우징(52)의 내주방향의 일방 단부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슬릿(90)은 고정부(80)와 축경 조인트부(68)의 기능을 나누는 분할기구이며, 이 슬릿(90)을 밸브 기구(54)의 고정부(80) 근방 부근에서, 하우징(52)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있다. 이 때, 하우징(52)에 대한 슬릿(90)의 폭은 임의로 형성할 수 있지만, 중앙의 고정부(80)의 폭은 볼트(76)의 죔에 의해 밀봉 슬리브(53)의 립부(3a)의 축경이 일어나지 않는 폭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에서는, 하우징에 대한 슬릿의 형성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예에서는, 하우징(52)의 원주방향 양단부의 쌍방에 원주방향을 따라 슬릿(90)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도 11에서의 축통부(100)는 볼트·너트 기구(73)의 반대측(대칭위치)에 배열 설치하도록 하고, 이 위치에 설치한 경우, 밸브 기구(54)를 균등한 조임력으로 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축통부(100)를 장착하기 위한 부착구멍(52d)은 볼트 조임 기구(73)의 대칭위치에 형성된다.
슬릿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방향 단부의 일방에만 형성해도 되고, 이 경우, 슬릿(94)은 봉 형상 너트(75) 장착측에 설치하도록 한다. 하우징(93)이 도 12의 하우징(52)과 동일한 크기일 경우, 슬릿(94)의 도시하지 않은 길이는, 양측에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길어지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이 하우징(93)에 의해 조인트 본체를 구성한 후에 크게 축경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관 직경차 가 큰 파이프(P)를 양단부에 접합할 수 있다. 슬릿(94)의 길이는 슬릿(90)의 길이의 2배의 길이 이하로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축통부는 볼트·너트 기구의 반대측으로부터 슬릿(94)이 없는 측으로 비켜 놓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슬릿(94)이 없는 측에 설치함으로써 밸브 기구를 고정부에서 죄는 것에 필요한 슬릿 깊이를 확보할 수 있다.
축통부를 장착하기 위한 부착구멍(52e) 및 축통부를 고정하기 위한 시트(52f)는, 도 21의 경우와 달리 축통부를 장착가능한 위치로 비켜 놓아 성형되고, 또한, 시트(52f)는 하우징(93)의 되접기 부위에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한다. (조인트 사이즈에 따라 다르지만,) 그 위치는 슬릿(94)이 없는 측으로 약 45° 정도 비켜 놓은 위치가 된다. 시트(52f)는, 하우징(52)에 축통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도 21의 하우징에도 마찬가지로 형성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볼트·너트 기구(73)는 도 13과 같은 조임 볼트(76)과 봉 형상 와셔(74), 봉 형상 너트(75)를 갖고 있고, 이 볼트·너트 기구(73)에 의해, 고정부(80)와 양측의 축경 조인트부(68, 68)를 각각 확경/축경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고정부(80)는, 하우징(52)의 밸브 기구(54) 근방의 슬릿(90)에 의해 축경 조인트부(68)로부터 분할되어 있고, 원주방향 양단부를 볼트·너트 기구(73)로 조여서 밸브 기구(54)를 고정시키고 있다.
한편, 축경 조인트부(68)는 슬릿(90)을 통하여 원주방향 양단부를 볼트·너트 기구(73)로 조여서 파이프(P)를 접합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릿(90)을 설치함으로써, 고정부(80)와 이 고정부(80) 양측의 축경 조인트부(68)를 분할하고, 각각, 볼트·너트 기구(73)에 의해 개별적으로 확경/축경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각 분할부위의 되접기 시에는, 도 13과 같이, 봉 형상 와셔(74, 74, 74)를, 볼트(76, 76, 76)의 삽입측의 되접기 부위의 내측에 끼워 넣고, 한편, 봉 형상 너트(75, 75, 75)를, 타방측의 되접기 부위의 안쪽에 끼워 넣도록 하고, 각 되접기 부위의 단부측을 스폿 용접 등의 용접 수단 등으로 고착함으로써 봉 형상 와셔(74), 봉 형상 너트(75)를 고정하여 하우징(52)에 3개의 볼트·너트 기구(73)를 형성하고 있다. 볼트(76)는, 일방의 긴 구멍(57)으로부터 타방의 긴 구멍(58)에 봉 형상 와셔(74)와 봉 형상 너트(75)에 대하여 삽탈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 형상 와셔(74)는 볼트(76)의 수나사(76a)가 삽입통과 가능한 관통구멍(74a)을 갖고, 또한 봉 형상 너트(75)는 수나사(76a)가 나사 결합가능한 암나사(75a)를 갖고 있다.
볼트(76)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봉 형상 와셔(74)측의 긴 구멍(57)으로부터 봉 형상 와셔(74)의 관통구멍(74)에 삽입하고, 봉 형상 너트(75)의 암나사(75a)에 수나사(76a)를 돌려 넣는다. 이것에 의해 단부 부근을 조여져, 하우징(52)을 축경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봉 형상 와셔(74), 및 봉 형상 너트(75)는, 각 분할부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부착함으로써, 볼트(76)에 의해 분할부위를 조였을 때에, 고정부(80)와, 축경 조인트부(68)를 개별적으로 축경할 수 있다.
봉 형상 와셔(74)에는, 볼트(76)의 머리부(76b)를 고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평면 형의 시트부를 형성하고, 이 시트부에 머리부(76b)를 맞닿게 함으로써 볼트(76)가 봉 형상 와셔(74)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막아, 조임 후에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해서 강한 접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시트부를 형성하면, 그 만큼 봉 형상 와셔(74)의 봉 직경이 작아져 봉 전체의 강성이 약해질 우려가 있지만, 이 봉 형상 와셔(74)를 일체 구조의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슬릿 편측 타입에서의 밸브의 강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강성의 요구도가 높은 장소에서 유효하며, 강한 굽힘 응력을 발휘하면서 접합이 가능하다.
봉 형상 너트(75)는 분할한 구조에 설치함으로써 하우징(52)의 각 단부 부위를 개별적으로 조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봉 형상 와셔, 봉 형상 너트, 및 조임 볼트에 의한 고정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서도 동일하다.
도 14에서, 밀봉 슬리브(53)는, 내측 형상이 편평하게 형성하고, 이 밀봉 슬리브(53)의 내주면측에는, 프레임체(60)를 위치결정하는 환상 오목홈(53a)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밸브 기구는 리브 이외의 수단으로 위치결정할 수도 있고, 게다가, 밸브체(51) 내에서, 밸브 기구(54)를 위치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별도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밀봉 슬리브(53)는 하우징(52)의 내주면측에, 3개로 분할한 슬라이드 판(72)을 개재한 상태에서 부착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밀봉 슬리브는 좌우 동일한 형상으로 하면서 2분할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일부가 슬라이드 판(72)을 통하여 직접 하우징(52)과 밀착한다. 또, 밀봉 슬리브(53)의 단부는 프 레임체(60)의 단부에 의해 슬라이드 판(72)을 통하여 하우징(52)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이 끼워 넣어지는 밀봉 슬리브(53) 단부의 형상은, 예를 들면, 볼록 형상, 오목 형상, O링 형상 등으로 형성하여, 프레임체(60) 단부와 끼워맞추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평평하게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밀봉 슬리브(53)를 2분할 한 경우에는, 내압적으로는 불리하게 된다.
밸브 기구(54)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우징(52)을 조이면, 예를 들면, 사이즈 50A의 밸브에서, 밀봉 슬리브(53)의 직경에서 최대 5mm의 직경의 차이가 발생한다(도 19(a), 도 19(b) 참조). 밀봉 슬리브(53)는 하우징(52)에 편입된 것 뿐인 상태에서도 축경되어 있고, 밸브 기구(54)의 고정 시에는 더한층의 축경을 강요당하기 때문에, 변형을 전부 흡수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편입 전의 상태에서 밀봉 슬리브(53)의 외경이 φ83mm일 경우에는, 하우징(52)의 편입시에는 밀봉 슬리브(53)의 외경(L1)이 φ79mm가 되고, 밸브 기구(54)의 고정시(파이프(P)의 접합시)에는 밀봉 슬리브(53)의 외경(L2)이 φ74mm가 된다.
조인트의 밀봉의 특징으로서는 밀봉 슬리브(53)가 축경하면서 립부(3a)에서 파이프(P)의 외경을 감싸기 때문에 밀봉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밸브 기구(54)만을 축경함으로써 밀봉 슬리브(53)의 부분적인 축경은 발생하지만, 밸브 기구(54)의 축경부위(밀봉 슬리브(53)의 조임 위치)와 립부(3a)와의 거리를 적절하게 설치함으로써, 립부(3a)의 축경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밀봉 슬리브(53)의 변형은 프레임체(60)의 직경 치수를 크게 취함 으로서도 방지책으로 할 수 있다.
도 16에서, G를 밸브체(51)의 축방향에서의 중심으로부터의 프레임체(60)의 조임 위치(프레임체(60)의 조임 위치는 후술하는 발톱 형상 발톱(claw) 형상 리브(60b)의 돌기부분이 됨)의 거리, H를 중앙의 슬라이드 판(72a)에서의 중심으로부터의 폭(H의 2배가 중앙 슬라이드 판(72a)의 폭이 됨), I를 중앙부에서의 립부(3a)까지의 거리, J를 하우징(52) 중앙의 조임 부위에서의 중앙으로부터의 폭(J의 2배가 하우징 중앙 조임 부위의 폭이 됨)으로 하면, 립부(3a)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거리(I)-거리(G)(프레임체(60)에 의한 밀봉 슬리브(53)의 조임 위치와 립부(3a) 사이의 거리)에서 그 축경 변형을 흡수할 수 있게 떨어뜨리면 된다(이것은, 실제로는, 슬라이드 판(72)에 의한 조임력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거리(I)-거리(H)로 되어 있음).
따라서, 거리(I)-거리(G)의 값을 최대한 크게 함으로써 축경의 영향은 적어지고, 동시에 그 단면 형상을 평평하게 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또, 거리(G)는 프레임체(60)의 축통부(100)의 직경에 따라 크게 다르지만, 이 거리(G)를 최대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립부(3a)의 변형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거리(I)는 파이프(P)의 사이즈에 따라 적당한 값으로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또, 슬라이드 판(72)은 3개로 분할한 것을 중첩하고 있기 때문에, 거리(H)의 2배>거리(I)의 2배로 되어 있다. 거리(G)와 거리(H)는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상은 거리(G)<거리(H)로 되고, 거리(H)는 립부(3a)에 의해 밀봉 슬리브(53)가 조여지는 하한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판(72)은 박판 형상 부재를 구부려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하우징(52)의 원주방향 양단 개구부의 근방이고, 또한, 밀봉 슬리브(53)의 외주면에 설치하고, 고정부(80)와, 2개의 축경 조인트부(68, 68)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3개의 슬라이드 판(72a, 72b, 72c)끼리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슬리브(53)이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폭에 의해 일부를 중첩한 상태에서 수납하고, 이 슬라이드 판(72)에 의해 고정부(80)와 축경 조인트부(68)를 따로따로 조일 수 있다. 이 때, 중앙의 슬라이드 판(72a)를 양측 슬라이드 판(72b, 72c)보다 내측이 되도록 중첩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부(80)를 조였을 때에 발생하는 축경 변형이 립부(3a)에 전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의 슬라이드 판(72a)의 폭은, 하우징(52)의 중앙의 조임 부위와 마찬가지로, 볼트(76)의 조임에 의해 밀봉 슬리브(53)의 립부(3a)의 축경이 일어나지 않는 것과 같은 폭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슬라이드 판(72a)의 폭은 하우징(52)의 중앙 조임 부위의 폭 이상으로 형성한다.
슬라이드 판(72b, 72c)에서의 파이프(P) 삽입측의 가장자리 부위는 삼각 링(20)의 원추면(20a)과 중첩되는 경사의 테이퍼 형상으로 구부려서 구부림부(72d)를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드 판(72)은 하우징(52)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파이프(P)를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하우징(52)의 부위를 커버하고 있다.
슬라이드 판(72)은 도시하고 있지 않은 1당의 박판에 의해 형성해도 되고, 특히, 안쪽을 정점측으로 하는 단면 대략 산 형상의 리브 형상 부위를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하도록 하면, 이 리브 형상 부위에 의해 조임시의 뒤틀림을 막을 수 있어, 조임력을 균등하게 작용시키면서 축경할 수 있다. 이 리브 형상 부위는 밀봉 슬리브(53)의 균등한 축경을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산을 낮게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또, 슬라이드 판(72)은 밸브체(51)가 반복해서 조여 고정되어서 사용되는 경우, 고강도인 것이 필요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3분할하고, 또한 중첩하여 하우징(52) 내에 배치하기 위하여, 중첩부분은 평평한 형상으로 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있다. 게다가, 슬라이드 판(72)은, 0.5mm 전후의 대단히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평면부위의 강도는 낮게 되어 있다. 이 결과, 볼트(76)의 조임에 의해 슬라이드 판(72)이 완전하게 밀봉 슬리브(53)를 감아들이면서도 축경하지 않을 때에는, 볼트(76) 조임부 부근의 슬라이드 판(72)의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다.
가령, 슬라이드 판을 일체화한 경우, 좌우로 각도를 가지게 한, 소위 배럴(barrel)형의 구조를 보이기 때문에, 축경에 대하여 변형이 적은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분할방식에서 구성한 슬라이드 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조에 의해 형성하면 된다. 1. 슬라이드 판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두께(예를 들면, 0.5mm 이상)로 한다. 2. 슬라이드 판의 양측을 절곡하는 등에 의해, 강도를 확보한다. 3. 볼트 조임 부위의 변형이 생기기 쉬운 곳에 보강 부재를 붙인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기구(54)는 디스크(61)를 수납한 프레임체(60)를 하우징(52) 내에 설치하고, 디스크(61)를 회전시키는 밸브축(62)을 프레임체(60)의 외주측에 돌출시켜 설치한 축통부(100)로부터 돌출시키도록 설치하고 있다. 축통부(100) 내부에는, 밸브축(62)을 삽입통과가능한 스템 삽입통과 구멍(100a)을 설치하고, 이 스템 삽입통과 구멍(100a)과 밸브축(62) 사이는 O링(64)에 의해 씨일되어 있다. 또, 축통부(100)와 대향하는 프레임체(60)의 내주 위치에는, 밸브축(62)의 하단을 삽입부착하는 스템 삽입부착부(60a)를 설치하고 있다. 스템 삽입부착부(60a)는, 도 14와 같이 프레임체(60)의 두께의 도중 위치까지 설치하는 이외에도, 프레임체(60)를 관통시키도록 형성해도 된다. 스템 삽입통과 구멍(100a), 스템 삽입부착부(60a)는 각각의 구멍 가장자리에 가공 여유부를 설치하여도 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통부(100)의 외주측에는 수나사(100b)를 형성하고, 또, 글랜드(66)는 외형 대략 육각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며, 그 내주측에는 이 수나사(100b)와 나사식으로 부착 가능한 암나사(66a)를 형성하고 있다.
프레임체(60)의 외주면에는, 2개의 환상의 리브(60b)를 설치하고 있고, 이 발톱 형상의 리브(60b)를 밀봉 슬리브(53)의 환상 오목홈(53a)에 끼워맞추어지도록 하여 프레임체(60)를 밀봉 슬리브(53) 내에 장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밀봉 슬리브(53)와 프레임체(60)를 밀착시의 면압을 높이면서 위치결정하고 있음과 아울러, 조립 후에 위치유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밸브 기구(54)를 밸브체(51)에 부착할 때는, 프레임체(60)의 스템 삽입부착 구멍(100a)에 스템(62)을 삽입부착하고, 이 스템(62)에 디스크(61)를 부착하고, 프레임체(60)의 축통부(100)를 밀봉 슬리브(53)에 형성한 개구구멍(53b)과 하우징(52)의 부착구멍(52c)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하면서 장착한다. 이 때, 프레임체(60)의 2개의 리브(60b)를 밀봉 슬리브(53)의 환상 오목홈(53a)에 장착시킴으로써, 프레임체(60)를 밀봉 슬리브(53)의 소정 위치에 장착할 수 있어, 스템(62)의 축 흔들림 등을 막으면서 부착을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축통부(100)를 하우징(52)의 바깥으로부터 글랜드(66)로 나사결합함으로써, 프레임체(60)가 하우징(52)에 고정된다. 이 때, 프레임체(60)와 글랜드(66)는 하우징(52)과 일체화되어 있는 축통부(100)와 밀봉 슬리브(53)를 끼워 넣도록 하면서 접합된다.
본 예에서는, 프레임체(60)측에 수나사(100b), 조임측에 암나사(66a)를 설치하고 있지만, 후술의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측에 암나사, 조임측에 수나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축통부측에 수나사를 설치한 경우에는, 축통부를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축통부(100)에 암나사 또는 수나사를 설치하고, 이 암나사 또는 수나사에, 글랜드(66)의 수나사 또는 암나사를 나사식으로 부착하여 나사결합함으로써, 프레임체(60)를 매달아 고정할 수 있다.
축경 조인트부(68)의 내주 위치에는, 로킹 링(19), 삼각 링(20), 유지 링(21)을 갖는 로킹 기구(65)를 수납 유지하고 있고, 이 로킹 기구(65)에 의해, 축경 조인트부(68)를 조임 볼트(76)로 조여 파이프(P)를 빠짐방지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것들은 하우징(52)에 수납한 밀봉 슬리브(53)의 양단 위치에 각각 배열 설치되어 있다.
도 18에서는, 하우징의 양단 개구부에 인디케이터(105)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인디케이터(105)는 하우징(52) 축경시의 양단부위에 대응한 폭 형상으로 형성하며, 본 예에서는, 고정부(80)의 조임 폭을 좁게 하고, 축경 조인트부(68)의 조임 폭을 넓게 하여 단차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인디케이터(105)에는, 연통구멍(105a)를 설치하고 있어, 이 연통구멍(105a)에 고정부용의 볼트(76), 축경 조인트부용의 볼트(76)를 각각 삽입통과시켜 단부 사이에 부착한다.
이 인디케이터(105)에 의해, 볼트·너트 기구(73)에 의해 되접기 부위를 조였을 때에, 고정부(80)의 조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조임 부위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밸브체(51)의 조립시의 고정기능의 상태를 시각적인 확인할 수 있다. 볼트·너트 기구(73)를 조이면, 인디케이터(105)는 하우징(52)의 단부 부위의 사이에 협착되고, 이 때의 인디케이터(105)와 단부 부위의 맞닿음 상태를 시각적인 확인함으로써 축경 기능을 시각적인 확인할 수 있어, 볼트(76)의 조임 잊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05)는 볼트(76)의 조임량을 규제할 수도 있고, 단부 부위의 조임 후의 폭을 항상 일정하게 함으로써 소정의 조임량으로 조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개구 부위의 사이에 인디케이터(105)를 개재하면, 고정상태를 시각적인 확인하면서 규정 토크까지 확실하게 조여, 밸브 기구(54)를 적절한 조임 상태로 장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이프(P)를 확실하게 빠짐방지하면서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05)를 설치함으로써, 조립 작업이나 접합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소정의 조임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인디케이터(105)는 단차부를 미리 적당한 두께로 형성해 둠으로서 후술과 같은 이경관 등에도 대응시킬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양단측의 씨일성이나 뻬냄 방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0의 스토퍼(106)는 하우징(52)의 핸들(107) 부착 부근에 고착하고, 이 스토퍼(106)에 의해 핸들(107)의 회전 규제를 행하고 있다. 스토퍼(106)는 고착부(106a)를 하우징(52)의 상부 소정 위치에 스폿 용접 등의 적당한 수단으로 고착하고, 2개소에 형성한 회전 규제부(106b, 106c)에, 도 11에 나타내는 핸들(107)에 설치한 돌출설치편(107a, 107b)이 맞닿음으로써, 핸들(107)을 소정의 범위에서 수동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규제부는, 밸브 개방측의 규제부(106b)와, 밸브 폐쇄측의 규제부(106c)가 있고, 이 회전 규제부(106b, 106c)에 각 돌출설치편(107a, 107b)이 각각 맞닿아 디스크(61)의 개폐시의 규제가 확실하게 행해진다.
나사 구멍(106d)은 규제부(106b, 106c)의 대략 중앙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이 나사 구멍(106d)에 핸들(107)에 설치한 원호 구멍(107c)에 삽입통과시킨 나비 나사(116)를 나사 결합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원호 구멍(107c)은 핸들(107)이 대략 90도 회전하는 것과 같은 원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원호 구멍(107c)의 위로부터, 핸들(107)의 기단부 부근을 나비 나사(116)로 조임으로써, 원호 구멍(107c)의 임의의 위치로 하여 밸브의 중간 개도를 유지할 수 있다. 원호 구멍(107c)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도시하지 않은 눈금을 형성해도 되고, 이 눈금을 보면서 나비 나사(116)를 조임으로써 소정의 중간 개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예에서의 축경 조인트부(68)의 확경/축경 기능은 밸브 기구(54)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80)의 고정기능으로부터 분할기구(90)를 통하여 분할하고 있으므로, 볼트·너트 기구(73)에 의한 조임시에는, 밸브 기구(54)의 고정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아, 밸브 기구(54)는 고정된 상태에서 밀봉성을 유지하면서, 축경하는 축경 조인트부(68)를 독립시켜 파이프(P)를 액체가 새지 않는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또, 한 쪽 볼트(76)를 느슨하게 했을 때에 타방측의 축경 조인트부(68)가 느슨하게 되지 않아, 축경 조인트부(68)로의 파이프(P)의 접합을 개별적으로 행했을 때에 확실하게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밸브체(51)의 일방측의 축경 조인트부(68)에 파이프(P)를 접합한 후에, 타방측의 축경 조인트부(68)에 다른 파이프(P)를 접합하는 경우이더라도, 누설을 막으면서 접합하여 파이프(P)의 증설 등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로서의 기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분할기구(90)는 밸브 기구(54)의 고정부(80) 근방 위치에서, 하우징(52)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한 슬릿이기 때문에, 이 슬릿(90)을 경계로 고정부(80)와 축경 조인트부(68)의 기능이 확실하게 분할된다. 특히, 슬릿(90)을 고정부(80) 근방에 상당하는 부위에 설치하면, 밀봉 슬리브(53)의 립부(3a)로부터 이 밀봉 슬리브(53) 조임시의 조임 지지점이 멀어져, 하우징(52)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76)의 조임시에 밀봉 슬리브(53)에 발생하는 축경 변형의 립부(3a)로의 전파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 슬릿은 밸브 이외의 배관에도 응용할 수 있으며, 슬릿을 설치함으로써 각 배관에서의 조임 부위를 씨일성을 유지하면서 개별적으로 조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밸브 기구(54)는 슬릿(90)에 의해 분할된 고정부(80) 부근만이 밀봉 슬리브(53)에 의해 조여지기 때문에, 한번 고정부(80)에 의해 조인 후에는 밸브 기구(54)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체(60)의 축통부(100)를 하우징(52)의 바깥으로부터 글랜드(66)로 나사결합하고, 이 프레임체(60)를 매달아 고정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부품이 증가하지 않고, 최소의 부품수로 밸브 기구(54)를 고정할 수 있으며, 게다가, 글랜드(66)의 나사식으로 부착에 의해 간단한 조임 작업으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높은 정밀도로 위치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것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2에서, 글랜드(66)를 축통부(100)에 나사식으로 부착한 상태에서 조이면, 프레임체(6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프레임체(60)의 상방 부근의 리브(60b)가 밀봉 슬리브(53)의 환상 오목홈(53a)에 강하게 눌려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고정부(80)를 볼트(76)로 조이면, 밀봉 슬리브(53)는 도 19(a)로부터 도 19(b)의 상태로 변화된다. 밀봉 슬리브(53)의 직경은 축경 조인트부(68)의 축경에 따라 도 19(a)의 직경(L1)으로부터 도 19(b)의 직경(L2)의 상태까지 축경되는데, 축경 조인트부(68)가 축경될 때는 프레임체(60)의 외형을 따라 진 원 형상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밀봉 슬리브(53)를 도 19(b)와 같이 적정한 원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2, 도 14에서, 볼트(76)의 조임 후에는 프레임체(60)의 하방 부근에서의 리브(60b)를 강하게 누르도록 하면서 이 프레임체(60)를 밀봉 슬리브(53)에 고정할 수 있고, 프레임체(60)의 1차측, 2차측에서의 리브(60b, 60b)와 밀봉 슬리브(53)의 씨일 위치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고씨일성을 발휘시키면서 조임 고정할 수 있다.
도 23, 도 24에서는, 제 7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밸브체(110)에서는, 프레임체(111) 상부에 암나사부(112)를 설치하고, 이 암나사부(112)에 나사식으로 부착가능한 수나사부(114)를 갖는 글랜드(113)에 의해, 하우징(115)을 끼우고 프레임체(111)를 매달아 고정하고 있다. 또, 이 때, 밀봉 슬리브(53)도 동시에 끼워 넣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체를 매달아 고정하는 경우, 프레임체의 나사 결합 구조에 구애받지는 않는다.
도 12나 도 23과 같은 매달기 구조에 의해 프레임체를 고정하는 경우,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제조 공수를 감축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 도 25에서는, 제 8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밸브체(120)에서는, 하우징(125)에서의 프레임체(121)의 축통부(121a)가 관통하는 부위의 둘레 가장자리측에, 분기통부(126)를 설치한 것이다. 이 분기통부(126)는 하우징(125)에 스폿 용접 등의 용접 수단으로 일체화하고 있다. 프레임체(121)의 고정시에는, 분기통부(126)의 내측으로부터 축통부(121a) 를 돌출 설치한 상태에서 이 축통부(121a) 외주측에 형성한 수나사부(122)에 암나사부(124)를 나사결합시키면서 글랜드(123)를 장착한다. 이 경우, 분기통부(126)를 하우징(125)에 용접하고 있음으로써, 축통부(121a)의 장입 부근의 하우징(125)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보강할 수 있어, 글랜드(123)를 나사식으로 부착했을 때에, 이 글랜드(123)의 통 형상의 나사삽입부(123a)가 분기통부(126)과 축통부(121a) 사이에 깊숙히 들어가서 위치결정되면서 대략 일체화된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체(121)를 하우징(125)에 대하여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프레임체(121) 부근의 밀봉 슬리브(53)의 밀봉성을 안정시킬 수 있어, 스템(62)의 반복된 회전조작이나 장기간의 사용 등에 의한 프레임 부근에서의 유체 누설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게다가, 도시하지 않지만, 프레임과 글랜드는,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나사식 부착에 의한 고정 수단 이외에도, 예를 들면 볼트에 의해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과 하우징의 고정 수단에는 구애받지 않고, 이것들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프레임과 글랜드는 적당한 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임은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해 글랜드를 생략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초기 기본성능과, 하우징 강도 및 내압 강도를 측정한다.
밸브의 초기 기본성능의 확인용으로서는 도 12와 같은 슬릿 형성된 밸브를 기준으로 형성했다. 하우징 형상은, 슬릿을 되접기 부위의 양측 각각 2개소에 형성하고(양 슬릿), 이 슬릿 깊이를, 도 13에서의 스템(62)의 연직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개구 부위로부터 90°씩 형성하고, 슬릿 폭을 4mm로 했다. 또, 하우징의 수평방향에서의 전체 길이를 94mm, 직경을 φ78mm로 하고, 축경 조인트부(68), 고정부(80), 축경 조인트부(68)의 수평방향의 길이를 각각, 29mm, 24mm, 29mm로 했다(도 12 참조).
또, 글랜드측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프레임체측(축통부)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이것들을 나사식으로 부착한 조임 구조의 밸브로 한다.
한편, 강도확인용의 밸브의 공시품으로서는 각각을 이하와 같은 사양으로 했다(전체 7종류). 이 공시품에 슬릿을 설치하는 경우, 초기 기본성능의 확인용과 마찬가지로 되접기 부위의 양측 각각 2개소에 슬릿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또, 공통의 사양으로서, 밸브시트를 φ53.3mm, 디스크의 편입은 없는 것으로 하고, 하우징의 수평방향에서의 전체 길이를 94mm, 직경을 φ83mm로 되는 형상으로 했다(하우징의 단품으로서의 수치).
밸브의 공시품 1은 슬릿을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시트의 위치를 되접기 부위의 대칭위치에 형성한 것으로 한다. 공시품 2는 초기 기본성능의 확인용의 하우징과 동일한 형상이며, 슬릿 깊이를, 개구부의 도시하지 않은 연직방향의 중심선으로부터 90°씩 형성하고, 슬릿 폭을 4mm로 하고, 축경 조인트부, 고정부, 축경 조인트부의 수평방향의 길이를 각각 29mm, 24mm, 29mm로 했다. 공시품 3은 공시품 2로부터 슬릿 깊이를 30°씩 더 증가시켜, 연직방향의 중심선으로부터 120°씩의 슬릿 깊이로 형성했다. 공시품 4는 슬릿 깊이를 연직방향의 중심선으로부터 135°씩으로 형성했다. 공시품 5는 시트의 위치를 수평방향 중심선으로부터 45°의 위 치에 형성하고, 슬릿을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했다. 공시품 6은, 공시품 5의 형상의 하우징에 대하여, 연직방향의 중심선으로부터 135°의 위치까지 편측에 슬릿을 형성했다(편 슬릿). 공시품 7은 연직방향의 중심선으로부터 165°의 위치까지 편측에 슬릿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각 시험의 방법과 시험 목적 등을 설명한다.
초기 기본성능 확인 시험으로서 밸브시트 시험과 내압 시험을 행한다. 밸브시트 시험은 수압으로 행했다. 밸브시트 시험은 밸브시트의 씨일 성능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밸브 기능의 설계값은 클래스 175로 하고 있으므로, 클래스 175에서의 최고 사용압력(175PSI=1.21MPa(1PSI=0.0069MPa))에서 밸브 밀봉성능을 확인했다. 또한 최고 사용압력의 1.5배가 되는, 1.82MPa에서도 밸브 밀봉성능을 확인했다. 즉, 1.21MPa, 1.82MPa를 시험압력으로서 사용했다.
내압 시험은 밸브시트 시험과 동일하게 수압으로 행했다. 내압 시험은 밸브의 압력 용기로서의 내성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때의 시험압력은 밸브시트 시험과 동일하게 하고, 1.21MPa, 1.82MPa를 시험압력으로서 사용했다.
하우징의 강도 시험에는, 유체압이 가해진 경우의 밀봉성을 보기 위한 내압 시험, 배관의 빼내는 힘에 대한 내성을 조사하기 위한 내탈관시험과, 배관이 뒤틀렸을 때의 밀봉성을 보기 위한 굽힘시험이 있고, 조인트(커플링)의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시험을 행한다.
내압 시험은 도 26에 도시하는 내탈시험 장치에 의해 이하와 같이 행한다.
1. 편측 단부를 밀폐한 관 2개를 공시품에 접합한다. 계속해서, 내부에 물 을 충전한다.
2. 관 내부를 0.1MPa까지 가압하고, 3분간 유지한 상황에서 누수나 각 구조 부재의 이상의 유무를 조사한다.
3. 2의 종료 후, 내부압력을 1.6MPa(커플링의 사이즈 50A에서의 상용압력)까지 가압하고, 3분간 유지한 상황에서 누수나 각 구조 부재의 이상의 유무를 조사한다.
4. 3의 종료 후, 내부압력을 2.4MPa(1.6MPa×1.5배)까지 가압하고, 3분간 유지한 상황에서 누수나 각 구조 부재의 이상의 유무를 조사한다.
내탈관시험은 도 27에 도시하는 내탈관시험 장치에 의해 이하와 같이 행한다.
1. 편측 단부를 밀폐한 관 2개를 공시품에 접합한다. 내부에 물을 충전한 상태에서 도면과 같이 설치한다.
2. 관 내부를 1.6MPa까지 가압하고, 관 축방향으로 소정의 인장하중을 가했을 때, 누수나 각 구조 부재의 이상을 조사한다. 또, 하우징의 관 축방향의 치수 변화량을 측정한다. 인장하중은 재단법인 일본 소방설비 안전센터의 성능평정에 준하여, 50A에서 8800N으로 한다.
굽힘시험은 도 28에 도시하는 굽힘시험 장치에 의해 이하의 수순으로 행한다.
1. 편측 단부를 밀폐한 관 2개를 공시품에 접합하고, 굽힘시험 장치에 설치한 후, 글랜드 상부면에 하중이 가해지도록 세팅한다. 이 때의 지지점 사이의 거 리는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600mm로 한다.
2. 관 내부에 물을 충전하고, 1.6MPa로 유지한 상태에서, 굽힘 각도 2°에 도달할 때까지 굽힘하중을 가한다. 이 때의 누수나 각 구조 부재의 이상을 조사한다.
각 시험의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초기 기본성능 확인 시험에서의 밸브시트시험, 내압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10677823-PCT00001
하우징 강도 확인에 있어서의 내압시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10677823-PCT00002
하우징 강도 확인에 있어서의 내탈관시험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내탈관시험은 내압시험에서 이상이 확인되지 않은 4종류의 공시품에 관하여 행했다.
Figure 112008010677823-PCT00003
치수변화량은, 압력을 내측에서 밀봉시킨 상태에서 인장하중을 걸었을 때의 하우징의 면간 방향의 치수로부터, 내측 밀봉 압력 1.6MPa를 걸었을 때의 하우징의 면간 방향의 치수를 뺀 값으로 했다. 치수의 측정 위치는 봉 형상 너트 근방, 봉 형상 와셔 근방, 스템 구멍 위치의 3개소로 하고, 이 위치에서의 면간 치수의 최대의 변화만을 기재했다.
치수변화는, 봉 형상 너트 및 봉 형상 와셔 근방이 가장 큰 값이 되었다. 스템 구멍측의 치수 변화량은 하우징의 형상에 관계 없이, 약 0.2mm 정도의 결과로 되었다.
또한, 참고로서, 공시품 No.1에서의 탈관시의 하중은 약 25000N으로 되었다.
하우징 강도 확인에 있어서의 굽힘시험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10677823-PCT00004
밸브시트 시험과 내압시험의 결과, 밸브시트에 의한 밀봉성능, 및 내압성능은 설계값(클래스 175에서 제시하는 밸브시트 밀봉 압력 1.21MPa, 내압성능 1.82MPa)을 만족하고 있는 것이 이해되었다.
슬라이드 판의 판 두께를 판 두께 0.5mm에 대하여 0.8mm로 하면, 볼트의 조임에 의한 변형을 없앨 수 있었다.
계속해서, 하우징 강도시험에서의 내압시험에 대하여, 시험결과(표 2)를 기초로, 공시품에서의 슬릿 깊이와 내압시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10677823-PCT00005
표 5의 결과로부터, 슬릿의 배치가 양측, 또는 편측에 상관없이, 슬릿 깊이의 합계의 임계값으로서는 1.6MPa 내압에 대한 임계값이 슬릿 깊이의 합계가 240°마다, 안전률 1.5배의 2.4MPa 내압에 대한 임계값은 슬릿 깊이의 합계가 180° 이상으로 된다.
하우징 강도시험에서의 내탈관시험에 대해서는, 내압시험에서 이상이 없었던 4종류의 공시품 No.1, 2, 6, 7에 대하여 행했는데, 누설이나 빠져나옴은 발생하지 않았다. 내탈관시험에서의 하우징의 치수 변화는, 표 3으로부터, 양측 슬릿의 공시품 No.2가 가장 커져, 약 2mm의 증가로 되었다. 슬릿이 없는 경우와 비교한 경우, 하우징의 구조 강도를 고려하면, 보다 현저하게 인장강도의 저하가 나타난다. 이 때문에, 양측 슬릿과 편측 슬릿을 비교하면, 편측 슬릿쪽이 인장강도상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하우징 강도시험에어서의 굽힘시험에 대해서는, 배관 굽힘각도 2°에 대하여 커플링부로부터의 누설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시험결과로부터,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실시품으로서, 이하의 표 6의 기본 성능을 만족할 수 있다. 이들 값은 밸브로서 평가한 경우에 어느 항목 에 대해서도 충족시킬 수 있는 결과이다.
Figure 112008010677823-PCT00006
다음에 도 11에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의 주요부와 관련된 발명에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축경용 조인트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는 그 주요부인 조인트 부위를 밸브 이외의 각종 배관 부위에 응용할 수 있고, 이 예로서 조인트에 응용한 경우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29, 도 30에서, 축경용 조인트 본체(150)는 파이프(배관)(P, P)를 양측에서 삽입하고, 밀봉 슬리브(161)를 둘러싸는 단면 C형상의 통형의 하우징(151)의 양단부(152, 152)를 볼트 체결 부재(168)로 조여 하우징(151) 내에 장착한 로킹 링 기구(160)로 파이프(P)의 외주면 부위를 조여 이 파이프(P)를 접합하도록 한 것이다.
하우징(151)은 1장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도 32와 같은 박판(153)으로 형성 가공하고, 이 박판(153)을 구부림 가공하여 도 33과 같이 단면 대략 C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다. 박판(153)의 형성시에는 슬릿(154)을 설치하고 있고, 이 슬릿(154)은 하우징(151)의 상태로 형성할 때에 단부(152, 152)의 쌍방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1개씩 형성하고 있다.
본 예에서의 슬릿(154)은 하우징(151)의 축선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위치에 설치하여, 양 분할부(155, 155)의 폭(K1, K2)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설치하고 있는데, 삽입하는 파이프(P)의 구경 및 재질 등에 따라, 이 폭(K1, K2)이 상이한 위치에 슬릿(54)을 형성해도 된다.
슬릿(154)의 형성시에는, 이 슬릿(154)을 박판(153)의 단부 부위로부터 적당한 길이로 형성하면 되는데, 적어도 슬릿(154)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분할부(155, 155)를 도 33, 도 34와 같이 하우징(151)의 외주측으로 되접을 수 있는 것과 같은 길이(M)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 각 분할부(155, 155)를 되접을 때에, 이것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되접기 가능하게 되는 것과 같은 넓이의 적당한 공극(N)에 의해 설치한다. 또한, 슬릿(154)의 선단 부분에 φd의 직경에 의해 원호 형상의 확경 절결부(154a)를 형성하고, 이 확경 절결부(154a)의 직경 φd≥슬릿(154)의 공극(N)의 치수의 관계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 확경 절결부(154a)를 설치함으로써, 볼트(168) 조임시의 응력에 의해, 슬릿(154) 선단측의 분할부(155)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긴 구멍(156, 157)은, 각 분할부(155, 155)의 원주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천공하여 형성하고 있고, 하우징(151)을 C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여 분할부(155)를 되접었을 때에, 긴 구멍(156)으로부터 긴 구멍(157)에 볼트(168)를 끼우고 뺄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하고 있다.
각 분할부(155, 155)의 되접기 시에는, 도 33과 같이, 봉 형상 와셔(158, 158)를, 볼트(168)의 삽입측의 분할부(155)의 되접기 부위의 내측에 끼워 넣고, 한편, 봉 형상 너트(159, 159)를, 타방의 분할부(155)의 되접기 부위의 내측에 끼워 넣도록 하고, 각 되접기 부위의 단부측을 스폿 용접 등의 용접부(151a, 151a)에 의해 고착함으로써 봉 형상 와셔(158), 봉 형상 너트(159)를 고정하면서 하우징(151)에 조임용의 단부(152, 152)를 형성하고 있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 형상 와셔(158)는 볼트(168)의 수나사(168a)가 삽입통과가능한 관통구멍(158a)을 갖고, 또한 봉 형상 너트(159)는 수나사(168a)가 나사 결합가능한 암나사(159a)를 갖고 있다.
볼트(168)는 봉 형상 와셔(158)측의 긴 구멍(156)으로부터 봉 형상 와셔(158)의 관통구멍(158a)에 삽입하고, 봉 형상 너트(159)의 암나사(159a)에 수나사(168a)를 돌려넣는다. 이것에 의해 단부(152, 152)가 죄어져, 하우징(151)을 축경할 수 있다.
봉 형상 와셔(158), 및 봉 형상 너트(159)는 각 분할부(155, 155)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부착함으로써, 볼트(168)에 의해 조였을 때에 하우징(151)의 파이프(P)의 삽입측인 측부(151b, 151b)를 개별적으로 축경할 수 있다.
슬릿(154, 154)을 하우징(151)의 양단부(152, 152)에 설치하고, 양 분할부(155, 155)의 폭(K1, K2)을 거의 동일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각 봉 형상 와셔(158, 158)와 각 봉 형상 너트(159, 159)의 길이를 각각 동일하게 있어, 부품의 공통화가 가능하다.
도 31과 같이, 측부(151b, 151b)의 각 단부측에는, 적당한 길이로 돌출 부위를 형성하고, 이 돌출 부위를 내경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플랜지부(151c, 151c)를 형성하고 있다. 이 플랜지부(151c, 151c)의 내측에는, 밀봉 슬리브(161), 스프링(162), 로킹 링(163), 삼각 링(164), 유지 링(165), 슬라이드 판(166)을 갖는 로킹 링 기구(160)을 수납 유지하고 있다. 이 로킹 링 기구(160)에 의해, 하우징(151)의 양단부(152, 152)를 볼트(168)로 조여 파이프(P, P)를 접합하고 있다.
밀봉 슬리브(161)는 환상으로 형성된 내압 밀봉식의 고무제 슬리브를 채용하고 있다. 밀봉 슬리브(161)의 내주측에는, 양단부를 안쪽으로 절곡 형성한 립부(161a)와, 이 립부(161a)의 절곡 부위의 내측에 환상 홈(161b)을 설치하고, 이 환상 홈(161b)에 환상으로 형성한 스프링(162)을 장착하고 있다. 또, 밀봉 슬리브(161)의 내주면에는, 파형으로 볼록하게 돌출시켜 리브(161c)를 형성하고, 이 리브(161c)에 의해 보강하여 형상을 안정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밀봉 슬리브(161)가 뒤틀리거나 하는 것을 막고, 특히, 슬리브 본체에 반복하여 열응력이 가해져 팽창력이나 압축력이 작용했을 때에, 외주면측이 하우징(151)의 내주나 슬라이드 판(166)으로부터 유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리브(161c)를 파형으로 설치하고 있지만, 이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단면 삼각형이나 단면 사각형 등의 톱니 형상 등으로 해도 된다.
밀봉 슬리브(161)는 하우징(151)의 내주면측에 슬라이드 판(166)을 개재한 상태로 부착하고 있다.
로킹 링(163)은 일부를 슬릿 형상으로 절결하여 환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측 선단에 복수의 발톱부(163a)를 설치하고 있다. 하우징(151)의 축경시에는, 로킹 링(163)도 축경하여, 발톱부(163a)가 파이프(P)의 접합 외주면 부위에 파고 들어가, 파이프(P)의 빠져 나감을 저지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 동시에, 파이프(P)의 외주면에 밀봉 슬리브(161)를 압착시켜, 파이프(P)와의 밀봉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삼각 링(164)은 일부를 슬릿 형상으로 절결한 환 형상으로 형성하여, 축경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 안쪽에는, 정점 부위를 갖는 단면 삼각 형상을 보이고, 각 원추면(164a, 164a)에 밀봉 슬리브(161)측과 로킹 링(163)을 각각 걸어맞추어서 이것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작용시키도록 하고 있다.
유지 링(165)은 삼각 링(164)과 마찬가지로 슬릿 형상 부위를 설치한 환 형상으로 형성하여, 축경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유지 링(165)은, 단면 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외주면측을 플랜지부(151c)와 로킹 링(163)에 맞닿게 하도록 이것들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로킹 링(163)을 유지하고 있다.
슬라이드 판(166)은 박판 형상 부재를 구부려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본 예에서, 이 슬라이드 판(166)은, 도 31,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5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각 슬라이드 판(166', 166")의 일부를 중첩한 상태에서, 원호 형상으로 구부린 것을 하우징(151)의 내주측에 수납하고 있다. 슬라이드 판(166)은, 분할되어 있음으로써, 하우징(151)의 각 분할부(155, 155)를 조여 개별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또, 슬라이드 판(166)에서의 파이프(P) 삽입측의 가장자리 부위는 삼각 링(164)의 원추면(164a)과 중첩하는 경사의 테이퍼 모양으로 구부려서 구부림부(166a)를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드 판(166)은 밀봉 슬리브(161)와 하우징(151) 사이에 배치하여, 이 슬라이드 판(166)이 하우징(151)의 내주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파이프(P)를 피복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151)의 절결 부위인 단부(152, 152)의 간극을 커버하고 있다.
슬라이드 판(166)은 도시하지 않은 1장의 박판에 의해 형성해도 되며,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안꼭을 정점측으로 하는 단면 대략 산 형상의 리브를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하도록 하면, 이 리브에 의해 조임시의 진동을 막을 수 있어, 조임력을 균등하게 작용시키면서 축경할 수 있다. 이 리브는 밀봉 슬리브(161)의 균등한 축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산을 낮게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조인트 본체(150)에 파이프(P)를 접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미리 조인트 본체(150)와 접합하는 파이프(P)의 외주면의 접합부분에 도시하지 않은 마킹을 해 둔다. 이 마킹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파이프(P)를 조인트 본체(150)의 중앙위치에 대하여 정확하게 맞댄 상태에서 접합을 행하기 위해서는, 마킹을 하여 시각적인 확인함으로써, 파이프(P)를 적정한 삽입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킹은 싸인펜 등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파이프(P)는 강관 등의 금속, 수지 파이프 등의 비금속 등 중의 어느 조합이어도 되며, 이 파이프(P)를 조인트 본체(150)의 양측부(151b, 151b)로부터 삽입하여, 중앙 부근에서 단부를 맞댄 상태로 유지한다.
계속해서, 볼트(168)를 봉 형상 와셔(158), 봉 형상 너트(159)에 대하여 조이고, 하우징(151)의 되접기 부위인 단부(152, 152)를 점차로 근접시키도록 이 하우징(151)을 축경시킨다.
하우징(151)을 축경시키면, 내주측과, 파이프(P)의 외주측에 끼워진 밀봉 슬리브(161)에는 축경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 밀봉 슬리브(161)가 축경된다. 밀봉 슬리브(161)는, 축경됨에 따라 찌부러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어, 각 단부 부근에도 파이프(P)의 삽입측으로 연장되려고 하는 힘이 직용한다.
밀봉 슬리브(161)와 하우징(151) 사이에는 슬라이드 판(166)을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 판(166)은, 상기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하여 일부를 포갠 상태에서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밀봉 슬리브(161)는, 슬라이드 판(166)에 대하여 외주측이 접하고 있기 때문에, 밀봉 슬리브(161)에 힘이 가해지면, 각 슬라이드 판(166', 166")은 마찰력에 의해 밀봉 슬리브(161)가 미끄럼운동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이것에 의해, 밀봉 슬리브(161)는 전체가 눌려 찌부러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신한다. 이 작용에 의해, 파이프(P)에 대하여 높은 압력을 균등하게 작용시키면서 밀봉 슬리브(161)를 밀접시킬 수 있어, 씨일성을 높일 수 있다.
외경이 동일한 파이프(P)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중첩한 슬라이드 판(166', 166") 중, 내측의 슬라이드 판(166')이 위치하는 쪽(도 35에서, 좌측)의 삽입구측으로부터 배관(볼트(168)의 조임)을 행하도록 하다. 또, 이경관을 배관할 때에는, 소구경의 배관을 내측의 슬라이드 판(166')이 위치하는 쪽의 삽입구에 배치되도록 삽입하고, 볼트(168)의 조임을 행하도록 하다.
이 조임 순서나 관의 직경(크기)은, 도시하지 않지만, 하우징(151)의 외주측에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표기할 수 있고, 이렇게 한 경우, 볼트(168)를 정확한 순서로 조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표기는, 조임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나, 크고 작은 등의 관 직경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 등,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조임 후에는, 밀봉 슬리브(161)의 립부(161a)가 하우징(151)의 축경력과, 유체압의 자긴력과, 스프링(162)의 구심력에 의해, 파이프(P)의 양단부 외주면에 밀봉성과 적당한 가요성(구체예로서 가요 편각측±2°, 양측 4°)을 가지고 압착하기 때문에, 극히 우수한 밀봉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내압 밀봉식의 밀봉 슬리브(161)의 채용에 의해, 파이프(P) 내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한 밀봉 구조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파이프(P)의 맞댐 부위로부터 유체가 새어 나오려고 하여 밀봉 슬리브(161)가 확경하려고 한 경우, 자긴력이 작용하여 밀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밀봉 슬리브(161)가 배관 삽입방향으로 연신되면, 도 31에서, 이 밀봉 슬리브(161)의 테이퍼부(161d)와 맞닿은 삼각 링(164)의 일방의 원추면(164a)이 밀려서, 삼각 링(164)이 이 방향으로 미끄럼운동 하려고 한다. 삼각 링(164)의 타방의 원추면(164a)측에는, 로킹 링(163)과 플랜지부(151c) 사이에 유지 링(165)을 설치하고 있고, 이 유지 링(165)은 금속제이기 때문에, 삼각 링(164)에 의해 유지 링(165)이 밀렸을 때에는 축경하지 않고, 로킹 링(163)은 유지 링(165)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려고 한다. 따라서, 로킹 링(163)은 내주 선단측이 내주 방향으로 융기하도록 서서히 기립해 가서, 발톱부(163a)를 파이프(P)의 접합 외주면에 파고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 때, 삼각 링(164)이 슬라이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깊게 파고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인트 본체(150)는, 조임 작업 후에, 파이프(P)로부터 누수하거나, 파이프(P)가 탈관하거나 할 우려가 없어, 우수한 밀봉 접합 상태가 실현된다. 예를 들면, 파이프(P)에 빼내는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이 파이프(P)가 빠지기 어려워, 극히 높은 접합강도를 유지하면서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다.
조인트의 하우징(151)에는, 적어도 단부(152, 152)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적절한 길이의 슬릿(154)을 설치하여 분할부(155, 155)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양측의 볼트(168, 168)을 조금씩 번갈아 조여서 하우징(151)을 균등하게 축경시킬 필요가 없고, 양 볼트(168, 168)를 적당한 순서로 조이는 것만으로 각 측부(151b, 151b)에 삽입된 파이프(P)를, 슬릿(154)에 의해 보다 크게 축경하여 강한 씨일 면압에 의해 씨일하면서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이 때, 파이프(P, P)가 이경관이거나, 상이한 재질이어도, 볼트(168)의 조임력을 파이프(P)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작용시켜서 효과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게다가, 양측의 볼트(168, 168) 중 한쪽만을 조일 수도 있기 때문에, 편측의 파이프(P)로부터 차례로 죄어 접합할 수도 있다. 게다가, 미리, 양측부(151b, 151b)의 직경을 바꾸어 둠으로써, 공칭 직경이 상이한 배관을 접합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이경관 등을 접합하는 경우에도 전용의 슬리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양단의 형상이 동일한 밀봉 슬리브(161)를 사용할 수 있어, 로킹 링(163)에 의한 강한 그립력을 작용시키면서 접합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50)의 하우징(151)을 확경하는 양단부(152, 152) 사이에 위치하는 볼트 체결 부재(168)에, 하우징(151)의 축경 상태를 확인하는 인디케이터(167)를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 인디케이터(167)는 하우징(151) 축경시의 양단부(152, 152)의 간극(O)에 대응한 폭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인디케이터(167)에는, 연통구멍(167a, 167a)을 설치하고 있고, 이 연통구멍(167a, 167a)에 볼트(168)를 삽입통과시키면서 단부(152, 152) 사이에 부착한다.
볼트 체결 부재(168)를 조이면, 인디케이터(167)는 단부(152, 152)의 사이에 협착되고, 이 때의 인디케이터(167)와 단부(152)의 맞닿음 상태를 시각적인 확인함으로써 볼트(168, 168)의 조임 잊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인디케이터(167)에 의해 볼트(168)의 조임량을 규제할 수도 있어, 단부(152, 152)의 조임 후의 폭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소정의 조임량에 의해 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167)를 설치함으로써, 접합 상황을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접합을 완료할 수 있어, 접합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합시의 소정의 조임력을 확보하면서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규격품이고 사이즈가 상이한 이경관을 접속하는 경우, 하우징 양단부(152, 152)를 이 이경관에 대응한 간극(O)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도면의 1점 쇄선과 같이 인디케이터(167)의 두께가 상이한 단차부(167b)를 설치함으로써, 각 단부(152, 152)을 조였을 때에 양측에서 상이한 간극(O)에 대응하여 적절한 조임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167)를 간극(O)에 대응한 형상으로 설치하도록 하면, 직경이 상이한 파이프(P)이더라도 그 직경에 대응한 고정력으로 조일 수 있어, 양단측의 씨일성이나 빼냄 방지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슬릿 편측 타입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조임시에 슬릿측의 단부(152)가 축경되어 가므로, 인디케이터(169)를 도 38과 같이 계단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7, 도 38에서는 축경용 조인트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이후의 실시형태에서, 상기의 실시형태와 동일 개소는 동일한 부호에 의해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의 하우징(171)은 단부(172)의 일방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슬릿(174)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릿은 하우징의 양단부의 일방,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쌍방에 설치할 수 있다.
슬릿(174)은 봉 형상 와셔(178) 장착측에 설치하도록 하고, 하우징(171)이 도 31의 하우징(151)과 동일한 크기일 경우, 슬릿(174)의 도시하지 않은 길이는, 도 32에 도시한 슬릿(154)의 길이(M)보다 길어지도록 설치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이 하우징(171)에 의해 조인트 본체를 구성한 후에 크게 축경시킬 수 있어, 관 직경차가 큰 파이프(P, P)를 양단부(172, 172)에 접합할 수 있다. 슬릿(174)의 길이는 슬릿(154)의 길이(M)의 2배의 길이 이하로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 형상 와셔(178)에는 볼트(168)의 머리부(168b)를 고정하기 위한 평면 형상의 시트(178a)를 형성하고, 이 시트(178a)에 머리부(168b)가 맞닿음으로써 볼트(168)의 봉 형상 와셔(178)에 대한 회전을 막아, 조임 후에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강한 접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시트(178a)를 형성하면, 그 만큼 봉 형상 와셔(178)의 봉 직경이 작아져서 봉 전체의 강성이 약해질 우려가 있지만, 이 봉 형상 와셔(178)를 일체 구조의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슬릿 편측 타입의 경우에도 강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강성의 요구도가 높은 장소에서 유효하며, 강한 굽힘 응력을 발휘하면서 접합이 가능하다. 한편, 봉 형상 너트(159)는 분할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171)의 각 분할부(175, 175)를 개별적으로 조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9에서는, 축경용 조인트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조인트 본체(180)는 하우징(181)을 긴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하우징(181)의 원주방향의 각 양단부(182, 182)에, 2개씩 슬릿(184, 184)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3개의 분할부(185)을 설치하고, 각 파이프(P, P)를 이 분할부(185)에 의해 조여서 접합하고 있다. 조인트 본체(180)는, 파이프(P)의 도시하지 않은 삽입 여유부를 길게 취할 수 있어, 이 삽입 여유부를 복수 개소에서 조임으로써, 씨일성과 빠짐방지성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각 파이프(P)에 대하여 2개소에서 조임으로써, 이 파이프(P)이 축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막아, 안정한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 여유부에 의해 파이프(P)의 삽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현장 등에서 파이프(P)의 치수 오차를 흡수하면서 접합할 수도 있다. 또, 기온의 변화에 의한 파이프(P)의 열신축의 변동을 흡수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슬릿(184)을 2개 설치하고 있는데, 이 슬릿은 적당한 수에 의해 설치할 수 있고, 조인트 본체의 길이에 따라 3개 이상의 복수 개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하우징(181)의 대략 중앙 부분에 내부와 연통한 통 형상의 분기부를 설치해도 되고, 이 경우, 분기 조인트로서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분기부는 소켓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 분기부에 다른 분기관을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본 예에서의 조인트 또는 슬릿을 갖지 않는 축경용 조인트를 배관에 접합하고, 이 배관 라인에 본 예에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를 착탈 자유롭게 접합하여, 적당한 배관 라인을 접합할 수 있어, 사용 가치가 극히 높은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에 있어서의 주요부는 그 접속 구조를 조인트에도 응용할 수 있다. 게다가, 밸브나 조인트 이외에도, 하우징을 축경하여 접속하는 것과 같은 구조이면, 각종 배관 기재나 그 밖의 기재에 대해서도, 이 주요부를 응용하여 접속가능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경 가능한 하우징 내에 밸브 이외에 스트레이너, 체크 밸브나 압력계, 유량계 등의 배관에 장착하는 배관 기재를 설치할 수 있고, 이 축경 가능한 기술사상을 응용할 수 있는 배관기술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31)

  1. 축경 가능한 하우징 내에 고무 등으로 성형한 밀봉 슬리브를 수납하고, 상기 하우징에 밸브체를 갖는 밸브 기구를 내장시켜, 하우징 내의 유로의 개폐와 유량제어를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을 축경시켜 상기 밀봉 슬리브로 접합용 파이프의 접합 단부를 밀봉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한 축 구멍부에 밸브 기구의 축장착 통을 설치하고, 이 축장착 통 내에 상기 밀봉 슬리브에 설치한 축장착 링을 장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기구는 상기 밀봉 슬리브의 내주면에 설치한 금속제 등의 강체 통 형상의 프레임 내에 버터플라이 밸브용의 원판 형상의 밸브체를 스템 조작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의 밸브체를 씨일재로 피복하거나, 적어도 환상 외주면에 씨일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과 상기 축장착 링 사이에 O링을 통하여 금속제 등의 강체 형상의 유지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슬리브의 중앙 내주면에 환상 밸브시트부를 돌출하여 형성하고, 이 환상 밸브시트부에 원판 형상의 밸브체를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밸브시트부의 보스부 위치에 인서트 부재를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기구는 상기 밀봉 슬리브의 내주면에 설치한 금속제 등의 강체 형상의 통 형상 홀더의 내주면에 볼 시트를 통하여 관통구멍을 갖는 볼을 스템 조작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하단을 볼에 접합하고, 이 스템과 축장착 링 사이에 O링을 통하여 금속제 등의 강체 형상의 유지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장착 통의 상단에 글랜드를 돌려넣고, 이 글랜드로부터 돌출시킨 스템의 상단에 핸들을 고착하고, 또한 중간 개도 고정 기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결부를 갖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을 프레스 성형하고, 이 하우징의 내부에 고무 등으로 성형한 밀봉 슬리브를 수납하고, 이 밀봉 슬리브의 양단부를 안쪽으로 절곡 형성한 립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밀봉 슬리브의 양단 위치에 상기 하우징의 파이프 접합의 축경시에 파이프의 접합 외주면에 파고 들어가는 로킹 링을 배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슬리브의 립부는 하우징의 축경력과 유체압의 자긴력과 스프링의 구심력에 의해, 접합용 파이프의 양단부 외주면에 밀봉성과 적당한 가요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등의 하우징의 양단부에 플랜지부를 프레스 성형하고, 이 플랜지부 내주 위치에 로킹 링과, 절결부를 갖는 삼각 링과, 절결부를 갖는 유지 링을 수납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양단부에 설치한 볼트·너트 기구로 조이고, 상기 하우징 축경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15. 하우징의 접합측의 일방 또는 쌍방을 확경/축경시켜 배관을 접합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부를 통하여 밸브 기구를 고정함과 아울러, 이 고정부의 고정기능과 상기 축경 조인트부의 확경/축경 기능을 분할기구를 통하여 분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기구는 상기 밸브 기구의 고정부 근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한 소정 길이의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하우징의 원주방향 양단부의 일방 또는 쌍방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밸브 기구 근방에 설치한 슬릿을 통하여 원주방향 양단부를 볼트 조임 기구로 조여서 밸브 기구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기구는 밸브체를 수납한 환상의 프레임체를 하우징 내에 설치하고, 이 밸브체를 회전시키는 밸브축을 프레임체에 설치한 축통부로부터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축통부를 하우징의 바깥에서 글랜드로 나사결합시켜 상기 프레임체를 매달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부에 설치한 암나사 또는 수나사에, 상기 글랜드의 수나사 또는 암나사를 나사식으로 부착시켜 나사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원주 방향 양단 개구부를 볼트 조임 기구로 확경/축경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하우징의 내주에 밀봉 슬리브를 설치하고, 또한, 하우징의 양단 내주에 로킹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슬리브의 내측 형상을 편평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원주방향 양단 개구부의 근방이고, 또한 밀봉 슬리브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판을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 판을 분할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24. 제 15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단 개구부에 인디케이터를 배치하고, 이 인디케이터로 상기 고정 기능과 축경 기능을 시각적인 확인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25. 제 19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축의 외측 끝에 핸들을 부착하고, 이 핸들로 밸브 기구를 개폐 또는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
  26. 밀봉 슬리브를 둘러싸는 단면 C형상의 통형의 하우징의 양단을 볼트 체결 부재로 조여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한 로킹 링 기구로 배관을 접합하는 축경용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의 일방, 또는 쌍방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적절한 길이의 슬릿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용 조인트.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원주방향 양단부에 상기 슬릿을 1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용 조인트.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긴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하우징의 원주방향 양단부에 복수의 슬릿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용 조인트.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측에 배관을 피복할 수 있는 박판 형상의 슬라이드 판을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 판을 상기 하우징의 내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용 조인트.
  30.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확장/축소하는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볼트 체결 부재에, 하우징의 축경 상태를 확인하는 인디케이터를 부착하고, 이 인디케이터는 상기 하우징의 축경시의 양단부 간극에 대응한 폭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경용 조인트.
  31. 적어도 제 26 항에서 슬릿을 설치한 축경용 조인트 또는 슬릿이 없는 축경용 조인트로 배관끼리를 접합한 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이 배관에 제 1 항 또는 제 15 항에서의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를 적당하게 착탈 자유롭게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시스템.
KR1020087003490A 2005-07-29 2006-07-31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와 축경용 조인트 및 이것들을사용한 배관 시스템 KR200800370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1969 2005-07-29
JP2005221969 2005-07-29
JPJP-P-2006-00158937 2006-06-07
JP2006158937 2006-06-07
JP2006190831 2006-07-11
JPJP-P-2006-00190831 2006-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021A true KR20080037021A (ko) 2008-04-29

Family

ID=3768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490A KR20080037021A (ko) 2005-07-29 2006-07-31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와 축경용 조인트 및 이것들을사용한 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032757A1 (ko)
EP (1) EP1912003A4 (ko)
JP (1) JP4073950B2 (ko)
KR (1) KR20080037021A (ko)
CN (1) CN101233351B (ko)
CA (1) CA2615707A1 (ko)
WO (1) WO20070136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15B1 (ko) * 2012-09-11 2013-06-11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하수관 연결구
RU207724U1 (ru) * 2021-02-04 2021-11-12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Спецавтоматика" Седло для клапана сигнального с дисковым затворо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1913C2 (sv) * 2008-01-18 2009-09-08 Fumex Ab Ventilationsarm,ventilationssystem,samt anordning innefattande i ett ventilationssystem
FI122216B (fi) 2009-01-05 2011-10-14 Imbera Electronics Oy Rigid-flex moduuli
US9429260B2 (en) * 2012-05-11 2016-08-30 Gregory M. Johnson Pneumatic coupling system and method
CN104455485A (zh) * 2014-09-19 2015-03-25 蚌埠凯盛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退火窑外部风系统控制的手动蝶阀装置
NO337266B1 (no) * 2014-10-09 2016-02-29 Ulefos Esco As Sluseventil
AU2016322808B2 (en) * 2015-09-18 2019-05-30 Victaulic Company Valve and coupling
CA3005871C (en) * 2015-11-23 2020-09-15 Victaulic Company Valve and valve coupling with reverse tapered shafts
EP3734124B1 (en) * 2017-12-26 2023-12-06 Asahi Yukizai Corporation Pipe aligning mechanism for butterfly valve
CN109707933B (zh) * 2019-01-09 2019-12-06 浙江金冠特种变压器有限公司 一种变压器的滤油管接头
CN113857844B (zh) * 2021-09-27 2022-09-16 宁波聚华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弯芯液压接头自动组装装置
FR3133656A1 (fr) * 2022-03-18 2023-09-22 Psa Automobiles Sa Valve motorise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7824A (en) * 1934-04-19 1936-01-14 Martin A Hunt Coupling
US3004781A (en) * 1959-01-29 1961-10-17 Jolly L Morris Slotted shell coupling clamp
DE1207732B (de) * 1960-10-25 1965-12-23 Jesse Hawke Rohrverbindung
US3129920A (en) * 1961-07-31 1964-04-21 Crawford K Stillwagon Conduit connection and valve
US3369791A (en) * 1965-03-18 1968-02-20 Lee P. Snodgrass Disc type flow control valve
US3598365A (en) * 1969-08-28 1971-08-10 Ladish Co Butterfly valves
US3612478A (en) * 1970-05-25 1971-10-12 Advance Valve Installations Valve
US3982727A (en) * 1972-04-12 1976-09-28 Neles Oy Flangeless valve
DE2324353A1 (de) * 1973-05-14 1974-11-28 Zero Manufacturing Co Drosselklappenventil
US4045060A (en) * 1975-12-04 1977-08-30 Daigle Aqua Inc. Pipe retainer joints
AT348838B (de) * 1976-07-21 1979-03-12 Straub Immanuel Rohrkupplung
CH642152A5 (de) * 1979-08-08 1984-03-30 Rohr Ed Ag Drosseleinrichtung fuer rohrleitungen, insbesondere rauchabzugsrohre.
JPH0750615Y2 (ja) * 1989-12-15 1995-11-15 株式会社キッツ バタフライバルブ
DE59203683D1 (de) * 1992-01-15 1995-10-19 Straub Federnfabrik Rohrkupplung.
GB2289744B (en) * 1994-05-19 1998-04-22 Fort Vale Eng Ltd Valve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15B1 (ko) * 2012-09-11 2013-06-11 주식회사 파이프랜드 하수관 연결구
RU207724U1 (ru) * 2021-02-04 2021-11-12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Спецавтоматика" Седло для клапана сигнального с дисковым затворо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3351B (zh) 2011-01-26
CN101233351A (zh) 2008-07-30
EP1912003A4 (en) 2010-10-27
JP4073950B2 (ja) 2008-04-09
JPWO2007013654A1 (ja) 2009-02-12
US20090032757A1 (en) 2009-02-05
WO2007013654A1 (ja) 2007-02-01
CA2615707A1 (en) 2007-02-01
EP1912003A1 (en)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7021A (ko) 축경 조인트부를 갖는 밸브와 축경용 조인트 및 이것들을사용한 배관 시스템
CN101142433B (zh) 用于流体的歧管
CA2752921A1 (en) Pipe connecting system
US20190128454A1 (en) Adjustable frac flow line
CN101257950A (zh) 以机械结合器及支架装配cpvc喷洒灭火器系统的系统和方法
US20050279417A1 (en) Internal pipe repair method and device
JPH02501155A (ja) 流体収容導管内に物体を取付け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7784835B1 (en) Pipe connecting member
BR112012013665B1 (pt) Dispositivo de fixação de tubo
JP2008045943A (ja) 水圧試験装置
US7118137B2 (en) Testable pipe joint
US20080224079A1 (en) Valve having diameter-reducible joint part, joint for diameter reduction, and plumbing system using these
JP4960207B2 (ja) メータボックス内蔵型メータユニットの取付方法とそのメータユニットの構造
US6039069A (en) Pipe fitting, in particular a control and shut-off valve
US20160377208A1 (en) Gasket for Threaded Pipe Flange
JP6431023B2 (ja) 弁装置取付構造、弁装置取付方法及び弁装置取外方法
JP2008190700A (ja) 縮径継手部を有するバルブ
US20080030026A1 (en) Pipe Coupling System
JP4660186B2 (ja) 継手保持部材及び継手保持部材と継手部材とからなる器具
JP3852611B2 (ja) 管継手及び該管継手を用いた量水器の接続装置
CN208420290U (zh) 管道静态压力载荷试验工具
JP2008075884A (ja) 管継手
JP2008232428A (ja) 管内面補修継手
CN108469330A (zh) 管道静态压力载荷试验工具
JP2018150962A (ja) 連結管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