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017A - 사출성형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017A
KR20080037017A KR1020087003374A KR20087003374A KR20080037017A KR 20080037017 A KR20080037017 A KR 20080037017A KR 1020087003374 A KR1020087003374 A KR 1020087003374A KR 20087003374 A KR20087003374 A KR 20087003374A KR 20080037017 A KR20080037017 A KR 20080037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injection molding
information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요코야마
마사루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2Control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45/7606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성형조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장치로부터 분리하여 제2 표시장치를 설치한다. 제2 표시장치는,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는, 제1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정보를 데이터 변환하는 제1 데이터 변환부와, 제2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정보를 데이터 변환하는 제2 데이터 변환부를 가진다. 제2 표시장치는, 제1 표시장치와는 다른 정보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device}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성형조건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스틱 부품 등의 성형품을 성형하는 사출성형기에는, 사출성형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다. 사출성형기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정보에는, 조작자가 입력한 항목에 관한 정보나 성형 중에 얻을 수 있는 각종 성형조건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표시장치는, 사출성형기의 조작자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되어지고 있으며, 통상, 키 조작 입력부와 일체로 되어 있다. 혹은, 표시화면 자체가 터치패널과 같이 조작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기능하는 것도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는 조작자가 사출장치를 조작함에 좋은 위치, 즉, 사출성형기의 형체(型締)장치가 위치하는 중앙 부분 부근의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표시장치는, 조작자에게 있어서 보기 쉽도록 조작자의 눈높이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종래의 표시장치는, 조작자가 사출성형기의 동 작을 보면서 표시장치를 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사출성형기가 가동되는 성형공장에는, 복수(複數)의 사출성형기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복수의 사출성형기가 설치되어 가동되고 있을 경우에는, 한 사람의 조작자가 복수의 사출성형기를 조작하고 관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사출성형기의 성형조건이나 동작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서는, 조작자는 각 사출성형기 표시장치의 위치 근방으로 이동하여 표시장치를 볼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표시장치를 가지는 사출성형기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3-20045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표시장치를 가지는 사출성형기가 복수(複數) 배치되어 있을 경우, 조작자는, 1대의 사출성형기 표시장치의 근방에 있을 때에는, 다른 사출성형기의 표시장치를 볼 수는 없다. 또한, 통상, 표시장치는 근방에서 보는 것을 주안점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표시장치의 표시내용을 확인할 수는 없다. 예컨대, 복수의 사출성형기가 설치되어 있는 성형공장에 있어서, 성형공장 내의 어느 위치(관리실 등)로부터 모든 사출성형기의 상태를 표시장치를 통하여 거의 동시에 파악할 수는 없다.
사출성형기에는, 고장 등의 이상(異常) 사태가 발생하였을 때에 빨간 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이상 사태를 주위에 알리는 경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보장치는 단지 이상 사태의 발생을 알리는 것뿐이며, 이상 사태의 내용을 조작자에게 알릴 수는 없다. 즉, 조작자는 어느 사출성형기의 이상 사태의 발생을 알았을 때에, 그 사출성형기 표시장치의 근방까지 이동하여 비로소 표시장치에 의하여 이상 사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사출성형기 표시장치는, 떨어진 위치에서 표시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사출성형기의 경보장치는, 경보를 발하는 것뿐이어서 이상 사태의 내용을 조작자에게 알릴 수는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총괄적인 목적은, 상술의 문제를 해결한 신규하고도 유용한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작동상황 등을 떨어진 장소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조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장치와, 이 제1 표시장치로부터 분리하여 설치되어,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사출성형기는, 이 제1 표시장치와 이 제2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욱 가지며, 이 제어부는, 이 제1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정보를 데이터 변환하는 제1 데이터 변환부와, 이 제2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정보를 데이터 변환하는 제2 데이터 변환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제2 표시장치는 이 사출성형기의 본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제2 표시장치는, 이 제1 표시장치와는 다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2 표시장치는, 이 제1 표시장치의 설정화면에서의 표시에 이용되는 문자 사이즈보다 큰 문자 사이즈에 의한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제2 표시장치는, 이 제1 표시장치의 표시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향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제2 표시장치는, 이 제1 표시장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2 표시장치는, 생산상황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제2 표시장치는, 소정 시간에 대응하여 가동 예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성형기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도 볼 수 있도록 제2 표시장치를 배치할 수 있어, 제2 표시장치를 통하여 해당 사출성형기에 관한 정보를 떨어진 장소에 있는 조작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제2 표시장치는 문자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다양한 내용의 정보를 떨어진 장소에 있는 조작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성형공장의 통로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사출성형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표시장치의 표시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형체(型締)장치
12 : 사출장치
14 : 프레임
16 : 커버
16A : 고정 커버
16B : 슬라이드 커버
20 : 제1 표시장치
22 : 제어부
24 : 기억부
26 : 제1 데이터 변환부
28 : 제2 데이터 변환부
30 : 제2 표시장치
40 : 무선 송신기
42 : 무선 수신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사출성형기는, 형체장치(10)와 사출장치(12)가 프레임(14) 위에 장착된 구성이다. 형체장치(10)는 많은 가동(可動) 부분을 가지므로, 측면에 커버(16)가 설치된다. 커버(16)는 고정 커버(16A)와 슬라이드 커버(16B)를 포함한다. 조작자가 사출성형기를 조작할 때에는, 조작자는, 슬라이드 커버(16B)를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형체장치(1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형체장치(10)에 접촉할 필요가 없을 경우는, 슬라이드 커버(16B)는 닫혀진 상태로 성형동작이 행하여진다.
본 실시예에 의한 사출성형기에는, 입력정보나 성형조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20)가 설치된다. 제1 표시장치로서의 표시장치(20)는, 조작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형체장치(10)와 사출장치(12)의 중간 위치(사출장치 축방향의 거의 중앙)에서, 조작자가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된다. 즉, 조작자가 형체장치(10) 측에 있을 때라도, 사출장치(12) 측에 있을 때라도, 표시장치(20)가 조작자의 근방에 있는 것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표시장치(20)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20a)과, 사출성형기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b)와, 성형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등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 입력부(20c)를 가진다. 여기서, 표시장치(20)는 종래의 사출성형기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입력장치와 같은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20) 이외에 별도의 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표시장치(20)와 후술하는 다른 표시장치를 구별하는 의미로, 표시장치(20)를 제1 표시장치라고 칭하고, 다른 표시장치를 제2 표시장치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사출성형기의 조작자는, 사출성형기를 운전할 때에, 표시장치(20)의 조작부(20b)를 통하여 성형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입력된 데이터는, 사출성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로 보내진다. 제어부(22)는,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함과 함께, 기억부(24)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2)는,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 변환부(26)를 통하여 표시장치(20)로 보낸다. 데이터 변환부(26)는 표시장치(20)로 보내는 데이터를, 표시화면(20a)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문자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성형조건을 설정한 후, 사출성형기를 운전할 때에는, 조작자는 표시장치(20) 조작부(20b)의 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사출성형기의 각 부(部)를 구동시킨다. 성형 중의 사출성형기의 운전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제어부(22)의 기억부(24)에 격 납됨과 함께, 입력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제1 데이터 변환부(26)를 통하여 표시장치(20)에 보내어져, 표시화면(20a)에 표시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사출성형기의 운전상황을, 표시장치(20)의 표시화면(20a)에 표시된 내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어부(22)는 CPU, ROM, RAM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 전자제어회로이며, 사출성형기에 설치된 제어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표시장치인 표시장치(30)가, 고정 커버(16A)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표시장치(30)는 제어장치(22)로부터 보내어져 온 데이터를 주로 문자정보(그래픽정보도 포함)로서 표시하기 위하여 전용으로 설치된 표시장치이다. 제2 표시장치(30)로 보내어지는 데이터는, 제어부(22)의 제2 데이터 변환부(28)에 의하여 제2 표시장치(30)에서 표시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경된다.
표시장치(30)는 표시장치(20)와 같이 입력부나 조작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지만, 표시가 주된 기능이 되기 때문에, 단순히 표시화면을 가지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장치(30)로서는, 예컨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된 표시기나,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이 문자나 그래픽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바람직하다. 특히, 표시장치(30)는 멀리 있는 조작자에게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므로, 큰 문자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휘도가 높은 표시를 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장치(30)는, 고정 커버(16B)의 상부(上部)에 장착되어 있어, 높은 위치 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성형공장 등에서 복수의 성형기가 늘어서 배치되어 있어도, 장해물에 방해되지 않고 표시장치(30)의 표시내용을 보고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성형공장의 통로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사출성형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성형공장에서 복수의 사출성형기를 설치할 때는, 각 사출성형기의 길이방향이 통로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사출성형기를 정렬하여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 각 사출성형기의 제1 표시장치(20)는 통로에서는 보기 어려운 위치가 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표시장치(30)를 길이방향의 단부(端部)에 배치하고, 또한 표시면(面)이 통로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조작자는 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표시장치(30)의 표시내용을 보면서 각 사출성형기의 운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표시장치(30)에 표시하는 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표시장치(30)에 표시하는 정보는, 예컨대, 사출성형기의 운전상황이나 가동 예정에 관한 정보이지만, 이외에 사출성형기의 제어부(22)가 처리하는 정보나 데이터라면 어떤 정보라도 상관없다. 다만, 표시장치(30)가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내용은 많지 않으므로, 간단한 단어나 문장, 혹은 간단한 그래픽이나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표시장치(30)의 표시부의 사양의 하나의 예로서, 이하와 같은 항목을 들 수 있다. 다만, 표시장치(30)의 사양은 이하에 나타내는 사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사출성형기나 사출성형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 혹은 표시하는 정보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사양의 표시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화면 사이즈 : 316.5 × 35.7㎜
도트 수 : 264 × 24 도트
도트 사이즈 : 0.9 × 1.2㎜
도트 피치 : 1.2 × 1.5㎜
발광 색 : 녹색(λp = 505㎚)
휘도 : 700Typ. cd/㎡
또한, 표시화면의 도트 수를 증가시켜도 좋다. 이 경우, 도트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정보를 나타내거나, 문자 사이즈 등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트 사이즈를 작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보다 정밀하게 정보를 나타낼 수 있어, 작업자가 표시내용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도 3은 제2 표시장치(30)의 표시내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예컨대, 도 3(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사출성형기가 「점검 중」인 것이 문자정보에 의하여 표시장치(30)에 나타나 있다. 조작자는 이 표시를 멀리서부터 보는 것만으로도, 해당하는 사출장치가 점검 중이어서 가동되지 않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생산 수(數) 15764 shot」이라는 정보가 문자정보에 의하여 표시장치(30)에 나타나 있다. 조작자는 이 표시를 멀리서부터 보는 것만으로도, 해당하는 사출성형기가 가동 중이며, 현재 15764 샷 째의 성형을 행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샷이 완료될 때마다 표시의 샷 수는 늘어난다.
도 3(c)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생산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정보가 문자정보에 의하여 표시장치(30)에 나타나 있다. 조작자는 이 표시를 멀리서부터 보는 것만으로도, 해당하는 사출성형기의 가동이 종료되어, 생산이 완료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d)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생산 진척도가 막대 그래프와 같은 그래픽정보에 의하여 표시장치(30)에 나타나 있다. 조작자는 이 표시를 멀리서부터 보는 것만으로도, 해당하는 사출성형기의 가동 예정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예정 생산 수의 55%가 이미 종료되어 있어, 나머지 생산 예정이 45%인 것을, 멀리서부터 순시(瞬時)에 인식할 수 있다. 이 가동 예정의 표시는, 소정 시간에 대응하여, 예컨대 1시간마다 표시하거나, 혹은 정오 및 오후 5시의 시점에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예는, 표시장치(30)에 표시하는 정보내용의 일부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문자정보나 그래픽정보를 표시하여, 멀리 있는 조작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표시장치(30)는 멀리 있는 조작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통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있어, 이를 위하여서는 표시하는 문자나 그래픽은 멀리에서도 볼 수 있을만한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표시장치(20)의 설정화면에서 보통 표시하는 문자나 그래픽보다 큰 것으로 하고, 문자라면 50 폰트 이상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문자정보로 표시장치(30)에 한번에 전부 표시할 수 없을 경우는, 문자를 가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긴 문장을 표시할 수도 있다. 혹은, 하나의 문장을 여러 번으로 나누어서 표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문자나 그래픽을 색 구분함으로써, 통지하는 정보를 부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적색 문자의 표시인 경우는, 고장 등으로 긴급히 대응할 필요가 있는 것을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적색이 긴급을 나타내고, 문자에 의하여 그 내용을 표시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색을 바꿈으로써 긴급도의 레벨을 통지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를 점멸함으로써 긴급도 등을 통지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장치(30)에 표시하는 내용은 하나뿐만 아니라, 정기적으로, 예컨대 3초마다, 다른 정보를 표시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측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구성부품과 동등한 부품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출성형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표시장치(30)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무선통신으로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출성형기에는 무선 송신기(40)가 장착되고, 제2 표시장치(30)에는 무선 수신기(42)가 장착된다.
제어부(22)의 제2 데이터 변환부(28)에서 데이터 변환된 표시 데이터는, 무 선 송신기(40)에 보내어진다. 무선 송신기(40)는, 보내어져 온 표시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한다. 송신영역 내에 설치된 제2 표시장치(30)는, 무선 수신기(42)로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표시장치(30)는 무선신호를 표시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표시장치(30)는 성형공장의 천장에 장착되어 있어, 표시장치(30)의 표시를 멀리에서도 잘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만, 표시장치(30)의 장착장소는 천장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 송신기의 송신영역 내라면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표시장치(30)는, 제1 표시장치(20)가 설치된 사출성형기의 본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제2 표시장치(30)를 멀리에서도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표시장치(30)에 무선으로 데이터 송신함으로써, 표시장치(30)의 장착장소의 자유도가 늘어나, 제2 표시장치(30)를 사출성형기의 주위에서, 가장 시인성이 좋은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장치(30)에 표시시키는 내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내용과 같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 개량예가 이루어질 것이다.
본 출원은 2005년 08월 12일 출원한 우선권 주장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5-234854호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모든 내용은 여기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성형조건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사출성형기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9)

  1. 성형조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장치와,
    이 제1 표시장치로부터 분리하여 설치되어, 문자정보 또는 그래픽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상기 제2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욱 가지고,
    이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정보를 데이터 변환하는 제1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제2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정보를 데이터 변환하는 제2 데이터 변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사출성형기의 본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제1 표시장치와는 다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제1 표시장치의 설정화면에서의 표시에 이용되는 문자 사이즈보다 큰 문자 사이즈에 의한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제1 표시장치의 표시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향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제1 표시장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생산상황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소정 시간에 대응하여 가동 예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KR1020087003374A 2005-08-12 2006-08-10 사출성형기 KR200800370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4854A JP2007045126A (ja) 2005-08-12 2005-08-12 射出成形機
JPJP-P-2005-00234854 2005-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017A true KR20080037017A (ko) 2008-04-29

Family

ID=3775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374A KR20080037017A (ko) 2005-08-12 2006-08-10 사출성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092700A1 (ko)
JP (1) JP2007045126A (ko)
KR (1) KR20080037017A (ko)
CN (1) CN101237981A (ko)
DE (1) DE112006002155T5 (ko)
TW (1) TW200726621A (ko)
WO (1) WO2007020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1661B2 (ja) * 2013-06-10 2015-10-07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射出成形機
JP6068387B2 (ja) * 2014-04-10 2017-01-2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昇降式信号灯を備えた射出成形機
JP2017024381A (ja) * 2015-07-28 2017-02-02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成形機
JP6305963B2 (ja) * 2015-08-17 2018-04-04 株式会社ソディック 射出成形機支援システムおよび射出成形機支援方法
JP6412055B2 (ja) * 2016-05-18 2018-10-2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管理システム
JP6580280B1 (ja) * 2019-02-07 2019-09-25 東芝機械株式会社 成形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0916A (ja) * 1990-03-20 1991-12-03 Sumitomo Heavy Ind Ltd 成形機の制御パネル
US6275741B1 (en) * 1998-10-05 2001-08-14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ntegrated control platform for injection molding system
JP3967655B2 (ja) 2001-10-26 2007-08-2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表示装置及び射出成形機
DE10228250B4 (de) * 2002-06-25 2004-05-19 Demag Ergotech Gmbh Spritzgießmaschine mit drahtlos vernetzten elektrischen Komponenten
JP3905020B2 (ja) * 2002-11-07 2007-04-18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成形機の成形情報表示方法および成形情報管理システム
JP4119380B2 (ja) 2004-02-19 2008-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92700A1 (en) 2009-04-09
DE112006002155T5 (de) 2008-10-16
WO2007020875A1 (ja) 2007-02-22
TW200726621A (en) 2007-07-16
CN101237981A (zh) 2008-08-06
JP2007045126A (ja)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7017A (ko) 사출성형기
JP6211808B2 (ja) 基板生産支援システム
CN101263541B (zh) 用于工业自动化设备的显示系统
US10802693B2 (en) Operating system for a container handling machine, an operating device and a separate additional screen
US6899273B2 (en) Optical reader comprising soft key including permanent graphic indicia
US7605558B2 (en) Robot system
AU20032100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electronic label displays
WO2008106321A1 (en) Detector/module integrated emergency signs
US7965204B2 (en) Portable radio remote control transmitter
US20080136622A1 (en) Wireless Signal Light System Based on Wireless Network and Portable Signal Light
JP2016208214A (ja) 搬送設備の現場操作システム及び現場操作方法
JP4606865B2 (ja) メンテナンス報知方法
JP6982988B2 (ja) バルブアセンブリ
CN101473365A (zh) 用于工业设备的显示系统
KR101759079B1 (ko) Nfc 통신을 이용하는 버스용 양면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KR200315827Y1 (ko)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CN111190400B (zh) 一种基于文字图形广播的生产线交互系统
CN114342339B (zh) 操作装置、具有操作装置的网络装置及操作装置的无线电连接保护方法
EP4246253A1 (en) Logistics conveyer roller control system with onboard setting functions
KR20150003158U (ko) 공기압축장치에 일체로 설치되는 작동상태표시기
CN113095541A (zh) 运行状态显示设备
JPH07160311A (ja) 操作表示器の重ね合わせ表示装置
JP4880960B2 (ja) エレベータのスイッチ装置
KR20150003500A (ko) 터치를 이용한 엘이디 전광판
KR200257309Y1 (ko) 전광판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