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827Y1 -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827Y1
KR200315827Y1 KR20-2003-0006463U KR20030006463U KR200315827Y1 KR 200315827 Y1 KR200315827 Y1 KR 200315827Y1 KR 20030006463 U KR20030006463 U KR 20030006463U KR 200315827 Y1 KR200315827 Y1 KR 200315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emergency
data
self
guid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수
Original Assignee
이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수 filed Critical 이태수
Priority to KR20-2003-0006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8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황실 내의 운영 컴퓨터와 접수대 전화기 등이 주교환기를 통해 터널 내의 각 긴급전화와 통신선로로 개통되어 상호간의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된 긴급전화용 안내장치에 있어서,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LED 모듈을 구비한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가 긴급전화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접속되고, 상황실 내의 자가진단장치는 원거리에 있는 긴급전화와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와 같은 시설을 자가진단하고 운영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긴급전화의 호출을 통해 그 결과를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운영 컴퓨터는 자가진단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자기진단장치 및 운영 컴퓨터와 긴급전화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선로가 개통되도록 주교환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긴급전화의 안내 및 상태, 터널의 내부안내 및 긴급상황 발생시 터널의 탈출경로 및 방법 등을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The information apparatus for emergency telephone}
본 고안은 터널이나 기타 시설 등에 설치된 긴급전화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황실 내의 운영 컴퓨터 또는 긴급전화를 통한 지령에 따라 긴급전화와 같은 위치에 있는 LED 모듈을 구동시켜 긴급전화의 안내 및 상태, 터널의 내부안내 및 긴급상황 발생시 터널의 탈출경로 및 방법 등을 문자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터널이나 지하시설 등과 같이 어두운 공간에서 LED 모듈의 구동으로 긴급전화의 위치나 상태 및 기타 내부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긴급전화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뿐더러 화재와 같은 각종 긴급상황 발생시 별도의 조명 없이도 외부로의 탈출로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터널 등과 같은 각종 시설 내의 긴급전화(2)에 연결되어 있는 안내등(1a)을 점등하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안내등(1a)은 긴급전화(2)의 위쪽에 부착되어 있는 형광등을 말하며, 이 긴급전화(2)의 위치를 알리는 문구가 새겨진 아크릴 판이 씌워진 형광등, 즉 안내등(1a)은 형광등을 점등시켜 해당 긴급전화(2)의 위치만을 표시할 뿐 긴급전화(2)가 상황실과는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안내등(1a)의 고장여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터널 등과 같은 각종 시설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모든 안내등을 순찰해야 하므로 안내등을 점검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이로 인하여 긴급전화와 안내등의 고장수리가 바로바로 이루어지지 않아 긴급전화나 안내등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형광등을 이용한 아크릴 판 점등방식의 안내등(1a)은 사용자들이 원거리에서 문구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어 긴급전화(2)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긴급상황 발생으로 터널 등과 같은 시설내부가 캄캄한 상태에서는 외부와의 전화통화를 위한 안내등, 즉 해당 안내등이 긴급전화의 위치만을 표시할 뿐 운전자나 터널 내의 사람들에게 해당 긴급상황에 대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긴급전화와 위치표시등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져 긴급전화의 상태 또는 긴급전화의 위치, 터널 내부상황, 긴급상황 발생시 상황실로부터 전달된 대처요령에 관한 각종 안내메시지 등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각종 문자나 도형을 표현할 수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을 이용하여 긴급전화의 위치나 상태와 터널 내부상황 및 긴급상황 발생시 대처요령을 등을 제공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긴급전화 및 각종 메시지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터널 내부에 있는 긴급전화용 안내장치의 고장여부를 원거리에 있는 상황실에서 자가 진단결과를 토대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긴급전화 안내등의 점등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서 긴급전화와 같은 위치에 설치된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 긴급전화 안내등 1b :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
2 : 긴급전화 3 : 주교환기
4 : 자가 진단장치 5 : 통화정보 전송장치
6 : 접수대 전화기 7 : 운영 컴퓨터
11 : 마이크로 프로세서 12 : 전원 공급회로부
13 : 프로세서 주변회로부 14 : 데이터 송수신회로부
16 : 데이터 저장회로부 17 : 데이터 변환회로부
18 : 데이터 전송회로부 19 : LED 구동회로부
20 : LED 모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는, 상황실 내의 운영 컴퓨터와 접수대 전화기 등이 주교환기를 통해 터널 내의 각 긴급전화와 통신선로로 개통되어 상호간의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된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에 있어서,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LED 모듈을 구비한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가 긴급전화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접속되고, 상황실 내의 자가진단장치는 원거리에 있는 긴급전화와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와 같은 시설을 자가진단하고 운영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긴급전화의 호출을 통해 그 결과를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운영 컴퓨터는 자가진단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자가진단장치 및 운영 컴퓨터와 긴급전화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선로가 개통되도록 주교환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는, 상기 긴급전화를 통해 운영 컴퓨터 및 자가진단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회로부와, 상기 자가진단장치 또는 운영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데이터 저장회로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회로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LED 모듈 구동을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회로부 및 상기 데이터 변환회로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회로부를 통해 전송받아 LED 모듈을 구동시키는 LED 구동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영 컴퓨터는 상기 자가진단장치 및 기타 센서의 입력에 의해 긴급상황 발생시, 주교환기를 구동시켜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를 구비한 긴급전화와의 통신선로를 개통하고 해당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긴급전화를 통해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서, 본 고안은 종래의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상황실 내의 운영 컴퓨터(7)와 접수대 전화기(6)가 주교환기(3)를 통해 터널 내의 각 긴급전화(2)와 통신선로로 개통되어 상호간의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터널내의 긴급전화(2)에는 긴급전화의 위치 등의 안내 및 고장여부 등과 같은 상태, 터널의 내부안내 및 긴급상황 발생시 터널의 탈출경로 및 방법 등이나 각종 홍보문안 등을 각종 문자나 도형 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LED 모듈(20)을 구비한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고, 상황실 내의 자가진단장치(5)는 원거리에 있는 긴급전화(2)와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 등과 같은 시설을 자가진단하고 운영 컴퓨터(7)의 제어에 따라 긴급전화(2)의 호출을 통해 그 결과를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로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운영 컴퓨터(7)는 자가진단장치(5)의 구동을 제어하고 자기진단장치(5) 및 운영 컴퓨터(7)와 긴급전화(2)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선로가 개통되도록 주교환기(3)의 구동을 제어하고, 자가진단장치(5) 및 기타 센서의 입력에 의해 화재나 안전사고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주교환기(3)를 구동시켜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를 구비한 긴급전화(2)와의 통신선로를 개통하고 해당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 즉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긴급전화(2)를 통해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물론, 상황실 근무자가 접수대 전화기(6)를 들어 주교환기(3)를 통해 각종 시설 내에 위치한 긴급전화(2)를 호출하여 해당 긴급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필요한 대처요령을 통보할 수 있다. 특히, 상황실 근무자는 해당 사고지역을 방문하지 않고도 긴급전화를 통해 해당 사고지역의 사고상황을 파악할 수도 있다.
도3은 터널 내의 긴급전화(2)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는 긴급전화(2)를 통해 운영 컴퓨터(7) 및 자가진단장치(5)와 데이터 통신을 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회로부(14)와, 자가진단장치(5) 또는 운영 컴퓨터(7)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마이크로 프로세서(11)로 제공하는 데이터 저장회로부(16)와, 이 데이터 저장회로부(16)에 저장된 데이터를 LED 모듈(20) 구동을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회로부(17)와, 이 데이터 변환회로부(17)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회로부(18)를 통해 전송받아 LED 모듈(20)을 구동시키는 LED 구동회로부(19)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4는 상황실과 긴급전화와의 통화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통화정보 전송장치이고, 6은 주교환기(3)를 통해 외부 혹은 긴급전화(2)와의 전화통화를 위한 접수대 전화기이며, 1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와 LED 구동회로부(19)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회로부이며, 13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주변회로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작동예를 설명한다.
우선, 터널 내에 설치된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와 상황실과 통신선로로 연결된 긴급전화(2)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면서 긴급전화의 안내 및 상태, 터널의 내부안내 및 긴급상황 발생시 터널의 탈출경로 및 방법 등에 대한 메시지가 LED 모듈(20)을 통해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상시에는 긴급전화(2)와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 사이에 교신을 하여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의 고장여부를 파악하여, 상황실의 운영 컴퓨터(7)로부터 예약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 진단기능을 실행하면, 자가진단장치(5)를 통하여 주교환기(3)를 거쳐 해당 긴급전화(2)를 호출하여 긴급전화(2)의 상태와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의 상태를 운영 컴퓨터(7)로 보고되어 결과를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1b)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황실 내의 운영 컴퓨터(7) 또는 긴급전화(2)를 통해 전송되는 문안(메시지) 데이터는 데이터 송수신회로부(14)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제어로 데이터 저장회로부(16)로 전달하여 저장된다. 이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명령에 의해 데이터 저장회로부(16)에 저장된 데이터가 읽혀진 후 데이터 변환회로부(17)로 전달되어 직렬 데이터, 즉 LED 모듈(20)을 구동시킬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된 후 데이터 전송회로부(18)를 통해 LED 구동회로부(19)로 전달됨으로써 LED 모듈(20)에해당 문자가 표시된다.
물론, 터널이나 기타 긴급전화 등이 설치된 공간에서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 상황실의 운영 컴퓨터(7)나 접수대 전화기(6)에 의해 LED 모듈(20)이 자동 혹은 수동으로 작동되어 긴급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터널 내의 운전자나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경로를 통해 해당 메시지가 LED 모듈(20)까지 전달된다. 이에 따라 긴급전화가 설치된 공간에 있는 운전자나 사람들은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해당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긴급전화와 위치표시등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져 긴급전화의 상태 또는 긴급전화의 위치, 터널 내부상황, 긴급상황 발생시 상황실로부터 전달된 대처요령에 관한 각종 안내메시지 등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을 이용하여 긴급전화의 위치나 상태와 터널 내부상황 및 긴급상황 발생시 대처요령을 등을 표시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긴급전화 및 각종 메시지의 식별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터널 내부에 있는 긴급전화용 안내장치의 고장여부를 원거리에 있는 상황실에서 자가 진단결과를 토대로 확인할 수 있어, 긴급전화용 안내장치 등과 같은 터널 내부의 시설에 대한 고장유무가 수시로 보고되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상황실 내의 운영 컴퓨터와 접수대 전화기 등이 주교환기를 통해 터널 내의 각 긴급전화와 통신선로로 개통되어 상호간의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된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에 있어서,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LED 모듈을 구비한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가 긴급전화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접속되고;
    상황실 내의 자가진단장치는 원거리에 있는 긴급전화와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와 같은 시설을 자가진단하고 운영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긴급전화의 호출을 통해 그 결과를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운영 컴퓨터는 자가진단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자기진단장치 및 운영 컴퓨터와 긴급전화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선로가 개통되도록 주교환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는, 상기 긴급전화를 통해 운영 컴퓨터 및 자가진단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회로부;
    상기 자가진단장치 또는 운영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데이터 저장회로부;
    상기 데이터 저장회로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LED 모듈 구동을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데이터 변환회로부; 및
    상기 데이터 변환회로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회로부를 통해 전송받아 LED 모듈을 구동시키는 LED 구동회로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컴퓨터는, 상기 자가진단장치 및 기타 센서의 입력에 의해 긴급상황 발생시, 주교환기를 구동시켜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를 구비한 긴급전화와의 통신선로를 개통하고 해당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긴급전화를 호출하여 긴급전화 안내 표시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KR20-2003-0006463U 2003-03-05 2003-03-05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KR200315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463U KR200315827Y1 (ko) 2003-03-05 2003-03-05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463U KR200315827Y1 (ko) 2003-03-05 2003-03-05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827Y1 true KR200315827Y1 (ko) 2003-06-12

Family

ID=4940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463U KR200315827Y1 (ko) 2003-03-05 2003-03-05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8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67B1 (ko) * 2010-03-03 2011-09-15 이주환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KR101553925B1 (ko) 2014-03-21 2015-09-17 박창용 소화전 통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67B1 (ko) * 2010-03-03 2011-09-15 이주환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KR101553925B1 (ko) 2014-03-21 2015-09-17 박창용 소화전 통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3548B2 (en) Elevator system with wireless hall call buttons
CN101401410B (zh) 个人急救反应系统的安装
JP2008537200A (ja) 救助標識灯を持つ避難システム
KR102248180B1 (ko) 무선 비상벨과 이를 포함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ITTO20120204U1 (it) Apparato di segnalazione di posizione e funzionamento di estintori e sistema antincendio comprendente tale apparato
KR101064167B1 (ko)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KR200315827Y1 (ko)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JP2007041688A (ja) 学校用緊急呼出システム
JP2008137788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00012606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CN101234722A (zh) 电梯的显示系统
CN201984604U (zh) 火灾显示盘
JP4606865B2 (ja) メンテナンス報知方法
KR102249142B1 (ko) 광고라이트를 이용한 비상유도장치
JP6816315B2 (ja) 防災監視設備
KR101543993B1 (ko) 무선형 비상신호 가동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관리 시스템
KR20170004086U (ko)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JP5228802B2 (ja) 強調表示手段を有する電話装置
KR102618715B1 (ko) 지능형 정전시 승강기 조명장치
CN213186565U (zh) 一种调度控制施工车辆的车载终端设备
KR200257309Y1 (ko) 전광판 제어시스템
CN209979576U (zh) 一种气体检测控制系统
JP4799301B2 (ja) 緊急警報システム
JP3093732B2 (ja) 転送電話自動切換装置
CN112833957A (zh) 一种用于应急救援场景中人员状态管理的监测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