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715B1 - 지능형 정전시 승강기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정전시 승강기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715B1
KR102618715B1 KR1020210071958A KR20210071958A KR102618715B1 KR 102618715 B1 KR102618715 B1 KR 102618715B1 KR 1020210071958 A KR1020210071958 A KR 1020210071958A KR 20210071958 A KR20210071958 A KR 20210071958A KR 102618715 B1 KR102618715 B1 KR 102618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unit
emergency
power
power ou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3604A (ko
Inventor
박영진
천성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엔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엔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엔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21007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71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정전 시 승강기 내부의 비상조명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미지 형태의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는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는 승강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 비상전원을 충전하고 있으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승강기 정전신호가 전송되면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 상기 승강기 내부에 구비되는 비상조명부;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비상조명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이미지 형태의 상기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승강기 승객의 음성을 상기 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정전시 승강기 조명장치{INTELLIGENT LIGHTING DEVICE FOR ELEVATOR POWER FAILURE}
본 발명은 승강기에 장착되는 비상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승강기는 운행을 멈추게 되며, 따라서, 승강기 내부에 있는 승객들은 공포에 싸이게 된다.
현재, 승강기 내부에는 승강기 정전과 같은 비상시를 위하여, 관리자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비상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승강기의 정전시, 어두운 승강기 내부에 고립된 승객들은 심리적 불안 등으로 인해 자체 탈출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위험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승강기에는 이를 대비한 특수한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정전 시 승강기 내부의 비상조명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미지 형태의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는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는 승강기에 장착되는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 비상전원을 충전하고 있으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승강기 정전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 상기 승강기 내부에 구비되는 비상조명부;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비상조명부를 구동하는 제어부;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이미지와 음성을 포함하는 상기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승강기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승강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승강기에 정전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상기 승강기 정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 전송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승강기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승강기의 천장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의 이미지를 상기 승강기의 벽면으로 출력하는 빔프로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승강기 승객의 비상호출신호가 입력되는 버튼; 및 상기 승강기 승객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또는 상기 승강기 승객의 음성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조명부는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광을 조사하여 상기 버튼을 비출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기 정전 시, 승강기 내부가 비상조명에 의해 밝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승강기에 고립된 승객이 안정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기 정전 시, 현재의 정전 상황과 관련된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이 승강기의 벽면을 통해 이미지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승객은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20)에 장착된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10), 관리 서버(40) 및 관리자 단말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는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기 위해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50)는 관리 서버(40)와 연결된 유선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상기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와 직접 통화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일 수도 있다.
승강기(20)에는 승강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30)가 장착되어 있다. 전원공급장치(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승강기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17), 비상전원을 충전하고 있으며, 센싱부로부터 승강기 정전신호가 전송되면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16), 승강기 내부에 구비되는 비상조명부(15), 비상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비상조명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2),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저장하는 저장부(13),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이미지 형태의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14),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 및 승강기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통신부로 전송하는 카메라(1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는 승강기 승객의 음성을 상기 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센싱부(17)는 승강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여부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는 전원공급장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원공급장치(30)로부터 승강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이와 동시에,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센싱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므로, 승강기의 정전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다음, 비상전원공급부(16)는 비상전원을 충전하고 있으며, 센싱부로부터 승강기 정전신호가 전송되면 비상전원을 공급한다. 즉,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센싱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센싱부는 승강기 정전신호를 생성하여 비상전원공급부(16)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 비상조명부(15)는 승강기 내부에 구비되어, 승강기 내부로 광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상조명부(15)는 비상전원공급부(16)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에 의해서만 구동될 수도 있으나, 평상시에는 전원공급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승강기 정전 시에는 비상전원공급부(16)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12)는 비상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비상조명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비상조명부 이외에도, 저장부, 출력부, 통신부 및 카메라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저장부(13)는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저장한다.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은 이미지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은 사진과 글자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동영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은 음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 출력부(14)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이미지 형태의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14)는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이 음성을 더 포함하는 경우, 출력부(14)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는 승강기의 천장에 장착되는 빔프로젝터(14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빔프로젝터는 승강기 중 어느 하나의 벽면으로 이미지 형태의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빔프로젝터는 승강기의 벽면에 장착되어 마주보는 벽면으로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도 있다.
다음, 통신부(11)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관리 서버(40)와 통신을 수행하며, 승강기 승객의 음성을 관리 서버(40) 또는 관리자 단말기(50)로 전송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승강기 승객이 작동시킬 수 있는 버튼 및 승강기 승객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카메라(18)는 승강기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통신부로 전송하며,통신부는 영상을 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승강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상조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비상조명부는 통신부를 구성하는 버튼을 비출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승강기의 천장에 구비될 수도 있고, 승강기의 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승강기의 바닥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 비상전원공급부는 승강기 정전 시 5[lx] 이상의 조도로 1시간 동안 비상조명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비상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다음, 승강기 정전 시 승강기 내에 승객이 갇힐 경우, 승객이 통신부를 확인하고 불안감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비상전원의 공급을 통해 승강기 내부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두운 승강기 내부에 승강기 승객이 갇혀있을 경우, 심리적 불안 등으로, 승객이 자체 탈출을 시도할 가능성 및 기타 2차 사고가 유발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법규에서 규정한 5[lx] 이상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고, 현재의 상황을 승객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행동요령을 승강기의 벽면에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승강기의 정전이나 고장시 승객들이 지금보다 더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는 승강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여부를 센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기의 고장여부를 센싱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승강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여부를 센싱하는 센서, 승강기의 도어의 정상 동작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 승강기에 구비된 조명들의 정상 동작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 및 승강기의 승하가 속도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는, 승강기 정전 시, 광을 조사하는 조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이 승강기 정전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객에게 행동 요령을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승강기의 정전 또는 고장 시, 정전 또는 고장의 내용 및 승객이 안전하게 대응하도록 하는 안내를 삽화와 문구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일반적으로 승강기의 정전이나 고장 시, 승강기 내에 다양한 안전장치가 있지만 승강기 내에 갇힌 승객은 답답함과 공포감을 느낄 수 있다. 이로 인해 2차사고 유발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강기의 정전 시에도 최소 1시간 동안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여 줌으로써, 승객이 구출되기 전까지 어둠속에 갇혀있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통약자들은 비상호출 버튼을 눌러야 하는 비상 시에도, 이에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비상 시에, 비상조명과 함께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행동요령을, 만화 또는 사진 또는 글로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불편함을 겪고 있는 승객의 심리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2차사고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가 승강기 정전 여부를 판단하며(S302), 승강기 정전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비상전원공급부가 구동된다(S304).
비상전원공급부가 구동되어 발생된 비상전원에 의해 비상조명부가 구동되며(S306),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형태의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14b)이 승강기 내부에 출력될 수 있다(S308).
이 경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관리자 영상을 출력부의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으로부터 비상연락을 받은 관리자가 관리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통신부로 관리자 영상을 전송한 경우, 제어부는 수신된 관리자 영상을 출력부의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된 관리자 영상은 승강기 벽면에 출력되고, 승객은 관리자 영상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 영상과 함께 수신된 음성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승객은 통신부의 마이크를 통해 관리자에게 자신의 음성을 전송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관리자에게 자신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

Claims (4)

  1. 승강기에 장착되는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
    비상전원을 충전하고 있으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승강기 정전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
    상기 승강기 내부에 구비되는 비상조명부;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비상조명부를 구동하는 제어부;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이미지와 음성을 포함하는 상기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승강기 내부를 촬영한 영상을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승강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승강기에 정전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상기 승강기 정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 전송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승강기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승강기의 천장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기 정전 안내 방송의 이미지를 상기 승강기의 벽면으로 출력하는 빔프로젝터;
    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승강기 승객의 비상호출신호가 입력되는 버튼; 및
    상기 승강기 승객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또는 상기 승강기 승객의 음성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조명부는,
    상기 비상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비상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광을 조사하여 상기 버튼을 비추는 승강기 정전용 지능형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71958A 2021-06-03 2021-06-03 지능형 정전시 승강기 조명장치 KR102618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958A KR102618715B1 (ko) 2021-06-03 2021-06-03 지능형 정전시 승강기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958A KR102618715B1 (ko) 2021-06-03 2021-06-03 지능형 정전시 승강기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604A KR20220163604A (ko) 2022-12-12
KR102618715B1 true KR102618715B1 (ko) 2023-12-29

Family

ID=8439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958A KR102618715B1 (ko) 2021-06-03 2021-06-03 지능형 정전시 승강기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7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285A (ja) * 2007-12-28 2009-07-2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8962A (ko) * 2015-12-29 2017-07-10 (주)엘케이시스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1285A (ja) * 2007-12-28 2009-07-2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604A (ko) 202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206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2462783B1 (en) Light guid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72488B1 (ko) 피난 유도 알리미 장치 및 시스템
KR100836564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조광장치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48180B1 (ko) 무선 비상벨과 이를 포함한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JP2011126613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CN103523620A (zh) 电梯用显示装置
CN104192657A (zh) 电梯中乘客被困远程救援通信装置
JP2014028696A (ja) エレベータ用表示装置
KR102618715B1 (ko) 지능형 정전시 승강기 조명장치
KR101895213B1 (ko) 태양광 무선비상 호출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317654B1 (ko) 비상구 유도등
KR102249142B1 (ko) 광고라이트를 이용한 비상유도장치
CN113825715A (zh) 电梯系统以及电梯的改造方法
KR101616778B1 (ko) 조명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004745A (ko)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JP2007174147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CN210260788U (zh) 一种电梯轿厢困人后值班室无应答时的自动外界求援装置
KR200260322Y1 (ko) 비상작동모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8962A (ko)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004086U (ko)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KR101850694B1 (ko)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JP200127855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200081182A (ko) 승강기 비상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