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962A -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962A
KR20170078962A KR1020150188747A KR20150188747A KR20170078962A KR 20170078962 A KR20170078962 A KR 20170078962A KR 1020150188747 A KR1020150188747 A KR 1020150188747A KR 20150188747 A KR20150188747 A KR 20150188747A KR 20170078962 A KR20170078962 A KR 20170078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levator
power
camera
inte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재
이기일
이길재
김동완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주)엘케이시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케이시스코 filed Critical (주)엘케이시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8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8962A/ko
Publication of KR2017007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 조명에 관련된 장치와 카메라에 관련된 장치를 일체형의 구조인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에 비상 조명 및 카메라에 관련된 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일체형으로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 사용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을 이용하여 관리실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 통화 실패시, 인터넷을 통하여 사전 등록된 외부 전화로 자동 연결하는 비상통화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SYSTEM FOR SECURELY MANAGING EMERGENCY SITUATION IN THE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 조명에 관련된 장치와 카메라에 관련된 장치를 일체형의 구조인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에 비상 조명 및 카메라에 관련된 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엘리베이터 내에 있는 사람과 관리실 내의 관리인 사이에 음성 통화가 가능하고, 엘리베이터 내의 촬영 영상이 관리실 내로 전송되어 관리인이 상황 파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엘리베이터(10) 내에 배치되는 비상전원(11), 비상조명(13), 카메라(15) 및 인터폰(17), 관리실(30)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31),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 및 비상통화장치(70), 그리고 상기 비상통화장치(70)와 연결되는 사전 등록된 외부전화(9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배치되는 비상전원(11) 및 비상조명(13)은 엘리베이터 내로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정상 전원 공급시에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조명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엘리베이터(10)는 상용전원, 즉 일반적인 전원인 220V를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정상 전원 공급시, 상기 비상전원(11)은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비상 조명(13)은 비상 상황, 즉 전원 단전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발광하지 않는 상태, 즉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
그런데, 만약 상기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즉 전원 단전시 상기 비상 전원(11)은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즉 상기 비상 조명(13)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비상 조명(13)이 발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15)는 엘리베이터(10) 내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엘리베이터(10) 내의 상황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관리실(30) 내에 배치되는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관리실(30) 내의 관리인은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카메라(15)는 상기 엘리베이터(10) 내로 공급되는 정상 전원에 의해서만 동작한다. 즉 상기 카메라(15)는 비상 사태, 예를 들어 전원 단전시에는 정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동작 불능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카메라(15)는 전원 단전시에 동작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영상이 상기 관리실(30) 내의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로 전송되지 못한다.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17)은 상기 관리실(3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31)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내의 탑승자와 관리실(30) 내의 관리인은 상기 인터폰을 이용하여 서로 통화를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10) 내의 탑승자는 비상 사태 등의 상황을 상기 관리인에게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관리인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17) 역시 비상상황, 전원 단전시에도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구성요소들은 상기 관리실(30) 내의 구성요소들과 연결되어 음성 및 영상을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실(30) 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폰(31),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 및 비상통화장치(70)가 배치된다.
상기 관리실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31)은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17)과 연결되어 탑승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는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카메라(15)라로부터 엘리베이터(10) 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관리인은 엘리베이터 내의 상황을 음성 및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인터폰(17)을 이용하여 탑승자가 상기 관리실(3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31)에 통화 연결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한 경우에 사전에 등록된 외부 전화(90)로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17)을 연결한다.
즉,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엘리베이터에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으나,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에 의한 호출이 관리실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을 엘리베이터 유지보수 업체, 119 콜센터 등에 설치되는 외부 전화(90)에 연결시켜주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외부 전화(90)는 PSTN으로 연결되는 유선전화(91)와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전화(93)가 해당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긴급 상황 발생시 인터폰을 통하여 상황 대처를 수행할 수 있고, 영상을 통하여 상황 파악을 정확히 할 수 있으며, 관리실 또는 경비실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사전에 등록된 외부 전화에 연결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황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기존의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비상전원(11), 비상조명(13) 및 카메라(15)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비상전원(11), 비상조명(13) 및 카메라(15)를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간, 노력 및 비용 및 시간이 필요 이상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카메라(13)는 정상 전원 공급시에만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전원 단전시에는 동작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전원 단전시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이 상기 관리실(30) 또는 경비실 내의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로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전원 단전시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상황을 영상으로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하고 신속한 상황 대처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영상은 이용하지 못하고 단지 음성만을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의 사용자가 외부 전화와 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119 콜 센터 등에서 엘리베이터 내의 정확한 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5829호(2011. 03. 30. 공고, 발명의 명칭 : 투광등 일체형 돔 카메라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비상 조명에 관련된 장치와 카메라에 관련된 장치를 일체형의 구조인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로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내에 비상 조명 및 카메라에 관련된 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적인 전원 공급시 전원을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전원이 전원 단전시에 비상 조명 장치 및 돔 카메라에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원 단전시에도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승객의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되는 사건 및 사고에 대하여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의 인터폰과 관리실 내의 인터폰의 연결이 실패된 경우, 관리실 내의 비상통화장치가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인터폰과 사전에 등록된 외부 전화를 자동 연결하고, 음성 정보와 영상 정보를 믹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유지 보수 업체 또는 119 콜 센터 등이 음성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내의 정확한 상황판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황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차단시에도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관리실 내로 전송되고, 비상통화장치가 상기 영상과 인터폰을 통한 음성을 믹싱하여 외부 전화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관리실, 엘리베이터 보수 업체 및 119 콜 센터에서 좀 더 정확한 상황 파악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일체형으로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 사용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을 이용하여 관리실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 통화 실패시, 인터넷을 통하여 사전 등록된 외부 전화로 자동 연결하는 비상통화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 천정에 부착되어 정상 전원 공급시 전원을 충전하고 전원 단전시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블록, 상기 비상전원블록 하부면에 부착되되, 하방향으로 갈수록 내부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외부 경사면에 전원 단전시에도 상기 비상전원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복수의 LED가 배치 형성되는 비상조명블록 및 상기 비상조명블록 하부면에 부착되되, 전원 단전시에만 상기 비상전원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상기 관리실 내에 설치되는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돔 카메라를 내부 공간에 구비하는 카메라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통화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 상기 관리실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의 통화 연결이 실패인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 상기 사전 등록된 외부 전화를 자동 연결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와 상기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믹싱하여 상기 외부 전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 조명에 관련된 장치와 카메라에 관련된 장치를 일체형의 구조인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로 구성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내에 비상 조명 및 카메라에 관련된 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적인 전원 공급시 전원을 충전하고, 이 충전된 전원이 전원 단전시에 비상 조명 장치 및 돔 카메라에 공급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전원 단전시에도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승객의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되는 사건 및 사고에 대하여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의 인터폰과 관리실 내의 인터폰의 연결이 실패된 경우, 관리실 내의 비상통화장치가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인터폰과 사전에 등록된 외부 전화를 자동 연결하고, 음성 정보와 영상 정보를 믹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유지 보수 업체 또는 119 콜 센터 등이 음성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내의 정확한 상황판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황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차단시에도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관리실 내로 전송되고, 비상통화장치가 상기 영상과 인터폰을 통한 음성을 믹싱하여 외부 전화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관리실, 엘리베이터 보수 업체 및 119 콜 센터에서 좀 더 정확한 상황 파악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 대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의 동작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스위치 동작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10) 내에 설치되는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 및 관리실(30)에 설치되는 비상통화장치(70)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엘리베이터(10) 내에 배치되는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 인터폰(17), 관리실(30)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31),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 및 비상통화장치(70), 그리고 상기 비상통화장치(70)와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외부 전화(9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17)은 상기 관리실(30)에 설치 배치되는 비상통화장치(70)의 중계를 통하여 상기 관리실(30) 내에 설치 배치되는 인터폰(31)과 연결되어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탑승자가 인터폰(17)을 이용하여 호출하면, 호출 신호가 상기 비상통화장치(70)로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상기 관리실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31)을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17)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사용자(탑승자)와 상기 관리실(30)의 관리인이 인터폰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관리실 내에 설치 배치되는 인터폰(31)이 고장나거나 또는 관리인이 부재중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17)을 관리실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31)에 연결할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상기 사용자가 호출한 엘리베이터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17)을 사전에 등록된 전화 번호를 가지는 외부 전화(90)로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즉 탑승자에게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인터폰(17)과 외부 전화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탑승자에 대한 비상 상황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정리하면,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17)을 이용하여 관리실(3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31)과 통화 실패시,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사전 등록된 외부 전화(90)로 자동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에서 전송되는 음성뿐만 아니라 영상 정보 역시 상기 외부 전화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17)과 별개로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는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는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설치되되,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는 비상 조명 기능과 카메라 기능이 하나의 구조물 내에서 처리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체에 해당된다.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비상 조명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비상 전원, 비상조명 및 카메라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기존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구조물인 일체형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 내에 상기 기능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내의 설치 그리고 관리,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을 기존 대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일체형의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전원블록(51), 비상조명블록(53) 및 카메라 블록(55)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서로 조립 또는 다양한 연결 방법에 의하여 결합된 하나의 일체형 구조를 가진다.
상기 비상전원블록(51)은 상기 엘리베이터(10) 내 천정에 부착되어 정상 전원 공급시 전원을 충전하고 전원 단전시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비상전원블록(51)은 정상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비상시 이용하기 위한 전원을 충전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비상시 즉 전원 단전시에는 상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비상전원블록(51)은 구조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천정에 결합되고 내부에 다양한 필요 부품을 실장 또는 내장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전원블록(51)의 하부면에는 상기 비상조명블록(53)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비상조명블록(5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전원블록(51) 하부면에 부착되되, 하방향으로 갈수록 내부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외부 경사면(53a)에 전원 단전시에도 상기 비상전원블록(5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복수의 LED(53b)가 배치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비상조명블록(53)은 상기 비상전원블록(51)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하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되, 외부 경사면(53a)에 설치되는 LED(53b)가 하측 경사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갈수록 내부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는 엘리베이터(10) 내의 천정 모서리 부분 구석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LED(53b)는 하측 경사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LED(53b)가 장착되는 상기 비상조명블록(53)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내부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상조명블록(53)의 외부 경사면(53a)에 배치 형성되는 상기 LED(53b)는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에 정상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발광하지 않는다. 즉, 상기 LED(53b)는 전원 단전시에만 상기 비상전원블록(5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 및 구성을 가지는 비상조명블록(53)의 하부면에는 상기 카메라 블록(55)이 부착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블록(55)은 상기 비상조명블록(53) 하부면에 부착되되, 전원 단전시에도 상기 비상전원블록(5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상기 관리실(30) 내에 설치되는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돔 카메라(55a)를 내부 공간에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블록(55)은 돔 구조를 가지고, 상기 돔 카메라(55a)를 내부에 장착하며, 상기 돔 카메라(55a)가 하측 경사 방향으로 영상을 획득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카메라 블록(55) 내에 배치되는 상기 돔 카메라(55a)는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로 정상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당연히 정상 동작을 수행하고, 더 나아가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로 정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즉 전원 단전시에도 상기 비상전원블록(5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카메라 블록(55) 내에 배치되는 상기 돔 카메라(55a)는 정상 전원 공급시뿐만 아니라 전원 단전시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전원 단전시에 상기 비상조명블록(53)의 LED(53b)가 동작하여 발광하기 때문에, 비상 상황 발생에 무관하게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영상을 상기 관리실(30) 내에 설치 배치되는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로 전송할 수 있다. 결국, 상기 관리실(30)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서 LED(53b)가 발광함과 동시에 돔 카메라(55a)가 동작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는 정상 전원 공급시에는 비상 조명, 즉 비상조명블록(53)의 LED(53b)가 동작하지 않고, 카메라 블록(55)의 돔 카메라(55a)만이 동작하도록 한다. 이 경우 밤에는 상기 비상조명블록과 별개로 일반 조명등이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돔 카메라에 의한 영상 획득은 당연히 가능하다.
한편,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는 정상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즉 전원 차단시에는 상기 비상조명블록(53)의 LED(53b)와 상기 카메라 블록(55)의 돔 카메라(55a) 모두 동작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저녁에 전원 차단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비상조명블록(53)의 LED(53b)에 의하여 발광이 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블록(55)의 돔 카메라(55a)가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는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는 비상전원블록(51) 내에 충전 회로부(51a), 배터리(51b) 및 전원 감지부(51c)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감지부(51c)의 동작에 따라 상기 비상조명블록(53)에 배치되는 LED(53b)가 발광 또는 소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카메라 블록(55)에 배치되는 돔 카메라(55a)의 지속적인 동작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로 전원 공급 라인을 통하여 정상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원 감지부(51c)는 정상 전원 공급 상태를 인지한다. 이때, 상기 전원 감지부(51c)는 상기 전원공급라인(el)이 단지 상기 돔 카메라(5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51b)가 상기 비상조명블록(53)에 배치되는 LED(53b)와 상기 카메라 블록(55)에 배치되는 돔 카메라(55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정상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감지부(51c)는 전원공급라인(디이 상기 카메라 블록(55)에 배치되는 돔 카메라(55a)에만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된다(파란색 실선). 상기 정상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전원 감지부의 스위칭 동작 상태는 ①의 상태(실선의 파란색 및 빨간색에 의한 스위칭 동작 상태)이다. 따라서, 정상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배터리(51b)는 상기 비상조명블록(53)에 배치되는 LED(53b)와 상기 카메라 블록(55)에 배치되는 돔 카메라(55a)에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단지 전원공급라인(el)만이 상기 카메라 블록(55)에 배치되는 돔 카메라(55a)에만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정상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정상 전원, 즉 220V 전압은 상기 비상전원블록(51) 내에 배치되는 충전회로부(51a)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충전회로부(51a)는 상기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배터리(51b)에 충전될 수 있는 전원이 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51b)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변환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정상 전원이 공급시에 지속적으로 충전한다.
다만, 상기 정상 전원이 공급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감지부(51c)의 동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51b)가 상기 돔 카메라 및 LED와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는 충전된 상태이더라도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정상 전원 공급 상태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 전원 단전시에 상기 전원 감지부(51c)는 전원 단전 상태를 감지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상태가 빨간색 및 파란색 점선이 되도록 동작시킨다. 즉 전원 단전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이 파란색 및 빨간색 점선 상태 즉, ②의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원 감지부(51c)가 동작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원공급라인(el)은 상기 돔 카메라 및 LED와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배터리(51b)가 상기 돔 카메라 및 LED 모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은 상기 돔 카메라 및 LED에 모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 차단시에도 상기 돔 카메라가 동작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상기 관리실(30) 내의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에 전송될 수 있고, 컴컴한 밤에 전원 단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LED가 동작되어 발광된 상태에서 상기 돔 카메라가 동작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정상적인 영상이 획득되어 상기 관리실(30) 내의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10) 내의 영상은 전원 단전시에도 지속적으로 상기 관리실(30) 내의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실(30) 내의 관리인은 전원 단전시를 포함하여 항상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실(30) 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폰(31),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 및 비상통화장치(7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실(30)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특히 전원 단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에 의하여 영상으로 엘리베이터 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인터폰(31)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내의 사용자, 즉 탑승자와 음성 통화를 통하여 상황 파악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관리실 내에 설치 배치되는 인터폰(31)이 고장나거나 관리인이 부재중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인터폰(17)과 상기 관리실 내의 인터폰(31)을 연결할 수 없게된다.
이 때,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비상통화장치(70)에는 인터폰 연결이 실패된 경우에, 추가적으로 엘리베이터 관리 업체, 119 콜 센터 등에 연결될 수 있도록, 이들의 외부 전화 번호를 사전에 등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의 인터폰(17)의 호출에 상기 관리실(30)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31)이 응하지 않는 경우, 즉 상호 연결이 실패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사전에 등록된 외부 전화(90)를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인터폰(17)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 배치되는 인터폰(17)과 상기 외부 전화(90)를 연결한 후, 단지 이들간의 음성 정보만을 상기 외부 전화(9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정보, 즉 상기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가 상기 비상조명 및 카메라 장치(5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 정보를 함께 상기 외부 전화(90)로 전송한다.
정리하면,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17)과 상기 관리실(3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31)과의 통화 연결이 실패인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17)과 상기 사전 등록된 외부 전화(90)를 자동 연결하고, 상기 엘리베이터(10)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17)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와 상기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33)로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믹싱하여 상기 외부 전화(90)로 전송한다.
결국, 상기 외부 전화(90)는 상기 비상통화장치(70)로부터 음성 정보뿐만 아니라 영상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엘리베이터 내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한 비상 상황에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상기 외부 전화(90) 중 유선 전화(91)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상기 유선 전화(91), 즉 인터넷 전화에게 음성 및 영상을 전송할 수 있고, 결국 엘리베이터 보수 또는 관리업체, 119 콜 센터에서는 상기 음성 및 영상 정보를 디먹싱하여 유선전화를 통하여 음성을 청취할 수 있고,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비상통화장치(70)는 외부 전화에 해당하는 이동 전화(93)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상 통화장치에서 전송되는 상기 음성 및 영상은 상기 스마트폰 등의 이동 전화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내에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 전원 단전시, 특히 야간에 전원 단전시에도 엘리베이터 내의 영상이 관리실로 전송될 수 있고, 관리실에서 호출에 대한 대응이 없는 경우 상기 음성 및 영상이 외부 전화로 자동 전송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조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엘리베이터 11 : 비상전원
13 : 비상조명 15 : 카메라
17 : 엘리베이터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 30 : 관리실
31 : 관리실 내에 배치되는 인터폰 33 :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
50 :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 51 : 비상전원블록
51a : 충전 회로부 51b : 배터리
51c : 전원 감지부 53 : 비상조명블록
53a : 외부 경사면 53b : LED
55 : 카메라 블록 55a : 돔 카메라
70 : 비상통화장치 90 : 외부 전화
91 : 유선 전화 93 : 이동 전화
100 :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Claims (3)

  1. 일체형으로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
    사용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을 이용하여 관리실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 통화 실패시, 인터넷을 통하여 사전 등록된 외부 전화로 자동 연결하는 비상통화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 조명 및 카메라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 천정에 부착되어 정상 전원 공급시 전원을 충전하고 전원 단전시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블록, 상기 비상전원블록 하부면에 부착되되, 하방향으로 갈수록 내부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외부 경사면에 전원 단전시에만 상기 비상전원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복수의 LED가 배치 형성되는 비상조명블록 및 상기 비상조명블록 하부면에 부착되되, 전원 단전시에도 상기 비상전원블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상기 관리실 내에 설치되는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돔 카메라를 내부 공간에 구비하는 카메라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상통화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 상기 관리실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의 통화 연결이 실패인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 상기 사전 등록된 외부 전화를 자동 연결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와 상기 영상 입력 및 표시 장치로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믹싱하여 상기 외부 전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150188747A 2015-12-29 2015-12-29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70078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747A KR20170078962A (ko) 2015-12-29 2015-12-29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747A KR20170078962A (ko) 2015-12-29 2015-12-29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962A true KR20170078962A (ko) 2017-07-10

Family

ID=59356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747A KR20170078962A (ko) 2015-12-29 2015-12-29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89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660B1 (ko) * 2019-07-03 2020-12-28 정홍구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KR20220163604A (ko) * 2021-06-03 2022-12-12 고영준 지능형 정전시 승강기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660B1 (ko) * 2019-07-03 2020-12-28 정홍구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KR20220163604A (ko) * 2021-06-03 2022-12-12 고영준 지능형 정전시 승강기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206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6715308B (zh) 电梯系统
CN205602891U (zh) 一种电梯应急救援对讲系统
CN107176522B (zh) 智能型电梯对讲监视和轿厢显示监测一体系统
JP2013071795A (ja) エレベータの停電灯異常検出装置
CN109335904A (zh) 一种便于个性配置的电梯系统
KR20170078962A (ko)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JP2005206309A (ja) エレベータ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940006489B1 (ko)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장치 및 방법
CN101934958B (zh) 一种电梯及其运行控制方法
US20110284330A1 (en) Elevator emergency phone - light combination
KR20130142252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4959978B2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CN108639877B (zh) 一种电梯疏散中央指挥调度控制装置
KR101317654B1 (ko) 비상구 유도등
CN114291677B (zh) 一种基于无线电技术的电梯无线救援系统及其使用方法
CN105682314A (zh) Led应急照明灯及使用方法
KR200408012Y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시스템
KR20200081182A (ko) 승강기 비상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8617149U (zh) 一种电梯疏散中央指挥调度控制装置
KR20170004086U (ko)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용 정보 표시장치
CN219384375U (zh) 一种电梯紧急避险预警语音安防控制装置
WO2020194368A1 (ja) エレベータホール照明装置兼誘導到着報知装置
KR20110032031A (ko) 엘리베이터 군관리 시스템에서의 세대내 호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6904820U (zh) 基于照明平台的多功能安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6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12

Effective date: 2019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