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660B1 -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660B1
KR102195660B1 KR1020190080393A KR20190080393A KR102195660B1 KR 102195660 B1 KR102195660 B1 KR 102195660B1 KR 1020190080393 A KR1020190080393 A KR 1020190080393A KR 20190080393 A KR20190080393 A KR 20190080393A KR 102195660 B1 KR102195660 B1 KR 102195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ignal
automatic
emergency
control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구
Original Assignee
정홍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구 filed Critical 정홍구
Priority to KR102019008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을 어느 특정된 제조사 승강기에 제한하거나, 혹은, 특정 승강기 운전방식 등에 구애받음 없이 다양한 제조사별 기종의 승강기에 자유롭게 선택 적용 가능하게하여, 독자적 프로그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특정 대기업 등의 불합리한 요구 내지 횡포로 부터 중소 승강기 업체의 피해를 최소화 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다양하고 범용적인 설치 이용관계에 따라 경제성과 시공성, 그리고, 설비운영의 효율성 또한, 극히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사고신호 전송처리부를 마련하고, 승강기의 제어반과 자동운전구출장치를 연계 제어하는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과;
상기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과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와;
상기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와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긴급구조기관서버 및 정비사단말로 구축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Automatic rescue operation control program system}
본 발명은 승강기(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운행을 통합 제어하는 배전반과, 승강기의 필수 안전설비로 구축되는 자동구출운전장치를 상호 연계 제어하는 매개체, 예컨대, 운전제어 프로그램장치를 어느 특정된 제조사 승강기에 제한하거나, 혹은, 특정 승강기 운전방식 등에 구애받음 없이 다양한 제조사별 기종의 승강기에 자유롭게 선택 적용 가능하게하여 범용적 설치 이용관계를 갖도록 한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이나 시설물 등에는 편리하고, 신속한 층간 이동을 위한 승강 운반수단, 예컨대, 동력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엘리베이터)가 설치 이용된다.
이러한, 승강기(엘리베이터)의 기본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이는, 이용자가 탑승하는 소정면적의 부스형태로서, 내측면에 행선위치 선택을 위한 스위치 조작부, 조명, 인터폰 등을 마련토록 한 카(Car)와, 권상기, 전동기, 제동기 등의 구동설비에 의해 상기 카(Car)의 승,하강 작동을 제어하는 기계실, 그리고, 열림 및 닫힘 되는 개폐작동관계에 의해 이용자를 상기 카(Car) 내로 승하차 유도하는 승강기 도어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기는, 건물의 높이나 층수 등에 구애받음 없이 이용자를 원하는 층별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며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는 하나, 편리한 만큼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승강기 안전사고의 일예로는 운행중이 승강기가 정전 또는 기타 고장 등의 원인으로 정지하며, 탑승자를 승강기내에 갇히게 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승강기 갇힘사고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승강기 갇힘사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내에서는 지난 2017년 1월운행하는 모든 승강기에 자동구출운전장치(ARD:Auto Rescue Device)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한 방안을 마련한 실정이다.
승강기 자동구출운전장치(ARD:Auto Rescue Device)라 함은, 예견하지 못한 정전사고 발생시 비상전원을 이용, 승강기의 카를 가장 가까운 층의 승강장으로 비상 운행하게 하여, 무리한 탈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의 문제를 예방하며 탑승객을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기 자동구출운전장치는 그 제어방식에 따라 크게 직접구동형방식과, 간접구동형방식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직접구동형방식의 승강기 자동구출운전장치는, 정전시 승강기의 운행통제권을 기존 제어반으로부터 접수한 후, 승강기용 전동기를 직접 구동시켜 승객을 구출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바, 이는, 기존 제어반과 자동구출운전장치 간의 신호체계가 다소 복잡한 폐단이 있다.
또한, 직접구동형방식의 승강기 자동구출운전장치는, 기존 제어반에 단지 전원만을 공급해주는 기능으로서, 승강기에 대한 운행통제권은 여전히 기존 제어반이 가지며서 승객을 구출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바, 이는, 기존 제어반과 신호체계가 간단하지만 기존 제어반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해야 하는 폐단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승강기 자동구출운전장치는, 그 자동구출운전장치와 배전반을 연계 제어하는 매개체, 즉, 운전제어 프로그램이 승강기 제조사별로 각각 개별 설계 운영되고, 그와 같이, 설계 운영되는 프로그램 기술을 별도 공개하거나, 혹은, 동종업계와 공유함 없이 독자 이용하는 현실이다.
따라서, 노후화된 승강기 자동구출운전장치를 교체 시공하거나, 혹은, 자동구출운전장치가 마련되지 못한 승강기에 자동구출장치를 추가 설비하고자 할 경우, 승강기 제조사별로 호환되지 못하는 운전제어 프로그램의 제한된 이용관계로 인해, 그 운전제어 프로그램 기술을 보유한 몇몇 특정 대기업의 요구 따라, 자동구출운전장치를 구축해주는 조건으로, 승강기 설비전체를 그들 업체가 생산한 승강기로 교체해야 하는 등의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77181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92494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기의 운행을 통합 제어하는 배전반과, 승강기의 필수 안전설비로 구축되는 자동구출운전장치를 상호 연계 제어하는 종래 운전제어 프로그램장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을 어느 특정된 제조사 승강기에 제한하거나, 혹은, 특정 승강기 운전방식 등에 구애받음 없이 다양한 제조사별 기종의 승강기에 자유롭게 선택 적용 가능하게하여, 독자적 프로그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특정 대기업 등의 불합리한 요구 내지 횡포로 부터 중소 승강기 업체의 피해를 최소화 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다양하고 범용적인 설치 이용관계에 따라 경제성과 시공성, 그리고, 설비운영의 효율성 또한, 극히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을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와, 정비사단말, 그리고, 긴급구조기관 서버와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전 내지 기타 고장원인으로 인한 승강기의 정지사고 발생시, 그 승강기 정지사고가 발생한 지역과 위치, 그리고, 정전사고범위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감지 파악하고, 그와 같이, 감지된 실시간 정보를 통해 사고발생지역에 승강기 정비사와, 구조대원을 급파하여, 승강기의 점검과 복구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질수 있도록하고, 아울러,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승강기 탑승자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 할 수 있도록 한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사고신호 전송처리부를 마련하고, 승강기의 제어반과 자동운전구출장치를 연계 제어하는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과;
상기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과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와;
상기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와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긴급구조기관서버 및 정비사단말로 구축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장치는, 어느 특정된 제조사 승강기에 제한하거나, 혹은, 특정 승강기 운전방식에 구애받음 없이 다양한 제조사별 기종의 승강기에 자유롭게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적인 설치 이용관계를 갖게 한 것으로, 이는, 경제성과 시공성, 그리고, 설비운영의 효율성을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장치는, 운전제어 프로그램장치를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와, 정비사단말, 그리고, 긴급구조기관 서버와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전 내지 기타 고장원인으로 인한 승강기 정지사고 발생시, 그 승강기 정지사고 발생지역과 위치, 그리고, 정전사고범위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감지 파악할수 있도록하고, 그와 같이, 감지된 실시간 정보를 통해 사고발생지역에 승강기 정비사와, 구조대원을 급파하여, 승강기의 점검과 복구작업을 신속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승강기 탑승자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의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구출관제서버의 블럭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 회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과,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2)와, 긴급구조기관서버(3)와, 정비사단말(4)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본 발명의 첫번째 구성인 상기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요지구성으로, 이는, 승강기(200)의 승,하강 운행을 통합 제어하는 운전통제수단과, 승강기(200)의 필수 안전설비로 구축되는 비상탈출수단, 예컨대, 배전반과 자동구출운전장치를 상호 연계 제어하는 중간 매개체로서의 프로그램 장치구성인바, 이와 같은,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은, 사고신호 전송처리부(100)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 구성을 취하며, 그 인쇄회로기판 구성을 취하는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에 초기 정전신호 감지부(11)와, 승강기 조작버튼 통제부(12), 비상 운행신호 처리부(13)와, 도어 비상열림 신호처리부(14)와, 작동정지신호 처리부(15)와, 도어 재열림 신호처리부(16)를 회로적 연결로 탑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상기 배전반과 자동구출장치는 일반적인 승강기에 필수 구성요소로 마련되는 통상의 구성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도면의 도시는 생략한다.)
이때,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에 있어, 상기 초기 정전신호 감지부(1)는, 예견하지 못한 정전발생으로 운행중인 승강기(200)가 비상 정지할 경우, 정지신호감지센서에 의해 승강기(200)의 정지신호를 설정된 시간범위, 예컨대, 5초~10초 범위로 모니터링하고, 이후, 모니터링되는 승강기(200)의 정지신호가 설정된 5초~10초 시간범위를 초과하면, 그 초과신호를 감지하여 별도 보조구성으로 비치된 축전지(슈퍼캐패시터 등)로부터 비상전원을 인가시켜 승강기의 배전반과 자동운전구출장치를 전원연결하게 하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초기 정전신호 감지부(11)에 의해 제어되는 승강기(200) 정지신호 모니터링 시간은, 단지, 5초~10초 시간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른 프로그램 설계의해 그 설정시간을 다양하게 가변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에 있어, 상기 승강기 조작버튼 통제부(12)는, 전술한 초기 정전신호 감지부(11)의 신호처리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은 배전반으로부터 논스톱 프로그램 제어신호, 예컨대, 모든 기종의 승강기에 설치되는 통상의 신호처리 수단으로, 논스톱 스펙 데이터를 이용, 승강기의 내,외부 버튼을 제어하는 논스톱 프로그램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고, 그와 같이, 전달받은 논스톱 프로그램 제어신호를 자동구출운전장치로 중개 전송하여, 승강기(200) 내,외부로 형성된 작동메뉴버튼, 예컨대, 도어 열림버튼, 도어 닫힘버튼, 층별행선지버튼 중, 도어 열림메뉴 버튼만을 제외, 즉, 도어 열림버튼의 작동만을 가능하게하고, 나머지 모든 메뉴버튼의 작동은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에 있어, 상기 비상 운행신호 처리부(13)는, 전술한, 정전신호 감지부(11)로부터 승강기(200)의 비상정지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승강기(200)의 비상정지 감지신호를 비상운전 작동신호로 변환시키며, 재차, 상기 변환된 비상운전 작동신호를 자동구출운전장치로 전달하여 비상정지된 승강기(200)를 상부 탑승층과 하부 탑승층 중 어느 하나의 가까운 층, 예컨대, 승강기(200)가 다층 건물의 8층과 9층 사이에 비상정지한 경우, 그 8층과 9층 중 비상정지된 승강기(200)와 더 가까운 층으로 비상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상운행신호 처리부(11)에 의한 제어로 비상 이동되는 승강기의 작동에너지는, 전술한, 초기 전정신호 감지부(1)에 의해 자동운전구출장치로 인가되는 축전지(슈퍼캐패시터 등)의 비상전원을 공급받아 이루어진다.
또한,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에 있어, 상기 도어 비상열림 신호처리부(14)는, 전술한 비상 운행신호 처리부(13) 제어에 의해 비상 이동된 승강기(200)의 이동완료 신호, 예컨대, 비상정지된 승강기(200)가 비상 이동하여 가까운 층에도착 완료한 신호정보를 자동구출운전장치를 통해 착상검출장치(201)로 전달하고, 상기 도착신호 정보를 전달받은 착상검출장치(201)로 하여금 자동문열림 명령신호를 생성하게 하여, 그 생성된 자동문열림 명령신호에 의해 승강기의 내,외부 도어를 설정된 20~30초 시간범위로 자동 열림 유지되게하며, 이어, 상기 승강기 내,외부 도어의 자동열림 유지상태를 도어열림 감지회로(202)에 의해 감지 체크하게 하고, 재차, 상기 승강기 내,외부 도어가 열림된 상태에서 탑승자에 의한 수동조작에 의해 열림되어있는 승강기 내,외부 도어가 닫힘되지 않도록 도어 닫힘 안전제어회로(203)에 의해 도어 닫힘버튼의 작동을 차단하게 하며, 이후, 설정된 승강기(200) 내,외부 도어의 열림 유지시간이 경과하면, 그 도어 열림유지시간 경과신호를 자동구출운전장치로 전달하여 열림된 승강기(200) 내,외부 도어를 자동 닫힘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특히 전술한 구성에 있어, 착상검출장치(201)는, 승강기(200)의 정상운행과정에 있어, 그 정상 운행되는 승강기(200)가 하차 하고자 하는 층에 이상 없이 도착하였음을 확인 감지하는 통상적 승강기의 필수구성이고, 아울러, 상기 도어 열림 감지회로(202)와, 도어 닫힘안전 제어회로(203)는 승강기(200)가 정상운행하는 과정에 있어, 탑승자의 수동 터치조작, 예컨대, 도어 열림버튼 및 도어 닫힘버튼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승강기 내,외부 도어의 개폐 작동상태를 감지 체크하는 통상의 구성인바,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전으로 인한 승강기(200)의 비상정지사고 발생시, 상기 착상검출장치(201)와, 도어 열림감지회로(202)와, 도어 닫힘안전 제어회로(203)의 작동관계를 상호 연계시켜 승강기 비상정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변환하게 한 형태, 예컨대, 비상열림 신호처리부(14)에 의해 그들 착상검출장치(201)와, 도어 열림감지회로(202)와, 도어 닫힘안전 제어회로(203)를 자동으로 통합 제어하는 것을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르게, 상기 도어 비상열림 신호처리부(14)에 의한 승강기(200) 내,외부 도어의 열림상태 유지시간은, 단지, 20~30초 시간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른 프로그램 설계의해 그 설정시간을 다양하게 가변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에 있어, 상기 작동정지신호 처리부(15)는, 전술한, 도어 비상열림 신호처리부(14)에 의한 제어에 의해 20~30초간 열림상태 유지후 자동 닫힘된 승강기(200) 내,외부 도어의 작동종료신호, 즉, 비상열림 작동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종료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도어 비상열림 종료신호에 의해 작동정지신호를 생성하여, 그 생성된 자동정지신호를 자동구출운전장치로 역전달하며, 재차, 상기 역전달된 작동정지신호에 의해 설정된 시간범위, 예컨대, 40~60초간 자동운전구출장치의 작동대기 상태를 더 유지하게 하고, 이후, 상기 설정된 40~60초의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구출운전장치의 작동을 완전하게 차단 제어하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작동정지신호 처리부(15)에 의한 자동구출운전장치의 작동 대기시간은, 단지, 40~60초 시간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른 프로그램 설계의해 그 설정시간을 다양하게 가변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에 있어, 상기 도어 재열림 신호처리부(16)는, 상기 작동정지신호 처리부(15)에 의한 제어에 의해 40~60초의 설정 시간범위로 작동대기상태에 머물고 있는 자동구출운전장치로부터 승강기 도어 열림 메뉴버튼의 후 조작신호, 예컨대, 전술한 도어 비상열림 신호처리부(14)에 의해 승강기 내,외부 도어가 20~30초간 자동 열림후 닫힘된 상태하에, 그 20~30초의 설정 시간동안 미처 탈출하지 못한 승강기 탑승자가 도어 열림버튼을 터치 조작하는 신호를 전달받고, 그와 같이, 전달받은 승강기 도어 열림버튼의 후 조작신호에 의해 도어 재열림 신호를 생성하여, 그 생성된 도어 재열림 신호를 자동구출운전장치로 역전달하며, 재차, 상기 역전달된 도어 재열림 신호에 의해 설정된 20~30초의 시간범위 동안 승강기(300) 내,외부 도어를 재열림 유지되게 하고, 이후,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승강기(200) 내,외부 도어를 자동 닫힘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어 재열림 신호처리부(16)에 의한 승강기(200) 내,외부 도어의 재열림상태 유지시간은, 단지, 20~30초 시간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른 프로그램 설계의해 그 설정시간을 다양하게 가변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성인 상기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2)는, 전술한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로부터, 정전으로 인해 승강기(200) 비상정지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신호를 전달받고, 그와 같이, 전달된 승강기(200) 비상정지사고 정보를 판독, 분석하여 편집정보 데이터로 생성하며, 재차, 상기와 같이, 생성된 승강기(200) 비상정지사고에 대한 편집정보 데이터를 후술하는 긴급구조기관서버(3)와, 정비사단말(4)로 실시간 알림 전송하는 구성, 예컨대, 승강기 설비업체 또는, 승강기 관리업체에 마련된 정보처리 컴퓨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2)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 예컨대,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이 구축된 승강기의 설치지역과 위치, 그리고, 설치수량 정보를 입력 저장하는 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21)를 형성하고, 상기 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21)로 입력 저장된 승강기 설치정보를 지역과 위치별 지도정보로 디스플레이시켜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사고발생 감시부(22)를 형성하며, 재차, 상기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의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로부터 정전사고발생정보 신호를 실시간 전송받고, 그와 같이, 전송받은 정전사고발생신호에 의해 정전사고가 발생한 승강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사고발생 감시부(22)를 통해 필터링하여 추출하는 사고발생신호 수신부(23)를 형성하며,재차, 상기 사고발생 감시부(22)를 통해 전송받은 정전사고 발생정보를 텍스트와 지도이미지 데이터로 요약 편집하여, 후술하는 긴급구조기관서버(3)와 정비사단말(4)에 실시간 SNS로 전송하는 긴급구호정보 전송부(24)를 형성한, 프로그램 구성으로 구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구성인 상기 긴급구조기관서버(2)는, 전술한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2)로부터, 텍스트와 지도이미지 데이터로 요약 편집된 정전사고 발생정보, 예컨대, 승강기(200) 비상정지에 따른 닫힘사고 발생정보를 전송받고, 그 승강기(200) 닫힘 사고로 인해 발생한 부상자의 이송 또는, 2차 사고로 확대될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긴급구조요원을 상기 승강기(200) 비상정지 현장에 파견토록하는 일종의 공공 구조기관 중앙통제관리시스템, 예컨대, 119소방대 또는 기타 재난관리기관 등에 구축된 정보처리 컴퓨터를 의미한다.
끝으로, 본 발명의 네 번째 구성인 상기 정비사단말은, 전술한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2)로부터, 텍스트와 지도이미지 데이터로 요약 편집된 정전사고 발생정보, 예컨대, 승강기(200) 비상정지에 따른 닫힘사고 발생정보를 전송받고, 그 승강기(200) 닫힘 사고가 발생한 지역 내지 위치로 승강기 정비사를 긴급 출동하게 하는 수단, 예컨대, 승강기 정비사가 휴대하는 스마트단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의 구축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사고신호 전송처리부(100)를 인터페이스 구성으로하여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과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2)를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재차, 상기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2)를 긴급구조기관서버(3) 및 정비사단말(4)과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서, 본 발명을 달성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시스템구성으로 구축된 본 발명은, 예견하지 못한 정전발생으로 운행중인 승강기(200)가 비상 정지할 경우,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에 의해 승강기의 배전반과 자동구출장치를 연계 제어하여, 비상정지된 승강기(200)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이러한 승강기(200)의 비상정지사고 발생정보를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2)와 긴급구조기관서버(3), 그리고, 정비사단말(3)에 실시간 전달하여,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승강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비상정지된 승강기(200)의 점검과 복구작업을 신속히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을 행한다.
1 :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 2 :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
3 : 긴급구조기관서버 4 : 정비사단말
11 : 초기 정전신호감지부 12 : 승강기 조작버튼 통제부
13 : 비상운행신호 처리부 14 : 비상 도어열림 신호처리부
15 : 작동정지신호 처리부 16 : 도어 재열림 신호처리부
21 : 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 22 : 사고발생 감시부
23 : 사고발생신호 수신부 24 : 긴급구호정보 전송부
200 : 승강기 201 : 착상검출장치
202 : 도어 열림감지회로 203 : 도어 닫힘안전 제어회로

Claims (6)

  1. 사고신호 전송처리부(100)를 마련하고 승강기의 제어반과 자동운전구출장치를 연계 제어하는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과, 상기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과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2)와, 상기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2)와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긴급구조기관서버(3) 및 정비사단말(4)로 구축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은, 정전으로 인한 승강기 비상정지시, 정지신호감지센서에 의해 승강기의 정지신호를 5초~10초 시간범위로 모니터링하고, 승강기 정지신호가 설정 모니터링 시간을 초과하면, 보조구성으로 비치된 축전지로부터 비상전원을 인가시켜 승강기의 배전반과 자동운전구출장치를 전원연결시키는 초기 정전신호 감지부(11);
    상기 초기 정전신호 감지부(11)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은 배전반으로부터 논스톱 프로그램 제어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논스톱 프로그램 제어신호를 자동구출운전장치로 중개 전송하여 승강기 내,외부로 형성된 작동메뉴버튼 중, 도어 열림 메뉴버튼을 제외한 모든 작동메뉴버튼을 작동차단 상태로 제어하는 승강기 조작버튼 통제부(12);
    상기 정전신호 감지부(11)로부터 승강기 비상정지 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비상정지 감지신호를 비상운전 작동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비상운전 작동신호를 자동구출운전장치로 전달하여 비상정지된 승강기를 상부 탑승층과 하부 탑승층 중 어느 하나의 가까운 층으로 비상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비상 운행신호 처리부(13);
    상기 비상 운행신호 처리부(13)에 의한 제어에 의해 비상 이동된 승강기의 이동완료 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이동완료신호 따라 자동문열림 신호를 생성하여 승강기 내,외부 도어의 열림상태를 20~30초간 자동 유지후 닫힘되도록 제어하는 도어 비상열림 신호처리부(14);
    상기 자동구출운전장치로부터, 20~30초간 열림 유지후 자동 닫힘된 승강기 내,외부 도어의 비상열림 종료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도어 비상열림 종료신호에 의해 작동정지신호를 생성하여 자동구출운전장치로 역전달하며, 역전달된 작동정지신호에 의해 40~60초간 작동대기 상태를 더 유지하게 한 이후, 자동구출운전장치의 작동을 차단 제어하는 작동정지신호 처리부(15);
    상기 40~60초간 작동대기상태에 있는 자동구출운전장치로부터 승강기 도어 열림스위치 메뉴버튼의 후 조작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승강기 도어 열림스위치메뉴버튼의 후 조작신호에 의해 도어 재열림 신호를 생성하여 자동구출운전장치로 역전달하며, 역전달된 도어 재열림 신호에 의해 20~30초간 승강기 내,외부 도어를 재열림 유지되게 한 후, 자동 닫힘되도록 제어하는 도어 재열림 신호처리부(16);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비상열림 신호처리부(14)는, 비상 운행신호 처리부(13) 제어에 의해 비상 이동이 완료된 승강기(200)의 도착신호 정보를 자동구출운전장치를 통해 착상검출장치(201)로 전달하고;
    상기 도착신호 정보를 전달받은 착상검출장치(201)로 하여금 자동문열림 명령신호를 생성하게 하여, 승강기 내,외부 도어를 20~30초 시간범위로 자동 열림 유지되게하며;
    상기 승강기 내,외부 도어의 자동열림 유지상태를 도어열림 감지회로(202)에 의해 감지 체크하게 하고;
    상기 열림 유지되는 승강기 내,외부 도어가 수동조작에 의해 닫힘되지 않도록 도어 닫힘 안전제어회로(203)에 의해 도어 닫힘버튼의 작동을 차단하게 하며;
    상기 승강기(200) 내,외부 도어의 열림 유지시간이 경과하면, 그 도어 열림유지시간 경과신호를 자동구출운전장치로 전달하여 열림된 승강기(200)의 내,외부 도어를 자동 닫힘되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정전신호 감지부(11)에 의한 승강기 정지신호 모니터링 시간과, 도어 비상열림 신호처리부(14)에 의한 승강기 내,외부 도어의 열림상태 유지시간과, 작동정지신호 처리부(15)에 의한 자동구출운전장치의 작동 대기시간과, 도어 재열림 신호처리부(16)에 의한 승강기 내,외부 도어의 재열림상태 유지시간은 프로그램 설계에 따라 가변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재열림 신호처리부(16)에 의한 승강기 내,외부 도어의 재열림 작동은, 자동구출운전장치의 작동대기시간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도어 열림스위치(202) 메뉴버튼의 후 조작횟수에 따라 반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구출 통합관제서버(2)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200))의 설치 지역과 위치, 그리고, 설치수량 정보를 입력 저장하는 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21);
    상기 시스템정보 데이터베이스(21)로 입력 저장된 승강기 설치정보를 지역과 위치별 지도정보로 디스플레이하며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사고발생 감시부(22);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의 운전제어 프로그램모듈(1)로부터 정전사고발생정보 신호를 실시간 전송받고, 전송받은 신호에 의해 정전사고가 발생한 승강기의 위치정보를 사고발생 감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사고발생신호 수신부(23);
    상기 사고발생 감시부(22)를 통해 전송받은 정전사고 발생정보를 텍스트와 지도이미지로 요약 편집하여, 긴급구조기관서버(3)와 정비사단말(4)에 실시간 SNS로 전송하는 긴급구호정보 전송부(24)로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KR1020190080393A 2019-07-03 2019-07-03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KR102195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393A KR102195660B1 (ko) 2019-07-03 2019-07-03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393A KR102195660B1 (ko) 2019-07-03 2019-07-03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660B1 true KR102195660B1 (ko) 2020-12-28

Family

ID=7408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393A KR102195660B1 (ko) 2019-07-03 2019-07-03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6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215A (ja) * 2012-10-25 2014-05-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KR20170078962A (ko) * 2015-12-29 2017-07-10 (주)엘케이시스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JP2018083691A (ja) * 2016-11-24 2018-05-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877181B1 (ko) 2017-09-20 2018-07-10 이용규 승강기제어반의 변압기를 정전비상구출용으로 겸용하는 비상구출장치가 구비된 승강기운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방법
KR101924942B1 (ko) 2017-03-09 2019-02-27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215A (ja) * 2012-10-25 2014-05-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KR20170078962A (ko) * 2015-12-29 2017-07-10 (주)엘케이시스코 엘리베이터 긴급 안전 관리 시스템
JP2018083691A (ja) * 2016-11-24 2018-05-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924942B1 (ko) 2017-03-09 2019-02-27 주식회사 에너지파트너즈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
KR101877181B1 (ko) 2017-09-20 2018-07-10 이용규 승강기제어반의 변압기를 정전비상구출용으로 겸용하는 비상구출장치가 구비된 승강기운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473B2 (en) Remote control of an elevator and fast recovery from operational shutdown situations executed from a remote terminal
CN102092607B (zh) 电梯的运行控制装置
US5806633A (en) Elevator safety system incorporating false pit
CN102712445B (zh) 紧急状态下操作升降机的方法
CN103038150A (zh) 电梯的监视器控制装置
JP2008001494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復旧装置
WO2012065360A1 (zh) 智能语音电梯
CN114728758A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KR102289455B1 (ko) 엘리베이터 비상연락 시스템 및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단말
JPH04235881A (ja) 個人住宅用エレベータ非常時遠隔救出装置
KR102195660B1 (ko) 다기종 승강기에 호환 적용되는 자동구출운전제어 프로그램 시스템
JPS6327267B2 (ko)
JP3412401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時運転装置
KR100293625B1 (ko) 엘리베이터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JP2747071B2 (ja) 昇降機遠隔監視装置
JP7412316B2 (ja)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2469078B1 (ko) 비상통화장치를 활용한 승객 구출 시스템
JP7128235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Hämäläinen et al. Analytical Method for Defining Requirements for Elevator Rescue.
JPS61238679A (ja) エレベ−タの缶詰救出装置
CN117550449A (zh) 一种电梯困人自动救援安全监控方法及系统
JPH06211457A (ja) エレベータ非常停止時の閉じ込め解放装置
CN118139804A (zh) 用于重置电梯系统的安全模式的解决方案
JPH0952671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装置
JP5761980B2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